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가 적용된 유아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비장애유아와 발달지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복이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요구를 가진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보편적학습설계 원리가 적용된 유아용 스킬스트리밍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비장애 유아와 발달지체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와 각 집단의 변화 과정을 통해 효과성을 살펴보는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7세 통합학급 발달지체 유아 3명, 비장애 유아 13명의 총 16명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비장애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둘째, 비장애 유아 중 사회성 지도가 필요한 비장애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사전 사후 변화비교를 통해 전체 결과와 하위 요소의 대부분의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사회성 기술 항목의 평정척도에서도 향상되었다. 셋째, 발달지체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의사소통기술에서의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인 만큼 기능적으로 관계를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와 향후 장기적인 기간을 통한 추후의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 change in pro-social behavior and the process of changing each group of infants with non-disabled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rough the infant skill streaming teaching program that applies universal learning design principle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with various needs according to rapid social changes in soc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6 children, 3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7-year-old integrated classes and 13 infa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who are enrolled in a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ro-social behavior test of non-disabled infants showed a positive effect. Second, among non-disabled infants, most of the overall results and sub-factors were obtained through pre- and post-change comparison of pro-social behavior, and were improved in the rating scale of social skills items. Thir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confirm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overall pro-social behavior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sub-factors. As they are infants with various needs, various tests that can observe the relationship functionall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rough a long-term period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 DEVELOPING AN ASSESSMENT MODEL FOR TEACHERS IN TANZANIA: IMPLICATIONS OF THE KOREAN TEACHING PROFESSION

        Philipo Lonati Sanga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1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how teacher educators in Korea and Tanzania assess student learning and consequently develop an assessment model for teacher educators in Tanzania. The three questions that guided the study are: First, how do teacher educators use various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to facilitate student teachers’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second, what makes a teacher educator an effective teacher and assessor?; and third, how can teacher educators relate their assessment practices to their teaching and their students’ learning? Data collected aimed to achieve three objectives: Review the ways in which teacher educators use various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to facilitate student teachers’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synthesize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assessment of teacher educators; and develop an alternative model for proper alignment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eight purposively selected teacher educators: two from Korea and six from Tanzania. Each of the eight teacher educators filled i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rior to participating in an in-depth interview. The interviews and their corresponding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at would be used together with the literature analysis to draw useful results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from in-depth interviews involved thematic coding and generating themes and sub-themes by employing MAXQDA software and abiding by the seven-stage analytic process and the grounded theory proces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 educators perceive assessment as a one-shot activity in terms of traditional tests and examinations that are conducted periodically. They do not consider it to be an ongoing process aimed at understanding and improving student learning.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although many teacher educators perceive learning as a process that involves activ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learners to produce knowledge,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are still largely based on the less-participatory approaches like lecturing, which render students passive recipients of knowledge and skills transmitted by teacher educators.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eacher effectiveness does not depend on dispositional factors only but rather on situational factors. Situational factors are such as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conducive working conditions, provision of relevant and adequat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a realistic number of students to be enrolled in each class. Another significant finding is that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are consistently disconnectedly performed instead of being conducted concurrently in classroom activities. Finally, the study highlighted that, notwithstanding that the teaching profession in Korea owes its success to factors such as sociocultural legacies, strong political will, coordinated educational policies, and financial backing, the educational system as a whole is dogged by unbridled competition and an overemphasis of assessments for grading purposes rather than on improving learning. Several conclusions are made, of which one is the need to develop a core course for student teachers so that the assessment model proposed by this study can be pilot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include exploration of what student teachers learn about classroom teaching, and particularly assessments, in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what they actually know about classroom assessment.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수업에 나타난 보편적 학습 설계 요소 분석

        유성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요소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표상을 지원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둘째, 통합학급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표현을 지원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셋째, 통합학급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참여를 지원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개교의 통합학급 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일대일 심층 면담, 수업 관찰 그리고 기타 문서 자료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여 총38개의 보편적 학습 설계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의 수업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해 시각적 정보의 대안 제공, 다수의 매체와 형식 활용, 다양한 매체와 형태 제공, 학생 실정에 맞게 활동 재구성, 문법과 구조를 명확하게 해주는 옵션 제공, 문자 또는 수학적 표기 해독을 위한 옵션 제공, 글을 말로 읽어주는 e-교과서 사용, 다양한 예 제공, 일상생활과 관련짓기, 배경지식을 제공하거나 활성화, 기억과 전이 지원, 결정적인 특징 강조, 관심 유도하기 등의 보편적 학습 설계의 표상 요소들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의 수업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해 도구나 보조공학 이용하기, 일반학생들과의 연결, 규칙이나 난이도 변경하기, 의사전달을 위한 매체 선택 옵션 제공, 작문과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 제공하기, 기술 시연을 위한 유연한 기회 제공, 개인의 심리상태를 편안하게 해주는 옵션, 효과적인 목표설정을 돕는 옵션 제공, 정보와 자료관리를 촉진하는 옵션 제공, 절차 모니터링 능력을 강화하는 옵션 제공, 숙련된 수행을 모델로 제공, 스케폴딩 제공 등의 보편적 학습 설계의 표현 요소들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의 수업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해 개인의 선택과 자율성을 증가시키는 옵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위협하는 요인을 감소시키는 옵션, 웹 탐색, 보상 및 강화물 제공, 개인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 옵션, 매우 다양한 도전과 지원 수준 옵션, 의사소통과 협력을 촉진시키는 옵션, 성취 지향적 피드백을 증가시키는 옵션, 보상에 대한 선택권 제공, 학생의 흥미를 증가시키는 옵션, 개인 목표설정과 기대치를 안내하는 옵션, 자기평가와 자기반성의 발전을 돕는 옵션, 표현 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한 옵션 등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참여 요소들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수업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해 보편적 학습 설계의 표상, 표현, 참여 영역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보편적 학습설계 국어수업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 학업성취도, 수업참여도, 사회적 기술을 중심으로

        김은영 아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통합학급 환경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어(읽기) 수업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주로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 사회적 기술 행동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대상 통합학급은 지적 장애학생 1명, 학습부진학생 4명, 일반학생 2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는 국어(읽기) 교과를 24회기 2-5단원 4단원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험에 앞서 연구대상 학급의 특성 파악과 사전 검사를 위해 2주간 사전 관찰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 동안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참여도, 사회적 기술 검사를 3회 실시하였으며, 학습부진학생과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도 자기점검, 사회적 기술 자기점검이 각 1회씩 실시되었다. 중재는 사전 관찰에 의해 분석된 연구대상 학급의 특성과 장애학생, 학습부진학생, 일반학생의 잠재적 학습 장애요소를 고려하여 전문가 협의체에 의해 개발되었고,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연구대상 학급에 투입되었다. 중재 교수-학습활동은 활동 중심의 놀이 학습으로 구성하고, 시청각 자료를 비롯한 다양한 교재․교구가 활용되었다. 학생들은 학습활동에 사용되는 자료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학습적 지원을 받았다. 중재 중 학생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활동 중이나 직후에 형성평가를 실시하였고,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에 의거하여 2회의 상시평가가 실시되었다. 학습참여도와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연구자와 보조교사 1명이 관찰하였다. 또, 관찰에 정확성과 정밀성을 더하기 위해 학습활동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분석하였으며, 중재 중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시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생 반응을 점검, 분석하였다. 중재 후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해 중재 투입 범위와 일치하는 2-5단원의 단원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학교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의거한 상시평가 1회가 추가적으로 실시되었다. 학습참여도와 사회적 기술의 변화 및 유지도를 분석하기 위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 3회에 걸쳐 학습참여도, 사회적 기술 행동 검사가 진행되었으며, 학습부진학생과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도 자기점검, 사회적 기술 자기점검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수업이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국어(읽기) 수업은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업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초한 국어(읽기) 수업은 일반학생들의 학업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재 후 평가인 상시평가와 단원평가 결과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지식, 이해, 적용영역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지식영역보다 이해, 적용영역의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국어(읽기) 수업에서 가장 향상을 보인 그룹은 학습부진학생그룹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국어(읽기) 수업은 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다양한 학습활동과 표현 및 참여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학습활동은 학습부진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기술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장애학생 및 모든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고 설계된 모두를 위한 수업은 일반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국어(읽기)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업참여도,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대상을 장애학생, 학습부진학생, 일반학생의 세 그룹으로 나누고 실시 한 결과 학업성취도, 수업참여도, 사회적 기술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장애학생과 학습부진학생의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 실시 전 장애학생에게 가장 큰 효과를 기대했던 연구자의 예상과는 달리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성취, 수업참여도 및 사회성 기술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일반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은 물론이고 수업참여 태도 향상, 장애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타인 배려행동 등 사회적 기술 행동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교육과정의 설계는 비단 통합학급 상황에서 장애학생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학습부진학생을 포함한 일반학생 모두를 위한 학습설계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부진학생, 다문화 가정 학생, 일반학생 등의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들이 공존하는 학교현장에서 모두의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모두를 위한 학습설계를 지향하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교육과정은 전 구성원을 아우를 수 있는 대안적 모델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과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신형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43

        Although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explored possibilities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real educational environme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ve focused on exploring its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rather th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addition, consideration of learners’ previous academic performance level and learning styles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effective and meaning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Universal Desig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interests while considering learners’ previou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learning styles. For this study, 7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Y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participated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was consisted of 39 and 40 student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was done by normal instruction. An identical music teacher was involved in the lesson of each group and the provided contents were same. Based on their previous test scores,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high and low. Additionally, learners' learning style was categorized into four dimensions; accommodator, diverger, converger, and assimilator. Learners' learning style was assessed using Kolb's learning styles model.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were measured by post-test, and their learning interests were evaluated by 20 question regarding music in subject-specific interests invent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d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However, learning interests had no differences. This showed tha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ould improv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d no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different academic performance level. However, learning interests were influenced by academic performance level. This indicated tha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ould have positively influence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level. Thir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d no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interests according to different learning styles. This meant tha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ould have positively influence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interests regardless of their learning styles. In conclusi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an help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level and learning sty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more diverse factors including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methods, and support systems in order to appl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school settings through further empirical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보편적 학습설계는 원래 건축 분야에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시작된 보편적 설계의 개념을 교육에 적용한 것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교육과정 및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모든 학습자들이 최대한의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연구는 기본개념과 원리를 제시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학교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가능성을 교육적 효과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을 학업성취수준과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하여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습자 개인의 다양한 특성과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 소재의 Y중학교 2학년 중 실험집단 39명, 통제집단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대상 과목은 음악이었다. 동일한 음악교사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각각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하여 설계한 수업과 기존의 일반적인 수업을 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은 1학년 음악성적을 기준으로 상ㆍ하위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학습양식은 수렴자, 분산자, 융합자, 적응자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1학년 음악성적과 형성평가 문제를 각각 사전ㆍ사후 검사로 측정하였으며, 학습흥미는 교과별 학습흥미 측정도구 152문항 중 음악과목과 관련된 20문항을 이용하여 실험을 시작하기 전후에 각각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과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학습흥미에 있어서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습흥미에는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 분류와는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고르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이 가진 학습양식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교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 및 학습양식과 무관하게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일반 학교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해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그리고 여러 측면에서 광범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편적 학습설계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인식 조사 연구

        박해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diversity of learners in schools followed by societal changes has led to many challenges in the education field. One of the main challenges being encountered has been in terms of designing effective curriculum. Instructors face difficulty to develop proper curriculum to all student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has appeared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The aim of UDL is to maximize students' learning by designing instruction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lesson planning.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lessons applied to UDL improved participants' on-task behaviors, task-performance levels, academic achievement, and so on. However, since research institutions and scholars have suggested different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UDL, researchers used different instruction strategies without a common standard in the process of applying UDL to lessons. For this reason, it is not desirable that UDL be applied to school setting without a consistent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ist of instruction strategies as a standard of UDL. The key ques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Do instruction strategies developed based on each area of curriculum have validity and feasibility as a standard of UDL?" To answer this, the areas of standard of UDL were set up as “Learner analysis", “Goal", “Content", “Material", “Method", “Assess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pecific instruction strategies based on each area of curriculum, which teachers were able to utilize,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experts' perception on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instruction strategies developed. University professors and lecturers, school inspectors, school commissioners, researchers, principals, vice-principals and teachers were included as an expert group. 160 out of 205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IPA analysis were used for the result. Through these analysis techniques,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instruction strategies as standard of UDL that experts perceived were identifi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was analyzed for comparison.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each of the strategies was high in general except for a couple of strategies, and valid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feasibility. As a result of IPA analysis, 22 out of 49 strategies were included in the area of "keep up the good work"(quadrant Ⅰ) in which both validity and feasibility were higher. This study reveals experts' perceptions that even though instruction strategies as standards of UDL have high validity, they are relatively unlikely to be applied to classes. It also indicates that in real class setting it is not easy for teachers to apply UDL to classes themselves. As for the instruction strategies in which feasibility was rather low, the reason experts perceived them as low should be investigated. To enhance suitability as standards of UDL, the remaining 27 strategies should also be reloc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lass and/or modified as part of further research. 사회 변화에 따른 학교 내 학습자 집단의 다양성은 교수자의 입장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과정을 전개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 이의 해소를 위해 등장한 개념이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로서 학생의 다양한 요구를 사전에 고려한 다양한 수업 설계를 통해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국내외의 연구에 따르면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수업은 대상 학생들의 수업 참여 행동, 과제 수행 수준, 학업성취도 등을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그렇지만 연구기관, 학자들이 제시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와 지침이 다르고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공통된 기준 없이 연구자별로 상이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렇듯 일관된 기준 없이 보편적 학습 설계가 학교현장에 도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으로서 교수학습 전략의 목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질문은, “교육과정의 영역별로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이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으로서 타당성과 수업 적용 가능성이 있는가?” 였다. 이에 답하기 위해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의 영역을 ‘학습자 분석, 목표, 내용, 자료, 방법, 평가, 학습환경’으로 설정하고, 각 영역별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수업 전-중-후의 흐름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의 타당성과 수업 적용 가능성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에는 대학교수 및 강사, 장학사(관), 연구사(관), 교감(장) 및 교사가 포함되었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결과처리를 위해 빈도 분석과 IPA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빈도 분석을 통해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으로서 교수학습 전략의 타당성과 수업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IPA 분석을 통해 이 둘 사이의 관계를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으로서 영역별 교수학습 전략의 타당성과 수업 적용 가능성은 몇 개의 전략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왔고, 상대적으로 타당성이 수업 적용 가능성보다 높았다. IPA 분석 결과, 타당성과 수업 적용 가능성이 둘 다 높은 성과 유지 영역이 총 49항목 중 22항목으로 도출되었다. 학습자 분석 영역에서는 ‘학급 학습자의 인구학적 현황 파악하기, 학습자 분석 사항 수정하기’, 목표 영역에서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목표 성취여부 파악하기’, 내용 영역에서는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집단에 따라 조절하기’, ‘학습자의 관심도, 수행 정도 파악하여 학습내용 수정, 변경하기’가 해당되었다. 또한 자료 영역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한 자료 탐색하기’, ‘학습내용에 알맞은 수업 자료 제작․마련하기’, ‘다양한 수업 자료의 활용 방법 익히기’, ‘시청각 정보가 동시에 제공되는 자료 사용하기’, ‘실물, 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그래프, 도표 등 여러 자료 활용하기’, ‘학습자의 실생활 수준, 흥미에 알맞은 자료 제공하기’, ‘제공되는 자료의 가독성 높이기’ 항목이 포함되었다. 방법 영역의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에 맞추어 다양한 수준과 형태의 질문하기’, ‘어려운 낱말이나 용어, 기호(공식)을 쉬운 말로 풀이해주기’, ‘핵심 개념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기’ 항목이 포함되었다. 평가 영역에서는 ‘말, 글, 그림, 연극, 산출물 등 평가 방법을 다양하기 계획하기’, ‘학습자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를 위한 템플릿 제공하기’, ‘퀴즈, 질문, 포트폴리오, 성취도 평가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하기’, ‘학습자의 학습목표 성취여부에 따라 교수-학습 설계 수정하기’, 학습환경 영역의 ‘집중을 유도하는 자리 배열하기’, ‘분명하나 목표, 역할, 책임이 있는 협력적 학습 집단 조성하기’, ‘교사-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허용적 학습 분위기 조성하기’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는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으로 영역별 교수학습 전략이 높은 타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업으로의 적용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전문가들의 인식을 보여준다. 또한 교사 혼자의 힘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어려운 현실을 드러낸다. 수업 적용 가능성이 낮게 나온 전략들에 한해 낮게 인식되는 이유를 조사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타당성과 수업 적용 가능성이 모두 높게 나온 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27개 전략들의 경우 보편적 학습 설계 기준으로서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교수학습 전략을 수업 흐름에 따라 재배치하거나 수정․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수업참여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수업참여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J도에 소재한 J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비장애학생 30명과 지적장애학생 2명을 의도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비장애학생 15명과 지적장애학생 1명씩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18회기에 걸쳐 적용하고, 통제집단에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적용하였다. 비장애학생은 수업참여도와 교과흥미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각 검사의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 차이를 검증 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은 사전 기간,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실험 기간, 사후 기간 동안 수업시간에서 20분의 관찰시간을 80구간으로 나눈 행동 발생 기록지를 활용하여 수업참여도의 행동발생률을 측정하였으며, 교과흥미 검사는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점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이 전통적 교수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사후 검사 점수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지적장애학생이 사전에 측정한 기초선과 비교하여 실험 후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과 지적장애학생이 전통적 교수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사후 검사 점수를 보임으로써 비장애학생과 지적장애학생의 교과흥미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통합학급 학생의 교과흥미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 통합학급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교과흥미를 향상시켜준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다양한 요구를 가진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알맞은 학습 양식을 제공하여 수업참여도와 교과 흥미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인 교수 설계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웹 활용 글쓰기 통합 수업의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 활동 분석

        박해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최근 통합교육은 양적인 증가를 하고 있으나, 예체능 교과를 중심으로 장애학생의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통합교육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주지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인적 특성을 가진 모든 학생들을 고려하여 설계된 통합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에 기초한 초등학교 웹 활용 글쓰기 통합수업을 설계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양적 연구를 통해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만족도가 향상되었는지 살펴보고, 질적 연구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각각의 연구 가설과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가설: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초등학교 웹 활용 글쓰기 통합수업은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높일 것이다. 연구 문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초등학교 웹 활용 글쓰기 통합수업에 참여한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 활동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2년 1월부터 4월에 걸쳐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통합교육을 실시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초등학교 웹 활용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컴퓨터 활용 방법을 사전교육을 1회 실시하여 숙지시키고, 이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반 학생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산출물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의 결과를 t 검정을 실시하고, 만족도 검사의 결과는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 활동을 관찰하고, 담임교사와 특수교육대상자 및 또래교수자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육대상자와 또래교수자 각 1명을 제외한 일반 학생 33명의 학업성취도는 t 검정 결과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8.125, p<.05). 또래교수자의 학업성취도 또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이 0.58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만족도 검사 결과, 전체 6개의 항목이 평균(3점)을 기준으로 할 때, 모두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 활동은 따르기, 요구하기, 모방하기, 숙달하기의 형태로 수업에 참여함과 동시에 멈추기, 이탈하기의 특징이 나타났다. 관찰과 면담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위하여 설계한 교사 및 또래교수자, 웹의 지원을 통해 기존의 국어 수업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을 위한 웹 페이지에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설계된 지원을 자발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에 기초한 초등학교 웹 활용 글쓰기 통합 수업은 특수교육대상자를 포함한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히 기존의 비주지교과에 집중된 통합교육에서 더 나아가 주지교과에의 통합수업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웹을 포함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접근성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또래교수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협력학습활동을 제공해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