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장 이식 수술 전 후 환자의 골밀도 검색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김현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Introduction: As long-term survival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is possible, the incidence of medical complication among the kidney recipient increases. Osteoporosis is the one of common complication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that causes profound morbidity. Using the recipients with pre-transplant bone mineral density(BMD) data, post-transplant change of BMD was evaluated retrospectively. And this study analyzed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post-transplant BMD loss.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ninety four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from January 1996 to September 200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BMD is expressed as the T-score of spine and femur. Gender, age, the presence of pre-transplant diabetes mellitus, the matching degree of ABO blood types, the mode and duration of dialysis, and the history of previous transplantation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affecting the pre-transplant BMD and post-transplant BMD loss. Comparis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tudent’s t-test or ANOVA. The variable that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p-value<0.05) was considered as risk factor. Results: According to the pre-transplant BMD study, the mean of the spine T-sco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transplant group. The mean femur T-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transplant group, elderly recipients (more than 45 years) and female. Despite of steady bone loss for 3 years after transplantation, rapid bone loss occurred particularly in the post-transplant first year. The normal pre-transplant BMD group (T-score of spine and femur > -1.0)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one loss than abnormal pre-transplant BMD group (T-score of the spine or femur £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alysis of BMD loss during post-transplant 1 year, prolonged pre-transplant hemodialysis (more than 60 months) and retransplant group were risk factors affecting the post-transplant BMD loss. In this study, ninety-eight recipient (33.3%) received anti-osteoporosis medication such as alfacalcidol, alendronate sodium, or risendronate sodium after renal transplantation. The early application of anti-osteoporosis management was effective in ameliorating the post-transplant BMD loss. However, anti-osteoporosis management after post-transplant 1 year was not effective. Conclusions: A pre-transplant evaluation of the BMD and the significant BMD loss during the first post-transplant year should not be overlooked. Prophylactic management against the bone loss should be encouraged in recipients with both a normal and abnormal pre-transplant BMD.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이식 전 후 골밀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이식 후 발생하는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1996년 1월부터 2003년 9월30일까지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850명중 소아신장이식 환자, 타 장기와 동반이식 및 최근 6개월 내의 골절 경력이 있었던 환자를 제외하고, 신장이식수술 이전에 골밀도 검사를 시행 받고 이식 후 1년 이내에 1차례 이상 골밀도검사를 시행한 환자 2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밀도 측정치는 요추부 및 대퇴부의 T-score를 대표값으로 사용하였으며, 군간의 평균값 비교는 Student’s t-test 혹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식 후 골밀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통계학적인 검증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유의수준 0.05 미만인 인자를 유의한 인자로 간주하였다. 연구 결과: 이식 전 시행한 골밀도 검사에 의하면 요추부 T-score는 재이식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대퇴부 T-score는 여성 수여자, 45세 이상의 수여자 및 재이식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이식 후 3년간의 골밀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이식 후 1년 이내의 골밀도 손실이 가장 뚜렷하였다. 대퇴부보다는 요추부의 골밀도 감소가 상대적으로 뚜렷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며 변화양상은 비슷하였다. 이식 전 골밀도가 정상군(T-score>-1)의 이식 후 골밀도 감소량은 이식 전 골밀도 비정상군(T-score £ -1) 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식 후 1년 동안의 골밀도 변화에 미치는 인자를 단인자분석으로 확인해 본 결과 이식 전 투석의 기간이 긴 경우에서 초기 골밀도 손실이 많았으며, 재이식 군보다 일차이식 군에서의 골밀도 손실이 많았다. 이식 후 골밀도의 저하로 말미암아 294예의 환자 중 33.3 %에 해당하는 98예에서 골다공증 치료제의 투여가 필요하였다. Alfacalcidol 투여 예가 60 예로 제일 많았으며, alendronate sodium 31 예, risendronate sodium 7예의 순이었다. 이식초기부터 투여한 골다공증 치료는 이식 후 1년 동안의 골밀도 손실을 억제하였으나, 이식 후 1년이 경과된 이후에 투여 된 골다공증 치료제는 이 후의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이식 후 골밀도의 변화는 이식초기 1년에 가장 현저한 소실이 이루어지며, 골밀도의 손실이 이식 직후부터 투여된 골다공증 치료제에는 반응하나, 그 이후의 치료제 투여에는 유의하게 반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식환자에 대한 골다공증 치료는 이식 직후부터 바로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식당시 골밀도 정상군도 고 위험 군처럼 지속적인 관찰과 예방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여대생의 골밀도와 식이 및 비식이 요인들 간의 상관성

        임지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dietary and non-dietary fact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BMD of the subjects (n=38) was measured using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t lumbar spine and three femoral sites including femoral neck, ward's triangle, and femoral trochanter. Three-day 24-hour dietary recall data were collected from each subject to assess consumption levels of nutrients and food groups. The mean (±SD) values of age, age of menarch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waist-to-hip ratio (WHR), fat mass, and % body fat of the subjects were 21.34 (±1.73) years, 13.1 (±1.2) years, 161.3 (±5.0) cm, 53.7 (±7.2) kg, 20.6 (±2.6) kg/m2, 0.80 (±0.04), 15.4 (±4.4) kg, and 28.2 (±4.7), respectively. The BMD values of lumbar spine, femoral neck, ward's triangle, and femoral trochanter as T-value were 1.150±0.13 g/cm2, 0.932±0.11 g/cm2, 0.850±0.13 g/cm2, and 0.721±0.10 g/cm2, respectively. The daily mean energy intake of the subjects was 1660.6kcal. The intake levels of carbohydrate, calcium, iron, vitamin C, and folic acid were lower than the KDRIs, while those of fat, phosphorus, sodium, vitamin A, and vitamin B6 were higher than the KDR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consumption of fat and oils and the BMD of both lumbar spine and all femoral sites (p<0.05). Potato and starch intake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BMD of femoral neck and word's triangle (p<0.05). The intakes of cereal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of ward's triangle (p<0.05). There were also negative correlations of intakes of soybeans and products with the BMD of lumbar spine (p<0.05). Weight and muscle ma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BMD of both lumbar spine and femurs (p<0.01).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MI, and fat mass and the BMD of lumbar spine were observed (p<0.001). Also, Fat m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BMD of femoral neck. WHR and % body fat wa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BMD of lumbar spine (p<0.05).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rum calcium and the BMD of femoral neck (p<0.05). In summary non-dietary factors generally showed better correlations with the BMD of lumbar spine than with the BMD of femurs, while several dietary factors showed better correlations with the BMD of femurs. 골격의 역할은 가동성을 위한 힘과 밀도를 제공하며,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칼슘, 인,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 저장고이다. 골조직이 침착되고 유지되고 복구되는 것은 모든 다른 조직처럼 세포과정이며 영양이 관여한다. 골기질의 생성은 콜라겐의 합성과 함성 후 수정과 다른 단백질의 배열이 필요한데 이러한 생성 과정에 단백질, 비타민C, D, K, 구리, 망간, 아연 등의 무기질이 요구된다. 노년기 여성의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인 골다공증은 골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린 것처럼 보이는 질병으로 뼈가 약해져서 체중이나 기계적인 압력에 견디는 힘이 약해지고, 일상적인 활동에서 미약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생길 수 있다. 골다공증은 골절 및 이와 관련된 합병증이 중요한 문제로서 요추, 대퇴골, 요골에서 주로 골절이 일어난다.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중 가장 위험한 대퇴골 근부위 골절은 환자의 약 50%가 정상적인 활동의 제한으로 큰 불편을 겪으며 15~20%가 사망에 이르게 된다. 골다공증은 한번 발생하면 개선되지 않으므로 골 손실을 방지하는 예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성인기에 최대 골질량을 극대화 하고 폐경 전후의 골 손실을 감소시키며 골손실 위험인자를 가능한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대 골질량을 획득할 수 있는 시기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식이요인 및 비식이요인 (연령, 초경 나이 및 체성분, 혈액의 칼슘, 비타민D, 지질농도)이 골밀도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가임기 젊은 여성의 골격건강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는 외견상 건강한 여대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34±1.73세 이었고 초경연령은 13.08±1.19세, 키는 161.32±4.98cm, 체중은 53.65±7.18kg, BMI는 20.61±2.55kg/m2, WHR은 0.80±0.04, 체지방량은 15.35±4.42kg, 체지방률은 28.20±4.73% 이었다. 대한비만학회의 ‘한국인 비만 기준’ 에 따라 분류하면 저체중 (BMI<18.5) 9명, 정상체중 (18.5≤BMI <23) 24명, 과체중 (23≤BMI<25)2명, 비만 (25≤BMI<30) 3명으로 분류되었다. 2. 조사대상자의 척추와 대퇴골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요추 골밀도 (BMD)는 1.150±0.13g/cm2, 대퇴경부 0.932±0.11g/cm2, 와드삼각 0.850±0.13g/cm2, 대퇴전자부 0.721±0.10g/cm2 이었다. T-score로 판정할 경우 정상은 22명, 골감소증은 16명으로 42%나 되었다. 3. 조사대상자의 에너지 섭취량은 평균 1660.61±431.96 kcal 이었고, 탄수화물, 칼슘, 철분, 비타민C, 엽산의 섭취가 부족하고 지질, 인, 나트륨, 비타민A, 비타민B6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을 보면 곡류군은 286.08±99.73g, 어육류군은 142.11±77.88g, 채소군은 197.45±106.36g, 과일군은 120.00±154.49g, 우유 및 유제품군은 165.82±140.96g, 유지군은 10.26±5.48g, 두유 및 그 제품군은 31.39±51.48g 섭취하였다. 4. 혈액성분 분석 결과 25-(OH) Vitamin D농도는 319.97±5.20㎎/dl, Ca 농도는 9.64±0.31㎎/dl 로 나타났다. 혈장지질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178.00±21.78㎎/dl,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55.16±9.19㎎/dl,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105.70±16.88㎎/dl, 중성지질의 농도는 85.71±32.41㎎/dl) 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5. 골밀도와 비식이 요인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나이, 초경나이, 키는 골밀도와 상관성이 없었으며, 체중과 근육량은 요추와 대퇴부3부위 골밀도 모두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p<0.01). 체지방량은 요추 (p<0.001), 대퇴경부 (p<0.05)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BMI는 요추 골밀도와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p<0.001), WHR, 체지방률 또한 요추의 골밀도와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p <0.05). 특히 본 연구 결과에서는 근육량이 요추 (p<0.01), 대퇴부 3 부위 (p<0.001) 골밀도와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혈액성분량과 골밀도의 상관성 분석결과 대퇴전자부와 혈중칼슘이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골밀도와 25-(OH) vitamin D, 혈청의 지질성분의 농도와는 어떤 의미 있는 상관성이 없었다. 6. 골밀도와 식이요인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골밀도와 식이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곡류군 섭취량과 와드삼각 골밀도가 음의 관련성을 (p<0.05), 감자와 전분류와 대퇴부 3부위 골밀도 모두에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p<0.05). 반면, 두류 섭취량은 요추 골밀도와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특히 유지류 섭취량은 측정부위 (요추, 대퇴부 3부분) 골밀도 모두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골밀도와 관련성이 있는 식이요인으로는 탄수화물 (곡류, 감자 및 전분류)과 유지류 섭취가 골밀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와 관련성이 있는 비식이요인의 경우 체중과 근육량이 높을수록 골밀도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비식이요인은 요추 골밀도와, 식이요인은 대퇴부 골밀도와 좀 더 관련성이 높았다.

      • 부인암 환자의 골밀도 감소와 골다공증 위험성

        이정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본 연구는 골 전이가 없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환자의 요추 및 대퇴 골밀도를 통해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수술적 치료와 항암 약물치료 및 방사선치료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해운대 백병원 산부인과에서 진료 받은 여성의 의무기록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로 243명의 부인암 환자와 240명의 대조군의 요추 및 대퇴 경부의 골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부인암 환자군으로 자궁경부암 (n=105), 자궁내막암 (n=63), 난소암 (n=75)을 진단 받고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포함한 전자궁절제술 및 항암 약물치료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골 전이가 있거나 암의 병기가 진행되어 수술을 받지 못한 6명의 환자는 제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1년 이상 생리를 하지 않고 폐경을 진단 받은 환자 중, 부인암 선별검사에서 암으로 진단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인암 환자와 대조군은 치료 전, 진단 시기에 골밀도를 1회 측정하였고 항암 치료 1년 이후, 대조군의 경우 첫 골밀도 검사 1년 이후 골밀도를 재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DXA (Lunar Radiation Corp, Madison, WI, USA))을 통해 측정하고 요추 1번 ~ 4번, 요추 평균, 대퇴 경부의 T값을 비교하였다.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에 따라 T값이 -1.0에서 -2.5사이를 골감소증, -2.5이하에서 골다공증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부인암 환자의 요추 평균, 1번, 2번 요추 및 대퇴 경부의 T값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부인암 환자 243명 중 114명(46.9%)이 골감소증, 33명(13.6%)이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었고 대조군 240명 중 100명(41.7%)이 골감소증, 22명(9.2%)이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었다. 항암 치료 전 부인암 환자의 골밀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면 자궁경부암 환자의 골밀도는 1번, 2번 요추와 대퇴 경부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난소암 환자는 1번 ~ 4번 요추와 요추 평균 골밀도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암 치료 전후의 골밀도 변화는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 전후의 골밀도 변화를 비교하면 요추 3번, 4번, 대퇴 경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포함한 수술적 치료만 시행한 환자군에서 골밀도 변화가 가장 작았고 수술 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 골밀도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부인암 환자는 요추 및 대퇴 경부의 골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고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항암 치료 전 자궁경부암, 난소암 환자의 골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항암 치료 전후 골밀도는 자궁내막암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인암 환자에서 암으로 인한 골밀도 감소와 항암 치료로 인한 이차성 골다공증 및 골절의 위험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예방 및 조기진단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태권도와 특공무술이 초등학교 남학생의 신체구성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강윤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속초지역 초등학생 중 약물 복용, 흡연, 음주와 최근 6개월 동안 스테로이드, 칼슘, 비타민D의 복용 및 골절의 재해를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2∼3년 이상의 지속적인 태권도, 특공무술 운동을 한 10∼11세의 남학생과 운동을 하지 않은 비 수련생을 대상으로 체격과 체력의 신체조성과 골밀도를 조사하여 태권도 수련자, 특공무술 수련자, 비 수련자 간의 신체발달과 골밀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골밀도에 보다 효과적인 운동 형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 설계는 태권도 10명, 특공무술 10명을 실험집단으로, 특별한 체중부하 운동 경험이 없는 10명을 통제 집단으로 하여, 체구성 분석과 골밀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체구성 분석과 골밀도 검사를 통하여 세 집단간의 체구성과 골밀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고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집단별 체력, 신체조성, 골밀도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결과에 대해서는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비교하였다. 세 집단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이용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평균치들 간의 검증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세 집단 간의 신체구성 성분 중 제지방량(kg),체지방률(%),BMI(kg/㎡)의 평균비교에 의한 ANOVA 검증결과 집단 간의 평균치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제지방의 경우 특공무술 수련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였고, 체지방률은 비 수련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BMI에서는 특공무술 수련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였다. 세 집단 간의 골 무기질 함량(g/㎠)의 평균비교에 의한 ANOVA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공무술 수련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였고, 비수련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집단의 신체구성, 골밀도와의 상호관계에서 골밀도는 BMI와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P<.05) 체지방률과 BMI에서도 매우 강한 상관관계(P<.01)를 보였다. 특공무술 수련 집단과 비수련 집단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을 상관 분석한 결과에서 체지방률과 BMI에서만 P<.01의 범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집단 간 골밀도에서 특공 무술의 골 무기질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 수련 집단의 골 무기질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운동 형태에 따라 신체구성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태권도 집단에서 BMI와 BMC에서 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10-11세의 초등학생에 대해 운동 종목별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survey)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식생활과 골밀도와의 관련성 분석

        서대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SDA 교단의 채식주의자와 비채식주의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및 식습관과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했다.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관하여 연구조사를 실시했다. 자료 수집은 SDA교단의 2004년 5개 합회 총회 개최 시기로 1월부터 2월 초순까지 각 합회 총회 대표자 1,500여 명 중 자원하는 570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측정과 설문지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자 435명 여자 135명이었다. 이 중 완전채식과 락토오버 채식자는 123명 비채식자는 347명이였다. 남자 골밀도 정상군과 비정상군의 수는 각각 190명과 206명이고 여자 골밀도 정상군과 1l정상군의 수는 각각 55명과 72명이었다. 골밀도 정상군과 비정상군의 연령 군을 보면 비정상군의 경우 50대가 54.6%, 60대 이상이 52.4%로 나타났고, 정상군에서는 30대 이하가 62.0%, 40대가 53.7%로 나타나 정상군에 비해 비정상군에서 고연령층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자에 비해 여자의 골밀도가 비정상일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교육수준은 ‘중졸이하’에 비해 ‘대학원졸 이상’에서 골밀도가 비정상일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소득수준에 따라 고소득자들이 골밀도가 낮고 저 소득자들이 골밀도가 높았다. 거주지역에 있어서도 남자의 골밀도 비정상군은 ‘시골’이 많은 반면, 정상군은 ‘직할시 이상의 대도시’가 가장 많았다. 여자의 경우는 남자와는 달리 골밀도 비정상군의 경우 ‘직할시 이상의 대도시’가 가장 많았다. 또 정상군에서는 대도시 보다 ‘읍․면 단위의 소도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성이 골밀도 정상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자에 비해 여자에서 골밀도가 비정상일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생활습관(운동)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비정상군에 비해 정상군의 운동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난 것은 운동시간에 따라 골밀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30세 이전의 운동정도는 운동량이 작을수록 골밀도가 비정상일 확률이 유의하게 높아 ‘많이 했음’에 비해 ‘거의 안했음’이 골밀도가 비정상일 확률이 가장 높았다. 운동 종류에서는 단순한 운동보다는 조금은 활동적인 운동이 골밀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가 정상인 군과 비정상인군간 식생활 습관의 차이를 살펴본 것은 의외로 연구가설이나 문헌고찰과는 전혀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완전채식을 하는데도 비정상군에 속하게 된 것은 통곡식을 주로 하지 않은 채식을 습관적으로 하거나 통곡식을 위주로 했다하더라도 다른 식품을 균형 있게 섭취하지 못했거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거의 하지않은 결과이며 이로써 통곡식과 함께 균형 잡힌 채식을 하지 않고 일정하게 운동을 하지 않으면 오히려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추후 식생활 형태와 골밀도, 그리고 운동과 골밀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is on the study of how a way of life and its form have an effect on the density of bone. The study is on 570 people, who volunteered for this data, from a total of 1,500 people who attended the Korean Seventh-Day Adventist yearly conference from January to early February, 2004. The respondents took part in the survey by filling in a questionnaire. There were 123 vegetarians, including pure vegetarians and lacto-ovo-vegetarians, and 347 non-vegetarians among 435 males and 135 females who took part in this survey. The number of normal male group of the density of bone is 190 and abnormal is 206, and for female, 72 for normal and 55 for abnormal. Classifying according to age, the study shows elderly with higher than the younger in the abnormal group; 54.6% of fifties and 52.4% of over sixties in abnormal, and 62.0% of under thirties and 53.7% of forties in normal. And in the terms of sex, female is higher than male in the abnormal group. On the academic background, ''under middle school'' is less than ''over graduate'' in the abnormal group. The density of brain of the low-income group is higher than the high-income group. And in the terms of a residential district, for male, whereas abnormal group living in the country shows the most, normal group living in the big city is the most too. For female, unlike the male, abnormal group living in the big city is the most, it means the city-dweller doesn''t have enough time to exercise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life. The normal group living in the small city just like a town is the most. It means small city life makes female increase the quantity of exercise and activity than big city. This could result in the delay of decreasing of a bony[osseous] tissue. The logistic recurrence analysis showed that as the sex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normal state of the density of bone statistically, it is likely that female will be higher than male in abnormal. When it was examined in the terms of the difference of life style, especially exercise, time for exercise in the normal group is longer than the abnormal, which means time for exercise has much effected to the density of bone. The less quantity of the exercise among people who are under thirties, the higher the abnormal ratio of the density of medula when the quantity of exercise was 'rarely exercised' compared to 'much done'. A rather active exercise has more effected than a simple one. Although female had much exercised before in her thirties, later on her health care can influence the density of bone. The difference of eating habits between normal group and abnormal group of the density of bone, to my surprise, has revealed an entirely opposite result, unlike to research hypothesis and document considerations. So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I could see the following; there are good reasons that heshe, even though heshe who is a pure vegetarian, is in the abnormal category - heshe had a vegetarian meal habits without having whole grains, or didn''t take in a balanced meal with other foods though heshe did have whole grains and as a result of rarely doing an exercise regularly. Therefore, if one don''t have a balanced vegetarian meal with whole grains and take proper exercise regularly, it rather doesn''t be an effective result that takes precautions against the osteoporosis. Also, when take milk and an egg, without a balanced meal with whole grains, the protein took in rather was ineffective to maintain the density of bone, and then is been belong to the abnormal group. In addition it is no doubt that when one as I mentioned above doesn''t have a balanced meal even though a vegetarian without any fish, one cannot help being in an abnormal group.

      • 비만지표가 한국 성인 대퇴 및 요추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 본 연구는 비만 지표와 대퇴 및 요추 골밀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명확한 결과를 도출해 내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향후 비만 지표와 골밀도 간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성인의 대퇴 및 요추 골밀도의 가장 유용한 비만 지표를 확보하여 골밀도의 건강 증진 및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 2014년과 2018년에 일반 건강검진을 위해 한국건강관리협회 강남지부를 방문하여 골밀도 및 비만 지표를 측정한 1,007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4년 각 비만 지표들과 2018년 요추 및 대퇴 골밀도 간의 영향을 교란요인 (폐경 기간, 연령, 흡연, 음주, 신체활동) 통제 하에 분석하였다. 결과 : 비만 지표가 남자 요추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BMI와 ABSI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BMI의 설명력은 약 4.5%로 나타났고(R2=0.045), ABSI의 설명력은 7.1%로 나타났다(R2=0.071). 여자 요추 골밀도, 남자 대퇴 골밀도, 여자 대퇴 골밀도의 경우, 모든 비만 지표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골밀도의 부위와 성별에 따라 비만 지표가 미치는 영향은 상이 했으며, 비만 지표와 골밀도 간의 관계 역시 크지 않았다. 따라서 비만과 골밀도 간의 연구에서 성별과 골밀도에 따라 유효한 비만 지표를 반영하여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비만과 골밀도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할 대단위 연구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Meta Analysis)

        오세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research, various executed researches related with effects on bone density in exercising showed different result in spite of similar subject, early research results to overcome limitation of partial research should unify to drive reasonable result and organize vital information to analysis objective result. Meta analysis about effects on bone density in exercising derives scientific results, so it is useful to adapt some opposing research for unifying and to present fundamental criteria by studying various factors. To research this problem, calculating Sample Error(SE), DBAR: total effct size, W: Inverse variance weights, Q: Test for the homogenity of effect size, Lower and Upper through Effect Size(ES), Synthesize Standard Deviation(SD-D) and Common Effect Dimension(CD) by collecting total 28 references(117 researches) showed below results. A bone density variation of Femur neck appeared as ES = 0.15 from total 27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2 g/㎠ from average 0.83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0.85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266 persons and executed 3.9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6.5 weeks. SE is 0.087 which showed re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5.79 (p>.01) which showed homogeneous of samples. A bone density variation of Lumber appeared as ES = 0.19 from total 39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3 g/㎠ from average 6.99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1.02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347 persons and executed 3.8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6 weeks. SE is 0.076 which showed rea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22.36 (p>.05) which showed homogeneous of samples. A bone density variation of Forearm appeared as ES = 0.36 from total 9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4 g/㎠ from average 0.25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0.29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123 persons and executed 4.2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1.1 weeks. SE is 0.131 which showed re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23.01 (p<.05) which showed heterogeneous of samples. A bone density variation of Femur Ward's triangle appeared as ES = 0.09 from total 17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09 g/㎠ from average 0.78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0.789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164 persons and executed 3.6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9.8 weeks. SE is 0.11 which showed re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1.897 (p>.01) which showed homogeneous of samples. Total bone density variation appeared as ES = 0.24 from total 7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6 g/㎠ from average 1.17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1.23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99 persons and executed 3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4.6 weeks. SE is 0.143 which showed re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1.131 (p>.05) which showed homogeneous of samples. A bone density variation of Trunk appeared as ES = 0.13 from total 5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1 g/㎠ from average 0.87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0.88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47 persons and executed 4.4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0.4 weeks. SE is 0.207 which showed re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1.004 (p>.05) which showed homogeneous of samples. A bone density variation of Femur Trochanter appeared as ES = 0.1 from total 15 researches,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1 g/㎠ from average 0.72 g/㎠ before exercising to average 0.73 g/㎠ after exercising. The number of samples is 141 persons and executed 3.8 times exercising in a week during 16 weeks. SE is 0.119 which showed resonable results of samples and Q is 4.358 (p>.01) which showed homogeneous of samples. Synthetically, effects of bone density variation appeared as ES = 0.18 and the bone density increased 0.026 g/㎠ from before exercising to after exercising. 본 연구는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수없이 행해져온 많은 연구들이 유사한 주제임에도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선행연구의 결과를 한데 통합하여 보다 객관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강력한 결론을 도출하고 종합적인 해석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유용한 생체정보로 체계화 하는데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운동 시 인체에 미치는 골밀도에 대한 메타 분석은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수많은 대립구도를 지니고 있는 연구들에 대하여 일관성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각 변인들에 대하여 종합적인 수리적 고찰을 통해서 기본적인 준거를 제시 할 수 있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총 28편(117개 연구)의 문헌을 수집하여 효과크기(ES) 및 통합표준편차(SD-D), 수정된 효과크기(CD)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본오차(SE), 종합효과 크기(DBAR), 역변량 가중치(W), 동질성 검사를 위한 통계량(Q), 95% 신뢰구간의 최소값(LOWER)과 최대값(UPPER)을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Femur neck골밀도는 총 27개 연구로 ES=0.15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0.83 g/㎠에서 운동 후 0.85 g/㎠로 0.02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 수는 266명이며 16.5주 동안 매주 3.9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087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 5.79 (p>.01)로 동질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Lumbar 골밀도 변화는 총 39개 연구로 ES=0.19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0.99 g/㎠에서 운동 후 1.02 g/㎠로 0.03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 수는 347명이며 16주 동안 매주 3.8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076으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 22.36(p>.05)로 동질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Forearm 골밀도 변화는 총 9개 연구로 ES=0.36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0.25에서 운동 후 0.29 g/㎠로 0.04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수는 123명이며 11.1주동안 매주 4.2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131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 23.01 (p<.05)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Femur Ward's triangle 골밀도 변화는 총 17개 연구로 ES=0.09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0.78 g/㎠에서 운동 후 0.789 g/㎠로 0.009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수는 164명이며 19.8주 동안 매주 3.6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11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 1.897(p>.01)로 동질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Total 골밀도 변화는 총 7개의 연구로 ES=0.24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1.17에서 운동 후 1.23 g/㎠로 0.06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 수는 99명이며 14.6주 동안 매주 3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143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1.131(p>.05)로 동질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Trunk 골밀도 변화는 총 5개의 연구로 ES=0.13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0.87에서 운동 후 0.88 g/㎠로 0.01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 수는 47명이며 10.4주 동안 매주 4.4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207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 1.004(p>.05)로 동질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Femur trochanter 골밀도 변화는 총 15개의 연구로 ES=0.1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 평균 0.72 g/㎠에서 운동 후 0.73 g/㎠로 0.01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사례 수는 141명이며 16주 동안 매주 3.8번 운동을 실시하였다. SE는 0.119로 표본의 신뢰성이 높으며 Q는 4.358(p>.01)로 동질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골밀도 변화 효과는 ES=0.18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 0.026 g/㎠의 골밀도가 상승했다.

      • 20대 저체중 여성의 신체구성 및 골밀도 관한 조사연구

        최재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measured body composition by body part (fat mass, muscle mass) which can give influence on body density of lumber vertebrae, thigh and the whole body with a view to improving bone density of women in their 20s with low body weight.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analyzed body composition which can give the greatest influence on bone density by classify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body type by a low weight group and a normal weight group. Out of 183 female students in total, this study excluded 83 college students aged 19 whose T-value was not possible to measure,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st 100 students in their 20s occupied 48% in osteopenia and osteoporosis. To be specific, a more serious degree of osteopenia was manifested in a low weight group than in the counterpart: Based on BMI, 45 out of 50 with low weight showed the level inferior to BMI 19.9kg/m2 while 45 out of 50 with normal weight showed the level less than 20-25kg/m2. As for fat mass by body part, comparing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the low weigh group showed an impoverished level of fat mass in the left leg by 15%, in the left torso by 31%, in the right leg by 16%, and in the whole torso by 32%. Thu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muscle fat by body part, comparing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the low weight group showed a deteriorated level of muscle mass in the left torso by 4%, in the right leg by 9%, in the right torso by 9%, in the whole leg by 8%, and in the whole torso by 7%. Likewis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monstrated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bone density by body part, comparing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the low weight group showed a declined level of bone density in the left arm by 4%, in the left leg by 7%, in the left torso by 8%, in the right arm by 8%, in the right leg by 6%, in the right torso by 10%, with deterioration of the total bone density by 9% and T-value by 28%. Consequent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playe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it turned out that lumbar bone density of the low weight grou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scle mass of the right whole body. Lumbar bone density of the normal weight grou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scle mass of the left legs/torso/whole body and the right legs/whole body as well as the whole leg/torso. Bone density of the whole bod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ft leg, the right leg/whole body and whole leg/torso.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art with the closest relation with lumbar bone density of the low weigh group turned out to be muscle mass of the right body, muscle mass of the right whole body and muscle mass of the whole torso, while the part with the closest relation with thigh bone density turned out to be muscle mass of the right whole body and muscle mass of the left whole body. Since the simple measurement of bone density can be directly connected with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one diseases such as osteopenia and osteoporosis, the study making a detailed analysis of bone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of women in their 20s with low weigh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exercise treatment for the field application which can help prevent osteopenia and improve bone density. This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improvement of bone density through promotion of muscle mass in the low weight group is much more important than improvement of fat mass. It is estimated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customized exercise treatment programs allowing intensive training of the body parts confirmed by this study.

      • 60세 이상 노년 한국인들의 골밀도 수준 및 관련 요인

        김영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60세 이상 한국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퇴경부 골밀도와 요추골밀도의 골밀도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이섭취, 골절 과거력, 골다공증 가족력, 병력,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 등의 제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3차년도, 제 5기 1차 년도에 참여한 남자 13,328명, 여자 15,907명 중 60세 이상 남자노인 2,763명, 여자 3,736명을 선별하여 골다공증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이들 중 결측치가 있는 자는 제외하고 60세 이상 남자 노인 1,739명, 여자 노인 2,044명 총 3,783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다공증 유병률은 남성노인에서는 60대는 6.7%, 70대는 15.8%, 80대이상은 31.4%이었고, 여성노인에서는 60대는 35.9%, 70대는 63.3%, 80대이상은 84.2%이었다. 부위별 골다공증 유병률을 보면, 남성노인의 대퇴 경부부위 유병률은 60대는 2.6%, 70대는 8.2%, 80대이상은 24.8%, 요추부위 유병률은 60대는 5.5%, 70대는 11.3%, 80대이상은 15.4%이었다. 여성노인의 대퇴 경부부위 유병률은 60대는 18.1%, 70대는 45.2%, 80대이상은 76.4%이었고, 요추부위 유병률은 60대는 29.0%, 70대는 48.6%, 80대이상은 59.0%이었다. 2. 남성에서 대퇴경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키, 제지방량, 체지방량, 걷기 실천율, 1일 칼슘섭취량, 척추골절으로 나타났다. 즉 1 Unit 증가할 때 제지방량은 0.067, 체지방량은 0.013, 1일 칼슘섭취량은 0.009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증가했고, 키는 0.013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감소했다. 걷기 1회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은 0.010 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증가했고, 척추골절이 있는 사람은 0.060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감소했다. 제지방량, 1일 칼슘섭취량, 체지방량, 키, 걷기실천율, 척추골절 순으로 대퇴경부 골밀도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3. 여성에서 대퇴경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제지방량, 체지방량, 1일 에너지 섭취량, 폐경 후 년수, 여성호르몬제 복용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1 Unit 증가할 때 제지방량은 0.043, 체지방량은 0.018, 1일 에너지 섭취량은 0.009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증가했고, 폐경 후 년수가 증가할수록 0.014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감소했다. 여성호르몬제 복용한 사람일수록 0.012만큼 대퇴경부 골밀도가 증가했다 제지방량, 체지방량, 폐경 후 년수, 1일 에너지 섭취량, 여성호르몬제 복용 순으로 대퇴경부 골밀도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4. 남성에서 요추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키, 제지방량, 체지방량, 1일 칼슘섭취량, 척추골절, 당뇨병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즉 1 Unit 증가할 때 제지방량은 0.058, 체지방량은 0.026, 1일 칼슘섭취량은 0.007만큼 요추골밀도가 증가했고, 키는 0.021만큼 요추골밀도가 감소했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0.038만큼 요추골밀도가 증가했고, 척추골절이 있는 사람은 0.089만큼 요추골밀도가 감소했다. 제지방량, 체지방량, 당뇨병, 키, 1일 칼슘섭취량, 척추골절 순으로 요추 골밀도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5. 여성에서 요추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제지방량, 체지방량, 1일 리보플라빈 섭취량, 손목골절, 척추골절, 당뇨병, 골관절염, 폐경 후 년수, 여성호르몬제 복용여부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즉 1 Unit증가할 때 제지방량은 0.047, 체지방량은 0.038, 1일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0.006만큼 요추 골밀도가 증가했고, 폐경 후 년수가 증가할수록 0.022만큼 요추골밀도가 감소했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0.017, 골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0.013, 여성호르몬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0.047만큼 요추 골밀도가 증가했고, 손목골절이 있는 사람은 0.036, 척추골절이 있는 사람은 0.072만큼 요추골밀도가 감소했다 체지방량, 제지방량, 여성호르몬제 복용여부, 폐경 후 년수, 척추골절, 손목골절, 골관절염, 당뇨병, 1일 리보플라빈 섭취량 순으로 요추 골밀도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에서 대퇴경부와 요추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유럽, 미국, 중동 보다 높았으나, 아시아 지역의 유병률과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성노인의 대퇴경부 및 요추 골밀도에는 제지방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여성노인의 대퇴경부에는 제지방량이 요추에는 체지방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노인에서는 제지방량을 늘리는 것이, 여성노인에서는 제지방량을 늘리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골밀도를 유지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one density of femoral necks and lumbar spine in Korean men and women aged 60 or older, as well as to research on its correlation with Anthropometry, life style, diet, fracture history,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medical history, menstrual history and reproductive fact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763 men and 3,736 women, aged 60 or older, out of 12,328 men and 15,907 women who participated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2nd and 3rd year at the 1st survey, and the 1st year at the 5th survey), in whom a calculation was made of osteoporosis prevalence, exclusive of missing data. In the end, the study was conducted on 1,739 men and 2,044 women aged 60 or older. The principal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1. Osteoporosis prevalence reached 6.7%, 15.8% and 31.4% in sexagenarian, septuagenarian and octogenarian men respectively, and 35.9%, 63.3% and 84.2% in women in the same brackets. In the femoral neck, osteoporosis prevalence reached 2.6%, 8.2% and 24.8% in men of the 3 age groups respectively and 18.1%, 45.2% and 76.4% in women. In the lumbar spine, it reached 5.5%, 11.3% and 15.4% in men and 29.0%, 48.6% and 59.0% in women. 2. In men, height, lean mass, fat mass, walk for exercise, dietary calcium intake and spine fracture were found to be principal precursors to femoral neck bone density. The followings show an increase or decrease in femoral neck bone density in relation to every Unit: femoral neck bone density increased 0.067, 0.013 and 0.009 per lean mass, fat mass and dietary calcium intake respectively, but it decreased 0.013 in inverse proportion to height. femoral neck bone density increased 0.010 per one-week walking workout (at least 5 times; at least 30 minutes every time) but it decreased 0.060 in inverse proportion to spine fracture. Lean mass greatly influenced femoral neck bone density, followed by dietary calcium intake, fat mass, height, walk for exercise and spine fracture. 3. In women, lean mass, fat mass, dietary energy intake, year since menopause and Oral estrogen use were found to be principal precursors to femoral neck bone density. The followings show an increase or decrease in femoral neck bone density in relation to every Unit: femoral neck bone density increased 0.043, 0.018, 0.009 per lean mass, fat mass, dietary energy intake respectively, but decreased 0.014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year since menopause. femoral neck bone density increased 0.012 per Oral estrogen use. Lean mass greatly influenced femoral neck bone density, followed by fat mass, year since menopause, dietary energy intake and Oral estrogen use. 4. In men, height, lean mass, fat mass, dietary calcium intake, spine fracture and diabet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relevant to lumbar bone density. The followings show an increase or decrease in lumbar bone density in relation to every SD: lumbar bone density increased 0.058, 0.026 and 0.007 per lean mass, fat mass and dietary calcium intake respectively, but it decreased 0.021 in inverse proportion to height. lumbar bone density increased 0.038 per diabetes but it decreased 0.089 in inverse proportion to spine fracture. Lean mass greatly influenced lumbar bone density, followed by fat mass, diabetes, height, dietary calcium intake and spine fracture. 5. In women, lean mass, fat mass, dietary B2 intake, wrist fracture, spine fracture, diabetes, osteoarthritis, year since menopause and oral estrogen 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relevant to lumbar bone density. The followings show an increase or decrease in lumbar bone density in relation to every SD: lumbar bone density increased 0.047, 0.038 and 0.006 per lean mass, fat mass and dietary B2 intake respectively, but it decreased 0.022 in inverse proportion to year since menopause. lumbar bone density increased 0.017, 0.013 and 0.047 per diabetes, osteoarthritis and oral estrogen use respectively, but it decreased 0.036, 0.072 in inverse proportion to wrist fracture, spine fracture. Lean mass greatly influenced lumbar bone density, followed by fat mass, oral estrogen use, year since menopause, spine fracture, wrist fracture, osteoarthritis, diabetes and dietary B2 intake.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the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was proportional to age, which was higher in Korea than in European countries, USA and Middle East but was similar to Asian countries. In men aged 60 or older, lean mass greatly influenced bone density in the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In women in the same brackets, lean mass and fat mass were the key factors to femoral neck bone density and lumbar bone density respectively. Thus, it requires that elderly men should increase the lean mass and elderly women should maintain a healthy weight in addition to lean mass.

      • 폐경 전 후 여성의 요추골과 대퇴경부골의 골밀도 관련 요인

        이강용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폐경 전 후 여성의 요추골과 대퇴경부골의 골밀도 관련 요인 본 연구는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경북 영천시보건소 통합건강관리센터에 등록하고 골밀도를 측정한 40세 이상 여성으로 폐경 전 86명, 폐경 후 226명, 총 312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며, 동 기간 동안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40세 이상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요추골, 대퇴경부골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관련 변수로는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혈액적 특성, 질환적 특성, 생활습관이었고, 요추골 골밀도 폐경 전 후 여성의 정상이 각각 83.7%, 36.7%이었고, 골밀도 평균은 폐경 전 후 각각 0.09±1.17, -1.35±1.34였다. 대퇴경부골 골밀도는 폐경 전 후 각각 정상이 62.8%, 31.4%이고, 골밀도 평균은 -0.69±0.93, -1.52±0.91이었다.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와 관련 요인 변수는 HDL 콜레스테롤, 중등도 신체활동, 유제품 섭취이었고 HDL 콜레스테롤은 정상 범위로서 높을수록, 중등도 신체활동은 많이 할수록, 유제품 섭취도 많이 할수록 골밀도 영향 요인으로 보았다.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와 관련 요인 변수는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유제품 섭취이었고 연령은 낮을수록, 신장은 클수록, 체중은 높을수록, 중성지방은 낮을수록, HDL 콜레스테롤은 높을수록, 유제품은 많이 섭취할수록 골밀도에 영향을 미쳤다. 폐경 전 후 모두 골밀도와 관련 있는 변수는 HDL 콜레스테롤과 유제품 섭취이었고 HDL 콜레스테롤은 정상범위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고, 유제품은 많이 섭취할수록 골밀도에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여성은 폐경과 함께 골밀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이기 때문에 폐경 전에 골밀도를 충분히 높일 필요성이 있고, 폐경 후에도 골밀도 감소 요인을 철저히 분석하여 골절로 인한 사회 활동의 제한 및 경제적 손실 그리고 사망률을 최대한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골밀도 연구와 관련해서 서로 다른 측정도구로 연구를 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반드시 있어야 하겠고, 주로 건강검진병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아 한 지역 내에서도 전체적인 표본으로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골밀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골밀도 연구는 폐경 전과 후로 반드시 분리하여야 하며 요추골과 대퇴경부골의 골밀도를 함께 연구되어야 하고 연령은 골감소가 시작되는 30대부터 골밀도 관련 요인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one Mineral Density of Both L-spine and Femur Neck and Its Related Factors in Pre and Post Menopausal Women Kang-Yong LEE 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am, Sin)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retrospectively analyzing the data of 312 subjects who had a BMD (bone marrow density) at The Young Cheon health center (Young Cheon city, Korea)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2. Over 40 years old participants both 86 patients of premenopause and 226 patients of postmenopause were measured for their 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lipid profile, previous medical history, physical activity and dairy product intake. 83.7 percent of premenopausal and 36.7 percent of postmenopausal subjects had a normal density of lumbar spines. the mean density of lumbar spines in pre and post menopausal women were -0.67±0.93 and -1.52±0.91 respectively. In premenopausal women,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dairy intake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bone marrow density. In post menopausal women, positive associated factors wer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diary intake. but, age and triglycerid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ne density. Regardless of menopaus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dairy intake made better results of BMD. especially, normal range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as positively associated BMD score. After menopause women undergo rapid loss of bone density, they need prevention of osteoporosis before menopause, especially. moreover, postmenopausal risk factor of osteoporosis has to be analyzed to prevent osteoporotic fracture, attributed to socio-economic losses and mortality. Because too many kinds of tools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there must be a standardization of measuring BMD. Of course, this result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limitation of sample visited to health care center just for screening and restriction of downtown area. it is necessary to separate premenopause and postmenopause for bone mineral density survey and to enroll thirties due to bone loss begin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