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졸업생 취업흐름에 대한 영향요인 : 중국 산둥성 대학등급별 비교 중심으로

        허인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employment flow of college students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allocation and distribution of regional human resources. The employment trend of college students has obvious regional differenc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s social economy. In order to grasp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flow of college graduates, this research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graduates’ employment flow in the Shandong Province of China. In order to study influencing factors, the paper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and use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graduates’ employment area in different university leve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basic statistics, we find that graduates of junior colleges and general universities tend to stay in Shandong to get a job. Second,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ifferent influencing factors, we see that the birthpla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urban flow of graduates. More specifically, junior college graduates are more likely to develop their career in Shandong which is influenced by their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we find that the degree has opposite effect on general universities and major universities. Finally, the influencing factors of graduates employed in the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attract highly educated students graduated from Shandong’s key universities to develop their employments loc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crease the ability to attract talents from other province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make policies to balance the job opportunities for students graduated from different levels of universities.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the urban’s infrastructures and economics. Lastly, graduates must firstly change their employment ideas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Since this study is only a survey based on the graduates in Shandong, there may be certain regional limitat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does not include variables that can be considered in various ways, such as individual consumption propensity, lifestyle, and level of individual abilities. Future studies that analyze the effect of employment flow through analysi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n also be presented. 대학생 취업은 지역 인재 자원의 배치와 분포 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학생 취업 흐름은 뚜렷한 지역 차별성을 가지고 있어 국가 사회 경제의 운행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졸업생의 취업 지역 흐름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산둥성 대학등급별 졸업생의 취업 흐름 지역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분석을 위해 논문에는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학등급별 졸업생 취업 지역 흐름 영향 찾는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량을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과 일반대학 졸업생들은 산둥성에 남아 취업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개인 요인에서 출생지가 졸업생의 도시 흐름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전문대학 졸업생은 아버지 학력의 영향을 받아 산둥성에 머무른 취업을 선택할 확률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학위변수는 일반대학과 주요대학에 상반된 효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에 취업한 졸업생들의 취업 이동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산둥성내 에 주요대학 졸업한 고학력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산둥성의 인재 흡인 능력을 적극적으로 높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다른 수준의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을 위한 취업 기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넷째, 도시경제를 발전시키고 도시건설을 촉진해야 한다. 또한, 졸업생은 우선 개개인의 관점에서 취업 관념을 바꿔야 한다. 본 연구는 산둥성 졸업생만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했기 때문에 일정한 지역적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구에는 개인의 소비성향, 라이프 스타일, 개인의 능력 수준 등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는 변수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별특성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 취업흐름의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도 제시될 수 있다.

      • 대학의 국제교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강원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인의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intemational exchanges and to present a program for activating exchange program between abroad and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KNU) is employed as the case study for this research. The reason that I take KNU for an example is that KNU can be a model more than the averag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cale. The matehal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relevant papers, the research papers, the matehals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documents of KNU, and so on. In a part of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intemational exchanges, I looked into the exchange result between foreign universities and KNU, the intem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cooperation, academic books and joumals, and professors, students and staff. The first and foremost plan for activating exchange programs is to instill the members of relevant institutions consciousness of intemationalization. Holding the seminars and public lectures can be considered as the effective ways for this ob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regulations limiting the activating of the students exchange program and to introduce the full-time professorship who is in charge of this kind of program. Third, it is needed to steadily carry out various projects for developing the exchange program. Fourth, it is thought that improving the wide-range condition for intemational students,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 exclusive department or section, the newly constructing of the apartment for foreign professors and the dormitary for foreign students. In interviews with foreigners staying at KNU, they expressed a strong complaint about the housing facilities. This inconveniences are of no doubt judged as one of the factors who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mational exchange program. Lastly, a Korean language school is needed to offer foreigners an opportunity to leam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Korean culture. Chunchon, where KNU is located in, is predicted to have a great deal of demand. In conclus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not be attained in a day, It is thing that we should proceed to do with the drastic input of necessary men and a firm strategy. KNU has been and will every efforts to be one of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up to the 2010 as a part of a long-term plan. And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Affairs which was established 3 years ago If the plans presented in this research is put into practices, it is experted that the fruitful international exchanges can be pushed ahead.

      • 정부의 공공부문 노동통제와 노동조합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1998년 이후 민주노총 공공연맹의 활동을 중심으로

        허인 성공회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정부의 공공부문 노동통제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공공부문 노동조합운동의 대응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이때 노동체제론을 중심으로 객관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정부와 노동조합의 상호 대응관계를 다루었고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정부는 공공부문에 대해서는 개혁의 대상으로 설정하여 왔고 공공부문 노동통제에 있어서도 완전한 노동3권을 부정하는 등 전근대적인 노동통제를 지속해 왔다. 그러나 공공부문 노동조합운동은 한국사회의 공공부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공유해 온 측면과 뒤 늦은 노조민주화와 활성화로 인해 정부의 공공부문 노동통제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98년 경제위기 이후 정부의 공공부문 사유화와 해외매각 등은 공공부문노동조합의 강력한 저항을 받게 되었고 이러한 가운데 노동조합도 활성화하게 된다. 이후 공공부문 노동조합의 정부의 공공부문 사유화와 해외매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조직을 통합하고 대응 이데올로기를 만드는 등 이전과는 다른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주었지만 국가위기 이데올로기와 공공부문 개혁 이데올로기를 중심에 놓고 전개 된 정부의 노동통제 공세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패배를 지속하였다. 더욱이 연속적인 집권에 성공한 한국의 민주화 세력의 정부인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등장은 오히려 노동조합운동에 더 많은 혼란과 장애를 안겨주었고, 공공부문에는 사기업에서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활용되던 신경영전략 등을 전면적으로 적용하는 한편 이를 법, 제도화하여 사실상 공공부문 노사관계를 형해화 시켰다. 이에 대응하여 공공부문 노동조합은 조직전략으로서 산별노조 건설과 비정규직 조직화, 대항이데올로기로서 사회공공성 강화 공공부문 지배구조민주화 등을 중심으로 노동조합운동의 재구성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정부의 공공부문 노동통제와 민주노총 공공연맹의 대응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상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공공부문 노동조합운동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주요어: 공공부문, 노동체제, 노동통제, 산별노조, 사회공공성, 지배구조민주화

      • 공공부문 노사협상의 다면 구조와 협상 성과의 관계 : 서울시 양 지하철 공사 노사협상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허용 이후 공공부문 노사협상의 변화를 탐색하려는 것이다. 국내의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제도로 인해 사용자의 주도성이 강화되는 반면, 노동조합의 단결력을 저해하고 교섭력을 약화시켜 교섭 성과가 낮아졌다는 주장을 해왔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복수노조 형성의 원인 중 주로 사용자 요인에 초점을 맞춰왔고, 사례 또한 민간부문 노사협상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노사협상의 사례연구를 토대로 기존 연구들이 주장하는 복수노조의 효과에 대해 다른 경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서구에서 공공부문 노사협상을 설명해 오던 ‘다면교섭 관점’을 우리나라의 맥락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분석틀로 활용하고 이론적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는 업종이 같고 노사관계의 역사가 유사한 서울시 산하 서울메트로공사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2013년 단체교섭 과정과 결과이고, 연구방법으로는 두 사업장의 사례를 비교연구 하였다. 비교연구 결과, 선행연구들의 주장에 근거하면 단일노조의 위상을 가지고 있었던 지하철노조가 단결력과 교섭력의 우위를 통해 교섭성과도 더 나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복수노조였던 도시철도노조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을 얻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원인을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다중 사용자성’과 ‘복수노조 간 경쟁의 효과’, 즉 ‘공공기관 노사협상의 다면 구조’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서울도시철도공사의 경우 사용자 측면에서는 서울시와 사장간에 전개된 다중 사용자의 갈등으로 인해 노사협상의 과정에서 긴밀한 의사소통과 일관된 협상전략을 수립하는데 실패함으로써 협상 기한을 넘기게 되었고, 결국 노조의 정치적 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노조의 추가 요구를 들어 주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노동조합 측면에서는 복수노조가 형성된 상황에서 어느 노조도 과반을 점하지 못한 조건이었고, 노조들은 조합원 유치 경쟁을 통해 과반수 노조의 지위를 얻기 위한 선명성 경쟁을 벌였으며, 그 과정에서 조합원과의 의사소통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조직 내부협상의 기제로 노조민주주의의 수준을 강화함으로써 상대방보다 양보된 협상안을 제시할 수 없었다. 그 결과 각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해 잠정합의에 쉽게 이르지 못하여 교섭기간은 길어졌지만 오히려 단체협약의 내용은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의의를 제시하면, 첫째,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의 형성이 곧 노사협상에서 사용자의 주도성을 강화하고 노조의 교섭력과 협상성과를 낮추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특히, 공공부문은 사용자가 적극 개입하여 복수노조를 설립하는 경우에도 다중 사용자 문제, 노조의 정치적 압력, 다층적 감시체계, 그리고 예산의 제약 등으로 인해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달리 사용자의 주도성이 강화되고 노조의 교섭력이 약화되어 교섭성과가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부문의 노사협상은 제도적 맥락에 따라 다면교섭 여부가 결정되고 이러한 구조는 협상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제도적 맥락에서 노사협상의 다면구조는 공공기관과 같이 임명권자와 기관장의 임기가 다름으로 인해 정치적 이해관계의 불일치로 사용자 간에 갈등이 발행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중 사용자성은 사용자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전략적인 선택의 오류로 인해 노사협상에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서구의 다면교섭 관점은 노조를 이해관계의 동일체로 전제하고 노사협상을 설명해 온 반면, 본 연구에서는 노조 또한 구성원 간 이해관계의 불일치가 나타날 수 있고 집행부와 조합원 간에 ‘조직 내부협상’이 노사협상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노조의 조직 내부협상은 협상과정과 결과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인준제도와 같이 노조 민주주의의 제도화 수준에 따라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실무적 의의로는, 첫째,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노사관계에서 사용자의 힘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공공부문에서 사용자 주도의 복수노조가 설립되었다고 하더라도 주기적으로 바뀌는 정권과 기관장의 교체로 인해 정치적으로 한쪽 성향의 사용자의 일방적인 영향력이 지속되기 어렵다는 점, 복수노조 간 갈등으로 인해 분규가 발생하거나 기간 내 노사협상을 타결 하지 못하면 사장 경영평가의 감점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 다층적 통제체제와 예산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과 이해관계가 맞는 노조를 지속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짧은 임기 동안 목적한 바를 이루기 어렵다는 점 등을 볼 때 사용자 개입의 복수노조 형성은 사용자에게 별다른 실익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교섭성과가 공공부문 노동조합에게도 반드시 유리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의 형성으로 인해 노조들은 사용자를 상대로 한 활동보다는 교섭권한과 조합원 유치를 두고 노조들 간의 소송과 분쟁에 몰두하는 동안 조합원들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상태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공공부문 노조는 분파에 따라 복수의 노조를 설립하기보다는 노조 민주주의의 제도화 수준을 높여 각 분파들의 활동결과에 따른 집권 가능성을 보다 높이고, 노조운영에 대한 조합원들의 직접참여 권한을 제도화하여 노조가 조합원들의 요구에 더욱 민감하도록 발전시키는 것이 노동조합의 권익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공공부문의 노사관계 안정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중 사용자의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공부문 노사관계에 대한 정부의 지침과 통제구조는 사실상 정부가 사용자임을 스스로 입증하는 근거임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노사협상을 하위 기관의 개별적인 문제로 치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별 사용자들은 책임 있는 판단에 따라 권한을 행사할 수 없어 개별 공공기관의 노사협상은 타 사업장의 협상결과만을 기다리는 현상을 낳고, 심지어는 결탁(collusion)을 통해 공공기관 본래의 목적에 맞는 행동보다는 공공기관 내 노사에게만 유리한 결과를 내오려는 경향까지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정부의 기관은 책임에 맞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노사협상에 직접 나설 수 있는 노사협상 구조를 만드는데 힘 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첫째, 공공기관의 사용자 특성에서 임명권자와 기관장 간에 이해관계의 불일치로 인한 다중 사용자성이 나타날 수는 있는 가능성이 많지 않아 유사한 사례를 통해 연구 성과를 축적해 나가기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임명권자의 노사관계에 대한 정치적 성격의 차이를 적극적으로 논의하지 않음으로써 노조 배제적인 서울시장 체제에서도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사협상 구조와 노조의 전략적 선택이 협상결과의 우위를 가져 올수 있는지는 더 많은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경쟁 효과의 긍정적인 면을 주장하였지만 노조의 활성화나 노사관계 안정을 위해 사업장 단위의 복수노조가 바람직한가라는 규범적 문제제기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 Mathematical model of Transition-Metal-Dichalcogenide-Based (TMD-Bas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s (TFETs)

        허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wo-dimensional (2-D) monolayer transition-metal-dichalcogenide-based (TMD-bas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s (TFET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thanks to their strong gate controllability. In order to evaluate the electrical performances of monolayer TMD-based TFETs efficiently, non-iterative-method-based mathematical model needs to be developed. However, previous mathematical models for TFETs cannot be used for monolayer TMD-based TFETs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ecause monolayer TMD-based TFETs have extremely-small channel screening length (λch), the depletion width (Wd) should be considered to obtain accurate energy band profiles. Second, because the TMD materials show strong spin-orbit coupling (SOC) due to the d-orbitals of transition metal atoms, spin-valley phys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thesis, a novel physic-based mathematical model for monolayer TMD-based TFETs is proposed, which includes Wd effects as well as the λch. The fringe field effect is carefully involved to obtain the accurate values of λch and Wd. Also, the spin- and valley-dependent band structures for the Wentzel-Kramers-Brillouin (WKB) approximation are modeled by using the two-band Hamiltonian. The proposed model is validated by using the tight-binding-based non-equilibrium Green’s function (NEGF) quantum transport simulation in the case of monolayer MoS2-based double-gate (DG) TFETs. By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design guidelines of MoS2-based DG TFETs are presented.

      • RGF: receiver-based greedy forwarding for energy efficiency and network lifetime in lossy wireless sensor networks

        허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Greedy forwarding is the key mechanism of geographic routing and is one of the protocols used most commonl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Greedy forwarding uses 1-hop local information to transmit packets to the destination and does not have to maintain the routing table that it takes small overhead and has excellent scalability. However, the signal intensity reduces exponentially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realistic wireless sensor network, and greedy forwarding consumes a lot of energy since it transmits the packets to the neighbor node closest to the destination. Previous proposed greedy forwarding protocols are the sender-based greedy forwarding that a sender selects a neighbor node to forward packets as forwarding node and hence they cannot guarantee energy efficient forwarding in unpredictable wireless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eceiver-based greedy forwarding called RGF where one of the neighbor nodes that received the packet forwards it by itself. In RGF, sender selects several energy efficient nodes as candidate forwarding nodes and decides forwarding priority of them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transmiss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RGF improves delivery rate up to maximum 66.8% and energy efficiency, 60.9% compared with existing sender-based greedy forwarding. 센서노드들의 지리학적인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목적지에 가장 가까운 이웃노드로 패킷을 전송하는 그리디포워딩 방식은 위치기반 라우팅 기법의 핵심 기법으로서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이다. 그리디포워딩 방식은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1–홉 로컬정보만을 사용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작고 확장성이 매우 뛰어나다. 하지만 신호세기가 거리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현실적인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목적지에 가장 가까운 이웃노드로 패킷을 전송하는 그리디포워딩 방식은 패킷 전송 에러율이 매우 높고 패킷 재전송이 크게 발생하여 에너지 소모가 매우 크다. 지금까지 제안된 그리디포워딩 방식은 송신노드기반 그리디포워딩 방식으로서 송신노드가 패킷을 재전송할 이웃노드를 선택하고 그 노드로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예측하기 힘든 현실적인 무선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전송을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킷을 수신한 이웃노드들이 스스로 패킷을 재전송하는 수신노드기반 그리디포워딩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패킷을 수신한 에너지 효율적인 노드 중 목적지와 가장 가까운 노드가 가장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고 재전송함으로써 패킷 전송 성공률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기법은 기존의 송신노드기반 그디리포워딩에 비해 패킷 전송 성공률을 최대 66.8% 향상시키고 에너지효율성을 최대 60.9% 향상시킨다.

      • 팽창재와 포졸란재료를 사용한 습식 숏크리트의 초기거동 및 내구특성

        허인 강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국내에서 습식 숏크리트는 주로 터널과 지하구조물의 1차 지보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탈면 보호를 위한 사면 안정용으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이미 거푸집 설치가 어려운 다중곡면 구조물은 물론, 일반적인 구조물에도 고성능 숏크리트 사용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데, 그 주된 사유는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고강도와 고내구성 재료의 특성으로 시공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단순한 기능 위주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탈피하여 자연 암반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 경관시설 개선용 고성능 숏크리트재료 개발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숏크리트가 경관시설물에 사용될 경우 넓은 면적이 대기에 노출되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며, 더군다나 숏크리트 타설 후 조형과 조각을 한 후에 화학반응 착색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조각한 숏크리트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양생제를 도포할 수가 없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그리고 고성능 숏크리트는 일반 숏크리트에 비해 품질이 향상되는 반면에 물-시멘트비가 적고, 다량의 고성능 유동화제와 성능 개선용 단위결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숏크리트의 수화반응이 활성화되고, 이때 발생하는 수화열 등에 의해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 등 각종 수축균열에 대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숏크리트의 균열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팽창재를 사용하였으며, 동시에 내구성 증진을 위해 광물성 혼화재료인 실리카퓸,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메타카올린을 사용하여 숏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팽창재를 시멘트량 대비 0%, 3%, 7%, 11% 및 15%를 혼입한 5가지 변수로 설정하여 팽창재가 보통 포틀랜트시멘트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작업성을 기준으로 광물성 혼화재료의 적정 혼입량으로 알려진 실리카퓸 10%, 플라이애시 20%, 고로슬래그 미분말 40%, 메타카올린 10%를 각각 혼합하여 무혼입 기준변수를 포함한 광물성 혼화재료에 대한 5가지 변수를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본배합(OPC)에 팽창재를 혼입할 경우 초기슬럼프와 공기량 등 경화 전 기초물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숏크리트의 뿜어 붙임성과 펌핑성 측면에서 팽창재의 혼입 영향은 미미하였다. 그리고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제외한 기본배합(OPC)과 실리카퓸, 플라이애시, 메타카올린 혼합 숏크리트에 팽창재를 혼입하면 혼입량에 상관없이 모든 변수에서 한국도로공사 설계기준 압축강도 21㎫(재령 28일)을 모두 만족하여 강도발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팽창재가 혼입되지 않은 포졸란재료 혼합 숏크리트에서는 초기 10시간 이전에 모든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후에는 미세한 수축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팽창재의 사용으로 초기 팽창률을 높여서 수화반응으로 발생되는 수축을 억제하였고, 장기적으로는 건조수축을 감소시켜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포졸란재료를 혼합한 숏크리트에서는 팽창재를 11% 혼입했을 경우, 팽창 후 수축하지 않고 팽창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기거동을 고려하여 팽창재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7∼11% 가량 첨가하는 것이 초기에 발생되는 수화열로 인한 미세 균열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본배합(OPC)에 팽창재 혼입률을 변화시켜 실시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의 시험에서 팽창재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통과 전하량이 대체로 감소하여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팽창재 사용으로 숏크리트가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에트린자이트를 다량으로 발생시켜 내부조직이 치밀해져 투과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화상분석 시험에 따른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의 결과 Kansas DOT 시방서(간격계수 250㎛ 이하)와 Mindess가 제시한 기준(간격계수 200㎛ 이하, 공극의 비표면적 25mm2/mm3 이상)을 모든 변수에서 만족하여 팽창재의 혼입이 내구성 향상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면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초기강도 발현이 지연되는 특성으로 장기강도가 요구되는 콘크리트용으로는 많은 장점이 있으나, 고성능 숏크리트 재료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결과로 볼 때 국내는 물론 선진국에서도 이들 재료에 대한 연구 실적이 미미한 이유가 되고 있다. 또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경제적으로 고가인 실리카퓸 대신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메타카올린이 고성능 숏크리트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메타카올린에 대한 실용화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겠으며, 뿐만 아니라 향후 팽창재와 여러 가지의 포졸란재료는 고성능 숏크리트의 재료로 개발되어 경관시설물과 숏크리트 구조물 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팽창재의 혼입에 따른 장기거동을 평가하고 경관숏크리트의 현장적용성을 추가로 평가하는 연구가 계속될 필요가 있다.

      • 외국인 잠복결핵감염 관리정책 개선방안 :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비교법제도 연구

        허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세계화와 교통수단의 발달 가운데 결핵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외국인에 대한 대응 전략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또한 결핵 고위험국인 북한 이탈주민의 유입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입국자에 대한 결핵 관리가 중요하다. 출입국관리와 결핵 대응 정책의 협력 안에서 국가결핵퇴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극적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미국, 영국과 우리나라의 외국인 잠복결핵감염 관리현황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외국인 잠복결핵감염 관리 문제를 파악하여 검진 및 치료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한다. 연구방법: 비교법제도론적 질적연구를 시행하며, 비교연구 방법의 하나인 최대 유사 체계 설계이론에 기반하여 분석 범위 설정 및 미국, 영국과 우리나라의 외국인 잠복결핵감염 관리제도 비교를 제도 여부, 인력 운용 및 관리 체계의 범주로 나누어 국가별 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외국인 잠복결핵감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법과 정책적인 기반이 미비하고, 검진과 치료의 인력은 자격 기준에 따라 운용하나 외국인들이 잠복결핵감염 검진부터 치료의 정보에 대한 언어적 접근성 개선에 필요한 인력이 없다. 또한 모든 외국인에게 검진 의무가 없어서 외국인의 데이터 관리와 활용이 미미하다. 결론: 첫째, 비용 효과성에 확보와 위험성 결정 요인에 파악에 중점을 둔 시범사업 연구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중에서 잠복결핵감염 관리가 필수적 집단을 중심으로 검진과 치료 의무 근거를 확보한 후 관련 법률과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의료통역 또는 번역자료 생산을 통하여 언어적 이해에 따른 외국인의 실제적 접근성을 이끌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외국인 잠복결핵감염 관리에 대한 데이터 정보관리를 활동성 결핵 관리와 동등한 수준으로 올리고자 통계 관리 분석에 시스템을 갖추고, 그 결과에 대하여 외국인들이 경각심과 공감대를 가지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과 홍보 관리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