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건소에 근무하는 방문간호사의 통합의학에 대한 이해도와 실무적용도 조사

        송상윤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방문간호사를 대상으로 통합의학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여 통합의학의 교육을 이수한 방문간호사와 이수하지 않은 방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실무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방법과 실무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국 보건소에 종사하는 방문간호사 6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지 형태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성별은 68명 중 59명이 여자였고 9명이 남자였으며 교육의 유무는 통합의학의 교육을 받은 그룹은 전체의 52.94%로 조사되었고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은 47.06%로 나타났다. COVID-19로 인하여 대면조사로 진행하기 어려워 온라인 설문조사 도구인 SurvayMonkey 웹링크룰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해도 및 실무적용과 관련된 22항목을 조사하여 t-test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보건소에 종사하는 방문간호사의 통합의학의 적용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통합의학에 적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보수교육 및 정규교육을 마련할 근거가 필요하다. 2) 통합의학의 교육을 이수한 방문간호사들이 습득한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생활습관개선을 위한 교육과 조언에 도움을 주었다. 3) 이를 근거로 향후 간호사들의 통합의학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된다.

      • 국내 암환자의 보완대체의학(CAM) 이용 및 실태 연구에 대한 고찰

        이유란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A Review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Use and Trend in Korean Cancer Patients. A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analyze literature on the experiences and status of CAM use among Korean cancer patients, in order to identify areas for future research and to provide up-to-date information. Methods: I used the PRISMA systematic review flow diagram to search five academic databases (RISS, Kmbase, DBpia, Google Scholar,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using keywords such as "cancer", "malignant tumor", "cancer patient", "integrative medicin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use", "status", "current situation", "determinant", and "experience". And then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by reading the titles and abstract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18 selected studies was 5,397. The cancer types of the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breast cancer (1,017), gastric cancer (917), colorectal cancer (484), liver cancer (459), and lung cancer (368). CAM users numbered 3,561 (65.98%), with 1,204 (58.5%) of men and 1,613 (66.3%) of women using CAM. The most common CAM method was dietary and nutritional therapy, with a utilization rate of 42.2% to 153.2%. The next most common method was oral intake of products such as herbs, spices, vitamins, and supplements. CAM users were mostly introduced to CAM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and friends. They started using CAM because of hearing about the improvement of their condition, the expectation of treatment effects, and the desire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hospital treatment. Of the users, 44.7% were satisfied with their use of CAM, 57% saw effects, and 6.7% experienced side effects. 78.9% planned to use CAM again, and 66.5% said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However, most users (50.2% to 86.3%) did not discuss their use of CAM with their healthcare provi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ing the utilization rate, methods, sources of information, and determinants of CAM use among Korean cancer patien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tudies in Europe and Australia. CAM use was also found to be higher among women, high-income earners, and the highly educated, which is also consistent with overseas studies. However, while high levels of satisfaction, future use plans,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CAM were found in all categories, there were few side effects. However, most CAM users in Korea did not consult with medical professionals at a level similar to the results of many countri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of the latest stud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71.8%) and Italy (59.6%). Conclusion: The utilization rate of CAM among Korean cancer patients is at or above the international average, and the overall trend is similar.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academic research,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ctive research, including safety, to demonstrate scientific evidence and effect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s regarding CAM use, as there is a potential risk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CAM use according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taking into account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industry. Key words: cance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utilization rate, methods, determinants, side effects, satisfaction, effects, medical consultation. 국내 암환자의 보완대체의학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이용 및 실태 연구에 대한 고찰 연구의 목적: 국내 암환자의 보완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 e Medicine) 이용 경험 및 실태를 연구한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가 필요한 영역과 최신 정보를 얻을 필요성을 확인하고 제시하고 자 하였다. 방법: PRISMA의 체계적 문헌 고찰 흐름도를 적용하여 5개의 학술 database(RISS, Kmbase, DBpia, Google scholar, 국회도서관)를 이용하여 “암”, “악성종양”, “암환자”, “통합의학”, “보완대체”, “보완대체의학”, “보완 대체요법”, “이용”, “실태”, “현황”, “결정요인”, “경험” 등의 키워드 조합으 로 검색하여 얻은 결과에서 직접 제목과 초록을 보고 선별하여 분석을 진 행하였다. 결과: 선정된 문헌 총 18편의 총 대상자 수는 5,397명으로 암종별 대상자 는 유방암 1,017명, 위암 917명, 대장암 484명, 간암 459명, 폐암 368명 순 이었다. CAM 이용자는 3,561명(65.98%)이었으며 남성은 2,055명 중 1,204 명(58.5%)이 이용하였으며 여성은 2,548명 중 1,613명(66.3%)이 이용하였 다. CAM 이용 방법은 식이영양요법이 42.2%∼153.2%의 비율로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약초, 허브, 비타민, 보조식품 등 구강 섭취 제품 이용률이 높았다. 이용자들은 주로 가족과 친구의 권유로 CAM을 접하게 되었으며 주위로부터 병세의 호전 소식, 치료 효과 기대, 병원 치료의 한계 와 부족함을 보완하고자 이용을 시작하였다. 이용자의 44.7%가 CAM 이용에 만족하였고 57%가 효과를 보았으며 부작 용을 경험한 환자는 6.7%이었다. 78.9%가 다시 CAM을 이용할 예정이었으 며 66.5%가 타인에게 권유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50.2%∼86.3% 비 율로 대부분의 이용자는 CAM 이용에 대해서 의료진과 상의하지 않았다. 국내 암환자의 CAM 이용률, 이용 방법, 알게 된 경로, 이용 결정요인의 결과가 유럽, 호주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CAM의 이용이 여성, 고소 득자, 고학력자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결과 또한 해외 연구와 일 치하였다. 만족도, 향후 이용계획, 타인 권유 의향의 항목에서 모두 높은 수준의 응답과 부작용이 적었음이 확인되었지만, 국내 CAM 이용 암환자 의 대부분은 다수의 국가의 결과와 비슷한 수준으로 의료진과 상의하지 않 았으며 일부 최신 연구 중 미국(71.8%)과 이탈리아(59.6%)의 연구에 있어 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국내 암환자의 CAM 이용률은 국제 평균 또는 그 이상이며 전체적 으로 같은 흐름을 보이나 학술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안정성을 포함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와 효과의 입증이 이루어져야 한 다. 의료진과 환자의 CAM 이용에 대한 소통의 부재로 인해 잠재적 위험 성이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으며 CAM 이용에 대한 상의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암환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CAM 이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급속히 변화하 는 환경과 산업을 고려하여 발 빠르게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핵심되는 말 : 암, 보완대체의학, CAM, 이용률, 이용방법, 이용결정요인, 부작용, 만족도, 효과, 의료진 상의 여부, (10낱말 이내)

      • 의료 방사선 환경내의 기회 감염 정도와 관련요인

        박호성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의료 기술의 발달과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국민 대다수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그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많은 환자들이 영상의학과를 찾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영상의학과는 병원 감염의 위험성이 큰 부서가 될 수 있다. 병원은 다른 어떤 산업체 못지 않게 위험 요소가 높은 환경이 되어가고 있으나 작업 종사자의 병원 감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상의학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나 결국 환자와 직원의 2차 감염의 매개체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영상의학과를 대상으로 진단용 장비 테이블과 손잡이, 방사선사의 손을 대상으로 병원균 실태를 파악하였다 도구는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일반촬영 장치에서 검채 13개와 각 방사선사의 손에서 얻은 검채 44개를 멸균면봉으로 채취하여 증식시키는 방법으로 세균을 증식하여 그 수와 종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병원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 44명에게 검사장비의 위생과 관리에 대한 인식도 1문항, 세균감염에 대한 가능성 인지 1문항, 손 위생 실시여부 1문항, 병원의 손 위생 환경의 만족도 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square test의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병원감염관리에 환경의 조성과 인식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p<.001). 그리고 대학병원의 경우 올바른 손 위생이 이루어 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에도 개인병원 방사선사 보다 많은 수의 세균이 증식하였다(p<.05). 이는 대학병원이 개인병원에 비하여 더 기회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환자와 작업 종사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 병원균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상의학과를 만들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and the growth of household incomes, most of the people have become to be interested in health as it leads to significant early detection and cure of diseases. However the pattern of disease becomes diverse and it makes the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crowded with many patients. Therefore the opportunistic infection could be serious there. The hospital becomes the place which provides high risks of infection danger but it is true that the opportunistic infection of the hospital employees is not still recognized well. The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has developed a lot but it becomes the medium of secondary infection of patients and employees. So this study analyzesthe status of bacteria infection of the examination table, the handle of diagnostic equipment and the hands of radiation staffs in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of the general hospitals and individual ones. And the result shows that some bacteria were found even though it's little. We are trying to make the hospitals to be free of secondary infection securing safety measure to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from occurring to patients and hospital employees. Key Words : Infection, opportunistic infection, prevent

      • 생활습관의학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회복탄력성과 신체 조성, 혈압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정아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생활습관의학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회복탄력성과 신체조성, 혈압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의학적,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생활습관의학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회복탄력성과 신체조성, 혈압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며, 생활습관의학 프로그램의 6가지 영역(운동, 식습관, 수면, 중독절제, 스트레스관리, 사회적 관계성)을 동시에 중재하여 실험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3주이며, 21일 PMA(positive mental attitude)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이는 긍정적인 정신 태도로써 정신적 습관 변화를 위해 몰입해야 하는 최소의 시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모집 공고를 통해 중‧장년층(30∼64세)을 대상으로 중증질환이나 만성질환이 없는 일반인을 선별하여, 무작위배정(stratified randomization) 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6명(실험군과 대조군 각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생활습관의학 프로그램의 6가지 영역별로 FITT 처방하여 중재하였고, 연구자가 고안한 실행표에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운동에 대한 모니터링은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평소의 생활습관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국형 회복탄력성(KRQ-53)은 3개의 소그룹(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그룹당 3가지의 세부 하위요인(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 자아낙관성, 생활 만족도, 감사도)으로 나누어지며, 모든 요인의 점수를 합산한 것이 KRQ-53 의 총점이 된다. 본 연구 결과, 실험군의 회복탄력성 변화는 그룹 내에서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조군은 충동통제력과 소통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그룹 간의 변화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동통제력은 각 그룹에서 공통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유일한 요인이었다. 신체 조성의 변화는 실험군의 체중(p<0.000)이 중재 전 63.92±11.19kg에서 중재 후 62.56±10.60kg으로, BMI(p<0.015)가 중재 전 23.68±2.78kg/㎡에서 중재 후 23.42±3.78kg/㎡로, 체지방률(p<0.000)이 중재 전 27.09±4.77%에서 중재 후 24.43±5.36%인 것으로 나타났고, 각 그룹 간의 체중, BMI, 체지방률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수면만족도는 실험군(p<0.001)이 중재 전 55.11±13.21점에서 중재 후 65.27±6.60점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그룹 간의 중재 전과 후의 변화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23). 혈압의 변화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과 후에 유의미한 결괏값이 도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특성을 토대로 기타 제한점을 보완하여 건강 습관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그 결과로써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 실질적인 방안이 도출된다면, 국가적으로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초고령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대책 마련에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핵심 되는 말 : 생활습관의학, 21일 PMA, 회복탄력성, 만성질환, 감사일기, 수면만족도, 초고령화사회, 습관형성, 중독절제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a medically and scientifically based lifestyle medicine program on resilienc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sleep quality in middle-aged by simultaneously intervening in 6 areas of lifestyle medicine (physical activity, healthful eating, sleep, avoid risky substances, manage stress, and relationships).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3 weeks, and the 21-days positive mental attitude (PMA) program was applied, which is the minimum time required to change mental habits with a positive mental attitude. In this study, middle-aged(30-64 years old) without serious or chronic diseases were selected through recruitment announcements, and stratified randomization was performed, and a total of 36 participant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the control group) were finally includ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diated by prescribing FITT for each of the six areas of the lifestyle medicine program, and was asked to fill in the workbook created by the researcher, and used a smartphone app to do monitoring, especially for physical activity.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y did not change their regular lifestyle. Results: The Korean Resilience Questionnaire (KRQ-53) is categorized into three subgroups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and positivity), and each group is divided into three subfactor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cause analysis, communication, empathy, self-expansion, self-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thankfulness), and the sum of the scores of all factors is the total score of the KRQ-5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nge in 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except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in the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ulse control and communication, and the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articularly, impulse control was the only factor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common in each group.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weight (p<0.000) decreased from 63.92±11.19Kg before intervention to 62.56±10.60Kg after intervention, BMI (p<0.015) decreased from 23.68±2.78Kg/㎡ before intervention to 23.42±3. 78 Kg/㎡, and body fat percentage (p<0.000) decreased from 27.09±4.77% before the intervention to 24.43±5.36%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 BMI, and body fat percentage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sleep satisfaction from 55.11±13.21 before intervention to 65.27±6.60 after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01), and the change from pre- to post-intervention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 (p<0.023). The change in blood pressur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compensate for other limitations so that health habits can be maintained efficiently and continuously. Therefore, if specific and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lifestyle diseases can be derived, it will be useful for reducing healthcare costs in the country and for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the change to an super-aging society. Keywords : lifestyle medicine, 21-days PMA, resilience, chronic diseases, sleep satisfaction, super-aging society, habit formation, gratitude journal, avoid risky substances

      • 국내 의료보건직 종사자들의 보완대체의학 인식도에 관한 문헌 고찰

        정은양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국내 의료보건직 종사자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한 논문들을 통합, 고찰하여, 기존 논문들의 수적, 지역적 데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대체의학의 유용성과 교육의 필요성, 발전과제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의료 보건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인식정도, 교육의 필요성, 유용성을 파악 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문헌 선택 방법으로는 국내를 기준으로 데이터 베이스 DB pia,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RISS), NDSL을 통해 학술지 및 학위 논문 및 자료를 검색하였다. 검색된 데이터 중에서 실증분석으로 조사 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최종 15건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논문에서 의료보건직 종사자는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에 대해 높은 퍼센트로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둘째, 교육경험 및 유무 그리고 동기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50% 이상 없었다가 많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나 환경이 열악한 안타까운 현실을 보여주고 있어 배우고는 싶으나 환경이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보여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필요성과 이용 유무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의사와 간호사, 물리치료사와 요양보호사, 약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직군에 따른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유용성은 조금은 차이를 보였으나 이에 대해 종합적으로는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유용하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유용성은 그 자체로서의 기능보다는 현대 의학적 치료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크게 나타난다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및 연구기관의 확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보완대체의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되기 위해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재교육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적 장치들이 고안되고 발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grates and examines papers that have identified the aware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Korean healthcare worker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numerical and regional data of existing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based on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recogniti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medical health workers from the selected data. DB pia,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and NDSL were used to search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the searched data, the survey data were selected and the final 15 data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found. First, in most papers, a high percentage of health workers said they knew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econd, many results were shown that there was no more than 50%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motiv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learn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ut had to face the unfortunate reality because of absence for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oor environment. Third, the necessity and us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show high positive results overall. The useful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doctors, nurse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ing care practitioners, pharmacists, clinical pathologists, and radiation technologists showed some differences, but overall, it is recognized as useful. However, the main answer was that the useful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ppeared more as an anxiliary means of modern medical treatment than as a function of itself.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 institutes that can provide scientific evidence and stability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he importance of reeduc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o health care providers cannot be overlooked, so tha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n be provided quickly and accurately. Therefore, institutional devices need to be devised and developed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n patients and help them to access smoothly. Keywords :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wareness, Healthcare Worker, Medical Worker, Health Care

      • 등세모근 비대 및 근막통증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A의 최소 유효용량

        한아름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A hypertrophic superior trapezius is related to shoulder pain caused by myofascial pain syndrome as well as aesthetic problems that make the neck look short. In the past,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local anesthetics, steroid injection treatment, or physical therapy such as stretching and massage have been implemented to improve such pain, but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reatment using botulinum toxins is effective in reducing pain. Although botulinum toxin A is frequently used for aesthetic purposes and pain relief in actual clinics, there is no study on an minimum effective dose that can achieve satisfactory effects while avoiding side effect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50U as a therapeutic dose for alleviating pain in the trapezius region, bu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minimum effective dose by comparing the therapeutic effect at 40U, which is less than 50U.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effects of botulinum toxin A 40U injection with botulinum toxin A 50U injection for treatment of MPS and hypertrophy in upper trapezius musc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women in their 20s to 50s (average age, 34.05 ± 7.15 years) who visited dermatology clinics in Seoul.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dministered with botulinum toxin A 40U, and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with botulinum toxin A 50U. Two group was compared change in upper trapezius muscle thickness, pain intensity(VAS, PPT), and aesthetic self-satisfaction after receiving botulinum toxin A.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thickness reduction and VAS pain reduction without any side effects,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PT score in both groups. This means that the dose of botulinum toxin A 40U can effectively reduce muscle thickness and pain showing satisfactory effects without side effects. 위 등세모근 비대증은 목이 짧아 보이는 심미적인 문제 외에도 근막통증 증후군에 의한 어깨 통증과도 관련이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통증개선을 위해 국소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혹은 스트레칭과 마사지와 같은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보툴리눔 독소 A를 이용한 치료가 이용되고 있다. 실제 클리닉에서는 심미적 목적과 통증 개선을 위해 보툴리눔 독소 A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을 피하면서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유효용량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는 등세모근 부위의 통증 개선을 위한 치료용량으로 50U을 제안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50U 보다 적은 40U에서의 치료효과를 비교하여 최소유효용량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의원 피부과를 내원한 20∼50대 여성 20명(평균연령, 34.05 ± 7.1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시험군은 보툴리눔 독소 A 40U을 투여했고 대조군은 보툴리눔 독소 A 50U을 투여한 후 등세모근 두께의 변화, VAS, PPT 통증강도의 변화 및 미적 자기 만족도를 두 그룹내 그리고 그룹간에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어떤 부작용 발생도 없이 근육두께 감소와 VAS통증 감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그룹간의 변화량의 차이는 모든 특정 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PT 점수는 대조군 50U그룹의 그룹내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40U과의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보툴리눔 독소 A 40U의 용량으로도 근육두께와 통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도 부작용 없이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 한국 야생초차의 효능에 대한 문헌정리

        박세원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된 야생 전통차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야생초차의 음용은 건강한 마실 것을 모두‘차’라고 부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보편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의 범주에 들지 않고, 한의학에서 주로 쓰이는 탕도 아니며, 많은 차 전문가들에게는 정통차가 아니라는 인식 속에서, 오히려 효능이 있는 야생초차의 연구가 지연되고 있으며, 야생초차에 대한 검증되지 않는 효능 설명이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야생차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문헌들을 정리하여,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차의 올바른 적응 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전통 야생초차에 대한 문화와 역사를 계승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뿐만 아니라 기호와 취향이 나날이 다양해져 가는 시대에 흐름에 맞게 야생초차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제 야생차로 이용되는 야생초 또는 야생 식물의 학명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과학 / 의학 논문들을 이용한 문헌 연구(文獻硏究)들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야생초차가 지닐 수 있는 과학적 효능의 범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주요 야생초와 핵심적인 효능은 다음과 같다. 가시오갈피(항염증작용, 뇌허혈 손상후의 세포 보호효과), 구절초(골다공증 개선, 항산화 작용), 다래(식후 혈당 저하, 항알레르기 효과), 돌외(전립선암 세포 증식 억제, 요산 수치 감소), 동백나무(항알레르기 효과, 멜라닌 생성억제), 목련(항알레르기 효과, 항류마티스 효과), 민들레(항균작용, 췌장암세포 증식억제), 연꽃(식욕억제, 스트레스 감소), 벚나무(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항산화작용), 진피(인지능력 향상, 항알레르기 효과), 석창포(우울증 감소, 항알레르기 효과), 익모초(당뇨 개선, 자궁근종 억제), 청미래덩굴(난소암세포 증식억제, 요산 합성감소), 청보리(멜라닌 생성 억제, 항우울작용), 칡(천연 여성호르몬 작용, 피부 주름개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이용되어오는 야생초차의 재료들에 대한 과학적 효능들을 정리할 수 있었으며, 많은 야생초 들이 항염증 작용, 항알레르기 효과, 항암 효과, 항균 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야생초차의 다양한 부위와 제다법을 이용한 효능 분석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효능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tudies on wild plant teas, which have effectiveness for many diseases, are delayed among the perception that they don’t fall under the category of medicine or decoction in oriental medicine and that they are not considered as traditional tea to tea experts; untested explanation of effects of wild plant teas is rampant.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wild plant tea,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proper indication on traditional teas based on it. In addition, it is to succeed to the culture and history of traditional wild plant tea, and newly establish the value of wild plant teas according to the trend that focuses more in health and varies in taste and preference. By researching the scientific names of wild plants that are actually used in Korea for wild plant teas and analyzing the literatures that used relevant scientific/medical researches, the category of scientific effects of wild plant teas was put together. The main effects of wild plants researc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Siberian ginseng(Anti-inflammatory effect, cell protection after cerebral ischemic damage), Korean chrysanthemum(Improvement of osteoporosis, antioxidant effect), Tara Vine(Improvement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ti-allergic effect), Fiveleaf Gynostemma(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decrease in uric acid level), KobusMagnolia(Anti-allergic effect, anti-rheumatic effect), Dandelion(antibacterial effect,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White lotus (Appetite inhibition, decrease of stress),Bombycis mulberry(Anti-allergic effect, Hypotensive effect), Siberian Motherwort(Improvement of diabetes, uterine myoma inhibition), Wild Smilax(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decrease in uric acid synthesis), Forage barley(Inhibition of melanin creation, anti-depressant effect)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scientific effects of wild plant tea ingredients being used in Korea were organized, and the various effects of many wild plan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effect,anti-allergic effect, anti-cancer effectandantibacterialeffect,wereverified. In the future, continuous analysis on the effects of wild plants using various parts and tea-making methods is needed, especially the effects on the human body.

      • 급성기 소아 설사에 대한 동종요법 치료의 효과 : 메타분석

        이재성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연구배경 급성 설사는 전 세계적으로 소아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다. 급성기 소아 설사에 대한 동종요법 치료들의 선행 연구 결과들이 서로 상이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급성기 소아 설사에 대한 동종요법 치료의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통합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하여 급성기 소아 설사에 대한 동종요법 치료를 실시한 네 편의 임상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세 편의 개별화 동종요법 임상연구와 한 편의 동종요법 혼합치료 임상연구를 조사하였고, 임상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편의 개별화 동종요법 임상연구들의 설사에 대한 동종요법의 효과를 알기 위하여 설사 지속기간과 하루 동안의 배변 횟수에 대하여 고정효과 모형을 통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동종요법 혼합 치료 임상연구를 포함한 네 편의 임상연구의 하루 동안의 배변 횟수에 대한 동종요법의 효과를 모수효과모형을 통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 편의 개별화 동종요법의 통합된 결과에서 동종요법 치료가 설사 지속기간을 감소시켰고,(유효크기 : -1.774, 95% 신뢰구간 : -2.081, -1.467, p = 0.008) 하루 동안의 배변횟수를 감소시켰다.(유효크기 : -1.653, 95% 신뢰구간 : -1.953, -1.352, p = 0.004) 동종요법 혼합치료를 포함한 네 편의 임상연구의 통합된 결과에서 동종요법치료가 하루 동안의 배변횟수를 감소시키지 못했다.(유효크기 : -1.137, 95% 신뢰구간 : -4.883, 2.609, p = 0.276) 결론 급성기 소아 설사에 대한 개별화 동종요법은 설사 지속기간 및 하루 동안의 배변횟수를 감소시켰다. 본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임상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하고, 메타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Background. Acute diarrhea is the leading cause of pediatric morbidity & mortality worldwid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different treatment effects of homeopathic treatment for acute childhood diarrhea. This meta-analysis overviewed previous homeopathic treatment for acute childhood diarrhea and proposed the combined results. Methods. 4 clinical trials of the homeopathic treatment for acute childhood diarrhea were enrolled by literature search. 3 individual homeo-pathic treatment trials and 1 homeopathic combination treatment trial were reviewed and the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was performed. 3 individualized homeopathic treatment trials were meta-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omeopathy on the duration of diarrhea and the numbers of daily stools by using fixed effect model. Then, 4 clinical trials including one homeopathic combination treatment trials was meta-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omeopathy on the numbers of daily stools by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 combined results of 3 individual homeopathic treatment showed the reduction of the duration of diarrhea (effect size = -1.774, p = 0.008, 95% CI; -2.081, -1.467) and the numbers of daily stools. (effect size = -1.653, 95% CI; -1.953, -1.352, p = 0.004) The combined results of four homeopathic treatment including homeopathic combination treatment trials did not show the reduction of the numbers of daily stool. (effect size = -1.137, 95% CI; -4.883, 2.609, p = 0.276)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individual homeopathic treatment for acute childhood diarrhea reduced the duration of diarrhea and the numbers of daily stools. The more clinical trials and meta-analysis are needed to support this study. Key words : acute childhood diarrhea, homeopathy, meta-analysis, the duration of diarrhea, the numbers of daily stools

      • 임상미술치료에서 동양화의 유용성 : 한국화 중심으로

        우소정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미술은 연령층이나 그 사람의 능력수준에 따른 제약없이 언제 어느 때라도 정서적, 지능적, 육체적, 창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러한 미술은 지역과 시대의 문화와 사상이 반영되어 각각의 문화권 속에서 동양화는 동양문화의 일부분으로, 서양화는 서양문화의 일부분으로써 그 지역의 특성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미술치료는 동양과 서양의 사상과 문화,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근본적인 시각 차이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현대에 이르러 국내의 미술치료는 질적,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나 미술치료의 학문적 배경은 서양의 상담심리이론을 토대로 유입된 것이며, 동양의 정신문화와 사고, 환경 등의 토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서양 사상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자연관을 비교해 보고, 그 결과 나타나는 사고방식, 인간관, 의학, 미술 등을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동양화를 활용한 임상미술치료적 접근을 통하여 한국의 미술치료에서는 적극적으로 연구되지 못하고 있는 동양화의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의 미술치료사가 한국인의 심리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서 미술치료적인 요소를 발굴하며, 보다 한국적이고 효율적인 미술치료의 접근을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양미술에서 한국화를 활용한 미술치료적 접근 가능성을 확인하고, 몸의 질환이 마음에 영향을 끼치고, 마음의 비정상이 몸에 영향을 끼친다는 심신 상관관계의 틀 속에서 임상미술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양은 오래된 역사와 고유한 정서, 우수한 문화를 지녔고, 동양화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전통문화를 미술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미술치료와 더불어 한국적 미술치료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동양화의 전통적 고찰과 이해가 필요하며, 새로운 각도에서의 연구가 활발하게 시도되어야 한다. Art always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emotional, intelligent, physical and creative growth, without limits on the person's age or level of competency. Art reflects on the culture and ideologies of regions during different periods, thus they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Oriental paintings a part of the Oriental culture and Western paintings a part of the Western culture. Therefore the most advisable art therapy should begin with understanding the basic differences in perspectives that have occurred in the Oriental and Western ideologies, cultures and environments. With modernization, art therapy in Korea has develop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however, since the academic background of art therapy rises from western counseling psychology, it fails to reflect Oriental psychology, ways of thinking, environments and etc. In this study, the views of nature which influe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Western ideologies will be compared. The results will show the different ways of thinking, senses of man, medicine, art and etc. which will each be in turn examined for their characteristics. Finally, the usefulness of Oriental paintings in clinical art therapy will be examined, a field in Korean clinical art therapy which is not being actively studied. This will allow Korean clinical art therapists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psychology, discover art therapeutic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pproach art therapy with a more Korean and efficient method.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art therapy with Korean paintings has been proved. Also clinical art therapy effects can be expected, proved within the mind and body correlation tool which states that a bodily illness will influence the mind and an abnormality of mind will influence the body. The Orient has kept a long history, unique sentiment and superior culture, thus it is not only Oriental paintings that can be applied to art therapy but also various traditional culture. In addition, in order to advance Korean art therapy along with existing art therapy, the cultural value of Oriental paintings must be reilluminated, an understanding about their tradition must be developed and active studi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need to be carried out. Key words : Clinical art therapy, Oriental and Western ideologies, Korean paintings

      • 섬서(蟾蜍) 추출물의 6종 암세포와 2종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실험(MTT assay)

        권순관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의학에서 항암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도 다양한 암종에 사용되어진 섬서(蟾蜍)가 실험적으로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세포독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섬서가 많이 사용된 6종의 암세포와 항암작용이 있는 약재의 실험에 다용되는 2종의 정상세포이다. 6종의 암세포주는 A549:human lung carcinoma, SK-HEP-1:human liver adenocarcinoma, HeLa: Human cervix adenocarcinoma,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ma, MDA-MB-231: human breast adenocarcinoma, HCT-15: human colon adenocarcinoma 이며. 2종의 정상세포는 폐와 신장의 세포인 WI-38 : Human lung normal fibroblast , HEK-293T : Human embryonic kidney이다. Cytotoxicity test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섬서 추출물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여 세포의 사멸을 유도한 뒤에 결과를 기록하였다. Cancer cell line중 A549, HCT, HeLa의 경우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세포독성 및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K-Hep-1, AGS, MDA-MB-231의 경우에는 농도에 의존적인 결과가 나타나진 않았으며, 폐와 신장의 정상세포인 WI-38, HEK-293T 의 경우에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미미했다. 섬서는 전통의학에서 다양한 암의 치료에 쓰이는 약재이며, 1차적 Screening Test에서는 A549, HCT, HeLa cell line에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WI-38, HEK-293T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urpose: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has been used for treating various carcinoma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extract of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on various cancer cells. Methods: We tested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extracts on 6 kinds of cancer cells and 2 kinds of normal cell used commonly in screening anti-cancer drugs. The 6 cancer cell lines were A549 (human lung carcinoma), SK‐HEP‐1 (human liver adenocarcinoma), HeLa (human cervix adenocarcinoma),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ma), MDA‐MB‐231 (human breast adenocarcinoma), and HCT‐15 (human colon adenocarcinoma), and the two normal cell were lung and kidney cells WI‐38 (human lung normal fibroblast) and HEK‐293T (human embryonic kidney). Results: 1.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extract on various cancer cells were evaluated by MTT assays. Among cancer cell lines,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extract showed cytotoxic and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A549, HCT and HeL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not against SK‐Hep‐1, AGS, and MDA‐MB‐231 cells. 2. However, it did not affect normal lung (WI‐38 cells) and kidney (HEK‐293T) cell viabilities. 3. Our data suggest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might be an effective anti-cancer agent due to its cytotoxic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HCT and HeLa cells. Keywords: Seomseo, A549 cell, HCT cell, HeLa cell, cytotoxicity, MTT‐as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