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순영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행복감, 정서지능은 어떠한가? 2.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간의 관계와 영향력은 어떠한가? 3.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 간의 관계와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임진형(2000)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곽희경(2011)의 도구를 김시연(20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최승규(2001)가 개발한 도구를 김하니(2012)가 보육교사용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및 정서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하위 요소로는 정보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행복감 하위 요소인 긍정적 행복감, 부정적 행복감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도는 하위요소인 타인정서 인식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정서 인식하기, 자기 동기화하기, 대인관계 다루기, 자기정서 조절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하위요소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행복감 하위요소인 긍정적 행복감과 부정적 행복감과의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질적 지지는 긍정적 행복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하위요소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정서지능 하위요소인 자기정서 인식하기, 자기정서 조절하기, 자기 동기화하기, 타인정서 인식하기, 대인관계 다루기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교사에게 행복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정서지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직무수행과 조직의 질을 높이게 한다. 따라서 보육교사는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행복감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프로그램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보육교사, 사회적 지지, 행복감, 정서지능

      •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영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리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43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영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 리 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정 혜 원)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매개 역할을 중심 으로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영유아권리존중실행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공립 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 립 어린이집, 법인, 직장, 민간, 가정 어린이집 교사 432명에게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고, 그중 424부를 연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회적지지, 영유아권리존중실행,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척도를 측정 도구로 사용 하였다. 각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분석을 하였다. 더불어 잠재변인들의 관계를 설정한 연구 문제 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긍정적일 수록,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는 높은 양상을 보였다. 둘째, 교사가 지각 한 사회적지지가 영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완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 족도는 완전 매개로서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 족도보다 매개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권리존중실행에 영향 을 주는 요인으로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중요성이 확인되었고, 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사효능감이 상대 적 영향력이 더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유아권리존중실행의 증진 을 위해서는 유대감 형성을 통한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 로그램 개발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각적인 교사 연수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제어: 사회적지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실행, 영유아교사

      •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참여의 관계 : 학급풍토와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다중매개효과

        유다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대한민국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급풍토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자기보고식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각한 교사의 지지 척도, 학교참여 척도, 학급풍토 질문지, 청소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를 사용하여 만 9세 이상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185명, 중학교 185명, 총 37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확인하였고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 후 Hayes의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참여의 관계에서 학급풍토와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유의미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학교참여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급풍토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학급풍토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학급풍토를 통해 학교참여를 높여주었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통해 학교참여를 높여주었다.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급별 비교에서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학급풍토와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다중매개구조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학교급별로 주요 변인의 다중매개효과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급풍토 및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학교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통해 학교참여를 증진하여 학교 부적응을 줄이고 학교 실패를 예방하는 교육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또 상담자는 학교 내 학생들에게 학교참여 수준을 점검하여 위기군에 놓인 학생들을 선별하고, 올바른 학급풍토 조성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라는 개인적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예방적 차원의 집단 및 개별상담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급별 매개효과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학교참여 증진을 위한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실무적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 perceived by adolescents predicts school engagement and whether classroom climate and belief in a just world(BJW) multipl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chool engagement.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dolescents who aged 9 or older using four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Perceived teacher's support Scale, Korean adolescents version of School Engagement Scale, Class climate questionnaires, the Korean adolescents version of Belief in the Just World Scale. Eliminating unfaithful data, 185 elementary school respondents, 185 middle school respondents, and a total of 37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onbach's alph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2.0 program and Hayes' SPSS PROCESS. Below are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First, support of the teacher perceived by adolescents, classroom climate and belief in a just world(BJW)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engagement. Second, Both classroom climate and belief in a just world(BJW) found to partial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chool engagement. Third, In the comparis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urrent study structure was both 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differed little by little by school level. The results imply that higher level of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s perceived by adolescents, class climate, and belief in the just world can lead to higher level of school engagement. Therefore, it suggests a direction for Counselor and teacher to prevent school failure through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s. In addition, the counselor can check the level of class climate and belief in a just world with students to establish a preventive counseling plan.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mediated effects by school level, the counselor can use effective preventive counseling intervention measures to promote school engagement according to students’ age.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사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령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어떤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으로 사립유치원 교사를 선정한 이유는 국ㆍ공립보다는 사립유치원의 재원유아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에 비례하여 많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돕는 사립유치원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교사 55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교사의 배경특성(연령, 학력, 교육경력, 학급규모)에 따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많은 교사가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학력이 높은 교사가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이 오래될수록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급규모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적은 학급규모의 교사들이 보다 높은 교사효능감을 나타났다. 둘째, 사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 그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사회적 지지와 그 하위요인(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과 교사효능감과 그 하위요인(자신감, 자기조절감, 도전감), 직무만족도와 그 하위요인(보상, 교직의식, 발전성, 혁신성, 동료애, 업무부담, 자율성)이 모두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관계도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자신감, 자기조절감, 도전감)들이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보상이 33%, 교직의식이 41%, 발전성이 35%, 혁신성이 39%, 동료애가 22%, 업무부담이 17%, 자율성이 15%, 직무만족도가 66%로 각각의 하위요인에 영향력을 가진다.

      •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미선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the study subjects as shown below. Study question 1. How about the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3-1. What is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3-2. What is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5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worke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5 distric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Ji Won(1985) and corrected and complemented by Im Jin Hyeong(2000). To examin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sed by Gang Ji Young(2009). In addition, to examin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used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s adapted by Choi Yo Won (2002), corrected and complemented by Kim Si Yeon(2014). For data analysis, SPSS 24.0 was utilized, and according to the problem set by the researcher,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has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how were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utside workplace' showed the highest result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Emotional commitment' showed the highest result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appiness affirm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oth 'social support in workpla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ocial support outside workpla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elem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both 'social support in workpla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ocial support outside workpla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affirmation', the lower elements of happines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denial'. This mea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suggesting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gets higher if the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gets higher. In addition, we may see that happiness affirmation gets higher and happiness denial gets lower if the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is high. Thir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phased regression analysis, 'soci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explanation of 'social support in workplace', the lower element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highest at 48%. And 'continuous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formation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outside workplace' among lower elements of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as well as 'overall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prediction variables. In addition, among the lower elem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normative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 in workplace', the lower elements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on variables.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tment' in the lower elem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ocial support in workplace' in the lower elements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on variable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xplanation of ‘happiness affirmation’ in the lower element of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social support in workplace' in the lower element of social support were 51.1%, found to be the highest prediction variables. 'Happiness deni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lower elements of social supports such as 'overall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motional support outside workplace', and 'emotional support in workpla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on variab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are found to improve a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gets better social support. Such result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is important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means that recognition of surrounding people should be changed in order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work at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prid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s for teachers are required to improve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In addition, it also suggests that positive service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quality of infant education where colleagues and directors respect each other and are considerate of each other in the workplace.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행복감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3-1.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3-2.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5개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지영(2009)이 사용한 조직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옥스퍼드 행복질문지를 최요원(2002)이 번안하고, 김시연(2014)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설정한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행복감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직장 외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이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긍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직장 외 사회적 지지’ 모두가 조직몰입 하위 요인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조직몰입 전체’ 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 ‘직장 외 사회적 지지’ 모두 행복감 하위 요인인 ‘행복긍정’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행복부정’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조직몰입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행복긍정은 높아지고 행복부정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정서적 몰입’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직장 내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이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유아교사의 ‘지속적 몰입’과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중 직장 내 ‘정보적 지지’와 ‘직장 외 평가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 전체’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하위요인 중 ‘규범적 몰입’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하위요인 중 ‘조직몰입 전체’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행복긍정’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직장 내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이 51.1%로 가장 높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유아교사의 ‘행복부정’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전체’와 ‘직장 외 정서적지지’, 그리고 ‘직장 내 정서적 지지’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가 직장 내·외에서 사회적 지지를 잘 받을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과 행복감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에게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 자부심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유아교사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조직몰입과 행복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직장 내에서 동료와 원장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할 수 있는 긍정적인 근무환경이 제공되어 유아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은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법인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23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96)가 제안한 세 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간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영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작용을 하며,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장, 동료교사로부터 충분한 사회적 지지와 격려를 받음으로 해서 교사 자신의 가르치는 능력에 대한 신념, 영유아를 가르치는 능력의 자각을 통해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 자신의 전문성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질 높은 교육과 긍정적 피드백, 자기 계발 프로그램, 사회적 유대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의 구체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영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놀이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종금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infant class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happiness of infant class teachers by sampling and surveying 505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and around Gyeonggi-do. For the data collected, the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tilizing the SPSS 21.0. For the analysis tool of the subjects’ happiness,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OHQ) developed by Argyle(2001) is used, with the correction of Jung En Joo(2015) which have par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translation of Kwon Seok Man(2011)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infant teachers. For the tool of the social support for teachers, the tool of Park Ji Won(1985) is used, developed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toward infant teachers is used, with the correction of Lim Jin Hyung(2000). This tool is originally classifying the supports into two ways: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kplace. However, this study only concentrated on the internal social supports from inside of workplaces, to research on the internal social support of daycare centers. For the tool of the play teaching efficacy, the scale of Sin En Soo et al.(2004) is used, with the correction of Lee Jae Jin(2013). For the tool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cale of Ma, Sang-Jin(2004) which also modifi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cases of daycare centers is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n accordance wi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infant teachers, the happiness differed in accordance to the types of the daycare center, age, marital status, qualification, ages of infants that they are in charge, infant experience,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made differences. Secondly, The values of social support, play teaching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indicated a highly positive associa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lay teaching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infant teachers’ happiness was calculated at 50 percent. In order to appreci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variable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happiness,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rovided, and the result showed the fact that the appraisal support, conviction of play teaching efficacy, affective involvement, continuous involve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re having great influence on the happiness, with the 57% influence rate for the sub-variables on happiness. In addition, the influence values of above-mentioned independent variables on sub-variables of happiness were estimated at 53% for the internal happiness, and 52% for the external happiness. Likewise, for the self-regulated happiness, the influence turned out with 39% value. Thus, social support for infant class teachers should be provided sufficiently by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and their fellow workers. Also opportunities of systematic and professional reeducation for the teachers should be arranged on a national level, in order to provide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By doing this, infant class teachers areable to b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daycare center, providing high-quality daycare services as a professionals on the infant welfare.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경기와 경기 외의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영아교사 505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 하여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증, One-Way ANOVA & Scheffe(사후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하였다. 행복감의 연구 도구는 Argyle(2001)이 개발한 옥스퍼드 행복 척도(OHQ: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권석만(2011)이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정은주(2015)가 영아교사의 특성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연구 도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박지원(1985)의 측정 도구를 임진형(2000)이 수정 및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직장 내 지지’ 와 ‘직장 외 지지’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내에서 받는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만 알아보고자 하였기에 직장내에서 받는 사회적 지지만을 측정하였다. 놀이교수효능감의 연구 도구는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이재진(2013)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직몰입의 연구 도구는 Allen과 Meyer(1990)의 척도를 번안하여 어린이집의 실정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한 마상진(2004)의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다른 행복감 차이는 어린이집 유형, 연령, 결혼 여부, 자격 정도, 담당하고 있는 연령, 영아반 경력, 최종학력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 조직몰입 및 행복감의 관계는 정적으로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이 영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50%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놀이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 한 결과 평가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이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정되었고 그 영향력은 57%를 보여주었다. 독립변인 중 영아교사의 행복감에 가장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평가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이 행복감의 하위변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본 결과 내적 행복감에 대해서 53%의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외적 행복감에 대해서 52%의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기조절행복감에 대해서는 39%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원장과 동료들은 영아교사에게 사회적 지지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며 놀이교수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전문적인 재교육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영아교사는 어린이집이라는 조직에 대해 더욱 긍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을 것이고 영아보육의 전문가로서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파트너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문경옥 남서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아 교사의 직무몰입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아 교사의 직무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민간, 가정,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영유아교사 30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 직무몰입으로 구성된 설문지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성영혜(1993), 박은주(2009)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활용한 안혜정(2013)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도구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별로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부모 파트너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Owen, Ware와 Barfoot(2000)이 개발한 교사용 The caregiver-parent patnership scale을 안선희, 임우영(201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정보공유 (sharing information), 정보추구(Seeking information), 상호관계(Adult relations), 3개의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몰입 측정도구는 Kaungo(1982)에 의해 개발되었고 하영자(2004)의 척도를 주대진(2010)이 수정,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직무애착 8문항, 직무책임감 3문항으로 총 11문항이며 모든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점수일수록 직무몰입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 파트너십, 직무몰입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세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 파트너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 직무몰입 등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전체 평균은 3.91점(SD=.61)으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의 평균이 3.93(SD=.6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부모 파트너십의 전체 평균은 3.82점(SD=.57)으로 하위요인에서는 교사-부모 간에 정보공유 평균이 4.06(SD=.5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유아 교사의 직무몰입 전체 평균은 3.78점(SD=.61)으로 하위요인 가운데 직무책임감 평균이 4.04(SD=.62)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 교사의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 총점은 유의한 정적 상관(r=.29,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 (r=.18~.3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몰입 간의 총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r=.43,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r=.32~.44)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교사의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직무몰입 간의 총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r=.44,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r=.27~.42)이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몰입을 25%설명했고 교사-부모 파트너십이 추가된 모형에서 설명력이 10%증가하여 3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영유아교사가 직무몰입을 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두 번째로 도구적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지각하는 정서적 지지가 높고 도구적 지지가 낮을수록 직무에 더욱 몰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변인 및 교사-부모파트너십 변인이 직무몰입 변인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이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유아교사가 직무몰입을 함에 있어 사회적 지지를 높이 인식하고 그들의 직무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서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 뿐 아니라 유치원 교사를 포함하여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영유아교사가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체계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프로그램과 여러 방안들이 강구되어 영유아교사가 직무에 몰입하여 일할 수 있는 환경체제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support of infant and infant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how partnerships with teacher-parents affect task job commitment RQ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of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teacher-parent partnerships and job commitment for infant teachers? RQ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partner-parent partnerships and job commitment of infant teachers? RQ3: What is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rom infant teachers and partnerships with teachers and parents on job commitment ? In this study, 300 children and children teachers at private, private, national,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The measuring tool i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teacher-parent partnerships, and job commitment This study was developed by Park Ji-won (1985) and revised by Sung Young-hye (1993) and Park Eun-joo (2009)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2013). Social support tools consist of four sub-factor - ' emotional support , information support , tool-support ' and , evaluative support . - with a total of 24 questions, each of six. The Caregwer-parent patnership scale for teachers developed by Owen, Ware and Barfoot (2000) to measure teacher-parent partnerships (2011), This tool consists of three sub-factor :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searching, interaction. Job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by Kaungo (1982) and utilized by Joo Dae-jin (2010)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scale of Ha Young-ja (2004). The sub-factor is a total of 11 questions, 8 questions for job attachment and 3 questions for job responsibility, all of which are made up of a five-point recap scale, and the higher the higher the score indicates a higher level of task immersion. The survey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social support, teacher-parent partnership, A t-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variation of infant teachers and the one-way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nts and the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and the influence of teacher-parent partnerships on task immersion were conducted in a hierarchical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based on the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the general tendency of study variables such as teacher - parent partnership and job immersion, the overall average of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was 3.91 points. (SD =. 61), the highest average emotional support among the subcomponents of social support was 3.93 (SD =. 62).The overall average of teacher-parent partnerships is 3.82 points (SD=.57), which means that the averag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s 4.06 (SD =. 54). The highest rate was found, and the overall average of job immersion for infants was 3.78 points (SD =. 61). Among the sub-causs, the average job responsibility was high at 4.04 (SD =. 62).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teacher-parent partnershi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mmersion. Social support by infant teachers and the total score of partnerships with teacher-parent have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dependencies (r =. 29, p <. 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r =. 18 ~. 31) between the sub-factor. Next, the total score between social support for infants and teachers and job immersion i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r =. 43, p <. 001).There was also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r =. 32 through. 44) between the sub-factor. Finally, the total score between teacher - parent partnership and job immersion for infants and teachers i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r =. 44, p <. 001).There was also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r =. 27 ~. 42) between the sub-factor. Third, after looking at the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and the influence of partnerships with teachers and parents on job immersion, social support contributed 25 % of the teacher's job immersion, and teacher-parent partnership was added. Of the subcomponent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area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commitment for infants and teachers, while tool sites had relatively high influen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a teacher is perceived to have and the lower the tool support, the more involved he or she becomes in his job. The study found that social support of infant teachers and student-parent partnerships affect job commitment, In the case of infant teacher, social support is highly recognized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partnership with parents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ir work flow. It is meaningful. A follow-up study shows that not only infants and children in daycare centers but also kindergarten teachers A social support system for infant teachers and programs and measures for partnerships with teachers and parents are devised to provide an environmental system for infant teachers to engage in the task.

      •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혜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차이와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사회적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 회복탄력성,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 회복탄력성, 행복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사회적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외 지역의 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법인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300명이 응답하여 총 300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수집된 설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ɑ를 산출하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등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t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시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행복감 차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대인관계능력은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5년 이상 ∼ 7년 미만의 경력 교사가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긍정성, 행복감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모두 대학원이상 집단이 가장 높았다.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 회복탄력성 전체에서와 하위요인별로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회복탄력성 전체,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은 40대와 50대 이상이 20대보다 높았다. 행복감은 40대와 50대 이상이 20대보다 높았다. 보육교사의 자녀 수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 자녀수에 따라 사회적지지 전체,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는 자녀가 없는 집단과 자녀수가 3명 이상 집단이 1명인 집단보다 높았고, 물질적지지와 평가적지지는 자녀수가 3명 이상 집단이 1명인 집단보다 높았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대인관계능력은 자녀수가 3명 이상 집단이 1명인 집단보다 높았고, 긍정성은 자녀수가 2명 집단이 자녀가 없는 집단보다 높았다. 행복감은 자녀수가 3명 이상 집단이 자녀가 없는 집단과 자녀수가 1명인 집단보다 높았다. 보육교사의 결혼여부에 따라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정보적지지와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보적지지는 미혼의 보육교사가 높게 나타나고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은 기혼의 보육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이직준비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직준비를 하고있는 집단이 높았다. 행복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직준비를 하고있는 집단이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두 변인 전체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두 변인 전체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두 변인 전체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이는 보육교사가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의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셋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로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과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은 75.8% 설명하였다. 또한 행복감 전체에 있어서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임금수당, 이직준비, 사회적지지의 직장 내 평가적지지,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설명력을 지닌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와 회복탄력성이 높게 형성되면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과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교육기관의 구성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회복탄력성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영유아교육기관에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김영금, 2020). 보육교사 스스로도 회복탄력성의 수준 정도를 파악하고 점진적 노력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교사가 인식하여 보다 높은 회복탄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김주환, 2011). 또한 회복탄력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교사 교육과 질적 향상을 위하여 사회, 제도적 측면에서의 지원과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문새은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8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measur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Park Ji-won (2009) first developed and revised the term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2007) to suit the school situation, select questions, and supplement them using tests by Kim Kyu-tae and Choi Kyung-min (2015)A scale of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intestine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2.0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support,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were the main variables explain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high social suppor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provide various teacher educa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to increas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68명이었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해 Luthans 등(2007)이 개발한 긍정심리자본척도(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를 교육 현장에 맞게 용어를 수정하고 문항을 선별하여 수정·보완한 김규태와 최경민(2015)의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9)이 최초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하고 이재영(2012)이 유아교육 기관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알아보기 위해 Allen과 Mayer(1990)가 개발하고 권순오(2001)가 번안한 것을 강지영(2008)이 문장을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지지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에는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이었다.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사교육과 환경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