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려윤리의 도덕교육적 적용 : 중학교 도덕과를 중심으로

        우윤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길리건(Gilligan)과 나딩스(Noddings)의 배려윤리를 중학교 도덕교육에 적용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배려윤리와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고, 이를 배려윤리 모형, 봉사활동 학습, 협동 학습, 장애체험이라는 4가지 수업모형과 각각의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배려의 측면에서, 교사는 구체적으로 학생의 삶과 공유되고 포함되는 관계에 놓여있다. 도덕성의 근원은 인간 대 인간으로 만나는 구체적인 만남에 있다. 인간이 서로를 알고, 다른 사람이 느끼는 것을 함께 공유하고 열망하며,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동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관계성’속에 도덕성이 있다. 이러한 관계성 속에 관심과 유대감, 배려가 있다. 배려는 관심에서부터 시작되며, 지속적인 배려는 신뢰를 낳고, 그 신뢰를 한 인간을 성장하게 하는 힘이 된다. 한 인간을 성장하게 하는 힘의 기초에 배려가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nits related to the goal of ethics curriculum by applying Gilligan and Noddings’s care ethics to middle school ethics curriculum and suggest four instruction models called the care ethics, the volunteer activity learn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disabled experience as well as respective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care, teachers have a relationship that is concretely shared with and included in students’ life. The foundation of morality is situated in the specific human-to-human meeting. Morality exist in the ‘relationship’ where men can be affected and at the same time affects others by knowing each other, sharing, and aspiring like others feel. In the relationship, there is interest, fellowship, and care. Care is originated from care, constant care brings about trust, and the trust becomes a motivation to develop a man. A foundation of power for a man’s growth is care.

      • 만 5세 파랑반 교사의 '배려공동체' 이해와 실천에 관한 연구

        김지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만5세 파랑반 교실에서 이루어진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을 통해 나타난 유아와 교사의 교육적 의미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파랑반의 배려공동체를 위한 실천과정은 어떠한가? 2. 만 5세 파랑반의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천시에 소재한 Y유치원 만 5세 파랑반 학급의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기존에 이루어졌던 배려교육에 대해 분석하고 문헌 연구를 통해 배려공동체를 위한 배려교육의 프로그램들을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4월 6일부터 11월 14일까지이며, 배려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인식과 배려공동체 실천방법의 모색을 중점으로 두었다.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은 계획 – 실행 – 평가 – 계획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며 5차 실행까지 진행되었다. 1~5차 평가는 이야기 나누기 자료, 현장 관찰기록, 활동사진, 유아들의 활동 전사본, 유아 개인 또는 그룹 이야기 나누기, 연구자 반성적 저널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교육적 의미로 유아들은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을 통해 배려에 대해 긍정적으로 탐색하게 되었으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해하여 공감능력을 기르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실천의 중요성을 인지하였고 유아들은 배려행동을 실천하여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적용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켰다. 둘째,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육적 의미로 배려공동체 실천과정에서 유아와 교사는 협력관계로써 활동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가는 주체자로 보았다. 따라서 유아들에게 선택권을 주어 활동을 이끌어 갈 환경을 제공하고 대화를 통해 유아들의 의견을 수용함으로써 유아들은 보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교사는 배려행동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모델링이 유아들의 배려행동을 증진시킨다고 보았으며 배려공동체 실천에 있어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되돌아보기 과정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만5세 파랑반 교사의 배려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실천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배려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동체에서 배려를 실천하려고 노력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도 배려공동체에 대해 이해하며 배려공동체 형성을 위해 변화해 가는 과정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배려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위한 배려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나눔·배려 교육 지도 방법의 구안

        강혜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9 개정교육과정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 아래 지나친 암기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육성을 개정의 방향으로 삼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기존의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을 통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을 신설하였다. 이는 입시위주의 교육, 경쟁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학교 폭력, 왕따, 청소년 자살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나눔·배려 교육 지도 방안을 개발하여 아동이 나눔과 배려의 의미를 이해하고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기르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나눔 교육과 배려 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나눔·배려 교육의 의미를 분석하고 나눔·배려 교육의 7가지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자아존중, 법과 규칙, 타인배려, 공동체 의식, 차이와 차별, 환경보호, 사회적 연대의 7가지 나눔․배려 교육 내용요소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 내용과의 관련성 탐구를 통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나눔·배려 수업 전과 후 아동의 나눔·배려 의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관찰하고 수업 후의 학생 면담 결과와 소감문 작성 결과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 소재 초등학교 3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15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 및 나눔·배려 교육에서의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눔 교육과 배려 교육은 모두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존중하며 공동체의 이익을 위한 지식, 기능, 태도를 배우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목표가 일치했다. 또한 나눔·배려 교육 내용 요소가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와 활동 영역에 고루 분포 되어 있는 것을 통해 나눔·배려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과 외 활동으로써 창의적 체험활동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나눔·배려 교육은 기존의 지식 전달 위주의 교과 수업과는 다르게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 중심,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아동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배운 내용을 실제 생활에 적용해 보며 자신의 삶과 연관되고 이를 자신의 삶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 셋째, 나눔·배려 의식에 관한 질문 분석 결과와 아동 면담, 소감문 분석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나눔․배려 교육이 아동의 나눔·배려 의식 함양에 긍정적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나눔·배려 교육 지도 방안은 아동에게 적합한 수업 방법이며 나눔·배려 의식 함양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현장에서 편리하고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나눔·배려 교육 지도 자료를 개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인성 교육이 화두가 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으로 구성된 나눔·배려 교육 지도 방안은 현재 교과 위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나눔·배려 교육과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계속 이어져야 하겠다.

      • 배려윤리의 도덕과 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

        강경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배려의 도덕성을 함양함으로써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도덕적 실천 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그러한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는 도덕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배려윤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도덕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동안 우리의 도덕교육은 합리적인 판단과 추론 능력 등의 인지적 영역의 발달에 치우침으로써 아는 것이 실제 행동으로 잘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보여 왔다. 본 연구자는 그 원인을 도덕적 감정, 열정, 정서와 같은 정의(情意)적 영역의 도덕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도덕성을 높이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배려윤리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배려윤리가 정의적 영역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는 도덕성의 근원을 감정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원리보다는 구체적 상황에서 대화를 통해 상대와의 감정의 교감이 이루어졌을 때 도덕적 행동의 실천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 전반에 팽배한 이기주의, 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배려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의 원인을 콜버그(L. Kohlberg)의 인지적 도덕 발달론에 기초한 정의(正義)윤리 중심의 도덕교육에서 찾으면서, 인간간의 관계성, 책임감, 애착 등의 여성적 특성을 강조한 배려윤리를 통해서 문제 해결을 시도한 학자가 길리건(C. Gilligan)과 나딩스(N. Noddings)이다. 그들은 인간의 도덕성은 남성적 특성인 정의(正義)의 도덕성과 여성적 특성인 배려의 도덕성으로 나누어지며, 지금까지 경시되어온 배려의 도덕성을 남녀 모두에게 요청되는 윤리로 더욱 강조하였다. 길리건은 콜버그의 이론이 기존의 남성 위주의 도덕성으로 여성을 평가함으로써 여성을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잘못 평가하였다고 보았다. 나딩스는 관계성과 따뜻한 배려가 여성 윤리의 핵심이며, 특히 배려심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법과 다양한 주제들을 제시하고, 이러한 배려 관계를 인간관계 전반에 확대 적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도덕성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즉, 인지적·정의(情意)적·행동적 요소를 고루 갖춘 통합적 인격인을 기르는 것을 도덕교육의 목표로 함으로써 정의(正義)윤리와 배려윤리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합리적 추론능력의 발달뿐만 아니라, ‘배려의 유지와 강화’를 도덕교육의 목표로 내세운 나딩스의 주장처럼, 우리의 도덕과 교육에서도 배려의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 내용과 교수·학습을 통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한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의 내용을 배려윤리의 주제에 따라 재조직하여 적용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겠다. 아울러 배려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교사는 일상 속에서 배려하는 행동을 생활화하여 학생들의 모범이 되어야하며, 교과 수업에서도 학생들 간의 경쟁을 유도하기보다는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협력함으로써 학습과제를 성취할 수 있는 수업방법을 계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이 배려를 실천해볼 수 있는 체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배려하는 생활을 습관화하며, 그러한 활동을 통해 보람과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나딩스가 배려의 실천을 위한 방법으로써 특히 강조한 협동학습과 봉사활동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예시하였다. 배려를 강조하는 도덕교육은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보다는 정의(情意)적, 행동적 측면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한다. 따라서 배려의 도덕성을 평가한다는 것은 주로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도덕성을 평가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나딩스는 도덕성의 정의(情意)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는 또 다른 경쟁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보고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의 범교과 차원의 도덕교육과는 달리, 우리의 경우는 도덕이라는 특정 교과를 통해 운영하고 있으므로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情意)적 영역의 도덕성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도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수행평가가 유용할 것이다. 수행평가는 인지적 측면의 평가에 치우친 기존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며, 학습 활동 과정이 곧 평가의 대상이 됨으로써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평가 방법의 다양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도덕과에서의 평가는 학생들 간의 지나친 경쟁의식 조장으로 배려의 도덕성 함양이라는 본래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평가 방법에서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학습 결과물의 수준에 따라 차등 평가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도와 과제 수행의 성실성 등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배려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에서 도덕적 실천의 경향성을 높이기 위해 배려윤리를 강조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정의(正義)윤리를 소홀히 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혈연, 지연, 학연 등에 얽매여 합리적인 판단을 잘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보편적인 원리나 자율성을 중시하는 정의(正義)의 도덕성을 함양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도덕교육이 목표로 하는 도덕적으로 성숙한 인격인을 키우기 위해서는 두 도덕성을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로 인식하여 대등하게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 그럼으로써 합리적 판단 능력과 열정을 가진 행동하는 인격자를 키우는 도덕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배려 윤리의 도덕 교육적 접근 연구

        송세정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덕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도덕성을 계발하여 선한 사람을 육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도덕교육 이론은 콜버그(Lawrence Kohlberg, 1927-87)의 인지적 도덕발달이론 위주로 발전해 왔고, 도덕적으로 성숙한 인간의 기준도 정의의 도덕성을 함양하는 사람으로 규정되어져 왔다. 이러한 정의의 도덕성에 대한 반론이 길리간(Carol Gilligan)과 나딩스(Nel Noddings) 등의 페미니스트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는데, 이들이 주장하는 핵심은 정의의 도덕성이 관계와 책임, 배려와 반응 등의 여성적 관점을 도외시한 성적 편견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배려의 도덕성이 중시되는 도덕교육을 전개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배려윤리가 이 논문의 주된 논의 주제이다. 도덕교육에 있어서 도덕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도덕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도덕성을 어떻게 규징하냐의 문제야말로 도덕교육에 대한 핵심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다. 한 사람이 도덕적으로 성숙했다고 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도덕적 성숙의 기준은 과연 정의의 원리뿐인가? 길리간은 그동안 주도적인 영항력을 행사해 온 콜버그 중심의 인지적 도덕발달이론을 남성편견적인 반쪽의 도덕성 이론이라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배려의 도덕성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발달이론에 기초한 도덕교육은 합리적인 도덕적 추론능력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자기 권리를 주장하고 확보하는 데에는 능하지만, 도덕적 감성이 부족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데는 미숙한 사람을 낳게 되었다. 그 결과 현대사회는 극도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로 인간소외와 공동체의식의 와해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어떤 특정한 관계 속에 놓이게 된다. 이는 도덕교육이 자율성과 합리설에만 연관있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의 축이라 할 수 있는 공동성, 관계성, 책임성 둥도 역시 소중하게 여겨야 함을 일깨워주는 것이다. 길리간은 정의와 배려라는 두 목소리를 말함으로써 콜버그가 협소하게 정의한 도덕의 영역을 확대시켰 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확대된 도덕의 영역을 채택하도록 요구하고 있어 우리가 지향하는 도덕교육의 이상과 목표를 설정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길리간은 배려윤리를 발달시킬 수 있는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교육과정에서 역사와 문학과목을 수학이나 과학과목과 동등하게 가르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맥락적이고 내러티브적인 사고방식을 강조한다. 셋째, 관계형성을 강조하였다. 나딩스의 배려윤리가 우리의 도덕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다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교사의 역할로서 따뜻한 배려자의 증요성을 일깨워 준다. 교사는 학생과 모든 주제에서 개방적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하며, 도덕적 모범을 보여야 한다. 둘째,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실천 기회를 부여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려를 실천할 기회와 다양한 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함께 사는 일과 관련하여 배려하는 덕(caring)을 형성하는 것이 현대사회 도덕성 회복과 이기주의 병폐 극복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도덕교육에 큰 의의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 도덕교육은 자기자신을 존중하고 바로 세우는 일과 함께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타인의 입장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dominant theory of moral education has been the one held by L. Kohlberg (1927-87) with the emphasis on the intelligent moral development. An alternative theory to it has been recently proposed by some feminist scholars like C. Gilligan and N. Neddings, who argue that the morality of justice as held by Kohlberg and others are based on the gender-bias ignoring the feminine virtues of relationship, responsibility, care, and response. The present study dwells on the care ethics which is concerned with the caring for others. The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intelligent moral development tend to lay too much emphasis on the self-centered rational moral ability of inference, resulting in bringing up the morally immature people, not trained in caring others and lacking in moral sensitivity. Gilligan adds care to justice, thereby expanding the narrow definition of morality by Kohlberg. As a way of moral education for developing the care ethics, Gilligan suggests three points of emphasis : teaching history and literature on a par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in the curriculum, contextual and narrative way of thinking, relationship forming. Teachers are expected to play a role model of caring for the students and develop various methods of practising the care ethics.

      • 배려 윤리의 관점에 의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분석

        최유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당면한 여러 가지 도덕적 문제 상황을 극복하고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배려 윤리가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배려 윤리의 교육적 의미와 사회과 교육에서 배려 윤리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고 배려 교육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 및 해석하였다. 배려 윤리의 사회과 교육적 가치는 관계성, 책임감, 다양성, 공감으로 정리할 수 있다. 관계성은 자아가 독립된 개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연결된 관계적 자아임을 이해하고 배려 관계를 완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들에 대한 학습이다. 책임감은 어떠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상대방에 대해 진정으로 관심과 책임감을 느끼는 것으로 다양한 계층과 집단에 대해 책임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다양성은 상황의 독특성과 맥락성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다양한 개인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편견과 차별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필요성을 포함한다. 공감은 타인이 처한 상황을 비롯하여 상대방의 감정과 행동의 이유를 인지해내는 것 그리고 피배려자의 필요욕구에 전념하여 함께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느낌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배려 윤리의 사회과 교육적 가치를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고 2007과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내용 분석 및 해석하여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은 추구하는 인간상과 목표, 학년별 내용이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배려 윤리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배려 윤리적 요소를 반영하는데 있어 특정 영역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균형성을 지녀야 한다. 둘째, 폭넓은 관점의 관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상호의존의 대상과 목적을 물질적인 측면으로만 한정하지 말고 따뜻한 관심과 구성원의 화합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셋째, 권리와 이익 신장의 측면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할 수 있는 서술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성 존중에 기여해야 한다.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거나 피상적인 수준에 그치지 말고 진정으로 존중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서술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공감은 사회 문제를 자신의 일처럼 여기고 해결하는 원동력이므로 공감의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를 모두 고려한 내용이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가 개발 중인 관계로 3~4학년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이 완전히 이루어진다면 배려 교육의 변화와 추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가능할 것이며 배려 교육의 양상을 더욱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구체적인 현장 연구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통합교과에 적용한 배려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명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통합교과에 적용한 배려 프로그램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과에 적용한 배려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일반학생이 인식하는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공유활동, 친사회적 활동, 친밀감, 자존심 고양, 신의형성, 갈등 및 갈등해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통합교과에 적용한 배려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일반학생과 장애학생간의 관계에는 변화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K도 C시의 A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명과 이들이 속해있는 학급의 일반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과 통제집단 25명으로 편성하였다. 본 연구의 배려 프로그램은 이연수(2011)의 초등학생용 배려 프로그램과 김미정(2012)의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배려증진을 위해 개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2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구안하였다. 배려 프로그램은 통합교과 단위수업의 15~20분 정도로 이루어져 총 1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2013년 4월 넷째 주부터 9월 첫째 주까지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최원아와 이소현(2009)이 수정․보완한 ‘친구관계 질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13.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친구관계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정량적 실험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 회기별로 작성한 활동소감과 교사일지를 분석하여 실험집단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행동과 태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교과에 적용한 배려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친구관계의 하위영역인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애착과 자존심 고양, 신의 형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하위영역인 친밀감, 갈등 및 갈등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행동과 태도 변화에 대한 질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배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일반학생과 장애학생간의 친구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통합학급의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통합학급의 구성원 모두를 지원하는 배려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교과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일반교육현장에서도 운용하기 편리하게 구안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양한 장애유형과 특성을 지닌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장애학생의 행동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심층적인 평가도구의 개발과 다양한 교과교육과정과 연계된 배려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배려의 윤리에서 본 학교행정

        전영례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윤리적인 학교의 조성을 지향하는 관점에서 교육행정이 접하는 윤리적 시각을 논의해 본 후, 배려 윤리(Ethics of Care)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탐구하여, 그 장점과 한계를 알아보고, 배려의 윤리가 교육행정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교육행정에서 윤리의 위상을 이해하고자 할 때, 우리는 교육지도력과 관련된 윤리, 가치, 도덕의 다양한 개념을 생각한다. 교육행정에 대한 윤리학적 시각은 지침으로서의 윤리학과 신념으로서의 윤리학으로 이분된다. 지침으로서의 윤리는 철학 원리로서의 윤리, 법과 공공정책에 구현된 윤리, 결정에 대한 지침으로서의 윤리규범 등으로 제시된다. 신념으로서의 윤리는 목적, 역할, 그리고 제도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윤리, 정치로서의 윤리, 인간관계에 근거를 둔 윤리 등으로 제시된다. 배려는 부담을 갖는 정신적 상태로서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관심을 갖고 돌보는 것이다. 배려는 삶에서 얻어진 직관의 산물로서 일반 규칙에 의해서 실현될 수 없는 것이다. '도덕 이전의 선'인 배려는 특정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대상에 촛점을 맞추는 것이지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형식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배려의 윤리는 정의의 윤리와 대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정의의 도덕관이 설명하는 도덕성의 발달은 평등과 상호성의 논리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도덕 문제는 권리와 규칙만이 아니라 인간관계에서의 배려와 책임의 문제이기도 하다. 도덕적 사고는 책임과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의 변화와 직결되어 발달한다. 배려의 윤리에 깔린 논리는 인간관계에 내포된 인간 심리의 논리이며, 정의의 입장에 전제된 공정성이라는 형식적 논리와 대조된다. 두 입장은 각각 독립되고 상이한 원리를 지녔지만 서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정의의 판단이 요구하는 것은 한 가지 방안의 선택이며, 배려의 윤리가 요구하는 것은 통합적인 해결 방안이다. 여성과 좀더 관련성이 깊은 배려의 윤리는 도덕적 의사결정의 과정을 추상화의 과정으로 보지 않고 구체화의 과정으로 보고, 상호의존성을 중시하면서 삶의 본질을 연결의 관계에서 찾는다. 이러한 배려의 윤리는 주관에 빠지기 쉬운 단점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판단 원칙만을 고수하는 전통적 이론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정을 중시하는 한국 문화에 잘 흡수될 수 있을 것이다. 지도성에 관한 논의에서 흔히 언급되고 있듯이, 과업 중심 차원과 인화 중심 차원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지도자 유형이 바람직하지만, 상황에 따라 인화 중심 차원을 보다 강조하는 지도성 유형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학교행정가들은 조직원들의 성장, 발전, 성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것이 배려의 차원이다. 진정한 배려란 참여, 인내, 다른 사람들의 욕구와 욕망을 아는 것, 관용, 신뢰, 소망, 용기등과 관련된다. 배려하는 학교행정가는 조직원들의 복지, 성장, 그리고 발전을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일로 생각한다. 그리하여 윤리적 상황과 도전에 부딪치는 학교행정가는 공동의 선과 개인의 권리를 균형 있게 하려고 노력한다. 뿐만 아니라 정의 윤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진정한 배려는 각자의 감성과 이성적 단순화와 사회적 순수함에 의해 포착되어져 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교행정가들이 불확실한 윤리적 상황에 직면하여 풍부한 인간적 반응을 할 수 있다면, 우리는 윤리적인 학교를 지향하는 사고의 틀을 마련할 수 있다. 학교행정가는 배려의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신뢰와 정직성 그리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교사들과 더불어 탐색해야 한다. 또한 그의 학교의 문화적 분위기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배려의 윤리를 토착화시켜 윤리적인 학교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배려는 하나의 이상적 상태로서 완전한 성취는 불가능하지만 끊임없이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윤리적인 학교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균형잡힌 관점의 형성에 도움이 될 배려의 윤리를 기초적으로 탐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thesis, the ethical viewpoi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first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construction of an ethical school. And then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ethic of care are mainly sought. In doing so,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ethic of care are chiefly considered. Moreover, what an ethic of caring suggests to our present school administration is regard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thic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realize that we need to think about the various conceptions of ethics, values, and morals as they relate to educational leadership. Ethical viewpoi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divided into one of two general ways: ethics as principles, providing guidelines for decision making and problem solving and ethics as perspectives informing perceptions, characters, and beliefs. The first viewpoint is sought with regard to ethics as philosophical principles, ethics as embodied in laws and public polices, and codes of ethics as guides to decisions. The second is sought with respect to ethics as a way of understanding purposes, roles, and institutions, ethics as politics, and ethics grounded on a commitment to persons. To care is to be in a burdened mental state, one of anxiety, fear or solicitude about something or someone. It can not be realized by general rules without intuition derived from life itself. Caring, 'virtue before morality', should not remain in the state of rational and objective form but concentrate on the concrete objects in a specific situation. Feminine moral thinking develops in direct association with the changes of their understanding of responsi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s women's moral problems are composed of caring and responsibility instead of rights and rules, while masculine moral development explicated by the viewpoint of justice is related to the logic of equality and reciprocity. So the logical basis of an ethic of caring is that of human minds included by human relationship and differs from that of formal fairness supposed by an ethic of justice: Both of these considerations have independent and different principles but should be mutually supplemented. Moral judgement from an ethic of justice demands only one solution but that from an ethic of caring integrative solution. An ethic of caring, which is more related to the problems of women, regards the process of moral decision as that of concrete decision rather than that of abstract decision. In addition, mutual reciprocity is more highly regarded and the essence of life is sought in association with relationship. Caring can be one of alternatives to traditional viewpoint adhering to universal principles of judgement despite its somewhat great defects of subjectivity, so it can be accepted in Korean culture. The type of leaders who harmonize the task-centered dimension with the human-centered dimension is more highly recommended but in some given situations the type of leaders who emphasize the human -centered dimension much more effectively get the results. Competent administratorse help their organizational members grow, develop and become mature. Exactly these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as caring. True caring is related to participation, patience, being aware of the others' needs and desires, and a degree of tolerance, trust, hope and courage. School administrators who care think of people's well-being, growth and development as the most important in the organization. Thus, the administrators' hours full of ethical problems and challenges can be replaced by efforts of balancing common good with individual rights. Furthermore, ethical considerations not filled with an ethic of justice should be seized by respective emotions, rational simplification, and social purity derived from true caring. If abundant human response can be expressed with regard to uncertain ethical situation faced by school administrators through mixing these considerations, the fundamental foundation for ethical school can be provide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explor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rust, honesty and open communi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caring relationship. Moreover they can head for building ethical schools by attending to the cultural atmosphere of their schools through establishing an ethic of caring. Caring is an ideal rather than a state of being. So, we may not achieve an ethic of caring. We can merely pursue it. This study may have a meaning in helping to form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balanced a viewpoint about an educational school environment.

      • 忠恕之道의 배려윤리적 함의 연구 - 초등 도덕과에서의 덕교육 방안과 관련하여

        조은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윤리를 기초로 忠恕之道의 배려윤리적 함의를 파악하고, 이를 초등 도덕과 교육에 적용하여 ‘배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울러 동서양의 조화로운 덕교육과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덕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忠恕之道는 자기인식, 그리고 자기인식에 근거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배려라는 개인윤리와 사회공동체윤리의 통합적 개념으로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일맥상통한다. 나딩스의 배려윤리는 여성주의적 관점에 기초하고 있지만 남성과 여성, 두 도덕성의 변증법적 통합을 통해 도덕적인 인간을 길러내고자 한다. 그리고 추상적 원리, 정당화와 보편화를 거부하는 대신 도덕적 삶의 구체성, 상황성, 현실성, 실천성 등을 강조하며 도덕성의 원천을 감정으로 본다. 이러한 배려윤리와 忠恕之道는 관계중심·상황중심의 윤리이면서 자연적 심성 중심의 차등적 윤리성을 지니고 있으며, 실천 예시를 통한 실천 중심의 윤리라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忠恕之道는 행해지는 시점이나 관계에 있어서 배려윤리와의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이는 상대방의 요구 등과 상관없이 스스로 최선을 다하여 실천한다는 盡己로서의 忠의 의미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배려윤리와 忠恕之道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덕교육으로서의 배려윤리 교육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먼저,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는 기존의 하향식 덕목 접근이 아닌 구체적인 도덕 상황 중심의 상향식 덕목 접근을 통해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생활 사례를 활용하는 도덕교육으로 실제적인 도덕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셋째, 자연스러운 마음의 흐름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하게 하여 불필요한 죄책감 등의 불편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는 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넷째,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의 통합적 발달을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덕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배려’가 주요 가치·덕목으로 설정된 7개의 단원을 중심으로 忠恕之道가 함의하는 바를 교수·학습 방법 및 내용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② 5단원의 교수·학습안을 재구성해 실제 도덕과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배려윤리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忠恕之道의 적용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이 추구하고 있는 덕교육적 관점을 구현하는 것이자 교육 내용을 보다 풍부히 하는 보완적 의미를 지닌다. 도덕과의 배려윤리 교육에 忠恕之道의 내용을 적극 반영함으로써,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을 통합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진정한 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忠恕之道, 배려윤리, 덕교육, 실천윤리, 도덕교육

      • 저학년 초등학생의 배려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배려행동, 공감, 학교생활만족도 중심으로

        이인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저학년 초등학생의 배려증진 프로그램으로 배려증진, 공감,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배려증진 프로그램이 저학년 초등학생의 배려행동 향상과 공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제 적용해 보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 문제로는 첫째, 배려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배려행동 향상, 공감능력, 학교생활만족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배려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학교폭력 상황에서 피해자를 위한 방관자(주변인)의 배려행동의 도움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배려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공감하여 배려행동을 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변화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배려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배려행동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배려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무처치 공감능력이 향상 될 것이다. 셋째, 배려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향상될 것 이다. 넷째, 배려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성별간 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배려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배려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배려행동, 공감, 학교생활만족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으며, 배려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남과여 보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남과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은 경기도 S지역의 A학교의 2학급 7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Y지역의 B학교의 초등학교 3학년 2학급 62명을 대상으로 “무처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배려증진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고, 배려증진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일주일에 1번 40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사전-사후 독립표본 t검정으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배려증진 프로그램은 저학년 초등학생에게 배려, 공감,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저학년 초등학생에게 일회성의 교육이 아닌 고정적 수업시수, 역할극이나 감정이입하는 요소와 더불어 공감게임 등 활동적이고 참여적 프로그램방식이 배려행동과 공감에 대한 실천에서 학교생활에 관련해서도 작은 수치이지만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mote care and sympathy and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rough the care promotion program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 promotion program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 promotion program on the improved caring behavior, sympath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care promotion program had effect on the considerate behavior, empathy abi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secondly, whethe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improvement in the caring behavior of bystanders(surrounder) for victims in the school violence situation. Third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sympathized with school violence victims and showed considerate behavior. To this end,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First, A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will show improved considerate behavior tha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Second, A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will show improved empathic ability tha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hird, A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will show improved school satisfaction level the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Fourth, A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will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tha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by conducting the care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hypotheses listed above are as follows. Considerate behavior, empathy, and school satisfaction level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tha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care promotion program. Fro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72 students from 2 classes in A School in Gyeonggi-do, S district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 and 62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2 classes in B School in Gyeonggi-do, Y district were selected as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he care promo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constituted in reference to preceding research, and 6 sessions of the care promotion program will be conducted on the experiment group once a week for 40 minutes. Change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before-after independent sample t-test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conclude, it was verified that the care promo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sideration, sympath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of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is verified that active and participatory program methods as sympathy game as well as fixed hours of classes, role play, and factors that require empathy are more effective in considerate behavior and sympathy than the one-time education to the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Keywords: the low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re promotion program, empathic, school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