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양광 시스템을 이용한 외기전담시스템(DOAS) 기반 초고층 공동주택 중앙 집중식 환기시스템 설계 프로세스 및 모델 개발

        김진효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우리나라 대도시를 중심으로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이 도시 주거문화를 선도하는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서 기술적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 중 하나는 외피의 기밀화로 부족해진 환기량을 보충하고 현행 환기량 기준이 규정한 필요환기량을 에너지 절약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각 세대마다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문제이다. 또한, 정부의 친환경 녹색 에너지 기술 개발 보급 및 확대 정책에 따라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태양열 및 태양광이용기술은 거물 분야에 있어 실용화가 두드러진 신재생에너지원으로써 과거에 비해 많은 활용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원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중앙 공급 식 외기전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1) 전열교환 개별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 거주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개별 환기장치 운전에 대한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2) 개별환 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앙 공급 식 외기전담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해 에너지 소비량을 검토하였다. 3) 태양광 시스템의 적용을 위해 수평면 전일사량 산정 및 PV array 면적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4) 제안된 프로세스와 모델을 토대로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 할 수 있는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고층 공동주택 내 환기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중앙 공급 식 외기전담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절감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태양광 시스템의 타당성 검토 및 적 용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Over the last decade, high-rise apartment building and multipurpose building has become representative of Korean residential building and has become tighter and better insulated. With this development, the energy consumption owing to ventilation can became much greater than that caused by the heat transfer through the building shell. Decentralized energy recovery ventilator and air-conditioning and system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 in Korea. However, the operation of a typical decentralized air-conditioning system is not well understood. In addition renewable energy systems and policy are rapidly increased by the government. The use of solar thermal and photovoltaic technology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as a prominent than in the past, a lot is expected to leverage technology. Thus, in this study using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is proposed. First, it is found that current occupants and problems of heat recovery ventilator operation in high-rise buildings are investigated. Second, dedicated outdoor air system-ceiling radiant cooling panel system can reduce the cooling coil load over 21% annually compared with the current energy recover ventilator-packaged air conditioner pair. Third, it is to develop a photovoltaic array area estimation model applicable to energy independent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design. The predicated PV array area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real case.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problem of high-rise apartment house to improve ventilation in the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is predicated to have energy saving,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solar system to contribute to improving is considered.

      •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지구단위경관계획 기법 개발

        김진효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andscape planning method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landscape units for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in Gyeonggi-do and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greatest significance was given to the search.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units for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there were a total of nine landscape unit types (large category), a total of 26 landscape unit types (middle category), and 59 detailed landscape unit types (small category). In the case of distribution by landscape unit type, the paddy field (FA) and field cropland (FB) types were biased to the right of the study area, and the surrounding forests (GB01) we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ite. Next,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units for Sindong District, there were a total of 9 landscape unit types (large category), 24 landscape unit types (middle category), and 56 landscape unit types (small category). Looking at the distribution status of each landscape unit type, the enclosed small forest (G)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south and southeast of the study site. In particular, both study sites showed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of natural type landscape units such as paddy field (FA), field (FB), and natural forest (EA), while ecologically high wetland (DA01) and swamp (DB01) ) Was analyzed to be low. 2)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in terms of biotop conservation and species applied with BVAT, 13 types of landscape units, such as broad-leaved mixed forest (EA02), were evaluated in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59 landscape units (1a, 1b) with special meaning for species and biotop conservation were analyzed, and 53 landscape units (2a, 2b, 2c) with significance for species and biotop conserv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of the Sindong district, a total of 12 grades, including I, were natural vegetation-rich rivers (BA01).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30 landscape units (1a, 1b) with special significance for species and biotop conservation were analyzed, and 60 landscape units (2a, 2b, 2c) with significance for species and biotop conserv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area ratio corresponding to class I becaus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indong district. 3)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in terms of recreation and natural experience applying BVAT, 15 types of landscape units, such as artificial streams (BB01), rich in vegetation were analyzed for the type of landscape units rated as I in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56 landscape units (1a, 1b) with special meanings for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s were found, and 59 landscape units (2a, 2b, 2c) with meanings for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of the Sindong district, the types of detailed landscape units rated as class II were analyzed with a total of eight, including vegetation-rich natural ditch and silgaecheon (BA02).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30 landscape units (1a, 1b) with special meanings for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67 landscape units (2a, 2b, 2c) with meanings for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there were a total of four landscape unit types, such as giant trees (GC01), showing differences in the primary evaluation results. 4)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in the visual aspect of applying BVAT, a total of 12 landscape unit types rated as Grade I in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including forest-type agricultural reservoirs (CA01).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a total of 67 landscape units (1a, 1b) with a special meaning in the visual aspect and 46 landscape units (2a, 2b, 2c) with a meaning in the visual aspect were analyzed. In the Sindong district, 12 types of landscape units evaluated as Grade I were analyzed, including broad-leaved mixed forest (EA02).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39 landscape unit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visual aspect and 56 landscape units (2a, 2b, 2c) with meaning in the visual aspect were fou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Shindong district was evaluated to have better visual quality than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in most secondary evaluations. 5) The landscape plan consists of setting improvement targets and detailed implement plans in all three aspects. First, in the case of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32 conservation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setting improvement goals. As a result of the detailed implement plan, 23 natural reserv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setting improvement goals in the Sindong district, a total of 12 conservation areas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detailed implement plan analysis, 10 natural reserv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detailed implement pla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installing ecological pathways due to different site conditions. 6) As a result of setting improvement goals for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in terms of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 a total of 48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 preservation areas and 20 recreation and nature experience supplement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setting improvement goals for the Sindong district, a total of 18 development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detailed implement plan, a total of 21 recreation and natural experience conservation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tailed implement plan results, it was reasonable to create a dynamic activity type in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and a static recreation type and a natural ecology experience type in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7) As a result of setting the improvement goals of the Gwangmyeong Siheung District in the visual aspect, 38 conservation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tailed implement plan, a total of 20 general light management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setting improvement goals in the Sindong district, 18 conservation area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ailed imple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5 regions that needed visually good hill maintenance and managemen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detailed implement plan, especially in the Sindong distric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mall surrounded forests is low, and preservation measures are needed. 8)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district unit landscape plan,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this study sets the plan contents in the multifunctional aspect of the landscape. It was found that the central plan was to improve the landscape from a visual perspective. Second, in terms of the approach of landscape planning, this study was looking at the landscape from a contemplative perspective through a field transcendental approach. Third, in terms of the basic data (drawings) of the landscape pla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basic drawing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andscape plan were very insufficient in the current legal contents related to the landscape plan. It is analyzed that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drawings of landscape units perform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important basic data that can be linked with landscape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described above, specify and reestablish the contents of multi-functional aspects of landscape through transcendental approaches, such as conservation of species and biotop, recreational and natural experiences, and non-visual aspects. In addition, by presenting and re-establishing how to prepare the basic drawings that are required to actually promote the contents of this landscape plan, the district unit landscape planning technique applicable to the whole country was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new direction to induce the existing district-level landscape plan into a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friendly. However, it is a landscape plan that can be expanded and applied to the spatial scale at the autonomous district, the whole city, and the regional (provincial / provincial) level, away from the spatial scale of various district unit development such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ial complex redevelopment projects.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methods and standardized model development will need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 조망점 선정을 통한 대상장의 경관가치 평가 및 개선방안

        김진효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주택단지 개발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 광역시 북구 연경동 및 동구 지묘동 일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조망점 선정을 통해 조망대상 및 대상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해보고,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계획적 차원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망대상 선정을 위한 문헌분석 결과 도출된 조망대상은 총 24개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도출된 주요 조망대상은 산림, 강, 하천, 경작지 등 4가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출된 조망점 선정기준은 총 15개가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 조망성, 접근성, 공공성으로 재분류하였다. 예비조망점은 공공성 및 접근성을 평가하여 선정하였으며, 평가 결과 총 42곳의 예비조망점이 선정되었다. 최종조망점은 선정된 예비조망점을 대상으로 조망성을 평가하여 선정하였으며, 평가 결과 29개의 최종조망점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헌분석 결과 도출된 평가지표는 총 26개로 나타났다. 조망점별 가치평가 결과 29곳의 대상장 중 I등급은 2곳, II등급은 3곳, 가장 낮은 V등급에 해당하는 대상장은 3곳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선방안을 위한 문제점 분석 결과 개발계획도면을 고려하지 않은 대상장-1의 경우 토지모자이크의 다양성 등 4가지 개선지표가 선정되었다. 또한 개발계획도면을 고려한 대상장-2의 경우 배후 산림으로의 조망이 잘 이루어지며, 시각회랑의 확보가 가능한 건축물 배치 형태는 직각배치, 층수는 약 10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무분별한 개발 사업으로 인한 경관훼손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가치있는 경관자원을 경관계획적 차원에서 보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모형 및 선정된 주요조망대상을 다른 유사지역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평가하기에는, 단일 사례지라는 한계가 있었던 바, 차후 연구에서는 여러 사례지를 종합하여 보다 객관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view target and the view area through the selection of landscape control point by selecting irwon jimyeong-dong dong-gu and yeongyeong-dong buk-gu daegu, which are planned as the large scale housing complex development area, as the target places, and it is very meaningful that from the simulation based on this measurement, the improvement methods are attempted to be suggested at the projec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viewing targe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nalysis for the selection of the viewing targets was 24, and finally derived main viewing targets were four places: forest, river, watercourse, arable land. Second, the total number of selection criterions of derived landscape control point was 15, and these were re-categorized as prospect, accessibility, publicness according to the common property. The preliminary LCPs were selected by measuring the publicness and accessibility, and as a result of measurement, a total of 43 preliminary LCPs were selected. The final LCPs were selected by estimating the prospect of the selected preliminary LCPs, and as a result of estimation, a total of 29 final LCPs were selected. Finally, the total number of evaluation indicators derived from literature analysis was 26. As a result of valuation by the landscape control point, it was found that the 2 view areas were the I class, 3 areas were II class and 3 areas were the V class, the lowest class among 29 view areas. From the analysis on problems for the improvement methods, 4 improvement-indicators including the diversity of landmosaic were selected for the view area-1 without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ject drawing. In addition, for the view area-2 with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ject drawing, the landscape as the scenery forests was well formed, and the arrangement of architectures for the security of view corridor was right angle arrangement, and their floor number was 10.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damage of landscape due to the reckless development business would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valuable landscape resource can be preserved at the landscape project level. However, because the limitation that this study involves a single case area, the suggested evaluation model and the selected main landscape targets in this study can not be applied to other similar area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objectivity needs to be enhanced by synthesizing various case areas in the future study.

      • EU의 대의제에 관한 연구 : 리스본조약 이후를 중심으로

        김진효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스본조약 체제의 EU대의제는 EU의 정치공동체에 대한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를 위하여 EU조약에 대의민주제도를 법규범을 통하여 보장하고, EU기관을 법치주의적으로 투명하게 운용하기 위한 헌법적 법규성을 가진 EU의 기본법을 마련하여 EU대의제의 원리에 의하여 규율되고 있다. 또한, 리스본조약 체제의 EU대의제는 고전적 대의민주제를 보완한 현대적 대의민주제를 채택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EU시민의 의견을 더 쉽게 EU정책결정절차로 반영시킬 수 있는 다양한 EU대의제 보완기능을 가진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리하여 리스본조약 체제의 EU조약 및 EU기능조약 등이 EU대의제를 EU시민에 더 밀접하게 만들고 이러한 제도적 기반을 토대로 EU대의제의 질적 발전을 이끌고 있는 바, 본 논문은 리스본조약 체제의 EU대의제 구조 및 그 원리를 분석하였다. EU대의제는 EU시민의 정치적 대표로 구성되는 유럽의회 측면의 민주적 정당성 기둥과 EU회원국의 정치적 대표로 구성되는 이사회·유럽이사회 측면의 민주적 정당성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EU시민과 EU회원국은 EU 피치자이며 EU대의기관의 구성권자로서 EU대의제의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하고, EU대의제는 EU의 대의기관을 EU대의제원리를 통하여 규율한다. EU대의제 원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EU대의제원리는 EU정책결정권한의 자기 절제원리를 요구한다. 자기 절제원리는 개별적 권한부여의 원리(EU조약상 권한부여의 원리 principle of conferral)와 EU대의기관의 자기 통제원리를 가지게 됨을 예정한다. 또한 EU기간 상호 간에는 공동체 방식 및 정부간조정 방식을 통하여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요구한다. 둘째, EU대의제원리는 EU대의기관에 대한 EU시민의 신임원리를 요구한다. 리스본조약체제에서 EU의 대의기구는 유럽의회, 이사회 및 유럽이사회로 볼 수 있으며, 유럽의회는 EU시민의 직접적인 대의기관으로서 EU시민의 공공복리를 추구하기 위한 추정적 EU시민의 의사를 형성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인 유럽선거(European Elections)를 통하여 추정적 EU시민의 의사를 형성할 수 있는 신임부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EU시민의 자유위임원리를 통하여 규율된다. 한편, 유럽이사회와 이사회는 회원국의 대표로 구성되며, EU시민의 공공복리 실현을 위해 활동하는 유럽위원회 및 고위외교안보대표 역시 구성원으로 활동하게 되므로 EU시민의 추정적 의사와 EU회원국의 추정적 의사가 상호 개진되고 협력하며 합의할 수 있는 대의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럽이사회는 추정적 EU시민의사와 추정적 EU회원국의사를 조정하고 추정적 EU의사의 형성을 유도하는 대의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EU대의제원리는 유럽의회 및 유럽의회 의원의 민주적 책임성의 요청과 이를 위한 확보방안을 보장하고 있다. EU시민에 대한 EU대의기관의 책임성 요구로서 유럽선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EU시민의 대표자를 선출하고 있다. 유럽의회 의원은 자신의 임기동안 지위를 보장받으며, EU시민과의 자유위임관계를 통해 전체 EU시민을 대표하여 정책결정권한을 담당하고, 자유위임관계에 의한 신뢰와 선거를 통해 부여받은 민주적 정당성을 토대로 독자적인 양식과 판단에 의해 추정적 EU시민의 의사를 형성한다. 유럽의회 및 유럽의회 의원의 민주적 책임성 확보방안으로는 주기적인 유럽선거가 있으며, 다만, 유럽선거를 통하여 EU시민이 정치적 책임 추궁의 판단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EU의 정책결정절차가 공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EU조약은 회의공개의 원칙, 결정공개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으며, EU시민의 입법안 제출요구권 및 기타 EU시민의사의 반영을 위한 제도를 도입하는 한편, EU대의제도의 특징적인 점인 회원국 국내의회의 EU정책결정권 감시·감독권한도 인정하고 있다.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 EU대의제 연구의 중심을 유럽의회에 두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EU대의제 분석의 장에서 논증과정 상 발견된 것과 같이, EU대의제의 민주적 정당성 지지기반 통로는 유럽의회만이 아니었다. 이사회, 유럽이사회 역시 EU대의제가 민주적으로 정당성을 가지는 통치구조의 구성원리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또 다른 민주적 정당성 지지기반이었다는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EU회원국과 이사회·유럽이사회의 대의구조를 중심으로 EU대의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동시에 유럽의회 측면과 이사회·유럽이사회 측면의 EU대의민주주의 구조를 서로 융합하여 규율할 수 있는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EU대의제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온라인상 언어사용에 대한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 연구

        김진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acknowledge how elementar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perceive elementary students’ use of language online and suggest Korean Educational adoption plans based upon it. For this, th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y observing the conversations in the online chatting room with 30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and categorizing initial words and neologisms accordingly to their grammatical particles. Categorized vocabularies were grouped by types and survey was conducted on whether they are understood of their meanings (Comprehension), how frequently they are used (Usage) accordingly to the language functional context (Speaking, Writing, Online language use). Also, how tolerant students are in using the initial words and neologisms (Tolerance) accordingly to the language functional context and public/private contexts, and through what media materials do they get to encounter these initial words and neologisms were survey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0 people, including 300 elementary students (100 each from 4th, 5th, 6th graders), 100 school parents , and 100 teachers who were sampled ahea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educational course, and text book analysis, adoption plans for 2015 educational course revision has been suggest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comprehension and usage degrees between genders showed little gap, but was greater between different grades. Since many of the 4th graders don’t have smart phones yet and were less exposed to online chatting experiences, their comprehension and usage level were relatively low and 5th, 6th graders most of whom start possessing personal smart phones and getting used to internet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comprehension and usage. However, due to the protectionism paradigm affect(students should be protected from media influences.), the overall tolerance beneath the proposed context was low. It also showed low tolerance to the usage of initial words and neologisms accordingly to the context, and it’s because many students think that using these words is ungrammatical and is causing the destruction of Hangul. Students chose online messenger as a media that best influences the language they use online. The survey analysis targeting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gap between students’ learning contents and the reality of language use. School parents group showed difference in understanding initial words and neologisms accordingly to their age. Young parents on their 30s and 40s showed relatively higher comprehension levels. In the aspect of usage degrees it differed accordingly to the language functional context, and compared to the offline contexts like speaking and writing, online usage degrees were greater. In the case of tolerance, they have shown higher tolerance level in private context then in public context. In dividing contexts, the older they are the more tolerance they’ve shown. ‘Internet etiquette (Netiquette)(39%)’ and ‘Using language referring to the situation(31%)’ were chosen as the education contents required for elementary students when using online language. Teacher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However, teachers on their 2~30s reported higher tolerance than those on their 40s and the usage degrees showed similar results as well. Tolerance degree showed significant gap accordingly to the language functional context and it was higher in private and online contexts. Tolerance for dividing contexts varied accordingly to the age and unlike the parents group, the younger they are teachers showed higher tolerance. By the rate of 48.6%. ‘Sense of bond and homogeneity can be formed between friends’ was chosen the most as the reason for high tolerance.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ps, each questions about initial words and neologies were individually analyzed. In the case of initial words, all groups showed better comprehension level for onomatopoeias like ‘ㅋㅋ’, ‘ㅎㅎ’ or emoticons like ‘ㅠㅠ’ than abbreviations or acronyms. 6th graders recorded the highest comprehension level among the groups but results for neologisms differed by questions. Especially for alternated vocabularies, adult groups(parents, teachers) understood the actual meanings of them better than the student groups. Generally, teachers and the 6th graders showed higher comprehension levels and this is because the teacher group mainly contains 2~30s who are part of the culture leading generation. Also, since parents group and teachers group are adult groups, they are more likely to well fragmentize the context in the usage and tolerance compare to student group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educational course, and text book analysis, teaching guides and detailed adoption plans in a length of 5 sessions for each of the 4th, 5th, and 6th grade classes are established and described. For the sake of upper grade students’ precise vocabulary use, dictation has been included and reinforcement of context education, which could help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contexts, has been suggested. Though it may seem contradictory between free online language use and reinforcement of grammar education, but educations that help the growing students form accurate language system ahead of letting them freely communicate is necessary. Based on this research, active discussions on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help elementary students adapt to the media environment are highly expected.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온라인상 언어사용에 대한 초등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30명이 참여한 온라인 단체 대화방에서 대화 양상을 살펴보고 초성체 낱말과 신어를 조어형태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낱말들을 유형별로 묶고 의미 이해도, 활용도, 허용도를 설문하였다. 또한 언어 기능 맥락과 공/사적 맥락에 따라 초등학생들이 초성체 낱말과 신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얼마나 허용적인지(허용도), 초등학생들이 초성체 낱말과 신어를 어떤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지 등에 대해 설문하였다. 설문 대상은 500명으로 초등학생 300명(4, 5, 6학년 학년별 100명), 학부모 100명, 교사 100명을 표집하여 온라인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와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수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 집단은 성별에 따른 이해도, 활용도에 대한 차이가 적은 편이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4학년은 아직 스마트폰이 없거나 온라인상에서 언어사용을 한 경험이 적은 학생이 많아 이해도, 활용도가 낮은 편이었고 개인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인터넷에 익숙해지는 5, 6학년은 상대적으로 이해도, 활용도가 높았다. 하지만 보호주의 패러다임(미디어의 영향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해야 한다.)의 영향으로 제시된 맥락에서 전반적으로 허용도가 낮았다. 맥락을 구분하여 초성체 낱말과 신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허용도도 낮았는데 그 이유로는 우리말 어법(맞춤법)에 맞지 않고 한글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았다. 학생들이 온라인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로 온라인 대화(메신저)를 가장 많이 꼽았다. 초등학생 설문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들이 학습하는 내용과 언어사용 현실 사이에 괴리가 있었다. 학부모 집단은 연령에 따라 초성체 낱말과 신어 이해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젊은 30, 40대 학부모가 50대보다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활용도에서는 언어 기능 맥락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말하기나 글쓰기와 같은 오프라인 맥락보다 온라인상에서의 활용도가 높았다. 허용도에서는 공적 맥락보다 사적 맥락에서 더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맥락을 구분하는 경우에 대한 허용도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초등학생들의 온라인상 언어사용에 있어서 필요한 교육내용으로 ‘인터넷 예절(네티켓)(39%)’과 ‘상황을 고려하여 언어 사용하기(31%)’를 꼽았다. 교사 집단은 문항들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연령에 따라 2~30대 교사들이 40대 이상 교사들에 비해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며 활용도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허용도에서는 언어 기능 맥락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사적, 온라인상 맥락에서의 허용도가 높았다. 맥락을 구분하는 경우에 대한 허용도에서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학부모 집단과 달리 교사 집단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허용도를 보였다. 허용도를 높게 답한 이유로는 ‘함께 사용하는 친구들 사이에서 유대감과 동질감을 느낄 수 있다.’는 답변이 48.6%로 가장 많았다. 집단별 비교분석에서는 초성체 낱말과 신어 각 문항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모든 집단에서 초성체 낱말의 경우 ‘ㅋㅋ’, ‘ㅎㅎ’와 같은 의성어나 ‘ㅠㅠ’와 같은 이모티콘이 ‘ㄱㄱ’, ‘ㄴㄴ’ 등 약칭, 두문자어에 비해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초성체 낱말은 6학년의 이해도가 타 집단들에 비해 높았고 신어는 문항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왔다. 특히 변용어휘는 정확한 표현에 대해 성인 집단(학부모, 교사)에서 학생집단보다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교사 집단과 6학년의 이해도와 활용도가 높았는데 그 이유는 교사 집단 설문 대상이 2~30대가 주가 되어 문화를 향유하는 세대이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부모 집단과 교사 집단은 성인 집단이기 때문에 활용도와 허용도에서 학생 집단보다 맥락을 세분화하여 구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 분석과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4, 5, 6학년에 각각 5차시 분량으로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고 세부적인 수용방안을 설명하였다. 고학년 학생들의 정확한 어휘 사용을 위해 학습내용에 받아쓰기를 포함하고 맥락을 구분하여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맥락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상에서의 자유로운 언어사용과 문법 교육 강화가 상충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성장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이 견고하고 정확한 자기 언어를 형성한 뒤,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이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내용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韓國中小企業의 組織文化 定立을 위한 敎育訓練方案 硏究

        김진효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경영 환경은 예측을 불허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유일한 경영방식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 변화에 따라 그때그때 유연하게 적응해야 한다는 조건적합적 이론을 적용한 경영방식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기업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경쟁력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고객의 욕구를 변화시키는 등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과제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국가경제의 주요당면과제의 하나로 대두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직문화 정립을 중요시하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 교육훈련제도의 혁신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조직문화를 정립하기 위한 교육훈련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한 실태분석은 서울.경기도 소재 종업원 300명 미만 규모의 중소기업 22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먼저 조직문화 차원에서는 중소기업은 다양한 조직문화유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화적 문화, 합리적 문화, 진취적 문화, 보전적 문화의 순으로 조직문화 유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문화 유형은 중소기업이 처한 현실과 기업 나름대로의 특성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중요한 것은 조사대상 기업이 스스로 지적한 조직문화 유형에 적합한 경영전략을 실행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교육훈련 차원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대부분은 교육훈련에 대한 기본 목표와 계획이 미흡하며, 교육훈련 담당자의 직무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교육에 대한 전문성 부족과 교육훈련 업무를 다른 업무와 겸임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들을 종합하면, 중소기업은 회사의 비전과 중장기발전전략이 연계된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체계적인 인사제도를 통해 내실 있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교육마인드를 명확히 하는 것은 물론 조직의 현재 위치와 미래변화에 대비하여 어떤 인재를 얼마만큼, 언제까지 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의 교육담당부서는 변화 프로세스의 설계자, 변화 프로세스의 촉진자 및 변화프로세스의 운영자라는 3대 역할을 중심으로 본연의 업무를 이끌어가야 한다. 즉, 기존 교육이 개인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것이었다면 미래의 교육은 기업의 비전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업무 프로세스 변화와 조직문화를 정립시키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부서와 담당자는 일상 업무에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생각하기보다 변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자신의 역할과 업무를 재정립하여야 한다. 결국 중소기업의 조직문화 구축과 정체성 정립은 인사관리 등과 같은 제도적 장치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먼저 비전과 공유가치에 의한 정체성 정립을 우선하는 경영전략의 수립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해방풍의 생리활성 성분

        김진효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방풍 지하부의 methanol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water 분획을 얻었고, 이들 4가지 분획물들에 대해서 DPPH radical에 대한 scavenging activity측정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스크리닝 하였으며, 또한 264.7 RAW cell의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을 통해 항염증 활성을 스크리닝 하였다. 그 결과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이에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에 의해 성분분리를 시행하였다. 활성 분획인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을 silica gel과 sephadex LH-20, ODS gel을 이용한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4개의 화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은 물리화학적 성상과 문헌조사, 각종 기기분석(mass, 1H-NMR, 13C-NMR) 결과를 통해 구조 동정을 실시하였다. Butanol 분획에서 화합물 Ⅰ, Ⅱ를 얻었고, 화합물 Ⅰ을 adenosine (C10H13N5O4)으로, 화합물 Ⅱ를 scopolin (C16H18O9)으로 확인 동정하였다. 또한 ethyl acetate 분획에서 화합물 Ⅲ, Ⅳ를 얻었고, 화합물 Ⅲ를 imperatorin (C16H14O4)으로, 화합물 Ⅳ를 bergapten (C12H8O4)으로 확인 동정하였다. 각각의 성분에 대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DPPH를 이용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의 경우에는 활성 정도가 화합물 Ⅲ가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항염 활성 실험인 RAW 267.4 cell을 이용한 NO생성 억제 활성 실험에서는 화합물 Ⅰ, Ⅲ, Ⅳ가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고, 이 중 화합물 Ⅲ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활성이 보다 우수한 화합물 Ⅲ와 Ⅳ를 지표 성분으로 하여 유통 해방풍의 함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화합물 Ⅲ(imperatorin)는 평균 0.003±0.001 %, 화합물 Ⅳ(bergapten)는 0.004±0.002 %로 관찰되었다. 활성 성분의 함량 기준치는 두 성분의 합으로써 0.004 %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해방풍 및 식방풍, 방풍의 HPLC 패턴분석 결과 해방풍의 경우는 화합물 Ⅲ(imperatorin)과 화합물 Ⅳ(bergapten)가 모두 검출 된 반면, 식방풍에서는 두 가지 성분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며, 방풍에서는 화합물 Ⅲ(imperatorin) 만이 미량 검출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일본 및 중국에서는 해방풍과 방풍, 식방풍을 구별하여 사용 및 관리하고 있는데 반하여, 국내의 약령시장에서는 기원식물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방풍을 엄격한 기준 없이 방풍 및 식방풍과 혼용되고 있어 유통상의 큰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해방풍의 성분 분리 및 활성연구, 그리고 활성 성분을 이용한 함량모니터링은 해방풍과 방풍, 식방풍의 구별 마커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y using solvent,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water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the methanol-extract of Glehniae Radix cum Rhizoma. And, with these four fractions, scavenging activity of DDPH radicals and test of inhibition on NO production by using 264.7 RAW cell were screened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s a result, ethyl acetate fraction and butanol fraction showed to have good qualified activities. Based on this result, two components were isolated by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butanol fraction, the active fraction, 4 compounds were obtained by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ODS. We reviewed that compound Ⅰ was adenosine (C10H13N5O4), compound Ⅱ was scopolin (C16H18O9), compound Ⅲ was imperatorin (C16H14O4), compound Ⅳ was bergapten (C12H8O4) through physicochemical data, reference and spectroscopic methods(mass, 1H-NMR, 13C-NMR). The results from antioxidative activity screening for the each compound showed that compound Ⅲ was relatively superior antioxidant ability. In anti-inflammatory activation assay, compound Ⅰ, Ⅲ, Ⅳ had concentration-dependent-activity and compound Ⅲ had superior anti-inflammatory ability. Standard compound was decided as compound Ⅲ and Ⅳ, and carried out quantative screening for circulated samples. As a result, compound Ⅲ (imperatorin) was measured 0.003±0.001 % and compound Ⅳ (bergapten) was measured 0.004±0.002 %. Standatd contents of active compounds was decided more than 0.004 %. In Glehniae Radix cum Rhizoma, compound Ⅲ and compound Ⅳ were observed, but in Peucedani Radix, compound Ⅲ and compound Ⅳ were not observed. In Saposhnikoviae Radix, a small amount of compound Ⅲ was observed, but compound Ⅳ was not observed. In Japan and China, Glehniae Radix cum Rhizoma, Saposhnikoviae Radix and Peucedani Radix were used and administered with distinction. In spite of botanical origin difference, traditional medicine market in Korea used a Glehniae Radix cum Rhizoma together with Saposhnikoviae Radix and Peucedani Radix without standardization or clarification of their origins. In current,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of Glehniae Radix cum Rhizoma and screening of their activity, and using active compound for measuring their contents is the meaning of suggesting distinction marker among Glehniae Radix cum Rhizoma, Saposhnikoviae Radix and Peucedani Radix.

      • 국어 문법교육의 실태와 효율적인 교육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김진효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Grammar education has longer been provided than any other academic education, but that has waned primarily because it's not easy to teach and learn about it. Grammar instruction is likely to be merely teacher-centered and monotonous, and there is a criticism that it doesn'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y of learner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weight of grammar education has increasingly been lowered. There might be different things on which the success or failure of grammar education hinges, but the most ultimate and decisive standard seems whether learners enjoy grammar learning and whether grammar education enables them to make a verbal growth. According to the standard, many learners don't have successful experiences in grammar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act state of grammar education in an effort to keep track of every trial and error in the sector of grammar education.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7th national and revised grammar curriculum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ystems of the two curriculums. In a practical perspective, the situations of current grammar education and problems with it were checked to seek a feasible solution. And then the state of grammar education, which was one of the unique phenomena of grammar education, was investigated to grasp how learners learned about grammar, how they felt about that and how they evaluated it.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an inquiry into learners who were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grammar education. As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grammar education is learners, what problems learners are confronted with in grammar class and in which way more efficient grammar education could be actualized was discussed in terms of instructors, system,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learners. After the state of grammar education was grasped in detail, the materials on the experiences of learners who took a negative attitude toward grammar education due to their related experienc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materials about the experiences of learners, since it's needed to find out what deteriorated the efficiency of grammar education and to spread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grammar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was designed to get a grip on the disposition of the learners about grammar education and their awareness of it. That dealt with four different categories and 17 items to grasp the state of grammar education. The four categories included 'learning belief and motivation,' 'awareness of what to learn,'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p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every sophomore, junior and senior in S high school in the city of Incheon, which numbered 212. The focus of the survey was especially placed on examining what problems they faced in grammar class and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to remedy the situation. Grammar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more meaningful for learners than for teachers. If that isn't meaningful for learners, that is not significant any more even though teachers view it as meaningful. Teachers should focus on 'what learners learn' rather than 'what to teach' all the time, and they should respect every learner within the realm of possibility. Even the best instruction couldn't work properly if it doesn't suit the interest or learning capability of learners. Therefore what to learn in grammar class and how to teach should carefull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 and needs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