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국 고딕소설에 재현된 여성과 집: 제임스, 잭슨, 벡델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use’ and ‘women’ represented in gothic novel. Based on it, the relations and structures of various forces acting on the world around women can be identified. In gothic novel, for women ‘house’ appears as ambivalent meaning of imprisonment and escape. In the space of imprisonment women are under the paradoxical circumstances from where they want escape but have to conform the condition of oppression in order to gain protection and stability. The lives and experience of women in gothic novel are not described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but appear to be as distressing and strange state. Women feel a sense of separation and ‘uncanniness’ in where the ‘house’ should be protective and stable place. In this thesis I attempt to show the meaning of female experience and reality which present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by considering Henry James’ The Turn of the Screw, Shirley Jackson’s The Haunting of Hill House and Alison Bechdel’s Fun Home. In the first chapter, I argue women’s placement and meaning of existence in patriarchal society represented in The Turn of the Screw. Women can be considered as the drifting existence which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ess and the ghosts. Moreover, I examine the novel’s ‘narrative of frame’ in relation with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women trapped in domestic space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I read the social pressure and repression on wom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nor Vance, the main female character, and Hill House in The Haunting of Hill House. At the end of the novel, Eleanor's choice represents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society's power to confine and oppress women. Though Eleanor’s ending is self-destructive, she pursues her desires by her own will and rejects social coercion. In the third chapter, I consider Fun Home as an alternative to the new pos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space in gothic novel. In Fun Home, Bechdel escapes from her father who oppresses and manipulates her, and his home. Furthermore, she dissembles the house and recreates the house of her own by constructing archive about father and inscribing her personal story on canonical modernism literature. With her own perspective as a female / lesbian / graphic narrative artist, she creates whole new literary space. Bechdel's attempt is significant, for it acts as an subversive force on the power structure of male / heterosexual world / canonical writer. In additi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shows th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space. While the space in James' The Turn of Screw reflects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British female Gothic novels, the spaces in Jackson and Bechdel’s novel show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American society,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ategory of gothic novels’ content and for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women presented in gothic novels is meaningful to focus on the women's experiences and reality reflected in literature. However, the sense of ‘uncanny' in gothic spaces is also important, for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research into not only women but also those who are seen but considered as not-be-seen.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여성을 둘러싼 세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힘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본다. 고딕소설에서 여성에게 ‘집’은 감금과 탈출의 양가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이러한 억압과 감금의 공간에서 여성은 탈출하기를 원하면서도 보호와 안정을 얻기 위해서 억압과 감금의 조건에 순응해야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한다.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삶과 경험은 우회적이고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고 기이한 상태 그대로 드러난다. 여성은 보호와 안정의 공간이어야 할 집에서 오히려 불안하고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괴리감과 낯설음을 느낀다.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서 재현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여성의 경험과 현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나사의 회전』에 나타나는 가부장 사회에서 적법한 자리를 갖지 못하고 가정교사와 유령처럼 부유하는 여성의 모습과 존재 의미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소설의 액자식 구성을 여성의 대상화와 가부장 사회에서 가정공간에 갇힌 여성의 존재 의미와 연결해서 살펴본다. 2장에서는 잭슨의『힐 하우스의 유령』의 엘리너와 힐 하우스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박과 억압에 대해서 고찰해본다. 엘리너를 압박하고 사람들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힐 하우스의 구조와 초자연적인 힘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50년대의 보수적인 미국사회에서 여성에게 작용한 가부장 사회의 억압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힐 하우스에서 고통 받는 엘리너는 이상적 여성상으로 제시된 가정에 제한되는 삶을 강요당하는 당대 여성의 모습을 반영한다. 엘리너의 자기파괴적인 결말은 엘리너가 스스로의 선택으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고 사회의 강요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저항적 의미를 갖는다. 3장에서 살펴볼『펀 홈』은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의 대안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아버지의 집에서 탈출한 벡델은 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관련 자료들을 모아서 이를 그래픽 내러티브 형식을 통해 시각화하여 『펀 홈』이라는 아카이브를 구성한다. 또한 벡델은 아버지와 자신을 연결해주는 요소인 문학을 차용하여 정전으로 불리는 문학작품에 사적인 경험과 기억의 조각들로 채워넣고 여성/레즈비언/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시각을 중심으로『펀 홈』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벡델의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남성/주류작가/이성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공간에의 권력 구조에 전복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여성과 고딕적 공간의 관계의 의미와 그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는 또한 고딕소설에서 구현되는 공간의 변화도 함께 나타난다.『나사의 회전』에서 나타나는 공간이 영국 여성 고딕소설에서 비롯되는 전형적인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면 『힐 하우스의 유령』과 『펀 홈』에서는 이를 미국 현대 사회의 환경에 적용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내용적으로도 형식적으로도 고딕소설의 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고딕소설에 재현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문학에 반영되어 있는 여성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여성의 현실을 고찰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딕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익숙함 속의 낯설음’의 감각은 여성뿐만 아니라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로 치부되는 존재들에 대한 문학적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에드거 앨런 포의 고딕소설을 통해 체험하는 이원적 감성과 숭고

        서지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논문은 포의 소설 중 주체의 이원성과 잔인한 행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 한 가지 대상에 대해 지속적으로 양가적인 감정을 느끼며 이에 대해 묘사하는 『어셔가의 몰락』(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마지막으로 그리고 무시무시한 전염병에 대해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이를 기반으로 고통과 쾌감의 융합체인 숭고를 독자에게 선사하는 『적사병의 가면』(The Masque of the Red Death)을 연구한다. Ⅱ장에서는 이항대립의 틀로 나타나지만 각각의 독특성을 지니는 주체의 이원성 혹은 양가적 감정의 틀이 해체되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숭고의 감성이 다른 소설들보다도 이 세 고딕소설을 통해 더 잘 드러난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또한 Ⅲ장에서는 각 소설에서 숭고의 도착점이 되는 타자성에 해당하는 대상을 통해 이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주체에 대해 레비나스의 담론을 기반으로 살펴볼 것이며, 마지막 Ⅳ장에서는 이 모든 것이 결국 고통과 즐거움이 합쳐진 숭고의 감정으로 이끌어주며 타자로 향하게 된다는 점에 더욱 집중하여 버크, 칸트의 담론을 탐구하기로 한다. 숭고가 본 논문 전체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대부분 어둡고 공포스럽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포의 작품들의 핵심을 알기 위하여 결론으로 이동하며 더욱 집중하여 탐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포가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특정한 주제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하며 과연 포의 작품은 어떠한 목적성을 지닌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포가 작품을 통해 어떻게 주체가 숭고를 느끼는지에 대한 것과 포의 작품처럼 공포스럽고 그로테스크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고딕소설이 가진 힘이 독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을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주체에 해당하는 작품 속 화자의 이원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토록 불안정한 주체가 타자를 조우할 때 느끼는 감정에 대해 논할 것이며 그를 통하여 주체가 타자를 대면하면서 생기는 여러 감정을 통해, 더 정확히는 양가적 감성을 통해 느끼는 숭고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포의 세 작품 속에서 공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인 “주체의 이원성”은 세 소설 속에서 볼 수 있는 것을 양가적 감성을 의미한다. 본고에서 살펴볼 세 작품은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잔인한 장면과 작품 처음부터 끝까지 오싹하고 무섭기만한 고딕작품이 왜 독자들로 하여금 빠져들게 만드는지에 대해 “숭고”(the sublime)의 개념으로 분석해 볼 것이다. 또한 레비나스의 윤리 철학적 담론을 통해 주체를 형성하는 외재성인 타자성이 결코 주체와 분리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주체에 해당하는 화자는 끊임없이 타자성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지만 실패로 이어진다는 것을 밝히려 한다. 이 과정 속에서 느껴지는 공포를 숭고의 미학으로 연결 지어볼 수 있을 것이다. 포의 작품은 특정한 주제성을 위함은 아니지만 그 이상의 무언가를 독자들이 느낄 수 있게 해주며 주체가 만드는 거짓현실을 넘어선 바깥, 외계로 나아가게 해준다는 점에서 그 핵심적 가치가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explores how Edgar Allen Poe’s three short novels-Black Cat;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and The Masque of the Red Death perform self-deconstruction so that the dual form of the reader’s subjectivity sunders through the Gothic aesthetic sublime. We will first investigate the dual structure of the central figure’s cruel nature in Black Cat. Then we will see how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constantly shows the narrator’s ambivalent feelings about the same object, the Usher’s mention. Then we will discuss that The Masque of the Red Death puts the reader into a frightening atmosphere of the terrible epidemic and guides her to experience the fusion of pain and pleasure that ultimately produces the feeling of the sublime. The power of Gothic fiction like Poe's short novels create a frightening and grotesque mood that affects the reader, and the mood leads us finally to the non-dual nature of the aesthetic sublime, the gateway to the absolute Other of the ego. Therefore, in Chapter III, based on Levinas' ethical philosophy, I more specifically claim that each narrator of the three novels can never escape from the power of the absolute Other as a horrible object, which is an emblem of the infinite Other (of the finite subject). The mostly importantly and commonly discussed points is that the dual, and thus self-conflicting, nature of the subjectivity of the narrator and that of the reader finally leads to the absolute Other, the wholly outside, however different each story and its mood is. Finally, I devote Chapter IV to a discussion of Burke and Kant's discourse of the aesthetic sublime. I explain in great detail that the dual nature of the subjectivity of each narrator of the novels eventually that leads the reader to non-dual sublime sensibilities comprises the unity of pain and pleasure. Throughout the whole of this theses, I also claim and explore that Poe does not intend to convey a specific theme (main idea) that he wants the reader to acknowledge and accept. In other words, the central point of this study of the important common nature of Poe's three works is not any ideological issue, whose form is only dual. An ideology cannot destroy and remove the dual form of the shell of the subject. The terrifying and grotesque mood of the Gothic fiction can do it. Then the ultimate purpose of the three works examined in this thesis is to let the reader become keenly aware of the (postmodern and ethical) Gothic sublime, which is characteristic of nonduality. The mysterious and scary Gothic mood plays the role of the first and foremost importance to guide us to infinity. In other words, the fear that the reader feels while reading these novels opens the door to infinity, the wholly Other, or the exteriority of the extremely limited ego. In fact, the Other or the externality of subjectivity of the narrator of each novel, and thus that of the reader who experiences the narrated story, is the source of the events that occur in the story and the mood. In this light, this thesis makes it clear that we cannot use a thematic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Poe’s works. Poe’s short novels have a special importance in that they lead readers to experience something more than any fixed, stable theme and to move beyond the meanings that language of the text produces. The dual structure of language of the three short novels opens the gateway to infinity by performing self-deconstruction, and the gateway is the language itself.

      • 백민석 소설 연구 : 民譚과의 親緣性을 중심으로

        양소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54

        본고는 백민석의 소설이 보여준 해체적인 양식과 하위 문화에 대한 친화력에 주목하여, 그의 소설을 근대 이전의 이야기 양식과 관계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통해 백민석 소설의 구조 원리를 파악하고, 그 미학적 구조와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그가 소설에서 보여주었으나 아직 해명되지 않은 여러 실험들의 서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그 결과 파악된 미학적 구조와 효과를 타자성과의 관련 아래 살피고 백민석의 소설이 타자성을 가능하게 하는 형식을 보여주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논의는 백민석의 소설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현실에 대한 비판과 전복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데에 의문을 품고, 근대적 사고로부터 자유로운 서사형식으로 그의 소설을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근대적 서사물의 형식으로 소설을 이해하는 과정은 이성중심주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이성의 논리로 이해되지 않는 형식은 온전히 해석되지 못하거나 누락된다. 이성의 논리로 이해할 수 없거나, 이성중심주의적 사고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는 특성이나 요소들은 가치 없다고 평가되기 쉽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백민석의 소설에는 이와 같이 이성과 논리를 중심으로 파악할 수 없는 형식과 내용상의 실험이 소설에서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백민석의 소설을 ①민담의 형식과 ②민담과 전설의 형식이 혼재하는 형식, 그리고 ③전설의 형식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민담의 문체와 구성상의 미학적 특성을 정리한 막스 뤼티 막스 뤼티, 앞의 책. 의 이론에 기대어, 민담의 세 가지 특성인 “평면성”, “추상성”, “일차원성”을 근거로 백민석의 소설과 ①, ②, ③ 세 형식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민담의 형식과 가까울수록 절대적 타자에 대한 환대에 가까워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절대적 타자는 신적인 존재나, 정치ㆍ사회적인 현상을 뜻하지 않는다. 보다 보편적인 의미의 해석불가능한 모든 대상을 이른다. 무의식이나 광기도 이 타자에 해당될 수 있으면 인간으로서의 타자도 가능하다. 백민석은 언어에서 기표와 기의의 단절, 기표와 대상의 단절에 주목하여, 견고해 보이는 언어의 허위를 드러내고, 언어 너머에 있는 물질성에 기반한 실재를 소설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민담의 세 특성인 “평면성”, “추상성”, “일차원성”은 그의 소설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적 실험을 살피는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었다. 이 세 특성은 모두 인물의 층위에서, 담론과 사건의 층위에서, 서술의 층위에서 작용하여 절대적 타자를 가능하게 한다. 서술이나 인물의 층위에서 인물이나 대상에 대하여 판단하지 않음으로써 절대적 타자의 해석불가능성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민담에서 평면성은 민담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소재를 비롯한 모든 구조가 평면적임을 뜻한다. 인물은 시간적 역사를 갖지 않고, 공간적 관계도 갖지 않으며, 정신적이고 내면적인 깊이도 갖지 않는다. 반면에 전설의 소재와 인물들을 깊이를 갖는다. 깊이를 갖지 않는 인물은 살아 있는 사람이 아닌 이름을 가진 기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서사의 인물이지만 종이 인형과 같은 인상을 줌으로써, 서사에 대한 인간중심주의 해석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추상성은 대체로 극단성으로 제시되는데, 구체적이고 사소한 부분을 버리고 가장 중요한 특징들의 윤곽을 선명하게 제시하는 특성이다. 반면에 전설은 상당히 사실적이며 구체적이어서 인물들은 일상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들을 갖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민담의 추상성 사물이나 대상을 현실과 일상의 질서 밖에서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끝으로 일차원성은, 비현실적인 세계의 비현실성에 대해 놀라거나 두려워하지 않음으로써,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없애고 서사가 일차원의 세계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비현실성에 대한 놀라움은 현실을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발생한다. 비현실성에 대해 놀라지 않음은 비현실 세계를 현실 세계의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음을 뜻한다. 비현실성에 대한 놀라움 때문에 생겨날 수 없었던 세계가 일차원성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2장에서는 민담의 형식에 가까운 소설을 대상을 인물의 평면성과 담론의 극단성, 판단 정지 서술을 통한 일차원성을 통해 백민석의 소설이 절대적 타자로의 열림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됨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민담의 형식과 전설의 형식이 혼재하는 소설을 대상으로 도플갱어와 인물의 평면성의 관계, 그리고 그로테스크 구조의 이질성과 죽음의 타자성이 갖는 관계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발생하는 함축적 서술이 만들어내는 비밀의 서술을 징후로 해석하고, 더불어 혼재의 형식에서 민담의 가능성을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전설의 형식에 가까운 소설을 대상으로 심리적 표상이 인물 내면의 확장임을 밝히고, 폭력에 대한 해석의 동일성이 소설 세계의 일차원성을 없애고 있음을 살폈다. 이러한 형식의 결과로 의미를 고정하는 서술이 모순을 징후로 가짐을 분석하고, 전설의 형식에서 민담의 가능성을 정리하였다. 민담, 혼재, 전설의 형식으로 통해 백민석 소설이 근대 이전의 이야기 구조를 통해 그 구조 원리를 보다 온전히 이해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민담의 형식에 가까운 구조를 가짐으로써, 근대에 대한 저항이 아닌 비-이성의 세계를 소설에서 구조해 낼 수 있었다. 비-이성의 세계는 이성적 합리성의 질서로는 해석불가능한 세계이며, 그러한 세계를 통해 서사가 절대적 타자에 대한 환대를 시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백민석 소설의 구조 원리를 근대성에 대한 저항을 넘어서는 담론으로 이해하고자 한 시도로써 의의를 갖는다.

      • 19세기 영국 고딕소설 연구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안진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3

        20세기 후반과 21세기에 유행하는 포스트휴먼 고딕 작품들에서는 인간 아닌 생명 형태 즉 포스트휴먼을 타자화하는 인간사회에 관한 주제가 자주 다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포스트휴먼 고딕 작품들은 19세기 영국 고딕소설의 내용이나 등장인물에 기반을 두는 경우가 많다. 21세기의 작품에 19세기 작품과 비슷한 사건이나 같은 등장인물이 등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원작을 재해석해서 재연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포스트휴먼 고딕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19세기 영국 고딕소설 중 『프랑켄슈타인』,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드라큘라』의 세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들을 21세기에 다시 거론할 수 있게 만드는 포스트휴먼적 특징을 짚어보았다.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서 말하는 포스트휴먼의 주요 특징은 종과 종을 가로지르는 횡단성과 혼종성이다. 그러므로 비인간, 인간, 초인간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각 개별적 생명은 혼종으로 남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각 장의 주제에 집중하기 위해서 작품적 성격에 따라 빅터의 피조물을 비인간, 도리언을 생명-기술 병합을 이룬 인간, 드라큘라를 유전공학으로 발달한 초인간으로 분류해서 분석해 보았다. The monsters of British gothic novels in the 19th-century are often restaged onto scenes of contemporary posthuman gothic works, such as sci-fi films and novels. They appear to be posthumans, transcending the limits of mankind with supernatural powers and immortality. Scientists have explained what posthumans are in various ways. Its literal meaning of ‘beyond human’ might be understood as superhuman and nonhuman. However, some scholars, critical posthumanists in particular, say that posthuman is a concept designated to each living thing including human, superhuman, animal, and even artificial intelligence. Critical posthumanists like Cary Wolfe, Rosi Braidotti, and Katherine Hayles deny the evolutionary process from animal to human, as well as human to superhuman. Instead, animals, humans and superhumans are considered living things sharing a common space on Earth. Then, according to this theory, posthuman stories are not only about the future but also about the present and the past. Therefore, gothic novels in the 19th century can also be analyzed by posthumanism.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ree 19th-century British gothic novels, Frankenstein by Mary Shelley, The Picture of Dorian Gray by Oscar Wilde, and Dracula by Bram Stoker with critical posthumanism and find out the secret of their huge popularity before the posthuman age. Critical posthumanists insist that posthuman is a term for true equality and posthumanism should establish new ethics in posthuman societies just like humanism in anthropocene. Posthumanism, humanism, and antihumanism look alike since equality has been at the forefront over a long time with humanism and antihumanism. However, posthumanism differs from the others by removing all the normative standards. The key point is that each living thing should be respected as a life regardless of its form. For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heterogeneity and multiplicity in each life form. The people in the novels above resemble the monsters, showing their inhumanity while the monsters show humanity in return. In addition, characters in the novels, both humans and nonhumans, are analogous to each other. It is like ‘one becoming with many’ in Donna Haraway’s feminism. In this case, similarity doesn’t stand for ‘the One’ but describes multiplicity. In Frankenstein, this characteristic can be seen frequently. In chapter Ⅱ, human and nonhuman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to expose the heterogeneity in life forms. Victor Frankenstein can be said to be beyond human limits, in that he creates a humanoid. Hence, Victor is a kind of posthuman. He keeps showing inhumanity while his creature helps some people with humanity. Unfortunately, against Victor’s denial of his presence, the creature tries to prove himself by killing Victor’s loved ones as murder is a crime which only a human being can commit. Victor gives up chasing the creature because he thinks it is useless to punish an animal. This is why the tragedy happens in the novel. At the end of the novel, the similarity which Victor shares with the creature and Robert Walton allowing the creature to be seen as human makes all of them look like posthumans. Chapter Ⅲ covers the posthuman issue on subjectivity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The link between Dorian Gray and his picture can be interpreted as the bond of a user with a tool in a biotechnological hybrid. The picture is a tool for Dorian to realize that he has a conscience and to keep his immortal youth. Cognitive scientists, like Andy Clark, insist that the definition of body is negotiable and tools can also be regarded as parts of a body. Because Dorian in the picture only reacts to others, the concealment of the picture results in his in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which prevents him from building any relationships. The situation looks like the life in online virtual communities where bodies can be treated as tools vice versa. People in virtual reality can also be called posthumans because they transcend traditional time and space. As Dorian fails to maintain posthuman subjectivity by ignoring the picture which is a part of him, people living in cyber world can not achieve subjectivity when they lose social interactions by ignoring their bodies in reality. Hayles puts importance on the need for multi-layered relationships in those posthuman societies. Posthumans should establish proper relationship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even when they can be isolated from others. The analysis of Dracula in chapter Ⅳ reveals that new ethics in upcoming ages is needed to be based on critical posthumanism. Vampires absolutely transcend people as they cross the border of life and death. Dracula, in the novel, transforms his body into an animal, dust, and fog. He is strong enough to lift a heavy box which can be carried by six men. He can climb a mural cliff without any aids. Regarding all his features, Dracula looks like a superhuman and an animal combined into one. He represents heterogeneity and multiplicity, which means that he is a posthuman. Especially, his posthuman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genetic engineering in modern sci-fi movies. However, the negative bond of biotechnologies and capitalism results in a horrible narrative. It is a narrative of necro-politics beyond bio-politics, controlling people’s lives and even deaths for money. Because of the dual structures in the novel, vampires can be translated as both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This means everyone can victimize others and everyone can be victims in posthuman societies. Multiple relationships for equality are needed in exploitative situations as well. In order to obtain them, it is essential to treat all the life forms as companions without framing by any human, animal, and superhuman criteria. There is no doubt that posthuman societies are coming. We will see the descendants of the creature of Frankenstein, Dorian, and Dracula in the future. Critical posthumanists argue that all the individuals are and should be equal. Humans can develop and prosper not by keeping humanity, but by giving it up. When accepting nonhumans, humans can be truly ethical. Contemporary posthuman gothic works sticking to this principle inherit the narratives from the originals of the 19th century.

      • 고딕소설의 현실인식 : 메어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

        조미정 숙명여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Gothic Fiction was initiated in 1764 by Horace Walpole's The Castle of Otranto. The term originally derives from the frequent settings of these tales in a gloomy castle of the Middle Ages, but it has been extended to larger group of novels, which exploit the possibilities of mystery and terror in sullen, craggy landscapes. When Gothic Fiction was first published, it was welcomed by readers who had opposed to the stereotyped trend of that time. Gothic Fiction, however, became more and more degraded as a vulgar genre according to its supernatural features in subject and form.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Gothic Fiction declined is that it is phantasmagoric and unreal in subject. This thesis aims to show that the supernatural features in Gothic Fiction were not used as an instrument to represent an unreal world but rather functioned as a subversive narrative form which revealed the hidden realities of life. This will be shown by studying Frankenstein written by Mary Shelley. Frankenstein is an example of Gothic Fiction and also of a Realistic Novel. Thus through the analysis of Frankenstein,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Gothic Fiction is based on realistic recognition of human experience. Chapter 1, "Story in the Story", suggests that the three narrators(Walton, Victor, The Monster)interpret real world through their own points of view and shows that a narrative form like this leads various interpretations of reality. In Chapter 2, "The Monster's Appearance", the monster shows up as supernatural being. Although the monster is an imaginary being, what it represents is very realistic. Therefore, we notice that the monster represents not only women and the proletariat who are in alienated ranks from reality but also warns of human being's selfishness. Chapter 3, "The Elements of Fantasy", proves that an unrealistic setting is not an essential part of fantasy but rather it is close to real life. Accordingly, the elements of fantasy explain the fact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realistic factors. As found in Frankenstein, the realistic recognition makes readers interpret the real world and encounter social problems and the dark inside of human beings. Consequently, Frankenstein is not an example of incredible fantasy fiction but of realistic gothic fiction.

      • 아이삭 디네센의 고딕 이야기

        박소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5

        본 논문의 목적은 쏠 벨로우(Saul Bellow)의 소설 『오기 마치의 모험』의 주인공이 자신의 내부에 잠재한 소외충동을 정신적 재생(再生)을 통하여 극복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사회로 복귀하는 자아 탐구의 과정을 살피는데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작가가 강조하는 신(新) 개념의 휴머니즘이 고찰되어진다. 벨로우는 개인의 자아탐구의 과정에서 신 개념의 휴머니즘과 경험주의의 역할을 강조한다. 벨로우는 미학적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어 인간성에 대한 관심을 잃어가는 모더니즘 경향을 배격하고, ‘보다 인간다운 학예!’를 요구하는 휴머니즘 정신을 그의 작품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가 이 작품에서 제시하는 신(新) 개념의 휴머니즘은 인간의 유한성과 부조리한 현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개인의 정체성과 참된 운명을 추구하는 것을 지향한다. 그리고 오기의 다양한 삶의 경험은 그를 휴머니즘적 인식의 변화로 이끌어내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오기는 과거 16세기 및 18세기 휴머니즘에 뿌리를 두는 낭만적 이상주의에 비추어 현실을 판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대적 좌절감을 느끼고 사회로부터 일탈을 반복하는 인물이다. 그는 특히 마키아벨리형 인물들과의 관계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해 갈등을 느끼며, 이러한 갈등을 서양 휴머니즘 사상의 이상주의(理想主義)를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하지만 초인(超人)과 유토피아로 구체화된 오기의 이상(理想)이 오류(誤謬)임이 드러난다. 왜냐하면 초인과 유토피아에 대한 이상(理想)은 인간성과 인간의 능력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던 과거 휴머니즘 사상의 기형(奇形)적 유산(遺産)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기는 인간에 대한 현실감각을 회복하고 소외로부터 참여를 결심하게 되는데, 그것은 멕시코에서 경험한 죽음의 문제에 관한 사건을 통해 인간성에 대한 그의 인식이 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오기는 인간이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인간의 숙명적 불완전함도 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기는 ‘인간 이상’(more-than-human)’이라는 이상(理想)을 가지고 소외를 고집하던 옛 자아를 내려놓고, ‘나’와 ‘타인’의 공동체적 운명을 추구하는 새로운 자아로 나아간다. 다시 말하면 옛 자아가 죽고 새로운 자아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죽음의 문제는 바흐친의 ‘카니발 정신’ 중 ‘유쾌한 상대성’과 ‘하강’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삶과 죽음의 공존’과 ‘죽음을 통한 재생’이 오기의 옛 자아 죽음의 수용과 새로운 자아 탄생의 모티브가 되기 때문이다. 오기는 자신의 극단적 이상주의의 오류를 깨닫고 인간에 대한 보다 따뜻한 이해를 한 후 사회로 돌아온다. 그의 적극적 사회 참여 의식은 이제까지 그가 추구했던 ‘근사한 운명’이 ‘나와 타인’ 이라는 공동체 의식으로 확장된 것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벨로우는 『오기 마치의 모험』에서 주인공의 자아탐구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그가 여러 작품에서 거듭하여 다루는 개인의 운명탐색과 공동체의 조화라는 주제를 다시 강조하고 있다. This thesis elucidates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of the hero Augie in Saul Bellow's novel, The Adventures of Augie March. In this process, the hero overcomes the impulse of alienation latent in himself, and returns to his society with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e modern concept of humanism which Bellow emphasizes in this novel will also be discussed. Bellow denounces modernism which is more interested in aesthetic ideology than in human beings, and tries to realize a new humanism, which calls for ‘more humane arts'. But Bellow's humanism is distinguished from the so called Renaissance humanism; he regards the struggle for human destiny, limited in human incompleteness and absurd reality, as characteristic of genuine humanity. It is Augie's experience that leads him to the attitude of this humanism Since Augie judges reality by a system of idealism deriving from the 16th-century and 18th-century romantic humanism, he eventually sees the life around him as comparatively frustrating and accordingly breaks away from people and community. In particular, he has conflicts with ‘Machiavellians' and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him, and tries to resolve them through idealism of Western humanism. But Augie's idealism embodied in the ideas of ‘great Man' and ‘Utopia' is erroneous because they are distortions of human reality ignoring human incompleteness. However, Augie comes to recover the sense of human reality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in Mexico involving death, and decides to commit himself into society. In other words, Augie's old self, who has insisted on the vain idea of ‘more-than-human', experiences a metaphysical death, and a new self is regenerated. The new self is aware of the incompleteness of human nature. The problem of death in this text is resolved based on Bakhtin's two concepts of carnival spirits, ‘gay relativity' and ‘degradation'. The motifs of the death of Augie's old self and the birth of the new self are similar to Bakhtinian concepts of heterogeneous coexistence of two opposite things, death and life, and of regeneration through death among carnival spirits. Augie March gets to realize the fallacy of his anachronistic idealism and returns to his community with a new vision of 'good enough fate'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other people. In this journey of Augie March Bellow's belief in searching for humanity in harmony with society is vividly exp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