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문법과 국문법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영어교육방안 연구

        박가희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문법 학습의 여러 변인들(variable)중 국어 문법을 활용하여 영어 문법 학습에 효율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영어과와 국어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을 알아보고, 각 과목의 교과서에서 유사하지만 다른, 그리고 완전히 같지는 않은 문법 내용이 어떤 교수-학습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본다. 그리고 영어 학습에 있어 국어의 Influence에 관한 인식을 설문지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다.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국어의 influence를 인정하고 이를 영어 학습에 자원으로 활용한 영어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학습자들은 모국어에 지속적으로 자연스럽게 노출되기에 무의식적으로 모국어 문법 지식을 내재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재화된 모국어를 바탕으로 제2언어를 학습하기 때문에 모국어와 제2언어가 가지고 있는 차이점으로 인한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이 점 때문에 제1언어는 제2언어 학습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최선의 언어학적 지식일 수 있다. 이는 언어 사이에 일어나는 간섭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두 언어 사이에는 간섭이 실제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2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모국어에 대한 자신의 언어적 지식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는 대조 분석 가설을 바탕으로 국어 학습과 영어 학습에는 서로 영향력이 있음을 인정하되, 부정적인 전이(negative-interference transfer)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 학습에 L1이 긍정적인 전이(positive-facilitating transfer)를 일으킬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학습함에 있어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내용을 들여다보고, 융합적 교육 관점에서 교육 활동 및 내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교육 현장에서 장기적인 시간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후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실험 연구가 부족한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내용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본 후 효과를 확인해보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n effective instructional model to assist learners acquire English grammar relying on their knowledge of L1 Korean grammar. To achieve the goal, grammar items included in the English and Korean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identified. It wa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grammar items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ammar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189 high school students to gauge their perceptions of the influence of Korean language, which is their L1, on their learning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Based on both the analysis of grammar in the two languages and the survey results, this thesis propose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that utilizes grammar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o teach corresponding items in English grammar. Learners unconsciously internalize their L1 grammar knowledge as they are constantly exposed to their native language. Because learners acquire a second language based on the embedded L1 knowledge, transfer is likely to occur in the L2 learning process.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two languages, L1 can serve as a good source of linguistic knowledge in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process. Specifically, learners will benefit from their L1 linguistic resources in their L2 learning endeavors.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and contrasts relevant textbooks in L1 and L2, looks into their grammar content, and presents instructional activities from a convergent education perspective. It is, however, limited in that the study represents a proposal rather than an experimental study in which the proposal h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at the class level.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be carried out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proposal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 학습자 오개념 분석을 통한 음운 교육 연구

        김다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동일한 대상이라도 이에 대한 개개인의 해석은 저마다 다르다. 그것은 대상을 바라보는 사람의 선이해 혹은 인지 구조에 따라 다르게 동화되기 때문이다. 문법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또한 마찬가지이다. 지식의 형성에 대한 인식론적 이론인 구성주의가 학습의 영역에서 보다 구체화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문법교육에서는 문법 개념을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가에 논의를 집중해 왔을 뿐 학습자가 실제로 문법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더욱이 문법 개념이 학습자 내부에서 활성화된 지식으로서 기능할 것인가 아니면 작용이 부재한 상태로 존재할 것인가는 그 개념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이 어떠한가에 달려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학습자가 문법 개념을 다양한 사태에서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음운 관련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한 학습자가 학습한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법 개념의 발달을 위한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특히 음운 교육의 경우 학습자들이 과학적 개념에 대한 명시적인 학습 이전에 일상에서의 발음 및 표기 경험을 통해 이미 풍부한 자발적 개념을 축적하고 있는 한편 학습자가 느끼는 인지적 부담이 큰 영역이라는 점에서 분석의 의의를 지닌다. 우선 Ⅱ장에서는 문법 개념이 언어 현상에 대한 인식의 틀이자 나아가 자기 언어 운용의 도구로 기능함을 밝혔다. 그리고 과학적 개념에 상대되는 주관적 개념인 오개념을 ‘합의된 개념에 대한 대안적 개념’으로 바라봄으로써 문법교육이 설명력이 더 큰 이해로 나아가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주로 과학 교과에서 활발히 논의되어 오던 오개념을 문법교육으로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를 처치해야할 대상으로만 간주하였던 점을 지적하였는데 중간언어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이를 ‘잠재성을 지닌 과도기적 개념’으로 재개념화한다면 학습자의 개념 발달에 있어 유의미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개념이 학습자의 친숙한 사고방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학습자의 현 인지적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는 계기로서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운 교육 내용에 대한 오개념의 양상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음운 관련 개념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측정 및 예비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오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 특징적인 응답을 보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학습자 오개념의 양상은 개념별 및 상·중·하 집단별로 분석하였다. 우선 개념별 분석에서는 음운, 반모음, 이중모음,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군 단순화, 구개음화, 사잇소리 현상에 대한 학습자 오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상·중·하 집단 간 정답률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던 개념과 집단별로 오류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난 개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각 집단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오개념을 밝혔다. 분석한 낱낱의 오개념들은 ‘표기형에 근거한 개념 추론’, ‘개념의 발견 수준에서의 오류’, ‘적용 및 비적용 사례 변별의 부족’으로 일반화 및 범주화하여 다른 영역의 개념과 구분되는 음운 관련 오개념의 내용적 속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오개념을 유발하는 학습자 내적 요인으로는 음운 관련 개념들을 소리의 범주가 아니라 표기의 범주에 위치시키는 개념의 범주화 오류, 경험에 의존한 개념화, 개념 체계에 대한 이해 결여, 개념의 과도한 일반화와 같은 인지적 특성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학습자 외적 요인은 개념의 내적 정합성과 관련된 문제, 교사의 오개념, 자발적 개념에 대한 고려 부족이나 개념 형성 맥락의 소거, 개념의 적용 조건에 대한 설명 미비 등과 같은 교과서 표상 차원에서의 논의로 정리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음운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오개념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 경험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문법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였다. 오개념에 근거하여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거나, 오인의 과정을 메타적으로 점검하고, 잠정적 합의체라고 할 수 있는 학교문법의 개념과 학습자 개념의 설명력을 견주는 과정 등과 같이 학습자의 오개념을 발판으로 하는 문법 탐구 학습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개념 발달을 위해서는 결국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이 더 높은 단계로 도약하여야 하는바 본고에서 발견한 오개념 형성의 내적 요인에 대한 처방으로 개념의 범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경험을 대상화하여 경험과 사고를 구분하며, 개념 형성의 맥락을 복원을 통해 개념의 속성과 체계를 이해하는 학습 내용을 설계하고 실례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문법교육적 맥락에서 다루어지기 시작한 학습자 오개념을 발달적 관점에서 재개념화하고 그 양상과 형성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운 관련 학습자 오개념을 밝히는 것에서 나아가 이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구인 분석과 측정 연구 : 교과서의 텍스트 판단을 중심으로

        신희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고는 언어교육에서 논의되어 온 실제성(authenticity)의 개념을 종합하여 살피고 문법교육적 관점을 바탕으로 실제성의 구인을 추출한 후, 문법 교과서에서의 측정 준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법교육에서의 실제성은 그 실현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실제성을 여러 주요 원리의 하나로 언급할 뿐 문법교육적 관점에서 그 개념 자체에 천착한 종합적인 연구가 없었다. 둘째, 실제성의 실현에 있어 구체적인 구인이나 준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실제적 텍스트를 활용할 것을 촉구하면서도 실제적 텍스트를 판단할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구체적 실현을 어렵게 하였다. 실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준거가 마련될 때 비로소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실제성을 의사소통 기능 향상만을 위한 개념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활용은 도입한다면 의사소통 기능뿐 아니라 지식 교육에 있어 학습자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문법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이 전부가 아니라는 점에서 명확히 지적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먼저 실제성 논의의 변천을 살폈다. 실제성은 실제적 텍스트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 텍스트뿐 아니라 학습자 활동이나 교실 환경 등의 실제성을 논의하는 방향으로 작용 차원을 확장해 왔다. 또한 언어교육의 측면에서 실제적 텍스트를 근간으로 한 실제성이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도움을 주고 학습자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해 왔다. 다음으로 문법교육에서의 실제성 담론을 살핌으로써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진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간 논의되었던 실제성의 구인을 문법교육적 관점에서 추출했고 다시 문법 교과서에서 이러한 구인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준거를 마련하였다. 그간 실제적 텍스트의 기준으로 어느 하나만 고려되었던 실재성과 전형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적 텍스트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텍스트 실제성과 관련한 구인으로 다양성과 의사소통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실제성 역시 고려하기 위하여 맥락성과 상호작용성을 구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중 실재성과 전형성의 경우, 교과서가 언어 자료의 출처를 명확히 표시하지 않고 있으며, 언어 자료의 전형적 자질에 대해 충분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본고의 측정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다. 나머지 다양성, 의사소통성, 맥락성, 상호작용성에 한해 <독서와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측정의 실제를 예시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의 개선 방향을 간략하게나마 도출할 수 있었다. 문법 교과서에서 실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재 텍스트이든 가상 텍스트이든 학습자가 해당 텍스트의 의사소통적 목적을 헤아릴 수 있는 텍스트를 선택해야 한다. 둘째, 보다 다양한 텍스트가 제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단어 단위의 언어 자료 비율을 낮추고 문장 단위 이상의 언어 자료 비율을 높여야 한다. 셋째, 학습 활동에서 학습자들이 일상적 경험과 상황 및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가 교과서에 주어진 텍스트를 그대로 이해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텍스트를 직접 찾아오거나 또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벗어나 직접 텍스트를 생산해 보는 활동이 장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수록하는 텍스트의 출처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핵심어: 실제성, 실제적 텍스트, 텍스트 실제성, 학습자 실제성, 문법교육, 문법 교과서, 실제성 작용 차원, 실제성 구인, 실제성 측정 준거

      • 국어 문법교육의 실태와 효율적인 교육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김진효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Grammar education has longer been provided than any other academic education, but that has waned primarily because it's not easy to teach and learn about it. Grammar instruction is likely to be merely teacher-centered and monotonous, and there is a criticism that it doesn'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y of learner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weight of grammar education has increasingly been lowered. There might be different things on which the success or failure of grammar education hinges, but the most ultimate and decisive standard seems whether learners enjoy grammar learning and whether grammar education enables them to make a verbal growth. According to the standard, many learners don't have successful experiences in grammar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act state of grammar education in an effort to keep track of every trial and error in the sector of grammar education.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7th national and revised grammar curriculum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ystems of the two curriculums. In a practical perspective, the situations of current grammar education and problems with it were checked to seek a feasible solution. And then the state of grammar education, which was one of the unique phenomena of grammar education, was investigated to grasp how learners learned about grammar, how they felt about that and how they evaluated it.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an inquiry into learners who were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grammar education. As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grammar education is learners, what problems learners are confronted with in grammar class and in which way more efficient grammar education could be actualized was discussed in terms of instructors, system,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learners. After the state of grammar education was grasped in detail, the materials on the experiences of learners who took a negative attitude toward grammar education due to their related experienc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materials about the experiences of learners, since it's needed to find out what deteriorated the efficiency of grammar education and to spread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grammar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was designed to get a grip on the disposition of the learners about grammar education and their awareness of it. That dealt with four different categories and 17 items to grasp the state of grammar education. The four categories included 'learning belief and motivation,' 'awareness of what to learn,'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p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every sophomore, junior and senior in S high school in the city of Incheon, which numbered 212. The focus of the survey was especially placed on examining what problems they faced in grammar class and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to remedy the situation. Grammar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more meaningful for learners than for teachers. If that isn't meaningful for learners, that is not significant any more even though teachers view it as meaningful. Teachers should focus on 'what learners learn' rather than 'what to teach' all the time, and they should respect every learner within the realm of possibility. Even the best instruction couldn't work properly if it doesn't suit the interest or learning capability of learners. Therefore what to learn in grammar class and how to teach should carefull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 and needs of learners.

      • ‘-더-’의 화용적 특성과 결합형태의 한국어 교육방법 연구

        최기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 된 선어말어미 ‘-더-’의 기본 기능과 결합 형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더-’의 화용적 특징을 반영한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더-’결합형태의 문법 교육방법을 밝히는데 있다.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더-’관련 문법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더-’는 화자가 특정시점으로 이동하려는 담화표지임을 밝힌다. 지금까지 ‘-더-’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연구의 결과는 ‘-더-’ 자체가 가진 의미와 기능이라기보다는 ‘-더-’와 결합된 형태소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맥락에 따라 결정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공통된 ‘-더-’의 의미와 기능을 찾는 것은 어려우나 선어말어미 ‘-더-’가 화자가 특정시점으로 이동하여 진술하려는 태도는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었다. 둘째, ‘-더-’는 화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담화표지이므로 화자가 발화시에 ‘-더-’의 화용적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 주로 나타난다. ‘-더-’가 사용이 되는 문장들이 담고 있는 정보는 ‘-더-’를 사용하지 않은 형태소로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더-’는 ‘-더-’를 사용하지 않은 대응문장과 비교할 때 화용적 기능을 추가로 담고 있는 담화표지이다. 셋째, ‘-더-’ 결합 형태소에 대한 문법적 난이도를 제시하였다. 선어말어미 ‘-더-’는 혼자 사용이 불가능한 선어말어미이기 때문에 반드시 어근, 어미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며 선택에 따라 다른 선어말어미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선어말어미 ‘-더-’ 결합 형태소를 어말어미와 시제 선어말어미의 관계로 밝히고 결합하는 양상에 따라 구분하여 난이도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상의 문법적 특징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관련 문법교육의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시사점은 성격, 목표, 교육 내용, 학습 방법 및 유의점, 평가 항목으로 나누어 밝혔다. 또한,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교재의 ‘-더-’관련 문법항목을 분석하여 ‘-더-’관련 문법 교육과정에 부족한 부분을 논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thod of grammar education that reflects the fragmatics of '-더-' and the method of teaching grammar in the form of '-더-' composition. First of all, based on previous research, grammatical features related to '-더-'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더-' reveals that the talker is trying to move to a specific point in time. Until now, many researches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더-' have been conducted, bu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no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더-' but the function and context of the morpheme combined with '-더-'. There is a characteristic determined b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mmon '-더-', but the attitude that the ending word '-더-' tries to state as the speaker moves to a certain point can be found in common. Second, since '-더-' is a discourse cover that the speaker can selectively use, it appears mainly when the speaker wants to use the '-더-' pragmatic function when speak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entences used with '-더-' can be expressed in morphemes without using '-더-'. In addition, ‘-더-’ is a discourse cover that contains additional fragmatics functions when compared with corresponding sentences that do not use ‘-더-’. Third, the grammatical difficulty of ‘-더-’ binding morpheme is presented. '-더-' is a ending that cannot be used alone, so i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stem and ending. 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word ending '-더-' morphem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ending and the tense word en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main implications of '-더-' grammar education were derived. The implications were divided into personality, goals, educational contents, learning methods and precautions, and evaluation items. In addition, based on these implications, we will discuss the grammar curriculum related to '-더-' by analyzing the grammar items related to '-더-' in Korean textbooks.

      • 문법 교육에서의 교수 · 학습 요인 분석 연구 : 탐구학습을 중심으로

        유종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premise that Inquiry study is necessary for effective grammar- education. For the inquiry study based on students's inquiring activity. This study distributed teaching·learning factors in grammar education into three classes, teacher, stud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ntent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gnition of inquiry study as students's knowledge of grammar, self-efficacy in study. Students's knowledge of grammar has important meaning as a background of inquiry study. The group that has high level on grammatical knowledge has a tendency to cognize a Inquiry Study positively. And they believe that they know the method and notion of inquiry study well.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s self-efficacy in study correlates with cognition of inquiry stud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eacher's cognition of inquiry study as teacher's self-efficacy in grammar, self-efficacy in teaching. The group that has high level on self-efficacy in grammar has a tendency to use inquiry study plenty. And they believe effects of inquiry study. This study proposed inquiry study as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students can study grammar more easily and they have interesting in exploring grammar with a inquiry study. The factors of grammar education(teacher, stud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ntents) doesn't exist independently. Bu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문법 교육이 맞고 있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탐구학습은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던 것과 달리 문법 교육 현장에서 탐구학습은 쉽게 자리 잡지 못하고 문법 교육의 위기 상황 역시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의도대로 학습자의 문법 탐구가 문법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탐구학습의 교수·학습 요인을 학습자, 교사,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의 세 가지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학습자 요인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문법 지식, 학습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탐구학습 인식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문법 지식은 문법 탐구의 배경 지식으로서 의미가 있다. 문법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자가 탐구학습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탐구학습의 뜻과 방법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다고 믿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 효능감은 '효과적인 학습 방법에 대한 효능감‘, ’독자적 학습 능력에 대한 효능감‘, ’적극적인 학습 활동 참여에 대한 효능감‘, ’학습 목표 도달에 대한 긍정적 신념‘의 4가지를 제시하였고 각각의 학습 효능감과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 정도와 참여 의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 요인으로 교사의 일반적인 문법 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문법 효능감, 교사의 일반적 교수 효능감을 살펴보았다. 문법 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교사들이 탐구학습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탐구학습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교사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탐구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탐구학습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요인의 경우 탐구학습을 교수·학습 내용으로 제시한 후 학습자의 탐구 능력과 문법 능력을 고려하여 완성형 탐구학습 방법을 제시한 학습자들은 탐구학습에 대해 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하고, 탐구학습을 통해 문법 지식을 발견하는 과정에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문법 교육의 교수·학습 요인으로 제시한 학습자, 교사, 내용 및 방법의 세 가지 요인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세 요인은 서로 긴밀한 연관 관계를 맺으며 존재한다.

      • 문법 탐구에서의 문제발견 교육 연구

        김슬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What human beings need are ability to think spontaneously. For those spontaneous thinking, it is the most helpful to objectify language that they use by looking and studying based on that look. Preceding grammar education had been through many changes to focus on its goal as ‘self-thinking’ of leaners, so there are no questions against the goal. However, learners are not possible to raise self-thinking strength due to the education that focuses on solving problems with suggested methods. Instead of defining the ‘self-thinking’ ability as an ability to solve suggested problems, it is more appropriate to define that it is an ability to find or create problems by learners-sel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problem finding education is the most necessary for learners to have the self-thinking ability. For that, the Chapter II considered about reality and problem of current inquiry learning by analyzing national level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level educational curriculum. Inquiry learning from educational curriculum was not systematic and only focus on problem solving without problem finding. Therefore, it seemed to have limit of not designed well to match the goal of inquiry. Based on above critical minds, this paper considers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roblem finding in grammar inquiry to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ue on direction of grammar inquiry with problem finding. Problem findings in grammar inquiry has meaning to raise problem solving ability that emphasized in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raising creativity and advanced thinking ability that emphasized in recent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seemed to contribute on developing inquiry attitude and increasing concentration on assignments by making independent and spontaneous inquiry of learners possible. Based on that, the Chapter III studied learners’ inquiry process and types of problem finding by analyzing actual learners’ problem finding aspects qualitatively. Number of learners were total 10 people. Learners’ scholastic achievement on Korean language was set as a standard to classify high level 3 people, middle level 4 people and low level 3 people. The reason to differ level of research subjects is to get many types of problem finding in grammar inquiry. From the result of inducing learners to conduct problem findings grammar inquiry, detected problems by learners are classified into total 9 types of problem finding by purposes of finding problems, methods to find problems and required direction of thinking in detected problems. First, learners’ purpose of problem finding are classified into recognition, application and systematization. Second, methods that used to find problems by learners divided into intuition, experience and knowledge. Third, detected problems by learners divided into convergence, dispersion and evaluation with direction of thinking. From the results that learners’ problem finding in grammar inquiry data i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in statistic,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problem solving for recognition in purpose variables, problem solving with knowledge in method variables, and converging problem finding in direction of thinking variables were far more created than other variables. This means that learners who didn't get problem solving education for grammar inquiry have very low level of problem finding and its distribution are not variety enough. Therefore, the Chapter IV suggested educational procedures to improve learners’ problem finding ability in grammar inquiry based on theoretical base of analyzed learners’ data and grammar inquiry from the Chapter III. Also some of applic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explained with examples in actual field based on the procedures,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nducted. 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dures was reviewed. This paper is meaningful for pointing out limitation of existing grammar inquiry researches that focus on problem solving education and expanded the field of grammar inquiry towards problem finding education, also finding problem procedures were observed in detail and its types were divided with various perspectives by researching through actual learners’ problem finding cases.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고를 하게 하는 데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를 객관화하여 다시 바라보고, 이를 토대로 탐구해 보는 과정이 가장 도움이 된다. 그간의 문법교육은 그 목표를 학습자의 ‘스스로 사고’에 초점을 두기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고, 이제 이런 목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논자는 없다. 그러나 여전히 주어진 문제를 주어진 방법으로 해결해 가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는 탓에 학습자들은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지는 못하고 있다.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이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라기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거나 생성해 낼 수 있는 능력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문제발견 교육이라는 견지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학습 층위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현 탐구학습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교육과정상의 탐구학습 교육은 체계적이지 못했으며, 문제발견을 제외한 문제해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문법 탐구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설계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문법 탐구에서의 문제발견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여 문제발견 학습이 문법 탐구의 방향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문법 탐구에서의 문제발견은 기존의 교육과정이 강조하였던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력과 고등 사고력의 신장까지 아울러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하여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탐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과제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탐구적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실제 학습자들의 문제발견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문제발견과 관련된 학습자들의 탐구 과정과 문제발견 유형을 살폈다. 학습자는 총 10명으로, 국어과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상위권 3명, 중위권 4명, 하위권 3명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수준을 달리하여 연구 대상자를 선정한 것은 가급적 다양한 문법 탐구의 문제발견 유형을 추출하기 위함이었다. 학습자들에게 문법 탐구의 문제발견을 하도록 유도한 결과, 학습자들이 발견한 문제들은 크게 문제를 발견한 목적에 따라, 문제를 발견하는 데 활용된 방법에 따라, 그리고 그 발견된 문제가 요구하는 사고의 방향에 따라 총 9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첫째, 학습자들이 문제발견을 하는 목적은 재인, 적용, 체계화로 나누어 범주화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이 문제발견을 할 때 활용하는 방법은 직관, 경험, 지식으로 나뉘었다. 셋째, 학습자들이 발견한 문제들이 사고의 방향에 따라 수렴, 확산, 평가로 나뉘었다. 학습자들의 문법 탐구의 문제발견 자료들을 양적·질적으로 통계 분석한 결과, 목적 변인에 있어서는 재인을 위한 문제발견이, 방법 변인에 있어서는 지식을 활용한 문제발견이, 사고의 방향 변인에 있어서는 수렴적 문제발견이 다른 유형들에 비해 월등히 많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법 탐구의 문제발견 교육을 받지 않은 학습자들의 문제발견 수준이 매우 낮고 그 분포가 다양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학습자 자료와 문법 탐구의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학습자들의 문법 탐구에서의 문제발견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한 교육적 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절차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 뒤, 실제 교수·학습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고는 문제해결 교육에만 초점을 맞추던 그간의 문법 탐구 연구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문제발견 교육까지 문법 탐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 실제 학습자의 문제발견 사례를 통해 연구함으로써 문제발견의 과정을 보다 면밀하게 관찰하고 그 유형을 다각도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문법 영역의 교육 내용 구성 양상과 재구성 방안 : ‘음운’을 중심으로 : Focused on ‘Phoneme’

        김지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논문은 현행 문법 교육의 내용 중 음운 단원의 교육 내용 구성 양상을 살펴보고 재구성의 대안을 마련한 것으로, 문법 교육의 내용은 학문 문법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되 문법 교육의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재구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현행 문법 교육 내용을 살펴본 결과 현재의 문법 교육 내용은 기존의 관습대로 학문 문법의 연구성과를 그대로 답습하여 문법 지식을 단순 요약하고 나열하여 제시하고 있었고, 지식의 활용 역시 강조하고는 있으나 표면적이거나 병렬적이어서 실제로는 재구성되었다고 하기 어려웠다. 이에 먼저 문법 교육의 관점과 목표를 정리하고 문법 교육 내용 재구성의 기준을 세 가지로 제시한다. ①정확한 지식 전달을 위해 학문 문법 내용을 참조하되 교육적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정선되어야 한다. ②실제 국어 생활 가운데 문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③탐구학습을 통해 고등 사고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④한국어의 특질과 관련하여 국어 문화의 발전과 계승에 이바지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어서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기존의 2개의 내용 체계를 유기성을 근거로 3개로 확장시키고, 각 내용 체계별로 탐구식 절차를 활용하여 음운 교육 내용의 대안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는 현행 문법 교육 중 음운 단원의 내용이 학문 문법의 내용을 어떻게 구성하였는가를 검토하고 재구성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음운 분야뿐만 아니라 ‘단어’나 ‘문장’의 다른 분야 또한 ‘문법 교육’이라는 목표와 기준에 맞추어 재구성될 때 이 연구는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the Unit of ‘Phoneme’ of the contents of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and prepared an alternative for reorganization, and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are based on academic grammar, but a process of reorganization is necessary for the pursuit of the value of a grammar education. However,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actual current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repeated the research results of academic grammar as they were, according to the existing convention and simply presented the summary and list of grammatical knowledge. However, it emphasized the advantage of the knowledge, too, but it was superficial or parallel, it was judged that it was not actually reorganized. Thus, first, this study summarizes the perspectives and goals of grammar education and presents three criteria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1. For the correct delivery of knowledge, it should refer to the contents of academic grammar, but the content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the direction that can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 2. It should be organized with the contents that can promote the ability to solve grammatical problems in the actual life using Korean. 3. It sh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promote higher order thinking through learning. 4.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t should be organized with the content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Korean language culture. Next, based on these criteria, this study expanded the existing two systems of contents to three systems based on organic character, and for each system of contents, this study prepared an alternative for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phoneme,’ using inquiring procedur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reviewed how the Unit of ‘Phoneme’ in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organized the contents of academic grammar and proposed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m. When other sections of ‘word’ or ‘sentence’ in addition to the section of ‘phoneme’ are reorganized for the goal and standard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would have a true significance.

      •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강여순 부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research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teacher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carrying out curriculums, and presents the ways for teachers to plan the curriculums directly in the educational filed, and shows the cases of the teacher level curriculum planning. Chapter 1 revealed the research purpos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Chapter 2 present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In order to have learner-oriented classe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directly plan the curriculums. Planning of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reveals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in class and teachers’ expertise in subjects, and is helpful to improving classes. Chapter 3 and Chapter 4 presented the factors and procedur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urse of planning the teacher level curriculums based o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s. Of the 6 domai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is limited to grammar education of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planning four time classe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and kinds of investigations.’ Th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are objective,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ssence and role of gramma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grammar education show that the objective of grammar education is ‘acquisition of grammar knowledge,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using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attitude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syntagmatically in correlation with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ity, appropriateness, minuteness, and affiliation, and the appropriate amount of contents should be dealt with in detail, and should be taught repeatedly and deeply by school grad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reorganized and applied syntagmatically by teachers through integrating models, techniques, and learning form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classes. In this thesis, expository teaching methods and exploratory teaching methods were reorganized and applied and the confirmatory teaching methods which this researcher devised were reorganized and applied. The evalu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plan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include diagnostic evaluation, formative evaluation, summative evaluation,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The procedures of planning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ar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paration, analysis, and composition. In the stage of prepa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re identified, the objective is set, the contents are selected,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selected and annual classes and evaluations are planned. In the stage of analys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be used in classes are analyzed and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re analyzed. In the stage of composition, there are activities such as preparing the big unit class plan and the small unit teaching-learning courses plan, reorganizing teaching materials, and preparing evaluation questions. In Chapter 5, the effectiveness of planning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was tested. The results of planning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presented by this thesis and of conducting classes accordingly were analyzed. The effectiveness an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learners who were tested in this research showed satisfaction with the grammar clas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plan, participated earnestly in class, took great interest in grammar class, and responded that it was helpful to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of performance enhancement was highest when the achievement evaluation was conducted by applying expository teaching method in the group of middle rank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grades in the groups of upper rank and lower rank students according to applying those three teaching methods and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the scholastic aptitude test-type of 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reorgan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result in similar academic achievement grades.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s to which the expository teaching method and the exploratory teaching method were applied responded that assorted learning was good, and the group to which exploratory teaching method was applied responded that the learning was interesting. The group to which confirmatory teaching method was applied responded that classes were useful and their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grammar class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learning by this metho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 suggested. First, it is suggested that, based o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s, teachers should plan and instruct the teacher level curriculums directly for their own classes in the educational field. Seco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such as the expository teaching method and the exploratory teaching method are effective when the teachers reorganize them appropriately and apply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learning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Third, the confirmatory teaching method which was first devised and applied in this research for grammar education derived significant results from the learners, so it is suggested that the confirmatory teaching method be generalized and used as a grammar teaching-learning method model. Fourth, in order to help the learners’ self-initiative learning of grammar and the teachers’ grammar class, production and diffusion of new types of teaching materials for grammar are needed. It is suggested that new types of grammar textbooks be produced by school grade and composed in regulatory forms. Fifth, in order to vitalize the teacher level grammar curriculum planning, education on the teachers regarding the curriculums and grammar education is needed. 이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사들이 현장에서 직접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교사 수준 교육과정 설계의 사례를 보인 연구이다. 1장에서 연구 목적과 선행 연구, 연구 방법 등에 대하여 밝혔다. 2장에서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의 개념과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위해서는 교사가 직접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의 설계는 수업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과 교사의 교과 전문성을 드러내며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된다. 3장과 4장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교사 수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절차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국어 교육의 6영역 중에서 문법 교육에 한정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4차시의 수업 설계를 제시하였다.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고려할 요소는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이다. 문법 교육의 본질과 역할,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를 분석해 보면 문법 교육의 목표는 ‘문법 지식의 습득, 국어 사용 기능의 신장, 국어 관련 태도의 형성’이다. 문법 교육 내용은 실제성, 적정성, 상세성, 계열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방법과의 상관성 속에서 통합적으로 선정되어야 하고, 적정한 분량의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어야 하며 학교 급별로 심화 반복하여 지도해야 한다. 교수-학습 방법은 모형, 기법, 학습 형태를 통합하여 학습자와 수업의 특성에 맞게 교사가 통합적으로 재구성하여 적용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설명식 교수법과 탐구 학습법을 재구성하여 적용하였고, 연구자가 새로 구안한 확인 학습법을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고려해야 할 평가로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수행평가가 있다.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의 절차는 준비, 분석, 구성의 3단계로 구분된다. 준비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선정하며,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여 연간 수업 및 평가 계획을 세운다. 분석 단계에서는 수업에 사용할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교수-학습 내용을 분석한다. 구성 단계에서는 대단원 수업 계획, 소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교재 재구성, 평가 문항 제작 등의 활동을 한다. 5장에서는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수업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실효성과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검증 대상 학습자들은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의 설계에 의해 진행된 문법 수업에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였는데, 수업에 진지하게 참여하였고 문법 수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국어 공부에 도움이 되었다고 반응하였다. 양적 분석의 결과, 성적 향상도는 중위 집단에서 설명식 교수법을 적용하여 성취도 평가를 한 경우에 가장 높게 나왔다. 나머지 상위 집단, 하위 집단에서는 세 교수법의 적용에 따른 성적 차이가 없었고, 수능형 평가에서도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재구성한 교수-학습 방법의 결과 성적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질적 분석의 결과, 설명식 교수법과 탐구 학습법 적용 집단에서는 모둠 학습이 좋았다는 반응이 높았고, 탐구 학습법 적용 집단에서는 학습이 흥미로웠다고 반응하였다. 확인 학습법 적용 집단에서는 수업이 유익했다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왔고 이 학습을 통해 문법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반응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앞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위해 교사 수준 교육과정을 직접 설계하여 지도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문법 교육에서 설명식 교수법과 탐구 학습법 등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흥미와 특성, 학습 목표와 교육 내용 등을 고려하여 교사가 적절히 재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에서 처음 구안하여 적용한 문법 교육을 위한 확인 학습법은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므로, 확인 학습법을 문법 교수-학습 모형의 하나로 일반화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문법 학습과 교사의 문법 수업을 돕기 위해서는 새로운 유형의 문법 교재 제작과 보급이 필요하다. 새로운 유형의 문법 교재는 학교 급별로 제작하고, 제재형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문법 교육에 관한 교사 대상 연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