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264 청포도 와인' 상품화의 문화적 맥락 분석

        오유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sees ‘264 White Wine’ as a means of expressing culture and a consumer product containing symbols and aims to analyze the multilayered sociocultural context and meaning of its commercialization. This wine is a ‘reproductive product using the motif and image of a literary work’, <!-- Not Allowed Tag Filtered --><Cheong-po-do> written by Yi Yuk-sa, a resistance poet from Andong. Consumer goods contain codes and symbols expressing cultural categories and principles, therefore,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264 White Wine, a cultural product, is cultural.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264 White Wine, ‘wine’ having Western symbols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commercialization, and it wa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Wine has been imported into Korean society since modern times, and wine is considered as a symbol containing Western symbols and codes, and consuming wine in Korean society is associated with consuming ‘Western culture’. In the situation that it was unfavorable to sell the raw fruit of green grape, the choice to produce wine as an alternative was influenced by globalization. Two changes in the bottle and label design of 264 White Wine are also the result of visualization and representation to follow the mainstream design of imported wine within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Second, 264 White Wine develope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poem of resistance by an activist for independence and national poet implies nationalistic meaning. The method of naming 264 White Wine is an indirect and implicit method which connects the number, ‘264’, with the poet, ‘Yi Yuk-sa’, and also the raw material, ‘green grape’, with the poem, <!-- Not Allowed Tag Filtered --><Cheong-po-do>. Also, the producer combines the bitterness and sour taste resulted from brewing without removing the skin with the hard life of the national poet and his resistant literary work. This is to awaken consumers to a sense of national resistance through social empathy and consciousness arising from the colonial experience. Third, 264 White Wine has the context of regionalism that is associated with the local identity of Andong, the region where the wine is developed and produced and the hometown of the poet, Yi Yuk-sa. In 264 White Wine, the local identity of Andong that is claimed to be ‘the sacred pla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capital of spiritual culture’ is combined with Yi Yuk-sa’s poem, <!-- Not Allowed Tag Filtered --><Cheong-po-do> which is set in his hometown. The context of regionalism is also revealed in that the motif is the poem of Yi Yuk-sa who is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of Andong City and that both the raw material production and wine brewing are carried out in Dosan-myeon, Andong City. Fourth,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264 White Wine, the developer and producer is a member of Yi Yuk-sa’s clan, and in the phenomenon, the consciousness of the clan did work. As a member of the clan promoted the business, the development of 264 White Wine could escape from the criticism of commerciality that might have arisen for using the poem of the nationalistic poet. This is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the clan works, which extends the action of an individual belonging to the community of a clan and homogenizes it to that of the entire community. Fifth, in the realm of nationalism and regionalism, there is a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ymbol created by the developer and producer and the meaning of it that consumers think of, however, the background of commercial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the fact that the developer and producer is a member of Yi Yuk-sa’s clan are hidden behind consumer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ignifiant expressed by the developer-producer and the signifier accepted by the consum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ims to find out how the products were developed using the image of a poem written by a local nationalistic poet and how the sociocultural flow and context provided the multilayered meanings. 이 연구는 ‘264 청포도 와인’을 문화의 표현 수단이자 기호가 담긴 소비재로 보고, 그 상품화의 다층적인 사회문화적 맥락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 와인은 안동 출신 저항시인 이육사의 시 <청포도>를 모티프로 한 ‘문학작품의 이미지를 활용한 재현적 상품’이다. 소비재에는 문화적인 범주와 원리를 표현하는 코드와 기호가 함축되어 있고, 따라서 문화상품인 264 청포도 와인의 개발과 생산, 소비는 문화적인 작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64 청포도 와인의 개발 과정에서 서구의 기호를 담고 있는 ‘와인’이 상품화의 대상으로 선택된 것은 세계화의 영향을 수용한 결과이다. 와인은 근대 이후 한국 사회에 수입되었으니, 그것은 서구의 기호와 코드를 담은 상징물이었고, 따라서 한국사회에서 와인을 소비하는 것은 ‘서양문화’를 수용하는 것이다. 청포도 생과를 판매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그 대안으로 와인을 생산하기로 한 선택과 결정은 세계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와인병과 라벨 디자인의 변경 또한 세계화의 영향 속에서 수입 와인의 주류적 디자인을 따라가려는 가시화와 표상화의 결과이다. 둘째,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시인의 대표적인 저항시에서 착안하여 개발된 264 청포도 와인에는 민족주의적 의미가 담겨 있다. 264 청포도 와인의 작명방식은 숫자 ‘264’와 시인 ‘이육사’를 연결하고, 원재료명인 ‘청포도’를 시 <청포도>와 연결하는 간접적이면서 중의적인 것이다. 또한, 생산 주체는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양조하여 생기는 쓴맛과 떫은맛을 민족시인의 고된 생애, 그의 저항적 문학작품과 결합한다. 이는 식민지 경험에서 나오는 사회적인 공감과 의식을 통해 소비자에게 민족적인 저항의식을 일깨우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264 청포도 와인에는 와인이 개발·생산되는 지역이자 시인 이육사의 고향인 안동의 지역 정체성과 결합하는 지역주의의 맥락이 작용한다. 264 청포도 와인에는 ‘독립운동의 성지’이자 ‘정신문화의 수도’로 표방되는 안동의 지역 정체성과 고향을 배경으로 한 이육사의 시 <청포도>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안동의 대표인물로 상정되는 이육사의 시를 모티프로 삼았다는 점과 원재료 생산과 와인 양조가 모두 안동시 도산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지역주의의 맥락이 드러나고 있다. 넷째, 이육사와 같은 문중 구성원이 264 청포도 와인의 상품화 과정에서 개발·생산자가 된 것은 문중의식이 작동한 현상이다. 264 청포도 와인의 개발은 문중 구성원이 주도하여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할 때 문중의 유산이나 자산을 사용하는 것이 상당한 적합성을 가진다고 평가되었다. 이는 문중이라는 혈연공동체에 속한 개인의 사업 구성과 실천을 문중 전체로 확대하여 이해할 뿐만 아니라, 264 청포도 와인 개발과 생산이 이육사의 삶과 정신을 알리는 데도 나쁘지 않다는 문중의식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민족주의나 지역주의 영역에서는 개발자 겸 생산자가 생산한 기표(記標)와 소비자가 생각하는 기의(記意) 사이에 상호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반면, 세계화의 영향 속에서 개발된 상품화 배경과 개발자 겸 생산자가 이육사 문중 구성원이라는 사실은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다. 이는 개발자 겸 생산자가 표현하는 기표와 소비자가 받아들이는 기의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지역 출신 민족시인의 시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어떻게 상품을 개발하였으며, 어떠한 사회문화적 흐름과 맥락 속에서 다층적인 의미가 부여되었는지를 구명하고자 한 시도이다.

      • 대학생 정서관리를 위한 에듀테크 설계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박정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다양하고 복잡한 심리정서를 경험하는 대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정서적 대처를 통해 정서경험을 지속적으로 축적하며 정서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시 지원하는 에듀테크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설계⋅개발 연구방법론의 유형Ⅱ를 적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정서관리를 위한 모델을 도출한 뒤, 이에 따라 사례분석 및 기능분석 결과로 도출된 테크놀로지를 분류 및 종합하여 초기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그렇게 개발된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에 대한 내적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낸 후, 개발된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이 적용된 에듀테크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전체적인 타당성을 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 로 대학생 정서관리를 위한 에듀테크 설계원리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대학생 정서관리를 위한 에듀테크 설계원리로는 4개 영역 에 대한 12개의 원리와 33개의 상세원리, 132개의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대학생의 정서관리를 위한 영역은 정서인식, 정서이해, 정서조절⋅표현, 정서성찰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서인식을 지원하는 ① 정서명명의 원리와 ② 정서진단의 원리, 정서이해를 지원하는 ③ 원인파악의 원리, ④ 결과추론의 원리, 정서조절⋅표현을 지원하는 ⑤ 인지교정의 원리와 ⑥ 전환의 원리, ⑦ 이완의 원리, ⑧ 긍정화의 원리, ⑨ 자원활용의 원리, ⑩ 관계의 원리, 정서성찰을 지원하는 ⑪ 피드백의 원리, ⑫ 통찰의 원리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상세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에듀테크 프로토타입은 각각의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융통성 있게 반영하여 마이홈과 감정정보, 감정서랍, 감정기록, 감정케어, 커뮤니티, 마이정보, 설정 총 8가지 메뉴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메뉴는 대학생의 정서관리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융통성 있게 여러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통합하여 구현되거나 맥락에 따라 변형되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 이론 및 정서관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정서관리를 위한 모델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에 흩어져있던 정서 관련 테크놀로지를 종합하여 에듀테크 설계원리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에듀테크 설계원리와 프로 토타입은 정서관리뿐만 아니라 정서역량 개발이나 정서 지원 등을 위한 에듀테크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대학생, 정서, 정서관리, 에듀테크, 설계원리, 프로토타입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tech design principles and prototype for providing ongoing support to college students’ emotional management that continuously accumulate emotional experiences by clearly recognizing their emotions and appropriately dealing with them. To address this goal, This study was used typeⅡ of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ly, deriving a model for emotional management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Then, categorizing and consolidating technologies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and functional analysis according to these model to create initial design principles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And expert validation of these principles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was conducted twice. Finally, the prototype integrating these principles and guidelines was implemented and conducted expert validation. From these proceeding, This study was developed final Edutech design principles and prototype. Consequently, the Edutech design principles for college students’ emotional management were developed to 12 design principles about four emotional management areas and 132 Edutech design gudielines about 12 design principles. The emotional management area were consists emotion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emotion regulation⋅expression, and emotion reflection.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 recognition included 1) Emotion Labeling and 2) Emotion Diagnosis,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 understanding included 3) Cause Identification and 4) Outcome Inference,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 regulation⋅expression included 5) Cognitive Correction and 6) Transition, 7) Relaxation, 8) Positivization, 9) Resource Utilization, 10) Relationship, and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al reflection included 11) Feedback and 12) Insight.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were developed these 12 principles. The Edutech prototype applying these Edutech design principles was structured into eight menus-My home, Emotional Information, Emotion Drawer, Emotion Record, Emotional Care, Community, My Information, and Settings. Each munu was designed to effectively support college students’ emotional management by integrating multiple design principles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riving an model of emotional management from theories and prior research and consolidating dispersed emotional technologies into design principles and a prototype according to model of emotional management. Additionally, the developed EduTech design principles and prototype offer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EduTech, not only for emotional management but also for enhancing emotional competency and support, providing a cornerstone for future developments. * Keywords: College student, Emotion, Emotional Management, Edutech, Design Principle, Prototype

      • 시설 내 수경재배에서 암면 및 코이어 배지에 따른 딸기와 토마토의 생육 및 생산성 비교

        안철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딸기(Fragaria x ananassa)는 경제성이 높은 작물로, 시설에서 인공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의 이용이 늘고 있다. 딸기의 생육과 과실 생산성 및 품질은 인공배지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인공배지는 물리화학적 특성이 달라 작물과 재배조건을 고려한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면과 코이어 배지의 이용에 따른 딸기의 생육, 생산성 및 품질비교를 위해 진행 되었다. 실험은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3P 자동제어온실에서 행잉베드를 이용한 수경재배로 진행되었다. 암면(1000 × 150 × 75mm, UR media, Korea)과 코이어 배지(Coco-Peat, Satis international Co., Ltd, Sri lanka)를 사용하여 딸기 ‘설향’을 재배하였다. 2019년 11월 6일부터 매주 엽수, 엽병장, 엽장, 엽폭 및 관부직경을 조사하였다. 2주 간격으로 과실을 수확하여 생체중 및 건체중을 화방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과실의 당도, 산도, 경도는 각각의 화방에서 개체별로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후 지상부 생체중 및 건체중은 파괴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딸기의 엽수, 엽병장, 관부직경은 코이어배지 재배에서 가장 높았고, 지상부 생체중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과실수, 수확량은 암면배지 재배에서 가장 높았으며, 2화방에 비해 1화방에서 처리간 차이가 컸다. 따라서 겨울철 온실에서 코이어에 비해 암면배지를 이용하여 재배 할 경우 더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고, 배지에 따른 딸기의 적절한 생육 조절이 딸기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decomposition of recalcitrant contaminants by reduction - oxidation sequntial process, B-ZVI

        홍현표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지하수, 토양 오염 처리 방법 중 높은 효율의 처리 방법으로 고려되는 기술은 원위치 화학적 산화공법(ISCO, In-Situ Chemical Oxidation)으로써, 인구 밀도가 높고, 국토 사용 면적이 넓은 대한민국에서 그 활용방안이 기대될 수 있다. 하지만, 원위치 화학적 산화공법은 화학 반응 중의 산화반응에 기초한 기술로써, 일반적으로 전자구인성이나 할로겐족으로 산화된 친전자성 유기화합물에는 산화의 반응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ISCO는 난분해성 물질의 저감을 위해 산화제가 과다 소모될 수 있으며, 그 대안으로 환원 반응에 기초한 투수성 반응벽체(PRB, Permeable Reactive Barrier)나 원위치 화학적 환원공법(ISCR, In-Situ Chremical Reduction)이 기대될 수 있다. 하지만, 두 기술 모두 화학적 환원에 기초한 기술로써, 일반적으로 환원 부산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환원적 부산물은 환경이나 인간에 대하여 독성을 갖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투수성 반응벽체에 반응 물질로 사용하는 영가철(ZVI, Zero-Valent Iron)의 경우, 난분해성 물질에 반응성이 낮다는 것은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영가철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팔라듐, 플래티넘, 니켈과 같은 촉매 금속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팔라듐(Pd, Palladium)을 사용한 Pd/Fe는 이전의 연구들을 통하여 뛰어난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팔라듐은 촉매 금속으로써 경제성이 떨어지는 금속이다. 본 연구에서는 나이트로벤젠(Nitrobenzene)과 육염화에탄(Hexchloroethane)을 모델 화합물로 선정하여 지중에서 효율적 처리를 위한 환원 후, 산화 연계한 처리의 기초 실험과 Pd/Fe의 합성과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Pd/Fe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합성을 위한 Pd의 최적 및 최저의 합성 농도 도출과 동일한 합성 농도에서 효율적인 합성법을 도출하였으며, 합성된 Pd/Fe와 환원 후, 산화 연계처리를 이용하여 모델 화합물에 적용 및 성능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Pd/Fe는 0.006 ~ 0.050 wt.%의 질량비율로 각각 합성되었으며, Pd/Fe에서 Pd의 최적 및 최저 농도는 0.025 wt.%의 ZVI 대비 Pd 질량비로 나타났다. 또한, 0.025 wt.%이상 농도에서는 모델 화합물들의 환원 효율 증가가 보이지 않았다. 모델 화합물로 선정된 육염화에탄과 나이트로벤젠은 각각 할로겐족 중의 염소와 전자구인성기인 나이트로기(-NO2)로 각각 산화된 유기오염물질로써, 각 농도 별 합성된 Pd/Fe는 육염화에탄 환원에서 P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나이트로벤젠의 환원에서 반응속도 증가는 육염화에탄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염소로 산화된 육염화에탄에서는 Hydrogenation보다 탈염소작용이 일어났으며, 이는 알려진 바와 같이 염소로 산화된 탄소 화합물에 반응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나이트로기(-NO2)로 산화된 나이트로벤젠에서는 Hydrogenation이 일어났으며, Pd의 촉매작용이 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동일한 0.025 wt.%의 농도를 이용하여 1, 5, 10회의 횟수로 각각 다중 코팅을 진행한 결과, 다중 코팅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모든 모델 화합물의 환원 반응성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모델 화합물은 환원 후, 산화연계 처리의 적용을 위해, ZVI를 이용하여 환원 실험 및 과황산과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육염화에탄의 경우,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환원 반응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환원 경로 중 베타제거(β-elimination)을 통하여 과염화에틸렌(Perchloroethylene)이 형성되었다. 나이트로벤젠의 경우, 펜톤과 환원반응에 반응성을 보였으나, 활성화된 과황산을 이용한 산화는 반응성이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아닐린이 환원 부산물로써 형성되었다. 따라서, 각 부산물이 형성된 환원 반응기에 과황산을 주입하여 반응기 내부에 용해된 철이온과 ZVI에 의한 활성 반응을 유도하였으며, 그 결과, 환원 후, 산화 연계처리를 이용하여 모델 화합물과 환원 부산물이 완전히 분해되었다.

      • 혼례복 착용 양상으로 본 혼례의 의미 변화

        김소영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wedding culture of rural communities through the wedding outfit and shed a light on the change of meaning in wedding. For this endeavor, Jeungsu Village at Sugok 2-ri Pungsan-eup, Andong-si, Gyeongbuk and a nearby Hadong Village at Su-1-ri are surveyed at the locality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bibliographic data. As the change of perception on the type of wedding outfit and experience in wearing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generation, gender, economic condition or others, such aspects are considered to survey on the trend of wearing the wedding outfit.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 First, at the survey sites, the groom and bride (currently, the generation of parents) wore the traditional wedding outfit to hold the Daerye (grand ceremony) and Pyebaek ceremony (traditional ceremony to pay respect to the groom's family by the newly-wedded couple) up to 1970s. The groom worn Danryeong (official uniform) with the Samogwandae (one of Korea's traditional cloth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ile the bride had a skirt and jacket with Jokduri (bride's headpiece worn at a Korean traditional wedding) without the Wonsam (woman's attire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Pyebaek ceremony was done only the bride with the full dress. This type of trend in wearing the wedding outfit is the product of discriminating culture against woman as displayed in the wedding of the surveyed sites up to 1970s. Second, the children generation won the western-style wedding outfit for the Daerye outfit and the traditional wedding outfit for the Pyebaek outfit. For the case of the children generation, and when the Daerye is held, the groom wears suit or tuxedo and the bride wears a wedding dress. And the Daerye outfit of the bride became more high class than that of the groom to have the emerging phenomenon of the reversed status of wedding outfit. In addition, from the children generation, the Pyebaek ceremony is held with both groom and bride grew up and the design of such Pyebaek outfit was not a high-class one but it was basically a traditional one. Third, with the western-style wedding becoming more in common, groom and bride may select the Daerye outfit, but they could not select the Pyebaek outfit. Up to 1970s, the affairs of a family were determined by the elders in the family that the Daerye outfit was not an option. However, at the time of the children generation holding the wedding, the society has changed for the groom and bride taking the initiative to determine the wedding that the Daerye outfit is selected relatively at will. But, the Pyebaek outfit could not be a subject of option as the ones available at the wedding premises were used. Fourth, in the western-style wedding, the perception of bride regarding the experience of wearing the Daerye outfit has changed, but the perception of groom has been similar to the parent generation with the traditional wedding was more prevalent in general. The perception of parent generation on the experience of wearing the traditional wedding outfit was the sense of instability for bri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instability for groom. However, when selecting the Daerye outfit by the children generation, the perception on the experience of wearing the Daerye outfit was changed depending on wearing the preferred Daerye outfit while respecting the opinion of bride. But, for the case of the groom, the experience of wearing the Daerye outfit was similar to the parent generation. The Pyebaek outfit was not an option, but the display of discontents on it was rare.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Pyebaek ceremony was a family-unit ceremony. Fifth, when a wedding is taken place today, it is identifiable for any change of meaning and duplicity of the wedding through the duplicity of wedding outfit to wear the traditional wedding outfit in the Pyebaek ceremony and the western-style wedding outfit in the Daerye. For the open ceremony, Daerye, the western-style wedding outfit was worn. And in the family unit ceremony, Pyebaek, the wedding outfit is worn as indicating of duplicity found in the contemporary wedding ceremony. The Daerye of the parent generation that had the groom and bride required to wear the traditional wedding outfit without any right to choose was the ceremony for family community where parents, groom and bride are all main bodies of the ceremony, but today, the Daerye outfit for the western-style wedding is selected by groom and bride that the Daerye has transformed to the groom and bride-oriented ceremony. Sixth, in the traditional wedding practice of the survey sites, the Daerye outfit is the method to respect groom, but in the western-style wedding ceremony, the Daerye outfit is a way of respecting bride. The western-style wedding outfit is generally worn with the growth of women's right, people begins to respect the opinion of the bride in relative terms when selecting the Daerye outfit, and because of this, the bride has emerged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Daerye. And, seventh, when the traditional wedding is held,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of wedding outfit following the economic level for the subject of ceremony, but when the western-style wedding is hel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erye outfit following the economic level for the subject of ceremony. The traditional wedding outfit is not influenced on the economic level of groom and bride at all, but for the case of western-style wedding, the range of option for the Daerye outfit is broader with the economic level gets high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wedding culture through the wedding outfit by breaking away from the trend of existing wedding outfit studies that had the focus onl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disclose the changes in meaning of wedding. 이 연구의 목적은 혼례복을 통해 농촌사회의 혼례문화를 살펴보고 나아가 혼례의 의미 변화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북 안동시 풍산읍 수곡2리 증수마을과 인근 마을인 수1리 하동마을을 현지조사 하여 수집된 자료와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혼례복의 형태와 착용 경험에 대한 인식 변화는 세대별, 성별, 경제적 여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기에,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혼례복 착용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지에서는 1970년대까지 신랑·신부가(현재의 부모세대) 전통혼례복을 착용하고 대례와 폐백례를 치렀다. 신랑은 단령에 사모관대 차림을 했고, 신부는 원삼 없이 치마저고리에 족두리 차림이었다. 다만, 폐백례는 신부만 성장(盛裝)하여 치렀다. 이러한 혼례복 착용 양상은 1970년대까지 조사지의 혼례에서 나타나는 여성차별적 문화의 소산이다. 둘째, 자녀세대는 대례복으로 서구식 혼례복을, 폐백복으로 전통혼례복을 착용했다. 자녀세대의 경우 대례를 치를 때 신랑은 양복 혹은 턱시도를, 신부는 웨딩드레스를 입었으며 신랑보다 신부의 대례복이 일찍이 고급화되면서 혼례복의 위상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자녀세대부터 폐백례는 신랑·신부 모두 성장하여 치르게 되었고 폐백복의 디자인은 고급화되었으나 기본적으로 전통적 형식이었다. 셋째, 서구식 혼례가 일반화되면서 신랑·신부가 대례복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지만 폐백복은 선택할 수 없었다. 1970년대까지는 집안의 대소사를 집안 어른들이 결정하는 것이었으므로 대례복을 선택할 수 없었다. 그러나 자녀세대가 혼례를 치른 시기에는 신랑·신부가 혼례를 주도적으로 결정하는 사회로 변화되었기 때문에 대례복을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폐백복은 예식장에 구비된 것을 그대로 착용하였기에 선택대상이 될 수 없다. 넷째, 서구식 혼례에서 대례복 착용 경험에 대한 신부의 인식은 변화되었으나 신랑의 인식은 전통혼례가 일반적이던 부모세대와 유사했다. 부모세대의 혼례복 착용 경험에 대한 인식은, 신부의 경우 불안감이었고 신랑의 경우 책임감과 불안감이다. 그런데 자녀세대부터 대례복을 선택할 때 신부의 의견을 존중해주면서, 선호하는 대례복을 입는 것에 따라 대례복 착용 경험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그러나 신랑의 경우 대례복 착용 경험은 부모세대와 유사하다. 폐백복은 선택 대상이 아니었으나 이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는 경우는 드물었다. 폐백례가 가족단위 의례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오늘날 혼례를 치를 때 대례에서 서구식 혼례복을, 폐백례에서 전통혼례복을 착용하는 혼례복의 이중성을 통해 혼례의 이중성과 의미 변화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공개의례인 대례에서 서구식 혼례복을 착용하고, 가족단위 의례인 폐백례에서 전통혼례복을 착용하는 것이 현대 혼례의 이중성이다. 신랑·신부에게 선택권이 없는 전통혼례복을 착용하고 치른 부모세대의 대례는 부모와 신랑·신부가 모두 의례주체인 가족공동체 의례였지만, 오늘날 서구식 혼례의 대례복은 신랑·신부가 선택한 것이기에 대례는 신랑·신부 중심 의례로 변화되었다. 여섯째, 조사지의 전통혼례에서 대례복은 신랑을 존중하는 형식이었으나 서구식 혼례에서 대례복은 신부를 존중하는 형식이다. 서구식 혼례복 착용이 일반화되고 여권이 신장되면서 대례복을 선택할 때 상대적으로 신부의 의견을 존중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신부가 대례의 주인공으로 부상하였다. 일곱째, 전통혼례를 치를 때는 의례주체의 경제수준에 따른 혼례복 차이는 거의 없지만, 서구식 혼례를 치를 때는 의례주체의 경제수준에 따라 대례복에 큰 차이가 생겼다. 전통혼례복은 신랑·신부의 경제수준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서구식 혼례에서는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대례복 선택의 폭이 넓다. 이 연구는 형태적 특징에만 주목했던 기존의 혼례복 연구 경향에서 탈피하여 혼례복을 통하여 혼례문화를 이해하고 혼례의 의미 변화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아우라(AURA) 경험을 위한 고전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 연구 : 최치원 문학관을 중심으로

        최병근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아우라(AURA) 경험을 위한 고전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 연구 :최치원 문학관을 중심으로 국립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고전문학전공 최 병 근 본 연구는 고전의 작가와 문학을 전시하고 있는 고전문학관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여 어떤 방식으로 수용자에게 아우라 를 전달하고 재생성할 수 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고전문학관 중 의성군에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최치원 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을 분석 하고 최치원 역사공원, 최치원 기념관이라는 각각 다른 전시 공간들과의 비교를 통해 고전문학관의 특징과 의의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현재까지 논의된 문학관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본 연구 에서 중심이 되는 고전문학관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발터 벤야민 이 주장한 아우라(AURA) 개념을 중심으로 예술작품의 재(再)아우라, 아우라 없 는 아우라 등 원본이 아닌 복제와 모방을 통해 재현된 예술작품에서도 아우라 경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 개념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 다. Ⅲ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개념을 토대로 하여 고전문학관 중 최치원 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과 아우라의 경험을 위한 최치 원 문학관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최치원 문학관의 전시 양상 을 작가, 작품, 사상이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최치원 문학관 외 최치원 역사공원, 최치원 기념관이라는 다른 전 시 공간의 전시 스토리텔링 양상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전시 공간별 의미와 고전 문학관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향후 고전문학관의 건립과 운영에 대 한 제언과 동시에 과거의 문학작품에서도 충분한 아우라를 관람객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전문학관만의 전시 스토리텔링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 였다. 앞선 논의를 통해 최치원 문학관이 고전문학관으로써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 지만 전시의 배치, 작품에 대한 설명과 해석 등 전시 스토리텔링이 제대로 적용 되지 못한 부분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고전문학의 아우라 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시물에 대한 충분한 설명, 명확한 고전문학 자료에 대한 해석과 전달, 관람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적절한 전시물의 배치, 인터랙티브, AR, VR 등 새로운 매체의 적용을 통한 관람객의 참여도 향상이 전시 스토리텔 링에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전문학관의 전 시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전시공간에 문학자료를 배치하는 것을 넘어 전시 기획 자의 의도와 더불어 관람객 스스로가 아우라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작가와 작품, 그리고 관람객을 함께 연결시켜 주는 보조적 장치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본 연구 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결국 고전문학관의 전시 스토리텔링은 고전문학의 전달 과 전승, 그리고 문학작품에 담겨있는 작가의 삶, 감정, 경험의 아우라를 충분히 관람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주제어: 최치원 문학관, 고전문학관, 아우라(AURA), 재현, 전시 스토리텔링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박명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 요약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안동대학교 대학원 생활복지학과 가족·아동 상담전공 박 명 훈 인간의 발달 과정 동안 특히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의 시기를 지나 초기 성인기로 들어서는 과도기적인 단계로서 역할변화 및 환경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한다(김순혜, 김정원, 2003). 이처럼 대학생 시기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과 위기 상황에서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요인이자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중요성이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변화를 맞는 대학생 시기의 적응과 대인관계를 비롯한 삶의 만족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변인이기 때문에, 대학생 시기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변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부모애착과 거부민감성을 선정하여, 부모애착에 따른 영향을 받는 자아존중감이 거부민감성을 거쳐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앞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거부민감성을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도구로는 옥정(1998)이 수정·보완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PPA-R)와 한기백(2013)이 번안한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RSES)를 사용하였으며, Downey와 Feldman(1996)이 개발한 척도를 한국문화에 맞게 타당화한 박명진과 양난미(2017)의 거부민감성 척도(RSQ)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거부민감성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직접적으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애착이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주고, 다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이라는 인지적 취약성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매개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부모애착 관계 형성을 통한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는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에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향후 중요한 타인과 맺은 애착관계 속에서 거부민감성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높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핵심어(keyword) : 대학생,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자아존중감

      • 영동과 안동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 및 중금속 제거 효율 연구

        송혜원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일라이트(Illite)는 Ralph E. Grim에 의해 미국 일리노이주(State of Illinoi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운모류 점토광물로 퇴적암, 그 중에서도 특히 셰일에서 흔히 산출되는 층상규산염광물이다. 일라이트의 화학 조성은 K0.8-0.9(Al, Fe, Mg)2(Si, Al)4O10(OH)2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출지에 따라 화학조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일라이트는 형태에 따라 의약품, 건축마감재, 화분재, 필터재료 등으로 많은 활용이 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로는 주로 흡착을 이용한 연구들로 방사성 세슘 흡착 특성연구, 중금속 흡착 효과 연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동 일라이트와 안동일라이트의 광물학적 규명을 밝히고 일라이트의 흡착능을 이용한 제조비드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일라이트는 Quartz, Albite, Illi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 일라이트에는 Hematite와 Calcite가 포함되어있었다. 일라이트의 소성 전 후 성분변화는 없었으며, Illite의 피크값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각 일라이트의 pH 상승능력은 소성 전일 경우, AD-02&gt;Kaolinite&gt;YD-0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소성 후 경우, AD-02&gt;Kaolinite=YD-02 순으로 pH 상승이 높게 나타났다. 비드의 경우 종류별시 YD-02-Bead, AD-02-Bead 비슷한 상승능력을 가지고 있다. 각 일라이트의 함량별에 따른 pH 상승능력은 YD-02-Bead 경우, Illite의 함량이 많은 순으로 pH 상승이 높게 나타났으며, AD-02Bead는 Illite와 Calcite의 함량이 많을수록 pH 상승이 좋게 나타났다. 각 일라이트의 중금속 제거 효율에서 YD-02-Bead는 전체적으로 4hr에 중금속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Cr 항목은 모든 비드에서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YD-02 함량에 따라 제조한 비드에서는 제조 비드내 일라이트의 함량이 많은 YD-02-Bead20&gt;YD-02-Bead35&gt;YD-02-Bead30 순으로 제거 효율이 좋게 나타났다. AD-02-Bead에서 또한 비드에 Illite와 Calcite의 함량이 많은 AD-02-Bead 35&gt;AD-02-Bead30&gt;AD-02-Bead20 순으로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에 차이는 있으나 특정 중금속 항목인 Cr, Cu, Fe, Pb 항목에서는 최종적으로 0 ppm에 수렴하는 제거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llite의 함량이 많을수록 중금속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과 영동 일라이트 보다 Calcite 성분이 있는 안동 일라이트가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있었다. 이에 Mg(OH)2만 함유한 비드보다 Illite가 포함된 비드의 pH 상승 지속성이 높아 중금속 제거 효율이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각 일라이트의 중금속 제거 특성에 따라 중금속 제거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A STUDY O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MONGOLIAN UNIVERSITIES USING KANO MODEL AND PCSI INDEX

        빌렉자르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Kano 모델과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 index)를 활용한 몽골 대학들의 교육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국문 초록 최근 몇 년 동안 우리 세계는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정치적, 사회적, 기술적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 구조를 재편하고 개인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쳐 수요와 요구의 지형을 변화시켰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요구 사항을 인식하고 해결하는 방법이 크게 발전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에 맞춰 교육 서비스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대학의 교육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그체적으로 교육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정의하고, 개선을 위한 주요 서비스 품질 특성을 식별하고, 교육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 포함된다.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 index)는 제안된 전략 템플릿을 알리고 Kano, Timko 및 SERVQUAL과 같은 기존 모델의 통찰력을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대학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Kano와 Timko 모델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SERVQUAL 모델을 기반으로 품질 속성을 분류하고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PCSI는 Kano 모델에서 식별된 속성을 사용하여 개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CSI 지수는 서비스 기능이 완전히 충족되었을 때 서비스 기능이 고객 만족도를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114명 이상의 학부생이 참여했다. 현재 학생들의 교육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장 만족스러운 특성은 '대학교재자원 활용 준비도' 0.83이었고, 가장 불만족스러운 특성은 대학 캠퍼스의 청결도(-0.81)였다.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에 따르면, 학생 만족도 향상에 가장 유의미한 잠재력을 지닌 캐릭터는 '대학인증 자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은 서비스 개선을 위해 학생 만족도 개선지수를 기반으로 향후 실행 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계산된 PCSI 지수 결과를 바탕으로몽골 대학 내 학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PCSI 지수는 교육 서비스 내에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강력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걸쳐 서비스 품질을 분석하고 향상시키는 더 폭넓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핵심 주제어: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 SERVQUAL 모델, Kano 모델, Timko 모델,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 ABSTRACT In recent years, our world has undergone profound political, social, and technological shifts that resonate on a global scale. These transformations have reshaped the fabric of societies and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individual lives, altering the landscape of demands and needs. Consequently, how these needs are recognized and addressed has evolved significantly. As a result, there is an imperative for a fresh perspective in comprehending educational services to align with these dynamic chan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in Mongolian higher educational services. This involves defining the current degree of satisfaction, identifying key quality characteristics for enhancement, and proposing a strategic framework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index) will inform the proposed strategy template and leverage insights from established models such as Kano, Timko, and SERVQUAL. The Kano and Timko model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mong students 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aimed to classify quality attributes based on the SERVQUAL model and calculate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Additionally, the PCSI assesses improvement possibilities using the attributes identified by the Kano model. The PCSI index measures how much a service feature can enhance the deg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hen the feature is completely fulfilled. More than 114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hen measuring students' current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The most satisfactory characteristic was 'Readiness for use of university teaching material resources ' 0.83, while the most unsatisfactory was Cleanliness of the university campus ' (-0.81). According to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the character with the most significant potential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was 'University accreditation status’. Therefore, the university needs to revise its future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the PCSI student satisfaction index to improve its ser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PCSI results, our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enhancing student satisfaction with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ies. The PCSI index, introduced in this study, not only serves as a powerful tool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in educational services but also holds broader applicability for analyzing and enhancing service quality across various s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