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현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Environmental changes of society made women in the traditional role which toddler nursery is weaken than past years. And this Change made needs of child care facilities for day-care. In addition, the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are having free child care due to the increased needs of child care facilities. Social change evoked quality child care services increases the level of desire for more. Child-care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together during the day, with most infants became infants and emotional activities, in the interest of the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by one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s the core service delivery. Burnout will decreas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s a result, catastrophic consequences. This research is a child-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s affect on burnout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observed more than average. They have experienced emotional labor. Second, Their Burn-out was observed more than average, exhaustion was more than average others were not, Child-care teacher have experienced burn-out, too. Third,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eacher’s marriage, role-onflict, work-load, work-surface and work-inner sight were significant on exhaustion. Effects of Significant variables for cynicism were marriage, role-conflict, natural work, work-inner sight, work-surfac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had income, work-load were significant and tree of emotional labor’s factors were significant, but natural-work had negative effect. Implications fro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umber of teachers in a kindergarten need to increase. this intervention will be reduce teacher’s work-load. And teacher’s stress-management-program between teachers and teachers set up, too. Second, have to keep on our eyes on emotional work of child care teacher. We did not have attention of it before but, in this study had observed it. A cause of burn-out is emotional work, exhaustion was observed, to prevent exhaustion researcher propose sabbatical vacation. Finally, limitations of study is study use convenience sampling. Results are not going to generalize. Key words : Child-care teacher, Burn-out, Emotional work, Work-environment.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여성인력의 사회진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전통가정에서 여성의 일로 받아들여져 왔던 가정 내 영유아의 보육기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영유아보육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또한 최근의 무상보육과 관련한 논의 및 정책의 시행으로 인하여 보육시설이용에의 욕구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사회적 변화와 함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인간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 및 욕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양질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더욱 증가하였다.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 제공 주체는 보육교사이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와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같이 지내며 영유아와 정서적인 활동을 함으로써 영유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을 도모하는 사람으로서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은 영유아기 아동에게 높은 수준의 영향을 주게 된다.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낮다면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인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보육서비스의 제공 및 그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가 보육교사이기 때문에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있어 왔으며 특히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현상은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보육서비스의 질을 낮추는 것으로 많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증명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업무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소진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보육교사들은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정서노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소진수준을 알아보았다. 보육교사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이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비인격화와 개인의 성취감 저하는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중 결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역할갈등과 업무량의 업무환경요인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서노동의 변수는 자연적 행동을 제외한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 두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결혼여부와 역할갈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은 자연적 행동, 내면적 행동, 표면적 행동의 세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마지막 요인인 개인의 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소득과 업무량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의 세 가지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중 자연적 행동은 통계적으로 소진에 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자면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강력한 가장 영향력을 가진 요인은 업무환경요인인 역할갈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진의 다른 하위요인인 비인간화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가진 요인은 정서노동인 표면적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성취감 저하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요인은 자연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에 정서노동이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역할갈등과 정서적 고갈, 표면적 행동과 비인간화는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으며 자연적 행동과 개인의 성취감 저하는 부의 영향 관계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중 자연적 행동은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업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보육교사가 느끼는 과중한 업무량은 업무분장에 의하여 해결할 수 도 있으나 절대적인 노동력의 수로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보육교사 인건비를 현실화 하고 보육시설당 보육교사의 수를 늘리는 차원의 정책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역할갈등의 문제는 보육시설 원장과 보육교사 보수교육 등을 통하여 계속해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이들에 대한 보수교육을 통하여 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수교육만이 아닌 동료 간 스트레스 조절 교육 등을 실시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스트레스 조절 프로그램을 신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대한 관심이다. 보육교사는 돌봄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노동을 제공하고 이는 정서노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정서적 고갈은 정신적 에너지의 고갈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의 정도가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정신에너지의 고갈이 관찰된 것으로 보육교사 안식휴가제도를 정부차원에서 도입하여 이를 통해 보육교사가 안정적인 정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만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한 결과로 일반화 시킬 수 없는 연구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이러한 점이 보강되어 보육교사에게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주요어 : 보육교사, 소진, 정서노동, 업무환경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대해 연구하였다.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행복감을 느끼는 정도가 어떠하며,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규명하였다. 전국단위 국공립어린이집,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법인·단체 등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952명에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 척도,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 척도, 보육교사의 행복감 척도, 네 가지 척도로 설문조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test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단순상관계수 산출을,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 능력,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와 논의결과를 종합하여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라 느끼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보육교사가 여자 보육교사보다 행복감을 더 높게 느끼고 있다. 연령에 따라서는 20세∼25세의 비교적 젊은 보육교사들이 느끼는 행복감이 크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인 보육교사가 기혼인 보육교사보다 행복감을 더 높게 느끼고 있다. 학력별로는 대졸 학력을 보유한 보육교사가 전문대졸,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보유한 보육교사보다 행복감을 더 높게 느끼고 있다. 경력에 따라서는 연령과 마찬가지로 2∼6년 미만의 경력을 보유한 초임보육교사들이 행복감을 더 높게 느끼고 있다. 보육기관의 설립형태에 따른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사회복지어린이집, 국ㆍ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법인ㆍ단체 등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 모두가 느끼는 행복감은 차이가 없다. 월 평균 수입이 많은 보육교사들이 행복감을 더 높게 느끼고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작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좋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이며, 다음으로는 직무스트레스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대인관계능력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내적행복과 외적행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이다. 다음으로는 대인관계능력, 직무스트레스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행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이다. 다음으로는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The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52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ocial welfare law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home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and the following scales: the job stress scale of childcare teacher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of childcare teachers, the social support scale of childcare teachers, the happiness scale of childcare teachers, and four scale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happi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interpersonal ability,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r) was calculated,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job stress,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happiness felt b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male childcare teachers feel happiness higher than female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age, young childcare teachers between 20 and 25 feel a great sense of happiness, and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married, unmarried childcare teachers feel a higher sense of happiness than married childcare teachers. By academic background, childcare teachers with college graduates feel happier than childcare teachers with professional college graduates and graduate school or higher. As for career, beginning-care teachers with less than two to six years of experience, like their age, feel more happ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happiness of all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such as home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social welfare daycare center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Childcare teachers with a high monthly average income feel happier.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job stress,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The less job stress, the better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greater the happiness. Third,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ar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is social support, followed by job stress. Howev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has relatively low influence on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ternal happiness and external happiness, which are sub-factors of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Next, it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ability and job stress in order. Social suppor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self-regulated happiness, which is a sub-factor of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Next, job stress and interpersonal ability are in the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prepara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childcare. Using Meta-analysis, there was a change trend analysis according to effect size and survey timing on effect size and contro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perception by the child car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size of a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1-1.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a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1-2. What is the effect size by protection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1-3. What is the effect size by the danger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regulating factor? 2-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survey area? 2-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child care target? 2-3.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tool? 2-4.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ation? 2-5.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thesis major type? 2-6. How is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 of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depending on the academic journal sharing type?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as based on master’s and doctoral degree thes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from January 1996 to May 2020. The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wa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The fin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as 61 papers from master's and doctoral degree theses and 32 from journals. The total of 93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Data analysis was input sequentially centering on the coding manual, values such as serial number, thesis title, author name, publication type, survey year, correlation statistics, measurement tools, expertise perception factors, research area, childcare target, and type of major using Excel 2010. And it was analyzed using the CMA2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program, which is commonly used in Meta-analysis.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tection factors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risk factors was to have an intermediate effect size. In addition, the effect size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protection factor showed a large effect size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and a medium effect size f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depending on regul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factor, by the childcare target, was the largest in the case of the entire protection factor, and by the effect size for measurement tool of Eun-joo Paik and Bu-kyung Jo was the largest in the case of all protection factors.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for each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t indicated that the measuring tools of Eun-joo Paik and Bu-kyung J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and as for each measuring tool of risk factors, Wang's measuring tool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depending on publication type of the protective factors, the doctoral degree had the largest effect size in the case of all the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in the effect size of the non-major department was larger than the major department in terms of job characteristics. As for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factor, the effect size gradually increased as it was closer to the recent stud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factor, the effect size of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increased as it was closer to the recent study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size of group characteristics decreased gradually, and the effect size of job characteristics of risk factors gradually decreased as it was closer to the recent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to attempt quantitative integration to derive objective results by comprehensively organizing previous studies over the past 14 years. Through this study, it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to bring policy prepara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Key words: Childcare teacher, Professional Perception, Effect size, Meta-analysis, Meta-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향상을 위한 정책 마련 및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보육교사가 인식한 전문성과 관련된 요인들의 효과크기와 조절요인에 따른 효과크기 및 조사시기에 따른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1.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2.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보호요인 별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3.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위험요인 별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조절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조사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보육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측정도구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4.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출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5.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학위논문 전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6.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학술지전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7.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효과크기는 조사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1996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 게재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헌선정 기준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지침을 준수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는 석·박사학위논문 61편, 학술지 32편으로 총 93편이 선정되어 분석되었다. 분석 자료는 코딩 매뉴얼을 중심으로 일련번호, 논문제목, 저자 명, 출간유형, 조사년도, 상관관계 통계 값, 측정도구, 전문성 인식요인, 조사지역, 보육대상, 전공유형 등의 값을 Excel을 이용해 입력하였고, 메타분석 프로그램인 CMA2(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보호요인 전체효과크기는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요인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요인의 특성 별 효과크기는 개인특성과 직무특성은 큰효과크기를 조직특성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요인의 조절효과 크기 차이를 분석 한 결과, 보호요인의 보육대상 별 효과크기는 보호요인 전체의 경우, 영아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측정도구 별 효과크기는 보호요인 전체의 경우, 백은주와 조부경의 측정도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 별 효과크기 차이를 살펴본 결과, 조직특성의 경우, 백은주와 조부경의 측정도구가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요인의 측정도구 별 효과크기는 Wang의 측정도구가 가장 큰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의 출간유형 별 효과크기는 보호요인 전체의 경우, 박사가 가장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요인 가운데 학위논문 별 효과크기는 직무특성에 있어 비전공학과가 전공학과 보다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최근연구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요인의 특성 가운데 개인특성과 직무특성은 최근연구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증가한 반면 보호요인의 조직특성 효과크기는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의 직무특성 효과크기는 최근연구에 가까울수록 조금씩 효과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14년간의 선행연구들을 종합, 정리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 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향상을 위한 정책 마련 및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 효과크기, 메타분석, 메타회귀분석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수준 및 권리보장 실태 : 근로기준법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that could help improve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and the system for protecting their rights. This study intends to povide policy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the status of rights guarantee, and the violation of rights establishment, focusing on the Labor Standards Act. For this purpose, the level of awareness of rights, the status of rights guarantees, and the violation of rights establishment were measured among 24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software pack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and the status of the rights guarantee of daycare centers were slightly lower than the average. Second, among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the results related to labor contract, employment rules, vacations, medical care, and compens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teachers’ general backgrounds such as age, education, and care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rights according to job position. This shows that the age, education, and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may affect the level of rights awareness. Third, the actual state of rights guarantees of daycare centers for labor contract, employment rules, vacations, care and compens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establishment of daycare centers. In particular, national public daycare centers were the best guarantee of the childcare teachers' rights compared to other types of centers. Fourth, childcare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high teacher-child ratio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hinder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rights. In addition, they also responded that unrealistic levels of salary, social perception that is not recognized as an expert, overload of tasks, and lack of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were factors that threaten the protection of their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presented in the Labor Standards Act was slightly lower than the average, and childcare teachers were not guaranteed even the minimum rights that should be guaranteed by the Labor Standards Act. There is a limit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m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because the actual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job are heterogeneous with those specified in the Labor Standards Act.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laws and systems to protect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develop and operate educational programs that deal with specific details of laws and systems to improve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수준 및 권리보장 실태: 근로기준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근로기준법을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수준과 권리보장 실태 및 권리확립 저해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향상과 권익보호를 위한 제도개선과 정책결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권리인식 수준, 권리보장 실태, 권리확립 저해요인을 측정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기준법에 제시되어 있는 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수준과 어린이집의 권리보장 실태는 모두 평균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수준 중 근로계약, 취업규칙, 휴가, 요양보상 등에 대한 인식수준은 연령, 학력, 경력 등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적 배경 중 직책에 따른 권리인식 수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등이 권리인식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근로계약, 취업규칙, 휴가, 요양·보상에 대한 어린이집의 권리보장실태는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국공립어린이집은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에 비해 보육교사의 권리보장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교사의 권리확립을 저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높은 교사 대 아동비율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보수수준의 비현실화, 전문가로 인정하지 않는 사회적 인식, 보육업무 외 기타업무의 과중, 교사의 권리보호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 미실행 등이 저해요인으로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자로서의 법적지위와 신분을 갖는 보육교사에게 적용할 수 있는 권리범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교육관계 법령의 권리 범주를 근로기준법에서 찾았으며, 보육교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보장받을 수 있는 근로기준법의 세부적인 실행항목들을 설문으로 제시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근로환경의 실태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근로기준법에 제시되어 있는 권리내용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평균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들은 근로 기준법에 의해 보장받아야하는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 내용과 직무 특성이 근로 기준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내용과 이질적이어서 보육교사들의 권리를 근로기준법으로 보장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권익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며, 교사의 권리인식 함양을 위해 법·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by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in their relationship of influence.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are set as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the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Fourth, what is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Subject to the study are 500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e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S 24.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that job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and in the case of sub-variables, stress caused by peer relationships and the director's leadership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but the stress caused by parent relationships and work overload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ole performance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and in the case of sub-variables,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were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and in the case of sub-variables, the stress caused by work overload and the director's leadership had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but the stress caused by parent and peer relationship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ol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silience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silience, and in the case of sub-variables, both general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silience. Third,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child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and in the case of sub-variables,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positivity al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played a mediated ro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role performance also showed that resilience played a mediated role.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raise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through the medium of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s well,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ir complex and diverse workload. Second,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ir role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control and manage the stress well. Third, since teacher efficacy increases resilience and becomes an internal resource for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self-development training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s needed. Fourth, since resilience is required as an essential and important quality for childcare teachers, efforts to maintain the resilience is need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ought ways to fulfill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by identifying the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the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 수행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과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50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과 AMOSS 24.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역할수행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의 경우 동료 관계와 원장의 지도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역할수행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부모 관계와 업무 과부하로 인한 스트레스는 역할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은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의 경우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의 경우 업무 과부하와 원장의 지도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부모 관계와 동료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역할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은 회복 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의 경우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 회복 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은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의 경우 자기조절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긍정성 모두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효능감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도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역할수행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역할수행을 잘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다양한 업무량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스트레스를 잘 조절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위한 내적 자원이 되므로,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개발 훈련이 필요하다. 넷째, 보육 현장에서 보육교사에게 필수적이며, 중요한 자질로서 회복탄력성이 요구되므로,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규명을 통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ABSTRACT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Beliefs on Play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Kim, Mijeo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child care teacher’s beliefs on play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ffect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1. Are there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beliefs on play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s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beliefs on play,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3. What is the impact of child care teachers’ beliefs on play,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the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is study used 211 out of 250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in Incheon and Gimpo.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achers’play theory study, which was analyzed by Kim Young-sook and Kim Sung-soo in 2001through Q methodological approaches, Lee Sung-hee’s (2008) revised and supplemented measures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Yoon Jin-hee (1993)revised the criteria for nursery teachers based on the measures developed by Hart and Zeider (1993)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agreement on children's rights. The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was compiled by Kim Yeon-ha (2007) using questions about teacher guidance strategies for infant problem behavior by Stormont, Lewis, and Smith (2005) and tools for teaching problem behavior strategies by Nugesser and Watkins (2005)to modify them to suit Korean sentiment and culture. The data collected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hild care teachers’ play beliefs,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underwent F-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2.0 was employed to perform these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we observ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lay beliefs,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based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al experience, and age in charge of play; moreover, higher educational experiences indicat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Regarding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higher educational experiences indicat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ve prevention and negative response strategies for age, final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age in charge. Second,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lay belief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of child care teacher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he negative response strateg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lay beliefs,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and positive prevention strategies, and the positive response strategy showed a static correlation. Third, we found that play beliefs and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affec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 higher sense of playfulness and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indicates that several positive strategies and relatively fewer negative strategies are used. This study is relevant because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nursery teachers’ play beliefs and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Furthermore, these strategies may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ir play beliefs and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to ensure that the right strategies are chosen. 국문초록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가진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라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과 김포지역에 운영 중인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설문지 중 총 21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측정을 위해 2001년 김영숙, 김성수가 Q방법론적 접근으로 분석한 놀이에 대한 교사의 신념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이성희(2008)가 수정 및 보완하여 다시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인권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UN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근거해서 Hart & Zeider(1993)가 연구 개발한 척도를 기초로 윤진희(2006)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재구성한 설문을 사용하였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지도 전략을 알아보고자 Stormont, Lewis와 Smith(2005)에 교사의 행동지원에 대한 질문지와 Nugesser와 Watkins(2005)에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도구를 종합해 김연하(2007)가 우리나라 정서와 문화에 적합하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다시 구성한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 척도(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교사용을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F-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위에 방법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놀이신념에는 연령, 교육경력, 담당연령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아동인권인식은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문제행동지도전략에서는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예방전략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연령, 최종학력, 교육경력과 담당연령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지도전략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이 부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에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이 높아지면 긍정적인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전략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아동인권인식, 문제행동지도전략에 관계와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의 올바른 선택에 있어서 교사가 가진 놀이신념과 아동인권인식의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이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권리인식의 매개효과
김효정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 아동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이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 아동권리인식, 아동권리존중 실행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이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권리인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30여 곳의 보육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29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와 M-plus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산확대지수 값(VIF: Variance Inflation Factor)을 살펴보았고,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Shrout와 Bolger(2002)가 제시한 Bootstrap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은 대인관계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아동권리인식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에서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아동권리존중 실행수준이 높은 보육교사가 대인관계능력이 높고, 아동권리인식 수준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은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높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을 잘 발휘할수록 아동에 대한 권리존중 실행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두 변인은 아동권리존중 실행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의 매개변수인 아동권리인식이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사이에서 매개역할을 검증하여 아동권리인식은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아동권리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이는 아동권리존중 실행을 높여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전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은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교사가 아동의 권리를 높게 인식할수록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권리인식은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 간에 간접적인 영향력이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 및 아동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를 밝혔으며 높은 아동권리존중 실행을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원만한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소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천정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by exploring what they experience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what their life is like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help participants reconstruct their lives and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A total of 9 sessions of small group art therapy were delivered from July to September 2019. The researcher's works, verbatim records of each art therapy session, the researcher's journals, and supervision data were used as the research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By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mes which can reveal and capture the lives of participants adequately within the overall contexts of their live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nd the details of the experiences were reconstruct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torie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mall group art therapy yielded seven themes: 'dreaming of becoming a childcare teacher', 'a day like a war', 'I am not a nanny but an expert', 'me as a working mom exhausted from housework and child-rearing', 'my persona', 'things that give me strength and courage' and 'returning as a childcare teacher I dreamed of.'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im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discovering one's identity as a childcare teacher', 'find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and 'experiencing growth through art therapy.'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led the participants to discover their identity as childcare teachers by gaining a true understanding of and accept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art therapy, and helped them to take a step forward and grow professionally as childcare teachers by gett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their colleagues. 본 연구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가 보육현장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또 그들의 관계 속에서 그들의 삶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이 살아내고 있는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들이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고 진정한 자기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 세 명이다.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총 9회기의 소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작품, 미술치료 회기 녹취록, 연구자의 저널, 슈퍼비전 자료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 삶의 전체 맥락 안에서 삶을 잘 드러내어 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분류하였고, 그 경험의 세부적인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소집단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보육교사를 꿈꾸다>, <전쟁 같은 하루>, <보모가 아니라 전문가입니다.>, <가사와 육아로 지친 나는 워킹 맘>, <나의 페르소나>, <나에게 힘이 되는 것들>, <꿈꾸던 보육교사로 돌아오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자기 이해와 수용의 시간>, <보육교사로서 정체성을 찾아감>,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 <미술치료로 성장하다>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는 소집단 미술치료 과정 속에서 자신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수용하여 보육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었으며,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으로써 한 걸음 더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박선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education b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which were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overall trends of job stres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in a child-care teacher based on general background?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a child-care teacher? Research question 3. What kind of interrelation did it exist between job stres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of a child -care teacher? The research was performed with 253 child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at the child care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then processed by SPSS 23.0, which calculated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artial correlation. In addition, Cronbach's value was obtain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trends of job stres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of child-care teache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 was slightly lower than normal, and they perceived high stress in activities with children.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was moderate or higher, and the scores of the emotional disconnection at the interpersonal level were high in the lower factors. The depression of child-care teacher was lower than usual.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n terms of age, parental status, total work experience and use of break time. The age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job stress, sub-fact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interpersonal stress. The average score was higher in the 40-year-old or older group. Second, in the case of children, the stress related to administrative support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children than in the group without children. The total work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ministrative support, stress was higher in groups less than 7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an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was less in groups less than 3 years and less than 5 years. Found to be high. In addition, the group not using the break time showed higher job stress, subordinate facto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interpersonal stress. Self-differentiation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children. In the psychological level of emotional response,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separation of intellectual functioning within the individual among the subdivision factors of self in the self-differentiation sub-factors in the group more than 20 to less than 30, and in the group with children rather than the child. Has a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Depression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arriage and children.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group of 20-30 year old and younger than 30-year-old and the group of 30-40 year olds than in the group of 40 years old or older, unmarried group rather than married, and group without children. Third, it was shown that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child-care teach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job stress and the lower the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lower the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self-differentiation, the lower the depression. This study proposes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the work environment in relation to mental health such as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a child care teacher in most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limitation of the lack of access to the teacher's own capacity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which is an internal psychological variable, was explored and its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Therefor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s the emotional health of a teacher, such as self-differenti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 environment in order to properly manage the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a child-care teacher known as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child-care. In additon to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this implies the need for support and teacher education that are considered along with the emotion well-being of individual teachers such as self-differentiation. 본 연구는 실제 직무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관련되는 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자아분화, 우울의 관계를 탐색해봄으로써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분화, 우울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자아분화,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분화, 우울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과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척도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하여 크론바흐알파계수 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분화, 우울의 전반적인 경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으로 하위요인별로 원아들과의 활동에서의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자아분화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하위요인에서 대인관계 차원의 정서적 단절에서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우울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자아분화, 우울의 유의한 차이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자녀 여부, 총 근무경력과 휴게시간 이용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연령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요인 행정적 지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40세 미만보다 40세 이상 집단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녀 여부에서는 자녀가 없는 집단보다 자녀가 있는 집단에서 행정적 지원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총 근무경력에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행정적 지원,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정적 지원에서는 0~3년 미만 집단보다 7년~10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집단에서의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에서는 0~3년 미만보다 3년~5년 미만의 집단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게시간을 이용하는 집단보다 이용하지 않는 집단에서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요인 업무 관련, 행정적 지원,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자아분화는 연령과 자녀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0세 이상~30세 미만 집단보다 40세 이상 집단에서, 자녀가 없는 집단보다 자녀가 있는 집단에서 자아분화 하위요인 중 개인 내의 지적기능이 정서적 기능에 분리된 정도를 나타내는 심리내적 차원의 정서적 반응에서의 자아분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우울은 연령, 결혼과 자녀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40세 이상 집단보다 20세 이상~30세 미만과 30세 이상~40세 미만 집단이, 기혼보다는 미혼 집단이, 자녀가 있는 집단보다 없는 집단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자아분화와 우울, 직무스트레스와 자아분화는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자아분화가 낮을수록 우울감을 높게 느끼며,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자아분화가 높을수록 우울감을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직무환경 개선의 논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교사 자신의 역량개발과 연결되는 접근이 부족하다는 제한점에 기초하여 개인의 심리내적 변인인 자아분화와의 관계를 탐색하여 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알려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직무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자아분화와 같은 교사 개인의 정서적 건강을 함께 고려하는 지원과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on happiness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ng the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this study, the hypotheses about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surveys and surveys of 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total of 5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demographic differenc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AMOS 22.0 was used to analyze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path model,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happiness through self - efficacy and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ese results do not suggest that job stress is not meaningful for happiness. This is because, wh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ve already been shown, it is not meaningful anymore, and it is proved that job stres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job stress was proven to negatively affect self - efficacy and resilience. Third,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happi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was confirmed that the happiness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lf-efficacy. Fifth, the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was proved to be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of the individual,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felt by the individual, and the resilience has a greater effect on the happiness promotion than the self-efficacy. From these results, Childcare teachers have a belief in themselves that they can do their jobs well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despite job str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happiness is higher as efforts for positive recovery ability to overcome difficulties are mad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job stres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affecting happines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efforts to raise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are needed.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행복한 삶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의 국공립, 민간, 직장, 가정 어린이집 유형으로 사전 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베이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506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초 통계분석 및 인구학적 특성별 차이 검사,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2.0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경로 모형을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유의미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효과가 나타난 경우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부적상관관계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 인해 행복감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개인이 느끼는 행복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을 높이는데 좀 더 영향을 주는 관계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 있어도 높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으로 인해 주어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긍정적 회복능력에 의한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 변인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기에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