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교양교육에서 현행 무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김은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용의 가치를 이해시키는 교양무용의 교육적, 사회적 필요성을 전제로 한다. 현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전인적인 인간양성을 위한 대학교양교육의 목표와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목표분석을 통하여 현행 교양교육에서 무용교과의 목표와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무용 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수업 방법에 대한 조사에 근거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교양무용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양교육의 영역에서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 정립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교양교육의 목표와 교양교육으로서 예술교육의 목표 그리고 무용교육의 목표를 살펴보았다. 또, 교양교육의 목적에 적절한 교양무용의 기본방향과 교양무용의 목적, 성격, 내용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양무용개설 현황조사를 통해 교양무용의 목표, 내용, 유형, 특성을 분류하여, 이를 바탕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부산지역 대학교양교육에서 무용교과의 목표, 내용, 유형, 특성을 분류하고 현행 교양교과로서의 무용과목개설 현황을 조사하였다. Ⅴ장에서는 현행 교양무용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조사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대학 교양교육은 '비 기술적, 비 전문적, 비 직업적' 교육이다. 교양교육의 목표는 인간성 우위의 교육 즉, 비평적 사고와 가치관의 교육, 예술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세부적 목표는 자아개발, 타인이해, 사회인식, 학문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둘째, 교양교과로서의 무용의 목적은 신체 움직임을 내용으로 하는 실기 수업을 통하여 자기 표현방법을 개발하고 이론수업을 통하여 학문적 무용에 접근함으로서 무용감상과 작품배경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있다. 셋째, 각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조사, 분석한 결과 26개 대학에서 교양 무용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19개의 교과명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이중 체육학과에서 개설한 대학은 14개의 대학이었고 12개 대학은 체육학과와 무용학과에서 모두 개설되었다. 교양무용교과의 유형은 이론실기병행교과는 34개이고, 이론교과는 13개, 실기교과는 4개로 수업 유형으로는 이론실기 병행의 방법론이 가장 많았다. 넷째, 부산지역대학내 교양무용교과의 현황은 7개 대학에서 9개의 교양무용교과가 개설되었다. 5개 대학에서는 체육학과에서만 무용교양 교과가 개설되었고, 무용학과와 체육학과가 모두 개설된 학교는 1개 대학이었으며, 무용학과에서만 개설된 학교도 1개 대학이었다. 교육유형은 7개의 이론 실기 병행교과와 2개의 이론교과가 있었다. 실기만을 하는 교과가 없음이 전국과 비교하여 부산지역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대학에서 교양무용의 현황조사를 통해 교양무용교육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①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항상 연구 검토 발전시키고 운영을 담당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의 전담기구를 설치하여 그곳에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을 담당하도록 해야 하며 교양무용교육담당교수가 있어야 한다. ② 다양한 교과목의 개선을 허용하여 개개인의 필요와 흥미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학문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과내용을 능동적으로 보완하여야 한다. ③ 교통 및 통신의 발달과 세계의 상호의존성이 커져감에 학생들은 국제적인 수준의 시각과 관점을 소유하게 되었으므로, 교양무용교과에서도 변화하는 학생들의 관점과 욕구에 빠르게 대처해 나아가야 한다. ④ 교양교과목의 자유경쟁원리를 도입하여 무용교양교과의 질적인 개선을 유도한다. 그러나, 자유경쟁원리를 도입한다고 해서 지나친 전문화나, 세분화는 흥미를 저하시킬 수 있다. 개설한 교과에 대해서는 2-3학기 개설하여 실험평가를 거침으로서 지속적 개설여부를 결정한다. ⑤ 교과목별의 다양화는 필요하지만 지나친 세분화는 피해야한다. ⑥ 무용교양강좌의 경우에는 수강생 수에 따라 교육 효과 면에서 적정규모의 분반을 필요로 한다. ⑦ 교양무용교육을 위한 대학 내의 종합문화예술공간(또는 교양센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⑧ 실제교육과정과 강의계획서의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이 교과에 대한 교육의 기대감을 만족시켜주지 못함은 지양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 interference effects examined by researching the purpose & condition of dance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Contemporary,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development method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n Dance. It is a necessary to renewing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future in liberal arts education. Recently, it is raised as social problem to loss human nature in the high education society that runs education demanding only knowledge and technology, as our society becoming professional, high technology society. This is not the simple problem which can be solved only and with strengthening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has reasoning power that the studies are not invaluable for making minimal moral bas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untechnical, unprofessional and unoccupat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increase the human nature dominated by education, that is, increasing th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 judgement of value, the knowledge of art. More detailed purpose is to improve oneself, to understand other persons, to know society knowledge and to get scholarship. 2. The purposes of dance as a liberal arts education are to improve physical, mental express methods, to make people appreciate works properly and to make them understand theological background correctly as having an eye for the beautiful through theological education. 3.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for lecture timetable in each university, 26 universities run a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y establish it as 19 subjects(different lecture title). Among these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hich run dance course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re 14, and the other 14 universities run dance course in both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department of dance. In the styles of liberal arts education, simultaneously, theory & performance teaching method are 34, theory are 13, performance are 4. 4. Condi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Pusan, 7 universities run 9 course. Only 5 universities run dance lecture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1 universities runs it in both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department of dance. 1 universities also run it only in the department of dance. The style of education is separated 7 subject treated with theory and performance and 2 theory subject. The absence of subject only with performance is characteristic of Pusan city compared with the other cities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devices for improvement method through research of current condi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of dance in universities. 1. For enforcing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full responsible organization for a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 which cal study, examine and improve this always and take charge of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this organization should take charge of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hould take professors who charge cultural dance education. 2. To establish subjects as various as possible partly should be permitted. And they have to not only fulfil at personal necessity and interest but also change the contents of curriculum actively as the knowledge is developing and the society is changing. 3. Considering campus undergraduate students hold international sense and view, the more the transport and the correspondence develope and interdependence the more the world becomes interdicipline principle. So liberal arts education as a dance curriculum has to meet with view and desire of changing students rapidly. 4.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ultural dance curriculum has to be induced through entering the principle of independent competition in cultural subjects. But excessive professionalization or specialization may reduce interest. the established subjects has to be run during 2-3 terms and be decided on empirical exam if they will be run continuously. 5. The variation of subjects is a necessary, but extremely detailed specialization should be avoided. 6. In a liberal arts education lecture, if there are many students in a lecture, they need to be separated in some other classes organized as sutable class size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effect. 7. It is necessary to have Multi-cultural Art Complex(or Culture Center)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8. It should be avoided for the students not to satisfy the hope of education about curriculum, because of disagreement the scheme of lectures with the real educational curriculum.

      • 대학교양음악교육에 대한 연구

        양은영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Music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and veins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hasn’t livened up to its function and role supposed to be taken as a general music course. To this end, this text at first, assorts,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and course of the textbook of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al music course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ent university general music course. Secondly, it surveys about the consciousness of the general educational music university students feel and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general educational music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 education and general course which will shed the light on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general music. Thirdly, it emphasizes the necessities of the educational music course and the way the music education should lead as one of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al course and to present the basic documents for the studies to develop the diverse, efficient and beneficial education. We have surveyed and investigated the general educational course of the 23 universities registered on the internet and the handbooks of the 43 universities to investigate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of the university and performed a questionnaire to the university students currently taking lectures of the educational music course in the 4 university students located. According to this we think the follow should be implemented to develop it. Firstly, more systematic general education divided with the semester and grades should be done. Secondly, in-depth and professional education about the general music course should be done. Thirdly, diverse courses taking the student’s demand into consideration are required. Fourthly, appropriate materials with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society should be used Fifthly, the professor in charge of should devote time and efforts to develop a new teaching method and qualities. Sixthly, more devotion and research should continue to make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music. Finally, the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music which have played a critical role as a whole personality education are required and the research about the academic educational music course for the efficient music study and consciousness reform of the general music education as an academic. To make the above result more meaningful docu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ies of our university music education and the whole personality education beyond the research, more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and studies should continue and above all, an efficient and meaningful administration and aggressive consideration of the respective universities are imminent. 오늘날 국가적 흥망과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은 조화롭고 전인적인 인간이다. 특별히 사회 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 있어서 창조적 지식과 함께, 풍부한 교양과 바른 인간성은 그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하고 기본적인 인간형성의 기틀이다. 이러한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은 전공이수와 학점 이수를 위한 교양과목으로 전락해 버린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교양교육의 목표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음악교육은 교양음악으로서의 그 구실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그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첫 번째, 대학 교양 과정에서의 교양 음악의 교과과정과 교과내용을 분류, 비교, 분석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 교양 음악의 실태를 조사하고 두 번째, 현재 대학생들의 교양음악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여 그들의 교양과정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 교양음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대학교양음악의 문제점을 밝히고 세 번째, 앞으로 대학 교양 과정으로서의 음악교육이 나아갈 바와 교양 음악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양 음악의 유익하고 다양하면서도 효율적인 개선 방안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행 대학교에서의 교양교육과정과 설문지를 통한 교과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조사 분석한 결과 교양과정으로서의 음악 교육에 대해 많은 학생들은 교양음악이 그들의 전인적인 품성과 정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며, 그 가치와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했지만 교양음악과목의 질적, 양적인 저하로 그에 대한 교양음악의 만족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각 대학 당국의 잘못된 교육과정으로 인해 교양교육이 1학년에 편중되어 실시되고 있었고, 교과의 내용조직과 교육내용에도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수업 환경적인 면에서도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었으며, 또한 다른 과목에 비해 음악교과는 교수의 역할과 자질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시간강사에게 의존하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에 대한 학문적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선방안으로 첫째, 보다 체계적인 학기, 학년별의 교양수업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음악교양에 대한 더 깊이 있고 전문적 교육이 실행되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다양한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의 발전수준에 맞는 적절한 기자재를 사용해야 한다. 다섯째, 가르치는 담당교수는 새로운 교수법과 자질에 대한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하다. 여섯째, 음악의 특성에 맞는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더 많은 투자와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인교육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음악의 학습을 위하여, 학문으로서의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연구와 인식개혁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가 연구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대학음악교육의 질적 향상과 대학생들의 전인교육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하겠고, 무엇보다 각 대학들의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행정과 적극적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 대학교양무용의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윤경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대학교양무용의 활성화와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는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 등의 변화는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통한 양적 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양무용 강좌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중 서울 4개교, 경기도 4개교 총 8개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학교양무용 수업에 참가경험이 있는 대학생 500명을 표집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유효 응답자 408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의 피면담자는 교양무용 수업에 참가경험이 있는 일반 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양적 연구결과, 학생들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무용소비행동이 높고, 학년이 낮을수록 무용소비행동이 높으며 예체능 계열이 인문계열, 자연계열 보다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경험이 있으며, 교양무용 수강 강좌 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무용소비행동이 높으며 현대무용, 재즈를 교양무용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이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의 교수유형이 무용에 대한 흥미도와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유형은 흥미도와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밀감은 무용소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양적 연구결과를 보완하는 질적 연구의 심층면담결과,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흥미와 재미, 성취감, 표현활동, 스트레스 해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만한 대인관계, 세밀한 지도방법, 자유로운 수업분위기를 통하여 친밀감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문화적 활동에 대한 관심의 변화를 경험하며 학생들의 무용소비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 교수의 수업방법은 학생들의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는 학생들의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여 단순히 움직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창작력, 독창성을 기반으로 하여 무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함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교수는 무용수업 시간에 배운 동작을 응용하여 창작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지속적인 무용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수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학습능력, 잠재능력 개발에 도움을 주며 무용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ctivation and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s o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t included the goal to analyze in detail the shifts of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 To achieve the goal,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further interview were combin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4 in Gyeonggi-do which open university elective dance. 500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ttending a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 were selected for sampling and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lid questionnaires of 408 respondents, used for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subjects for the further interview consisted of 8 commo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ttending a elective dance course. The quantitative research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regarding the background trait of the subjects. In detail, the result showed higher level of dance consumer behavior in female than in male, and higher in lower grade and in the respondents with dancing experience and more courses attended. And it suggested higher level of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n Art and Athletic Department than i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attending contemporary dance and jazz classes as a elective dance course showed high level of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o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ndicated that teaching meth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hree items and intim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nsumer behavior. To conclude, the study allows us to find that the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plays a critical role in influencing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of students in a positive wa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dance professors should focus on impressing new awareness of dance upon students, based on their own creativity and originality, rather than simply triggering their fun and curiosity. It means that dance professors should seek for a teaching method to enable students to continue dance activity by leading them to apply the movements they learn in class to new ones.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eaching method is more critical than any other factor in establishing intimac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rough interactions, helping them develope their learning capability and potentials, and enhancing the effect of learning dance.

      • 대학교 교양과목 중 환경교육 과목에 대한 비교 분석

        김유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재 대학교 교양과목 중 환경교육과목을 각 학교별로 비교 분석하여 보다 실천적인 환경교육을 위해 어떤 점을 보완하고 실행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대학생 스스로 환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들의 환경 역량을 재고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임의로 선정한 연구 대상 25개 대학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된 교양과목 중 2004년 1학기 '환경' 과목의 비중과 환경과목이 관련된 영역을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교양환경 과목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강의 계획안을 열람할 수 있었던 16개 대학의 환경과목 강의 계획안에서 매 수업시간마다 다루는 주제를 정해진 분석틀에 의거 비교·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대학의 전체 교양 과목 중 환경 과목 비율이 5%를 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대학에서 교양환경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학생들만이 중·고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을 받고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또 대학에서 교양환경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환경을 전공하는 학생이 아닌 인문계 학생들인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현실을 고려해보면 전체 교양과목 중 환경과목의 비율이 5%를 넘지 않는 것은 극히 적은 수의 학생들만이 대학에서 환경교양과목을 접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몇몇 대학의 교양환경 과목에서 비디오, 세미나, 발표, 토론 등의 수업 방법을 채택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대학 교양 환경 과목의 수업 방식이 80% 이상 이론 강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와 같은 강의 일변도의 교육으로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내지 못할뿐더러 보다 실천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주지시키는 데 역부족일 수도 있다. 둘째, 대학 교양 과목 중 환경교육 목표를 분석한 결과 정보 및 지식(K) 영역이 366번(71.3%)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고 기능(S) 영역이 113번(22.1%) 제시되었지만, 가치 및 태도(A) 영역은 22번(4.3%), 행동 및 참여(P) 영역은 12번(2.3%)으로 매우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가치 및 태도 영역과 참여 영역이 매우 낮은 비율로 제시되고 있고 정보 전달과 지식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는 현재의 대학 환경교육은 비교육적일 수 있고 오히려 환경에 대해 무감각하게 만들 수 있다. 셋째, 환경교육 내용구성 및 비중에 있어서 자연 환경(1) 영역이 147개(28.7%), 환경오염(6) 영역이 110개(21.4%)로 상대적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인공 환경(2) 영역 3(0.6%), 인구(3) 영역 17(3.3%), 산업화/도시화(4) 영역 18(3.5%), 자원(5) 영역 76(14.8%), 환경보전과 대책환경(7) 영역 65(12.7%), 환경 위생(8) 영역 6(1.2%), 환경 윤리(9) 영역 34(6.6%), ESSD(10) 영역 31(6.0%), 건전한 소비생활(11) 영역 6(1.2%)으로 제시되었다. 현재와 같은 내용구성으로는 환경문제가 가지고 있는 상호관련성, 시·공간적 광범위성, 자기증식성, 다학문성 등의 특징을 파악하기 힘들뿐 아니라 연계성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특정 영역에 편중한 교육이 될 가능성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학 교양과목 중 환경과목의 비중을 현재보다 늘려 보다 많은 학생들이 환경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환경 이슈를 선별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토의·토론, 실험, 시청각 강의, 시뮬레이션, 역할극, 현장학습 및 견학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colleges as one of their electives in a bid to discuss how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be offered, help college students realize the need for the environment, and encourage them to pay more attention to its conservation. After 25 colleges were randomly selected, their Internet homepage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weight and scope of environment-related optional cour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04. And in which way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onducted was compared, and relevant lesson plans drawn up by 16 colleges that allowed to be view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to find out what themes were handled in every single cla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related classes accounted for less than 5 percent of the entire college electives. Given the fact that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students received environmental education before going on to college, it implied that just a minority of students gained access to college environmental education as one of optional courses. Some of the colleges used VCR, let students give presentation or encouraged their discussion in class, but 80 or higher percent of the classes still employed theoretical lecture metho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ncreasingly accentuated, but such a lecture-based education couldn't draw attention from students and might fail to have them aware of the need for more practical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development. Second, regarding the obj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st widely handled area was information and knowledge(K) that were covered 366 times(71.3%), followed by skill(S) area with 113 times(22.1%), values/attitude(A) with 22 times(4.3%) and behavior/participation(P) with 12 times(2.3%). The rates of the last two areas were very low, and current colleg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leaned toward information and knowledge only and disregarded values, attitude and participation areas is likely to be unsuccessful. Rather, that might lead students not to care about the environment. Third, concerning the structure and weigh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olleges gave a greater weight to natural environment(1) and environmental pollution(6) that were respectively covered 147 times(28.7%) and 110 times(21.4%) The artificial environment(2) was covered 3 times (0.6%); population(3) with 17 times(3.3%); industrialization/urbanization(4) with 18 times(3.5%); resources(5) with 76 times(14.8%);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countermeasure(7) with 65 times(12.7%); environmental hygiene(8) with 6 times(1.2%); environmental ethics(9) with 34 times(6.6%); ESSD(10) with 31 times(6.0%); and sound consumer life(11) with 6 times(1.2%). This type of content structure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grasp the features of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interrelationship, time and spatial comprehensiveness, self-multiplication and coverage of multiple disciplines. Furthermore, that was likely to lean toward specific areas without ensuring the sequence of educa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weight of relevant college electives should be increased to let more students benefit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types of related issues in which college students are interested should be selected, and g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by using a wide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ing discussion, experiment, audio-visual instruction, simulation, role playing, field study and on-the-spot study.

      • 대학교양체육의 특수체육교과목 설치에 관한 조사연구

        최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 목적은 비장애대학생들의 특수체육교과목 설치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대학교양체육으로서 장애대학생을 위한 특수체육교과목 설치에 필요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비장애대학생 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비장애대학생들의 특수체육교과목 설치에 대한 찬성과 필요성 여부, 교양체육 설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인물, 특수체육교과목 설치에 필요한 요건, 특수체육지도자 및 자격 등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의 자료분석은 SPSS-11.0 for window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백분율과 빈도 및 x^(2)(Chi-square)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비장애대학생들은 대학교양체육으로서 특수체육교과목 설치를 높은 비율로 찬성하였다. 둘째, 비장애대학생들은 대학교양체육으로서 특수체육교과목에 대한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냈다. 셋째, 특수체육교과목 설치 결정에 영향력을 주는 인물은 대학행정가라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체육계열 교수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특수체육교과목 설치에 필요한 요건에 대해서는 다른 요건 보다 특수체육지도자 문제와 시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특수체육교과목 지도자에 대한 항목에서는 일반 교양체육강사 보다는 특수체육전공자인 지도자가 적합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특수체육지도자 자격에 대해서는 특수체육을 지도한 경험이나 장애인에 대한 애정보다는 특수체육을 전공한 전문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 있어서 장애학생이나 비장애학생 모두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장애인 특례입학을 허용한 이 시점에서 대학교양체육으로서 특수체육교과목 설치는 특수 교육적인 측면에서 특수체육입장에서나 장애대학생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establish subj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ngaged 780 undergraduates of freshman to senior stud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attitudes of general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as a subj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s selective course. To analyse the materials, this thesis tested making use of average, percentage and response frequency, and x^(2)(Chi-squ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high percentage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a subj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s a selective course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Second, the subject of high percentage answered that one of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course in universities is necessary. Third, there were high percentage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an administrator of a university is very important person who have a power to decide the selective adapted physical activity course in universit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there were high percentage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instructor is the most important whose major was adapted physical activity when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course is taught in universit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fth, there were high percentage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adapted instructor is the more important than general instructor of physical education for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course in university Sixth, there were high percentage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rofessional instructor whose major was adapted physical activity in university is more qualified person than someone who have some experience of teach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affection toward a person with handicap.

      • 대학교양음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구조 조사 연구 : 광주·전남지역의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소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람은 태아에서부터 생애를 마감할 때까지 교육을 필요로 한다. 어쩌면 우리의 삶이 교육을 필요로 하는 행위의 연속이며 교육은 그 자체로서 가치 있는 활동일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그 활동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이지 그 이 상의 다른 실제적 목적을 가지거나 결코 다른 무엇의 수단이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지혜롭고 건강하고 멋을 아는 참된 인간 양성을 대학교양교육의 본질이자 목표라고 하겠다. 대학의 교과과정 중에서 교양교육은 시대적 변천과 함께 교육의 방법들이나 효과 면에서도 변화를 거듭해 왔고 그와 더불어 교양교육의 필요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절실해짐을 알 수 있다. 특별히 사회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지식과 함께 풍부한 교양과 바른 인간성은 그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이며, 기본적인 인간형성의 기틀이다. 그러므로 교양과목에서 얻은 지식을 취미활동 내지는 여가선용으로 활용하는 능력과 사회인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교육받은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어 교양음악 또한 중요한 과목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음악 교육과정은 교과목 개설취지와는 달리 학점 이수를 위한 과목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급성장한 경제와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이전에는 누릴 수 없었던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한 요즈음에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음악교육과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성인기의 음악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은 풍부하고 다양해졌지만,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은 너무도 미비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현재 광주·전남지역 소재 대학의 교양음악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교양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강의운영 및 교육내용, 교수여건의 크게 3 가지로 분류하여 제기하였다. 이에 대해 교양음악의 현황을 전국 대학 별로 조사하였고 교양음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을 설문조사·분석하여 대안과 비전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점은 첫째, 교양교육은 학생들의 교양과목에 대한 경시현상을 깨뜨리고 효용적이고 적극적인 수업을 위해 개론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업 모델링을 제시하여 효용적 기능을 원하는 욕구를 만족시켜 주어야 할 것, 둘째, 강의운영 부분에 있어서는 교양과정을 관장하는 기구를 설립하여 다양한 과목의 증설과 전학년에 고루 분포하여 교양과목을 이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문화와 예술과목의 비중을 높여 국적있는 교육, 주체성 있는 고급인력을 육성하기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 셋째, 교수여건의 문제점에 있어서는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교수들의 끊임없는 교수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교육이 실생활에 활용되어 질 수 있도록 인도자 역할을 감당할 교수들의 교양음악 지도내용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안을 제시하기까지는 설문지를 통해 습득한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고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 대안은 비단 본인의 생각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학생들의 생각을 대변한다고 말하고 싶다. 본인이 이 논문을 준비하면서 더욱 실감하게 된 것은 여러 분야의 음악교육의 자료들이 풍부한데 비해 대학생은 사회로의 진출을 위한 준비단계로써 문화적, 전인적인 교양인으로서의 필요한 음악교육의 지침들이 너무 소홀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교양교육 목표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음악교육은 교양음악으로서의 그 구실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그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교양음악의 현실이라고 하겠다. We learn from the very date of birth-even before the birth-until death. Perhaps life is a series of activities that has to be learned and learning is in itself a valuable activity. Therefore education is not so much a means to any practical purpose as a purpose itself. The purpose of liberal art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attain wisdom and real joy of life with healthy mind and body. For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who are about to be thrown into the real world, knowledge, together with good humaneness and creativity, is an essential framework for decent beings. They can ideally be an intelligent person by taking music class as a liberal art subject, which will eventually serve as their hobby or entertainment. However, the reality is that liberal art in universities have lost its original meaning only to be regarded as a requirement for getting a degree. What university students are getting is nothing but poor music classes in terms of contents and system. This should be taken issue with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a variety of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in line with music education promotion for teens and children and that more and more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music education and studies are abundant on this subject, a trend caused by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of society. Musical activities in universities, if any, are being conducted in forms of groups (Dong-a-ri) or another forms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University authorities and educational circles alike failed to take prompt 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just sitting on their hands and leaving it all to students and professors. It was surprising to realize through this research that the! guidelines on music education in university are by no means sufficient, let alone helping students to be humanly and culturally well-prepared for being a real member of society. Obviously music education as a liberal art is not fulfilling its intended function, barely managing to maintain its existence. Through this study, I have pointed out three problems of music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Gwangju and South Jeonla area. They can be categorized as follow: - Students' awareness of music education as a liberal art subject, - Contents and operation of classes - Teaching conditions. In addition, I presented possible alternatives and solutions as follows; First,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think more highly of liberal arts and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forge various new models of a music class containing not only theories but practical skills as well. Second, an organization should be set up in charge of liberal art classes to diversify liberal art subjects and distribute them evenly through all the grades. Third, professors in their part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eaching quality.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extend my sincere thanks to students and their frank opinions involved in this survey.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 problems and solu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representation of most students' view.

      • 대학교양교육으로써 레저승마 적용가능성과 가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지영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At a time when interest in horses and popularization are taking the initiative and preemptive support of the administration, the public's interest in leisure horseback riding is also increasing nationwide. However, so far, cases and studies of leisure horseback riding have been limited to youth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university horseback riding, which can foster leaders, has been alienated. From the standpoint of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leisure horseback ri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university education by considering university talents as active being with abundant potential in expanding the base of horseback riding and fostering lea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horseback riding education programs, problems and requirements felt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onsumers, explore horseback riding literacy that university talents can acquire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and leisure horseback riding program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sed a narrative qualitative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ive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wo experienced horseback riding guidance and supervised horseback riding. Data collection considered of pre-interview questionnaires, distribution collection, interview preparation, preliminary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In other to increase the integrity of the data, a multilateral verification method and peer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s that physical education has shrunk a lot in existing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s, and it is not enough to mee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It was insufficient to reflec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such as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and bias toward theory. Second, the applicability of leisure horseback riding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s quite favorable to the maintenance of new and mental and social health through horseback riding, fostering horseback riding literacy and one's own happ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licability and value of leisure horseback riding as a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not only horseback riding skills but also horse-raport formation, knowledge and mental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see how the equestrian literacy acquired by participating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of university talents can be well carried out in daily life and how it is possi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requirem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consumers in other to ensure that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orseback riding literacy is carried out in a substantial manner. 말(馬)에 대한 관심과 대중화가 행정의 주도적이고 선제적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금 이 시점에 레저승마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도 또한 전국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레저승마 활용사례나 관련연구들은 유소년, 재활치료 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대학교양 승마는 소외 시 되어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대학교양교육이 승마의 저변확대와 지도자 육성에 큰 몫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대학인재들을 잠재력이 풍부한 적극적인 존재로 간주하여 대학교양교육에서 레저승마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교육에서 레저승마 Leisure riding 적용가능성과 가치에 관한 탐색이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체육 수업에 참여했던 5명과 승마를 지도 감독했던 경험이 있는 지도자 2명이다. 자료수집은 인터뷰 사전 질문지 작성, 배부 수거, 인터뷰 준비, 예비면담, 심층면담, 자료분석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 검증법, 동료간 검증 등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양교육에서 체육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교양교육프로그램에서 체육은 많이 위축되어 있으며, 교육수요자들의 욕구 충족에 많이 부족하다.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이론에 치우침 등 교육수요자 요구반영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둘째, 레저승마의 교양교육으로써 적용가능성은 승마를 통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유지에 상당한 우호적인 입장으로 승마리터러시 육성과 자신의 행복한 삶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다수의 의견이 있어 레저승마의 가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교양교육으로써 레저승마의 적용가능성과 가치 관점에서 본 교양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레저승마프로그램에는 기승술 뿐 아니라 말과의 라포 형성, 말에 대한 지식과 정신 교육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대학인재들의 교양교육 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습득한 승마리터러시가 일상생활 속에서 잘 영위되어질 수 있는 지, 어떠한 방법으로 가능한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승마리터러시 개발을 위한 대학교양교육이 내실있게 이루어지게 하기위해서 교양교육수요자들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현황 및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음악교육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살펴보고, 각 대학의 교양음악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앞으로 대학에서 교양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문헌 조사를 통해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의 의미와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 대학에서 음악교육이 갖는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각 대학의 교육과정관련 자료조사를 통해 교양교육과정과 음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설문 조사를 통해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한 자료들을 통해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교양음악과목은 주로 선택 영역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12개, 즉 평균 6개의 음악관련 교양과목들이 개설되어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교양음악과목의 개설에 있어서 각 대학의 음악관련학과의 개설 여부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각 대학의 교양음악과목의 수업 내용별 구성에 있어서는 서양음악 위주의 수업이, 수업 유형별 구성에 있어서는 ‘이해 영역’인 이론 위주의 수업이 구성되어 내용과 유형에 있어 특정 측면에 치우진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생들의 음악적 배경은 대다수의 학생들이 음악에 관심이 많고 음악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둘째, 음악교육에 대해 학생들은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음악교육은 필요하며,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과목의 필요성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셋째, 수강했던 교양음악과목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학생과 불만족하는 학생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음악과목에 대한 재차 수강의사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교양음악과목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서 학생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대중음악을, 유형적 측면에서 실기 위주의 수업을 원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 및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음악의 기초’나 ‘음악학 입문’과 같이 모든 음악의 근간이 되는 음악적 기초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음악과목을 ‘필수’ 교양 영역에 속하게 하여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음악생활을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교양음악과목의 내용별 구성에 있어서 장르의 균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장르에 치우쳐 편협한 음악적 시각을 갖지 않도록 서양음악 위주의 과목구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의 음악교육을 접할 수 있게 하여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과의 꾸준한 피드백을 통해 제대로 된 수요조사를 하여 실기 과목의 수를 늘릴 것을 제안한다. ‘부전공 악기’ 강의를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음악활동을 체험할 수 있게 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