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대학캠퍼스 주변지역 환경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82000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 2013. 2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39.7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The stud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around university through space structure analysis

      • 형태사항

        8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석권
        참고문헌 : p.79-80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ea around campus is a significant factor of image of the city because most of people can experience campus culture at the area. Also universities conduct developments of cultura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knowledge, information, art, culture...

      The area around campus is a significant factor of image of the city because most of people can experience campus culture at the area. Also universities conduct developments of cultura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knowledge, information, art, culture economic industry, etc. Around the campus is a site which can provide visible feelings of role of university. So, the site has a power of studies which belongs to the university, therefore the site is an important landscape by providing functions of facilities which are not in university like rest and remove tension of study. However most of area was developed commercial, residential area in ignoring the connection with campus.
      Until now, for propos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considering connection with around the campus, I chose 4 sectors to analyze space structure on the basis of space syntax and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 Then, this study shows the way of improvement around each sector considering cultural landscape and the connection development. Moreover, proposed the way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each sector’s feature, administration and system, community involvement awarenes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ways of each sector are following:
      Propose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connection enforcement. Especially, improvement of pedestrian protection, wall removal project, development of undeveloped area of 1sector considering campus.
      Proposed making cultural landscape and enforcement of connection,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finding new identity by making buffer facilities between commerc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Propos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ims to improvement the image of the city through making cultural landscape. To be concrete, this study suggests 1) establishing a guideline of the landscape accord with facilities, 2) improvementing environment through student involvement, 3) building a square in utilizing property of university 4) maintaining streets in modifying outdoor advertisement.
      Nevertheless 4sector has been improved because of the east gate the connection is ineffective because that was developed as commercial area for the inhabitants. The east gate have an advantage of physical distance however, it has ineffective connection in space structure. Accordingly 4sector needs to improve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making regional identity for the inhabitants. Also, it can be future area of the campus by developing facilities of the university in conclus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organization of a group who can maintain good condition of street from outdoor advertisement and illegal parking.
      This study proposed several ways of improvements of each sector with those of features in investigating space structure and present condition analysis to find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and around the campus. After activation of the campus around area, it could lose its identity such as scholar role and education because of commercial influence.
      Improvements for appropriate building of cultural landscape and enforcing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and around the university, supplement that area for the students, local resident, even visitors. Moreover, it can be a better cultural value by meeting city’s pursuit of value. The basis of this study, various studies should be researched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of maintenance as well as the unique programs for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 캠퍼스 주변지역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있어서 대학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며 나아가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대학은 지역사회의 문화경관, ...

      대학 캠퍼스 주변지역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있어서 대학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며 나아가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대학은 지역사회의 문화경관, 도시이미지, 지식, 정보, 예술 문화 경제산업 등 여러분야의 발전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대학주변지역은 대학의 역할을 가시적으로 느낄 수 현장이며, 나아가서 그 대학이 지닌 학구적인 힘인 동시에 그 지역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엿볼 수 있는 지역의 문화경관이라 할 수 있으며 대학내의 시설로 충족시킬 수 없는 기능을 보완하고 상호 교류와 연계를 통하여 대학주변지역과 동질성을 가지게 함으로 활동의 결속을 이루는 기능과 더불어 대학생활에서 오는 긴장을 해소하고 새로운 에너지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대학주변지역은 상업화로 인하여 캠퍼스와 연계를 고려하지 않고 상품화된 자본 공간속에서 대부분 소비지향적 유흥가와 원룸촌으로 발전하였다.
      지금까지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고려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대상지 4구역을 선정하여 현황조사와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각 구역별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캠퍼스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개선 방향과 관리 행정 및 제도, 대학생과 주민참여 의식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역별 환경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1구역은 정문과 매우 인접해있으며 공간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하지만 자취촌의 이미지와 강원대학교 캠퍼스로서의 이미지의 부재 그리고 연결부의 단순한 통과 동선만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편중된 용도시설의 분포와 캠퍼스와 연결된 출입구에 밀집한 타 용도시설이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도시설등의 개선을 통한 문화경관 개선보다는 캠퍼스와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개선이 적절한 구역으로 분석하고 연계성 강화를 통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보행자 환경개선, 담장허물기사업, 1구역의 미개발 지역의 개발을 통한 1구역과 캠퍼스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2) 2구역은 주변 청소년 문화관련 시설과 적절치 못한 대응과 캠퍼스와 주변지역간의 물리적, 비 물리적 교류가 없었다. 캠퍼스와의 연결부가 단순한 통과동선만으로 존재하며 캠퍼스의 높은 담과 가파른 경사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캠퍼스와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공간의 중요도가 높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연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주거와 타 용도시설이 1구역보다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2구역은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강화,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구역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강화, 새로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상가 밀집블럭과 주거 밀집블럭사이의 완충역할의 용도시설 구축을 제안함으로써 문화경관 형성하는 개선방향과 보행자 환경개선, 보행자 전용출입구 커뮤니티 공간제안, 담장허물기 사업등을 통한 연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소년 교육/문화관련 시설과 캠퍼스와의 교류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교육의 메카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만드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3) 3구역은 유흥/오락시설, 음식판매시설이 밀집한 강원대학교의 대학로 역할을 하는 구역이지만 현재 대학로의 이미지는 없고 소비위주의 상업시설과 과잉경쟁으로 인한 경관훼손이 심각한 지역이다. 또한 공간의 중요도가 높은 공간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대학로와 캠퍼스를 연결하는 구역이지만 서로 판이하게 다른 이미지로 인하여 연계에 문제가 있는 구역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3구역은 문화경관 형성을 통한 이미지개선을 목표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용도시설과 부합하는 경관가이드라인 제정, 대학생의 참여를 통한 환경개선방향 제안, 강원대학교 후문 삼거리에 교내부지를 활용한 land mark적인 광장 제안, 옥외광고물 정비사업을 통한 가로경관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4) 4구역은 주상복합 형태의 건축물이 다수분포하며 국부적으로 공간의 인지도와 이용밀도가 높으나 2012년 동문의 개통으로 인하여 캠퍼스와의 연결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며 대학로와는 달리 주변지역 주민을 위한 상업시설이 다수 분포하였다. 거리상으로는 캠퍼스와 가깝지만 공간구조상 연계성이 취약한 것으로 종합분석되었다. 따라서 4구역은 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의 상관성과 연결성이 떨어지는 구역이기 때문에 캠퍼스의 주변지역이 아닌 지역주민을 위한 지역정체성을 위한 환경개선방향이 필요하며 추후 캠퍼스 동측의 학교시설 확충과 캠퍼스 외부 순환도로 완성시 캠퍼스 주변지역으로 환원이 가능한 지역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관리행정 및 규정 개선과 대학생과 주민의 참여의식 개선을 통하여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이룰 수 있는 개선방향은 불법주차 단속과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내 주차장과 오픈스페이스 개방, 보도점용과 옥외광고물에 대한 인식개선 환경개선을 위한 대학생과 시민의 참여운동, 이를 유지 관리하기위한 공동체 조직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환경 개선방향을 모색하기위하여 강원대학교캠퍼스와 주변지역의 현황분석과 공간구조분석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구역별 특성을 분석하고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캠퍼스 주변지역은 어느정도 활성화가 되고 완성이 되면 교육이나 문화적인 역할보다는 획일적이고 상업화되는 경향을 띄게 되어 대학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 특유의 이미지를 잃어가곤한다. 대학주변지역의 적절한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은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이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고 보완함으로써 대학의 주변지역만이 가지는 문화경관을 만들어 낼 것이며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성이 강화됨으로 인하여 대학생, 지역주민, 이용객 모두에게 자부심과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나아가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와 만나 더 큰 문화적 가치를 창출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물리적환경과 관리행정, 의식개선 뿐만 아니라 강원대학교 캠퍼스만이 가지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개발등의 연구도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고찰 6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고찰 6
      • 2.1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이론적 고찰 6
      • 2.1.1 대학 캠퍼스의 개념 및 특성 6
      • 2.1.2 대학주변지역의 개념 및 특성 11
      • 2.1.3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사회와의 관계 12
      • 2.1.4 대학촌과 캠퍼스 타운의 이론적 고찰 13
      • 2.2 대학캠퍼스 주변지역 선행연구 고찰 16
      • 2.2.1 캠퍼스와 주변지역 관련 최근 연구 경향 16
      • 2.2.2 국내외 사례를 통한 적용가능 전략 18
      • 제 3 장 강원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의 공간구조 분석 24
      • 3.1 강원대학교와 주변지지역에 대한 고찰 24
      • 3.1.1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춘천시의 관계 24
      • 3.1.2 강원대학교 캠퍼스 26
      • 3.1.3 캠퍼스 주변부 26
      • 3.1.4 대상지 선정 이유 27
      • 3.2 대상지 현황 조사를 통한 공간구조 분석 29
      • 3.2.1 주거밀집지역 현황 분석(1구역,2구역) 30
      • 3.2.2 상업밀집지역 현황 분석(3구역) 41
      • 3.2.3 주거,상가 혼재지역 현황 분석(4구역) 49
      • 3.3 공간구문론을 통한 캠퍼스와 대상지 공간구조 분석 55
      • 3.3.1 2012년 캠퍼스와 주변지역 공간구조 분석 55
      • 3.3.2 2012년 캠퍼스 주변지역 구역별 공간구조 분석 58
      • 3.4 현황조사 및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구조 종합분석 62
      • 3.4.1 현황조사를 통한 공간구조 종합분석 62
      • 3.4.2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구조 종합분석 63
      • 제 4 장 강원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의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 64
      • 4.1 대학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의 문화경관 형성을 위한 개선방향 65
      • 4.2 대학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의 연계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 68
      • 4.3 구역별 개선방향 72
      • 4.3.1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개선방향 73
      • 4.3.2 구역별 관리행정, 규정 및 의식 개선방향 75
      • 제 5 장 결 론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