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국내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김승주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국내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에 대하여 일반적인 특성, 개입방법 및 결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결과변수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개입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설계방식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제공한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및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에 앞서 프로토콜(Protocol)을 작성하였으며, 문헌탐색을 위한 핵심질문을 PICOTS-SD(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s, Outcomes, Time, Settings, Study Design)의 기준으로 구체화하였다. 국내 7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총 39개의 주제어(Keyword)로 검색한 결과, 최초 수집된 문헌은 총 13,497편이었으며, 관련 서지정보는 EndNote X9.3.3(Clarivate Analytics) 프로그램으로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4,218편의 문헌이 중복되어 제외했으며, 나머지 9,279편의 문헌에 대해 초록 및 논문 일부를 확인하였다.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무관한 문헌이나 학술대회 발표자료, 초록 등 논문의 일부만 제시된 경우 등 8,660편을 제외하고 619편의 문헌을 선별하였다. 619편의 문헌에 대해 전체 내용을 검토한 결과 고찰논문, 사례연구 등 비개입연구를 제외하였고, 개입연구 중에서 암 환자가 대상이 아닌 부모, 형제, 배우자, 간병인 등을 대상 연구를 제외하였다. 그 결과 482편이 제외되어 137편을 2차로 선정하였으며, 개입내용이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와 효과크기 산출을 위한 통계수치가 적절하게 보고되지 않은 127편을 제외한 10편을 선정했다. 선정된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RoB 2_v7(The Cochrane's Risk of Bias) 도구를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이 되는 10편의 문헌에 대한 평가영역으로 6가지 영역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대상 연구물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개입의 특성을 목록화한 연구 특성 요약표를 작성한 뒤 PASW Statistics 18.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최종 선정 연구물에 대해 RevMan 5.4를 활용하여 메타분석 하였으며, 통합된 연구물들의 동질성을 검증하고자 Forest plot을 활용하였으며, Higgins I-squared statistic을 사용한 통계적 검정을 시행했다. 더불어, 출판 비뚤림을 검증하기 위해 Funnel Plot을 이용해 시각화하여 평가했다. 연구 결과, 국내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은 현재 간호학자들에 의해 집중되고 있으며, 그 대상은 유방암 환자가 대부분인 것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국내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은 암 환자의 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에 관한 국내 최초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이는 국내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확충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는 면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methods, and outcomes with regard to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distress management of domestic cancer patients.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effect size per outcome variables through a meta-analysis, this paper examined the variables that had an impact on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n intervention. Prior to the study, a protocol was established, and the key questions for literature search were determined adhering to the criteria of PICOTS-SD(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s, Outcomes, Time, Settings, Study Design). By utilizing the seven databases in Korea, when a total of 39 keywords were complied to enter into a search engine, a total of 13,497 literature were initially collected and the relevant bibliographic information was organized using the EndNote X9.3.3(Clarivate Analytics) program. The evaluation area of the 10 literatures subject to the final analysis is composed of questions evaluating six areas. After creating a summary table describing the general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literature, using PASW Statistics 18.0,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final selected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using RevMan 5.4, and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integrated studies, we conducted a visual survey using Forest plot and a statistical test using Higgins I-square statistic. In addition, it was visualized and evaluated using Funnel Plot to verify publishing distortions. Finally,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presented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accordingly.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on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distress in cancer pati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distress in cancer patients in South Korea is currently studied by nursing scholars, and most of the subjects are breast cancer patients. Above all, this study deems significant in that it will be evidence-based data for psychologists perform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managing distress in cancer patients.

      • 밀레니얼 세대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잡크래프팅,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다중매개 효과 중심으로

        박정민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조직구성원의 이직 감소를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 하기 위하여 이직을 예측하는 이직의도에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잡크래프팅,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밀레니얼 세대인 1980년~2000년대생 조직 구성원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514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결과 밀레니얼 세대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이직의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잡크래프팅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잡크래프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 직무만족의 이중매개 효과와 잡크래프팅,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다중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대해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마지막으로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urnover intention predicting turnover and to verify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prepare an intervention plan to reduce turnover of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did To this end, data on organization members born between 1980 and 2000, which is the total millennial generation, was collected, and finally 514 people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Process Macro was used.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millennial generation membe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but job craft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 had no effec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 has a negative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ulti-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e presented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COVID-19 이후 대학생의 집단상담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송윤재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ing after COVID-19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and tried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ace-to-face group counseling' affects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the COVID-19 period.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The step of revealing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COVID-19, the experience with member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and how the relationship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affected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COVID-19 was analyzed by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by 158 meaning units, distinguished 23 subcomponents connected to the upper concept subject, and investigated into 10 components that reveal the essence of experience at the final step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phase, which can abundantly look for and contain the subjective meaning of an individual's experience. The resulting 10 components are 'fewer relationships, lonely and easy to be tired', 'feeling a wall in a relationship in SNS (Social Network Service)', 'doubting themselves and having compulsive behavior', 'living adapted to the state of affairs', 'feeling intimate·warm stability', 'empathizing and expressing while modeling the leader', 'new interacting way is awkward but don't hate', 'focusing on the inner side and revealing honestly', 'finding vitality through trivial fun in relationships', and 'becoming more rigid and flexible'. Participants spent a period of physical isolation during the COVID-19 according to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Male students were serving in the military or waiting to return to school. They recalled some experiences of ‘discomfort, worry, embarrassment, and longing’ due to the physical disconnection during the period with the person that they interacted with daily. In addition, the eagerness for face-to-face exchanges had grown although maintaining minority relationships were available through SNS connection or relationship within quarantine guidelines. Female students chose to take a leave of absence because of consideration of departmental aptitude or maintain their studies, and with the decrease of opportunities to establish relationships, they doubted themselves and obsessively checked their relationships out of anxiety. Participants who started university life in which variation relations must be expended online recalled difficulties in departmental aptitude and relationship adaptation because of online university lif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experienced active empathy and accepted healing responses, and through free and honest patency, change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re facilitated by various experimenting. Through the feedback of the group members, they recognized themselves that they had not recognized before, and advanced to the process of inner healing through fun and reflection in deep and shallow relationships. The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has changed from 'withered, lonely, uncomfortable, and anxious' shown in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COVID-19 to growing into a 'flexible, hardened, honest, and fre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This study qualitatively confi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which changes from 'isolation, loneliness, uncomfortable, and reduced' relations hip characteristics caused by physic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to a 'flexible, hardened, honest, and free' relationship, and, significantly, it provided an empirical basis that 'expan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could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relational difficult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addition,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effective process research were proposed by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COVID-19, university students, group counseling, group counseling process research COVID-19 이후 대학생의 집단상담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보낸 대학생들의 관계 특성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대면으로 시행된 집단상담 참여 후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2학기 집단상담에 참여한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과 집단상담에 참여한 구성원과의 경험, 집단상담에서의 관계경험이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가 드러나는 과정을 현상학적인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인의 경험에 담긴 주관적 의미를 풍부하게 담아낼 수 있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단계에 따라 158개의 의미단위, 상위 개념의 주제로 연결되는 23개의 하위구성요소와 경험의 본질을 나타내는 10개의 구성요소가 규명되었다. 그 결과로 도출된 10개의 구성요소는 ‘관계맺음이 적어지며 외롭고 쉽게 지침’ ,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이어가는 관계에서 벽이 느껴짐’ , ‘나를 의심하며 강박행동이 생김’ , ‘상황에 순응하여 생활함’ , ‘친밀하고 푸근한 안정감을 느낌’ , ‘리더를 모델링하며 공감하고 표현함’ , ‘새로운 교류방식이 어색하지만 싫지 않음’ , ‘내면에 집중하여 솔직하게 드러냄’ , ‘관계 속 소소한 재미로 활기를 찾음’ , ‘내가 더 단단하고 유연해짐’ 이다. 참여자들은 코로나 19시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물리적으로 고립된 시기를 보냈다. 남학생들은 군대복무 중이거나 복학을 기다리던 시기로 일상적으로 교류하던 대상과의 물리적 단절로 인해 ‘불편감, 걱정, 당혹스러움, 그리움’ 등에 대한 경험을 회고하였다. 또한 SNS나 방역지침에 따라 소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대면 방식의 교류에 대한 간절함이 켜졌다. 여학생들은 학과적성에 대한 고려로 휴학을 선택하거나 학업을 유지하였고, 관계맺음의 기회가 축소됨에 따라 자신을 의심하고, 불안함 때문에 강박적으로 관계를 확인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다양한 관계 확장을 통해 대학 생활 적응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를 온라인으로 시작한 참여자는 학과적성 및 관계적응의 어려움을 회고하였다. 참여자들은 집단상담에 참여하며 집단 구성원과의 관계에서 적극적인 공감과 수용받는 치유적 반응(healing response)을 경험하였고, 자유롭고 솔직한 개방을 통해 다양한 실험(experimenting)을 거치며 ‘대인관계적 교류’에 변화가 촉진되었다. 집단원의 피드백을 통해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나를 인식하고, 깊고 얕은 관계에서의 재미와 반영을 통해 내면적 치유(inner healing)의 과정으로 나아간다. 이와 같은 집단상담에서의 경험은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에서 보인 ‘위축되고, 외로운, 불편한, 불안한’ 모습에서 ‘유연하고, 단단해진, 솔직한, 자유로운’ 모습의 상호주관적인 관계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서의 관계경험을 통해 코로나19 시기의 물리적 거리두기로 초래된 ‘고립감, 외로움, 불편한, 축소된’ 관계특성에서 ‘유연하고, 단단해진, 솔직한, 자유로운’ 관계로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질적으로 확인하였으고, 코로나19 시기의 관계적 어려움에 대한 치료적 개입으로서 ‘집단상담의 참여기회 확대’가 고려될 수 있음을 경험적 근거로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점을 통해 효과적인 과정연구에 대한 방법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핵심되는 말 : 코로나19, 대학생, 집단상담, 집단상담 과정연구

      •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교정적 관계 경험

        김민찬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교정적 관계 경험의 특성과 다양한 현상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그 의미들을 탐색하여 효과성을 밝히려는 초기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단계 절차로 나누어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게슈탈트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4명의 내담자들을 인터뷰하여 그들이 받았던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교정적 관계 경험을 확인하고, 그 때 영향을 미쳤던 게슈탈트 상담사의 개입에 대해서 탐색하고, 교정적 관계 경험으로 인한 내담자의 변화를 확인하고, 교정적 관계 경험의 유무에 있어서 다른 이론의 상담과 게슈탈트 상담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 후 두 번째 단계에서는 단일 상담 사례를 선정하여 교정적 관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게슈탈트 상담사의 개입과 이때 내담자의 반응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매 회기 상담일지와 축어록을 분석하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자는 교정적 관계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교정적 관계 경험 인터뷰 질문지와 상담일지를 질적 분석하였고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상담사 개입과 내담자 반응을 면밀히 살펴보기 위해 게슈탈트 상담의 이론적, 실제적인 토대들과 그 토대들을 포함하고 이끌어가는 큰 틀인 4단계 치료절차(주제의 발견, 배경의 탐색, 지금 여기의 활용, 대화적 관계의 적용)를 매개로 하여, 도출된 교정적 관계 경험 인터뷰 내용과 축어록을 연역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상담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효과성 틀을 알아차림 변화 정도와 관계성의 회복 정도로 나누어서 확인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연구결과, 게슈탈트 상담을 경험한 4명의 내담자에게서 11번의 교정적 관계 경험이 발견되었다. 이 중 대화적 관계의 적용 개입이 9회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지금 여기의 활용이 2회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주제의 발견과 배경의 탐색 개입에서는 교정적 관계 경험이 확인되지 않았다. 대화적 관계의 적용 개입에서는 상담사의 투명하고 솔직한 자기개방과 I-Thou적인 태도가 교정적 관계 경험을 촉진하였고 지금 여기의 활용 개입에서는 환경과 상황에 대한 알아차림이 개입이 교정적 관계 경험을 촉진하였다. 효과성 측정 결과, 총 9회의 알아차림 변화 정도에서 1단계 인터뷰 내담자들은 반복적인 사고에 대한 알아차림의 변화가 4회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행동, 욕구에 대한 알아차림 3회, 마지막으로 내적인 힘에 대한 알아차림의 비중이 2회로 높았다. 총 5회의 관계성의 회복정도에서는 상담사와의 관계 변화가 3회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의미있는 인물 또는 일상적 관계가 2회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내담자는 알아차림의 변화로 인해 사건과 상황을 이전보다 통합적이고 객관적으로 보기 시작했고 자기 자신에 대해 지지적으로 변했으며 삶을 더 주도적이고 실존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관계성의 회복으로 인해 못 믿고 있던 상담사를 믿게 되고 지금 여기에서 상담사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다. 이런 상담사와의 깊은 신뢰감을 통해 내담자는 의미있는 인물 혹은 주변 타인과 성숙한 실존적 존재로서 교류해나가고 있다. 교정적 관계 경험이 다른 이론을 가진 상담보다 게슈탈트 상담에서 많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1단계의 인터뷰 내담자는 설명과 해석이 아닌 지금 여기에서 관계를 체험하는 방법이 주된 영향을 끼쳤다고 보고 했고(4회) 그 다음으로 수평적인 관계(2회) 마지막으로 솔직한 상담사의 자기개방(1회)이 보고되었다. 2단계 연구 결과, 개인 상담 사례는 총 6회기 진행되었고 전체 상호 작용 단위의 수가 496개였으며, 총 9번의 교정적 관계 경험이 발견되었다. 1단계와 마찬가지로 대화적 관계의 적용이 8번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지금 여기 활용이 1번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주제의 발견과 배경의 탐색 개입에서는 교정적 관계 경험이 확인되지 않았다. 대화적 관계의 적용 개입에서는 1단계와 마찬가지로 상담자의 투명하고 솔직한 자기개방과 I-Thou적 태도가 내담자의 교정적 관계 경험을 촉진하였고 지금 여기의 활용 개입에서는 상담사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이 교정적 관계 경험을 촉진하였다. 효과성 측정 결과, 총 6회의 알아차림의 변화 정도에서 개인 상담 내담자는 신체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변화가 3회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정서에 대한 알아차림이 2회, 마지막으로 신체 상태와 정서의 복합적인 알아차림의 비중이 1회로 높았다. 총 3회의 관계성의 회복 정도에서 상담사와의 관계 변화가 2회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의미 있는 인물 또는 일상적 관계가 1회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내담자는 알아차림의 변화로 인해 지병으로 무너져 있던 현실감각이 돌아오고 감각들을 자각하고 동시에 환경과 접촉하기 시작했고 관계성의 회복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타인을 지금 여기에서 있는 그대로 보기 시작했다. 교정적 관계 경험이 다른 이론을 가진 상담보다 게슈탈트 상담에서 많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2단계의 개인상담 내담자도 1단계와 마찬가지로 지금 여기에서 관계를 체험하는 방법이 주된 영향을 끼쳤다고 보고했다. 본 연구는, 순전히 내담자의 내적 경험이라고 인식되었던 교정적 관계 경험에서 상담사의 역할 및 이론적 지향, 즉 게슈탈트 상담사의 태도, 개입, 기법과의 연관성에 한 층 더 가까이 접근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핵심되는 말 : 교정적 관계 경험, 게슈탈트 상담, 상담과정, 상담성과

      • 중년기 가톨릭 수도자의 소명 의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순차적 매개효과

        최희정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중년기 가톨릭 수도자의 소명 의식,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소명 의식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을 거쳐서 삶의 만족도에 이르게 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톨릭교회에서 인준한 수도회에 소속되어 있는 전국의 40~60세의 중년기 남·여 수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9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는 283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소명 의식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심리적 소진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심리적 소진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소명 의식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각각의 매개효과는 유의했다. 셋째, 소명 의식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을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중년기 가톨릭 수도자들이 직면하는 도전과 중년기 전환을 경험하며 정체성 혼란과 소명 의식의 상실을 겪는 상황에서 소명을 다시 발견하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 및 추후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correlations among the sense of vocation,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Catholic religious, and prov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that the sense of vocation of these religious has on their life satisfaction as they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male and female religious aged from forty to sixty who belong to religious orders approved by the Catholic Church nationwide, by using the sense of vocation,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as its scales. Of the 289 questionnaires collected, 283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with the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4.1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shows that the sense of vo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but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burnout.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whereas psychological burnout h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ly, both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ense of vocation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it became evident that their sense of vocation has sequential impact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perceived from the experiences of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as basic data to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al programs that can help middle-aged Catholic religious rediscover their vocation and enhance their life satisfaction as they transit into middle-age, face challenges, undergo identity crisis, and lose their vocation. They will also be able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further research.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성인 초기의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조은혜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mother psychological control, performance anxiety,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anxiety, and whether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cts as a mediator when psychological control. Through this research,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parents. To this end, 246 Korean adults aged 20 to 29 were surveyed online wit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at includ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ormance anxiety,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4.1.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ormance anxiety,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econd, due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and performance instability of the father and mother, th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s, including mothers,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performance anxie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performance anxiety throug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t can also be said that not only minor children but also adults are affected by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parents, suggesting that the role of father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seeking ways to prevent or reduce performance anxiety. Finally, by confirming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erves as a parameter to amplify anxiety, it will help to create a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for clients suffering from performance anxiety. Keywords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ormance Anxiety,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자녀가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인 수행 불안, 그리고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수행 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추후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해 수행 불안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이를 위해 246명의 대한민국 성인 20세 ~ 29세 남녀를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행 불안,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를 포함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 분석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행 불안, 평가염려 완벽주의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수행 불안의 관계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각각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모를 포함한 부의 심리적 통제 역시 수행 불안에 비슷한 수준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매개로 하여 수행 불안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성년자 자녀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자녀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행 불안을 예방 혹은 감소시키려는 방안을 모색할 때 부의 역할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임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불안을 증폭시키는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수행 불안으로 고통받고 있는 내담자들의 치료적 개입 방법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핵심되는 말 :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행 불안, 평가염려 완벽주의

      • 교정적 관계 경험 후 내담자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최윤정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analyzed the vivid statements of the client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how the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s(CRE) would affects the client and lead to the client's life from the process of the change in counsel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7 counseling psychology-related majors who had CRE in counseling, and 41 sub-participants and 10 participan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After CRE, the client's life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relational change, and it would be in the context of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the counselor, myself, major others, general others, and my counseling. A client who has CRE 1) not only trusts the counselor as an expert, but also becomes humanly intimate, and 2) facilitates emotional interaction with the counselor and can exist in its original form. This change with the counselor leads to a change in oneself, and 3) maintains a daily life by overcoming difficulties with the inner voice, and 4) accepts and takes care of me and lives on my own. Afterwards, 5) a client will accept family and friends who are expected to be close and safe around me, make new attempts, and move into the direction as I want, and 6) receive respect and sympathy from family and friends. On the other hand, 7) there are still problems that are painful and have not been solved with family. Gradually, 8) a client feel like the life is worth living because it looks favorable and safe to me, 9) which allows to interact with people happily and sincerely in my own way, and 10) to grow into a counselor. 에서의 변화가 내담자의 삶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내담자의 생생한 진술들을 분석하였다. 상담에서 교정적 관계 경험을 한 상담심리 관련 전공자 7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41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교정적 관계 경험 후 내담자의 삶은 관계에서의 변화라는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었고, 상담자, 나, 주요 타인, 일반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내 상담이 구성 요소 간에 맥락적 구조로 있었다. 교정적 관계 경험을 한 내담자는 1)상담자를 전문가로서 신뢰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 친밀해지며, 2)상담자와 정서적인 상호작용이 원활해지고 나 본연의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상담자와의 이러한 변화는 자기의 변화로 이어져 3)힘들 때 내 안의 목소리와 함께 이겨내며 일상을 유지하고, 4)나를 수용하고 돌보면서 삶을 주체적으로 살게 된다. 이후에 주위의 가깝고 안전하다고 예상되는 5)가족과 친구를 수용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며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고, 6)가족과 친구에게 존중과 공감을 받게 된다. 반면에 7)아직도 아프고 가족과 풀지 못한 문제가 남아있기도 한다. 점차 8)세상이 나에게 호의적이고 안전하게 보여 살만하다고 느껴지고, 9)사람들과 내 모습대로 즐겁고 진솔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게 되며 10)상담자로 성장하게 된다.

      • 건강행동 변화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최종예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승인한 국외 당뇨병 디지털 치료제 연구를 토대로 환자의 실제적인 건강행동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설계는 주제 범위 문헌 고찰 방법론과 PRISMA-ScR에 따라 디지털 치료제가 출시한 2017년에서 2023년 출간된 영어 논문 검색을 통해 진행하였다. 국의 디지털 치료제 임상시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출간된 문헌을 중점으로 검토하였다. 문헌 검색은 PubMed,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MEDLINE, EMBASE, PROSPERO, Google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제조사 사이트에 게재된 연구 자료를 수동 검색하였으며, 초록 및 논문 일부를 확인하였다. 학술적 연구 목적으로 작성된 문헌, 임상시험 미 시행 문헌, 하드웨어 의료기기 초점을 맞춰 디지털 치료제에 중점 되지 않은 문헌은 제외하였다. 디지털 치료제를 이용한 환자의 건강행동 기준은 미국 당뇨병 협회(AADE)에서 제공한 AADE7(AADE7 Self-Care Behavior)의 당뇨병 자가 관리 프레임워크를 근거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는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승인 후 출시한 제조사(LabStyle Innovations, Voluntis, Sanofi, HYGIEIA, WellDoc)의 임상시험 논문을 선정하였다. 국외 5개 데이터베이스와 기타 사이트에서 총 13개 검색어(Keyword)를 사용하여 최초 검색한 문헌은 112편이었다. 선별 과정에서 중복 문헌과 초록 및 문헌의 일부만 제시된 경우는 제외하고 70편을 선별하였다. 2차로 임상시험 미 시행 문헌, 하드웨어 의료기기 초점을 맞춘 문헌, 학술적 연구 목적으로 작성된 문헌 59편을 제외하여 11편을 선정하였다. 검토한 디지털 치료제 논문의 건강행동 도출 빈도를 살펴보면, ‘모니터링’ 건강행동 변화는 100%(11/11편)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한 대처’와 ‘건강한 식습관’은 81.8%(9/11편)로 두 번째로 높은 건강행동을 나타냈다. 그다음은 ‘약물 복용’으로 72.7%(8/11편)의 건강행동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환자의 건강행동 변화에 따른 디지털 치료제의 효과성은 대체로 긍정적인 임상적 검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중 Insulia, My Dose Coach 관련 일부 논문에서 환자의 심리적 개선 상태를 제시하였다. WBI(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ellbeing Index), 환자 만족도, 자기 효능감 설문을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면, ’위험 감소’와 ‘문제 해결’ 건강행동 연구와 그에 따른 임상적 결과는 부재하였다. 본 연구는 검증된 당뇨병 디지털 치료제의 주제 범위 문헌 고찰을 통해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한 환자에게 나타나는 건강행동 변화를 확인하였다. 당뇨병 디지털 치료제는 환자의 실제적인 건강행동 변화를 나타나게 하며, 긍정적인 임상시험 결과로 치료적 확증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각 제조사별 당뇨병 디지털 치료제의 기능 특성에 따른 환자의 건강행동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당뇨병 환자에게 다각적인 건강행동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연구를 통해 디지털 치료제의 개선 방향과 질적 의료 서비스의 제공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강박신념의 관계: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황요한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기에 외상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이 이후 성인기에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증상 중 강박신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그 관계 사이에서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 및 환자를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60만 명의 패널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온라인 리서치 전문기관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고,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에서 39세 사이의 성인 총 41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2022년 08월 24일부터 08월 31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410명의 응답 중 불성실 및 무효 응답한 32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7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과 Hayes의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와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통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시행하였다. 둘째,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 강박신념, 특질불안, 초기 부적응 도식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강박신념의 관계에서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 개별 매개효과는 Macro Model 4로 분석했고, 다음으로 특질 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을 순서대로 투입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acro Model 6으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Bootstrapping을 사용하였으며, 재추출한 표본 수는 5,000개이고 95% 신뢰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첫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특질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특질불안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특질불안이 투입된 이후에도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특질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초기 부적응 도식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초기 부적응 도식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초기 부적응 도식이 투입된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초기 부적응 도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특질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특질불안이 초기 부적응 도식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초기 부적응 도식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때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두 매개변인이 순차적으로 투입된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과 강박신념의 관계에서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매개 효과는 완전매개 효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이후에 성인기에 나타나는 강박증상과 관련된 심리적 문제들에서 특질불안과 초기부적응도식에 초점을 맞춘 치료의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 experiences that people had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their obsessive belief, one of the many diverse psychological problematic symptoms they might suffer in adulthood, and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on their relationships, thus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psychopathology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t som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a survey to test them. For this study, a survey was requested to a domestic online research institute with 1.6 million panel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24~31, 2022 with a total of 410 adults between the ages of 19~39 who were randomly selected around the nation. The data of 378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nalysis after 32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or insincere or invalid respons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6.0 and Hayes Macro 4.1 programs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and following order: First,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distribution of major variables with each scale tested for reliability (Cronbach’s α). Second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bsessive belie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Thirdly,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obsessive belief were analyzed with the Macro Model 4.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were put in sequentially and analyzed with the Macro Model 6.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as tested through bootstrapping. The number of re-extracted samples was 5,000, and they were tested at a reliability level of 9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rait anxiety,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ti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even after trait anxiety was put in. That is, trait anxie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obsessive belief. Secondly,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arly maladaptive schema,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After early maladaptive schema was put i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That is,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obsessive belief. Finally,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rait anxiety,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arly maladaptive schema,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After two mediating variables were put in sequentially,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which demonstrates that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full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obsessive belief.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in the application of therapies focused on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among the psychological issues related to an obsessive tendency in adulthood after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