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김예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언어연수생들을 중도탈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원에 잔류시키고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통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어연수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중 교수와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시설 및 환경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직원과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행정서비스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K대학부설 국제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장미내(2016)의 교육서비스 품질 설문지와 하호정(2012)의 교육만족도 설문지를 토대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와 지면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즉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육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시설 및 환경이 좋을수록, 교직원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정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이 중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시설 및 환경’이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는 중국 국적의 학생들이 베트남 국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교수와의 관계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국적의 응답자가 베트남 국적의 응답자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연수생 응답자들의 한국어교육원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서 ‘한국인과 만나는 기회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언어연수생의 인식을 참고하여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어연수생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대학의 적극적이고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주요어: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the universit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ctions for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ff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Using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Chinese and Vietnamese language trainees attending K-university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Suwon, Gyeonggi-do,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ased on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by Jang Mi-nae (2016)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Ha Ho-jung (2012). The survey collected responses by conducting online and in-person surveys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educational servi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ating. That is higher quality of education, bet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staff, and higher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students of Chinese nationality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ompared to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In relation to teachers,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respondents. Groups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s perceived a lower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ose studying for graduate school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ird, respondents of Chinese nationality demonstrated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Fourth, expanding opportunities to meet Koreans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language trainees’ respondents. In recognition of the language trainees’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make concrete and practical efforts to mak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 earnestly and generously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Key Words: Language trainee,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Services

      • 경기도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제도와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김명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ppointing a teacher as a department manager is very important at the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group of manager teachers carry out a lot of principal decisions and have authorities and influences as a main field. As the role of a nursing teacher being expanded, the number of manager nursing teacher is increasing gradually. All the studies on the appointment of a manager teacher, however, are for general school teachers, not for a nursing teachers.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system for appointing school teachers and nursing teachers as a department manager, which is studi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education and the students’ health management . For the study, reference materials, survey, statistical data and depth interviews are used. 190 general teachers and 110 nursing teachers (total 300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5 days from August 25, 2018 to September 30, 2018.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about the cognition of manager nursing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The statistical data was about the status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clusion of the case on the appointment of manager nursing teacher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reference data of each school and depth interview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ystem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s started from 1970 by Education Dept., and it was devolved to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 in 1998. And now it is managed after being named the title and its official authority by school principals.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resents the qualification standard with affairs and human elements. But most of schools define the qualification as a teacher who has the first-level certificate and it has caused a structural inequality and restriction for nonsubject teachers. The appointment are proceeded by making a list by self-respect or recommendation, and appointing by the school principal. According to the survey, however, three quarters of manager teachers were appointed by the principal’s design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it is checked out that, for the criteria and procedure for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there are som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cognition for the manager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which was categorized by three area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14 answers among total 20 question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Especially, the appointment ratio between all woman-teachers versus manager nursing teachers in Kyunggi province was 20.4 : 1. Among 300 teachers distributed by the position, the rate gap of the manager teachers between the general teacher and the nursing teacher is 24.8 times. As a result of interviewing the nursing teachers who were a manager teacher, only four nursing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the school planning meeting, school steering committee, etc which are the organizations making main decisions on school affairs, had authorities to carry forward the business, and taken professional leadership with cooperation of the school managers and colleagues. This result shows that appointing the manager nursing teachers can make the health and business promotion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asier.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is is a useful case to enha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personal sense of accomplishmen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guarantee the reasonable position of the public educational staffs by innovating the realistic and effective personnel affairs. And the personnel policy of each school should be corrected the promotion system and performance-based bonus system for nonsubject teachers as instructed. And the authorities have to compensate the system and make a legal instrument to resolve the structural unfair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end, before fully implementing the 2015 revision school curriculum which will be started from March 2019,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led from ‘based on teacher’ to ‘based to learner’. I want to suggest that the affairs be set up : notifi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inuous studies for installing the Exclusive Health Care Department at school and granting qualification for the regular licensed teacher through the earlier law revision. Keyword : Health Education, Student Health Care, Nursing Teacher, Manager Teacher 초등학교에서 부장교사의 임명은 의사결정과정의 중요한 통로이며, 권한과 영향력 행사의 주요한 장(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보건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학교조직에서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연구 대상은 모두 일반교사이고,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보건교육과 학생건강관리의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부장교사 제도와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도구는 문헌자료와 설문조사, 통계자료,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초등학교 일반교사 190명과 보건교사 11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26일간,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통계자료는 경기도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임명실태 분석에 활용하였고,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사례는 단위학교의 문헌자료와 심층인터뷰 자료를 유목화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장교사 임명은 1970년 문교부령으로 시작되었고, 1998년 교육부의 권한이 각급 시․도 교육청으로 이양(移讓)되었다. 현재는 학교별로 학교장이 명칭과 권한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부장교사 임명기준을 직무와 인적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위학교는 1급 정교사로 규정하여 비교과 교사들의 부장교사 임명에 제한과 구조적 불평등이 초래되고 있다. 부장교사의 임명절차는 본인의 희망과 추천에 의한 명부작성을 거쳐 학교장이 최종 임명한다. 하지만 연구에 참여한 부장교사 경험이 있는 보건교사들의 경우는 4명 중 1명은 본인 희망, 3명은 학교장 지명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부장교사 임명기준과 절차는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구조적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3개 영역으로 범주화(範疇化)된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 총 20문항 중 14문항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기도 전체 여자교사 대(對)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비율은 20.4배, 연구 대상자 300명의 직위별 분포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의 부장 임명비율은 24.8배 차이가 있었다. 보건교사 중 부장교사 임명 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심층인터뷰한 결과는 학교 내 의사결정 기관인 기획회의와 학교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업무추진에 대한 결정 권한을 부여받고, 지원적인 관리자와 협조적인 동료들 속에서 전문가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보건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증진활동과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용이하고, 교사효능감 증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획득하는 등 학교의 인적자원관리에 유용한 사례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실효성 있는 인사제도 혁신을 통해 교육공무원의 직무수행에 합당한 지위를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지침에 따라 단위학교의 인사내규를 정정(正定)하는 등 비교과 교사에 대한 승진체계와 성과급제도 등에서 구조적 불공평함과 신분적 차별 해소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우리나라는 2019년 3월을 기점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전면시행을 앞두고 있는 바, ‘교사중심 교육’으로부터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이동하고 성취기준을 통해 구체화되는 보건교육의 연계성을 확보해야한다. 이에 ‘초등보건교육과정’의 고시, 정교사 자격과 표시과목의 부여, 조속한 법(法) 개정을 통한 보건교사의 직무 정립, 단위학교의 보건전담 부서 설치를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의 배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교육청을 중심으로

        전제만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9663

        Legitimacy for educational investmen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educational expenditure has increased in modern society. The meaning of increase for educational budget has been losing on account of the weight of budget hardened, in case of Korea, although the weight of educational budget has been augmented in government budget. It is the task of educational finance that gropes for the allocation method to maximize expenditure effect of cost in future. Because irrational allocation of educational finance leads to wastage. It's why rational and efficient allocation is very important that it is a previous condition of security and a scheme.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allocation criteria and methods of educational finance, to reveal problems of educational finance allocation with reference to the Kyungki Do office of Education for the subject of study, to propose improvement schemes in the level of nor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dentifing the meaning, ends, scopes and methods of the study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inology. 2. To review the significances of educational finance allocation, to examine the allocation criteria and methods concerning the efficiency, the equility and the equity. 3. To analyze the allocation state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with reference to the Kyungki Do office of Education in according to Do, Si·Gun·Gu, the school of the each class, in result, to show up many problems because of irrational allocation: the lack of absolute scale for educational finance, low finance independence, the deficiency of operational expense, the unit of standardized allocation by school and class, the heavy burden for education expenses per student, the problem of teacher participation. 4. To summary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the analysis conclusion, to consider improvement schemes in the level of norm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finance allocation.

      •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환경 개선방안 연구 : 고용허가제를 중심으로

        김성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체류 외국인 가운데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들어온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다. 국내 중소기업 등에서 단순노동의 일을 하고 있는 이주노동자(E-9)의 한국어 교육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학습 환경은 어떠한가? 둘째,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환경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위 두 가지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이 2017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의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비교적 최근 연구된 선행연구 5편의 연구내용에서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한국어교육 실태 내용을 참조하는 등의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알게 된 주요 내용으로 우리나라의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상에 나타나는 이민정책의 근간은 단순노동 이주노동자를 사회통합 대상에서 배제하고 있어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제대로 된 한국어 교육정책이 수립되기 어려운 상태라는 점과 현재의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환경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특히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고용허가제의 한국어 능력시험은 제도취지에 맞게 평가방식의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필기시험으로만 치러지는 현행 평가방식을 듣기 말하기 위주의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면 이주노동자들이 현지 국가에서 학습하는 한국어교육의 형태를 변화시킬 것이다. 이는 이주노동자들이 EPS-TOPIK을 합격하고 국내에 입국하였음에도 언어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러 이유 중에 송출국 현지에서 진행되는 한국어 학습하는 방식에도 원인이 있다. 현지에서는 평가에 대비하여 단지 문제은행식의 문제풀이를 하며 암기하는 형태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지 학습방식을 듣고 말하기의 언어 소통능력을 강화하는 한국어 학습방식으로 변화하게 하는 것은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국내 입국 후 국내기관의 한국어교실 수업과의 연계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이와 같은 EPS-TOPIK제도 운영 변화와 별도로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환경도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 현재의 우리나라의 이민정책은 단순노동 이주노동자를 관리 또는 배제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등 국제노동이주 추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1990년 UN이 채택한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에 따라 보호해야 할 이주노동자들의 생활기본권도 단순 최저임금 문제에서 나아가 이주노동자들의 언어능력 향상을 통해 직장생활 및 여가생활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질적인 생활기본권을 보장하는 형태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우리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기 때문이며 이주노동자를 포함한 다양한 외국인이 국내에서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사회통합기반을 조성해야 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세계적 추세인 이주노동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국민의 다문화감수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언어교육이 사회통합을 위한 기본이 되고 있음을 선진 국가들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입국한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환경 개선은 사회통합 대상으로서의 인식개선과 그들이 처한 학습여건과 학습자의 특성 이해를 근간으로 해야 한다. 즉, 근무시간을 감안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운용시간을 이주노동자가 참여 가능하도록 시간대를 확장한다거나 도시지역 외에서 근무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해당국가의 언어로 번역된 교재개발 등의 정책적 지원이 수반되는 교육환경의 개선을 의미한다. 주요어: 이주노동자, 고용허가제, 한국어 교육환경, EPS-TOPIK This study is about migrant workers who have come in korea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for migrant workers (E-9) who are working as simple labor job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is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for migrant workers who entered Korea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Second, what are the measures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for migrant workers who entered Korea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order to bring to light and clarify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referred to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annual "Residence of Immigrants and Employment Survey" since 2017. and along with results from the five previous recent thesis. This study has conducted in a literature research way though originally planned as quantitative research. The main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at migrant worker policy, which appears in Korea's basic foreigner policy plan, is excluding simple-working migrant workers from the target of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 proper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igrant workers. But It need to be improved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for migrant workers. Currentl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igrant workers is not almost exist. And In terms of system, The system of EPS-TOPIK(Employment Permit System-Test Of Proficiency In Korea) needs to be operated mo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ystem. Currently evaluation method is conducted only on written tests. It have to change the evaluation method that evaluate actual communication skills focu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The changed evaluation method will change the wa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migrant workers learn in local countries. Due to the way migrant workers learn Korean in the country of origin,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language communication even after passing EPS-TOPIK and entering Korea.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ate in preparation for only evaluation, has conducted in the form of memorizing and solving Tests so-called‘question banks.’ This is also one of the many reasons why migrants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others using korean. To change a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is strengthens that the language communication ability of speaking and listening, will help improve migrant work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it will also help to connect with Korean language classes at domestic institutions after entering Korea. Apart from such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EPS-TOPIK system, Urgently It is need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Currently korea immigration policy are different from the trend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with simple labor jobs migrant workers being managed or excluded from social integration policy. Under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adopted by the UN in 1990, the basic living rights of migrant workers should be changed from simple minimum wage issues to a form that guarantees practical basic living rights. Because our society has already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t is aligned itself with the need to create a foundation for social integration in which various foreigners, including migrant workers, can live harmoniously together in Korea.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eople's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part of efforts to change the public's negative perception of migrant workers without going against the global trend of migrant labor. We have known It can be seen from the cases of other advanced countries that language education is becoming the basis for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to conclude,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i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as a target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s. It means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extending the hours of operation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s so that migrant workers can participate after work and developing more textbooks in multiple languages so that migrant workers outside urban areas can do self-directed learning. Key words: Migrant worker, Employment Permit System,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EPS-TOPIK.

      • 세계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아시아 국가의 문화 다양성과 이미지 분석 :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김정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7차 교육과정 이후 세계지리 교과서는 주제 중심의 계통적 방법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따라서 주제와 관련되어 제시되는 사진 자료의 내용이 해당 국가를 이해하는 데 있어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그동안 선행연구들은 세계지리 교과서가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아시아 국가들의 제시 빈도와 사진 자료의 문화 다양성과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두었다. 첫째, 교과서의 사진과 탐구활동에 제시된 아시아 국가의 빈도를 분석하여 국가별 편중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뱅크스(Banks)가 제시한 다양성의 변수를 이용하여 사진의 문화 다양성과 이미지를 분석한다. 셋째, 위의 내용을 토대로 향후 개정될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집필에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 문제로 다음의 세 가지를 선정했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자료 및 탐구활동에서 아시아 국가별 비중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아시아 국가별로 제시된 사진 중 왜곡되어 나타나는 것은 없는가? 셋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아시아 국가의 사진들은 문화적 다양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국명 빈도 분석 대상 국가는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를 기준으로 아시아의 16개국을 선정했으며, 사진 자료의 다양성 분석 국가는 사진 제시 빈도를 기준으로 아시아의 10개국을 선정했다.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진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Banks가 제시한 다양성의 변수들을 활용한 분석틀을 만들었다. 다양성 변수 5가지는 성, 종교, 민족 정체성, 인종 집단, 언어이며, 지리과목의 특성을 감안해 경관을 새로운 요소로 추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와 관련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경기도 용인시의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자료의 다양성 분석 틀을 이용한 조사를 실시한 후 그 내용을 결과에 반영하였다. 세계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아시아 국가의 문화 다양성과 이미지를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진 등장 빈도는 다른 대륙의 국가들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경제력이 높은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자료 제시 빈도가 인도, 중국, 일본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 두 가지 결과는 조효원(2000), 김아영(2010), 노태진(2014)의 연구와도 일치해 새로운 교과서도 기존 교과서의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시아 국가의 사진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따라 특정 국가들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진들이 제시되었다. 학생들이 해당 국가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자료의 보완이 요구된다. 넷째, 중국, 인도, 일본을 제외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사진은 제시 빈도가 낮아 문화 다양성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문화의 다양성을 담고 있는 아시아 국가의 자료들이 추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아시아 국가 중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의 빈도가 높은 10개 국가에 대한 문화 다양성 및 이미지 분석 결과 및 개선 방안을 국가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인도의 경우 종교와 민족의 정체성 면에서 힌두교와 관련된 사진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종교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진들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사진들이 한족 문화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55개의 소수민족을 고려했을 때 소수민족의 다양한 문화를 보여주는 사진이 보완되어야 한다. 일본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재해와 관련된 부정적 영향의 사진들이 많아 이에 대한 수정이 요구된다. 인도네시아는 종교, 언어, 인종집단에 있어 다양성을 갖고 있는 나라이지만 교과서는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베트남은 54개의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지만, 국가내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줄 수 있는 사진이 적어 자료의 보완이 필요하다. 태국은 종교와 관련된 사진은 한 장이 제시되었지만 불교 국가인 태국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몽골의 사진들은 남성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으며, 몽골인들의 주거형태를 다양하게 담고 있지 못했다. 필리핀,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은 우리나라와 상호 작용이 활발한 아시아 국가들이지만 사진이나 국명 등장 빈도수가 적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 진행은 아시아 국가들에 의해 주도 되고 있으며, 최근 이들 국가와의 상호 교류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세계지리 교과서는 아시아 국가에 대한 자료들을 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Since 7th education course, the content of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was consisted focusing on the subject in a systematic way. Hence, the contents of the picture that are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subject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ountries. Also, previous studies points out that the world geography textbooks did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Asian countries Thereby, the study i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Asian countries that have been shown in the world of geography textbook cultural diversity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and the images from the point of view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urpose of study is as follow. First,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Asian countries that have been presented in the photos of the textbooks and the quest activities, it is to check if the countries are biased or not and analyz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t. Secondly, the study analyzes the diversity and images of photographs of culture by using a variety of variables that Banks presented. Third, based on the above contents, the study proposed improvements to the education course and textbook writing which has to be revised in the future. As the problem of the study related this, three issues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how much percentage do the Asian countries have in the presented photos of the textbooks and the quest activities? Second, is there any photographs of Asian countries that are distorted?. Third, from the 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view, do the pictures of Asian countries reflect the cultural diversity? The target countries of country frequency analysis are 16 countries of Asia based on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stay in South Korea and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according to the countries, 10 Asia count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photo presen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photos of Asian countries from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int of view,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leverages the diversity of variables that Banks presented .is made. ​​There are 5 diversity variables. They are sex, religion, ethnic identity, ethnic groups, and languag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courses, the landscape element was added as a new element. Also,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associated with this study, survey has carried out targeting 20 students attending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Yongin Gyeongg, using a variety of analytical framework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and the results of changes were reflected. The major findings and the suggestion of the analysis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and images of Asian countries shown in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photo frequency of the Asian countries were high compared to the countries of other continents, the textbook’s content consistence has been carried out in the countries that has high economic power. Secondly, the frequency of presented materials about Asian countries was concentrated in India, China and Japan. These two results are consistent with studies of Jo, Hyowon ( 2000 ), Kim, Ayoung ( 2010 ), No, Tejin ( 2014 ).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new textbooks ha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extbooks. . Third,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 of Asia, according textbooks, the photos that are giving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articular countries were shown. Student data backup is required in order to recognize the countries correctly, Fourth, photos of Asia countries excluding China, India and Japan have a low frequency presentation. So the sufficient diversity of culture was not able to be shown. The contents of Asian countries which have the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added. Among Asian countries, 10 countries that have high frequency of photos in the textbook were analyz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image of 10 countries. The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 according to each countries. In the case of India, most of the photos were associated with Hinduism in terms of religion and ethnic identity. Therefore, the photos that can show religious diversity should be complemented. China photo has been presented focusing on the culture of the Han Chinese. Considering the 55 ethnic minorities, photographs should be backed up that can show the diverse cultures of the ethnic minorities. There are many photos that can affect negatively about Japan as there are more photos of disaster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s should be corrected. Indonesia is the country that has diverse religion, language, and race but the textbooks were not able to reflect that diversity adequately. Vietnam is a multi- nation of 54 races but the pictures which can show cultural diversity are rare. Therefore, complement of the material is required. Although the photo of Thailand that is related to religion has been presented one, it shows the Thai figure well as a Buddhist country. Mongolia photos are presented centering on men and it was not showing the variety the dwelling of Mongolian people. . Although Philippines, Cambodia and Uzbekistan are the nation of Asia that has active interaction with South Korea, the photos and country appearance frequency is low. . Progres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has led by Asian countrie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se countries is increasing rapidly recently. According to these conditions, World geography textbooks will be able to provide sufficient data for the Asian countries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 중국 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문연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요즘 중국에서 일고 있는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어가 점차 각광을 받으면서 한국어 배우기에 관심을 갖고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 과정에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안고 있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살펴볼 때 영어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어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고, 또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문법이나 단어 중심의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외국어 교육에서 제일 중요하고 최우선이 되어야 할 발음 교육에 대해서는 소홀히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 제일 먼저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할 부분인 한국어의 발음 교육에 대해 과제를 삼기로 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한국어 발음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발음 교수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중국어에 없는 한국어 음소의 변별적 특성을 학습자들에게 교수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한국어 발음 능력을 배양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를 분류한 다음 분류별로 대조 비교해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찾아낸다. 그리고 그 차이점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음상 자주 범하는 오류를 예로 제시하고 오류들의 원인을 찾아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을 도모하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 의하면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음에서 /ㅡ/ 와 /ㅓ/ 의 구별을 잘 하지 못하였고 자음에서 경음/ㄲ, ㄸ, ㅃ, ㅆ, ㅉ 발음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한국어의 음절 발음에서는 중국어 음절 규칙의 영향을 받아 받침 /ㄱ, ㅇ, ㄹ/ 발음에 오류들이 발생하였다. 그밖에 한국어 음운 규칙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음절 발음상에도 오류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의 모음, 자음, 받침 그리고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한국어 음운 규칙을 연음, 동화, 경음, 격음, 음의 첨가 등으로 나누어서 효과적인 발음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여기에서는 중국어 음소체계에서 오는 간섭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차이를 제시하였고, 또 음운 규칙에서는 충분한 예를 들어 제시함으로 중국어에서 오는 간섭현상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방법을 다루었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일조(一助)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바우하우스가 한국의 미술대학 디자인과의 교육제도에 끼친 영향

        정연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ideals and its contents that appears in the modern art advocated by school of Bauhaus. And to revaluate its achievement and influenced so that this thesis many utilize the ideals of Bauhaus to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and point the way to a unique and creative design education. Also try to find a way to reexamine the educational spirit of Bauhaus and to correctly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related to industrial production, and to effectively begin a basic education. Bauhaus was a unique art movement that had a great influenced on the arts, culture, and society of the twentieth century. This design school's, which tried to achieve an advanc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a new formative art style, ultimate object was to connect the architecture and sculpture and painting into a unified form-that is centered on architecture. Bauhaus educated architects, painters, and sculptors of every level depending on their ability so that they may become capable craftsmen and independent, creative artists who should lead the art community of the future. The influence of the work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Bauhaus influence up to the day. The sixties way a time when industrialization brought a new movement actively found a systematic design education in seventies which exists to present time. The school of Bauhaus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design educational system of our century but was accepted when its effects was spreading globally. This design education i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as a result a basic and practical course was started. Also though a training course(training room), to practice in the school and to train outstanding artist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was the contribution of Bauhaus. But if we scrutinize the present situation in Korea, the design education is not original but on imitation or accommodation of foreign culture as a result we could not construct a unique Korean design style. Therefore an education goal and direction which is more clear and original and a specialized course should develop in colleges of art. Simultaneousl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ocial facilities must share its role in rearing designers. For example, a widely adopted system by companies is a "trainee course(intern)", providing on opportunity to college students so that they may experience the many fields of industry before graduation. As the Bauhaus ideology was not perfect art first but succeeded through trial and error and modifications, the design society of Korea should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transform.

      • 工高 附設 職業敎育課程의 運營에 關한 硏究 : 京畿道 地域을 中心으로

        이병열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related with the courses of entrusted vocational education established as an annex to the technical high school. Several recommendations of administrating the course are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and the mail questionnaire. Especially, the mail questionnaire has prepared for investigating educational conditions of the course, and for analyzing the opinion of the teachers concerned, The data collection was limited within the related high school in Kyonggi-do area. By analyzing results from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some suggestions has been proposed to the current system of entrusted vocational education as follows : 1. Change of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for the student who already hav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 2. Setting up an exchange program of students between the technical high school and the general high school ; 3. The dormitory for the students who's from rural area ; 4. Providing suitable textbooks and recruiting excellent instructors from industries who have many field experiences ; 5. Budget expansion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 6. Establishing the new curriculum to meet the various demands of students. Finally, a few related methods and area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경기도 지역 가톨릭 유치원의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전계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와 부모의 인식·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한 미래지향적인 부모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부모교육의 효율성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가톨릭유치원 중 교사 158명과 학부모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실시 횟수현황을 보면 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을 6개월에 2회 정도 학부모는 6개월에 1회 정도의 요구를 나타냈다. 이는 교사가 학부모보다 교육현장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또한 가정과의 연계성 있는 교육을 지향하여 유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환경적 요구조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 정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시간적 여유 부족으로 부모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이 주된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의 필요성은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는 유치원과 가정의 연계 교육을 위해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학부모는 올바른 자녀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교육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부모역할과 양육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학부모는 자녀에게 자신감을 키워주는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참여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참여활동 중 교통안전 및 귀가지도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학부모는 안전, 위생 영양에 대한 모니터에 대한 요구도 높았다. 본 연구결과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서 지금까지 유치원에서 실시하여 온 부모교육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부모들이 부모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부모에게 가장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교육하고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정보제공자, 협력자, 환경제공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 같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m, and their relevant needs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futuristic parent-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ose institutions to bolster the efficiency of parent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2. What are the view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parent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3.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parent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8 teachers and 180 parents in Catholic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were obtained. In addition, t-test was utilized.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frequency of parent education, the teachers preferred that education to be offered about twice for a semester, and the parents wanted to receive that education approximately once during a semester. It seemed because the teachers felt the more desperate need for parent education than the parents, and another reason seemed that given the exis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t's needed to provide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families to improve preschool education. Second, as to the involvement of the parents in parent education, both the teachers and parents singled out time constraints as the major cause to deter the parents from taking that education. Third, as for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both groups found it necessary for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to conduct parent education. The teachers consented to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in order to have kindergartens and families join forces in offering successful education, while the parents were in favor of it to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 right way. Fourth, regarding what should be taught, the teachers placed the most emphasis on parent roles and child rearing, whereas the parents gave the most weight to the way of instilling confidence in children. Fifth,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parent-involved activities, both groups believed that parents should take part in teaching young children about traffic safety and returning home. The parents wanted to check on their children's safety, hygiene and nutrition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n order to construct parent- education programs intended for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xisting parent education should be evaluated first of all. Besides, kindergartens should serve as an information provider, collaborator and environmental constructor by grasping the way parents look at parent education, by selecting ideal themes for them, and by preparing successful parent education programs.

      •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 반영된 미술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김은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 문화와 산업이 발달하면서 미술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대중들의 욕구는 무척 커졌다. 아울러 다양한 매체와 미디어의 발달은 감상 교육에 대한 관심을 증대 시켰고, 더욱이 ‘시각문화’라고 하는 대중미술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의 등장으로 감상 교육은 그 영역이 더욱 다양해지고 확대 되었다. 1945년 교육과정이 처음 발표된 이래 미술 감상은 꾸준히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왔지만, 그럼에도 미술교육은 ‘표현하기’에 많은 비중을 두고 이루어졌다. 1981년 인간 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정된 제 4차 교육과정부터 서서히 주목하기 시작했던 ‘미술 감상’은 제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시각문화’의 개념을 받아들여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전의 표현 위주의 미술 교육에서 벗어나 표현은 물론 미적 체험과 감상에 대한 균형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시각문화는 종래의 순수미술을 포함, 디자인, 광고나 영화 등 미디어와 매체로 표현되는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미술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고, 고도의 발달을 거듭하고 있는 사회전반이 미디어와 매체를 다양하게 활용하면서 그것들을 학습하고 올바르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었다. 이에 제 7차 교육과정과 개정안에서는 시각문화를 포함한, 미술작품과 미술문화를 감상하고 미술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적 수용을 바탕으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21세기를 이끄는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해 감상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감상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감상 교육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과 개정안의 감상 교육에 관해 살펴보고, 현행 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분석해 봄으로써 그 의도한 바에 적합한 감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연구해 보고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을 바탕으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과서를 비교 분석함에 있어서 현행 교과서를 모두 다루지 못했다는 점과 실제 현장의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가져 이에 대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미술 교과서의 감상 영역이 보다 긍정적으로 개선되어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양질의 감상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