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 차이 분석

        김지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x- role identity types of school children to their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an attempt to guide their sex-role identity building in the right direction. Six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is study: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x-role identity type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4. Does the sex-role identity type of elementary school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self-efficacy? 5. Does the sex-role identity type of elementary school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school adjustment? 6.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And six hypotheses were formula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1.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sex-role identity type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2.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3.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4. The sex-role identity type of elementary school migh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elf-efficacy. 5. The sex-role identity type of elementary school migh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chool adjustment. 6.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0 sixth grad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Gyeonggi province. As for instrumentation, Sin Wan-su(1988)'s inventory that translated Bem(1974)'s BSRI into Korean in view of children's age and cultural features was employ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fficacy was Ahn Hye-jin (2002)'s inventory that adapted Kim Ah-young(1997)'s Revised General Self-Efficacy Scale to suit school children. The latter revised Kim Ah-young and Cha Jeong-eun(1996)'s inventory that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general self-efficacy of relatively stable individuals. In addition, Lim Jeong-sun(1993)'s Child School Adjustment Inventory and Kim Yong-rae(1993)'s School Adjustment Inventory were utilized. Regarding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Cronbach Coefficient Alpha was appli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ex-role identity inventory, self-efficacy inventory and school adjustment inventory, and descriptive statistics procedure was employed to acquire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esides, x2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F-test)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After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ex-role identity type, and Hypothesis 1 was accepted. An undifferentiated type was most common among the boys, and androgynous and undifferentiated types were most prevalent among the girl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elf-efficacy between the school boys and girls, and hypothesis 2 was reject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school boys and girls, and Hypothesis 3 was accepted. The girls excelled the boys in overall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school boys and girls were different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ir sex-role identity type, and Hypothesis 4 was accepted. The students who were of androgynous type surpassed all the others in self-efficacy. Fifth, the school boys and girls were different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sex-role identity type, and Hypothesis 5 was accepted. Those who were of androgynous type outdid all the others in school adjustability. Sixth, the school boys and girls whose self-efficacy was better fitted into their school better, and those who settled better in school had a better self-efficacy. In other words, there was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school boys and girls, and Hypothesis 6 was accepted.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students of androgynous type were most excellent i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ability, followed by feminine type, masculine type and undifferentiated type. Therefore extensive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fostering the androgynous sex-role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by developing and applying educational programs geared toward instilling the androgynous sex-role identity into the students.

      • 3D 프린팅을 이용한 여성 경찰보호복 패턴 개발

        김지현 건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Protective clothing for riot police woman is worn for physical protection during the demonstration suppression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protective clothing of riot police woman, whose bodily fitness, movement fitness and putting on and off easily are improved. To achieve it, cross analysis on size distribution of riot police women with their height and weight was conducted based on precedent study(Kim, J. H. 20014). As a result, high proportion range was calculated and size classification for producing protective clothing was suggested. To develop protective clothing for experiment, existing protective clothing pattern was analyzed. To calculate ease of protective clothing, size increasement was found when wearing police uniform and police uniform + winter parka. And, changing rate of body surface was found during the movement and it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protective clothing. Protective clothing for experiment was organized by top and arm·leg guards and in each item, there is base inserted E.V.A. Foam between lining and upper and plastic guard is attached to the base with shock protecting material.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ross analysis was conducted by height and weight of riot police women. As a result, there were the most people whose height is 161-165cm and weight is 51-55kg, so they were classified by M size. The group whose height is less than 161cm and weight is less than 51kg was classified by S size and the group whose height is more than 165 and weight is more than 55 was classified by L size. Second, for the protective clothing for the first experiment, upper base of protective clothing, plastic guard and arm·leg guard were produced. For the design of the first upper base, three kinds of base with different dart position and quantity were produced. To check if protective clothing reflecting breast form to some degree is proper as protective clothing of riot police woman, nondart base, base applying only breast dart and base applying breast + waist dart were produced. To calculate ease of protective clothing, size addition and body surface changing rate were reflected when wearing clothing for riot police and clothing for riot police + winter parka. Upper plastic guard was designed in computer virtual space with 3D modeling program and guard A reflecting body curvature with 3D body scan data and guard B that some curvature and angle are unfolded in side view and top view were produced by 3D printer. 1 kind of arm·leg guard was produced by modeling with 3D body scan data and for all of items, dressing appraisal for body suitability and motion suitability was progressed. Third, for protective clothing for the second experiment, the base getting the best appraisal as a result of dressing appraisal of protective clothing for the first experimen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 second base was completed. On it, top of protective clothing for experiment was completed by mix of plastic guards getting the best appraisal. For arm·leg guard, problems requested by revisions of the first dressing experiment were supplemented and completed. The protective clothing for the second experiment was used as the final experimental clothing for comparing with existing protective clothing. For final experimental clothing and existing protective clothing, body suitability, motion suitability and dressing·undressing easiness appraisal were conduct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As a result, all of final experimental clothing showed excellent results. Leg guard was an item that body suitability was improved the most greatly. Dressing·undressing time of final experimental clothing was less than that of existing protective clothing by more than 2 times. The result should be caused that arm·leg guard fastener system was designed by mixture of velcro with elastic e-band. This is the first study conducted in the area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iot police woman's protective clothing.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riot police woman's protective clothing, introduce research method using 3D printing and develop scientific and effective protective clothing for riot police woman from angles of time and costs. Data that body size distribution of riot police women was analyze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ducing riot police woman's protective clothing whose body suitability is improved in the future. The method of study on protective clothing with 3D printing will make production of demonstrative product with various materials possible and widen research range by grafting it onto the field of apparel study variously. 여성 경찰보호복은 여자경찰기동대원이 시위 진압 시 신체보호를 위해서 착용하는 보호복이며, 본 연구는 신체적합성과 동작적합성, 착·탈 용이성이 향상된 여성 경찰보호복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김지현, 20014)를 바탕으로 여경기동대원의 치수 분포를 키와 몸무게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로 다빈도 구간을 산출하여 보호복 생산을 위한 치수 분류를 제시하였다. 실험용 보호복 개발을 위해 기존보호복 패턴을 분석하였으며, 보호복 여유량 산출을 위해 기동복 착용 시와 기동복+동복파카 착용 시 치수 증가분을 구하였고, 동작 시 체표변화율을 구하여 보호복 설계에 적용하였다. 실험용 보호복은 상의와 팔·다리 보호대로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아이템은 겉감과 안감 사이에 E.V.A. Foam이 삽입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위에 충격보호 소재로 플라스틱 보호대를 부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경기동대원의 키와 몸무게로 교차분석한 결과, 키는 161-165cm, 체중 51-55kg에 해당하는 인원이 가장 많아 M 사이즈로 분류하였다. 키가 161cm보다 작고 체중이 51kg보다 작은 그룹을 S 사이즈, 키가 165보다 크고 체중이 55보다 큰 그룹은 L 사이즈로 분류하였다. 둘째, 1차 실험용 보호복은 보호복 상의 베이스, 플라스틱 보호대, 팔·다리 보호대를 제작하였다. 1차 상의 베이스 설계는 다트의 위치와 분량이 다른 3종류의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여경 보호복으로써 어느 정도 가슴형태를 반영한 보호복이 적절한지를 보기 위해서, 무다트 베이스, 가슴다트만 적용한 베이스, 가슴+허리다트를 적용한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보호복 여유량 산출을 위해 기동복 착용 시와 기동복+동복 파카 착용 시 치수 증가분과 동작별 체표변화율을 반영하였다. 상의 플라스틱 보호대는 3D Model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가상 공간에서 설계하였으며, 3D 인체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체 곡률을 그대로 반영한 보호대 A와 side view와 top view에서 곡률과 각도를 일부 펴준 보호대 B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팔·다리 보호대는 3D 인체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Modeling 하여 1종류를 제작하고 모든 아이템에 대해서는 신체적합성과 동작적합성에 대한 착의평가를 진행하였다. 셋째, 2차 실험용 보호복은 1차 실험용 보호복 착의평가 결과,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베이스를 수정 보완하여 2차 베이스를 완성하였고, 그 위에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플라스틱 보호대들의 조합으로 실험용 보호복 상의를 완성하였다. 팔·다리 보호대는 1차 착의실험 시 수정사항으로 요구된 문제들을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2차 실험용 보호복은 기존보호복과 비교를 위한 최종실험복으로 사용하였다. 최종실험복과 기존보호복을 대상으로 신체적합성, 동작적합성, 착·탈 용이성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최종실험복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다리보호대는 가장 크게 신체적합성이 향상된 아이템으로 나타났다. 최종실험복 착·탈 시간은 기존보호복보다 2배 이상 단축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팔·다리 보호대 패스너 시스템을 벨크로와 신축성이 있는 e-band의 조합으로 설계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여경 보호복 개발에 관한 의복구성학 분야에서 연구된 최초의 연구로, 여경 보호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3D 프린팅을 이용한 연구 방법을 도입함으로 과학적이고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여경보호복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경기동대원의 신체 치수 분포를 분석한 자료는 향후 신체적합성이 향상된 여경보호복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3D 프린팅을 이용한 보호복 연구 방법은 다양한 재료로 시제품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의류학 분야에 다양하게 접목함으로서 연구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동부민요의 효율적인 가창 지도방안 : 중학교 1,2,3학년 동부민요를 중심으로

        김지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민요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전통음악에 대한 실제적인 음악적 경험을 강조하고 표현력 있는 가창활동을 다루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음악적으로 볼 때 중학교 시기는 학생들이 음악적 감수성이 매우 민감한 시기이기도 하며 전통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음악적 흥미를 가지고 발전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교수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흥미 유발은 물론 우리 음악에 대한 자긍심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창의성 계발과 음악적 신장을 목적으로 이해와 가창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된 수업 방안은 동부민요를 이용하여 우리 장단을 익히고 배우며 또 시김새를 통하여 배우는 민요수업, 그리고 정간보의 이해와 가창을 연결시킨 방안이다. 동부민요의 음악적 특성들이 다른 민요들에 비해 비교적 쉬운 점을 이용하고, 학생들의 변성기적 기간이 상대적으로 음악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는 시기인 것을 감안해 가창의 발성법을 사용할 때에는 학생들의 목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가벼운 발성법을 사용할 것을 권하며, 장단과 시김새 위주의 수업으로 흥미를 자아낸다. 더불어 학생을 대상으로 하게 될 민요수업을 통해 서양음악과 대중음악에만 치중한 학생들에게 비교적 가벼운 발성법과 초등학교에서부터 배워 온 정간보?시김새의 깊이를 조금 더 하는 등의 계열성을 가지고 그들이 선호하는 음악 외에 우리의 전통 음악 문화에 대한 흥미와 민요에 대한 친근감을 가지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학생들이 전통 음악 문화에 대한 우리의 정서를 느끼고, 우리 음악의 멋을 경험하고, 또 간단한 악기 반주에 맞추어 민요를 부르는 가사적 창작 활동인 개사를 모둠별 발표를 통하여 이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과 음악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 자신도 다시 한 번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성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앞으로 국악 교육을 위해 끊임없이 배우고 익혀서 꾸준히 연구하고 다양한 교수방법의 계발로 국악교육에 이바지 하고자 하며 이와 더불어 이 논문이 학교 현장에서 민요 수업을 하시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 참고가 될 수 있는 수업자료가 되길 바란다. This research provides Korean folk-songs to emphasize for the practical music experiences of the traditional music and do a musical expressiveness singing activity, and this study gives us understanding and interest for the traditional music, and also gives us to help establish our pride and identity; furthermore, it helps that development of musical creativity for the purposes of understanding and musical extension through the singing. In this research, we learn rhythm using the Eastern folk song, take folk-song's lesson throughout Sigimsae, and study singing and understanding of Jeong-Ganbo. As using the guidance to middle school students, who only eager for their favorite music such as Western popular music, will be able to get a interest and affection for our traditional culture from learning through the folk songs. Compared to other folk-songs, use relatively easy part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stern folk-songs, and persuade that students should sing with a light vocalization because of students in this period relative to the variance of the voice, and concentrate upon the subject, rhythm and Sigimsae that make them interesting. Through this research, students can feel the emotion of our music and fashioned experience, and through the group presentation of a changing lyric method and singing folk-songs with simple instrument accompaniment will help them to improve artistic talents and creativity. From the study, the researcher reflect herself once again and recognize that how Korean classical music is important and also she decide that she will constantly learn and research various teaching methods of development so that she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for the future. In addition, the researcher hope the papers can give useful and helpful reference materials to teachers, who teach folk-songs in the school.

      • 합환피 추출물의 우울증과 약물중독에 대한 약리학적 효능

        김지현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Albizzia Julibirissin is widely used for the traditional treatment of insomnia, traumatic injuries and for calming the mind.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Albizzia Julibrissin (MCAJ) has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n depression and methamahetamine (METH)-induced behavioral sensitization and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CPP) in mice. On tail suspension test (TST), MCAJ (100 and 200mg/kg, p.o.) significantly reduced the immobility time. This effect was completely blocked by pretreatment of WAY100635 (0.3 and 1mg/kg, s.c.) and pindolol (2.5mg/kg, s.c.). However there was no change pretreatment with ketanserin and GR55562. To demonstrate whether MCAJ acts on somatodendritic 5-HT1A autoreceptor, we also measured the rectal temperature. MCAJ (200mg/kg, p.o.) induced a mild hypothermic response in mice. This response was blocked by WAY100635 (1mg/kg, s.c.). MCAJ (400 and 600mg/kg, p.o.) inhibited the METH-induced behavioral sensitization (400 and 600mg/kg, p.o.) and METH-induced CPP (400mg/kg p.o.) on development phase. We observed that [^(3)H]muscimol binding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TH control group. However this change was reversed in MCAJ pretreatment group in frontal cortex, motor cortex and dorsal lateral nucleus region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CAJ has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 that might be mediated by 5-HT1A system. The other effect of MCAJ is the inhibitory action of METH addiction. This action might be through the GABAA receptor system. 합환피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MCAJ) 추출물이 생쥐의 우울증과 약물 중 독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행동실험과 Autoradiography를 실험 하였다. MCAJ 200mg/kg 단독 투여군은 TST에서 움직이지 않는 시간이 유의 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imipramine 10mg/kg을 투여했을 때의 결과와 동일 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MCAJ의 항우울 효과는 5-HT1A antagonist인 WAY-100635와 5-HT1A/1B antagonist인 pindolol을 전처치하였을 때 현저하게 억 제되었다. 하지만 5-HT1B antagonist인 GR55562와 5-HT2A antagonist인 ketaserin 을 전처치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MCAJ의 항우 울 효과는 이는 5-HT1A receptor를 매개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MCAJ 가 somatodendritic 5-HT1A 자가 수용체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 해 생쥐의 체온을 측정하였다. MCAJ 2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체온 강하 현상이 일어났으며 이는 WAY-100635에 의해 억제되었다. MCAJ가 methamphetamine의 중독현상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발운동량 실험과 장소 선호 측정법을 실험하였다. MCAJ 400mg/kg과 600mg/kg 투여군은 methamphetamine의 증가된 자발 운동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MCAJ 400mg/kg에서 장소 선호를 억제하였다. 장소 선호 현상 측정 후 생쥐의 뇌를 적출하여 5-HT1A 수용체에 대한 [^(3)H]8-OH-DPAT 결합, GABAA 수용체에 대한 [^(3)H]muscimol 결합 실험을 수행하였다. [^(3)H]muscimol 결합은 methamphetamine 그룹의 경우 frontal cortex, motor cortex 그리고 dorsal lateral nucleus regions에서 감소하였으나 MCAJ 400mg/kg을 전처치한 그룹에서는 [^(3)H]muscimol 결합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3)H]8-OH-DPAT결합 실험의 경우 행동 실험 과 유의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본 연구는 MCAJ는 항우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5-HT1A receptor에 의해 매개 되 며 약물 중독을 감소시키는 작용은 GABAA 수용체를 통해 조절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청각장애 중학부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개선 과제

        김지현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social study in middle schools for the deaf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ocial study curriculum management and finding the related problems. Currently the reconstructe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s for the deaf overlooks the essential aspect of social studies. That is to say, cultivating citizenship qualifying students for intellectual and rational decision-making necessary for leading their lives in the culturally diverse and interdependent world. This is different from that of language arts cultivating the language use ability, and the fact that deaf students are a minority group forming its original society and culture having a unique way of language use called sign language. Therefore a new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iming at identity establishment and citizenship cultivation required in a multi-faceted societ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 learning materials, teaching methods or model management cases. Once the teachers' voluntary groups are formed, support from their local board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along with regular nationwide case study workshops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their reports.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include facts or concepts to be learned from simple descriptions of social phenomenon to high cognitive thinking skills, which causes difficulty for deaf students in applying all those contents considering the their level of vocabulary, syntactic capability, linguistic development, and knowledge foundation. Hence, a new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and it should include back-up explanation for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Any improvement in education should not come from curriculum reorganization but from the effort made by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activating the curriculum. Therefore, relentless efforts from all the participants related to the hearing-impaired education are required.

      • 아동상담에 참여한 워킹맘의 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지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워킹맘이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서 아동상담을 받는 과정에서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살아내며, 그 경험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자녀의 아동상담을 경험한 워킹맘들이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어떠한 삶의 이야기를 살아냈는지를 보다 면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참여자들이 살아낸 경험을 연구자와 다시 이야기하면서 그들 자신의 경험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Clandinin & Connelly, 2000)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로는 출산, 육아휴직 외에는 직장 경력이 단절되지 않은 전일제 근무자인 여성으로, 현재 학령기 자녀를 두었으며 자녀와 관련한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아동상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5일부터 2018년 12월 2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서, 내러티브의 3차원적 탐구 지점인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염두에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양육경험을 ‘상담 전의 양육 경험’, ‘상담 중의 양육 경험’, ‘상담 후의 양육 경험’이라는 시간 순의 세 단계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첫 번째 참여자인 김분홍의 이야기는 <상담 전의 양육 경험>을 통해 ‘엄마처럼은 안 키워야지’, ‘주위에 누군가가 있었다’, ‘왜 맨날 나는 일등 가고 꼴찌 와야 돼?’로 재구성하여 김분홍의 상담 시작 전까지의 양육 경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다음으로 <상담 중의 양육 경험>을 통해 ‘나를 닮은 아이의 모습’, ‘나들이 가는 마음으로’, ‘마음의 짐을 내려놓았던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김분홍의 아동상담 참여 기간 동안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상담 후의 양육 경험>을 통해 ‘진정한 휴식’, ‘달라진 시간’, ‘키우면서 알아가며’로 재구성하여 자녀의 아동상담 경험을 마친 이후의 양육 경험이 김분홍에게 있어 어떤 의미인지를 이야기했다. 두 번째 참여자인 박초록의 이야기는 <상담 전의 양육 경험>을 통해 ‘나도 엄마처럼 아이들을 지켰을 거야’, ‘항상 헐레벌떡’, ‘아이보다는 내가 더 불안해서’로 재구성하였다. <상담 중의 양육 경험>을 통해서는 ‘아이의 상태를 인정하기까지’, ‘엄마, 사랑해’, ‘나도 받고 아이도 받아’로 재구성하여 박초록의 아동상담 참여 기간 동안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상담 후의 양육 경험>은 ‘아이의 장점을 보게 되다’, ‘엄마, 내 마음을 알겠어?’, ‘그래도 나를 위해서는 계속 워킹맘’으로 재구성하여 자녀의 아동상담 경험을 마친 이후의 양육 경험이 박초록에게 있어 어떤 의미인지를 이야기했다. 세 번째 참여자인 정보라의 이야기는 <상담 전의 양육 경험>을 통해 ‘우산 같은 엄마’, ‘내 생애 아프지만 최고의 경험’, ‘가장 큰 죄책감’으로 재구성하여 정보라의 상담 시작 전까지의 양육 경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상담 중의 양육 경험>을 통해서는 ‘아이의 심리를 알고 싶어서’, ‘널 사랑하는 건 변함이 없어’로 재구성하여 정보라의 자녀 아동상담 참여 기간 동안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상담 후의 양육 경험>을 통해 ‘아이는 나의 전부’, ‘양육은 아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게 하는 것’, ‘Second Life를 꿈꾸는 엄마’로 재구성하여 자녀의 아동상담 경험을 마친 이후의 양육 경험이 정보라에게 있어 어떤 의미인지를 이야기했다. 이와 같은 연구 참여자들의 양육 경험의 이야기를 통해서 연구자가 해석한 아동상담에 참여한 워킹맘의 양육 경험의 의미는, 참여자들이 친정 엄마의 양육 경험을 거울로 삼아 자신만의 양육행동을 형성해 가게 된<대물림된 양육을 돌아보다>, 혼자만이 아니라 남편이나 가족의 지지체계 안에서 공동양육을 해 나가게 되었던 <함께 양육을 하다>, 양육의 과정에서 위기와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며 상담을 찾았던 <위기와 죄책감의 순간, 상담을 찾다>,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워킹맘으로서 역할갈등을 거듭해가던 중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되찾아가게 되는 <일과 양육, 그 사이 어딘가에 나만의 무게중심을 두기로 하다>라는 네 개의 제목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상담에 참여한 워킹맘의 양육 경험을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자와 참여자는 내러티브 탐구의 과정 안에서, 서로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서 각자가 자신의 삶의 경험에 대해 새로운 이해의 시각과 성장의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둘째, 상담자는 아동상담에 찾아온 워킹맘들의 고유한 특성과 상담 동기를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상담 관계 안에서 그들의 노력과 변화를 격려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가도록 지지해야 한다. 셋째, 워킹맘들이 보다 공식적으로 양육 경험을 공유하고 지지받을 수 있도록 기업과 지역사회 차원의 상담과 부모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며, 남편과의 공동양육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제도적 확충이 절실하다.

      • 『음식디미방』의 저자 장계향의 생애에 나타난 생태체계와 가족 레질리언스 연구

        김지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음식디미방』의 저자 장계향의 생애에 나타난 생태체계와 가족 레질리언스 연구 아동가정복지학 전공 김지현 지도교수 정민자 본 연구는 조선 중기의 여성으로 최초의 한글조리서인『음식디미방』의 저자 장 계향의 생애에 나타난 생태체계와 가족 레질리언스를 통하여 오늘날 가족의 건강성 을 회복하고 가족이 본래의 제 기능을 찾기 위해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자 한다. 이를 위해 갈암 이현일이 집필한 『정부인 안동장씨실기』와 아버지 장흥효의 공 부록인『경당일기』등 1차 자료와 『음식디미방』, 장계향과 관련 주요인물에 관한 연구논문과 도서를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17세기에 여중군자라 불렸던 장계향은 시대적 상황과 자녀의 상실이라는 역경 속에서도 7명의 아들을 현자로 키 웠으며, 시댁과 친가 부모님에게 소홀함 없는 효도를 하였고 몰락해 가던 양가 집 안을 명문가로 부흥시켰다. 또한 전쟁과 기근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을 귀천의 차별 없이 돌보는 등 애민사상을 실천하였다. 퇴계 이황의 경 사상을 평생에 걸쳐 실천 수행하였으며 그 정신은 자녀들에게 이어져 재령 이씨 가문 영해파가 영남지역 퇴 계학맥의 적통을 계승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장계향과 재령이씨 가문의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는 400여 년의 시간을 넘어 현재까지 후손들 에게 그 정신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와 가문을 분석한 결과, 장계향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날로 낮아지던 조선 중기에 여성으로 태어났지만, 성리학자였던 아버지에게 학문을 배울 수 있었 고 지경의 삶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고 배우면서 성장하였다. 시아버지 이함은 자신 의 곳간을 열어 굶주린 백성들을 구하는 등 평생을 교화와 구제라는 사회적 실천에 힘썼다. 장계향은 친가와 시가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가슴에 새기고 실천수행과 사 회적 실천에 힘썼다. 둘째, 생태체계를 분석한 결과, 장계향이 여중군자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요인에 는 개인적인 특성의 발현과 아버지 장흥효, 시아버지 이함, 남편 이시명 역시 성리학적 지경의 삶을 추구하는 환경적 영향이 있었다. 또한, 수 차례의 전쟁과 가혹한 기후재난으로 발생한 참혹한 기근은 장계향이 사회적 약자들을 돕는 구빈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은 장계향이 자식, 아내,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통한 실천수행과, 자녀교육에 있어서 솔선수범하는 것 그리고 애민사상을 실천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셋째, 가족 레질리언스를 분석한 결과, 친가와 시가 모두 높은 레질리언스가 존재하였다. 신념체계 중에서 이데올로기 부분이 친가와 시가에서 공통적인 양상을 보인다. 친정아버지와 시아버지, 남편과 장계향은 모두 일신의 영달보다 자기수양, 구휼활동, 후학 양성 등에 보다 큰 가치를 두었었다. 조직과정에서 친정아버지 장흥효의 융통성은 장계향과 이시명의 혼인을 가능하게 했고 이는 퇴계의 학맥이 재령 이씨가문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시아버지와 남편의 융통성으로 장계향은 혼인한 후에도 친정부모에 대한 효도를 이어갈 수 있었다. 의사소통과정에서 장흥효의 명료하고 개방적 정서표현은 장계향의 자식교육에도 그대로 이어졌고, 장계향과 이시명 부부는 대화를 통해 상호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수평적 부부관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음식디미방』은 장계향이 자손들을 위해 남긴 조리서로 당대의 식생활과 조리방법, 식재료 등의 음식문화를 엿볼 수 있는 훌륭한 사료이다. 한글로 쓰여진 최초의 조리서이자, 아시아에서 여성이 쓴 가장 오래된 조리서라는 점에서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음식디미방』은 유교사회 조선에서 남성들의 영역인 학문의 울타리 밖에서, 여성만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음식의 조리라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낸 실용학문의 결과물이다. 장계향의 전인적인 삶에서 나타난 모습은 현모양처, 시인, 화가, 서예가, 교육자, 사상가, 과학자, 사회사업가이다. 국가적으로 참혹한 현실과 여성에게 평등하지 않은 시대적 상황에서도 장계향은 항상 깨어 있는 정신상태와 단정한 몸가짐과 엄숙한 태도를 유지하는 지경(持敬)의 태도로 성인(聖人)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였다. 장계향을 여성으로서의 의무에 삶의 의미를 두고 살아간 사람으로 평가하는 것은 그의 가치를 지나치게 한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장계향이 부모님에게 효도하고 남편을 내조하며 자식을 훌륭하게 키워 가문을 부흥시켰다는 점 때문에 당시의 성리학적 여성관에 따라 현모양처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군자로서의 삶에 성공한 여성이라고 평가받아야 마땅하다. 장계향이 보여준 자애로운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가정교육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신분의 차이를 넘어 모든 사람을 존중하고 평등하게 소통한 것과 고통받는 이들을 헌신적으로 보살핀 것은 오늘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러한 점에서 장계향은 과거의 어느 시대에 살았던 여성 위인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배우고 익히며 실천해야 할 교육적 롤 모델로 주목되어야 한다. 주제어: 장계향, 생애사, 생태체계, 가족 레질리언스, 『음식디미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