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분석 : 거점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세계화 정보화의 물결에 따라 교육의 여러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을 키우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때 대학원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원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교육학 석사학원 취득과정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우리나라 음악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전국 각 도마다 국·공립대학이 있지만 거점대학교는 서울대, 충남대, 충북대, 전남대, 전북대, 강원대, 제주대, 부산대, 경북대에만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서울대와 부산대는 특별시와 광역시에 해당하는 학교이기 때문에 제외하였으나, 충북대에는 음악교육전공 학과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경기도에는 거점국립대학조차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인 교육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을 거점대학교 7개 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과정 과목위주로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하고 운영상의 문제점과 그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나아가 좀 더 발전적인 교육과정 정립에 기본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비교·분석에 있어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나누어 각 학교의 개설된 과목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이해영역과 활동영역 2가지로 나누어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각 대학원간 과목 수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목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음악교육전공에 맞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적절해야하는 것이다. 각 대학원은 과목의 개설을 일률적으로 편성하여 뚜렷한 기준을 세우고 교과목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현행 교육과정은 교육부의 형행교육과정과 다소 차이가 있어보였다. 음악교사의 양성 및 현직교사의 재교육이라는 대학원의 취지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각 대학교마다 국악 관련 교과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이고 폭 넓은 교육을 위해 국악영역 교과목의 개설이 확대되어야 하겠다. 넷째, 연구에 속한 학교들은 각 도의 중심이 되는 거점국립대학으로써의 면모를 확실히 갖춤으로 각 도의 다른 학교들에 비해 발전적인 교과과정의 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거점국립대학 7개 학교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 되어 여러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립교육대학원과 음악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힘 써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면 교과과정의 정립과 균형 잡힌 음악교육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wav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postgraduate education among various educational field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t the moment that the need of higher education is emphasized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pecial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agency which reeducates and educates continually for current teachers and equally, is playing important role as the course to acquire the Master of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contributing to develop South Korea’s music education and in view of thi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urse of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meaningful. Although every province has national/public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hich open music education major are onl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Since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belong to Seoul and metropolitan city, these two universities are excluded in this research. However, music education major is not opened in Chunbuk National University and moreover, Konggidodoes not even have national university. Thus, this research focus on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actuality of subjects in music education major which is opened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find operation issu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pursued basic direction to establish more constructive education course. In terms of a curriculum analysis and comparison, it is divided into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criteria. It is analyzed by the comparison with each University’s courses. Those courses are analyzed more in depth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and operation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4 facts were discovered. First, the number of subjects in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wed huge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Post-graduate schools. Having more subjects does not mean the better quality.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the rate of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uld be balanced. Each Postgraduate school should have a standard of uniform subjects opening. Second, the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some of differences in comparison of Education Ministry's current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e curriculum of Post-graduate school should be reorganized as the curriculum can be linked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middle high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ird, each postgraduate School has insufficiency of Korean classical music related subjects. To have a systematic and wide range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Korean classical music category should be open in each Graduate school. Forth, the postgraduate schools involved in the research should have superior aspects as key performing 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d curriculum compare to other univers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limited 7 national universities so it was not able to cover various universities. Through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more dynamic and efficient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if the more practical and segmented curriculum is developed, the well balanced musical education will be pursued.

      •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차봉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anings of experience by field practice type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e teachers and determine what meanings they had for becoming a teache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after one-year experience as a guidance teacher by practice types prior to this research. First, what experience do practice teachers have by practice types? Second, what meanings does practice teachers' practice teaching experience have for becoming a teacher? As for the field practice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e teachers in this study, inspection was performed for sophomores for a week in first and second terms, respectively; instruction practice was implemented for juniors for four weeks in the second term, and practical practice was carried out for seniors for four weeks in the first term. 10 students for inspection, 4 for instruction practice, and 6 for practical practice were assigned to this study to conduct a culture-technology research.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concerning experience and meanings by practice teaching types. First, students for inspection believe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an approach to a class by sharing children's ideas, feelings, and emotions, while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put significance on a perfectly-prepared and well-controlled class. Students for practical practice will cultivate expertise as a teacher through a class perfectly arranged and prepared and level-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Second, the condition for successful teachers was considered as love and voluntary service for children by students for inspection, as consideration of even individual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home environment by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and as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expertise with a manager's mind by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Third, students for inspection had time for serving as a teacher through children's reactions by approaching them though they were afraid of approaching them, while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realized their motivation to enter a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with children and longed for a teacher's way. Students for practical practice had time for getti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rough encounter with children. Fourth, students for inspection came to put validity on college curricula that they had regarded as meaningless through inspection of a class;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did incomplete instruction by failing in smooth arrangement of activities to make proper progress to the next stage, feeling heavy burden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recognized properties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enabling free expression and pleasure. 본 연구는 초등교육실습생들이 현장실습의 유형에 따라 겪는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이는 ‘교사되기’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밝혀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 실행 전 실습유형별 실습 지도교사를 1년간 경험한 후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실습생들은 실습의 유형에 따라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교육실습생들이 갖는 교육실습경험은 ‘교사되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과정은,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참관실습은 1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 각 1주, 수업실습은 3학년을 대상으로 2학기에 4주, 실무실습은 4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에 4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참관실습생 10명, 수업실습생 4명, 실무실습생 6명을 배정받아 연구에 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 유형별 경험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결론 지어 볼 수 있다. 첫째, 참관실습생은 수업은 아동들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그들의 감정까지 공유하며 다가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수업실습생은 완벽하게 준비되고 통제가 잘되는 수업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실무실습생은 완벽하게 계획하고 준비된 수업, 수준별 개별학습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둘째, 참관실습생은 아이들을 사랑하고 봉사하는 마음을 성공적인 교사의 조건으로 생각하는 반면 실무실습생은 학생개인의 교우관계나 가정환경까지 고려해야 하는 것을, 실무실습생은 경영자의 마인드를 갖고 전문성이 발휘되는 학급운영 이야말로 성공적인 교사의 조건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참관실습생들은 아이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두려워하지만 다가간 만큼 얻어지는 아동들의 반응으로 교사의 입장에 서보는 시간이 되었으며, 수업실습생은 아동들과의 다양한 경험으로 교대에 온 목적을 일깨우고 교직에의 길을 갈망하고 있었다. 실무실습생은 아동과의 만남을 통해 직업의식을 일깨우는 시간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넷째, 참관실습생은 예체능 수업의 참관으로 무의미하게 생각했던 대학의 교육과정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과정이었으며 수업실습생은 활동에 대한 매끄러운 정리와 다음단계로의 적절한 진행을 이끌어 내지 못해 완성된 수업을 하지 못하면서 예체능 수업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큰 반면 실무실습생은 자유롭게 표현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예체능 수업의 특징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 학문중심의 미술교육(DBAE)에 기반한 드로잉수업 연구

        홍주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형식이나 개념 가치와 본질 등 모든 것으로부터 변화가 시작되었고 지금도 그 변화는 계속 진행 중이다. 장르의 경계가 없어지고 재료의 다양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어 개인의 취향이나 감정이 최우선시 되어가고 있기에 미술교육에 있어 학생들에게 어떤 것을 ‘교육’ 해야 할지 고찰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타 교과에 비해 ‘교육받았다’ 라고 느낄수 있는 범위나 틀이 비교적으로 적다고 느낄 수 있는 미술수업 시간에 학생들은 무엇인가를 배워갈 수 있는 교육방법이 있을까 하는 질문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미술 수업시간에 무엇인가를 만들고 수행한 기억만 남기기 보다는 본 연구자가 미술의 본질이자 시작점이라고 생각하는 -자신이 느끼는 아름다움과 그것을 표현할 수 있다, 혹은 표현하고 싶다-보다 본질적이고 기초적인 것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고자 학문중심의 미술교육 (DBAE)에 그 기초를 두고 연구수업을 계획하였다. DBAE는‘Discipline-Based Art Education’의 약자로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지만 주로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이라고 불린다. 실기 제작 뿐 아니라 미술사와 미학 미술비평까지 4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져 보다 본질적이고 기본에 충실한 다양한 방향으로의 교육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술의 기본과 본질로 돌아가 보고자 하였을 때 그 매개체를 미술의 가장 기본이자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드로잉으로 두고 수업연구를 하였다. 드로잉은 기본 선만으로 사물이나 물체 혹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미술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분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수업이 진행 된 곳은 경기도 동두천에 소재한 고등학교이다. 전교생이 350명 정도 되는 지방 소도시의 남자 고등학교로 연구 표집단체가 협소하고 성적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교육실습기간동안 이루어진 수업진행으로 수업기간이 길지 않아 보편적인 결과도출에 일정한 한계가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 역시 이에 일부나마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음을 전제한다. 한 반에 50분씩 총 2차시로 진행 된 수업은 미술의 실기제작,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의 학습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학문중심의 미술교육에 기반한 드로잉 수업 지도안 개발을 통해 교육실습활동 시간에 연구수업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결과로 대안점 및 제안을 모색하였다. 수업은 드로잉의 한 종류인 연필소묘로 비교적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입체도형을 그려보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도출은 학생들의 작품 및 소감을 통해 내었다. 하지만 짧은 기간으로 인해 소감문 작성에 시간적인 할애를 할 수 없었기에 학생들의 구체적인 소감문을 대신하여 학생들의 실기 결과물과 수업 분위기, 그리고 개인적으로 전해온 소감으로 갈음하였다. 추후 학문 중심의 미술교육 (DBAE)에 기반한 수업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의 실기능력과 미술사에 대한 이해 그리고 미적인 시각과 비평능력이 함께 향상되고 교육적인 효과가 함께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또한 본 수업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학문중심의 미술교육(DBAE)에 기반한 수업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명분에 작게나마 발돋움이 되어 연구가 계속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postmodernist era, changes began from everything, including form, concept, value and essence. As individual tastes and emotions have become a top priority amid disappearing boundaries of genres and guaranteed diversity and autonomy of materials, it was inevitable to examine what to “educate” students in art education.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 educational method for students to learn something in art class, where they can feel that the scope or frame of being “educate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 researcher planned a demonstration class based on DBAE to educate students on more essential and basic things that she believes to be the essence and starting point of art – the beauty that one feels and can/wants to express, - rather than leaving only the memories of making and performing something in art class. DBAE is an acronym for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and can be interpreted in many ways, but it mainly refers to academic-based art education. That is because this educational program consists of four areas of not only art production but also art history,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which enables education in various directions that are more essential and faithful to the basics. Upon attempting to return to the basics and essence of art, the researcher performed instructional research by putting draw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basic and beginning of art, as a medium. This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drawing is the most basic field in art that can express an object or one’s thoughts and feelings only with basic lines. This demonstration class was held at a high school located in Dongducheon, Gyeonggi Province. As the male high school in a small local town with about 350 students, the research sample group is small and sexually uneven. The short class period of the educational practice also limited deriving universal results,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be affected to some extent as well. The class,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two sessions of 50 minutes per class, includes art production,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Through a drawing lesson plan based on academic art education, it was conducted as a demonstration class during teaching practice, and the researcher explored alternatives and suggestions with the results. During the class, students drew a three-dimensional figure that can be expressed relatively easily with pencil drawing, a type of drawing. The results were produced through the students’ works and impressions. However, as it was not possible to devote time to writing a review due to the short period of time, specific review was replaced with the students’ practical results, class atmosphere, and their personal feelings. If classes are delivered based on DBAE in the future, students’ practical ability, understanding of art history, aesthetic perspective, and criticism ability are expected to improve together, along with educational effects. In addition, it is a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mall step towards justifying the need for an instructional research based on DBAE, producing continuous studies.

      •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남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Namhyung, Kim the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For arriving at 'cultivation of smoo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correctly, not only fulfillment of linguistic functions but also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have to be achieved properly. Recently, the opinion that combined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by education utilizing Korean literary works becomes possible is proposed and lots of studies for that are suggested. But the object of almost studies is modern literacy works and for the selection of learners, it's limited to learners whose standard is more than intermediate lev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amo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under the object of foreign leaners studying Korean in Korea. There are also critical opinions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proper in the practical aspect of Korean education. But foreign learners cannot neglect classical novels reflect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 values, etc. the mostly if Korean values, thought, world view, etc. among various cultural factors of Korea, are important that they are living in Korea. Also, amo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have great significance and utility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were firstly revealed and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utility for Korean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are basically concise and simple plot of story, forms of repetition and opposition, international universal subject, Koreans' traditional way of thinking, emotional whole, etc, as a literature of Oral Transmission.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utility of Korean education can induce learners' interest easily, make them understand easier than other Korean literature and help them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culture by making them experience Korean classical society and culture indirectly. Through those 'folk tales', it's possible to educate language and culture synthetically for learners. In the context reflected by concrete and usual Korean languages well, natural Korean studying and synthesized functional education linguistically are possibl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ral transmitted literature. In addition, they can experience naturally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directly as Koreans' educational way of thinking, values, emotion, etc. are melted in languages so the education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is possible. Furthermore, through the international universal subject reflected in ‘folk tales’, foreign learners can feel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their own values and emotion and can be provided by an opportunity to assimilate with Korean society. Finally, methods and realities of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were suggested. Prior to seeking of concrete education, cultural models of Ronald A. Carter and Michael N. Long were examined. Their cultural models provide methods and reasons for teaching literary works i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and they can be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s they are. Also, they accept the viewpoint that cultural ability, grammar knowledge, literature ability, etc. are necessary, in current situation that importance of communicational competence is emphasized for Korean education. The cultural models of Carter and Long are saying firstly, the cultural model, secondly, the language model and thirdly, the personal growth model. And in this paper, those three models can be applied gradually an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earners. Those three models discussed that education is conducted synthetically but teaching and studying can be achieved by changing model's weight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earners. Therefore, for learners in elementary level, an improvement of linguistic ability was attempted through the studying focusing on simple vocabulary, expression and sentence structures by laying stress on the language model. For learners in intermediate level, an improvement of ability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culture was their purpose by laying stress on the cultural model. For learners in advanced level, individual experiences accumulated by enjoying Korean literary works could be connected to personal growth, by laying stress on the personal growth model. Based on the discussion until now, a way of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was introduced and practical examples for each standard of learners were suggested under the material of「Kongji and Padji」, an universal folk tales all Koreans know.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 남 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이러한 교육 목표에 바르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언어 기능의 올바른 수행과 동시에 목표 언어 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바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그 동안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언어 기능 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문화 교육은 단지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과 소개 차원에 그치고 있었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학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며,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작품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효과는 학습자 개인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의 문학 작품 중 예로부터 구비전승 되어 오는 서사 갈래의 하나인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용성과 가치를 밝히기 위해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여 제시했다. ‘옛이야기’는 구비전승의 문학, 간결하고 단순한 이야기 구성, 반복과 대립의 형식, 세계 보편적 주제,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가치, 감정의 총체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 같은 특성은 외국인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여타 문학에 비해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한국 사회와 문화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언어 기능의 통합적 지도가 가능하고 여타 문학으로 옮겨갈 수 있는 기초와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옛이야기’를 통해 교육해야할 내용을 언어 교육의 측면과 문화 교육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언어 교육 측면에서 ‘옛이야기’는 한국인의 전통적 언어생활 모습이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나타나는 자료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비전승되는 특성으로 언어의 통합적 교육이 가능함을 밝혔다. 문화 교육 측면에서 ‘옛이야기’는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방식과 가치관, 감정 등이 언어 안에 녹아 있어 한국 사회와 문화 이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세계 보편적인 주제를 보이는 옛이야기는 외국인 학습자의 내용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비교 문학의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여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고에서는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과 실제를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의 모색에 앞서 카터(Ronald A. Carter)와 롱(Michael N. Long)의 문화 모형을 살피고 활용하여 교육 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카터와 롱의 문화 모형은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을 가르쳐야 하는 방법과 이유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그대로 한국어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이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외에도 문화 능력, 문법 지식, 문학 능력 등도 필요하다는 관점을 받아들인 것이다. 카터와 롱의 문화 모형은 첫째, 문화 모형(The cultural model), 둘째, 언어 모형(The language model), 셋째, 개인 성장 모형(The personal growth model)을 말하는데 본고에서는 이 3가지 모형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순차적이고 위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서이다. 3가지 모형은 통합적으로 교육하되 학습자 수준에 맞게 모형의 비중을 달리 하여 교수 학습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하여 초급 단계의 학습자에게는 언어 모형의 비중을 두어 간단한 어휘와 표현, 문장 구조를 중심의 학습을 통해 언어 능력의 신장을 꾀하였다. 중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문화 모형의 비중을 두어 한국의 사회 및 문화 이해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였다. 고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개인 성장 모형에 비중을 두어 한국의 문학 작품을 향유하여 개인적 경험을 쌓아 개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에는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옛이야기’를 활용한 방안을 소개하고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 ‘옛이야기’가 가지는 가치와 효용성을 밝혔다. 그리고 미비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에게 순차적이고 위계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체적 교수 학습 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 측정 및 활용방안

        주헌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05년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보통신윤리지수 모델에 준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이 되었던 학생들이 컴퓨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곳은 ‘집’(93.8%)으로 나타났다. 둘째,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모님의 ‘통제를 받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지만(51.6%), ‘그렇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과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교 최고학년인 6학년들 임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41.8%였으며, 정보통신윤리교육이 ‘꼭 필요하다’에 대한 응답이 49.0%였다. 또한 교수 적임자에 대한 응답은 학교선생님(35.9%)보다 외부 전문강사(50.7%)가 더 많게 나타났다. 넷째, 지표별로 얻은 평균(지수)값을 살펴보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존중, 책임, 절제 부분에서는 여학생의 값이 높고, 규범인식 부분에서만 남학생의 값이 높았다. 하지만 상위 4개 지표 가운데 남?여학생 모두 규범인식의 값이 다른 3개지표 보다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컴퓨터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른 지표별 값은 사용 장소가 학교일 때 모든 지표의 값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 장소가 PC방 및 기타 일 때 모든 지표값이 낮게 나타났다. 즉, 4개 지표의 값 모두가 학교>집>PC방 및 기타 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를 주로 PC방 및 기타에서 사용한다는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의미이다. 여섯째, 컴퓨터 사용에 대해 통제를 받지 않는 그룹의 학생들도 지표별 평균(지수)값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책임과 절제부분에서는 통제를 받고 있는 그룹의 학생들보다 통제를 받지 않고 있다는 학생들의 지수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정보통신윤리교육을 3번이상 받은 경험이 있다는 그룹의 학생들의 지수가 4개 지표모두에서 다소 높은 값으로 나타났지만.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과 1~2번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과의 지수값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표준편차값의 비교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을 3번이상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그룹이 다른 그룹의 학생들에 비해 4개지표 모두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연구결과, 조사대상이 되었던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는 예상과 달리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존중, 책임, 절제에 비해 규범인식의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값이 나타났으므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규범인식에 해당하는 교육내용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에게 있어 규범인식의 값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규범인식에 관한 내용을 여학생들에게 좀더 강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 사용에 대해 부모님의 통제를 받는 그룹과 그렇지 않는 그룹간의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사용에 대해 부모님의 통제를 받는 그룹의 학생들과 통제를 받지 않는 학생들의 그룹간의 개인적성향의 차이 또는 통제의 효과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보인다. 즉, 통제를 받지 않는 학생들의 경우 자발적 통제능력이 더 좋은 학생들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제를 받고 있는 학생들에게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좀더 강조함으로써 자발적인 통제능력을 갖도록 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대상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수요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지수값을 참고하여, 정보통신윤리교육내용을 개선하고 교육을 받고자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충족될 수 있도록 교육의 기회 또한 늘려야 한다고 생각된다. 특히 정보통신윤리교육은 학생들에게 자발적 통제능력을 키워주는 적극적 의미가 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been rapidly applied in various fields so far. It created newly cyber space in addition to physical space, and helped our society enter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has increased national benefit and at the same time enriches our lif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al, culture, and education with convenience. In the opposite side of technological growth, however, there are reverse functions that have rapidly spread over our society such as circulation of unsound information,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of privacy, infringement of copyright, internet and game addiction, virus spread, cyber crime, and security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IT ethics educ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toward healthy IT culture society. Many researches have been investigating on these issues and many schools are teaching IT ethics. This thesis tries to find a more efficient way for IT ethics education which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real education fields, not a general and one-sided IT ethics education that students just follow education instruc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thesis measured IT ethics consciousness. The IT ethics index model used in this thesis was designed by Korea Internet Safety Commission in 2005, which can be applied many different groups of information users. By using this IT ethics index, this thesis measured the degree of IT ethics for grade 6 students. This result of IT ethics degree will be able to be used to devis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IT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우리나라와 IB 교과서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교육 개선방안

        홍지헌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rrelation education by analyzing Korea and IB textbooks Hong Ji Heo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units that disappeared after the 7th curriculum and reappea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we analyzed MYP <MYP Mathematics 3, A concept-based approach> textbooks applied IB curriculum and 10 kinds of middle school textbooks in Korea. The ques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Has the correlation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mproved in the 7th curriculum textbook? 2. How can the unsophisticated par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 be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IB MYP textbook correlation un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0 kinds of textbooks revised in 2015, as in the 7th curriculum, intuitive correlation grasp is maintained without introduc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ill does not deal with outlier. Students may have difficulty interpreting data obtained from actual research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xplaining correlation and causality relatively simple is written only in a few textbook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points that were criticized as the main problems in the 7th curriculum are still maintai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find an alternative to this, IB MYP textbooks, which explored the core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analyzed. MYP textbooks are based on questions that constantly induce students' inquiry in each process of learning the contents from correlation definition, judgment, interpretation, and more. Guided. In addition, since it includes the regression line, the equation of the regression line, and the content elements extended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deeper learning is performed in the correlation area than in Korea, and it also includes extremes and causal explanations. In the application part of engineering tools, textbooks are not presented separately as one corner, but are continuously presented in each activity and problem situation, allowing you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practicing, applying, and interpreting according to your needs. In the application to the real-life situation, the whole unit is composed of sub-topics focused on one main theme, and each course is composed so that students can fully experience storytelling.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2015 revised Korean textbooks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 merits of IB MYP textbook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correl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process of students thinking and embodying the content centered on the question is the center, and it is necessary not for the one-sided delivery of mathematical definition but for student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rough the question themselves. In addition, in order to be able to fully apply 'real life-oriented statistical content reconstruction' in school classrooms, statistic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real-life situations in a practical context.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learning, it is necessary to set the subject, perform the process from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to the result, and practice, apply, and interpret engineering tools to suit their needs. 우리나라와 IB 교과서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교육 개선방안 홍 지 헌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이후 사라졌다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시 등장한 상관관계 단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10종의 교과서와 IB 교육과정이 적용된 MYP<MYP Mathematics 3, A concept-based approach>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상관관계 단원은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의 문제점이 개선되었는가? 2.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부족한 부분은 IB MYP 교과서 상관관계 단원을 참고하여 어떻게 보완될 수 있는가? 2015 개정 우리나라 교과서 10종의 분석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관계수를 도입하지 않은 채 직관적인 상관관계 파악이 유지되고 있으며 여전히 극단치를 다루고 있지 않아 학생들은 실제 조사 활동으로 얻어진 자료를 해석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설명에 있어 몇 교과서에서만 비교적 간단하게 다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비판되었던 부분들이 여전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교수․학습의 핵심을 탐구로 하는 IB MYP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주목할 점을 다음과 같다. MYP 교과서는 상관관계의 정의, 판단, 해석에 이르기까지 내용을 익히는 각각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학생들의 탐구를 유발하는 질문이 바탕이 되고 있으며 내용 위주의 서술보다는 학생들의 활동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자세히 안내되어 있다. 또한 회귀직선, 회귀직선의 방정식, 상관계수까지 확장된 내용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우리나라보다 상관관계 영역에서 심도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단치와 인과관계 설명도 포함하고 있다. 공학적 도구의 활용 부분에서는 교과서에서 한 코너로 따로 제시하지 않고 각 활동과 문제 상황 곳곳에 계속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자신의 필요에 맞게 연습하고 적용, 해석하는 과정까지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실생활 상황에의 적용에서 단원 전체가 하나의 대주제를 중심으로 맥락을 중시한 소주제들로 각 과정을 구성하고 있어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스토리텔링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2015 개정 우리나라 교과서의 문제점과 IB MYP 교과서의 장점을 기반으로 상관관계 교수학습방안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질문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내용을 구체화 시키는 과정이 중심이 되어 수학적 정의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질문을 통해 탐구하고 정확히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구성’이 학교 현장의 수업에서 충분히 적용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실생활 상황 중심의 통계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을 정리하는 과정에서는 주제를 정하고 조사의 목적에서 결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수행하며 공학적 도구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연습하고 적용, 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 선거교육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신미섭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만 18세 학생들은 선거연령 하향으로 선거권을 부여받았다. 학교 현장은 선거교육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혼란과 고민이 공존하였고, 그에 따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수업의 기본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정치와 법」 교과서가 학생 유권자의 선거권에 맞추어 준비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주체적인 입장으로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지 점검해보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고등학교「정치와 법」교과서 선거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선거교육 부분이 제시되어 있는 대단원 <정치과정과 참여>에서 중단원과 소단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자료 분석, 평가 방법과 평가 활동 자료 분석, 교육의 중립성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대로 정의적 측면(가치,태도)보다는 인지적 측면(지식) 위주가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자료 분석에서는 구체적인 자료들을 제시하여 학생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한 활동이 있었다. 아쉬운 점은 최신 경향을 바로 반영하여 선거연령 하향을 제시한 교과서도 있었고, 없는 교과서도 있었다. 또한 활동학습이 낯선 학생들에게 활동의 점진적인 단계 제시와 토론 인원 및 방법 등 구체적인 조건들이 제시되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평가 방법과 평가 활동 분석에서는 학생이 배운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는 부분이 있었다. 수행평가는 실제 참여를 통한 활동들이 제시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활동들이 과정중심평가로 활성화되면 실제 참여 경험을 통한 가치,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교육의 중립성 분석은 모자이크 처리가 되어 있고, 참고자료 정도로만 사용되어 중립성에 벗어나는 교과서는 없었다. 교육의 중립성은 교사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도 연구되어야 한다. 학교 단위의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선거교육의 동일 교과, 다른 교과와의 융합 수업을 고려해볼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하려는 노력이 도입단계부터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는 선거 내용에 대한 개념 설명이 주를 이루어 활동 중심이 아쉬운 부분이 있다. 선거교육은 교과서와 활동학습을 통해 지식, 가치,태도를 골고루 기를 수 있어야한다. 교과서 개선방안으로 지식에 치우치지 않도록 참여 학습 및 토론 학습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학생들이 활동과 경험을 통해 성인이 되어서도 실생활에서 민주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8-year-old students were granted the right to vote due to the lowering of the election age. Schools were confused and worried about how to conduct election education, and discussions on election education were actively taking place. Textbooks are the basis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politics and law“ textbooks a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voting rights of youth voters. It also checked whether teenager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election with an independent position with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lection education in high school "Politics and Law"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Among the major <Political Process and Participation>, election education in the textbook was analyze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ity data analysi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activity data analysis, and neutrality in edu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find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as in previous studies, it was focused on the cognitive domain (knowledge) rather than the affective domain (value, attitude). There were activities that allowed students to judge and think on their own by presenting specific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ity data analysis. Unfortunately, there were textbooks that immediately reflected the latest trend and suggested lowering the election age, and there were textbooks that did not suggest lowering the election age. In addition, there is a regret that students who are unfamiliar with activity learning should be presented with gradual stages of activities, and specific conditions such as the number of discussions and discussion methods should be presented in textbooks. It was analyz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activity had a part in which students self-evaluated what they learned.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ctivities through actual participation were presented. If the activities of textbooks are activated as a process-based evaluation, it can be helpful in forming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actual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analysis of neutrality in education was mosaic, and there were no textbooks that deviated from neutrality as they were used only as reference materials. The neutrality of education is important in both the roles of students and teachers. Measures for enhancing teacher expertise should also be studied. It is possible to consider convergence classes with the same and different subjects of election education through the school-level teacher learning community. Efforts have been made from the early stages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fiel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explain the concept of the election, so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is a lack of activity center. Elec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develop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evenly through textbooks and activity learning. It is proposed to revitalize participatory learning and discussion learning so as not to be biased toward knowledge as a textbook improvement plan.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 as democratic citizens in real life even when they become adults through activities and experiences.

      • 음악중점 고등학교 음악교육현장에 대한 분석연구 : 2011학년도 처음 시행된 음악중점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영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thesis aims to become use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students and grasping their needs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students of music-focused schools are educated. In this research,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music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questionnaires had been sent to 225 students of 4 music-focused high schools which first had started fulfilling such an education system as of 2011.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156 returned answer papers from 165 people of 3 schools except 1 school.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satisfaction rating of the students surveyed,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urvey asking about music class(No. 2), music curriculum(No. 3), music class facilities(No. 4) and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No. 5), the respondents mostly answered the questions positively with ‘moderate’ followed by ‘yes’. When it comes to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No. 1), in the question of ‘music-focused class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level of musical ability’(question 2), they answered, ‘moderate’ and ‘no’. Additionally, in the question of ‘music-focused class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lass(academic class) students(question 3) in the same category, most of the respondents showed dissatisfaction with 49% answering, ‘no’ and ‘absolutely not’.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music-focused class students felt difference in their musical abi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ents in the same class and they did not get along with the academic class students. Furthermore, 40% of those questioned said that they regret having entered a music-focused school. In the case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music tutors(No. 6), 74% of the students expressed great satisfaction by answering, ‘satisfied’, but the reasons why oth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m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v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reality of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education sit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conditions of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it is essential to produce the teachers who have high level of teaching skills, through upgrading teacher-training programs and developing systematic curriculums, that is, a wide variety of music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ntent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institutional aspects such as entrance examination systems or educational curriculums, as well as train a teacher. In this thesis, reflecting on the concrete opinions of the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beginning first as of 2011 was useful in analyzing the music education situation. Show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in which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in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are faced with, will help suggest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the music education situation. 본 논문은 음악중점학교 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지 자료를 표집․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학생들을 이해하며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음악중점 고등학교의 음악교육현장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1년도 현재 처음 시행되고 있는 음악중점고등학교 4개교의 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한 학교를 제외한 3개교의 학교 165명 중, 156부를 회수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학생들의 전체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응답률을 얻을 수 있었다. 음악수업(문항2), 음악 교육과정(문항3), 음악 수업시설(문항4), 음악 수업효과(문항5)에서는 대부분 ‘보통이다’와 ‘그렇다’의 순으로 긍정적인 결론이 나왔다. 학교생활 만족도(문항1)의 경우, 같은 문항 중 ‘음악전담학급의 같은 반 학생들이 느끼는 음악 수준 만족도’(질문2)에 대해서는 ‘보통이다’와 ‘그렇지 않다’의 통계가 나왔으며, 같은 문항 중 ‘음악전담학급 학생들이 느끼는 다른 학급(인문계)과의 관계 만족도’(질문3)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의 비율이 49%로 대체적으로 학생들은 불만족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같은 반 학생들의 음악수준에 대해 차이를 느끼고 있으며, 같은 학년 인문계반의 학생들과는 잘 어울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중점학교에 진학한 것에 대해 후회를 했던 학생들도 40%로 나타났다. 개인레슨교사(문항6)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74%의 학생들이 ‘만족 한다’라고 응답을 하여 매우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불만족한 학생들의 이유에 대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위 설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 음악중점학교의 입시제도가 면접으로만 학생들을 선발하다 보니 학생들의 음악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로인하여 학생들은 같은 반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수준의 차이를 느껴 학생들 간의 괴리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문계고등학교 내에 소수 반을 시행하다보니 인문계열 학생들과 교류가 많지 않아 원만한 학교생활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대부분은 ‘전공이 너무 많아 복잡하다’ , ‘전공레슨 선생님이 아니다’ , ‘교육내용이 자주 수정 된다’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는 음악중점고등학교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 볼 때 음악중점고등학교 교육현장의 실태는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악중점고등학교 교육현장의 개선을 위해 교사양성 과정에서 좀 더 심화되고 체계적인 커리큘럼, 즉 음악교육의 영역별 내용과 기능에 대한 광범위한 프로그램의 개발로 현장성이 높은 교사를 배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양성 뿐 아니라 입시전형이나 교육과정 등 제도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2011년 현재 처음 시행되고 있는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체 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반영은 음악교육현장을 분석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전공생들이 현재 처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만족도를 세세하게 보여주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음악교육현장을 위한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