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자연미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효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자연미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 김효정 교육학 미술교육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서동석) 자연을 이루는 환경은 18세기 산업화와 20세기 전쟁과 혁명의 영향으로 오염이 심화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레이첼 카슨(R. L. Carson)은 근대 문명의 귀결로 위기에선 환경문제가 자연의 다양성을 고갈시켜 봄이 와도 자연은 침묵하고 있다는 내용의 책을 쓴다. 기술만능주의로 우리의 삶이 파괴되고 인간의 존립까지 위협받고 있음에 경종을 울리며 1962년 출판된 봄의 침묵은 인류 환경사를 새롭게 씀으로써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자연은, 미래를 바라보는 세계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전 지구적 규모로 확대되면서, 이성 중심의 담론 대신 위기를 가져온 요소로써 자연감성이 더욱 중시되었다. 이처럼 20세기를 마감하며 인류는 환경의 종말을 고한 것이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되었다. 근대의 모더니즘 세계관으로부터 이어진 현대 미술과 교육은, 기본적으로 시대 배경과 개인 능력에 따른 방법론에 의해 인간 성장을 목적으로 전개되어왔다. 그러나 자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은 창의성과 인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재 양성을, 미술교육은 시각표현을 통한 이성과 감성의 균형 있는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가교육에서 인간과 환경을 아우르는 자연에 관한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였다. 자연의 중요 가치를 미술과 교육으로 연관 지어 고찰한 결과,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예술과 교육이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파생된 환경예술과 환경교육은, 차별화를 목적으로 하는 예술과 특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의 일부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이처럼 자연관점의 미술과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아직 특정에만 국한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자연은 어렵다는 선입견과 객관적 전공 지식인 자연학으로 간주하려는 경향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 문명의 출현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은 자연이다. 따라서 적용범위가 줄어들면 그 한계가 드러나듯이, 현실에서의 미술과 교육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자연은 더없이 중요한 요소이다. 21세기의 예술과 교육은 순수 자연성이 요구되며, 부분과 전체를 아울러 변화와 흐름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단일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닌, 서로 다른 분야와 영역으로 탐구해도 자연형상으로 드러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치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에 대한 해석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를 따르며 미래의 잠재성을 포괄한다. 연구자는 조화로운 미술교육을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자연은 무엇이고 어떻게 미술로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의 기초를 이루는 학문과 학문의 바탕을 이루는 지식은 16세기 환원주의를 기점으로 깊고 넓어졌다. 이러한 진리의 다원화 과정에서, 미술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 자연미술이며 교육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 자연교육이다. 따라서 자연미술교육은, 미술교육을 위한 자연을 이론적으로 규정하는 일이다. 이러한 이해를 넘어, 예술과 교육을 비롯한 국가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은 ‘자연을 위한 삶’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우리의 일차적 과제는, 자연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있다. 현대에는 자연미의 원리를, 예술과 교육에서 찾고 삶을 구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이에 분리된 삶으로 나뉜 서로 다른 분야의 영역과 장르는,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Jean Jacques Rousseau)를 지나 르네상스의 다 빈치(Leonardo Da Vinci)를 거쳐 다윈주의의 진화론과 종의 기원을 만날 때, 자연이 함께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고전과 실체로서의 재생과 부활을 통해 하나의 영속적인 생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처럼 자연의 침묵으로부터 우리의 변화를 주시하면, 자연을 사랑하게 되어 보다 건강한 미래를 낳게 된다. 더불어 자연미술교육을 바탕으로 환경문제가 극복되길 바란다. Abstract Developing Programs for Nature Art Education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Kim, Hyo Jung Major in Fine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Seo, Dong Suk)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8th century, and war and revolution in the 20th century,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en exacerbated and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Rachel Carson wrote a book that argues that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modern civilization depleted natural diversity and the nature is silent even during the spring. Warning that technology fervor destroyed our life and threatens human existence, Silent Spring, published in 1962, rewrote the history of human environment and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Environmental issues and nature brought change to worldview. As the attention to worsening environment increases worldwide, natural sentiment became more important than rational discussion. Despite the end of environment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 new horizon opened up toward environment. Modern art and education that has been extended from modernist worldview has been developed based on methodology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individual capacity, aiming for human growth. However, at this tim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ure, Korean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alent training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art education on balanced development of reason and emotion through visual expression. Therefore, a new discussion on national education became necessary regarding nature that embraces human and nature. As a result of discussing important values of nature by linking art and education, it became apparent that art and education focused on environment arose. Environment art and education derived from this problem was shown limitedly as part of art that aims at differentiation and education for specializ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art and education from the naturalistic point of view, it still seems limited to certain areas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nature is a difficult subject and limited to specialized knowledge. However, nature is still important even after modern civilization. So in reality, because art education is bound to be very limited nature absolutely important. Art an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pure naturalism and more effort will be made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nge and current. Research shows that exploration in different fields and areas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nature. Likewise, interpretation of nature based on important values follows demand of the new era and includes potential of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author conducted a study on ‘nature and education of nature for students through art’. In conclusion, academy that forms basis of education and knowledge as foundation of academy, expanded from the 16th century reductionism. Nature art helps recognize nature in order to understand art better in the process of pluralism and nature education to understand education better. Therefore, nature art education defines nature for art education theoretically. Art, education, government, and human must focus on ‘life for nature’ rather than simply understanding it. Therefore, our primary task is to understand nature. In modern society, very few people seek principles of natural beauty in art and education. Nature can accompany life when we go back to Rousseau’s argument to return to nature, Da Vinci in renaissance, and the origin of species by Darwinism. Therefor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nature, recreation and resurrection will lead to eternal life. Watching our change in silence of nature can bring more healthy future by loving nature. In addition, the author wishes that nature art education will help overcome environmental issues.

      •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체육전공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놀이중심 체육활동을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체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초등학교 정규 체육 교육과정의 체육활동에서 놀이중심 교육이 활성화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S.J.초등학교에서 정규교육과정의 체육수업에서 놀이중심의 체육수업을 경험해 본 초등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후 비확률표본추출방법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27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Version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집단 간 사회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에서 6학년이 3학년보다 협동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년에서 6학년이 3학년보다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성의 협동성과 근면성이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의 협동성, 책임성과 근면성이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성의 협동성과 근면성은 과제난이도를 높게 선호하는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 Kim, Hyo Jeong Major in Life-Time Sport Graduate School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cent growing popularity of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regula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elected trainees who S. J.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had experienced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as a population, and 27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sampling convenience samples from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Based on th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3.0,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sociality between groups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was found that sixth graders in grade perceived higher cooperation than third graders,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mong groups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male students in gender were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and prefer task difficulty than female students, and sixth graders were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than third graders. Secon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ity on self-efficacy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ed that sociality's cooperation and di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t, and cooperation and diligen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gulatory ability, and sociality's cooperation and di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ndency to prefer task difficulty.

      • GaN계 광소자의 etch-induced damage의 제거 및 특성분석

        김효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자동차, 항공공학, 환경, 간접조명, 일반조명등에 응용할 수 있는 고온, 고출력을 위한 GaN계 전자기기의 개발에 많은 흥미를 보이고 있다. 특히, 3-5족 질화물계 반도체의 경우 넓은 band Gap과 높은 열전도도 등의 특별한 특성 때문에 Light Emitting Diode(LED)나 Laser Diode(LD)같은 광소자에 매우 매력적인 물질이다. 이런 광소자의 dry etching기술은 GaN의 화학적인 안정성 때문에 소자 제작 시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dry etching 특성상 공정 중에 소자의 특성을 감소시키는 etch-induced damage가 생성된다. damage가 형성되고 나면 이는 소자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함으로 존재할 것이므로 소자의 특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GaN계 광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etch-induced damage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etching공정 진행 후의 GaN의 etch-induced damage에 대한 구조분석과 성분분석, 그리고 Blue LED소자를 이용하여 etch-induced damage의 형성 전, 후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Transmission Line Measurement (TLM)를 이용하여 etch-induced damage 형성 전, 후의 contact특성, 그리고 etch-induced damage를 wet cleaning 공정을 이용하여 damage제거 후 소자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GaN에 etch-induced damage를 형성하여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damage구조를 분석하였으며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여 damage의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damage가 layer로 10nm정도로 비정질 상태로 존재하며 에칭가스에 의해 Cl이 40~50%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Blue LED용 에피를 이용하여 damage가 존재하는 샘플과 damage가 존재하지 않는 LED를 형성하고 V-I 및 광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contact resistance도 측정하였다. 결과 damage는 소자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함으로 존재함으로써 소자의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광학적 특성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래서 NaOH계 용액을 이용하여 damage layer 제거공정을 진행하였으며 damage의 제거 후 소자의 전기적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수학 영재아의 수학 문제해결력 발달 유형 분석

        김효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우수한 인재의 발굴, 육성 및 개인의 자아실현, 우수한 인력양성을 통한 국가 사회의 발전을 위해 영재학교, 영재학급, 영재교육원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A 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수학심화과정 15명의 선발시험과 집중교육 후 치른 평가시험을 자료로 삼아 이 학생들에게서 학습 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선발시험과 1년의 교육기간 동안 치른 평가시험을 통해 4차례의 성적의 변화를 살펴보고, 선발된 후 수학영재아의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러 학자들이 정의한 수학영재아의 행동특성을 학생 개개인에게서 찾아보고 선발시험 때와 학습 후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 또 어떻게 발달되고 있는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김효정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공감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 표집 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중소도시에 재학 중 인 중,고등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측정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을 실시,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추가로 실시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 공감과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 영역에서, 자기 노출, 정서적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의 세 영역이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여자청소년이 관계 지향적이므로, 동성의 주 양육자인 모와 개방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여학생들이 관계 중심적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생각과 느낌을 잘 알아차리고 표현 하여 공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급 에서는 중학생이,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자기노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입시가 중요한 한국의 사회분위기로 인하여 학업에 대한 성취 압력이 고등학생 자녀에게 더욱 가중되기 때문 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감은 유의미하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공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청소년은 발달시기와 따라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다르게 인식함을 밝혔다. 그러므로 청소년 자녀의 부모는 자녀의 발달과 특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자녀의 생각과 감정 등을 잘 수용하고 공감하는 개방적인 대화를 함으로서 자녀가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여러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잘 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할 때,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함을 강조 하고, 청소년들의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 시기적절하게 조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김효정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dentified what kind of experience the experienced teachers who engage in team teaching in daycare centers have and what kind of meaning those experiences ha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alistic views and perceptions of experienced teachers who perform team teaching as a teaching method in daycare centers while looking into what they feel during team teaching and what kind of difficulty they go through by hav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etails and meaning of experiences in team teaching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s, and, also, aimed to enable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team teach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eam teaching which makes it possible to offer quality education and to diversify teaching methods is frequently applied in the field of childcare in which human resources namely teachers greatly influence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who conduct such team teaching confront different situations and have different experiences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newly appointed teachers or teachers with a short career or teachers with a long career. Therefore, in order to discover the meaning of team teaching to teachers whose teaching career is over 4 year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by establishing a research question as to what the team teaching which is being implemented for effective teach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means to experienced teachers in preschools. First, experienced teachers felt burdened as a model of a pair teacher through team teaching and, yet, felt delighted in teaching another or learning by themselves by overcoming their burden. Experienced teachers who had performed team teaching felt burdened in meeting with pair teachers whom they encounter during team teaching, in most cases. Second, they came to discover wisdom to be prepare with as experienced teachers while adjusting themselves to each other’s differences. During team teaching, they were experiencing a conflict in adjusting themselves to mutual differences in terms of educational operation and educational views, as well as a conflict through external factors such as differences in their careers and children’s parents apart from the issue of actual childcare. Third, teachers who have a longer career were gradually considering other teachers who have a shorter career more by standing up for them out of love while enduring certain situations in which they might be ignored or be treated unfairly. Fourth, team teaching was fel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ounterpart teacher. This study intended to help the application of team teaching which is being required more than ever in preschools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ts method by revealing what kind of experience the experienced teachers who conduct team teaching have during the process of team teaching and what kind of meaning such experiences have. 본 연구는 연구자가 어린이집에서 팀티칭을 하는 경력교사들이 어떤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교사들의 시각에서 팀티칭을 하는 경험의 내용과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팀티칭을 통해 무엇을 느끼고 있고,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알아보면서 어린이집에서 팀티칭의 교수방법을 실행하고 있는 경력교사의 현실적인 시각과 인식을 탐색해보고 앞으로 현장에서 팀티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수 방법을 다양화 할 수 있는 협력교수 방법인 팀티칭은 교사라는 인적자원이 교수학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육현장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팀티칭을 하는 교사들은 초임 또는 저경력의 교사와 고경력의 교사에 따라 각각 겪게 되는 상황과 경험도 달라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해 실행되고 있는 팀티칭이 4년 이상의 경력인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팀티칭이 어린이집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의 연구 문제로 연구하였다. 연구는 D광역시에 있는 A어린이집이 참여하였으며, 주 연구 참여자는 어린이집에서 팀티칭을 하고 있는 4년 이상의 경력교사 6명이다. A어린이집은 P대학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직장보육시설이며 연구대상인 영아반(만1, 2세반)은 총 8반으로 영아반 교사의 구성은 경력교사 6명 1~3년차 교사 4명 초임교사 4명이다. 연구는 2010년 2월부터 2010년 7월 말까지 6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저널과 연구자의 저널을 수집하고, 월 1회의 집단 면담과 수시로 개별면담을 하였으며 월 1회의 참여관찰과 E-mail 서신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팀티칭의 과정에서 교사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와 그 경험의 의미를 찾으려고 했기에 현상학적 연구를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의 심리나 내면의 상황은 수량화 하여 통계처리 하는 데 한계가 있어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경력교사들은 팀티칭을 하게 됨으로써 짝 교사의 모델로써 부담감을 가지게 되고 이를 극복해 나가면서 상대방을 가르치기도 하고 스스로 배우기도 하는 기쁨을 느끼고 있었다. 팀티칭을 하는 경력교사는 대부분 팀티칭을 통해 만나게 되는 짝 교사와의 만남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효율적인 보육활동을 위해 구성된 짝 교사와의 만남을 통해 한 반을 이루게 되면 바로 실생활에 돌입하게 되고, 서로 겪어 나가면서 함께 하는 경험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경험은 경력교사로써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생각에 상대방을 의식하게 되거나, 경력교사에게 의지하는 짝 교사로 인해 부담을 느끼게 된다. 또한, 팀티칭은 경력교사로 하여금 배움과 가르침의 계기로 인한 교사로써의 역할 재확인과 스스로의 반성의 장을 마련해 주고 있었다. 팀티칭을 하는 경력교사는 늘 함께 하는 동료교사이자 파트너인 짝 교사로 인해 배움과 가르침에 노출되어 있다. 처음부터 이것에 대한 인식이 뚜렷하진 않지만, 생활 가운데 경력교사와 짝 교사는 서로가 서로의 교사가 되고, 서로가 서로에게 배움이 됨을 몸소 느끼고 있었다. 둘째, 서로의 다름을 맞추어 가면서 경력교사로써 갖추어야 할 지혜로움을 발견하게 되었다. 팀티칭을 하다보면 교육운영 및 교육관 등의 서로 다른 것을 맞추어 나가야 하는 갈등과 더불어 서로의 경력 차이, 부모 등과 같은 실제 보육 이외의 외부적 요인을 통한 갈등을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갈등은 서로간의 부딪침을 초래하기도 하거나, 부딪침 속에 서로 나누며 한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는 혼자만이 아닌 두 명의 교사로 이루어진 작은 조직으로써 팀티칭을 구성하므로 경력이 쌓이면서 알게 되는 일대일 인간관계에 있어 문제시 되는 상황과 어려움을 경력교사가 미리 예견하므로 자신이 먼저 마음을 열기 위해 먼저 말을 걸어주거나, 공유꺼리를 만들어 줌으로써 긴밀한 관계 유지와 더불어 부딪침을 줄여나가고 있었다. 또한 경력교사는 짝 교사와의 관계 유지를 위해 장점을 찾아내고 칭찬해주는 노하우를 더하여 서로간의 신뢰를 쌓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편안하고 질 높은 보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자신이 무시되거나 불공평한 상황에 놓여짐을 참고 사랑으로 감싸주려는 선배교사로써의 배려가 많아지고 있었다. 팀티칭의 경험을 통해 경력교사는 자신과 다른 입장인 짝 교사를 통해 오해의 소지를 갖게 되거나 자신의 입장의 난처함을 겪기도 한다. 이는 경력이 많은 교사라도 모든 면에 우수하고 뛰어나기는 어렵기에 일어날 수 있는 당연한 결과였다. 또한 보육활동 이외에도 개인적인 어려움이나 난관에 부딪칠 수 있다. 하지만 경력교사는 자신의 아량과 경험으로 상황을 극복해 나가고 상황을 좋은 쪽으로 이끌어 나가려는 선배교사로써의 면모를 발휘하고 있었다. 넷째, 팀티칭은 상대방 교사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고 있었다. 팀티칭은 저마다 다른 교사들과 짝을 지어 팀티칭을 운영하고 있다. 이 때, 짝을 이룬 교사를

      • 알코올중독 환자가족의 한국형 공동의존 척도 개발

        김효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e a new Korean Version of Co-dependence Scale based on preceding studies. A Co-dependence Test by Kitchens and Recovery Potential Survey by Whitfield are major measuring tools for co-dependence in a family of alcoholics, which had been validated by Hyo-Jung Kim and Hae-Sun Kwon in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iability of a new Korean Version of Co-dependence Scale and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nt validity, which was reconstructed from A Co-dependence Test and Recovery potential survey. Korean Version of Co-dependence Scale was administered to 36 subjects of family of alcoholics and 186 subjects of family of non-alcoholics. In the reliability test,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84-.69 in subscales. Factor analysis provided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Co-dependence Scale. Seve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cale, which were named 'Personal boundary difficulty', 'Loss of self control', 'Lost selfhood', 'Relationship difficulty', 'Low self-esteem', 'Over-responsibility', and 'Fear of rejection'. And cutting scores were 10, 13, 18, 15, 24, 17, 10 for each factor. We provided T score norms and use T score 65 as a cut-off point. The cutting score was 87 for New Korean Version of Co-dependence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