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교사-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미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본 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는 직무에 대한 불만족 요인을 제거하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보육교사의 질적 수준을 높여 긍정적인 보육환경을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을수록, 근무환경이 양호할수록, 근무조건에 대한 보육교사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는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보육교사들이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자기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다양한 재교육기회와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나라가 보육을 책임져 주는 국.공립 어린이집보다는 가정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에 더 많은 아이들의 보육을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반해 가정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의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인식은 국.공립 어린이집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으로 재교육이나 교사교육에 대해서 만족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체계적으로 자리가 잡힌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보다는 가정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가 전문직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체계적이고 다양한 재교육과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둘째, 탄력근무제 또는 교대근무 등 8시간 근무를 준수할 수 있는 제도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시설 종사자의 근무사항 중 교사의 근무시간은 평일 8시간을 원칙으로 하나, 본 조사 대상자들의 평일 근무시간은 평균 10-12시간 정도 어린이집에서 일을 하고 있어 근무시간이 적절하지 않다고 답하였다. 이처럼 장시간을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중간 휴식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실제로 한 명의 보육교사가 한 학급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교사들이 따로 휴식시간을 갖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영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는 단순히 교육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영아를 보호하고 돌보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있으며 하루 보육시간이 8시간 이상 장시간 영아와 생활하는 환경 등을 미루어 생각해 보았을 때 보육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일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인 것은 분명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격에 준하는 보수 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 근무조건에서 보수는 개인이 직업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이며, 직무만족과 능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의 보수는 최저임금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비슷한 연령대의 다른 분야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의 급여와비교 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현재의 급여에 불만을 갖고 있다. 또한 가정이나 민간시설은 교사의 자격에 준하는 보수 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아 양시설 모두 보수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육교사가 낮은 보수와 긴 근무시간으로 힘들어 하고 있는 연구 결과가 나온 만큼. 보육교사들이 스스로 보람과 긍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본인의 노력에 상응하는 적정한 보수가 주어진다면, 보육교사들이 이직에 대한 고민 없이 자기가 맡은 업무에 충실할 수 있으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을수록, 근무환경이 양호할수록, 근무조건에 대한 보육교사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는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나라의 보육현장은 대체로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영유아와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는 보육교사의 질적 측면은 사회적 인식, 근무환경, 근무조건 등이 개선 될 때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에 설득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보육실습 지도를 위한 배움공동체에 참여한 실습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이진실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배움공동체 참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해 변화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배움공동체를 통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배움공동체를 통해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보육실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배움공동체 참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육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실습지도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로 약 1년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이 중 배움공동체 운영기간은 약 6개월 정도 진행 되었다. 자료 수집은 배움공동체 참여관찰, 연구 참여자 개별 심층면담, 연구자 현장일지, 기타 문서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전사 및 자료의 통합,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번에 대한 결과는,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배움공동체 참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에 대해 탐색하는 부분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배움공동체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지식, 예비보육교사 이해관련 지식, 예비보육교사 교육환경 지식, 예비보육교사 교육내용 지식, 예비보육교사 교육과정 지식, 예비보육교사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실천적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중 지도교사 스스로에 대한 지식으로 지도교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어떠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실천적 지식을 인식해본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자신들에게 전문성을 갖춘 양성 지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매우 불안해하였다. 이러한 자신들의 전문성에 대한 불안은 오히려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욕구의 기반이 되었으며, 전문성 향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반영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의 자질과 태도에 따라 달라지는 그 상황에서의 책임감만을 지도교사로서의 책임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배움공동체를 통해 내재되어 있는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예비보육교사를 올바른 보육교사로 성장시키기 위한 중심이 되는 책임감을 인식하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 중 예비보육교사 이해관련 지식으로 지도교사가 예비보육교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인 특성을 미리 알면, 지도교사가 실습을 지도 하는데 있어 올바른 지도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를 처음에는‘부담스러운 존재’로 생각하였으나, 보육실습 지도경험이 많아지면서‘가능성을 가진 미래의 나의 동료’로서 바라보게 되었다고 하였다. 세 번째는,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 중 예비보육교사 교육환경에 대한 지식으로, 지도교사가 예비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환경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는 교실환경, 놀잇감, 서류자료 등과 같이 예비보육교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물리적 환경들을 보육실습 지도과정에 적합하게 마련하였고, 예비보육교사가 실습과정 자체에 조금 더 안정된 마음으로 보육교사라는 직업에 기대감을 갖고 임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심리적 환경을 제공하였다. 예비보육교사에게 이러한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이유는 결국에는 예비보육교사 마음의 안정을 위해서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는,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 중 예비보육교사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으로, 지도교사가 예비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내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 교육내용으로‘관찰 지도’,‘자유놀이 지원을 위한 대소그룹 지도’,‘실습보육일지 지도’,‘갈등상황 지도’,‘일상생활 지도’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언급하며 각 주제별 양성내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탐색할 수 있었다. 다섯 번째는,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 중 예비보육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으로, 지도교사가 예비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를 지도하기 위해 지금까지 자신들이 스스로 지도내용을 구성해왔지만, 이러한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를 생각해 본 경험은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배움공동체 안에서 구성원들과 자연스럽게 지도내용에 대한 부분과 지도를 한 이유들에 대해서 논의하다보니, 주차별로 지도내용들을 구조화할 수 있게 되었고, 지도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즉,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에게 예비보육교사 양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을 인식하고 지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섯 번째,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 중 예비보육교사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지도교사가 예비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으로 예비보육교사를 가르치는지에 대한 지식이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배움공동체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을 지도한 방법들을 개념화 할 수 있었는데, 지식전달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 질문형태의 교수학습 방법, 토의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 관찰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 모델링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 문서평가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지도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을 실습기간 동안 예비보육교사를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이 자료들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아이들과 관련 된 자료, 활동 계획 시 참고 할 수 있는 자료, 예비보육교사가 작성해야 하는 문서와 관련 된 자료로 정리할 수 있다. 연구문제 2번에 대한 결과는,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배움공동체를 통해 보육실습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도출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개별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이 재구성되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변화 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가장 큰 인식의 변화는 예비보육교사 양성목적에 대한 인식과 예비보육교사에 대한 인식 그리고 예비보육교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배움공동체를 통하여 구성원들과 함께 공동의 학습 속에서 전문 용어 창출 및 현장의 목소리 전달이 가능함을 본 논문에서 밝혀낼 수 있었다. 이는 그 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더불어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다.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에 의해 도출 된 실천적 지식이 보육실습의 현재를 바라보게 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말해주며, 이러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분석은 교사교육[직전교육(pre-service)과 현직교육(in-service)]과 교육 정책의 전 과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개별 교사의 개인적 담론에서 그치지 않고, 교육 논의의 핵심적 위치로 끌어낼 수 있게 하는 힘을 생기게 함으로써 지도 교사들의 이러한 실천적 지식 내용은 보육실습의 준거를 마련할 수 있는 실제적인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배움공동체를 통해서 구성원들과 함께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해 논의하며 자신들의 지도과정을 점검하고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게 하였고, 이를 토대로 형성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보육실습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은 효과적인 보육실습지도 방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성을 가진 교사로 발달하고자하는 지도교사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히 다른 교사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인 모임에 참여하며 공통된 주제로 공동의 학습에 참여하며 논의하는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렇듯 배움공동체는 지도교사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화의 장 또는 공유의 장,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배움공동체의 기능을 현장에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organizing practical knowledge which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gain through participation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how practical knowledge had changed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cognition toward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study subject which the researcher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below. Subject 1. What is a process of organizing practical knowledge of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in learning community? Subject 2. How childcare teachers’ cognition about the childcare teacher practicum guidance changed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To explore the process of organiz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hich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gain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appointed 4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as the study participant. Research started from June 2019 to May 2020, about 17 months, which includes about 6-months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period. All Data had been gathered by participation observation at learning communities, In-depth interview with each research participants, field log written by researcher, other document-formed data had been collected.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e had been conducted in the stages : transcription and integration of data, area analysis, data classificat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classified data. This study’s results is as below. The result about subject 1 is about the explor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training courses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could re-organize his or her own practical knowledge with the knowledge about oneself, understand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nvironment, teaching contents, curriculum, and its methods. The first part is about the knowledge about childcare practicum teachers’s ownself means that how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understand themselves and how much they are responsible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had been very anxious about themselves believing that they believed they were inefficient in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raining courses because they had never gained any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course. This anxiety rather stimulate the student’s desire to increase their level of practical knowledge, which also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had only perceived the responsibility which can vary depending on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quality and attitude. But The researcher could witness that they could find the responsibility which is base for nourish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nto the upright childcare teachers within oneself when sharing the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own experience and thought.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understand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which means how childcare practice teacher understand their student teacher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argued that they could choose the right direction for teaching the practice when they could grasp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s each own characteristic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originally considered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s “burden”, but they became to consider them as “a future peer with possibility” as they had accumulated more experience in childcare practice. The third part is about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 environment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hich means how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underst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prepared visible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like classroom environment, toys, and documents in childcare practice training courses properly, and they also provided psychological background in hopes of holding expectation to the job as childcare teachers more stably. The researcher could find out that the reason of the provis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ckground is after all for the peace of mind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fourth part is about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 content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hich means how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understand the education content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mentioned about “the observation guidance”, “large an medium-sized group guidance for supporting free play”, “childcare practice daily record guidance”, “conflict situation guidance”, “daily life guidance” most frequently. The researcher could witness common practical knowledge about guidance contents on each topics. The fifth part is about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curriculum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hich means how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understand the curriculum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have organized the teaching contents, but they admitted they had never thought about the exact meaning of those activities. However, by discussing naturally about the teaching contents and the reason for teaching in learning community, they could organize the teaching contents weekly and make the teaching contents appropriately. In other words, this study serves as momentum to see the necessity to perceive the teaching training courses and teach it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sixth part is about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guidance method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hich means how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understand the guidance method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could form a concept of guidance method by participation at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could find out that they had guided the student with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knowledge-transfer, question, debate, observation, modelling and document evaluation form. Finally, childcare practice teacher had utilized various resources to guide pre-service teachers efficiently. Those resources can be classified with 3 categories; child-related resources, resources which could be referred with activity planning, and resources related to documents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hould write. The result about subject 2 indicates that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had restructured his or her own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the common practical knowledge which came from the childcare practice in learning communities. The biggest changes in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awareness is in the changes of cognition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raining courses,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could create terminology and could transfer vivid opinion from the field by learning together in learning communities. The researcher could perceive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knowledge within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and what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shared within themselves as practical knowledge. The practical knowledge drawn by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is the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the present of childcare teacher practicum. And the analysis on the practical knowledge c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needed by teacher education(pre-service and in-service)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policy. Adding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shared by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could prepare the standard of childcare teacher practicum, rather than just with each teacher’s respective opinion. Furthermore, the researcher also noticed that the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had utilized the participation at learning community as the chance to check their guidance and improve it through discussing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ourses with other peers. Though this process, they could change their thought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ourses and the improved content and methods could be contributed in developing effective childcare teacher practicum methods. Finally, the researcher found that what the childcare practice teacher who wish to become a professional need is the experience in involving at common learning chance and getting discussion about common topic by participating regular meeting, rather than just having conversations with other peer teachers. Therefore, learning communities provide the chance for conversation, learning and grow for childcare practicum teachers and we should find ways to apply the function of learning communities into field.

      •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임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Difficulties and Restoration in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im Yu-mi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Cha Gi-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they've got for themselves throug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overcoming, as well as to identify the suppor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neede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In order to carry out these study purpose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depth inter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study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ategory of experience in parent-teacher rel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is the theoretical paradigm for the parent-teacher experience for child car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key category of experience in teacher-parent relation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fiv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13 times,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from October 18, 2019 to April 24, 2020. The interview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using a portable recorder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recorded data was transferred to the PC through repeated listening after recording once.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repeatedly until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terview had reached a theoretical saturation poin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Corbin (1998; 2001) was applied in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the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a total of 116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of the analyzed categories, caus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he "parent-teacher perceptions difference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teacher expectations differenc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nega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osi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central phenomenon,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caused by excessive demands from parents', 'changes and difficulties of upbringer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parents' uncooperative nurture attitude'. The condition for arbitration was 'distrust of parents due to CCTV and the media' and 'distrust against teachers' expertise', whil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ulted in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utilization of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 suppor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child teacher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growth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requests for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econd, the process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that ‘stag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tage for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experiences of negative and positive outcomes in relationships’, and ‘stage of changes in perception through relationship experience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made efforts personally and using support from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nd as a resul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with parents,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s’ expertise was formed through the process with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Third, the key category of overcom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was identified as 'parent-teacher coop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outline, with this core category at the center, we could see what factors affect the overcoming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what mediation strategies were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Each category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e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of matrix on a context level of 'parent efforts', 'support from childcare institutions', and 'cooperative support of regional systems'. Each level presented its experience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was not only possible with the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orts of parents but also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aken togeth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arent-teacher relations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the cooperation through teachers’ efforts and growth and parents’ efforts must be made, and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re also important. If these conditions can be achieved with positive support and cooperation in the formation of parent-teacher relations, they will not only achieve positive result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ut also implement strong cooperative systems from the home, institutions, and region. 국문초록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임유미 지도교수 차기주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의 과정 및 그 결과를 통해 스스로 얻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고, 더불어 부모-보육교사 관계상의 어려움을 잘 해결할 수 있기 위해 보육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보육교사들을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에 대한 경험의 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관계 경험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 경험에서 나타나는 핵심범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직에 있는 5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8일부터 2020년 4월24일까지 예비설문 포함 총 13회에 걸쳐 교사개인과 연구자의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절차는 반구조화 면담의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동의하에 모든 면담을 휴대용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고, 녹취한 자료는 1회 녹음 후 반복 청취를 통해 PC에 전사하였다. 면담 내용이 이론적 포화점에 도달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추가적 면담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부모-보육교사 관계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Strauss& Corbin(1998; 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분석한 결과, 총 116개의 개념, 27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분석된 범주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르면 인과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경험한 부모-교사의 인식차이’와 ‘부모-보육교사의 기대차이’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부정적 관계 요인‘,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긍정적 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로 인한 어려움’, ‘사회변화에 따른 양육자의 변화와 어려움’, 부모의 비양육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중재조건으로 ‘CCTV와 매스컴으로 인한 부모의 불신’,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부모-교사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 체제 지원 활용‘으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정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성장‘,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체제의 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과정분석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단계’, ‘보육교사의 노력 단계’, ‘관계의 부정적, 긍정적 결과 경험단계’, ‘관계 경험을 통한 인식변화 단계’로 나타났다. 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보육교사는 개인적 노력과 기관 및 지역의 협력체제 지원 활용을 통한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 부모와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경험하게 되었고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과정을 통해 교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 극복에 관한 핵심범주는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으로 파악되었다. 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해 보육교사와 부모관계 어려움 극복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중재전략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각 범주들은 상황 매트릭스 분석에 따른 보육교사와 부모관계의 어려움 경험이 ‘부모의 노력’, ‘보육기관의 지원’, ‘지역체제 협력지원’의 맥락 차원으로 나타났다. 각 차원은 ‘부모-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이 제시되었으며,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은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의 노력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육기관과 지역협력 체제지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과 성장 및 부모의 노력을 통한 협력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보육기관과 지역 협력체제의 지원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들이 부모-보육교사 관계 형성에 있어 긍정적 지원과 협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부모-교사 관계의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과 기관, 지역의 강력한 협력 체제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 보육교사의 교수몰입도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의 관계

        유혜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how many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 in teaching activities through teaching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and also focuses on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infant interaction 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is the teaching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Second, “How i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of child care teachers?” Thir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ing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75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o find out the teaching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the tools developed by Kyungmi Go, Seonkyeong Lee, and Seongkyeong Shim (2014), appropriately modified for child care teachers by transcribing ‘Flow State Scale 2, FSS-2) by Jackson and Eklund (2004), was used. For the too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Myungshin Kim (2017) used a rating scale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ungsook Lee (2003) based on the child care teacher rating scale by Bredekamp & Apple (1986) and Howes & Smith (1995). The 275 questionnaires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and the Cronbach’s α value was obtain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n, moment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nd the teaching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was identifie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lear goals among the sub-factors. The highest was self-purpose experience followed by immediate concrete feedback, challenge and technology balance, and the area of loss of self-consciousness was the lowest. This is the result of finding that as a child care teacher, the attitude of attending classes with a clear goal is the highest. Second, emotional inte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followed by behavioral and verbal interaction. Considering the infants and toddlers that stay in the day care centers all day long, it canbe seen that child care teachers who teach the entire infant have the most emotional interaction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ngagemen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about how the relationship is. All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shown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the teacher’s study, which was planned and prepared in advance when teaching, is to engage deeply in teaching, and that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teaching activities is also sensitive to the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interaction is executed with depth.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eachers need to perceive their own engagement in teaching so that the engagement in child care teachers can be deeply achieved.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교수몰입을 통해 얼마나 많은 영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 집중하며, 교수활동에 몰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어떠한 일에 교수몰입의 집중함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보육교사 2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수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 Jackson과 Eklund(2004)의 ‘몰입상태척도 2(Flow State Scale 2, FSS-2)’를 번안하여 보육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고경미, 이선경, 심성경(2014)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 Apple, 1986; Howes & Smith, 1995)를 기초로 이정숙(2003)이 수정 보완한 평정척도를 김명신(2017)이 보육교사와 영유아에게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설문지 275부를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문항내적 신뢰도(Cronbach's α)값을 구하였고, 보육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도는 하위영역 중에서 명확한 목표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목적적 경험, 즉각적 구체적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의식의 상실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것은 보육교사로서 수업에 있어서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수업에 임하는 자세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둘째,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행동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종일 어린이집에서의 생활을 하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볼 때 영유아의 전체를 가르치는 보육교사들은 정서적인 상호작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도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의 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한 것이다. 분석결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교수수행시 미리 계획하고 준비한 교사의 학습목표는 깊이있게 교수몰입이 이루어지고 또한 교수몰입이 이루어지는 교사는 교수활동 속에서 생기는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역시 영유아들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쉽게 몰입하여 깊이있는 상호작용을 진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깊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 스스로 교수학습 몰입을 중요하게 느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신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진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의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소진,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진은 정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심리자본은 부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소진과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예방하고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대책을 마련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burnou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the public daycare center in Daegu using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burnou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child care teachers' burnout plays positively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Third,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negatively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burnout and job stress by enhanc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hild 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it is vital to provide preventive interventions to reduce job stress and burnout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required.

      •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정희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PPAT 그림검사가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진 정보 제공 도구임을 확인하고,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에서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와 PPAT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가 평균 이상인 보육교사 중 자기효능감 척도와 상위 집단 (25%), 하위집단 (25%)에 해당하는 총 41장의 그림을 최종 선별하였다. 그림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Contents Scale)를 채점체계로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연구자를 포함한 총 3명의 미술치료사가 채점에 참여하여 채점자간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들 중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형식척도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내용척도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형식척도 항목 중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의 4가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용척도에서는 ‘그림의 방향’,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 중 고동색', '사람의 실질적 에너지 - 실제 또는 암시된 땅 위에 서있는’의 3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PPAT그림 검사가 임상현장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한 PPAT 반응특성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그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PPAT test is a information delivery tool as it refers definite cognition about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 who has high job stress and to detect its application possibility. 192 cases were selected who are working as a childcare teacher at day care center at Seoul. the scale of job stress, self-efficacy and PPAT test were conducted. Among the cases top(25%) and bottom(25%) of scale of self-efficacy(total 41 cases) were finally selected. To analyse the data FEATS and Contents Scale were used as a scoring system and 3 art therapist including researcher participated to heighten reliability of the scor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fine response characteristic of formal scale in accordance with self-efficacy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hi-squared test() was carried out to define response characteristic of content scale. Analysis result centered on research ques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eferences in following 4 categories which ar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solving' among the categories of formal scale according to the self-efficacy scale of childcare teacher who has high job stress. In content scale statistically meaningful deferences was showed in following 3 categories - ‘Orientation of Picture’, ‘Color Used for Person(especially brown)', 'Actual Energy of Person - Standing on implied or actual ground'. This study examined PPAT test respons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cale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utility of PPAT test as a tool to inquire the scale of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 who has high job stress in the clinical fiel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there was no preceding study about PPAT response characteristic which wa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 job stress and self-efficacy so far.

      • 보육교사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경선 신한대학교 특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Park, kyoung sun Department of Art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Majored in Integrated Arts Therapy Special Graduate School Shinh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This researcher will examine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find ways to improv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ncreas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Second, how are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ptimism among ego-resiliency sub-factors has a greater impa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is means that the child care teacher who has an optimistic attitude, in other words, a child care teacher with a high ego-resiliency, will have high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as a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and purpose of life were variables explain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It is positiv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an control oneself. And it means that a child care teacher with a life goal has the high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ird,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showed 49% of explanation power, and to the optimality of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y,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and purpose of life,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re added, may have mor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inforcement are needed to increas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in addition, it can be noticed that the teacher education or program development are needed that can rais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lso, to rais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encourage participation in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engthen program, and working conditions for the child care teacher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should be improved. These necessity of institutional arrangement is suggested. Key words: Health Promoting Behaviors,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 Care Teacher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이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해서 알아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낙관성이 상대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보육교사, 즉 자아탄력성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 중에는 긍정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이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이는 대인관계에 있어 긍정적이고 자신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고 삶의 목표가 있는 보육교사일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49%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의 낙관성에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긍정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을 더해지면 건강증진행위에 더욱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강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강화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해야 하고, 보육교사가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는 근무여건이 개선되어야 하는 제도적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건강증진행위,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보육교사

      • 보육교사의 장애 인식 개선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원영미 인천대학교 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Recognition through Childcare Teachers' - Focused on the Integrated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children - Won, Youngm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olic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tegrated childcare for nondisabled infants and infants and toddlers is expanding, and the revision of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Act of 2016 has also made it necessary to educate child care teachers on disability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kindergarten teachers of disability integrated day care center experience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change of day care environment of infants and toddlers. The 9 kindergarten teachers of the integrated day care center in Incheo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hree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gue fears of general childcare teachers when integrated childcare for disabled children were solved by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childcare,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lated to disability was raised by feeling the lack of professional information to help disabled children as teachers .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showe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child - related education provided in daycare centers. Third, child care teachers whose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changed positively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integr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e child care process and that continuous and long-term education related to child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Finally, the attitude toward 'dis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in this study is that the fea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ccep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diverse education as claimed by Tokuda Katsumi (2005)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ypes of day care centers and daycare staff. Seco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child care teachers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Third, in order to develop a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manual suitable for the childcare site, it is necessary not to form it as a separate program but to organize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and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the current course, (Prevention of child abuse, safety manage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and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Korean day care center, which is becoming publicly funded, consist of childcare fees and other subsidies supported by state subsidies and parent subsidies for private home daycare centers. In addition to implementing standard childcare and nursing courses, There should be sufficient budget support for running the program. 보육교사의 장애 인식 개선교육을 통한 장애인식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 비장애영유아와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이 확대되고 있고, 2016년 ‘장애인 복지법’의 개정으로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도 의무화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애영유아의 보육환경 변화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장애 인식 개선교육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 9명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으며, 3명씩 세 팀의 집단면접과정을 거쳤고 질적분석방법으로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돌봄서비스 제공자로서 공통의 경험을 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역할과 경험을 중심으로 장애 인식 개선교육을 통한 장애이해 경험 등의 내용을 집단 면접하였으며,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장애 인식 개선교육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아동을 통합보육을 하게 되었을 때 생기는 막연한 두려움은 통합 보육을 경험하면서 해소 되었고, 교사로서 장애아동을 돕기 위해 전문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낌으로 장애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 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는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장애 인식 개선교육과 장애 아동 관련 교육을 이수하는 과정에서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가 된 보육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보육과정에 통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며, 장애아동의 보육과 관련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장애’ 에 대한 태도는 도쿠다 카츠미(2005)의 장애이해 발달단계에서 주장하는 대로 장애아동에 대한 두려움이 다양한 교육을 매개로 하여 장애아동을 수용하는 단계로 발전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집과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 인식 개선교육과 관련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바란다. 셋째, 보육현장에 적합한 장애 인식 개선교육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형성하지 않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안에 영유아 대상 장애 이해교육을 편성하고, 교사를 대상으로는 매 해 이수하도록 되어있는 보육교직원 안전교육에(아동학대 예방, 보육시설 안전관리) 장애 인식개선 교육을 추가 편성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공보육화 되어가는 대한민국의 어린이집의 운영재원은 국고보조로 지원되는 보육료 및 기타 지원금과 민간 가정어린이집의 경우 부모 부담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것과 더불어 장애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 하는데 대한 충분한 예산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권의식과 서비스 질 및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고정아 서울기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 글로벌화에 대응하기 위한 보육현장의 서비스 질 증진을 촉구하고 보육교사에게 최대의 교육서비스를 실천하기 위한 정책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핵심 인적자원인 보육교사의 서비스 질을 고찰하고, 이들의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문화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증조사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시 자치구의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중인 보육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26일부터 2016년 10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9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의 인권의식, 문화적 역량 그리고 서비스 질 수준이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권의식과 문화적 역량 모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이는 결과를 보여, 이들 변수가 증가할수록 서비스질의 수준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권의식이 보육교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문화적 역량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 역량과 인권의식의 인과성에 대한 이해와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보육현장에서 수행되는 보육교사들의 서비스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인권의식과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사전교육과 보수교육의 시도가 체계화 될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함의에 따라 보육서비스에 관한 정책실천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영유아들에게 있어서 인권은 일상생활에서 직접 체득한 개념이 아닌 추상적인 개념들로써 인식될 수 있으며, 이들이 생활 속에서 경험을 통하여 스스로 체득하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영유아 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는 부모보다 아동과 보내는 시간이 많으므로 보육교사의 정서가 안정되고 신체적으로 건강해야만 아동들의 정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반이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들이 매년 받아야하는 다양한 의무교육과 매3년마다이뤄지는 보수교육, 보육서비스지원센터(2016)에서 진행되는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강화 교육과정 등 다양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진들은 인권의식, 가치관, 직업관, 세계관 등 능력의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 목적에 맞게 프레임에 잘 갖춰진 질적 능력이 요구된다. 넷째, 보육교사의 문화적 경험 증진을 위한 연수, 멘토링, 선진보육탐방 등 직․간접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현재 국공립어린이집에서 다문화아동의 통합 보육은 취약보육형태로 의무화 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취약보육을 우선적으로 실시(영유아보육법 제26조)하지 않으면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운영이 취소(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5조)될 수도 있다. 향후 우리사회의 급속한 글로벌화에 따라 어린이집의 다문화 영유아들이 늘어날 것을 대비해 어린이집 원장을 포함한 보육교사들이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함과 문화적 역량증진의 노력이 요구된다. 여섯째, 보육교사 자격제도를 강화하고, 자격 취득과정에서 문화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예비 보육교사들에 대한 충분한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문화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통한 서비스 질 증진을 위해 사전·사후 교육 및 훈련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주장한 황미경(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대체교사를 원활히 지원하여 보육서비스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과 교육기회의 개발이 요청된다.

      •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헌신 매개효과

        정영자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in the child-care facility organization. Towards that end, teachers in some child-care facilities in Seoul and part of Gyeonggi-do were visited and interviewed.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Research tools used herein included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measurement questionnaire, the teacher's job dedica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and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Questions used Likert's 5-point scale. Statistical analysis tools used herein included SPSSWin 22.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To examine whether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Also,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herein, explorativ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uitability were verifi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us are described below. First, it was analyzed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varied according to teacher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revealing that higher-career teachers, rather than lower-career teachers, and teachers in smaller-size child-care facilities rather than teachers in larger facilities, perceive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 exercised more servantship. Second, it was analyzed how the teacher's job dedication varied according to teacher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revealing that teachers' job dedication was generally high, and that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 level, but that it was perceived as higher with higher-career teachers than with lower-career teachers. It was verified that job dedication was perceived as higher with teachers in small child-care facilities than with teachers in large child-care facilities. Third, it was analyzed how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revealing that, generally,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high, and that i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career only. Higher-career teachers had bigger job satisfaction than lower-career teachers. Fourth, this study verified the suitability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shows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eacher's job ded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revealing that the suitability was relatively fit. Fifth, it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influence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revealing that i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is order. Thus, servantship influenced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direct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mediating variable teacher's job dedication also direc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indirect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Also,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high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suggesting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as bigger when involving the mediating variable job dedication, than it had direct effects, and proving that job dedication was import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child-care teachers responded that child-care house presidents properly exercised their servantship. In particular, of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components, servantship was more exercised in terms of support for growth and sharing of leadership, rather than stewardship and forming a community. Higher-career teachers rather than lower-career teachers, and teachers in smaller-sized facilities perceive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exercised more servantship. Second, teachers were very dedicated to education, and of job dedication components, regardless of regular working hours, compared to voluntary participation passion for child education, the factors of love for education, including the basic education factors, norms, and roles, were found higher. Also, higher-career teachers rather than lower-carer teachers, and teachers in smaller-sized facilities rather than teachers in larger-sized facilities were found to be more dedicated to their teaching job. Third, there was found to be a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here was also found to be a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measurement variables of teacher's job dedication. Also,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measurement variabl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measured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eacher's job ded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fit, and thus was accepted. Fifth,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boosted teacher's job dedication and accordingl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teacher's job satisfaction but also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such, since teacher's job dedication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 should work out measures to exercise servantship to boost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nd should operate the child-care facility to allow teachers to have job satisfaction.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on the differentiation of diverse leaderships needed for child-care facilities, along with servantship, and to expand the model involving mediat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from diverse persp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활동 조직의 구성원인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직무만족은 교사변인 및 보육시설변인(기관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그리고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직헌신의 매개효과로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은 교사의 교직헌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교사들이 자기직무에 만족하는 보육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지도력발휘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보육교사변수와 어린이집변수에 따라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직무만족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했다. 그리고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구조방적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것은 척도의 신뢰성과 집중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일이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거쳐 도출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차이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은 경력이 적은 보육교사보다 경력이 많은 교사가, 소규모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규모가 큰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어린이집원장이 서번트리더십을 더 많이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분석결과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직접효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헌신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로 나타난 반면에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전체효과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중요성은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본질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는 보육교사로 하여금 보육교사의 적응능력을 높임으로서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초기연구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