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대학캠퍼스 주변지역 환경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중심으로

        유지훈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area around campus is a significant factor of image of the city because most of people can experience campus culture at the area. Also universities conduct developments of cultura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knowledge, information, art, culture economic industry, etc. Around the campus is a site which can provide visible feelings of role of university. So, the site has a power of studies which belongs to the university, therefore the site is an important landscape by providing functions of facilities which are not in university like rest and remove tension of study. However most of area was developed commercial, residential area in ignoring the connection with campus. Until now, for propos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considering connection with around the campus, I chose 4 sectors to analyze space structure on the basis of space syntax and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 Then, this study shows the way of improvement around each sector considering cultural landscape and the connection development. Moreover, proposed the way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each sector’s feature, administration and system, community involvement awarenes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ways of each sector are following: Propose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connection enforcement. Especially, improvement of pedestrian protection, wall removal project, development of undeveloped area of 1sector considering campus. Proposed making cultural landscape and enforcement of connection,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finding new identity by making buffer facilities between commerc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Propos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ims to improvement the image of the city through making cultural landscape. To be concrete, this study suggests 1) establishing a guideline of the landscape accord with facilities, 2) improvementing environment through student involvement, 3) building a square in utilizing property of university 4) maintaining streets in modifying outdoor advertisement. Nevertheless 4sector has been improved because of the east gate the connection is ineffective because that was developed as commercial area for the inhabitants. The east gate have an advantage of physical distance however, it has ineffective connection in space structure. Accordingly 4sector needs to improve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making regional identity for the inhabitants. Also, it can be future area of the campus by developing facilities of the university in conclus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organization of a group who can maintain good condition of street from outdoor advertisement and illegal parking. This study proposed several ways of improvements of each sector with those of features in investigating space structure and present condition analysis to find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and around the campus. After activation of the campus around area, it could lose its identity such as scholar role and education because of commercial influence. Improvements for appropriate building of cultural landscape and enforcing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and around the university, supplement that area for the students, local resident, even visitors. Moreover, it can be a better cultural value by meeting city’s pursuit of value. The basis of this study, various studies should be researched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of maintenance as well as the unique programs for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대학 캠퍼스 주변지역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있어서 대학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며 나아가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대학은 지역사회의 문화경관, 도시이미지, 지식, 정보, 예술 문화 경제산업 등 여러분야의 발전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대학주변지역은 대학의 역할을 가시적으로 느낄 수 현장이며, 나아가서 그 대학이 지닌 학구적인 힘인 동시에 그 지역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엿볼 수 있는 지역의 문화경관이라 할 수 있으며 대학내의 시설로 충족시킬 수 없는 기능을 보완하고 상호 교류와 연계를 통하여 대학주변지역과 동질성을 가지게 함으로 활동의 결속을 이루는 기능과 더불어 대학생활에서 오는 긴장을 해소하고 새로운 에너지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대학주변지역은 상업화로 인하여 캠퍼스와 연계를 고려하지 않고 상품화된 자본 공간속에서 대부분 소비지향적 유흥가와 원룸촌으로 발전하였다. 지금까지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고려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대상지 4구역을 선정하여 현황조사와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각 구역별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캠퍼스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개선 방향과 관리 행정 및 제도, 대학생과 주민참여 의식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역별 환경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1구역은 정문과 매우 인접해있으며 공간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하지만 자취촌의 이미지와 강원대학교 캠퍼스로서의 이미지의 부재 그리고 연결부의 단순한 통과 동선만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편중된 용도시설의 분포와 캠퍼스와 연결된 출입구에 밀집한 타 용도시설이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도시설등의 개선을 통한 문화경관 개선보다는 캠퍼스와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개선이 적절한 구역으로 분석하고 연계성 강화를 통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보행자 환경개선, 담장허물기사업, 1구역의 미개발 지역의 개발을 통한 1구역과 캠퍼스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2) 2구역은 주변 청소년 문화관련 시설과 적절치 못한 대응과 캠퍼스와 주변지역간의 물리적, 비 물리적 교류가 없었다. 캠퍼스와의 연결부가 단순한 통과동선만으로 존재하며 캠퍼스의 높은 담과 가파른 경사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캠퍼스와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공간의 중요도가 높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연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주거와 타 용도시설이 1구역보다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2구역은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강화,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구역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강화, 새로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상가 밀집블럭과 주거 밀집블럭사이의 완충역할의 용도시설 구축을 제안함으로써 문화경관 형성하는 개선방향과 보행자 환경개선, 보행자 전용출입구 커뮤니티 공간제안, 담장허물기 사업등을 통한 연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소년 교육/문화관련 시설과 캠퍼스와의 교류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교육의 메카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만드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3) 3구역은 유흥/오락시설, 음식판매시설이 밀집한 강원대학교의 대학로 역할을 하는 구역이지만 현재 대학로의 이미지는 없고 소비위주의 상업시설과 과잉경쟁으로 인한 경관훼손이 심각한 지역이다. 또한 공간의 중요도가 높은 공간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대학로와 캠퍼스를 연결하는 구역이지만 서로 판이하게 다른 이미지로 인하여 연계에 문제가 있는 구역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3구역은 문화경관 형성을 통한 이미지개선을 목표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용도시설과 부합하는 경관가이드라인 제정, 대학생의 참여를 통한 환경개선방향 제안, 강원대학교 후문 삼거리에 교내부지를 활용한 land mark적인 광장 제안, 옥외광고물 정비사업을 통한 가로경관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4) 4구역은 주상복합 형태의 건축물이 다수분포하며 국부적으로 공간의 인지도와 이용밀도가 높으나 2012년 동문의 개통으로 인하여 캠퍼스와의 연결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며 대학로와는 달리 주변지역 주민을 위한 상업시설이 다수 분포하였다. 거리상으로는 캠퍼스와 가깝지만 공간구조상 연계성이 취약한 것으로 종합분석되었다. 따라서 4구역은 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의 상관성과 연결성이 떨어지는 구역이기 때문에 캠퍼스의 주변지역이 아닌 지역주민을 위한 지역정체성을 위한 환경개선방향이 필요하며 추후 캠퍼스 동측의 학교시설 확충과 캠퍼스 외부 순환도로 완성시 캠퍼스 주변지역으로 환원이 가능한 지역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관리행정 및 규정 개선과 대학생과 주민의 참여의식 개선을 통하여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이룰 수 있는 개선방향은 불법주차 단속과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내 주차장과 오픈스페이스 개방, 보도점용과 옥외광고물에 대한 인식개선 환경개선을 위한 대학생과 시민의 참여운동, 이를 유지 관리하기위한 공동체 조직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환경 개선방향을 모색하기위하여 강원대학교캠퍼스와 주변지역의 현황분석과 공간구조분석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구역별 특성을 분석하고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캠퍼스 주변지역은 어느정도 활성화가 되고 완성이 되면 교육이나 문화적인 역할보다는 획일적이고 상업화되는 경향을 띄게 되어 대학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 특유의 이미지를 잃어가곤한다. 대학주변지역의 적절한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은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이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고 보완함으로써 대학의 주변지역만이 가지는 문화경관을 만들어 낼 것이며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성이 강화됨으로 인하여 대학생, 지역주민, 이용객 모두에게 자부심과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나아가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와 만나 더 큰 문화적 가치를 창출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물리적환경과 관리행정, 의식개선 뿐만 아니라 강원대학교 캠퍼스만이 가지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개발등의 연구도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유학생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연구 : 강원대학교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진치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유학생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연구 -강원대학교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진 치 링 강원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2012∼2013년 국가통계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 등록되고 있는 외국인의 수는 985,923여명 정도에 이르고 유학을 목적으로 온 외국인도 81,847여명이 이른다. 주로 대도시에 거주하던 유학생과 투자자가 이제는 지방 중소도시로 까지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소도시인 강원도 춘천시의 주민등록상 외국인수도 집계를 시작한 1992년에는 174명에 지나지 않았으나 2013년 현재 2,898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강원대학교의 유학생 수도 총학생수 16,544명 중 678명에 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대학교 유학생을 중심으로 유학생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주거지를 선택할 때의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다.이를 위하여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유학생 주거환경이론을 고찰하고 2007년 9월부터 현재까지 춘천에 거주하며한 설문지 조사방법과 관찰방법으로 유학생들이 주거환경 현황, 만족도 주거지 선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태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 유학생의 주거환경을 보면 원룸 또는 기숙사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2명이 함께 20~30만원정도의 보증금 있는 2~5층 월세에 거주하며 학교에서 15분 이내의 거리에 살며 주로 도보로 등교 15분이내의 거리에 거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주거지를 선정할 때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주로 학교 및 친구의 소개를 통해 정보를 제공 받고 있으며 계약기관 만료와 개인적인 사정 등에 의해 1~3년 정도 거주를 하고 1번 정도 이주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주거만족도에서 주택의 유형, 주거공간면적, 인테리어, 난방방식, 주택임대료, 관리비용, 계약형태, 방범 및 경비, 주변 치안 상태, 보증금 회수시의 보호, 학교와의 거리, 주변시설에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욕실면적, 방 개수, 노후도, 주차환경, 소음 및 방음, 채광 및 통풍, 내부 가전제품, 베란다 여부에는 불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선호도에서는 난방방식, 소음 및 방음, 채광 및 통풍, 프라이버시 보호, 주택 임대료, 관리비, 계약형태, 방범 및 경비, 주변 치안 상태, 보증금 회수시의 보호, 주변시설, 내부가전제품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주택유형, 주거공간면적, 욕실면적, 방 개수 인테리어, 노후도, 주차환경, 학교와의 거리 베란다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유학생들이 희망하는 주거환경은 보증금 없는 월세 원룸이며, 21~27m², 개별난방, 20~30만원의 임대료, 1~3만원의 관리비, 5분~10정도의 거리, 마트·은행·시장이 위치한 곳에서 세탁기, 냉장고, 침대, 에어컨을 제공하는 임대주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중국 유학생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만족도가 낮고 선호도가 높은 ,소음 및 방음, 채광 및 통풍, 내부가전제품, 프라이버시 보호 등 주거환경 사항을 더욱 더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f Foreign Student's Satisfaction at Residential Environment -Focused on Chinese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IN QI LING Department of Real Est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s in 2012~2013, the number of registered foreigners amounts to 985,923 in Korea. 81,847 of them are students.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vestors used to reside in a large city, nowadays, they have began to occupy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s well. Thus, while there were only 174 foreigners in Chuncheon, a small or medium-sized city in the province of Kangwon in 1992, the number has reached 2,898 in 2013. Also,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mounts to 678 out of 16,544 in total. This research has aimed to examine the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ignificant factors to select their residence, focusing on the students of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t has reviewed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to analyze the theory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Also, since September 2007, it has conducted a survey of, and observed, the international students to analyze their residence, satisfaction for, and factors to select, a residenc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nese students of the University reside in a studio apartment or the dormitory. Usually, two students live together in the 2~5th floor. They monthly pay average ₩200,000~300,000 other than the deposit . The places are usually within 15-minute distance. Thus, they normally walk to school. Mainly, when selecting their residence, they obtain information from the school or friends. For the termination of a contract or personal reason, they move once in 1~3 years. Second, while satisfied with the type / size of the residence, interior, heating, rent, maintenance expense, form of contract, crime prevention / security, public safety, protection for withdrawing deposit, distance from school, and surrounding facilities,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size of bathroom, number of rooms, deterioration of building, parking lot, noise / soundproofing, sunlight / air, home appliances, and veranda. Third, for selecting their residence, while concerned with heating, noise / soundproofing, sunlight / air, protection of privacy, rent, maintenance expense, form of contract, crime prevention / security, public safety, protection for withdrawing deposit, surrounding facilities, and home appliances, they are unconcerned with the type / size of residence, size of bathroom, number of rooms, interior, deterioration of building, parking lot, distance from school, and veranda. Fourth, the Chinese students prefer a residence as follows; a rental studio apartment with monthly payment, but no deposit; 21~27m² in size; individual heating; ₩200,000~300,000 in rent; ₩10,000~30,000 in maintenance expense; 5~10-minute distance; convenience store, bank, market around; washing machine, refrigerator, bed, air-conditioning provided.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o upgrad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Chinese students, the dissatisfactory but preferable factors should be improved, such as the noise / soundproofing, sunlight / air, home appliances, protection of privacy, etc.

      • 대학의 국제교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강원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인의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intemational exchanges and to present a program for activating exchange program between abroad and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KNU) is employed as the case study for this research. The reason that I take KNU for an example is that KNU can be a model more than the averag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cale. The matehal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relevant papers, the research papers, the matehals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documents of KNU, and so on. In a part of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intemational exchanges, I looked into the exchange result between foreign universities and KNU, the intem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cooperation, academic books and joumals, and professors, students and staff. The first and foremost plan for activating exchange programs is to instill the members of relevant institutions consciousness of intemationalization. Holding the seminars and public lectures can be considered as the effective ways for this ob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regulations limiting the activating of the students exchange program and to introduce the full-time professorship who is in charge of this kind of program. Third, it is needed to steadily carry out various projects for developing the exchange program. Fourth, it is thought that improving the wide-range condition for intemational students,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 exclusive department or section, the newly constructing of the apartment for foreign professors and the dormitary for foreign students. In interviews with foreigners staying at KNU, they expressed a strong complaint about the housing facilities. This inconveniences are of no doubt judged as one of the factors who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mational exchange program. Lastly, a Korean language school is needed to offer foreigners an opportunity to leam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Korean culture. Chunchon, where KNU is located in, is predicted to have a great deal of demand. In conclus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not be attained in a day, It is thing that we should proceed to do with the drastic input of necessary men and a firm strategy. KNU has been and will every efforts to be one of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up to the 2010 as a part of a long-term plan. And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Affairs which was established 3 years ago If the plans presented in this research is put into practices, it is experted that the fruitful international exchanges can be pushed ahead.

      • 시계열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지역 탐지 및 변화 특성 연구

        최인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시계열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이하 감염목)을 탐지하고 감염목의 공간적 발생분포 특성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감염목 탐지는 객체기반영상분석(Object–based image analysis; 이하 OBIA)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OBIA의 최적 가중치는 Scale 11, Shape/Color 0.1/0.9, Compactness/ Smoothness 0.9/0.1로 선정하였다. 3시기 감염목의 전체 분류정확도는 평균 약 99%, Kappa 계수는 평균 0.90이었다. OBIA 기반 감염목은 2014년 196본, 2016년 497본, 2018년 126본이 발생하였다. 대상지 임반별 감염목의 시계열 핫스팟은 2014년에 31임반과 32임반, 2016년에 26임반과 27임반, 2018년에 2016년과 동일하게 26임반과 27임반이 핫스팟으로 대상지의 북쪽 지역에서 집중 분포하였다. 시계열 감염목 집단간 인접성 분석결과, 2016년 신규 발생한 감염목의 약 56%가 2014년 기발생한 감염목을 기준으로 약 200m 이내에서 발생하였으며, 2018년 신규 발생한 감염목의 약 42%가 2016년 기발생한 감염목을 기준으로 약 200m 이내에서 발생하였다. OBIA 기반 감염목과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의 발생분포율 비교한 결과, 경급의 경우 OBIA와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 모두 중경목에서 발생분포율이 높았으며, 영급의 경우 Ⅳ영급의 발생분포율이 높았지만, OBIA 감염목은 대상지 평균보다 약 16% 낮은 반면,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은 약 5% 높았다. 임도로부터 거리의 경우 OBIA 기반 감염목과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은 100m 이하에서 가장 높게 분포하였지만 OBIA 기반 감염목은 임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감염목 고루 분포한 반면,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은 임도로부터 가까울수록 집중 분포하였다. 표고의 경우 OBIA 기반 감염목은 401~500m에서 발생분포율이 가장 높은 반면,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은 301~400m에서 발생분포율이 가장 높아 OBIA 기반 감염목보다 저지대에서 감염목이 분포하였다. 경사의 경우 OBIA 기반과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 모두 21~30˚에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대상지 평균 경사 분포율과 비교하였을 때, OBIA 기반과 현장조사 기반 감염목의 경사 분포율은 11~20˚에서 각각 약 6%와 약 7%로 높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ct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hereafter called ‘infected trees’) with time-series and high-resolution aerial images and examine the spatial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fected trees. As a research area,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nd OBIA (Object–based Image Analysis) was adopted to detect infected trees. The optimal weight of OBIA was set as Scale 11, Shape/Color 0.1/0.9 and Compactness/ Smoothness 0.9/0.1. The Overall accuracy of infected trees in Period 3 was about 99% on average, and the Kappa coefficient was 0.90 on average. There occurred 196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in 2014, 497 ones in 2016 and 126 ones in 2018. When examining the time-series hotspots of infected trees of each compartment in the research area, this study found out that Compartment 31 and 32 were hotspots in 2014, Compartment 26 and 27 in 2016 and the same compartments in 2018 as those in 2016, mostly densely-distribu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research area. When examining the shortest distance of time-series infected trees, this study discovered that about 56% of the trees newly-infected in 2016 occurred within about 200m from the tree infection-incurred in 2014, and about 42% of the trees newly-infected in 2018 occurred within 200m from the tree infection-incurred in 2016.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rates of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and the on-site investigation with each other. In terms of DBH class, both the rates based on OBIA and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high in middle diameter tree. In terms of age class, the rate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was high, in IV age class, but the rate of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was about 16% lower than the average of the research area, while that of infected trees based on the on-site investigation was about 5% higher. In the distance from forest roads, both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and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most distributed within 100m from the tree infection-incurred. However,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were equally distributed even far from forest roads, while infected trees based on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more intensively distributed as they were nearer forest roads.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rate of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was highest when the altitude was 401 to 500m, while that of infected trees based on the on-site investigation was highest when the altitude was 301 to 400m. In other words, infected trees based on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low-lying zone than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When the slope was 21 to 30˚, infected trees based on both OBIA and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most distributed. When comparing with the average slope distribution rate of the research area,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slope distribution rate of infected trees based on OBIA and that based on the on-site investigation were about 6% and 7% higher at the slope of 11 to 20˚ respectively, which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in the slope distribution rate.

      • 전문대학생의 대학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지역 전문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손명숙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55

        Korean Colleges of today are faced with a serious risk caused by a prolific diversification of Korean education system coupled by a low admission numbers due to a declining national birth rate.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new law in 1996 that permitted a new college to be built upon meeting a minimum standard, the number of colleges increased dramatically. In contrast the number new college enrollees have been on the steady decline with schools feverishly competing with one another for enrollment. With current administration raising college evaluation standards and enforcing tougher disclosure laws, colleges are subjected to a stigmatic college ranking putting smaller colleges to a greater difficulty. With these recent changes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colleges are resorting to an aggressive marketing campaign for survival. In response, this research will attempt to figure out what factors are affecting the decision process of students of Kangwon province in selecting their school of choice thereby aiding in the future marketing campaigns to be more effective. The research uses substantiating evidence to evaluate what factors are having affect on the choices of the subject students, its inverse relationship,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used in the decision making and how they affect the selection of a college. There were 11 items grouped into 4 internal and external school environmental categories used in the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school reputation,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al service. Overall the students have put the prospect of post-graduation employment as the top priority, and have also stated, in their respective order, scholarship, campus welfare and benefits, and quality of education as the determining factors. The schools image, reputation and tradition were found to have less significance.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used in the selection process included school websites and references of friends and relatives, respectively. The key decision maker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the predominantly students themselves followed by family, teachers and friends in their respective order. The school satisfaction survey examined 10 categories. The transportation has shown to have the least satisfaction rating which is to be expected due to Kangwon’s regional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contrast, the uniqueness and the potential for growth earned the highest rating showing that to be competitive the schools of Kangwon Province need to focus their investment in the highly rated categories to compensate for the inherent regional weak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a fundamental knowledge necessary for colleges to carry out an effective marketing campaign against the fast evolving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ere were number of limitations in our research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response for the future research attempts. 1st,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students of select few colleges and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over the entire area of Kangwondo. Kanwondo is a large area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regions that could exhibi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s or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of the two regions.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the entire region of Kangwon or if a certain region is evaluated the result should be compared against the findings of the same evaluation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2nd, the theoretical research part is based on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performed on foreign colleges by foreign researchers modeled after college selection process that is more appropriate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A new study should be done that is more relative to the domestic college environment. 3rd, as the society advances and the college environment changes, students’ needs and preferences also change. This change will result in change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chool selection process. There should be a constant research performed to keep up with the change and this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arketing campaigns. Expansive mass media marketing isn’t the only way to promote. Every campus should make an effort to find out what the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nd makes them satisfied. Both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should be raised to raise the employment rates among graduates and scholarships and campus benefits and welfare should be enhanced. Also Kangwon region’s topographical weakness should be compensated. With the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services, schools should be able to maximize their strengths and fortify their weaknesses thereby naturally gaining a competitive edge in their marketing campaigns. 최근 우리나라의 대학은 교육시장 개방과 다양화, 출산율 저하로 인한 입학자원의 감소 등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1996년부터 시행된 대학설립준칙주의에 의해 최소 법정 설립기준만 갖추면 대학설립이 허용됨에 따라 대학의 수는 급증하였지만 입학자원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여 해마다 입학자원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통폐합 등을 권장하는 정부의 강력한 대학구조조정정책의 본격 가동 및 대학 평가기준 강화, 대학의 주요정보 공개로 인한 대학 서열화 등으로 각 대학들은 점점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학 환경 변화로 각 대학들은 생존을 위한 공격적 마케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을 선택할 때 결정 요인이 무엇이었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고 추후 대학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대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요인이 학생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대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어디에서 수집하며, 대학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11개의 항목들에 대하여 대학의 명성, 교육품질, 교육서비스 그리고 대내외적인 환경의 4개 영역으로 그룹화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 전망을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응답하였고, 장학금 및 학생복지 혜택, 교육의 질적 수준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대학의 이미지, 명성, 전통 등은 다른 요인에 비하여 낮게 조사되었다. 대학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 분석에서 가장 높은 항목은 대학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수집이었고, 주변 친구나 친지를 통한 수집이 뒤를 이었다. 대학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변 인물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본인의 결정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가족, 선생님, 친구/선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 만족도는 10개의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통편에 대한 항목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강원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무관하지 않은 결과이다. 반면, 학과 특성화와 대학 발전 가능성은 만족도가 높게 나왔는데 이는 강원지역 대학이 시장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항목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하여 지리적 약점을 보완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 환경 변화로 생존을 위한 공격적 마케팅이 필요한 대학들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러나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 요인이 있어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강원도의 전체 대학이 아닌 일부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강원도는 범위가 광범위하고 영동과 영서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어 그에 따른 수험생의 성향이나 영향 요인 등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연구의 대상 지역을 강원 전역, 혹은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수도권 또는 대도시에 소재하는 대학과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 중 대학 선택 과정 모형에 관한 내용은 외국 연구자들에 의한, 외국 대학 실정에 맞는 대학 선택 과정 모형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대학 실정에 맞는 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가 발전하고 대학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수험생의 성향이나 needs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대학 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또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마케팅에 활용한다면 대학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매스컴 등에 홍보를 하는 것만이 대학의 마케팅 활동은 아니다. 각 대학들은 수험생들이 대학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각 요인들 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수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의한 양질의 교육으로 취업률을 향상시키고, 장학금 등 학생복지 혜택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강원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약점으로 작용하는 교통편에 대한 불만족 요인 등을 상쇄할 대응요인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서비스의 품질 향상으로 강점은 더욱 더 발전시켜 최대한 부각시키고, 약점은 점차 보완 및 대체하여 마케팅에 활용한다면 대학의 경쟁력은 자연히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