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웹 콘텐츠 검색 행동에서 나타난 성별과 기기별 차이 연구

        조아람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콘텐츠 소비는 검색이라는 능동적인 참여 행동을 파생시키고 있다. 특히, 웹상에서 생산, 소비 및 전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웹 콘텐츠의 경우 소비와 검색 행동에 관한 관계가 더욱 긴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콘텐츠인 웹 소설, 웹툰, OTT 콘텐츠 검색 행동을 성별과 기기별로 구분하여 차이와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또한, 웹 콘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추가 소비를 유도하는 검색결과페이지 구성과 검색엔진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의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툰, 웹 소설, OTT 각 분야에 대한 상위순위 3개의 플랫폼을 선별한 뒤, 2017년 12월 2일 기준으로 각 플랫폼 당 인기 웹 콘텐츠 40개씩을 선정하여 웹툰 120개, 웹 소설 120개, OTT 콘텐츠 120개 총 360개의 웹 콘텐츠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선정된 웹 콘텐츠별 검색 건수는 2017년 12월 3일 기준으로 국내 인터넷 검색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네이버의 월간검색 수를 바탕으로 성별/기기별 검색 건수를 도출하였다. 성별(남성, 여성)과 기기별(PC, 모바일) 상호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툰, 웹 소설을 검색할 때는 성별에 따른 검색 건수 차이는 없었으나, OTT 콘텐츠를 검색할 때는 성별 차이가 약하게 존재했다. 둘째, 웹툰, 웹 소설, OTT 콘텐츠를 검색할 때 남성과 여성 모두 동일하게 PC보다는 모바일을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웹툰을 검색할 때는 성별과 사용기기 사이에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웹 소설과 OTT 콘텐츠를 검색할 때는 성별과 사용기기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포함하여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 방향과 함께 논의되었다.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web content consumption is generating active participation in online searching behavior.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and searching behaviors is expected to be more intense in the era of web content that is produced, consumed and propagated simultaneously on the web. In this study, I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nteractions of web novel, webtoon, and OTT contents through gender and device. In addition, I propose the meaningful finding that can help the composition of search result page and search engine marketing strategy that induce additional consumption in the process of searching web contents. To do this, I selected three top-ranked platforms for webtoons, web novels, and OTTs, and selected 40 popular web content for each platform on December 2, 2017, with 120 webtoons, 120 web novels, 120 OTT content, so 360 Web content in total. As of December 3, 2017, the number of searches by selected web contents wa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searches by gender and device based on Naver 's monthly search number, which is the number one market share of Korean internet search market.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wo-way ANOVA are as follow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le, female) and device (PC, mobile). Fir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earches according to gender when searching Webtoons and web novels, bu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marginally when searching OTT contents. Secondly, when searching for Webtoons, web novels, and OTT contents, both males and females used mobile more than PCs. Finally, when searching for Webtoons,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devices, but when searching for web novels and OTT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devices in web searc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inclu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with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아몬드 파우더로 지방을 대체한 식빵의 품질특성

        조아람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아몬드 파우더로 유지를 대체한 식빵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분석한 결과 아몬드 파우더가 그 함유량에 따라서 반죽의 물성 및 완성된 제품에 영향을 끼치며 식빵의 풍미와, 맛, 식감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몬드 파우더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향미 및 고유한 단맛이 증가하였으나 경도 또한 단단해 지므로 전반적인 맛과 기호도를 고려하였을 때 유지의 총량 대비 아몬드 파우더 75%를 대체가 적합하였다. Fat increases the volume of the bread during baking which also improves the shelf life. These fat includes butter, margarine, and shortening which contains significant amount of trans fat which is known for its increased health risk such as high cholesterol and other pulmonary diseases. Almond, among nuts, is rich in non-saturated fatty acid and is a great source of antioxidant effects. In this study, white pan bread was prepared by replacing fat with almond powder and its product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Mixograph was used to analyze the almond powder added dough. And the pH level, specific volume, fermentation rate, color value, sensory evaluation, conservativeness, Crumbscan, texture analyzer,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studied. 5 groups of pan bread was prepared that includes the control: ; Control; A25(almond powder 25% + margarine 75%); A50(almond powder 50% + margarine 50%); A75(almond powder 75% + margarine 25%): A100(almond powder 100 %)

      •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조아람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재 유·소아의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학습을 비판하고, 현재까지 연구된 영아․유아․아동 및 어린이의 학습법의 뇌과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어떠한 학습법이 연구․실행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연구방법: 국회 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연령별 뇌과학에 기반한 학습법과 관련하여 검색된,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학술지와 학위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1차로 ‘뇌’, 2차로 ‘학습’ ‘교육’, 3차로 ‘영아’ ‘유아’‘어린이’‘아동’으로 검색하였고 그 중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 및 학술지만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학위 논문 16편과 학술지 14편 총 30편의 논문이 분석 자료로 수집 되었다. 영아기에는 뇌의 뉴런의 발달과 수초화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가속화되는데, 사회․인지․정서 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유기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이나 정서활동을 통해 창의성 및 학습능력, 긍정적 자아감 등에 도움이 된다. 유아기에는 전두엽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전전두피질을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기의 뇌는 예체능활동으로 발달할 수 있으며 음악이나 신체활동, 뇌호흡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 다중지능 등에 도움이 된다. 아동 및 어린이는 두정엽과 측두엽의 발달 시기로, 각 뇌를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뇌호흡프로그램이 학습능력, 집중력 등에 도움이 된다. 결론: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별 뇌과학적 근거를 둔 더욱 다양한 학습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riticizes the prerequisite learning which do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of brain in ag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on the method of learning based on the brain-science and to know what studies were searched, conducted and what the effects were. Methods : First, the studies were found through Assembly library and RISS, with the search words 'learning' 'education', 'baby' 'infant' 'child', and were pick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in aging. Results : A total of 30 studies including 16 of dissertations and 14 of journals were collected. In baby, the development and myelination of brain neurons are accelerat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and influenced with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movement. Therefore, sensual experience and emotional activity are helpful to creativity, learning ability and positive ego. In infancy, frontal lobe develops actively, the education to develop prefrontal cortex is instructive. Also, the brain of infant can be developed by art and physical educations, music, body movement, brain respiration program will be helpful to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In child, parietal and temporal lobe develop actively, the programs to stimulate each brain including brain respiration are helpful to learning ability, concentration, etc. Conclusion : The studies on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brain-science have been conducting, and with it, more various studies on the base of brain science in aging will be developed. It would be effective to execute 'Korean Medicine Brain Science Education in aging', and it c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and circumstance of the institutions or students.

      •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과 '음악과 산업' 단원 개발

        조아람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tended to use the backward design methodology to develop a middle school music unit on the topic of music and industry. Schools have thus far conducted music education through activity-oriented classes such as singing and instrumental performances centered on repertoires. Thus,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y do humans need music?” or “What does music mean to humans?” have never been prioritized in music education. The current practices of school music education mak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intrinsic value of music, appreciate its varied purposes, be aware of the discrete reasons why it is enjoyed and produced, or discover and apply its benefits to their liv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reate a way to inculcate an “enduring understanding” of music to middle school learners by apply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to a class design. The backward design model aims to develop the learners’ ability to apply and use knowledge in new situations by understanding a subject’s core concept or basic principles. Wiggins and McTighe, who proposed the backward design model, named it “enduring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middle school music unit named “Music and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of the backward design model. A literature study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was conducted before the unit was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model and consider the need to apply it to the domain of music education. Further, content related to music and industry i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was scrutinized, and the concepts and scales of the music industry were studied to grasp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hosen topic as a learning element. Finally, a teaching plan for the unit was developed and presented.

      • 치매 환자 가족 돌봄 제공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아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s who are taking care of demented famliy membe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5th. 2020 to October 16th. 2020 from 135 participants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ementia knowledge, fear of dementia,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participant’s dementia knowledge score was 10.53(±1.69) and fear of dementia level was 44.77(±28.35),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was 120.13(±28.46). 1. Dementia knowledg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t=2.678, p=.008), educational background(F=2.808, p=.042). Fear of dement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F=6.486, p=.002), marital status(F=2.700, p=.048),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F=5.330, p=.002), average monthly income(F=3.945, p=.010).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t=2.405, p=.018), age(F=4.933, p=.009), educational background(F=3.995, p=.009),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F=6.301, p=.001), average monthly income(F=3.162, p=.027), coresidence with patient(t=-2.127, p=.035). 1. Dementia knowledge and fear of dementia was negative correlated(r=-0.374, p<.001), also fear of dementia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oo(r=-0.546, p<.001). Dementia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ositive correlated(r=0.357, p<.001). 1. Factors that a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ex(β=-.16, p=.048), educational background(β=-.19, p=.027), fear of dementia(β=-.46, p<.001). This regression model explained 36.0% of the variances (F=6.382, p<.001). Through the researc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dementia patients’s dementia knowledge and fear of dementia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existed. and then it turns out that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re gender, dementia fear,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lationships with the patients. Therefore strategic intervention plan is needed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dementia patient. 본 연구는 치매 환자 가족 돌봄 제공자의 치매 지식과 치매 두려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A 대학병원 신경과 외래에 내원하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노인 가족 구성원 135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구심의 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은 후 2020년 9월 25일부터 10월 16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치매 지식은 치매 지식도구를 이용하였고, 치매 두려움은 한국형 치매 두려움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Ⅱ를 번안 및 수정, 보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6.0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질병 및 돌봄 관련 특성에 따른 치매 두려움과 치매 지식은 two-sample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검정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치매 지식은 평균 10.53±1.69점(0~15점)이었으며, 치매 두려움은 평균 44.77±28.35점(0~120점),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120.13±28.46점(5~200점)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지식을 확인한 결과 치매 지식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t=2.678, p=.008), 대학교 졸업 군이 초등학교 졸업 군 보다 높았다(F=2.808, p=.04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두려움을 확인한 결과 치매두려움 정도는 80대 이상 군에서 60대 보다 높았고(F=6.486, p=.002), 기혼한 대상자가 사별한 대상자 보다 높았으며(F=2.700, p=.048), 배우자인 경우 사위인 경우 보다 높았고(F=5.330, p=.002),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초과 200만원 이하인 군에서 300만원 초과 군 보다 높았다(F=3.945, p=.010).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정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t=2.405, p=.018), 80대 이상보다 60대에서 높았으며(F=4.933, p=.009),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교 졸업 군에서 초등학교 졸업보다 높았고(F=3.995, p=.009), 며느리인 경우 배우자인 경우보다 높았으며(F=6.301, p=.001), 월 평균 수입이 200만원 초과 300만원 이하인 군에서 100만원 이하인 군보다 높았고(F=3.162, p=.027), 치매 환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 높았다(t=-2.127, p=.035). 3. 연구 대상자의 치매 지식과 치매 두려움(r=-0.374, p<.001), 치매 두려움과 건강증진행위는(r=-0.546,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치매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는(r=0.357,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다중회귀분석결과, 연구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6, p=.048), 학력(β=-.19, p=.027), 치매 두려움(β=-.46, p<.001) 이었고, 여자인 경우, 초등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 치매 두려움이 낮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노인 가족 구성원의 건강증진행위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성별과 학력에 영향을 받으며 치매두려움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노인 가족 구성원의 인구사회학적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치매 두려움 감소를 통해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향상을 위한 전략적인 간호 중재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다.

      • Mixture Model을 사용한 시니어관광객의 추구편익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 : K-means Clustering과 Mixture Model 비교를 중심으로

        조아람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관광객의 편익추구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일반 세분화연구에 많이 쓰이는 K-means Clustering과 Mixture Model의 방식을 비교하여 세분화연구에 좀 더 합리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각각의 분석방법은 적중률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모집단의 비율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따라서 Mixture Model을 사용한 세분화연구가 더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시니어관광객의 편익추구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8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편익추구를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총 4개의 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출된 요인은 ‘경험 추구형’,‘휴양·휴식 추구형’,‘자연감상 추구형’, ‘오락 추구형’이라고 명명하였다. BIC값을 통해 최적세분시장 수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총 4개의 최적세분시장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각각의 세분집단의 특성을 프로파일링 한 결과, 각 세분시장 특성에 따라 ‘다편익 추구형 집단’,‘자연감상 추구형 집단’,‘휴양·휴식 추구형 집단’,‘경험 추구형 집단’ 이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CAN 버스 공격에 안전한 메시지 인증 및 키 분배 메커니즘

        조아람 高麗大學校 情報保護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차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 내부에는 많은 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탑재되고 있다. 차량 내부에 탑재된 ECU간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이루어진다. CAN은 높은 신뢰성을 갖기 때문에 안전한 차량통신을 지원한다. 하지만 별도의 보안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CAN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원격공격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차량 내부 메시지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리플레이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 메시지 인증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 1920~40년대 모음 'ㅚ, ㅟ'의 발음 연구 : 유성기 대중가요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조아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1920∼40년대 유성기 대중가요 음반의 음성자료를 중심으로 모음 ‘ㅚ, ㅟ’의 음가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신나라 레코드》에서 발매한 ‘유성기 대중가요 음반세트’의 CD 23장이다. 총 48명의 가수가 노래한 187곡 중에서 모음 ‘ㅚ’나 ‘ㅟ’를 포함한 353 음절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기본적으로 청취에 의존한 전사를 하고 부분적으로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해 formant 그래프를 확인하는 작업을 함께 진행했다. 본고는 이러한 음성자료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의 문헌자료들과는 다른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먼저, 모음 ‘ㅚ’의 경우 주로 /w/계 상향 이중모음으로 가장 많이 발음되었고, 나머지는 단모음 [Ø], [ɛ], [e], [æ], [i], [o], [y] 등으로 발음되었다. 단모음 [Ø]는 ‘ㅟ’의 단모음 [y]에 비해서는 많이 발음되었는데, 그중 대부분이 동북지역에서 발음되었다. 반면, 동남지역의 발음은 다른 지역들과 비교하여 가장 여러 가지의 발음을 하고 있다. 모음 ‘ㅚ’는 동북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미 상향 이중모음의 발음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모습을 보였으며, 드물게 단모음 [Ø]가 발음되었고, 선·후행 요소나 개인차에 따라 수의적으로 발음되는 다른 발음들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모음 ‘ㅟ’ 역시 /w/계 상향 이중모음으로 가장 많이 발음되었다. 모음 ‘ㅚ’의 발음처럼 [wɛ], [wɛ], [we] 등의 발음도 조금 있었는데, ‘ㅚ’와 다른 점은 하향 이중모음 [uj]의 발음이 적은 수이지만 나타난다는 것이다. 단모음으로는 [y], [i], [u], [e] 등의 발음이 나타나고, 이 중에서 단모음 [y]의 발음은 ‘ㅚ’에서 나타난 단모음 [Ø]와 비교하면 적게 나타난다. 지역적으로는 서북‧동북지역에서 각각 두 번씩, 서남‧동남지역에서 한 번씩 나타나는 등 지역적 차이가 크지 않았다. 모음 ‘ㅚ, ㅟ’ 모두 남부 지방보다는 북부 지방이 과도기적 단모음으로 예상되어 온 [Ø], [y] 발음이 더 나타나는 편이었다. 이 단모음 발음은 ‘ㅟ’보다 ‘ㅚ’가 빈도가 더 높았다. 또 동남지역의 경우에는 ‘ㅚ’의 발음이 다른 지역에 비해 다양한 발음을 나타내고 있었고, ‘ㅟ’의 발음은 동남지역에서 특별히 발음의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e] 발음이 보이기도 했다. 반면, 활음 /j/가 후행하는 하향 이중모음은 ‘ㅟ’에서만 [uj] 발음이 동북지역에서 발음되었다. 정리하면, 모음 ‘ㅚ, ㅟ’는 대체로 활음 /w/가 선행하는 상향 이중모음이 주를 이루었고, 단모음화한 [Ø]나 [y]는 북부 지방에서 간혹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유성기 대중가요 음반을 통해 봤을 때는 모음 ‘ㅚ, ㅟ’가 이미 상향 이중모음 발음이 되고 있었고, 단모음([Ø], [y])은 북부 지방에서 간혹 나타나는 변이음의 발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모음 ‘ㅚ’는 하향 이중모음([oi/oj])의 발음을 보이지 않은 반면, 모음 ‘ㅟ’는 하향 이중모음([ui])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모음 ‘ㅚ’에 비해 모음 ‘ㅟ’는 발음의 변화 속도가 더디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부부갈등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모 통제의 매개적 역할

        조아람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부부갈등 및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이 부모의 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부모의 통제가 부부갈등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243명의 남녀 아동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부갈등은 권영옥·이정덕(1997)의 척도를 아동 행동 문제와 관련된 4개 변인으로 수정한 김경민(2010)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는 Barber, Stolz와 Olsen(2005)의 척도를 번안한 조주연(201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우울은 Radloff(1977)의 척도를 정안숙(200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기초분석을 위해 t-test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의 내용이 아동 자신과 관련된 것일수록 아동의 우울은 높았다. 반면, 부부갈등의 빈도, 강도, 해결은 아동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가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할수록 아동의 우울은 높았다. 하지만 부모의 행동적 통제는 아동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부갈등의 내용이 아동 자녀와 관련된 것일수록 부모 모두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하였고, 부부갈등이 자주 나타날수록 어머니는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하였으며, 부부간의 갈등의 내용이 아동 자녀에 관한 것일수록 부모 모두 행동적 통제를 적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는 부부갈등의 내용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였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부부갈등의 내용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부부갈등 및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부갈등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모 통제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우울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부갈등 예방을 위한 부부 관계 향상 교육 및 부부 갈등 관리 방법과 부모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특히 아버지 교육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nd a mediating role of parent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43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rs in Gyeonggi-do by questionnaire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rital conflic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arental behavioral control, and children’s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more related to children, they showed more de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intensity, and resolution did not have noticeable effects on children’s depression. Second, as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higher,children showed more depressed. On the other hand, parental behavioral control did not have a noticeabl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Third,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more related to children, both parents exerted more control psychologically.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showed more, mother exerted more control psychologically.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more related to children, both parents exerted less control behaviorally. Finally,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ve important effects on children’s depression. A mediating role of parent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showed parental control is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on of children’s depression by parental control. It indicates that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for desirable marital relationship and improv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