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동작치료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이영주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aimed at being a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juveniles by conducting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considering their physical and mental aspects, and shoeing how the program affects the improvement in the personal relations in the adolescence. The study object consi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9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15 who volunteered for the experiment from 5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1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ampled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more than 10 times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for an hour, once a week for 12 weeks. We measured the changes by testing each group identicall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 came out on the basis of RCS(Relationship Change Scale), the measuring instrument, including 7 subordinate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Understanding.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as a preliminary test score, and ANCOVA having preliminary personal relations score as a variate was applied to see ant difference in 2 object groups after the program. Therefore, we reached the conclusion below. In the test of the RC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ny meaning difference. However in the posttest we saw some meaning differences;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showed in the group which went through with the program. It can be said that the program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Juveniles' personal relations. As a result of checking if the program took effect in accordance with each subordinate category of the RCS, there wasn't any differences in 2 groups for most categories excluding Affection in the preliminary test. In the other hand, the categories of the Satisfaction, Openness, Susceptibility of the juveniles' personal relations didn't look different in both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subordinate categories including Communications, Responsibility, Understanding, and Affection. In other words, the program didn't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penness, Susceptibility of the juveniles' personal relations, whereas it did an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s, Responsibility, Understanding, Affection. However, the affection in the relations turned out different in the 2 groups respectively in the preliminary. It can't be said wether the change of the Affection resulted from the program or no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신체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여 구성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러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그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5곳에서 스스로 자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9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만 주1회 1시간씩 12주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10회 이상 참여한 청소년 15명을 대상으로 표집을 하였다. 프로그램이 실시되기 전과 후에 동일한 검사를 사용하여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등의 7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대인관계변화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를 가지고 결과를 산출하였다. 먼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의 대인관계에 대한 차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 점수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있어서 대인관계 검사 총득점의 평균이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대인관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대인관계 하위검사에 대해 각각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대인관계 변화척도의 사전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후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두 집단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만 대인관계에서의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대인관계 변화척도(RCS)의 각 하위 영역별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를 살펴 본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대인관계 변화척도의 사전검사에서는 친근감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두 집단 간에 대인관계 변화척도의 사후검사에서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에서의 만족감, 개방성, 민감성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다른 하위영역들, 의사소통, 신뢰감, 이해성, 친근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서의 만족감, 개방성, 민감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의사소통, 신뢰감, 이해성, 친근감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단, 대인관계에서의 친근감은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후검사에서의 친근감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인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김성령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보다 건강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3곳에서 조사된 367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프로그램과 Sobel's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자기개념, 자아분화가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았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자기개념, 부모애착, 자아분화의 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간에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셋째,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간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성과 주체성을 가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개인적 변인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 감소를 위해 개인적 변인인 자기개념과 자아분화를 발달 및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It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adolescents to form healthier and smo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ources of 367 students attending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Sobel's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whether parents attachment,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affects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The correla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examined to find out that the parents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lso, self-concept had the strongest impact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llowed by parents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ion. Second,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parents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lessen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Third,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parents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lessen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ion. These findings manifest the importance of personal variables on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As the adolescence is a period where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subjectivity ar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variabl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re should be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to develop and improve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which are personal variables, to reduce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놀이치료자 경험 내러티브 탐구

        한희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t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in children with interpersonal trauma leads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play therapist and what it means. In this study, four participants who fit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elected through peer recommend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to five individual interviews. The narrative inquiry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finall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derived through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overwhelmed by the child's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such as abuse, neglect, or abandonment of the caregiver, and felt a heavy responsibility as play therapist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the child. Through this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laying the role of a play therapist as a “real relationship object” to assist in the recovery and healthy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rpersonal trauma and struggled to cope with it.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attempted to provide children with a sense of safety, to accept the traumatic experiences and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the children reveal during play therapy,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learn more about themselves and to be more open. However, the intervention process to respect the child's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was a challenge,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esponding appropriately to children's trauma experiences.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pect, empathy, and acceptance for children with a sincere attitud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reflected on their treatment experiences and recognized that it was insufficient to fully believe in the child's change and growth potential and intervene for the child to experience this belief. The study participants confirmed that through this reflective self-reflection, they accepted their limitations as a therapist and deepened their belief that they could recover and grow despite their traumatic experience. Fourth,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tective measures for children so that the child's interpersonal trauma does not recur, and for this purpose, they tried to actively intervene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to change the attitudes of parents and caregivers. However,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difficulty of interpersonal trauma play therapy is that parents or caregivers are not aware of their problems and avoid them and passively assist in the treatment proces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y therapist's self-reflection and self-care were important factors in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of experience of play therapy of children with interpersonal trauma. Self-reflection contributes to recognizing the meaning of the play therapist's own role in play therapy of children with interpersonal trauma and enhancing the therapist's ability to respond flexibly in consideration of each child's individuality. In addition, specific strategies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self-care for the therapist's prevention of surrogate trauma and the therapist's recovery should be prepared, and a virtuous cycle for the recovery of the child and the therapist's own should be established. This is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s for children with interpersonal trauma,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phenomenon itself was specifically revealed through the voices of play therapists. Through this, it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play therapists of children with interpersonal trauma to understand the phenomena, problems, and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and to find specific ways to solve them.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놀이치료자 경험이 놀이치료자 되어감(becoming)의 과정에서 어떻게 이어지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료추천을 통해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 4인을 선정하고 4~5회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연구자의 해석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양육자의 학대나 방임, 유기 등 아동의 대인관계 외상 경험 자체에 압도되었고 아동의 환경적인 다양한 제약으로 인해 놀이치료자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 경험을 통해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회복과 전인적 발달을 조력하기 위한 ‘진정한 관계 대상’으로서 놀이치료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감당해내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아동에게 안전감을 제공하고 놀이치료 과정에서 아동이 드러내는 외상 경험과 부정적 정서적 반응을 수용하며 아동이 자신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개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하지만 아동의 고유성, 개별성을 존중하기 위한 개입과정은 도전이었고 아동의 외상 경험에 대한 반응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진정성 있는 태도로 아동에 대한 존중, 공감,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치료 경험을 돌아보면서 이에 대해 반성했고 아동의 변화와 성장 가능성을 충분히 신뢰하고 아동이 경험할 수 있도록 개입했는지 불충분함을 인식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반성적 자기 성찰을 통해 치료자로서 자기의 한계를 수용하고 외상 경험에도 불구하고 아동이 회복하고 성장할 수 있음을 더 신뢰하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아동의 대인관계 외상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이를 위해 부모를 비롯한 양육자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치료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개입하고자 했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고 회피하며 소극적으로 조력하는 부모들에 대한 개입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놀이치료자들이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놀이치료에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중요한 요소는 자기 성찰과 자기 돌봄이다. 자기 성찰은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놀이치료에서 놀이치료자 자신의 역할의 의미를 인식하고 아동의 개별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치료자의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또한 치료자의 대리 외상 예방과 회복을 위해 놀이치료자가 개인적, 전문적 자기 돌봄의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실천할 때 아동의 회복과 놀이치료자 자신의 회복이 연결되어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놀이치료자 경험에 관한 연구로 현상 그 자체를 놀이치료자의 목소리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 아동의 놀이치료자들이 자신들이 겪고 있는 현상이나 문제,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인외상 경험 여성직장인의 포커싱적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종철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국의 직장에 재직하고 있는 성인 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성 직장인의 외상 후 성장에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각각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들에 근거하여 검증하였다. 대인관계 외상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전겸구, 김교헌(1991)의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Tedeschi와 Calhoun(1996)의 연구 및 Norris(1990)의 ‘외상 스트레스 사건목록’에서 사용된 외상 사건목록을 참고하여 제작된 ‘외상 사건 12목록’ 중 대인관계 외상이 될 수 있는 8문항(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배신 충격, 적응의 어려움, 대인관계 파탄 등)과 기타 1문항을 사용하여 총 9문항을 사용하였다. 외상 후 성장을 알아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Tedeschi와 Calhoun(1996)이 개발한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우리나라에서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2009)이 번역 및 타당화 작업을 거친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를 이용하였다. 포커싱적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주은선 등(2016)이 개발화 및 타당화한 한국판 포커싱적태도 척도 개정판(KFMS-R)을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 척도는 신우열 등(2009)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27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직장여성의 포커싱적태도의 하위요인들은 외상 후 성장의 하위요인들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포커싱적태도의 하위요인인 알아차리기, 여유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 받아들이기는 외상 후 성장의 하위요인인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종교적 관심의 증가 모두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회복탄력성의 제 요인과 외상 후 성장의 제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은 전반적으로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긍정성 또한 전반적으로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성은 영적·종교적 관심 증가와는 무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르는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의 차이가 있을 것인지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태도의 경우 연령, 가구소득, 자녀 유무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가구소득, 교육수준, 종교 유무, 주관적건강, 흡연여부와 관계를 드러냈다. 외상 후 성장은 연령, 가구소득, 교육수준, 혼인 여부, 근속년수, 종교 유무, 자녀 유무와 연관이 있었다. 셋째, 인구사회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종교 유무, 혼인 여부, 포커싱적태도 중 여유갖기와 되새겨보기, 회복탄력성 중 긍정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직장여성의 종합적인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이 효과들이 부정되거나 충분히 확실하지 않아,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은 각기 별개로 외상 후 성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 (A) study of group cinematherapy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황인식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A Study of Group Cinematherapy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Erikson (1959) stated that developing close and committed relationships is one of the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in the early adulthood years. The acceptance and sense of belonging that comes from positive relationships play a key role in identity establishment. In relation to Erikon’s theory, through this research, I have developed a group cinematherapy program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development’ 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at live on campus with other college students, living away from their parents. Additionally, I have tried to establish this program into a realistic and practical program. College years are the time when the range of an individua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rastically increases. For this reason, college years are also a time when frequent confus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ears. During the adolescence years, individuals focus only on studying for college entrance exams and develop limited relationships with others. However when one enters college, the individual is placed in an environment where he has to establish various relationships in different groups and gradually he may face stressful situations that he has not experienced before. Particularly, mak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a new environment can be stressful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not yet mature, who are apart from their family and considers their family to be the most intimate people to them. In effect, in the process of mak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ng with others, students can make mistakes by committing crimes and these issues should not be overlooked. Ultimately, I will use the action research, which i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review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and internal experience. I will limit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Christian college students who are alert in and are willing for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 will utilize the standpoint of exploration proposed by Patricia O'Connell Killen & John de Beer to discuss on the field of life and the Christian heritage. Through such process I will reveal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the group cinema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I have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is group cinema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constructed? 2) What changes does group cinematherapy program bring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3) What theological reflection is shown in group cinematherapy for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Group cinematherapy counseling is valued in terms of effectively handling various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in comparison to one to one, individual counseling with Christian or Pastoral counselors working in Christian ministries. To be specific, unlike individual counseling, the number participants becomes equivalent to the number of counselors, and the movie as a text itself works as a support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unseling. Group cinematherapy also has an advantage in verifying reality regarding new behaviors without fear through movies. Finally, in group cinematherapy, the sense of belonging, fellowshi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n be easily formed through internal communication and causal interactions among the Christian college students. All in all, group cinematherapy counseling has the power of providing instantaneous treatment effects. The environment allows personal problems to be revealed within a group and right after this revelation; the problem can directly be solved and corrected. Recently, various areas have tried similar treatment methods but most universities, public organizations and churches are oblivious of the possibility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 Therefore, if current universities, public organizations and churches take in the advantages of the researches results and use this program, many Korean Christian college students will be supported by the development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Erikson (1959)은 성인초기에 폭넓고 깊이 있으며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일은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로, 원만한 대인관계에서 오는 소속감과 인정이 자아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부모와 떨어져 집단생활을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향상과 인성 개발’을 돕기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선하고자 했다. 대학생들은 대인관계의 범위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다. 그러므로 대인 관계 속의 혼란도 많을 때이다. 청소년기는 대학입시 준비에만 집중하며 제한적인 관계를 맺는데 반해 대학환경에서는 다양한 소모임 속에서 다양한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시기이며 이에 따라 그 동안 경험해 보지 않았던 수많은 스트레스 상황에 접하게 된다. 특히 현 대학의 학생들처럼 자신과 가장 친밀한 존재였던 가족과 멀리 떨어져 있는 미성숙한 학생들은 새로운 환경 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일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인간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범죄행위에 버금가는 실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대학생 내담자의 대인관계 변화 과정을 주관적이고 내밀한 경험의 질적연구 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인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활용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를 대인관계에 대한 욕구와 인식이 있는 기독교인으로 제한할 것이다. 또한 Patricia O'Connell Killen & John de Beer가 제시한 탐구적 관점을 활용하여 삶의 현장과 기독교 유산에 대한 논의를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 경험의 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기독교대학생 대인관계 개선을 위해 연구자가 관심을 갖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기독 대학생의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이 되는가? 2)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은 기독 대학생 대인관계 개선의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3)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이 기독 대학생 대인관계 개선에서 신학적 성찰은 무엇인가? 이러한 집단영화치료 상담은 목회 현장에서 기독, 목회 상담자와의 일대일 관계보다는 기독 대학생들의 여러 가지 문제를 더욱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개인 상담과는 달리 집단원의 수만큼 상담자의 수가되고, 영화라는 텍스트 또한 조력자가 되어 상담의 효율성을 높인다. 그리고 영화를 통해 어떤 두려움 없이 새로운 행동에 대해 현실 검증을 해 볼 기회를 제공해 주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집단영화치료 상담에서는 기독, 대학생들 간에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내적 소통이 이루어지므로 소속감과 동료의식, 대인관계를 쉽게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단영화치료 상담은 자신의 문제가 집단 상황에서 확연히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집단의 환경과 문제가 노출 되고 나서 그 문제를 직접 치료하고 교정할 수 있는 즉각적인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힘이 있다. 최근에 많은 영역에서 이와 유사한 치료를 시도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과 공 기관, 교회는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원들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대학과 공 기관, 교회현장에서 본 연구 결과를 잘 활용한다면 한국 기독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의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 대인관계 원형 모형에 나타난 거절민감성의 대인관계 행동 특성 연구

        김희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거절민감성이란 타인의 모호한 행동을 거절로 지각하고 과잉 반응하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인 특성임에도 불구하고, 거절민감성의 특성에 대해 탐색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거절민감성의 대인관계 행동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거절민감성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는 대인관계 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대인관계 원을 통해 거절민감성이 타나내는 대인관계 행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총 109명으로(남 = 57,여 = 52), 그들은 거절민감성(RSQ), 대인관계 행동(KIAS-40) 그리고 갈등해결전략(ROCI-II)을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거절민감성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거절민감성을 대인관계 원 위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때, 갈등상황에서 거절민감성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갈등해결전략을 함께 살펴보았다. KIAS-40이 이루는 원을 통해 거절민감성과 갈등해결전략의 원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 원 위에서 비우호적이고 순종적인 사분면에 위치하였으며, 회피적이고 고립된 행동(FG)을 나타내는 영역 위에 위치하였다. 또한 원의 중심과 멀리 위치하여 앞서 언급한 행동이 거절민감성의 특징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에서 회피적이고 고립된 대인관계 행동으로 표현되며, 이 행동은 거절민감성의 두드러진 특성으로 밝혀졌다. 둘째,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 원 위에서 갈등해결전략 중 갈등회피전략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였고, 거절민감성과 마찬가지로 회피적이고 고립된 행동(FG)을 나타내는 영역에 위치하였다. 갈등상황에서 거절민감성이 높은 개인들은 회피전략을 사용하여 갈등을 다루며, 갈등상황에서 책임전가를 하거나 무관심한 대처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거절민감성이 순종적이고 비우호적인 성향을 보이고, 회피적이고 고립된 대인관계 행동 특성으로 나타나며, 특히, 갈등상황에서 거절민감성은 회피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이는 거절민감성의 특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보다 더 깊은 탐색의 결과로 볼 수 있다. Rejection sensitivity is a disposition to consider others ambiguous behaviors rejection and overreact to rejection. Rejection sensitivity disrup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nature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is study, 109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 RSQ, KIAS-40, and ROCI-II. To explore the nature of rejection sensitivity, located RSQ on interpersonal circumplex, KIAS-40. Moreover, to explore the natur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conflict, locate ROCI-II on interpersonal circumplex, KIAS-40. Following is the results of circumplex analysis. First, RSQ had significant interpersonal content; its angular placement was on KIAS-40 octant scales FG(Avoid-Isolated). Second, RSQ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voiding Strategy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ROCI-II). It appears that rejection sensitive individuals, as identified by RSQ, are more likely to resolve conflicts by avoiding, rather than compromising or integrating.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distinct interpersonal behaviors which are submissive-cold, avoid-isolated, avoiding strategies associated with conflict.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윤하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 collected data about rejection sensitiv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attering from 425 students who attended university in Seoul, Choong cheon-do, Kyong sang-do, South Korea through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mattering.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as also found between matter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Matter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informs us that improving mattering in counseling is helpful for facilita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whose rejection sensitivity is high.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충청도, 경상도 지역의 4년제 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거부민감성, 대인관계 유능성, 대인존재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대인관계 유능성 및 대인존재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대인존재감을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높은 거부민감성을 보이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상담 시 대인존재감을 이해하고 이에 개입하는 효과성 측면에서 논의하였으며,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대인관계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양정연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대인관계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서울 지역의 직장인 총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인관계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역량 변인 중, 신뢰감, 친근감, 개방성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 역량 변인 중, 의사소통, 개방성, 이해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 중, 자아수용, 삶의 목적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은 조직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역량의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으로 개인의 삶과 직장에서의 생활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몰입을 경험하고 구성원이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ployees’ interpersonalcompet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mediating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wo variables was examined.The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an onlinesurvey of a total of 200 people workers in Seoul. For data analysis,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influence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yvariables, trust, affection, and openness have a significant positive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communication,openness, and comprehens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mong the sub - variables of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of self - acceptance and life had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compet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are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balance the individual 's life and work life as an organizationalmember, and suggest that members can improve psychologicalwellbeing through individual subjective experience.

      • 대학생의 정서경험과 대인관계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매개효과

        김지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정서경험을 정적, 부적정서로 나누어 각각의 정서경험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적 정서경험과 대인관계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둘째, 부적 정서경험과 대인관계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충청 지역의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경험과 대인관계 그리고 정서표현의 부정적 신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적, 부적 정서경험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낮았다. 또한 정서표현의 부정적 신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 정서경험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의 부정적 신념은 낮았지만 정적 정서경험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정서경험과 대인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부정적 신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적 정서경험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의 부정적 신념이 매개변인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적 정서경험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부정적 신념이 의미 있는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경험한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eek out, in the process of how emotional experience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 a mediator for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The study consists of two main parts. First, this study will analyz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ff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ly, this study will analyz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s a means to collect data and verify the above hypotheses, a survey was taken from 309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 cheong province from the data retrieved to survey, the study was able to come to these conclusion: Fir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motional experience and its connec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s result, the more negative affect less the degree of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 Similarly, the mor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s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 Similarly, the more negative affect less the degree of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Similarly, positive emotional and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s was not connection. thus, A study for first can not verify. Secondly, the study tried to determine analyz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that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do indeed serve as mediating variables. This study proposes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expression which forms an apology and the emotional clarification. Additionally, the brief summary and discussion is presented.

      • 학교유형이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 및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영섭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유형이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 및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중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중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염동수(2004)가 재구성한 대인관계욕구 척도와 김종환(2008)이 중학생을 대상으로 재구성한 체육수업몰입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한 분석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변인에 따른 대인관계욕구 및 체육수업몰입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욕구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인관계욕구의 하위변인인 포함욕구, 통제욕구, 애정욕구에서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몰입의 하위변인인 자기 목적적 경험과 통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체육수업몰입의 하위변인인 자기 목적적 경험과 통합, 체육수업내용에서의 몰두, 수업행동의 의식일치, 도전과 통제감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 및 체육수업몰입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는 학교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육수업몰입의 하위변인인 자기 목적적 경험과 통합, 체육수업내용에서의 몰두, 수업행동의 의식일치, 도전과 통제감은 학교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는 체육수업몰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대인관계욕구가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욕구의 하위변인 중 포함욕구, 애정욕구는 체육수업몰입의 하위변인인 자기 목적적 경험과 통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통제욕구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함욕구, 애정욕구는 체육수업몰입의 하위변인인 체육수업내용에서의 몰두와 도전과 통제감에 정(+)적인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정욕구는 수업행동의 의식일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학교유형은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 및 체육수업몰입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대인관계욕구와 체육수업몰입을 고려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확대시키고 학습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hool types on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o that end, 373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a measurement tool for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was recomposed by Yum Dong Su(2004)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commitment tool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was recomposed by Kim Jong Hwan(2008) was revised for this study’s questionnair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ross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 class stud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genders. But the sub-variables of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are the need to be included, the need to control and the need for affection showed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chool years. Male students ranked higher than female in the sub-variables of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such as self-purposeful experience and integration. The sub-variables of self-purposeful experience and integration, concentration on the content of the physical class education, coherence between class behavior and consciousness, challenge and control showed difference across school years. Second, there was partial difference in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ween different school types.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across school types. There were differences across school types for the sub-variables of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is, in self-purposeful experience and integration, concentration on the content of the class, coherence between behavior and consciousness, challenge and control.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partial effect on the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variables of needs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is, the need to be included and need for aff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purposeful experience and integration but the need for 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The need to be included and need for aff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hallenge and control, which are all sub-variables of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need for aff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herence between classroom behavior and consciousn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ypes of school have a partial effect on the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program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take these factors into account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fficient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