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국내에서 수행된 임상시험의 대상자 등록기간 및 영향요인 분석

        김희진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의약품 임상시험의 단계별, 질환별 대상자 등록 기간을 분석하여 평균 기간을 제시하고 임상시험 대상자 등록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따른 평균 기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자료는 Clinicaltrials.gov를 사용하였으며 군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T-test 또는 ANOVA로 분석하여 유의수준 0.05로 검증하였고 연구에서 진행된 모든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 참여기간은 1상 1.4년, 2상 1.6년, 3상 1.4년으로 2상이 가장 길었으며, 대상자 등록기간은 1상 50.6주, 2상 56.9주, 3상 53.6주로 이 역시 2상이 가장 길었다. 반면 1인당 등록기간은 1상 18.4일, 2상 6.6일, 3상 2.3일로 1상이 현저하게 길었고 3상이 가장 짧았다. 이들 대상자 등록기간은 대상자의 등록기간은 임상시험 단계, 대상자의 적응증, 노인의 참여 여부에서 통계적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른 임상시험 전체 대상자 참여 기간은 신생물이 평균 2.5년(중앙값 2.5년)으로 가장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평균 2.4년, 중앙값 2.0년), 신경계통의 질환(평균 1.6년, 중앙값 1.2년) 비뇨생식계통의 질환(평균 1.6년, 중앙값 1.3년)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평균 1.6년, 중앙값 1.6년) 순이었다. 임상시험 전체 대상자 등록에 소요된 총 기간은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가 평균 102.3주(중앙값 90.4주)로 가장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신생물(평균 83.4주, 중앙값 83.4주), 신경계통의 질환(평균 70.3주, 중앙값 56.4주),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평균 53.8주, 중앙값 46.4주), 호흡계통의 질환(평균 54.2주, 중앙값 41.3주) 순이었다. 1명의 대상자 등록에 소요된 기간은 신생물이 평균 22.7일(중앙값 22.1일)로 가장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21.1일), 신경계통의 질환(평균 19.5일, 중앙값 5.2일),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평균 17.2일, 평균 10.8일) 순이었다. 임상시험 진행에 있어서 가장 계획하기 어려운 부분이 대상자 등록에 대한 기간이다. 본 연구는 공개된 임상시험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자 등록에 소요된 기간을 질환군별로 분류하여 평균 기간을 제시하였으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추가분석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신약개발의 전략 및 임상시험 진행 계획에 있어서 대상자 평균 등록기간과 등록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ed the average period by analyzing the enrollment period of subjects by phase and disease of the investigational product clinical trials conducted in Korea, and compare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period according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enrollment period of subjects.The participation period of subjects in the clinical trial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enrollment period of subjects by subject participation period, disease group, and clinical trial phase, presenting the results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edian,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enrollment period of subjects at each clinical phase.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by T-test or ANOVA and verified with a p-value<0.05, and IBM SPSS Statistics 21 was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is.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317 cases, including 6 phase 1 clinical trials, 89 phase 2 clinical trials, and 142 phase 3 clinical trials, the averag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phase 1 clinical trials was 1.4 years (median: 1.4 years), the total average duration of enrollment was 50.6 weeks (median: 55.8 weeks), and 18.4 days (median: 6.2 days). The average participation period for subjects in phase 2 clinical trials was 1.6 years (median 1.4 years), the total average period for subject enrollment was 56.9 weeks (median 38.7 weeks), and the period for one subject enrollment was 6.6 days (median 9.3 days). The average participation period for subjects in phase 3 clinical trials was 1.4 years (median 1.3 years), the total average period for subject enrollment was 53.6 weeks (median 48.4 weeks), and the period for one subject enrollemnt was 2.3 days (median 1.5 day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the enrollment period in the clinical trial plan.

      • 신약개발 전략수립 단계에서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의 활용 사례 연구

        김지윤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재 많은 분야에서 계량서지분석을 통해 연구 경향과 구조의 분석, 직관적이고 과학적인 시각화 지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직 국내 보건, 의약학, 의료, 생명공학 등의 연구 분야에 대한 경향 분석은 게재 논문에 대한 양적 분석과 주제어 분석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고 그 숫자도 매우 적다. 또한, 최근의 국내 보건의료분야에서 의료연구문헌 분석 결과를 실제적으로 어떻게 활용하고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이나 사례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약개발 전략수립 단계에서의 계량서지 분석과 네트워크 구조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자, 임상 시험 실시기관, 의약품 임상개발을 고려하거나 진행중인 제약사, 또는 제약사로부터 의약품 임상개발 위탁업무를 받은 회사 (이하 “관련자”)가 당면할 수 있는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각기 다른 표본과 분석 도구를 통해 계량서지 분석 및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분석은 어떠한 질환 혹은 분야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연구 내용을 체계적 고찰 방법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받고자 하고, 새로운 연구 분야를 찾기 위해 탐색적 분석이 필요한 관련자가 활용할 수 있는 분석이다. 두 번째로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연구 분야의 현재의 흐름을 단면적으로 파악하여 향후의 연구 구조에 대한 정확하고 직관적인 분석이 필요한 관련자가 활용할 수 있는 다인용 문헌을 분석한 연구 동향 분석이다. 첫 번째 분석을 위하여 선정한 사례는 글로벌 급성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연구 분야이다. 현재까지도 고식적 방법 외에 뚜렷한 치료 약제의 개발이 미비한 질환으로, 최근 20년 간의 국가와 연구 기관의 연구비 지원 및 국가별 문헌 생성 등을 통하여 연구 개발 흐름을 이해하였다. 두 번째 분석을 위해 면역항암치료 분야 중 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s T cell, CAR-T) 치료 분야를 선정하였다. 이는 최근 급부상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서 해당 분야의 기술-집약적 연구 동향을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AML 연구에서는 과거 미국보건관련 기관의 지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졌으나, 최근 10년 간은 사립 연구지 지원 단체와 제약회사에서도 개발을 위한 연구비 지원이 많이 이루어 지고, 중국 정부의 연구 지원이 활발함과 문헌 수량도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CAR-T의 사례 분석에 따라서는 소수 기관과 연구자에 의해 독립 클러스터 위주로 연구가 주도되는 추세임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높은 기술과 비용이 집약적인 형태로 연구되어 최다 인용이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각 사례별 분석 방법 및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관련자가 유사한 상황에서 이러한 분석 결과 및 데이터에 기반하여 객관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그 방법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분석에 대한 통찰은 더 나아가 정부, 정책 입안자, 연구 기관, 연구 지원 단체,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등에서도 활용과 접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향후 의료연구문헌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구조화와 분석 도구 개발에 기초를 만들 수 있는 자료로 의미있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되는 말: 연구문헌분석, 계량서지분석, 네트워크분석, 연구동향분석, 키워드분석, 보건의료연구분석, 급성골수성백혈병, 면역항암치료 분야

      • CDISC Standards를 활용한 임상시험 데이터의 효율적 수집, 관리, 제출

        박준석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의약품 허가 시 규제기관은 수행된 임상시험의 안전성과 유효성 등 결과 자료에 대한 심사를 진행한다. 이 때 규제기관으로 제출 되는 데이터가 의뢰사별 서로 각기 다른 형식으로 제출되어 심사 업무의 비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개선하고자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CDISC)는 전임상을 포함하여 임상시험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메타데이터의 수집, 교환, 보관, 제출 등 일련의 과정에 필요한 자료 표준을 정의하였다. 이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관련 표준이 적용된 데이터 제출을 요구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는 CDISC 형식의 자료 제출에 대한 의무 규정이나 가이드라인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수집/관리/제출 시 고려해야 할 CDISC 표준 CDASH, SDTM, Define-XML에 대해 관련자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CDISC에서 제공하고 있는 관련 문서를 참고 하여 각 표준의 설명과 예시를 설명하였다. 먼저 분석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위한 증례기록서 개발 시 CDASH 표준 적용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표준을 적용하여 증례기록서를 개발하였다. 이후 해당 증례기록서에 임의의 SDTM 결과를 생성하였고, Define-XML 결과는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도 쉽게 생성 할 수 있도록 Pinnacle 21 Tool을 이용하였으며, 생성된 두 결과는 모두 Pinnacle 21 Tool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따라서 이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수행하고 있는 관련 업무의 프로세스를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CDISC 국제 표준이 적용된 프로세스를 통해 관련자는 증례기록서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성, 데이터 관리, SDTM, Define-XML 변환 업무 등 일련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의뢰사는 이를 통해 보다 빠른 시장 진입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규제기관에서는 심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서는 현재 CDISC 표준 적용이 필수가 아니고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지 않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본 연구가 CDISC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지역약국 내 칸막이로 분리된 상담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전성률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복약지도는 약사와 환자 간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이며, 질병과 건강 문제와 관련되는 치료약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기밀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약국 환경은 거의 대부분 일반카운터에서 약사와 환자간 복약지도/복약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상호 대화에 집중하기 어렵고 기밀성도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약국 내 독립적 상담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되는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약국에서 칸막이로 구분된 독립적 공간에서 복약지도를 하는 것이 환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단면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칸막이로 분리된 상담공간에서 약사(연구자)의 복약지도를 받은 후 조사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작성완료된 설문지는 회수함에 두고 나가도록 하였다. 본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16개로, Part 1. 약국 이용 경험, Part 2. 약사서비스 만족도 관련 요인별 동의 수준, Part 3. 전반적인 만족도 및 향후 의향, Part 4. 응답자의 기본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가 직접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충청북도 소재 1개 지역약국에 처방전 조제를 위해 방문한 성인 환자 중 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환자를 조사 대상자로 모집하였고, 2021년 9월 6일부터 2021년 10월 6일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자가 설문지에 자가기입한 응답을 Google 설문지에 별도로 입력 하면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에 자동 저장되었다. 커뮤니케이션 요인별 만족도 향상 정도에서 응답자 특성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 방법으로 유의수준 0.05를 적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IBM SPSS 프로그램(version 21)을 사용했다. 조사 참여자는 총 133명이었고 이 중 남성이 57명(42.9%), 여성이 76명(57.1%), 연령대는 20대가 16명(12.0%), 30대가 30명(22.6%), 40대가 39명(29.3%), 50대가 27명(20.3%), 60대가 16명(12.0%), 70대 이상이 5명(3.8%)이었다. 최종학력은 무학 0명(0%), 초졸 2명(1.5%), 중졸 3명(2.3%), 고졸 36명(27.1%), 대졸 86명(64.7%), 대학원 졸 6명(4.5%)이었으며, 현재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개수에 대한 응답으로는 없음이 67명(50.4%), 1개 42명(31.6%), 2개 21명(15.8%), 3개 3명(2.3%), 4개와 5개 이상은 모두 0명(0%)이었다. 응답자의 약국 이용 행태로 지난 1년 동안 1달에 몇 번이나 약국(어느 약국이든)을 방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마스크만 사러 간 경우는 제외) 0번이 11명(8.3%), 1∼2번이 72명(54.1%), 3∼4번이 23명(17.3%), 5∼6번이 9명(6.8%), 7번 이상이 18명(13.5%)이었다. 연구수행 약국에서 처방약을 조제하는 것이 처음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처음이라는 응답자가 65명(48.9%), 처음이 아니라는 응답자가 68명(51.1%)이었다. 다른 약국에서도 별도로 구획이 분리된 공간에서 복약지도/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런 적 없다는 응답이 106명(79.7%), 1∼2번 있다는 응답이 23명(17.3%), 3∼4번이 3명(3.0%)이었다. 열린카운터와 비교하여 독립적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요인별 만족도를 보면, ‘복약지도하는 내용의 전달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0명(0%),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29명(21.80%), ‘훨씬 더 좋다’가 96명(72.18%)이었다. ‘이해가 안 되거나 궁금한 점을 질문하기 좋은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30명(22.56%), 훨씬 더 좋다가 94명(70.68.%)이었다. ‘상담할 수 있는 분위기의 편안함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0명(0%), ‘조금 덜 좋다’가 2명(1.50%), ‘차이가 없다’가 4명(3.01%), ‘조금 더 좋다’가 33명(24.81%), ‘훨씬 더 좋다’가 94명(70.68%)이었다. ‘약사와 대화하는 것에 대한 집중 정도’의 경우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4명(3.01%), ‘조금 더 좋다’가 22명(16.54%), ‘훨씬 더 좋다’가 105명(78.95%)이었다. ‘비밀스러운 내용을 얘기하기 좋은 정도’측면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2명(1.50%), ‘조금 덜 좋다’가 0명(0%), ‘차이가 없다’가 10명(7.52%), ‘조금 더 좋다’가 37명(27.82%), ‘훨씬 더 좋다’가 84명(63.16%)이었다. ‘약사와의 대화 내용이 타인에게 들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있어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17명(12.78%), ‘조금 더 좋다’가 46명(34.59%), ‘훨씬 더 좋다’가 68명(51.13%)이었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는 “열린카운터와 비교시 구획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상담이 더 만족스럽습니까?”에 대한 질문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3명(2.26%),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32명(24.06%), ’훨씬 더 좋다‘가 90명(67.67%)이었다 독립된 공간에 대한 향후 희망 차이에서는 ‘앞으로도 가능하다면 열린카운터보다는 구휙분리된 공간에서 복약지도/상담하기를 희망합니까?‘에 있어서는 훨씬 덜 좋다가 2명(1.50%), 조금 덜 좋다가 2명(1.50%), 차이가 없다가 14명(10.53%), 조금 더 좋다가 36명(27.07%), 훨씬 더 좋다가 79명(59.40%)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약국 환경에서 실제로 구획 분리된 공간을 만들어서 복약지도를 실시한 후에 환자의 만족도를 직접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열린 공간 대비 독립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만족도 향상은 평균 4.6점으로서 매우 높았다. 약사와의 대화에의 집중 정도 측면에서의 만족도가 4.7점으로 가장 높았고, 복약지도 내용의 전달 정도가 4.6점, 상담할 수 있는 분위기의 편안함 정도가 4.6점이었고, 향후 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상담을 받고자 하는 의향 또한 4.4점 이었다. 전반적으로 여성, 40대 미만, 월평균 약국 3회 이상 방문, 해당약국 방문이 처음인 경우 만족도와 향후 의향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약국 이용자들이 열린 카운터와 비교하여 구획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약국 내 복약상담 공간요소에 대한 관심을 갖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Medication guidance is a process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tient's condition for the effective and safe use of treatments related to diseases and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often necessary to share confidential information of patients. However, most of the pharmacy environment in Korea has difficulty concentrating on conversations and is not guaranteed confidentiality due to medication guidance/drug counseling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at general counters.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 independent counseling space for pharmacies where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carried out,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vidence on whether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oviding independent spaces at local pharmacies and providing medication guidance affects patients'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ross-sectional survey, and subjects who received medication guidance from pharmacists (researchers) in separate counseling spaces were asked to fill out a written consent form without the intervention of researchers and leave the completed questionnaire in the recovery box. The questionnaire wa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September 6, 2021 to October 6, 2021 in adult patients who visited one local pharmacy in Chungcheongbuk-do, which was operated by researchers (graduates). There were 16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rt 1. Experience in pharmacy use, Part 2. Level of consent for each factor related to pharmacist service satisfaction, Part 3. Overall satisfaction and future hopes, and Part 4. Bas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is study was a survey asked to humans so conducted after approval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CHA University. When the survey subjects filled their own responses, a researcher typed answers on questionnaire form of the Google questionnaire, they we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Microsoft Excel program.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respondent characteristic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mprovement by communication fact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applying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using the t-test method, and the IBM SPSS program (version 21) was used. There were a total of 133 respondents, 57 people in males (42.9%), 76 people in females (57.1%). 16 people in 20s (12.0%), 30 people in 30s (22.6%), 39 people in 40s (29.3%), 27 people in 50s (20.3%), 16 people in 60s (12.0%), and 5 people in 70s or older(3.8%).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no one in no-education (0%), 2 people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s (1.5%), 3 people in middle school graduates (2.3%), 36 people in high school graduates (27.1%), 86 people in college graduates (64.7%), 6 people in graduate graduates (4.5%). People responded on how many current chronic diseases were 67 people in zero(50.4%), 42 people in one (31.6%), 21 people in two (15.8%), and 3 people in three (2.3%), no one in more than 4. In the respondents' pharmacy usage behavior, a researcher asked ‘How many times visited pharmacy (excluding those who only went to buy masks) in the past year‘, 11 people (8.3%) people in 0 times, 72 people in 1∼2 times (54.1%), 23 people in 3∼4 times (17.3%), 9 people in 5∼6 times (6.8%), 18 people in more than 7 times (13.5%). A researcher asked ‘Was it the first time to get drugs by prescription at this pharmacy‘, 65 people (48.9%) answered that it was the first time and 68 (51.1%) said it was not the first time. When asked ‘Have you ever received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separated space before at another pharmacy likely today?‘, 106 people (79.7%) responded ‘No‘, 23 people (17.3%) answered 1 or 2 times, 3 people (3.0%) answered 3 or 4 times, and 0 people (0%) answered that they had more than 5 times. On ‘Compared to open counters, are you satisfied for medication guiduance in separated space?’ questionnare, 1 person (0.75%) for "much less good," none for "a little less good," 7 people for "no difference", 28 people for "a little better" (21.80%), and 96 people for "much better." On "the degree to which it is good to ask questions or not understood," 1 person (0.75%) said "much less good,"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good," 7 people (5.26%) said it was “no difference”, 30 people (22.56%) said “a little better”, and 94 people (70.68.%) said “much better”. On "degree of comfort in the atmosphere", there were no one said “much less good” (0%), 2 people (1.50%) said “a little less good”, 4 people said (3.01%) “no difference”, 33 people said (24.81%) “a little better”, 94 people (70.68%) said “much better”. On "degree of concentration on talking to pharmacists," there were 1 person (0.75%), 1 person (0.75%) said “much less good”,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good”, 4 people (3.01%) said “no difference”, 22 people (16.54%) said “a little better”, and 105 people (78.95%) said “a much better”. On "The degree to which it is good to talk about secret content" 2 people (1.50%) said “a much less good”, none (0%) said ‘a little less better’, 10 people (7.52%) said “no difference”, 37 people (27.82%) said “a little better”, and 84 people (63.16%) said “a much better”. In "The degree to which other people think they cannot hear the conversation with the pharmacist" there were 1 person (0.75%) said “a much less better”,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better”, 17 people (12.78%) said “no difference”, 46 people (34.59%) said ‘a little better', and 68 people (51.13%) said ’a much better’ The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on “More satisfactory for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a separated space compared to the open counter? ", there were 1 person (0.75%) in ‘much less good’, 3 people (2.26%) in ‘slightly less good’, 7 people (2.26%) in ‘no difference’, 32 people (24.06%) in ‘slightly better’, and 90 people (67.67%) in ‘much better’ In the difference in future hopes for the respondents' on independent space "If possible in the future, do you hope to be provided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a separate space rather than an open counter?" there were 2 people (1.50%) said ‘much less good’, 2 people (1.50%) said ‘slightly less good’, 14 people (10.53%) said ‘no diffenence’, 36 people (27.07%) said ‘slightly better’, and 79 people (59.40%). said ‘much bet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ctually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satisfaction after medication guidance in a separated space.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guidance in independent spaces compared to open spaces averaged 4.6 points, which was a high degree of improvemen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talking to pharmacists was the highest with 4.7 point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medication guidance was 4.6 points, the degree of comfort in the atmosphere for counseling was 4.6 points, and the future hopes was 4.4 points. Overall, women in their 40s and under, an average of three or more visits to pharmacies per month, and when visiting the pharmacy for the first time, satisfaction and future hope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cation guidance in the separated spa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open counter.

      • 약물 부작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노인 다 빈도 사용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 분석

        임승엽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39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in 2018 and is expected to enter the super aged society in 2026. The elderly patients who are increasing in this social trend generally have various chronic diseases due to passage of time, which leads to the use of multiple medicin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rug use in elderly patients and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changes make elderly patients more vulnerable to side effects than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pecific adverse effects of various drugs used for chronic diseases of elderly patients by using database and statistical techniques. also, This will allow medical staff to be more cautious in prescribing medications and guiding medication for elderly patients, and elderly patients will also be aware of the typical side effects caused by medic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pecific side effects of drug classes by selecting ATC drug series which are mainly used for the ten major diseases in the elderly. In the SIDER 4.1 database (http://sideeffects.embl.de/), only adverse events with more than 1% integration frequency of ATC-related side effects were extracted. The specificity score is calculated for the extracted side effects and the adverse effect of 2 x log(N/n) or more, which is the cut-off value, is derived as the specific side effect for each drug series. As the result, A02 5ea , A10ea, C02 3ea, C03 5ea, C07 11ea, C08 2ea, C09 11ea, M01 13ea, N02 7ea, R05 1ea are identified specific adverse effects that may occur in the drug family. A02 is a drug for reducing gastric acid. I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ysgeusia may apper as a side effect. A10 is main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it is used for lowering blood sugar. Therefore, hypoglycaemia can occur. C02 clonidine is used to lower blood pressure by stimulating the α 2 receptor in the brain. It is main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hypertension, which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dry mouth and hypotension. Beta blockers such as C07 metoprolol reduce myocardial contractility and heart rate is a drug that is widely used as a treatment for hypertension. However, the blood flow of the hands and feet can also be reduced, which can lead to side effects such as peripheral coldness. ACE inhibitor drugs like C09 are widely used as drugs for hypertensive treatment. because they relax blood vessels and lower blood volume. However, side effects such as hypotension and Cough can occur. The M01 family is mainl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which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 and gastritis. N02 drugs are narcotic analgesics that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somnolence, pruritus, dry mouth and cough.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side effects of drug classes by analyzing the specific side effects of drugs used by elderly patients using the drug side effect database. It can also be applied to drug education and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patients to prevent the risk of using multiple drugs together.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대한민국은 2018년 고령 사회로 들어섰고 2026년에는 초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흐름 속에서 증가하는 노인환자는 일반적으로 세월의 경과로 인하여 다양한 만성 질환을 가지게 되며, 이는 다 약제 복용으로 이어지게 된다. 노인환자에서의 다 약제 복용의 특성과 성인과 다른 약동학 및 약력학적인 변화는 노인환자를 부작용에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환자들이 갖고 있는 만성질환에 대하여 다 빈도사용 되는 약물에 대한 특이 부작용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의료진은 노인환자 대상 약물 처방과 복약지도 시에 좀 더 주의할 수 있으며 노인환자들도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작용에 대하여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에서 다 빈도로 발생하는 10대 질병에 주로 사용하는 ATC 약물계열을 선정하여 약물 계열별로 발생하는 특이적인 부작용을 도출하였다. 부작용데이터베이스인 SIDER 4.1 데이터베이스 (http://sideeffects.embl.de/)에서 ATC 계열별 부작용 통합 빈도가 1%이상인 부작용만 추출하였다. 추출된 부작용에 대하여 Specificity score를 계산하여 cut-off 값인 2 x log(N/n)이상인 부작용을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ATC 계열별로 A02 5개 , A10 9개, C02 3개, C03 5개, C07 11개, C08 2개, C09 11개, M01 13개, N02 7개, R05 1개의 약물계열에서 나타날 수 있는 26개의 특이적인 부작용을 확인했다. A02(산 관련 질환용 의약품)의 특이 부작용은 미각이상(dysgeusia)이며, A10(당뇨병에 사용하는 의약품)의 특이 부작용은 저혈당이다. A10 중에서 DPP-4 억제제 계열에서는 비인두염이 특이 부작용으로 분석되었다. C02(혈압강하제)의 특이 부작용은 졸음, 구강건조, 과민성이며, C03(이뇨제)의 특이 부작용은 저칼륨혈증, 저염소혈증, 고요산혈증이며, C07(베타 차단제)의 특이 부작용은 말초 냉감, 심장부전, 서맥이며, C08(칼슘 통로 차단제)의 특이 부작용은 기침, 그리고 C09(레닌 앤지오텐신계 작용 약물)의 특이 부작용은 기침, 고칼륨혈증, 실신이었다. M01(항염증제 및 항류미터스제)의 특이 부작용은 위장관 장애, 위염, 발진, 단백뇨이며, N02(진통제)의 특이 부작용은 졸음, 가려움, 구강건조, 불면이었다. 이번 약물 부작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노인 다 빈도 사용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 분석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에 대한 내용은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약물 복약 지도 및 복용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다 약물을 함께 복용하여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건강 관련 식품 관리의 국가별 비교 연구

        박시아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식품류가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건강기능식품을 비롯한 건강 관련 식품류의 관리 현황을 확인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건강 관련 식품류의 발전 과정과 유형을 고찰하고, 국내외 유형별 허가 및 표시 기재 및 관련한 관리 제도 고찰 및 비교, 동일 성분 제품의 식품/의약품 유형별 분류에 따른 표시 기재 비교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는 조사국 중 유일하게 건강기능식품을 단독 법으로 관리했다. 제품에 건강과 관련한 기능성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가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기능성 문구는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식품과 의약품에 동일한 원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동일한 원료가 일반 식품부터 전문의약품까지 다양하게 존재했다. 의약품보다 식품류의 함량이 높은 것도 있었다. 그러나 주의사항은 의약품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이 모두 존재하는 사례(오메가3, 코엔자임Q10)와 해외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의약품인 제품의 사례(콜린알포세레이트,멜라토닌)를 조사한 결과, 식이보조제인 건강기능식품과 치료제인 의약품이 함량이나 효능 효과면에서 애매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식품류에 대하여 포괄적인 시각으로 접근하고 구체적인 제품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건강 관련 식품의 특성과 관리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건강 관련 식품의 관리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규제사항이 있으며 추후 다양한 관리 방식을 비교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지역약국 내 약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내용 및 환경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 조사

        이나은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39

        의약분업 이후 고착된 조제와 투약 중심의 지역약국 약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의약업계는 의약품 중심에서 환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약사-환자 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질 높은 약료서비스의 중요 요소로서 강조되어 되어 지고 있다. 약사법에 명시된 약사의 역할은 의약품의 명칭, 용법·용량, 효능·효과, 저장 방법, 부작용, 상호 작용이나 성상(性狀)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복약지도자로서의 역할과 일반의약품 판매 시 구매자가 필요한 의약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대표적인 역할로서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약사의 역할 중 처방약 조제 시 지역약국에서 이루어지는 복약지도 내용에 대한 일반인들의 기대수준과 평가수준 및 복약지도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지역약국 내 약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인 메시지(복약지도 시 환자에게 설명하는 내용과 확인하는 내용 위주로)에 있어 환자가 약사에게 기대하는 기대치와 실제로 약사로부터 전달 받았다고 생각하는 평가치, 그리고 약국 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일정 질문들을 기준으로 하여 설문조사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약국 이용 행태, 처방약 조제 시 약사가 (말이나 서면으로) 설명해주기를 기대하는 내용과 실제 설명해 준 내용, 약국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수 있도록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기간은 2018년 5월 14일~ 5월 27일까지 14일 동안 서울, 경기 위주로 전국의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연령층의 460명의 일반인 남녀에게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응답자는 총 460명이었고, 이들 중 270명(58.7%)이 여성이고, 30대가 130명(41.3%)이었고,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거주자가 396명(86.1%)이었다. 최종학력은 대졸 이상인 응답자가 279명(60.7%)이었고, 직업은 직장인이 246명(53.5%)이었다. 이들이 3개월 이내에 약국에 방문한 횟수는 3회 미만이 232명(50.2%), 3회 이상이 229명(49.8%)이었다. 방문한 약국의 위치는 의원 앞에 위치한 약국이 271명(44.8%)이었으며, 만성질환이 없는 사람이 287명(62.4%)이었다. 처방약 조제 시 약사가 (말이나 서면으로) 설명해 주기를 기대하는 내용의 기대치는 모든 문항에 ‘꼭 필요하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각 문항별 응답자의 수는 ‘약의 효과에 대한 설명’이 230명(50.0%),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293명(63.7%), ‘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이 318명(69.1%), ‘약의 보관방법에 대한 설명’이 222명(48.3%),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이 353명(76.7%), ‘주의해야 할 음식에 대한 설명’이 306명(66.5%), ‘먹을 것을 잊어버리거나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196명(42.6%), ‘다른 약을 먹고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270명(58.7%),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326명(70.9%)이었다. 반면, 처방약 조제 시 약사가 (말이나 서면으로) 실제 설명해 준 내용의 평가치를 물어보는 질문에서는 ‘충분히 하였다’고 답변을 한 문항은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214명(46.5%)) 단 한 개의 문항이었다. ‘약의 효과에 대한 설명’은 239명(52.0%), ‘주의해야 할 음식에 대한 설명(술 포함)’은 162명(35.2%)이 ‘약간 하였다’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고, ‘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은 ‘거의 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148명(32.2%)으로 가장 많았다. ‘전혀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자가 가장 많았던 문항은 ‘약의 보관방법에 대한 설명’이 187명(40.7%),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이 179명(38,9%), ‘먹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설명’이 219명(47.6%), ‘다른 약을 먹고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167명(36.3%),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205명(44.6%)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약국 내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약사는 이해하기 쉬운 말로 정확하게 설명해 주었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59명(56.3%), ‘약사는 중요한 내용에 대해 강조해서 설명해 주었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22명(48.3%), ‘약사는 정성스럽게 대해주었고 친근감이 느껴졌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34명(50.9%), ‘약사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설명해 주었다’는 문항은 ‘별로 그렇지 않다’가 182명(39.6%), ‘약사는 약사가 한 설명을 내가 잘 이해했는지(또는 잘 먹고 있는지) 확인하였다’는 문항은 ‘별로 그렇지 않다’가 169명(36.7%), ‘약사에게서 약에 대한 전문성이 느껴졌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03명(44.1%), ‘약국 내에는 내가 비밀스러운 내용까지 편안하게 상담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272명(59.1%), ‘약국 내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안정감이 있었다’는 문항은 ‘거의 그렇지 않다’가 183명(39.8%)으로 가장 다수의 답변을 받았다. 응답자가 처방약 조제 시 약사로부터 기대하는 메시지의 기대치와 실제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를 4점 만점으로 수치화(1.0-4.0)하여 평균적인 점수를 비교했을 때 모든 문항에서 응답자의 기대치보다 실제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응답자의 기대치는 모든 항목에 있어 평균값이 3.0 이상으로 ‘가능하면 필요하다, 또는 꼭 필요하다’는 ‘필요하다’는 기대 수준을 갖는 가운데 가장 기대치가 높은 항목은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3.75)’, ‘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3.67)’,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3.65)’, ‘주의해야 할 음식에 대한 설명(술 포함)(3.64)’,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3.60)’ 순이었다. 반면, 응답자가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의 평균값에서 ‘약간 설명하였다, 또는 충분히 설명하였다’는 ‘설명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한 항목은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3.38)’뿐이었고, 기대치 평균값과 평가치 평균값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1.66)’이었다. 본 연구 결과, 약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약사법에 기재된 약사의 복약지도 사항에 관련하여 일반인들이 약사로부터 기대하는 메시지의 기대치 대비 실제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가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약국 이용 행태에 따라 메시지의 기대치와 평가치,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의 부작용과 보관방법,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 먹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설명, 다른 약을 먹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은 환자가 약사의 설명을 받지 못했다고 인지하는 항목들로 향후 지역약국 내 약사-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시 개선점이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그 밖의 약국 내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있어 환자가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피드백 작업과 설명에 있어 충분한 시간과 약국 내 비밀스러운 내용도 상담할 수 있는 공간, 차분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는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해서 개선이 필요한 요소들로 조사된다.

      • 일반 소비자의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문현미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Continuous systematic education regarding safe use of medication to the entire population in South Korea can improve awareness of medication use everyone from infants and toddlers to seniors. It will help individuals to enjoy a healthy life, enhance drug compliances to target diseases, and prevent drug abuses, which can bring the absolute reduction of not only the medical expense but also the secondary medical costs resulted from the decreased side effects. For this, the education for the safe use of medication has been held centrally by local governments since 2010, health centers, pharmaceutical associations, schools, etc. In July 2013, Amendments of Health Promotion Law was proposed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safe use of medication by the education of appropriate use of medical supplies specified in the law. Also, in 2016, there are efforts from the Korean government to support the drug safety project in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y increasing budget for this project. In academia, the needs for the national level education for the pharmaceutical safety was recognized, and numerous studies regarding the contents,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sites, ways to utilize professional doctors and pharmacists were found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find efficient methods to educate the whole nation population. However, including the recent survey of the current practice for the education of pharmaceutical safety conducted in 2015, most researches were analyzed the needs by the education providers’ point of vie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s’ medication use and attitude toward the use of medication and to find the need for medicine safety education including factors related to consumers‘ needs‘ from the educatees’ persp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eople who live or work in Seongnam-si between March 15th and March 30th in 2016.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2 items. Each question asks participants’ demographic information, their current medication use,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medicines, the route how they gather information for the medication and how much they trust the information, and their previous experience of and their needs for education of pharmaceutical safety. Data gather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SPSS ver 22.0. Each response distribution was taken in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analysis of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ere also us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hich might influence the result with subgroup analysis. Also,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of each group was tested by the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posteriori tests were taken by LSD. Statistical confidence level was α=.05. Missing data were handled by deleting missing values before analyzing. Total of 217 people answered the questionnaires. 59.7% of the respondents were women and 58 people(27.2%) were in their 40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The distribution of participants’ profession showed 86 office workers (41.4%), which was the highest numbered profession; and 117 college graduates (57.4%), which was the highest numbered level of education. Analysis of the current use of medicin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that 42.4% of participating men were taking prescription drugs, and 40.5% of the women were taking the prescription drugs. 25.9% of the men and 18.3% of the women were taking over-the-counter products. Analysis of age groups showed that 9.1% of teenagers, 11.1% of those in their twenties, 21.2% of those in their thirties, 25.5% of those in their forties, 48.6% of in fifties, 75.8% in sixties and 86.4% over seventy were taking prescription drugs. This shows that as age increases, ratio of taking prescription drugs increases. Also, ratio of taking prescription drugs by profession represents that homemakers were taking more of the prescription drugs (48.9%) as opposed to office workers who were taking more of the over-the-counter drugs(20.9%). Average dietary supplement each participant was taking was 1.73 tablets and 55.8% of the participants were taking more than one dietary supplement. Among those who were taking more than one dietary supplement,, 60.5% were women. To the question that asked if they had received any drug safety education, only 5.1%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yes, and they were mostly students. The 92.9% of the participants felt the need for the medicines safety education; however, only 70% of these people show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uch educational events, which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ir need expression. Also, to the question about the group that needed the education of medicines safety the most, 56%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everyone regardless of their age, gender, profession and educational level needed the education. However, 40.9% of the age group of over seventy answered that the elderly needed such education more than anyon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eferences of instructors for the medicines safety education by gender, women more than man preferred a doctor to a pharmacist (52.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eferences of instructors for the medicines safety education by age group, teenagers who had already experienced such education preferred a pharmacist to a doctor. For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 of the medicines safety education, only 4% of the participants preferred a school nurse and a general teacher, but 91.2% preferred a doctor or a pharmacist. Research showed that as the age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more medicine were taken. The participants who were taking prescription drugs often took over-the-counter drugs as well, which may increase a drug interaction. This seemed to prevail especially among the elderlies who were taking a lot of medicines, which called for attention. However, the study revealed that taking more prescription drugs did not necessarily mean taking more dietary supplements. It is noteworthy that the fact that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reported taking some types of dietary supplements can cause problem later such as drug interaction later and the restrictions on dietary supplements are less strict than medical drugs.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took prescription drugs well; however, over 90% of people said that they took medicines after bearing pains for some time. Also over half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normally read the directions of their medicine carefully. The fact that there were relatively more younger people in this study could have influenced the results. Every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education for a safe use of medicines answered that it was useful, and an absolut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 was necessary. For choosing an educator for the medicines safety education, respondents preferred experts in the field such as doctors or pharmacists to other instructors. Therefore from now on, the main educators should be selected from these people. To achieve the true purpose of the education for safe use of medicines, realistic and multilateral efforts should be made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the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expert instructors from the field of medicine and pharmacy,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 consumers who demand the drug safety education.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의약품의 정보 제공과 체계적인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은 영 유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의약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갖도록 하여 개인적으로는 평소 건강한 삶을 살아가도록 돕고, 질병 시 의약품의 복용 순응도를 높이고 오남용을 방지하여 절대적인 의료비 절감 뿐 아니라 부작용등의 경감으로 2차적인 의료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이후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약사회, 학교 등을 중심으로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2013년 7월에는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건강증진법에 명시하여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통한 의약품 안전사용 유도하고자 건강증진법 개정안이 발의되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20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지원 사업을 위한 예산액을 증액 배정하는 등의 정부차원에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계에서도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교육이 온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교육을 할 것인지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장소, 전문적인 의사, 약사의 활용 방안 등 많은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2015년 실시된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의 실태 조사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연구가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공급자의 관점에서 분석된 연구이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의약품 복용 실태, 의약품 사용 태도,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대상자인 소비자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도 및 서로의 상관관계를 연구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성남시에 거주하거나 성남시 소재 직장에 근무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연구로 조사 기간은 2016년 3월 15일에서 3월 30일까지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문항의 응답 분포는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이 이용되었으며, subgroup analysis를 통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 검증(chi-square test)과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차이 검증은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LSD를 실시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Missing data의 처리는 결측값을 제외하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217명이 설문에 응답 하였으며, 응답자의 59.7%가 여성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40대가 58명(27.2%)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군의 분포에서는 직장인이 86명(41.1%)으로 가장 많았고, 대졸이 117명(57.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약품 사용 현황을 분석하였을 때 연구 대상자중 처방약은 남성 42.4%, 여성 40.5%가 복용 중이었고, 일반의약품은 남성 25.9%, 여성 18.3%가 복용하고 있었다. 처방약 복용이 10대 9.1%, 20대 11.1%, 30대 21.2%, 40대 25.5%, 50대 48.6%, 60대 75.8%, 70대 이상 86.4%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처방약 복용 비율이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직업에 따르면 전업주부가 처방약을 더 많이 복용하였고(48.9%), 직장인은 일반의약품을 더 많이 복용하고 있는 것(20.9%)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은 1인당 평균 1.73개를 복용하고 있었고, 연구 대상자의 55.8%가 1개 이상의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었는데, 여성은 60.5%가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었다.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문항 조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5.1%만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대부분이 학생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92.9%가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나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연구 대상자는 70%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의 필요성을 느낄수록 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처방약에 대한 순응도가 높을수록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에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4). 또한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이 누구에게 가장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거의 모든 성별, 연령, 직업, 학력에서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다는 답이 56%로 가장 많았으나, 70대 이상 노인에서는 노인에게 교육이 더 필요하다(40.9%)고 답을 했다. 성별에 따른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강사 선호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의사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52.2%,)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강사 선호도는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경험이 있는 10대에서 약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강사로는 보건교사, 일반인 강사는 각 4%정도만 선호하였고 91.2%정도가 의사, 약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복용하는 의약품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처방의약품을 복용하는 환자는 일반의약품도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p〈0.001) 노인에게서 특히 복용 의약품 수의 증가로 약물상호작용이 우려된다. 따라서 노인에게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70세 이상의 노인들 또한 본인들에게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처방의약품의 복용과는 무관하게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수가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비율은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과의 상호작용의 문제와 의약품에 비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 엄격하여 대두되고 있는 안전성이나 효과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처방약은 연구 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잘 복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90% 이상이 아픔을 참아보다가 안 되면 의약품을 복용한다고 응답하였다. 평소에 의약품 설명서를 잘 읽어본다는 응답도 50%가 넘어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이 많았던 점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받아본 사람들은 모두 교육이 의약품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사용 시 도움이 된다고 응답을 하였고 절대 다수의 연구 대상자들이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교육 강사로는 의사나 약사와 같은 전문가를 다른 강사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교육의 주체가 의사, 약사 위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본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의사, 약사와 같은 전문가에 의한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교육에 관한 요구도를 반영하여 전 국민의 성별, 연령, 직업, 지역, 수준별 맞춤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지속적이며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약사회, 의·약의 교육 전문 강사들의 현실적이며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일반인의 복약지도 관련 용어 이해도 증진을 위한 복약안내문 용어 개선에 대한 연구

        한승희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39

        Despite increasing interest of general public regarding drug counseling, most pharmacies are unable to conduct drug counseling sufficiently due to lack of time. In this circumstance, providing written medication instruc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alternatives. As written medication instruction is known to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enhancing patient's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ntent of drug counseling as well as drug compliance of patients, a lot of community pharmacies currently provide the printed medication instruction to patients. However, most medicinal materials including medication instruction consist of difficult professional terminology and are difficult for general people to understand. In order for safe and effective use of medicine, several studies urge to improve the professional terminology by using plain language.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n professional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this study first evaluated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ublic on professional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of prescription drug, secondly established the principle for improving terminology and converted the terms based on established improving principle, lastly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terms before and after conversio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terms and plain terms and the factors showing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collected by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twelve days from November 14th to 25th of 2018. The subject of study was limited to general people aging over 20 years old and whose major is not in healthcare field. A total 348 people participated, 186 respondents(53.4%) were male, 172 respondents(49.4%) were over fifties, and 304 respondents(37.4%) had more than two people living together(including oneself). The professional terms that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responded 'not understood'('not understood at all'(1 point) or 'not really understood' (2 point)) were 13 terms among total 20 terms which were more than half. This means terminology currentl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is difficult for general people to understan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improved term that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responded 'not understoo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answered 'Not understood' was 54.5% before terminology conversion, whereas 11.4% after conversion.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answered 'Understood'('slightly understood'(3 point) or 'well understood'(4 point)) was increased to 88.6% after terminology conversion, whereas 45.4% before conversion. Average score of overall understanding regarding professional terms was 2.23 point, 1.25 point was increased after improvement of terminology making average score of overall understanding on improved terms to be 3.48 point.(p<0.01) Moreover, average score of the understanding on each terminology was also increased.(p<0.01) Therefore, principle improving terminology that this study established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general public's understanding regarding terminology relevant to drug counseling. In case of the understanding on the professional terminology, the factors showing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sex, number of health supplements taken, extent of reading medication instruction, and self-assessed understanding level on medication instruction. Among these factors, all factors excluding sex were found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on the understanding of improved terminology.(p<0.05) The groups with low understanding on professional terminology excluding sex had higher increase in understanding after improving the terminology and this resulte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low and high understanding on professional terminology to be disappeared in improved terminology. Improved terminology using conversion principle established during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understandable throughout most people since factors showing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terminology were disappeared among groups in the understanding of improved terminology. In conclusion, professional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of prescription drug which is actually used for most time in community pharmacies for both pharmacists and general people is reported to be difficult for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refore, it is urgent to improve the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in order to ensure safe and effective use of medicine. Since improving principle of terminology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eopl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for improving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in the future. KeyWords:written medication instruction, professional term, improvement of terminology, plain language, drug counseling 고조되고 있는 복약지도에 대한 관심과는 상이하게 현재 대부분의 약국에서는 시간부족 문제로 복약지도를 충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에게 복약안내문을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복약지시 내용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와 복약순응도가 높이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어 현재 대부분의 지역약국에서 복약안내문을 출력하여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복약안내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의약 관련 자료들은 어려운 전문용어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인들이 이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여러 연구에서 의약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의약품 관련 정보에 사용된 전문용어를 쉬운 용어로 개선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약안내문에 사용되는 전문용어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 하기 위해 첫째, 지역약국 약사들이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처방의약품의 복약안내문에 사용된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고 둘째, 이 용어를 쉬운 용어로 개선하기 위한 원칙을 수립하고 수립한 원칙을 근거로 용어를 개선한 후 셋째, 개선 전후의 용어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전문용어와 개선된 용어에 대한 이해도 및 용어에 대한 이해도에 군 간 차이를 보이는 요인에 대한 정보는 2018년 11월 14일부터 25일까지 12일 동안 20세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는 총 348명으로, 남성이 186명(53.4%), 50대 이상이 172명(49.4%), 동거인수(본인 포함)가 2인 이상은 304명(87.4%)이었다.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응답자의 50% 이상이 이해가 안 된다고(전혀 이해 안 됨(1점) 및 별로 이해 안 됨(2점)) 답한 용어는 13개였으며 이는 대상용어 총 20개에서 과반수가 넘는 숫자였다. 이는 현재 복약안내문에 사용되고 있는 전문용어가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개선된 용어의 경우 응답자의 50%이상이 이해가 안 된다고 답한 용어는 없어, 용어 개선 후 조사대상자의 과반수이상이 이해하지 못하는 용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어에 대해 이해가 안 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개선 전 54.5%였던 것에 반해 개선 후에는 11.4%에 불과했으며, 이해가 된다(약간 이해 됨(3점) 및 아주 잘 이해됨(4점))고 답한 응답자는 개선 전 45.4%에서 개선 후 88.6%로 증가하였다. 전문용어 전체에 대한 이해도 평균은 2.23점으로 개선 시 이해도가 1.25점 증가하여 개선된 용어 전체에 대한 이해도 평균은 3.48점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각각의 용어에 대한 이해도 평균 역시 모든 용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립한 용어전환의 원칙이 일반인의 복약지도 관련 용어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유효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용어에 대한 이해도에 군 간 차이를 보이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에 군 간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성별, 영양제 수, 의약품사용안내문을 읽는 정도 그리고 의약품사용안내문에 대한 자가 평가 이해도로 나타났으며(p<0.05), 이 중 성별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개선된 용어에 대한 이해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을 제외하고,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그룹에서 용어 개선 후의 이해도 개선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간의 차이가 개선된 용어에서는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성별을 제외한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에서 군 간 차이를 보였던 요인이 개선된 용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에서 수립한 용어전환의 원칙을 적용하여 개선한 용어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두루 이해하기 쉬운 용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지역약국에서 약사와 일반인 모두에게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처방의약품의 복약안내문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의약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복약안내문에 사용되고 있는 전문용어의 개선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수립한 용어전환의 원칙이 일반인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향후 복약안내문 용어 개선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약국 약사들이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파악하고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복약지도 시 쉬운 용어를 사용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국민건강보험제도 하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약국이용 관련 지식 및 약사서비스 만족도

        김혜민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약사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하는데 있어 소비자 만족도는 중요한 요소이다. 소비자 권리가 신장되었으며 인터넷 정보의 확산으로 인해 소비자들도 다양한 의료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의료전문가에 대한 기대치도 그만큼 커졌다. 과거 연구에서 의료소비자의 알 권리가 충족될수록, 소비자 만족도가 올라갔다는 결과는 입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연 소비자들이 약국서비스 및 건강보험제도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 지식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도가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총 2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에는 조사대상자의 약국 이용 경험, 약국서비스 및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지식 수준, 약국서비스에 대한 현재의 인식과 향후 방향, 그리고 응답자의 기본 특성을 묻는 질문이 포함되었다. 특히 지식을 묻는 질문에는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휴일 당번약국제, 처방전2매 발급, 약사의 처방검토서비스, 약사의 대체조제, 약사의 처방약 약가 마진, 행위서비스수가, 본인부담금, 전국민 가입의무, 단계적 의료이용이 포함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국내 거주하는 성인으로 표본수 385명을 목표로 여러 네트워크를 통해 모집되었다. 2021년 6월 14일, IRB에서부터 심의면제확인서를 득하였으며 조사는 2021년 7월 19일부터 8월 1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온라인 SNS를 통해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되었다. Microsoft excel 2019 프로그램과 IBM SPSS Statistic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별로 기술통계 방식으로 N(%)를 제시하였으며 응답자 특성별로 주요 결과변수의 군간 차이를 보았다. 결과변수가 연속형일 경우, 비교군이 2 개일 때는 t-test, 3개 일 때는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변수가 범주형일 때는 chi-square test를 통해 유의수준 0.05, 양측 검정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지식점수 및 약국서비스, 국민건강보험제도 만족도 간의 연관성을 보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응답자 특성별로 약국서비스 희망도 간의 연관성을 보기 위해 로짓회귀분석을 진행하여 사후 분석은 Scheffe 기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총 388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응답자 기본 특성으로 성별, 나이, 최종학력, 보건의료인 유무가 수집되었으며 총 388명 중 남자는 146명, 여자는 242명이었으며, 나이는 19세~29세가 54명, 30세~39세가 149명, 40세~49세가 31명, 50세~59세가 60명, 60세~69세가 81명, 70세 이상이 13명이었다. 최종학력으로는 중졸 이하가 4명, 고졸이 34명, 대졸(재학생 포함)이 272명, 대학원졸(재학생 포함)이 78명이었다. 보건의료인은 67명, 비보건의료인은 321명이었다. 응답자들의 약이나 약국서비스 및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지식은 언론보도 등 대중매체, 인터넷 검색, 의사 또는 약사, 지인, 간행물 등 교육자료 및 기타로 중복 응답을 허용했으며 주로 인터넷 매체를 통해 습득하는 비중이 3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중 오직 3.6%만이 지식 부족으로 인한 답답함을 전혀 느낀 적 없다고 평가하였으며 나머지는 거의 없음이 31.4%, 가끔 있음이 56.2%, 자주 있음이 8.8%로 부족한 지식에 대해 고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국서비스 및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지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11개 문항의 점수는(11점 만점 기준) 평균 점수는 7.0점(표준편차 2.0)이었다. 약국서비스 및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 각각 평균 3.6점과 3.7점이었다. 응답자 특성에 따른 지식점수의 차이를 보면, 연령(p-value 0.015), 최종학력(p-value 0.000) 및 보건의료인 여부(p-value 0.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식 부족으로 인한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관련 교육을 약국에서 받기를 희망하는지에 대해 로짓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지식점수가 7점 미만인 군에서 유의하게 약국에서 관련 교육을 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p-value 0.006). 약국 이용과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지식점수와 약국서비스와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만족도 점수 간 선형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결론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약국약사의 직능 중 하나인 처방검토 서비스에 대해 아는 군과 모르는 군 사이에서 약국서비스 만족도가 각각 3.4점, 3.7점으로 정답자가 오답자보다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다(p-value 0.001). 다수의 응답자들에게서 약국서비스 및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어 약국에서 해당 교육을 받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가장 건강 관련하여 관심이 많은 40세~59세에서 지식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보건의료 관련자일수록 지식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약국서비스에 대해 인지도가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약국서비스 만족도 평균이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식점수가 7점 미만인 군에서 약국에서의 교육을 희망한다는 점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Customer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pharmarcist service in developing the pharmacy’s sustainable future. Customer rights have grown substantially and as medical information can be readily accessible through online sources, expectations from the customer towards medical service providers have also grown. In various past studies, it has been proved that as customer’s right to know is guaranteed, the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they were provid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n pharmacy service under the current national healthcare system and analyze whether it had relevance to customer satisfaction towards pharmacy service and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format of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total of 22 questions asking past experience of visit to community pharmacy, knowledge on pharmacy service and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current perception on pharmacy service and the future expec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questions on knowledge on pharmacy service and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questions about over-the-counter drug, ethical drug, pharmacies open on holidays, two prescriptions for the pharmacy and the patient, pharmacist’s role in double checking the prescription, pharmacist’s role of alternate dispensing under the same INN, MFDS’s control over drug sale margin, fee for service, copayment, required registration for all citizens and sequencial escalation of medical service were included. Subjects were recruited based on various network with an aim of sample size 385. On June 14th 2021,,Certificate for exemption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nd the survey was initiated from 19th July, 2021 to 13th August, 2021 by distributing it on online with google form. Microsoft excel 2019 and IBM SPSS Statistic 21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N(%)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ere suggested based on each questions and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For continuous variables, t-test for two compare groups, ANOVA for three compare groups were used for analysis and for categorical variables, chi-square test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suggested with significant level of 0.05, two-tailed test. Finally, to analyze relevance between knowledge level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pharmacy service and national healthcare system each respectively, linear regression was done. To observe relevance for responder’s characteristics and their desire to receive education from the community pharmacy, logistic regression was done with post-hoc analysis with Scheffe. Total of 388 responders were analyzed. Subjects’ characteristics included gender, age, final education and relevance to the healthcare field. Out of 388 subjects, 146 were male and 242 were female. 54 were 19 to 29 years ole, 149 were 30 to 39 years old, 31 were 40 to 49 years old, 60 were 50 to 59 years old, 81 were 60 to 69 years old and 13 were 70 years and older. For final education, 4 only completed the required education, 34 completed highschool, 272 were college graduates or attending and 78 completed graduate school or were attending. Of 388, 67 were healthcare providers and 321 were non-healthcare providers. The responders were asked to multiply choose where they usually receive information on drug, pharmacy service and national healthcare system from a choice of public sources, internat search, doctors or pharmacist, friend, educational sources and others. It was found out that 34.2% of the responders find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Only 3.6% of the responders stated that they did not feel frustrated from lack of knowledge and 31.4%, 56.2%, and 8.8% responded that they felt frustrated time to time, fairly often, and very often, each respectively. The mean score for the 11 questions on pharmacy service and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was 7.0 with standard deviation of 2.0 and the mean score for customer satisfaction for pharmacy service and national healthcare system was 3.6 and 3.7, each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ustomer satisfaction scores for characteristics of age (p-value 0.015), education degree (p-value 0.000)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healthcare providers (p-value 0.013).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group who had total score less than 7, significantly wished for education at the pharmacy (p-value 0.006). From linear regression between the total knowledge score and customer satisfaction score, no significant result was derived. However, those who knew the role of community pharmacist had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with mean customer satisfaction score of 3.4 and 3.7 (p-value 0.001). Majority of responders wished that they could receive education to relieve frustration on lack of knowledge from the local pharmacy. Especially in age group 40 to 59 years old who have the most interest in health, their knowledg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higher their education degree and healthcare providers had higher knowledge scores. From this study, those who knew the role of community pharmacists had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know the role of community pharmacists and the fact that those who received score less than 7 wished for education at the community pharmacy implies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