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수근 회화의 모더니즘적 특성 연구

        정혜진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ark, Su-Geun(1914~1965) is the most famous artist of western painting in Korea. We can feel very modern in the modest colors, simple figures and many piled unique matieres of his work. Although his paintings were drawn in the Japan's colonial rule and 1950's Korean War, it represents modern sense and characteristics except traditional subject matters. This means that we feel the modernism in his work. The modernism is very ambiguous and flexible, so we hardly define it as a word. Therefore we are trying to study what the modernism means and a link between his paintings and modernism in this thesis. His paintings have been evaluated and held in high esteem mainly in terms of his life and work itself. Just a few art critics reported that some characteristics of his work are on the modernism way. Generally, Korean modernism i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one is the early modernism in 1930's and another is abstract expressionism in the before and after of 1957 including avant-garde art after that. And the western painting trend of 1930's and 1940's is also divided into two parts. The one is fauvism by Gu, Bon-Woong and Lee, JungSeob and another is abstractionism by Kim, Hwan-Ki and Yoo, Young-Guk. It was affected by western impressionism and abstract expressionism. Park, Su-Keun had worked from 1930's to 1960's and his early paintings were academic and traditional things. Because he could be enrolled in authorized artists through contest which focused on academic painting trend and was educated in art institute. People and shape of house was simplified in 1940's. In 1950's, the simple figures and space became more sophisticated and modern and it would make his own and unique art area. In second chapter, we will study lexical meaning of modernism and the modernism which is defined by Clement Greenberg who is the most famous modern art critics. The modernism covers whole art area which is related with modernity, especially it means sensuous, abstract and surreal movements like expressionism, futurism, and formalism. Those movements is called the modern art in EU and America, but it is a kind of resistance against the realism which is the root of 19th century arts and avant-garde art after the World War I. Clement Greenberg combined aesthetics of formalism which is called the modernism with history of progressivism and his theory is based on autonomy of arts and made special area. He said that the all elements of drawings were passive factor but it was recognized as active factor in modernism era. It means that the limited elements of draws like plat surface, shape of canvas and feature of paints was accepted as active factor. So paintings deviated from the custom like describing some objects and moved to "The flat features can not be compared and shared with any other arts." Greenberg made the principle of modern abstract art by combining the descriptive factors of romantic paintings with pure concept. In the Park, Su-Geun's movement from academic drawing to simple and abstract drawing, we can see a modernism way like the flat features of Greenberg and Paul Jackson Pollock's 'All over painting'. The simplify of images, flat features and deep matieres of informel paintings is the similar character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is supported by Greenberg. Park, Su-Guen used limited colors including matiere and represented monochrome features to express traditional sense and emotion of Korea by eliminating useless image and thought. It is hard to say that he is a modernist, but he overcame the imitation of modernism and expressed ethnic characteristics and left his own mark on the history of Korean fine art. He described common people's life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1950's Korean War and made the western modernism into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Park SuGeun's work is being revaluated in terms of Korean modern art and world art history, therefore this thesis will consider his work in the two respects. 박수근은 1914에서 태어나 1965년에 생을 마감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양화가이다. 그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절제된 색채와 단순한 형태 그리고 여러 겹 쌓아올린 특유의 마티에르, 명암법을 배제한 점 등에서 작품이 굉장히 현대적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작품 제작시기가 일제의 강점기였고 6.25 전쟁의 아픔을 겪던 1950년대 전후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소재의 선택을 제외한다면 그의 작품은 현대적인 감각과 특징들이 느껴진다. 즉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적인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모더니즘은 그 의미가 굉장히 모호하며 유동적이다. 한마디로 정의내릴 수 없는 것이 모더니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의미에 대해 연구해보고 과연 모더니즘은 무엇이며 그것이 박수근 작품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연구해 보는 데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박수근 작품의 가치와 평가는 그의 생애와 삶과 작품에 대한 분석적인 평가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더니즘적인 시각에서 그의 작품을 분석한 경우는 많지 않다. 몇몇의 미술 이론가들과 평론가들이 그를 모더니즘적인 특징이 엿보이는 작가로 평가한 정도이다. 한국의 모더니즘은 통상, 전전인 1930년대에서 시작되는 초기 모더니즘과 1957년 전후를 통해 일어난 추상표현주의 운동에서 이후의 전위적 미술양식을 통칭하는 것으로 크게 이분해 볼 수 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친 일본을 통해 받아들인 새로운 서구의 회화사조는 주로 구본웅, 이중섭 등을 중심으로 하는 야수파적인 경향과 김환기, 유영국 등을 중심으로 하는 추상파적인 경향의 이대조류로 크게 나뉜다. 이것은 서구의 인상주의와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박수근은 1930년대부터 60년대까지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그의 초기 작품은 전통적인 회화양식을 받아들인 아카데믹한 것들이었다. 1940년대에 이르러 화면안의 인물들과 가옥의 형태가 전반적으로 단순화 되어갔고 1950년에는 그러한 형태와 여백의 처리가 더욱 세련되게 단순해지며 모던해졌다. 이후 1960년대에는 세련된 형태와 표면의 질감은 거칠어지며 박수근만의 독창적인 회화 세계를 완성시켜갔다. 그의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은 구상회화에 가깝다. 그러나 조형적인 면과 기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모더니즘 회화 양식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박수근 회화의 모더니즘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특성을 통해서 본 박수근 회화의 미술사적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모더니즘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고 현대 미술의 대표적인 미술비평가인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모더니즘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더니즘이라 불리는 형식주의 미학과 진보주의 사학을 결합시킨 그린버그의 미술론은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미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 미술을 그 무엇과도 다른 특수한 영역으로 분리해냈다. 그린버그에 의하면 회화의 매체가 갖는 특성들은 과거의 부정적인 ‘소극적인 요소’로부터 모더니즘 회화에 와서는 ‘적극적인 요소’로 인정받게 되었다고 말한다. 즉 회화 매체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한계인 평평한 표면, 캔버스의 형태, 물감의 속성 등을 적극적인 요소로 수용하는 일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렇듯 매체를 통해 자신을 규정해가는 과정에서 회화는 구체적 대상이나 사물의 묘사를 떠나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다른 어떤 예술과도 공유되지 않는 회화만의 유일한 존재론적 조건인 평면성, 즉 이차원성”으로 향하게 되었다. 이러한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미술론은 박수근 작품에서도 연관성을 보인다. III장에서는 박수근 작품의 모더니즘적인 특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러한 특성으로서는 우선 조형적 측면에서 이미지의 단순화와 화면의 평면성을 들 수 있다. 화면 속 이미지의 단순성은 야수파 이래 내려오는 현대미술의 특성이라 할 수 있으며 평면성 또한 모더니즘의 한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박수근은 원근감이나 명암을 배제하여 평면화법으로 현실적 공간을 상실시키고 단순한 묵선으로 사물을 표현했다. 특히 화강암의 질감을 나타내고자 여러번 물감을 쌓아올려 자신만의 독특한 마티에르를 창출해냈다. 이러한 마티에르가 주는 독특한 표현들 속에서 서민의 생활상을 정확히 포착하고 단순한 화면에 고정시켜 기념비적으로 형상화시킴으로서 일상성으로서의 보편성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박수근 회화의 모더니즘적 성격은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박수근은 정식 미술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인습의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고 따라서 그의 작품은 서구의 모더니즘을 그대로 표방하지도 않았으며 진부한 기존의 아카데미즘 적 회화방식을 답습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앵포르멜 적 요소인 마티에르의 추구와 아울러 그는 극히 제한적 색채만 사용하며 모노크롬 적 특성들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화면에서 불필요한 생각이나 이미지 따위를 제거하기 위한 즉물적 효과를 위해서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한국적, 동양적 감각이나 감정을 유발시키고 있다. 바로 이러한 요소들이 박수근 회화가 서구 모더니즘적 특성을 띠고 있으면서도 한국적인 고유성을 발하는 측면이라고 할 것이다.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 근대 미술 발전에서 박수근 작품이 갖는 의미는 크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면에서는 서민의 생활상을 진솔하게 표현한 진정한 리얼리스트였으며 한국민의 정서를 담아낸 화가였고, 형식적인 면에서는 서구의 모더니즘적인 특징들을 받아들이며 해방과 동란을 전후로 민족성과 특수성을 잃어가던 시기에 우리 문화 고유의 민족성과 특수성을 붙들고 승화시켰다. 박수근 작품은 한국 근대 미술사뿐 아니라 세계 미술사 내에서도 새로운 조명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두 측면을 아울러 고찰하여 박수근 작품의 의미를 포괄적으로 밝혀보았다.

      • 가정에서의 영아의 문해 환경과 언어발달간의 관계

        정혜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에서 영아의 문해 환경과 영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영아발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6개월 미만의 영아 200명을 대상으로 문해 환경에 관한 설문조사와 영아선별, 교육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연구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영아의 성별과 출생 순위에 따른 어머니의 문해 환경 구성 수준,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 그리고 영아발달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연구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12.0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정에서의 영아에 대한 물리적 문해 환경 구성의 일반적 경향은 영아용 그림책과 영아를 위한 잡지 등의 평균이 높았고, TV에서의 어린이 프로그램 시청과 영아의 읽기에 대한 칭찬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에 대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분위기 조성을 위한 칭찬, 확장적 상호작용, 즉각적인 상호작용 순이었다. 영아발달의 일반적 경향은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둘째, 영아의 인구 사회학적 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대한 어머니의 문해 환경 구성수준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출생 순위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에서 영아 발달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연령이 36세 이상, 고졸이하의 학력의 어머니가 영아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발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변인들(영아, 어머니 및 가정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문해 환경 구성 수준, 언어적 상호작용, 영아발달)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교육적 신념이나 환경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영아의 문해 환경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함에 있다.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infant development according to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infant and the mother-infant variables in the sociology of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of literacy environment on 200 infants under the age of 36 months was conducted as well as sorting of infants and the education diagnostic test. As for the collected data,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 of the main research variables. T-verification and F-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of mother's literacy environment creating level, linguistic interaction level, and the development level of infant according to infant sex and birth order. Also, the interrelation among the main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PSS 12.0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trend of physical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infant, the average of the picture books and magazine for infant was high, and a lot of compliments was given for watching TV programs for children and reading. The general trend of linguistic interrelation for infant was in the order of compliments for creating an atmosphere, extensive interrelation, and immediate interrelation. The general trend of infant development was communication.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literacy environment creating level for the variables(sex, birth order) in the sociology of population and linguistic interrelation level, but the infant development differed in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birth order. Thirdly, as for the variables in the sociology of population for mother, the infant linguistic interrelation and infant development of mother whose age is more than 36 and who possesses attainments equal to or less than those of upper secondary school graduates were high. Lastly, the positive inte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main variables(the variables in the sociology of population for infant, mother and home, mother's literacy environment creating level for infant, linguistic interrelation, infant development). This result is analyzed as influenced by mother's educational faith or an environmental fact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positive influence to infant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literacy environment and linguistic development of infant. Keywords : literacy environment, infant development, mother-infant interaction

      • 시판이유식 구매유형에 따른 신뢰도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정혜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urchasing types of commercial baby food and examine the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se types. Moreover, this study seek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decreasing consumer anxiety while increasing the safety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 baby food through re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factors for improve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s 272 women residing in Seoul or the metropolitan area who currently use commercial baby food or have used them in the past. The different food purchasing types of commercial baby food were found through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named brand preference type and has an eigenvalue of 3.624 and a variance of 36.24%. The second factor, named ingredient interest type, has an eigenvalue of 1.743 and a variance of 17.44%, and the third factor, purchase convenience type, has an eigenvalue of 1.228 and a variance of 12.28%. The brand preference and ingredient interest types show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any and product reliability, which effect repurchase intention. However, since the purchasing type itself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it was revealed that repurchase occurs when the product and company reliability are satisfied after the user purchases the product. The analysis of priority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 baby food purchase was conducted in order to discover factors for improvement. The result reflects that thorough sanitation management (4.6) is of highest priority, along with high quality ingredients (94.58), sufficient nutrients (4.52), food information reliability (4.42), packaging condition of the product (4.34), and product excellence (4.3). For satisfaction, purchase convenience (3.85) was the highest factor, followed by packaging condition of the product (3.77), menu diversity (3.76), thorough sanitation management (3.66), and high quality ingredients (3.64). Prio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atisfaction for all elements. In order to address the concerns of safety and quality of commercial baby food, an implementation of strict standard for sanitation management and ingredients, providing of food information, and continuous research of developing diverse menu are believed t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시판이유식의 구매유형을 분석하고 구매유형에 따른 재구매 의도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구매 만족도 및 개선사항을 연구하여 시판이유식에 대한 소비자 이유식의 불안을 감소시키면서 시판이유식의 안전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시판이유식을 이용하고 있거나, 시판이유식을 이용했던 경험이 있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 2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시판이유식의 구매유형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 1은 브랜드선호형이라고 요인명을 정하였고, 아이겐값은 3.624, 변량은 36.24%로 분석되었다. 요인 2는 식재료관심형이라고 요인명을 정하였고, 아이겐값은 1.743, 변량은 17.44%로 분석되었다. 요인 3은 구매편리형이라고 요인명을 정하였고, 아이겐값은 1.228, 변량은 12.28%로 분석되었다. 시판이유식 구매유형중 브랜드선호형과 식재료관심형은 업체신뢰와 제품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체신뢰와 제품신뢰는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브랜드선호형, 식재료관심형의 구매유형 자체만으로는 재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구매 후 제품 신뢰와 업체 신뢰 충족 시 재구매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판이유식의 개선을 위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분석 결과에서 중요도는 철저한 위생관리(4.6)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좋은 품질의 재료(4.58), 충분한 영양소(4.52), 식품 정보의 신뢰성(4.42), 제품의 포장상태(4.34), 제품의 우수성(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구입의 편리성(3.85)를 가장 만족하고 있으며, 제품의 포장상태(3.77), 메뉴의 다양성(3.76), 철저한 위생 관리(3.66), 좋은 품질의 재료(3.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이유식의 식품 안전성 및 품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위생관리와 식재료의 엄격한 기준 도입 및 식품 정보 제공, 다양한 메뉴 개발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A study on the microstructure resetting method based on the electroplasticity for metallic materials

        정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When a high-density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metallic materials, reduced flow stress and increased ductility are generally observed, which is called the electroplasticity. To dat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of electric current (electroplasticity) has been received remarkable attention in both academia and manufacturing. In the initial stage, electroplasticity was observed for various metallic materials, with intensive studies by Troistkii, Conrad, Ross, Roth, and Cao. Subsequently,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electroplasticity and various hypotheses including electron wind force, magnetic, and local Joule heating effect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 exact mechanism remains unidentifie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in common that electric current can accelerate microstructural changes such as annealing, aging, dissolution, and recrystallization due to the athermal effect which is distinct from the thermal effect. Recently, based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electroplasticity, various efforts for real applications have been actively underwa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wo-fold and is based on electroplasticity. First, the effects of electric current on AZ91 magnesium alloy and transformation-induced plasticity (TRIP)-aided steel were investigated with microstructural observation in Chapters 2 and 3, respectively. Second,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electroplasticity (electric current-induced phenomenon), the microstructure resetting method using sub-second electric pulsing to reset damaged microstructure for infinite reuse of metallic materials is proposed in Chapter 4. First, the effect of the electric current on the dissolution of the Mg17Al12 phase in as-extruded AZ91 magnesium alloy was investigated by uniaxial tensile testing and microstructural analysis. When a periodic electric pulsing was applied to the specimen during plastic deformation, the flow stress substantially decreased and elongation at fracture increased 3.7 times compared to the non-pulsed tensile test at room temperature (RT, 25 ℃). To distinguish between the athermal and thermal effects of electric current, induction heat treatment (IHT) was performed as it follows the temperature history measured during the pulsed tensile test using a dilatometer. The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 (EDS) analyses showed that the Mg17Al12 phase significantly dissolved during the pulsed tensile test. In addition, the athermal effect of the electric current on the dissolution of the Mg17Al12 phase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Mg17Al12 phase fractions after electropulsing treatment (EPT) and conventional heat treatment (CHT)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Thus, it was demonstrated that electric current can accelerate the dissolution of the Mg17Al12 phase during deformation, significantly improving ductility. Second, the effect of electric current on the mechanically 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MIMT) of TRIP-aided steel was investigated based on microstructural analysis and MIMT kinetic calculations. When a periodic electric pulsing was applied to the specimen during deformation (multi-pulsed tension), the elongation at fracture decreased compared to the non-pulsed tension at RT, although the flow stress significantly reduced. From the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and MIMT calculatio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MIMT effect was negligible during the multi-pulsed tension because the stabil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increased due to a temperature rise. Thus, a pulsing pattern of the electric current was newly designed to improve the formability of TRIP-aided steel. A total of 3 electric pulsings were applied in the early stage of deformation before phase transformation of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occurred. As a result, a significant increase in elongation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non-pulsed tension at RT. The increased elongation in the 3-pulsed tension can be explained by two main effects: the delay effect of the phase transformation due to the increased stabil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during electric current application; and an annealing effect during electric current application, which was identified by comparing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values obtained from the XRD measurements. Thus, it was confirmed that dislocation annihilation was accelerated by applying electric current. Lastly, a microstructure resetting method is proposed based on electroplasticity. Generally, microscale defects in metallic materials damage the original microstructure during use, degrading the mechanical properties/life expectancy. 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healing or repairing damage in these materials have been proposed based on the concept of self-healing. Among them, sub-second electric pulsing was used to reset the damaged microstructure of metallic materials as a non-autonomous self-healing method. A key point in the microstructure resetting method is the determination of the critical point where the electric pulsing should be applied to the specimen. Another key point is choosing suitable materials for the resetting core which is proposed herein. The resetting core is defined based on a reversible damage characteristic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hase transformation, dislocation recovery, and recrystallization. Thus, microstructure resetting-assisted infinite reuse was successfully realized using 301L stainless steel (SUS301L, resulting from martensitic reverse transformation and recrystallization), 316L stainless steel (SUS316L, resulting from recrystallization), and super-elastic NiTi alloy (resulting from martensitic reverse transformation and dislocation recovery). Finally, electric current-induced dissolution, delay of martensitic transformation, and annealing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ximal deformation capacity and efficiency were determined while considering the microstructural features of each material. Furthermor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electric current-induced phenomena, a novel microstructure reset-based self-healing method was proposed. The infinite reuse of metallic materials could be enabled by applying sub-second electric pulsing. This novel method is combined with extreme simplicity, rapidness, and infinite repetition, which cannot be achiev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heat treatment. 금속 재료의 변형 중에 고밀도 전류가 인가되면, 유동 응력이 감속함과 동시에 연성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통전 소성 (Electroplasticity) 이라고 하며, 최근 학계와 제조 분야에서 통전 소성에 대한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1969년 Troistkii에 의해 처음으로 통전 소성이 보고됨에 따라, Conrad, Ross, Roth, Cao, 등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금속 재료에 대한 통전 소성 현상들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었다. 그 후, 많은 연구자들이 통전 소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저항 발열에 의한 Joule heating에 의한 것으로 보는 관점과 고전류 밀도의 전류 인가에 의한 electron wind force가 원자의 이동을 촉진시킨다는 관점으로 보는 것이 제안되었다. 아직까지 정확한 메커니즘은 규명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그들은 전류가 Joule heating에 의한 열적 효과(thermal effect)와는 별개로 비열적 효과(athermal effect)에 의해 어닐링, 노화, 용체화 및 재결정과 같은 미세조직 변화를 가속화시킨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주장하였다. 최근에는, 통전 소성 효과의 장점들을 활용하여, 실공정에 적용하기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전 소성을 활용하는 제조 기술을 통전 성형법(Electrically assisted manufacturing, EAM)이라고 일컫는다. 더불어, 이는 성형 공정 외에 굽힘, 압출, 압연 등의 공정에 광범위하게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Z91 마그네슘 합금과 TRIP 강에서의 통전 소성 거동을 미세조직 분석과 함께 평가하고, 다양한 실험적 방법으로 전류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통전 소성 거동의 이해를 기반으로, 금속 재료의 무한 재사용을 위해 1초 미만의 전기적 펄싱을 활용하여 손상된 미세조직을 리셋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먼저, 압출된 AZ91 마그네슘 합금에 대해 통전 인장을 진행하면서 기계적 거동과 미세조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Mg17Al12상의 용체화에 미치는 전류의 영향이 평가되었다. 통전 인장 시 유동 응력은 감소하고, 상온에서 일반 인장 시 측정된 파단 연신율에 비해 약 3.7배 증가하였다. 전류의 비열적 효과를 구분하기 위해, 통전 인장 시 측정된 온도 이력과 동일한 이력으로 딜라토미터를 활용하여 유도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서의 EBSD 및 EDS 분석으로부터, 통전 인장 시 Mg17Al12 상의 용체화가 가속화되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고, 추가적으로 동일 온도와 시간에 대해 통전 처리와 노 열처리 후 시편에서의 Mg17Al12 상의 분율을 비교해본 결과, 통전 처리 후 시편에서 더 많은 Mg17Al12 상의 용체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변형 시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 자체의 비열적 효과로 인해 Mg17Al12 상의 용체화 (Electric current-induced dissolution) 현상이 가속화되어 최종적으로 연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TRIP 강에 대해 통전에 의한 기계적 거동과 미세조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 상변태 (Mechanically induced martensite transformation, MIMT) 및 전위 회복에 미치는 전류의 영향이 평가되었다. 인장 변형 시 파단 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펄스 전류를 인가한 결과, 유동 응력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상온에서의 일반 인장과 비교하여 파단 연신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XRD 분석 및 MIMT kinetics의 계산 결과로부터, 통전 인장 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성 증가로 MIMT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아 파단연신율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류 인가 패턴을 새롭게 설계하였으며, MIMT가 발생하는 변형 초기 단계에 3번의 펄스 전류를 인가하였다. 그 결과, 일반 인장 대비 파단 연신율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2가지 영향에 기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나는 전류를 인가하는 동안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성이 증가함에 따라 MIMT의 발생이 지연되는 효과 (Electric current-induced delay of MIMT)이다. 다른 하나는 전류가 인가되는 동안 시편 내부에 발생하는 전위 회복 효과(Electric current-induced dislocation recovery)로, 이는 XRD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피크의 반가폭 값을 비교함으로써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앞서 규명된 통전 소성 효과를 바탕으로 금속 재료의 미세조직 리셋팅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의 미세 스케일 결함은 초기 미세조직을 손상시켜 기계적 특성 및 기대 수명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재료의 손상을 치유 또는 복구하기 위해 자가 치유(Self-healing) 개념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초 미만의 전기적 펄싱을 비자율적(Non-autonomous) 자가 치유 방법 중 하나로, 금속 재료의 손상된 미세조직을 리셋하는 데에 활용하였다. 이 방법의 핵심은 전기적 펄싱을 시편에 인가하기 위한 지점을 찾는 것과, 리셋팅 코어(resetting core)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서 리셋팅 코어는 가역적인 손상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상 변태, 전위 회복 및 재결정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따라서, SUS301L(마르텐사이트 역변태 및 재결정을 통한 리셋팅), SUS316L(재결정을 통한 리셋팅) 및 초탄성 NiTi 합금(마르텐사이트 역변태 및 전위 회복을 통한 리셋팅)을 활용하여 미세조직 리셋 기반 재료의 무한 재사용이 가능함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류가 용체화, 마르텐사이트 상변태 및 전위 회복, 등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하게 조사되었으며, 각 재료의 미세조직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통전을 적용함으로써 재료의 물성과 공정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건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통전 소성 거동 이해를 기반으로 미세조직 리셋 기반 자가치유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1초 미만의 전기적 펄싱을 인가하는 것 만으로 손상된 미세조직을 초기 상태로 리셋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열처리와 같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극도의 용이함, 신속성 및 무한 반복성, 등이 결합된 새로운 방법이며, 더욱이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산업 및 학계에서 통전 소성을 활용함에 있어 충분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환자 가족의 만족도

        정혜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환자 가족의 만족도 Critical Car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Family Satisfaction 간호학과 정 혜 진 지도교수 강 지 연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파악하고 간호사 근무환경이 대상자 측면의 결과 중 하나인 환자 가족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중에서 임의로 추출한 2개 병원과 상급 종합병원 중에서 임의로 추출한 2개 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해당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2개월 이었고 간호사 설문지 190부, 가족 설문지 133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는 박소희(2012)가 개발한 국내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가족 만족도 도구는 Molter (1979)가 개발한 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 (CCFNI)를 강현주(2006)가 수정· 보완하고 이영옥(2011)이 4점 척도에서 5점 척도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근무환경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15(±0.41)점이었다. 하부영역 중 “실무체계”가 3.62±(0.46)점으로 가장 높았고 “수간호사의 리더십”은 3.57±(0.55)점, “동료와의 관계”는 3.25±(0.49)점이었으며 “기관의 지원”은 2.64±(0.54)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근무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중환자실 유형이었으며, 다음으로 월급여, 성별, 연령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환자실 유형이 전문과 중환자실이고, 월급여가 250만원 미만이고, 성별이 남자이며, 연령이 30세 미만인 간호사들이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이 4가지 변수의 근무환경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16.8%이었다. 3. 중환자 가족이 인지한 가족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9(±0.78)점이었다. 하부영역에서 “정보영역”이 3.86(±0.78)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정서적 지지영역”이 3.78(±0.78)점, “직접 참여영역”이 3.48(±0.99)점이었으며 “자원제공영역”은 3.08(±0.99)점으로 가장 낮았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환경 점수가 높은 병원과 낮은 병원으로 구분하여 환자 가족의 만족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근무환경 점수가 높은 병원의 환자 가족의 만족도가 근무환경 점수가 낮은 병원의 환자 가족의 만족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t=3.44, p=.001).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근무환경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15점으로 중간이상의 점수를 나타냈다. 중환자실 유형이 전문과 중환자실이고, 월급여가 250만원 미만이고, 성별이 남자이며, 연령이 30세 미만인 간호사들이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근무환경을 좋게 평가한 병원에서 환자 가족의 만족도도 높았다. 그러므로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중환자실 간호사, 근무환경, 환자 가족의 만족도

      • A.Ginastera의 Piano Sonata No.1, Op.22에 관한 연구

        정혜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저자가 자신의 독주회에서 연주했었던 A. Ginastera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의 레퍼토리를 분석하기 위해 쓰였다. 저자는 자신의 이전 연주회의 경험에 기반을 둔 자신의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본 작품을 훌륭히 연주해야 하는 다른 연주자들을 돕기를 원한다. 이에, 본 논문은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아르헨티나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Alberto Ginastera(1916-1983)는 아르헨티나 음악의 민속적 요소들과 다양한 서구적인 현대 기법들을 조화함으로써 새 지평을 열었다. 1952년에 작곡된 본 피아노 소나타 1번, op.22는 그러한 A. Ginastera의 정신을 반영한다. 특히, 본 작품은 그의 작품 활동들 가운데 제 2기인 주관적 민족주의 시기에 속한다. 따라서, 저자는 본 논문에서 다루는 작품의 전체 네 악장들을 이러한 점들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각 악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 1악장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그리고 코다를 포함한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을 가진다. 마람보 리듬, 당김음, 무조성, 잦은 박자의 변화, 도약 또는 아르헨티나 민속음악을 대표하는 병행 화음을 사용한다. 제 2악장은 스케르초 풍의 론도 형식을 취하고 12 음렬을 처음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느린 템포가 나타나는 제 3악장은 민속적인 면들이 보이지 않는 대신 급격한 다이나믹의 변화와 기타 코드의 사용이 나타난다. 론도 형식인 마지막 악장에서는 A. Ginastera가 마람보 리듬과 오스티나토를 많이 이용함으로써 민속적 분위기를 가장 강조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A. Ginastera가 반음계적인 음계, 도약, 분산 화음 진행, 12 음렬, 그리고 오스티나토 베이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현대적인 기법들을 뿐만 아니라 5음 음계, 마람보 리듬, 가우초의 기타 코드, 잉카와 크레욜 음악 등과 같은 민속적 요소들을 활용한 점이 그의 독특한 민족주의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기여한 사실에 주목한다. 이러한 점에서, A. Ginastera의 피아노 소나타 1번, op.22는 아르헨티나의 민속적인 면들과 근대 기법들 사이의 균형 잡힌 특징을 보여주는 A. Ginastera의 훌륭한 작품들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This thesis was written to analyze the repertoire of A. Ginastera's piano sonata no.1, op.22, which had been performed by the author at her recital. The author has wanted to help other performers who have to play this work brilliantly by sharing her knowledge based on her former recital experience. This thesis will give various analytic sources. Alberto Ginastera(1916-1983), who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Argentina broke fresh ground by mixing the folk music elements of Argentina with various western modern techniques. This piano sonata no.1, op.22, composed in 1952, reflects such spirits of A. Ginastera. Especially, this work belongs to the third period of his compositional activities, subjective nationalism(1947~1957). Therefore, the author studied the whole four movements of the work handled in this thesis by focusing on these aspects. The feature of each movement is as follows. The first movement has the from of traditional sonata form which comprises a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a coda. It makes use of malambo rhythm, syncopation, bitonality, frequent meter change, jumping or descending melody which represent argentine fork nature. The second movement takes the rondo sonata form in Scherzo mood and uses twelve tone technique for the first. However, the third movement, having slow-tempo, doesn't show the folk aspects but the change of intense dynamics and sound form of guitar chord. In the last movement with rondo form, we can see that A. Ginastera emphasized the folk atmosphere most by using the malambo rhythm and ostinato so much. Notice the fact that his using not only various modern techniques including frequent meter change, bitonality, highly syncompted rhythmic pattern, 12 tone-row, and ostinato bass but also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the penatonic scale and malambo rhythm, guitar chord of gaucho, Inca and criolla music, and etc. could help express his unique nationalism, effectively. In this regard, A. Ginastera's piano sonata no.1, op.22 is considered that it is the one of the great works of A. Ginastera which displays its well-balanced characteristic between modern techniques and Argentine folk aspects.

      • 유치원에서의 영어 습득을 위한 역할극 활용의 연령별 지도 방안

        정혜진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취학 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영어 교육 방법 중에서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을 실시해서 어린이들의 학습태도 및 흥미 유발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또한 학습 효과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습 내용의 보다 효율적인 습득을 위한 역할극 활용의 연령별 지도 원칙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직접 지도하고 있는 서울의 S 유치원 어린이들로 각각 15명으로 구성된 만4세 실험반, 만 5세 실험반과 만 4세 통제반, 만 5세 통제반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전 네 집단 모두는 본 연구자에게서 일반적인 반복 · 암기 위주의 방식으로 영어 교육을 받아왔다.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을 실시한 후의 결과는 설문지와 수업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실험반 어린이들은 연령에 관계없이 같은 내용의 동화를 활용하여 역할극 수업을 실시했으며 통제반 어린이들은 일반적인 형태의 반복 · 암기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특성상 아직 설문지에 있는 설문 문항과 평가 문항을 직접 읽고 판단하여 대답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여 설문 조사는 교사가 어린이와 1:1로 자세한 설명을 덧붙여 가며 질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서 순조롭게 진행하였다. 그리고 매 수업을 진행하면서 관찰 기록을 하여 어린이들의 학습태도와 반응 등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은 연령차에 관계없이 어린이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여주며 적극성을 길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만 4세 어린이들에겐 부정적이고 만 5세 어린이들에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은 만 4세 어린이들 보다 만 5세 어린이들이 학습 효과가 조금 더 좋은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본연습을 통하여 대사를 익힘으로써 어린이들의 듣고 말하는 실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 수업은 어린이들의 학습태도와 학습 효과에 좋은 영향을 미치므로 보다 효율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연령차를 고려한 교사의 철저한 수업 연구와 준비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만이 좀 더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발전시켜야 할 학습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It is acknowledged that the interest of the early English learning has rapidly increased. The study is aimed at the effect of role-playing method. I would like to know the fact how it makes difference into the children's language learning. It is based on the children who are before starting school. There are a variety of teaching method in process. But, it is focused on the use of role-playing lesson, how it affects to their learning attitude, how it gives rise to interest, and how it contributes to learning effect. It is processed to acquire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to suggest a principal for the practical use of role-playing in an age group. The subject of study are the children whom I am teaching at the infant school of S in Seoul. They consist of four groups - full 4-year-old and 5-year-old group of experiment and full 4-year-old and 5-year-old group of control. Each group has 15 members of children. They have been educated by repeating and memorizing before the study. The result of the lesson which is using of storytelling and role-playing is evaluated and analysed with a questionnaire and class observation. The group of experiment are taught by the same storytelling and role-playing lesson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age. The group of control are taught by the general form of repeat and memory work.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group, it is considered that they are not old enough to answer the question. Therefore, the questionnaire is processed by one to one talk between teacher and child with detail of explanation. On every managing class, I have observed their learning attitude and reaction with recording.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below. First, role-playing lesson by using storytelling increas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mproves their positiveness without any age difference. Second, in the view of rising their interest about language learning, it is estimated that the group of full 4-year-old are negative and the group of full 5-year-old are positive. Third, it is a little bit more effective to the group of full 5-year-old than the group of full 4-year-old. However, in short,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are spontaneously improved by practicing a script. As a result, the role-playing method has considerably effect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 and teaming effect. I concluded that it is a good way to learn an English language. However, teachers should take an age into account and throughly prepare their class. It is so important thing to do that this learning method can be affirmative. In my opinion, i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thod that should be developed with a variety of study.

      •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정혜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였으며,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자기자비, 배우자 지지에 관하여 응답한 321개의 설문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후, 자기자비 하위 변인 중 하나인 자기판단이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자기판단 수준이 증가할수록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탐색 결과, 조절변인에 해당하는 자기판단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에, 중간 수준이거나 높은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for Mothers with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study is about the mother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21 questionnaires responding to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self-compassion and support from spouse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 on marital satisfaction, self-judgment, one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elf-compass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as the self-judgment level increased, the negativ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d. In addition, probing an interaction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if the level of self-judgment corresponding to the moderating variable was low, whereas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f it was moderate or hig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