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조아람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재 유·소아의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학습을 비판하고, 현재까지 연구된 영아․유아․아동 및 어린이의 학습법의 뇌과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어떠한 학습법이 연구․실행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연구방법: 국회 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연령별 뇌과학에 기반한 학습법과 관련하여 검색된,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학술지와 학위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1차로 ‘뇌’, 2차로 ‘학습’ ‘교육’, 3차로 ‘영아’ ‘유아’‘어린이’‘아동’으로 검색하였고 그 중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 및 학술지만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학위 논문 16편과 학술지 14편 총 30편의 논문이 분석 자료로 수집 되었다. 영아기에는 뇌의 뉴런의 발달과 수초화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가속화되는데, 사회․인지․정서 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유기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이나 정서활동을 통해 창의성 및 학습능력, 긍정적 자아감 등에 도움이 된다. 유아기에는 전두엽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전전두피질을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기의 뇌는 예체능활동으로 발달할 수 있으며 음악이나 신체활동, 뇌호흡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 다중지능 등에 도움이 된다. 아동 및 어린이는 두정엽과 측두엽의 발달 시기로, 각 뇌를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뇌호흡프로그램이 학습능력, 집중력 등에 도움이 된다. 결론: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별 뇌과학적 근거를 둔 더욱 다양한 학습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riticizes the prerequisite learning which do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of brain in ag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on the method of learning based on the brain-science and to know what studies were searched, conducted and what the effects were. Methods : First, the studies were found through Assembly library and RISS, with the search words 'learning' 'education', 'baby' 'infant' 'child', and were pick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in aging. Results : A total of 30 studies including 16 of dissertations and 14 of journals were collected. In baby, the development and myelination of brain neurons are accelerat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and influenced with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movement. Therefore, sensual experience and emotional activity are helpful to creativity, learning ability and positive ego. In infancy, frontal lobe develops actively, the education to develop prefrontal cortex is instructive. Also, the brain of infant can be developed by art and physical educations, music, body movement, brain respiration program will be helpful to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In child, parietal and temporal lobe develop actively, the programs to stimulate each brain including brain respiration are helpful to learning ability, concentration, etc. Conclusion : The studies on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brain-science have been conducting, and with it, more various studies on the base of brain science in aging will be developed. It would be effective to execute 'Korean Medicine Brain Science Education in aging', and it c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and circumstance of the institutions or students.

      • 대학생의 관계중독이 연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유혜린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학생의 관계중독이 연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의 관계중독과 연인관계만족도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29세 성인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관계중독 질문지-30(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 30: RAQ-30), 한국 대학생 거부민감성 척도(Korean version of Rejection Sensitivity Scale for College Student), 한국판 관계진솔성 척도(Korean Authenticity in Relationship Scale: K-AIRS), 연인관계만족도 척도(Korea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Revised)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및 SPSS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변인 각각의 매개효과와 병렬다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관계중독이 연인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계중독 성향이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연인관계 내에서 더 많은 불만족을 경험하고 호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관계중독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연인관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계중독적 성향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도 높아져 과도한 거부지각 및 반응으로 인해 연인관계 내 만족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관계중독이 관계진솔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연인관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계중독적 성향이 높을수록 연인관계 내에서 상대에게 진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연인관계 만족 수준이 감소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관계중독과 연인관계만족도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관계진솔성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병렬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계중독적 성향이 높을수록 상대의 거부반응에 민감하게 지각 및 반응하는 동시에 상대에게 자기(self), 생각, 감정 등을 진솔하게 드러내지 않으며, 이는 연인관계 만족 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연인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관계중독이 거부민감성과 관계진솔성을 매개로 하여 연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치료장면에서 관계중독과 연인관계 불만족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거부민감성과 관계진솔성을 다루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실제의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핵심되는 말 : 대학생, 관계중독, 거부민감성, 관계진솔성, 연인관계만족도

      • 미술치료를 통한 진로불안 취업준비 대학생의 자아인식과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윤혜정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진로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취업준비 대학생이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나가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아를 탐색하고 인식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이 취업준비 대학생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20대 중반의 여성으로 청소년기에 경험했어야 할 자아에 대한 탐색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였고, 확고한 자아에 대한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 반복되는 실패경험으로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와 2016년 12월 첫 만남을 가진 이후 연구 대상자에게 2017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주 2회, 평균 2시간의 미술치료를 총 1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취업준비 대학생이 미술치료를 통해 풀어나가는 삶의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련의 이야기들 가운데 의미 있는 일화를 선별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방법론(Connelly & Clandinin, 2000)을 통하여 서술하였다. 연구자는 대상자가 과거를 돌아보는 경험을 통해 잊고 있던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다시 마주하고 이 긍정적인 경험과 함께 돌아온 현재에서 자아에 대한 탐색과 인식을 위한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더불어 대상자는 12회기의 미술치료 회기를 경험하는 동안 주체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완성시키는 성공경험을 통해 삶의 이야기 속에 표현되는 자아의 긍정적인 변화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미술치료가 자아를 탐색하고 인식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진로의 불안감을 경험하고 있는 취업준비 대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핵심되는 말 : 미술치료, 진로불안, 취업준비 대학생, 내러티브 탐구

      • 지역약국 내 칸막이로 분리된 상담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전성률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복약지도는 약사와 환자 간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이며, 질병과 건강 문제와 관련되는 치료약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기밀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약국 환경은 거의 대부분 일반카운터에서 약사와 환자간 복약지도/복약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상호 대화에 집중하기 어렵고 기밀성도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약국 내 독립적 상담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되는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약국에서 칸막이로 구분된 독립적 공간에서 복약지도를 하는 것이 환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단면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칸막이로 분리된 상담공간에서 약사(연구자)의 복약지도를 받은 후 조사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작성완료된 설문지는 회수함에 두고 나가도록 하였다. 본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16개로, Part 1. 약국 이용 경험, Part 2. 약사서비스 만족도 관련 요인별 동의 수준, Part 3. 전반적인 만족도 및 향후 의향, Part 4. 응답자의 기본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가 직접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충청북도 소재 1개 지역약국에 처방전 조제를 위해 방문한 성인 환자 중 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환자를 조사 대상자로 모집하였고, 2021년 9월 6일부터 2021년 10월 6일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자가 설문지에 자가기입한 응답을 Google 설문지에 별도로 입력 하면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에 자동 저장되었다. 커뮤니케이션 요인별 만족도 향상 정도에서 응답자 특성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 방법으로 유의수준 0.05를 적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IBM SPSS 프로그램(version 21)을 사용했다. 조사 참여자는 총 133명이었고 이 중 남성이 57명(42.9%), 여성이 76명(57.1%), 연령대는 20대가 16명(12.0%), 30대가 30명(22.6%), 40대가 39명(29.3%), 50대가 27명(20.3%), 60대가 16명(12.0%), 70대 이상이 5명(3.8%)이었다. 최종학력은 무학 0명(0%), 초졸 2명(1.5%), 중졸 3명(2.3%), 고졸 36명(27.1%), 대졸 86명(64.7%), 대학원 졸 6명(4.5%)이었으며, 현재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개수에 대한 응답으로는 없음이 67명(50.4%), 1개 42명(31.6%), 2개 21명(15.8%), 3개 3명(2.3%), 4개와 5개 이상은 모두 0명(0%)이었다. 응답자의 약국 이용 행태로 지난 1년 동안 1달에 몇 번이나 약국(어느 약국이든)을 방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마스크만 사러 간 경우는 제외) 0번이 11명(8.3%), 1∼2번이 72명(54.1%), 3∼4번이 23명(17.3%), 5∼6번이 9명(6.8%), 7번 이상이 18명(13.5%)이었다. 연구수행 약국에서 처방약을 조제하는 것이 처음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처음이라는 응답자가 65명(48.9%), 처음이 아니라는 응답자가 68명(51.1%)이었다. 다른 약국에서도 별도로 구획이 분리된 공간에서 복약지도/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런 적 없다는 응답이 106명(79.7%), 1∼2번 있다는 응답이 23명(17.3%), 3∼4번이 3명(3.0%)이었다. 열린카운터와 비교하여 독립적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요인별 만족도를 보면, ‘복약지도하는 내용의 전달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0명(0%),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29명(21.80%), ‘훨씬 더 좋다’가 96명(72.18%)이었다. ‘이해가 안 되거나 궁금한 점을 질문하기 좋은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30명(22.56%), 훨씬 더 좋다가 94명(70.68.%)이었다. ‘상담할 수 있는 분위기의 편안함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0명(0%), ‘조금 덜 좋다’가 2명(1.50%), ‘차이가 없다’가 4명(3.01%), ‘조금 더 좋다’가 33명(24.81%), ‘훨씬 더 좋다’가 94명(70.68%)이었다. ‘약사와 대화하는 것에 대한 집중 정도’의 경우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4명(3.01%), ‘조금 더 좋다’가 22명(16.54%), ‘훨씬 더 좋다’가 105명(78.95%)이었다. ‘비밀스러운 내용을 얘기하기 좋은 정도’측면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2명(1.50%), ‘조금 덜 좋다’가 0명(0%), ‘차이가 없다’가 10명(7.52%), ‘조금 더 좋다’가 37명(27.82%), ‘훨씬 더 좋다’가 84명(63.16%)이었다. ‘약사와의 대화 내용이 타인에게 들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있어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17명(12.78%), ‘조금 더 좋다’가 46명(34.59%), ‘훨씬 더 좋다’가 68명(51.13%)이었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는 “열린카운터와 비교시 구획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상담이 더 만족스럽습니까?”에 대한 질문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3명(2.26%),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32명(24.06%), ’훨씬 더 좋다‘가 90명(67.67%)이었다 독립된 공간에 대한 향후 희망 차이에서는 ‘앞으로도 가능하다면 열린카운터보다는 구휙분리된 공간에서 복약지도/상담하기를 희망합니까?‘에 있어서는 훨씬 덜 좋다가 2명(1.50%), 조금 덜 좋다가 2명(1.50%), 차이가 없다가 14명(10.53%), 조금 더 좋다가 36명(27.07%), 훨씬 더 좋다가 79명(59.40%)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약국 환경에서 실제로 구획 분리된 공간을 만들어서 복약지도를 실시한 후에 환자의 만족도를 직접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열린 공간 대비 독립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만족도 향상은 평균 4.6점으로서 매우 높았다. 약사와의 대화에의 집중 정도 측면에서의 만족도가 4.7점으로 가장 높았고, 복약지도 내용의 전달 정도가 4.6점, 상담할 수 있는 분위기의 편안함 정도가 4.6점이었고, 향후 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상담을 받고자 하는 의향 또한 4.4점 이었다. 전반적으로 여성, 40대 미만, 월평균 약국 3회 이상 방문, 해당약국 방문이 처음인 경우 만족도와 향후 의향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약국 이용자들이 열린 카운터와 비교하여 구획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약국 내 복약상담 공간요소에 대한 관심을 갖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Medication guidance is a process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tient's condition for the effective and safe use of treatments related to diseases and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often necessary to share confidential information of patients. However, most of the pharmacy environment in Korea has difficulty concentrating on conversations and is not guaranteed confidentiality due to medication guidance/drug counseling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at general counters.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 independent counseling space for pharmacies where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carried out,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vidence on whether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oviding independent spaces at local pharmacies and providing medication guidance affects patients'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ross-sectional survey, and subjects who received medication guidance from pharmacists (researchers) in separate counseling spaces were asked to fill out a written consent form without the intervention of researchers and leave the completed questionnaire in the recovery box. The questionnaire wa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September 6, 2021 to October 6, 2021 in adult patients who visited one local pharmacy in Chungcheongbuk-do, which was operated by researchers (graduates). There were 16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rt 1. Experience in pharmacy use, Part 2. Level of consent for each factor related to pharmacist service satisfaction, Part 3. Overall satisfaction and future hopes, and Part 4. Bas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is study was a survey asked to humans so conducted after approval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CHA University. When the survey subjects filled their own responses, a researcher typed answers on questionnaire form of the Google questionnaire, they we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Microsoft Excel program.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respondent characteristic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mprovement by communication fact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applying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using the t-test method, and the IBM SPSS program (version 21) was used. There were a total of 133 respondents, 57 people in males (42.9%), 76 people in females (57.1%). 16 people in 20s (12.0%), 30 people in 30s (22.6%), 39 people in 40s (29.3%), 27 people in 50s (20.3%), 16 people in 60s (12.0%), and 5 people in 70s or older(3.8%).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no one in no-education (0%), 2 people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s (1.5%), 3 people in middle school graduates (2.3%), 36 people in high school graduates (27.1%), 86 people in college graduates (64.7%), 6 people in graduate graduates (4.5%). People responded on how many current chronic diseases were 67 people in zero(50.4%), 42 people in one (31.6%), 21 people in two (15.8%), and 3 people in three (2.3%), no one in more than 4. In the respondents' pharmacy usage behavior, a researcher asked ‘How many times visited pharmacy (excluding those who only went to buy masks) in the past year‘, 11 people (8.3%) people in 0 times, 72 people in 1∼2 times (54.1%), 23 people in 3∼4 times (17.3%), 9 people in 5∼6 times (6.8%), 18 people in more than 7 times (13.5%). A researcher asked ‘Was it the first time to get drugs by prescription at this pharmacy‘, 65 people (48.9%) answered that it was the first time and 68 (51.1%) said it was not the first time. When asked ‘Have you ever received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separated space before at another pharmacy likely today?‘, 106 people (79.7%) responded ‘No‘, 23 people (17.3%) answered 1 or 2 times, 3 people (3.0%) answered 3 or 4 times, and 0 people (0%) answered that they had more than 5 times. On ‘Compared to open counters, are you satisfied for medication guiduance in separated space?’ questionnare, 1 person (0.75%) for "much less good," none for "a little less good," 7 people for "no difference", 28 people for "a little better" (21.80%), and 96 people for "much better." On "the degree to which it is good to ask questions or not understood," 1 person (0.75%) said "much less good,"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good," 7 people (5.26%) said it was “no difference”, 30 people (22.56%) said “a little better”, and 94 people (70.68.%) said “much better”. On "degree of comfort in the atmosphere", there were no one said “much less good” (0%), 2 people (1.50%) said “a little less good”, 4 people said (3.01%) “no difference”, 33 people said (24.81%) “a little better”, 94 people (70.68%) said “much better”. On "degree of concentration on talking to pharmacists," there were 1 person (0.75%), 1 person (0.75%) said “much less good”,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good”, 4 people (3.01%) said “no difference”, 22 people (16.54%) said “a little better”, and 105 people (78.95%) said “a much better”. On "The degree to which it is good to talk about secret content" 2 people (1.50%) said “a much less good”, none (0%) said ‘a little less better’, 10 people (7.52%) said “no difference”, 37 people (27.82%) said “a little better”, and 84 people (63.16%) said “a much better”. In "The degree to which other people think they cannot hear the conversation with the pharmacist" there were 1 person (0.75%) said “a much less better”,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better”, 17 people (12.78%) said “no difference”, 46 people (34.59%) said ‘a little better', and 68 people (51.13%) said ’a much better’ The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on “More satisfactory for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a separated space compared to the open counter? ", there were 1 person (0.75%) in ‘much less good’, 3 people (2.26%) in ‘slightly less good’, 7 people (2.26%) in ‘no difference’, 32 people (24.06%) in ‘slightly better’, and 90 people (67.67%) in ‘much better’ In the difference in future hopes for the respondents' on independent space "If possible in the future, do you hope to be provided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a separate space rather than an open counter?" there were 2 people (1.50%) said ‘much less good’, 2 people (1.50%) said ‘slightly less good’, 14 people (10.53%) said ‘no diffenence’, 36 people (27.07%) said ‘slightly better’, and 79 people (59.40%). said ‘much bet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ctually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satisfaction after medication guidance in a separated space.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guidance in independent spaces compared to open spaces averaged 4.6 points, which was a high degree of improvemen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talking to pharmacists was the highest with 4.7 point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medication guidance was 4.6 points, the degree of comfort in the atmosphere for counseling was 4.6 points, and the future hopes was 4.4 points. Overall, women in their 40s and under, an average of three or more visits to pharmacies per month, and when visiting the pharmacy for the first time, satisfaction and future hope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cation guidance in the separated spa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open counter.

      • 저항성 슬레드 토잉이 국가대표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들의 스프린트 스타트에 미치는 영향

        김재명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서론: 빠르게 최대 속도에 도달하는 가속 능력은 스피드를 요구하는 다양한 스포츠 선수들에게 퍼포먼스를 결정짓고 스포츠 상황의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가속 눙력 향상을 위해 실제 스프린트 상황을 고려한 트레이닝이 필요하며 저항성 슬레드 토잉은 가속 구간의 이러한 특성에 기반한다. 하지만, 가속 구간의 기록 단축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와 달리 슬레드 토잉이 실제 가속 구간에서 필요한 운동역학적 요소 그리고 근육들을 자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대표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들을 대상으로 저항성 슬레드 토잉(체중 20, 30%)이 가속 구간 스프린트 스타트 운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슬레드 토잉에 대한 운동역학적 근거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교차연구(Cross-over design)이며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 대학원 운동역학 연구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3명의 국가대표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들(나이: 24.30±2.59, 키: 181.03±6.02, 체중: 97.18±8.71, 선수경력: 7.76±2.48)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준 설정을 위해 무저항 스프린트를 먼저 3회 수행하였으며 이후 비교를 위해 무작위로 저항 부하를 선정 후 저항성 슬레드 토잉(체중 20, 30%)을 각각 3회씩 진행하였다. 지면 반력기와 3D 모션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발이 지면에 접촉한 순간부터 떨어지는 지점까지의 운동역학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들은 R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95%의 신뢰구간을 산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저항성 슬레드 토잉은 무저항 스프린트 대비 체중 20, 30% 부하의 발 지면 접촉 구간에서 각각 26, 37% 낮은 후방 지면 반력 힘을 나타냈으며 중간 지면 접촉 구간에서 13, 20% 높은 수평 지면 반력 힘을 생산했다. 접촉 구간에 걸쳐 57, 60% 높은 고관절 신전 모멘트 발 지면 이탈 구간에서 36, 65% 높은 무릎 신전 모멘트를 나타냈다. 발 지면 이탈 구간에서 각각 7, 9° 높은 고관절 신전 각도를 나타냈다. 결론: 저항성 슬레드 토잉은 무저항 스프린트에 비해 스프린트 스타트의 다양한 운동역학적 차이를 보였다. 스프린트 수행 시 가해지는 저항은 굴곡된 신체와 몸 중심점을 낮추고 고관절 신전 힘과 무릎 신전 힘을 증가시켰으며 지면 반력의 패턴에서 더 높은 수평 지면 반력 힘을 발생시켰다. 반면, 슬레드 토잉 수행 시 가해지는 저항은 관절 파워를 낮추는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저항의 크기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발목, 무릎, 고관절 각도가 다른 패턴을 보였으나 전체적인 스프린트 움직임 패턴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ntroduction: The ability to accelerate to a fast maximum spee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performance and determines the outcome of a sports situation for a variety of sports players who demand speed. Training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print situation to improve acceleration ability, and the sled towing i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on phase. However, unlike positive results, such as shorter records of acceleration intervals, studies are limited on whether the sled towing can stimulate the muscles and the kinematic factors needed in the actual acceleration pha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inematic basis for sled towing by observing the effect of resistant sled towing (BM: 20, 30%) on the sprint start kinematics of the acceleration for Korean national bobsleigh skeleton athletes. Methods: This study is Cross-over design and was conducted in the graduate athletic laboratory of Sports Medicine at the CHA Universi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13 Korean national bobsleigh skeleton athletes (age: 24.30 2 2.59, height: 181.03 ± 6.02, weight: 97.18 ± 8.71, and experience: 7.76 ± 2.48). In this study, resistance-free sprinters were performed first three times for reference setup, followed by resistance-sled towing (BM: 20, 30%) three times each after randomly selecting resistance loads for subsequent comparisons. The analysis of force plate and 3D motion collected kinematic data from the moment the feet we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the point where they fell. The data obtained yielded a 95% confidence interval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an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P<.05. Results: Resistant Slade Towing represented a posterior GRF 26 and 37% lower at the toe-on phase compare to non-resistant sprint, respectively, and produced a anterior GRF 13, 20% higher at the mid-stance phase. The sled towing showed a hip extension moment of 57, 60% higher over the ground contact phase and a knee extension moment 36 and 65% higher at the toe-off phase.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hip was 7 and 9°higher at the toe-off phase, respectively. Conclusion: resistant sled towing showed various kinematic differences in the sprint start compared to non-resistance sprinters. Resistance to perform sprints lowered trunk and body center points, increased hip and knee extension moments, and produced higher anterior GRF in the pattern of ground reaction forces.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applied to performing the sled towing appears to reduce joint power. Furthermore, the ankle, knee and hip angles in some phases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resistance, but they do not appear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overall pattern of sprint motion. Keywords: Resistant Sled Towing, Sprint, Ground Reaction Force, Moment

      •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여선경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피부뜯기 장애는 자신의 피부를 반복적으로 잡아 뜯고, 이를 멈추고 싶어도 멈출 수 없는 장애로 2013년 새로 개정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에서 강박 관련 장애로 새롭게 진단 체계에 들어 온 장애이다. 우울 등의 정서 장애와 공병률이 높고 치료도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소 이질적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의 피부뜯기 행동을 차원으로 접근하여 측정하는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를 번안하여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K-MIDAS)를 개발하고 심리측정 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저자 Walther, Flessner, Conelea와 Woods 중대표 저자인 Woods의 동의를 받은 후 연구자와 영어와 우리말이 능통한 심리학 석사 및 박사 과정생 5명이 1차 번역하였다. 이 후, 영어가 능통한 임상심리 교수 1인의 검토 과정과 이중 언어자의 역번역 후 감수를 거쳐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최종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19년 10월~11월 한 달 동안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표본 A의 212명과, 표본 B의 28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 증상 목록, 한국판 역학 연구 우울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등의 척도를 가지고 온라인 설문 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는 ‘정서 조절적 피부뜯기’, ‘충동 반응적 피부뜯기’, ‘자동적 피부뜯기’의 3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적절한 수준의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수한 수준의 내적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양호한 수준의 수렴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뜯기 행동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정서 조절적’, ‘충동 반응적’, ‘자동적’ 차원에서의 피부뜯기 행동은 각각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정서 조절 차원에서의 피부뜯기 행동은 강박 행동, 상태 불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동 반응차원에서의 피부뜯기 행동은 강박 행동, 우울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자동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피부뜯기 행동은 정서를 제외한 강박 행동만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가 한국에서도 심리 측정 도구로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skin picking disorder was formally codified as an obsessive-compulsive-related disorder in 2013, there has been a little research about skin picking disorder or skin picking scal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investigate its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K-MIDAS. K-MIDAS is a self-reported scale which assess the style of skin picking style with 12-items. With the sample of 492 adults, Exploratory Factor Anaysis(EFA),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explored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K-MIDAS has a three-factor structure-‘mood regulated’, ‘impulsive reacted’, and ‘automatic’- which was not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version, but consistent with Italian version. Also the data showed that K-MIDAS has a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All three factors are related with compulsive behaviors. The ‘mood regulated’ pic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nxiety and the ‘impulsive reacted’ pic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depression, while the ‘automatic’ picking was not related any ofn the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K-MBPQ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scale, which can be widely used in Korea as a useful tool for conducting clinical assessment and providing aid in treatment. Keywords : OCRDs, skin picking, 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 사전인식에 따른 태도 및 만족도 비교

        김영관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scienc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has been increased, while occurrence of chronical diseases also. For that, people nowadays, to keep themselves in healthy condition, started finding alternative treatments, and that is the factor of increasing usage of CAM. However, recognition and usage for CAM in Republic of Korea is relatively low, at the point time, when CAM is growing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is necessary to advertise and supply scientifically proved CAM and get desirable effects. Experiments related to CAM until now were intended for nurses, doctor & patients, which are mostly ‘Adults’, not youth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were carried out for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the future leaders, and the reason why this is for them is because, the constant education of CAM in advance, in terms of health prevention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national health improvement in the long run.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help educational development, coverage and management of CAM from the data composed of compariso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in advance, satisfaction level and attitude in regard to it’s presence, attitude according to presence of education of CAM and etc.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900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the study was on 310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ve experience of using CAM. Period of the survey was from 6th to 17th of October 2014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ssurance of anonymity, and the rights as a participant of the study were noticed on the paper, so that participation could be done voluntarily.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the demographic factor of r​espondents, for sex, and the rate of female was higher by 56.8%, while male was 43.2%. The average age was 22(22.47) and among them, freshmen took 34.4%, sophomore 28.6%, 3rd grade 16.9% and 4th grade rated 20.1%. For religion, people who don’t have religion rated the top by 44.7%, Christian 25.7%, Catholic 14.8% Buddhist 12.8%, and etc 2.0%. For the region of origin, metropolis was highest by 68.4%,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27.1%,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 followed 4.5%. Averag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was 6,676,923 Won, and allowance per month was 325.030 Won. Second, in the survey, attitude in regard to the awareness of CAM in advance, to the question asking the definition of CAM, 40% of participants respond it is a ‘treatment beside hospital care’ and there was no differences from the awareness of CAM in prior. For the asking ‘What CAM does’, 50% of all, 46.1% of people who respond that they are aware of CAM, and 57.7% of people who respond they are unaware of CAM respond ‘it is adjuvant therapy’. People who did not have educational experience for CAM were 61.6% of all, who knew about CAM was 54.9% and who don’t was 75%.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of CAM recognition in adva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In other words, students who knows about CAM is likely to have more educational experience of CAM then who don’t. Which means, theory that educational experience of CAM can affect prior awareness of CAM can be developed.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of CAM class, 59.4% of total, 63.6% of people who knows about CAM, and 51% who don’t answered that they shall take CAM class. To the CAM’s weakness 35.2% of all, 38.3% who knows about CAM respond ‘scarcity of information’ and who don’t, chose ‘lack of scientific evidence’ for the most by 34.6%. This means, depending on awareness of CAM, the perception of people to CAM’s problem may also differ. Third, from the analysis of CAM satisfaction in regard to it’s prior awareness, following result had been discovered. In‘Overall Satisfaction’, chi-squared value showed 19.442, and P value .000, which mean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prior awareness of it. Furthermore, in ‘Symptom Improvement’, chi-squared value and P value was each 13.824 and .008,‘Reliability on the treatment’chi-squared valued 23.047, P valued .000, ‘Satisfaction for the lead time’, chi-squared valued 17.895, P valued .001. On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rate, chi-squared valued 19.545, P valued .001, and finally for accessibility to CAM chi-squared valued 17.261, P valued .002. As the scores show, for every item of satisfaction, the presence of awareness in advance for CA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nclusion, depending on presence of educational experience,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students who knew about CAM and ones’ who did not. Therefore, for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nd coverage of CAM through education, systemized curriculum and appropriated advertisement for CAM is essential.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은 연장되었으나 만성질환은 증가하였고 현대인들은 건강상태를 지키고 유지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찾게 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과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국내외 보완대체요법이 증가하는 시점에 더욱 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 과학적 증거가 입증된 올바른 보완대체요법을 알리고 효과를 보게 할 필요성이 있다. 보완대체요법과 관련된 선행연구들 중에서는 주로 간호사, 의사, 환자 대상 혹은 성인 대상의 연구는 많았지만 대학생들의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를 이끌어가며 국가의 주역이 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이유는 미리 건강예방교육 차원에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지속적 교육을 받을 경우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사전인식 및 인식유무에 따른 태도 및 만족도 비교,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태도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결과를 기초로 향후 보완대체요법과 관련된 교육개발 및 보급,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응답한 대학생 620명의 자료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10월 6일부터 10월 17일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익명성의 보장, 연구 참여자로서의 권리를 설문안내문에 기재하여 자발적인 연구 참여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은 남성이 45.3%, 여성이 54.7%로 여성이 더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22세(22.28)였고, 학년은 1학년이 39%, 2학년이 25.9%, 3학년이 17.6%, 4학년이 17.5%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 무교가 46%로 가장 많았으며 기독교가 27.9%, 천주교가 13.5%, 불교가 10.9%, 기타가 1.6%의 순서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출신지역은 대도시가 64.4%로 가장 많았으며 중소도시 27.6%, 농어촌 지역 7.9%의 순서로 나타났고,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6,253,505원, 응답자의 월평균 용돈은 321,627원으로 결과가 나왔다. 둘째, CAM(보완대체요법)의 사전인식유무에 따른 태도에 대한 설문에서 CAM 의미(이해)에 대해 전체의 40.5%가 ‘병원치료 이외의 다른 치료법’이라고 응답하였고, CAM의 사전인식유무에 따른 응답의 차이는 없었다. CAM역할에 대해서는 전체의 48.5%, CAM을 알고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48.9%, 모르고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48.2%가 ‘치료의 보조요법’이라고 응답하였다. CAM 교육경험에 대해서는 경험이 없다라고 응답한 수가 전체의 77.3%, CAM을 아는 대학생은 64.1%, CAM을 모르는 대학생은 88.4%의 결과를 보이고 이 결과는 CAM의 사전인식의 유무와 교육경험과의 관련성이 있다 라고 볼 수 있다. 즉, CAM을 알고 있는 학생이 모르고 있는 학생보다 교육경험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CAM교육경험이 CAM 사전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CAM교육을 시행할 경우 참여할 의향이 있느냐는 설문에는 전체의 50.5%, CAM을 아는 대학생의 64.4%, 모르는 대학생의 38.7%가 ‘교육을 받겠다’라고 응답하였다. CAM문제점에 대해서는 전체 대상자의 33.7%와 CAM을 아는 대학생의 32.7%, CAM을 모르는 대학생의 34.5%가 ‘정보 부족 전문가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교육경험과 교육참여 의향에 대해서는 CAM 사전 인식 유무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CAM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두 그룹간의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보완대체요법의 만족도를 사전인식 유무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이용 후 전체적인 만족도에 대해서는 카이제곱값이 19.442, P값이 .000으로 사전인식 유무에 따라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통증개선 만족도는 카이제곱값이 13.824, P값이 .008, 치료의 신뢰감(자신감) 만족도는 카이제곱값이 23.047, P값이 .000, 치료시간 만족도는 카이제곱값이 12.965, P값이 .005, 위생상태 만족도는 카이제곱값이 17.895, P값이 .001의 결과를 나타냈다. 계속해서 CAM 치료와 관련하여 고객 서비스 만족도는 카이제곱값이 19.545, P값이 .001, 이용편의 항목에서는 카이제곱값이 17.261, P값이 .002로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사전인식 유무에 따라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CAM을 사전에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과 모르고 있는 대학생 간의 교육경험 및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CAM에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 및 보급을 위해 CAM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적절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미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ADDIE 모형에 따라 다문화 아동에 대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화간호역량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설계 및 개발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ASKED 문화간호역량 모형을 적용한 총 5회의 이론 강의와 2종류의 시뮬레이션 실습으로 짜여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단계에서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 조사는 2학년 이상 재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실행 및 평가단계의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3학년 재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0월 3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육의 적용 가능성 및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편의표집한 3학년 38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를 적용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교육 전 일반적 정보,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 문화적 역량을 조사하였으며, 교육의 효과성은 교육 종료 후 문화간호역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 문화간호역량 조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로 분석한다.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의 사전, 사후 다문화 아동 간호역량 비교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개발과 평가단계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 요구도 조사 결과 대상자의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는 최대 10점에서 평균 7.70점(±1.27)으로 나타났다.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문화적 의사소통 교육요구가 가장 높았고, 태도 및 기술,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 기본 지식, 이론과 연구에 대한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 후 프로그램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 결과, 교육 전 문화간호역량 평균 3.27(±0.56)보다 교육 후 문화간호역량 평균은 4.44점(±0.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12.31, p<.001). 또한, 문화적 인식(t=-3.73 р=.001), 문화적 지식(t=-10.59, р<.001), 문화적 민감성(t=-4.12, р<.001), 문화적 기술(t=-9.49, р<.001), 문화적 만남(t=-7.18, р<.001)의 5개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정성호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양육태도가 이들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 사이에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대학생들의 자살사고를 완화하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한 검정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344명의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들 중 불성실한 12개와 가족유형 중 한부모 가정인 10개의 응답을 제외한 322명의 자료를 SPSS 26.0 통계프로그램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정서인식명확서, 자살사고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을 포함하는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명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β=.350, p< .001), 정서인식명확성은 자살사고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β=-.253, p<.001),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β=-.091, p>.05). 둘째, 과잉기대, 과잉간섭, 비일관성을 포함하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β=-.577, p<.001), 정서인식 명확성은 자살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β=-.230, p<.001).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도 유의하여(β=.156, p<.05), 정서인식명확성의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관찰되었고,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정서인식명확성은 이들 두 변인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 사이에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고, 특히 부정적 양육태도를 경험한 대학생들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이면, 이들의 자살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자살예방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2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students assessed the Parent Behavior Inventory(PBI),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and the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statistic program.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used. Furthermore,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an in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In contra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lar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emotional clar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emotional clari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nd suicidal ide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uicidal ideation. In sum,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rate of suicidal accidents in college students in late adolescence c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their parenting behavior by influencing emotional clar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clarity can help students from suicidal accidents, and thus,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re necessary.

      •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경후 성장의 매개효과

        천희창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확인하고 역경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성격강점과 삶의 만족도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보고한 대학생 58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표강점으로 진실성, 감사, 신중성, 친절성, 시민의식이 상위 5개로서 관찰되었다. 코로나-19 상황 이전에 조사된 청년집단의 대표강점 상위 5개(사랑, 낙관성, 친절성, 감사, 진실성)와 비교해보았을 때, 순위가 상승한 성격강점으로는 신중성과 시민의식이 확인되었다. 낙관성이 가장 유의하게 우울을 설명하는 강점이었으며, 역경후 성장의 부분매개효과가 우울과 낙관성의 관계에서 검증되었다. 활력이 가장 유의하게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강점이었으며, 역경후 성장의 부분매개효과가 삶의 만족도와 활력의 관계에서 검증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낙관성과 활력이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역경후 성장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되는 말 : 코로나-19, 역경후 성장, 성격강점, 삶의 만족도, 우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racter strength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ffecte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und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trength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ccordingly, 584 college students reported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found that the top five strengths were truthfulness, audit, prudence, kindness, and civic consciousness. Compared to the top five representative strengths (love, optimism, kindness, appreciation, and truthfulness) of young people surveyed before the COVID-19 situation, caution and civic consciousness were confirmed. Optimism is the most significant explanation of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ptimism is proved to be effective in partly mediating post-adversity growth. Vitality is the most significant strength in explaining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vitality is proved to be the mediating effect of post-adversity growth. In the COVID-19 pandemic, optimism and vitality not only directly affect th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lives, but also contribute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post-adversity growth. Keywords:COVID-19, character strengths, satisfaction with life, depression, posttraumatic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