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산학연협력사업의 성과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경대학교 산학연협력단지 입주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벼리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acceleration of paradigm shifts lik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dustry-academia-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address challenges stemming from declining potential growth rates, decreasing employment rates, and to drive innovation-led growth.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for their possession of exceptional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ical expertise, thereby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universities to serve as pivotal platforms for fostering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s the number of idle sites within universities increases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need for efficient use of space and spatial connectivity has come the forefront. Accordingly, the initiative to attract promising enterprises to universities and reconfigure university spaces into innovation hubs based on university infrastructure, forming collaborative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complexes within the university, is being pursued as a policy initi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businesses situated within university campuses and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growth rates of these enterprises, focusing on the case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a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mong resident compani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IPA analysis.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s over four years revealed an increasing trend in both satisfaction and revenue, attributed to customized support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is study may present somewhat biased results due to its focus on fragmented individual cases. If this project were expanded to universities nationwide, acquiring continuous data, it could lead to more generalized results. Furthermore, it appears that advancing in a more sophisticated direction could be achieved by establishing diverse variables to analyze their respective influences and trends.

      • 재한 중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차이에 대한 연구

        WU BOYUAN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is study, Chinese international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Korea were selected, and from early October to mid-October 2023, the final 400 people were selected to find out about the stress of college life, and the collected data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stress difference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Chinese students in Korea showed higher stress.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study, relationship, life, and career, the stress on future career was the highest.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groups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terms of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udy, relationship, life, and career, which are sub-factors of stress. Third, in the learning sta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udies, relationships, life, and careers, which are sub-factors of stres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terms of housing type and scholarshi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relationship, life, and career, which are sub-factors of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중국 대학생촌관(大學生村官)의 직업적응 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WANG YANDI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theorize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cunguan” in China.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s on how “cunguan” adapt to their new careers and what experience they have in this process.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s. First, how do “cunguan” adapt to their new careers? Second, what kinds of vocational adaptation types do “cunguan” have? In this study, 30 “cunguan” from Southwest of Shandong Province in China were recruited using reputation case selection and snowball sampling, and they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fter giving their consent to participate. The interview data are analyzed and explained using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0、1998). The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To begin,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cunguan” is conceptualized and a paradigm mode is derived using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Open coding the interview data yielded 54 concepts such as "high preference for civil servants," 11 subcategories such as "excessive expectation for careers," and 3 categories such as "beginning of career adaptation process." Then,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concepts and categorie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aptation of “cunguan”, axis coding is used, and "too high expectations of work"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work" are identified as causal conditions, and "gap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and "lack of social support" are identified as contextual conditions. The central phenomenon is named "contradiction and burnout" on this basis, and it is discovered that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and "expanded social support" are the intervening conditions for participants to use various adaptation strategies. There are many adaptive strategies in action/interaction that are influenced by the central phenomenon and the intervention conditions, resulting in "establishing professional identity", "psychological stability", "future-oriented consciousness" and other consensus. A paradigm model is developed, and cases are examined. Second, in the process of selective coding, "adapting to the career of ‘cunguan’ by using various adaptation strategies" is chosen as the core category based on the concept and paradigm mode derived from interview data. The core category hypothesis is stereotyped based on the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ing conditions, and four types of occupational adaptation are obtained: "realistic contradiction", "realistic patience", "realistic complacency", and "realistic dominance". Overall, this paper proposes a conditional matrix of “cunguan” career adaptation proces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adaptation types of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cunguan” in China,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developing a preliminary theory to explain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cunguan” in China.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compare the adaptation experience of “cunguan” in different regions and cultural environments, in addition to making policy recommendations on the selection, training, assessment, treatment, and support of “cunguan”.

      • 진로미결정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모형 개발 및 효과

        윤정훈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진로미결정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생의 진로 미결정 수준을 감소시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관여행동을 증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대 학 진로상담자, 진로상담전문가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분석 한 후, 이 를 토대로 모형 개발 절차에 따라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진로미결정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모형은 초기면접, 문제이해 및 가설설 정, 개입, 행동계획 수립, 평가 및 종결의 5단계로 구성되며. 단계별로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적 특징에 따른 개입영역, 개입전략, 상담목표 등을 제 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미결정 대학생 16명을 실험, 대기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로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모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대기통제집 단에 비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 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추후 면접 자료를 토대로 합의적질적연구(CQR)을 실시한 결과, 참여자들이 본 진로상담 모형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진로미결정 대 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모형은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특징과 어려움을 차별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현장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고, 체계적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 다. 이는 대상자의 특성과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고 개발자의 주관성을 최소함으 로써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로미결정 대학생을 위 한 진로상담 모형은 참여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을 감소시키고,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진로관여행동을 증진시켜,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문제를 개입하는데 적합 하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 사점을 논의하였다.

      • 머신러닝 예지보전기술 기반의 PLC 모듈 적용에 관한 연구 : HVAC의 블로워 전력 저감을 중심으로

        송재우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21세기에 들어서며 스마트팩토리의 성장성은 날로 발전되어 오고 있으 며 스마트 팩토리의 가장 기초 단계인 자동화 분야의 세계시장은 2027년 까지 연평균 8.8% 성장률을 기록하며 규모는 3,684억달러까지 상승할 것 으로 예측된다. 제조공정 운영에 있어서 HVAC 설비가 사용하는 전력량은 전체 전력 사 용량의 50%에 해당되며 그 중 Blower의 전력 사용량은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HVAC 설비의 전력사용을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계적인 구조를 변경하여 에너지를 저감하 는 등의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딥러닝 등을 이용한 예지보전기술이 일부 적용되고 있으나 딥러닝 기술은 관련 서버와 전문가 등의 소요로 많은 비 용이 발생된다. 더구나 딥러닝 기반의 예지보전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여러 회사들에서 개발된 AI를 적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현장적용 을 검토하고 있지만, 모두 빅데이터를 활용한 Data 분석에 기반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는 H/W의 많은 투자가 필요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공정의 주요 설비인 HVAC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Blower를 제어하는 PLC 모듈에 지도학습 기반의 머신러 닝을 적용하여 사전 예지보전을 통해 설비운영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더구나 본 연구에서 활용한 Logix AI 는 AI의 가장 기초단계인 지도학습 기반의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적은 비 용으로 현장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PLC 모듈 사용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Logix AI를 적용한 단상 AC 220V 0.2kW의 Blower Test용 Demo 장비를 구 축하여, 1회 10일 기준으로 5회 반복 실험을 통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진 행하였다. 이상신호 발생빈도를 Excel의 RAND 함수를 사용하여 발생시 키고 이를 통해 AI 기반의 예지보전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5회 시 뮬레이션 실험의 결과로, 하루 평균 0.752kWh만큼 전력저감 효과가 발생 되었다. 이를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100kWh의 Blower에 적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하루 평균 375kWh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 다. 또한 1개월 단위로 환산 시, 약 11,250kWh를 절약하게 되고 이는 금 액으로 산출 시 1,125,000원의 전기요금 절약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더구나 제조공정의 라인 수와 PLC 모듈 사용개수가 늘어날수록 본 연 구의 적용 효과성은 더욱 증대되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AI 기반의 예지보전시스템의 적용 시, 산업에 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자동화 제조공정의 운영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21st century, the growth of smart factories has been continually advancing. The global market for automation, which is the most basic stage of smart factories, is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rate of 8.8% and to reach $368.4 billion by 2027. In the operations of manufacturing process, the power consumption of HVAC equipment accounts for 50% of the total electricity usage, with blowers alone consuming 40% of this power. Consequ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HVAC equipment, but most exist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ducing the energy through mechanical structural changes. Although predictive maintenance technologies using deep learning have been partially applied,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curs considerable costs due to the needs for related servers and specialists. Moreover, researches on deep learning-based predictive maintenance technologies are scant. Furthermore, products developed by various companies that apply AI, have been released and are being reviewed for an on-site application. But the most are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big data, which requires significant hardware investments and poses challenges for widespread u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pply machine learning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to the PLC module that controls the blower, which consumes the most power in HVAC, a key facility in the automation process. This approach seek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equipment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of power usage through predictive maintenance. The Logix AI used in this study employs a machine learning technology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which is the most basic level of AI, enabling its immediate and cost-effective application in the fiel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LC module, a demo equipment with Logix AI was set up for testing a single-phase AC 220V 0.2kW blower. A series of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over five replications with each spanning 10 days. Abnormal signal frequencies were generated using Excel's RAND function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AI-based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The results of the five simulation experiments showed an average daily power reduction of 0.752 kWh. Extrapolating this to a 100 kWh blower commonly used in the field, it is predicted that an average of 375 kWh could be saved per day. Monthly, this amounts to approximately 11,250 kWh, equating to a saving of 1,125,000 won in electricity costs.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more increase as the number of manufacturing lines and PLC modules used incre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an AI-based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can contribute to industrial energy savings and reduce operating costs in automated manufacturing processes.

      • 대학생의 ADHD 성향과 학업지연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손승아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인 ADHD 성향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인 ADHD 성향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 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및 휴학 중인 남녀 대학생 5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업체를 통하여 성인 ADHD 성향, 학업지연, 자기통제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497부 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에 수집된 자료를 SPSS 25.0를 사용하 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Baron 과 Kenny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래핑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ADHD 성향은 학업지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ADHD 성향은 자기통제력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ADHD 성향과 학업지연의 관계 에서 자기통제력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학생의 성인 ADHD 성향이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고, 성 인 ADHD 성향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중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 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ADHD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은 자기통제력이 낮고, 학 업지연 문제를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이 높은 대학생의 학업지연에 대한 상담시, 성인 ADHD 성향에 대한 직접적 인 약물 개입뿐만 아니라 자기통제력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 방 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ult ADHD tendencie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i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1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Korea, and 49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llowed by Baron and Kenny'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with the bootstrapping metho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college students' ADHD tendencies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s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Second, college students' ADHD tendencies affects self-control and is negatively related to each other. Third, self-control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tendenci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adult ADHD tendencies influ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and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i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ith high adult ADHD tendencies are more likely to have low self-regulation and exhibit academic procrastination problems.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high adult ADHD tendencies, further research on self-control as well as adult ADHD needs to be conducted, and specific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control levels as well as direct medication interventions for adult ADHD tendencies need to be proposed and applied. Finall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주관적 삶의 질 및 정주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여가제약의 조절효과

        김유정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demand for talent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due to the transition to a knowledge-based economy. In response, overseas countries are focusing on strengthening domestic talent development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xcellent overseas human resources, and are focusing on attracting excellent overseas talent. Korea, which is facing a labor shortage crisis due to a declin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caused by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is also seeking a solution by not only attracting foreign students but also cultivating talent to settle in Korea. Recognizing international students as future human resources and potential members of society, rather than just temporary residents, and enabling them to find employment and settle down after graduation has become a necessary alternative, not an option.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antecede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ir intention to settle down after their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settlement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s.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model was constru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919 international student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Busan, South Korea,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exogenous variables of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nd the mediating variabl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the dependent variable of settlement intenti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leisure constrai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llow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 addi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specific indirect effects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also confirmed through additional analyse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measurement equivalence was tested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particular,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leisure satisfacti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However,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directly affect subjective quality of life, but indirectly positively affecte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mediating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college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urth, college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ettlement intention. Fifth,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ettlement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pecific indirect effects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conducted as an additional analysis, i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at the exogenous variables such as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except for social support, have indirect effects on settlement intention through the dual media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affect settlement intention only through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not through the individual media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leisur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settlement intention not only through sequential dual mediation throug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ut also through single mediation through subjective quality of life. However, social support affected settlement intention only through the single mediati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with no indirect effect through the dual medi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social support,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international students' settlement intention in Korea.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but when the mediator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added, the indirect effect was maximized and it became a key variable with the most influence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It can be seen that college life adaptation plays an important major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by which all exogenous variables except social support affect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settlement intention, indicating that college life adapt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settlement intention. Third, this study identified a pathway through which college life adaptation positively affects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ch ultimately leads to the promotion of settlement intention. Thus, it was verified that subjective quality of life is an essential key variable that affects settlement intention, as it seems that subjective quality of life plays an indispensable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ath of all variables to settlement intention. Fourth,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dual mediating role of college adjustment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identifying the pathways through which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must sequentially dual mediate college adjustment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o affect settlement intention. In addi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re variables that have a direct effect on settlement intention and are important mediators of the indirect effects of exogenous variables on settlement intention, so their importance can be said to be great. Fifth,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leisure satisfaction not only affects settlement intention through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ut also affects settlement intention through the simple mediati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is suggests that leisure satisfaction is a very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in promoting settlement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and facilita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settlement intention by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process and pathway through which latent variables influence the settlement intention.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antecede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rnational students' settlement inten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olicy making and strategic planning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전 세계적으로 지식 경제로의 전환으로 인한 인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각국에서는 국내 인재 개발을 강화하고 동시에 우수한 해외인적자원의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생산연령인구감소로 인력부족의 위기에 직면한 우리나라도 외국인 유학생 유치뿐만 아니라 국내 정착형 인재양성을 통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단순히 일시적인 체류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인적자원이자 잠재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유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과 정주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대안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삶의 질과 학업 이후 정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주관적 삶의 질 및 정주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여가제약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여 변인들 간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 소재 4년제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919명을 표집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외생변수인 여가 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매개변수인 대학생활 적응, 주관적 삶의 질, 종속변수인 정주의도, 조절변수인 여가 제약 그리고 연구대상의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및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추가분석으로 팬텀변수를 활용한 특정간접효과도 확인하였다.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 동일성 검정 후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삶의 질에도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여 주관적 삶의 질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은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활적응은 정주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관적 삶의 질은 정주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주관적 삶의 질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주관적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삶의 질을 매개로 정주의도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여가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영향 관계와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삶의 질 간의 영향 관계 두 경로에서 여가제약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추가 분석으로 진행한 팬텀변수를 활용한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로는, 사회적 지지를 제외한 여가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외생변수들은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을 이중 매개하여 정주의도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을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여야만 정주의도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 각각의 개별 매개를 통해서는 정주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가만족은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을 통한 순차적인 이중매개뿐만 아니라 주관적 삶의 질의 단순 매개를 통해서도 정주의도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삶의 질을 단순 매개를 통해서만 정주의도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고 이중매개를 통한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대학생활적응 및 주관적 삶의 질은 정주의도를 증진시키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학생활적응의 매개변수를 통해서는 간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면서 주관적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핵심변수로 변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사회적 지지를 제외한 모든 외생변수들이 주관적 삶의 질과 정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주의도 증진에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주의도를 증진시키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외생변수들이 정주의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주관적 삶의 질은 없어서는 안되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정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필수적 핵심 변수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을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여야만 정주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의 이중매개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은 정주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면서, 외생변수들이 정주의도에 간적접인 정적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매개 변수임이 입증되어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특히 여가만족은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여 정주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주관적 삶의 질의 단순 매개를 통하여도 정주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주의도 증진에 있어 여가만족이 매우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생변수인 개별적 요인들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삶의 질을 통해 정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경로를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정주의도 발현 및 촉진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정주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수립 및 전략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