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은미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긍정정서, 낙관성,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및 스트레스 반응, 부정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 대학의 2011년도 대학신입생들로서 프로그램참여를 희망하고, 연구자가 설정한 3가지 기준에 모두 부합된 총42명으로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1명씩(기숙사거주 21명, 서울 자가 21명) 무선할당 하였다. 웰빙인지목록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기씩 총 5회기가 진행되었으며, 1회기 당 진행은 약 6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은 모두 같은 시기에 사후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부정기분 조절기대 척도, 긍정 정서 척도, 낙관성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기대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부정 정서 척도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웰빙 및 스트레스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 점수에서 사후 점수를 뺀 차이 점수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기분 조절기대 [t(38) = -6.318, p<.001], 긍정 정서 [t(38) = 3.370, p<.01], 낙관성 [t(38) = -5.188, p<.001], 삶의 만족 [t(38) = -4.307, p<.001], 삶의 기대 [t(38) = -4.960, p<.001] 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스트레스 반응 [t(38) = 6.177, p<.001], 부정정서 [t(38) = -.55, p<.01]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웰빙인지목록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웰빙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on increasing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managing stres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rst yea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experimental group, n=21) and the control group (comparative group, n=21).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completed 5 weeks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program that included education sessions, and the writing of diaries at least two times a day. It took about 60 minutes per session.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NMRE), Positive Affect, Life Orientation Test-Revised(LOT-R),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LSES),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Negative Affect.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ifference value of pre-post score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scores of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38) = -6.318, p<.001], Positive Affect [t(38) = 3.370, p<.01],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t(38) = -5.188, p<.001], the Satisfaction With Life [t(38) = -4.307, p<.001],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38) = -4.960, p<.001] in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t(38) = 6.177, p<.001], Negative Affect [t(38) = -.55, p<.01] in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can be an effective techniques to promot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stress reduction for frist year female college students.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 매개효과

        이지선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대학생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특별시,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제주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42명(남성 270명, 여성 27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우울, 거부민감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응답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에는 SPSS 23.0 프로그램이 이용되었으며, 연구의 구조방정식 모형 및 매개효과 검증에는 Amos 2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는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거부민감성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학생 자녀의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이중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모형은 대학생 자녀의 성별에 따라 세부적인 경로계수의 차이가 있었다. 부의 심리적 통제가 남성 자녀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여성 자녀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모의 심리적 통제는 남성과 여성 자녀 모두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 매개효과 및 대학생 자녀의 성별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2)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542 college students (270 males, 272 female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Gyeongsang-do, Chungcheong-do, Jeolla-do, Gangwon-do, and Jeju-do with the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Scale (DAPCS),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subjects’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also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u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Second, each rejec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ird,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tailed path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Other paths were same, but psychological control by fathers affected the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of male students but not that of female students. However,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no effect on either male or female students’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gender dif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마음챙김 명상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심리적 특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여대생을 대상으로

        권세영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이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여대생들의 심리적 특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서울소재 D여자대학교 학생들 중 기준에 적합하며 프로그램에 참여 의향이 있는 24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 명상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2명씩 배치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은 주1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 회기는 약 60-80분동안 진행되었다. 측정: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상태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심리적 수용 척도(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AAQ), 피부과적 삶의 질 척도(Skindex-29), 마음 챙김 척도(Mindfulness Attention and Awareness Scale: MAAS)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도구의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이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심리적 수용 [F(1,16) = 9.92, p< .01], 피부과적 삶의 질 전체 [F(1,16) = 9.58, p< .01], 특히 피부과적 삶의 질의 하위영역 중 증상 [F(1,16) = 8.00, p< .05]과 감정 [F(1,16) = 14.39, p<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마음챙김명상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간 우울, 상태불안, 피부과적 삶의 질의 하위영역 중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마음챙김 명상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의 심리적 수용 수준을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개입법임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medita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Design: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24 participants whose 12 in group program for mindfulness meditation and 12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8 treatment sessions in treatment, a session was more than 60-80 minutes each. Main Outcome Measures: Measures include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AAQ), Skindex-29,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MAAS). Results: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on psychological acceptance [F(1,16) = 9.92, p< .01] and the overall skindex-29 [F(1,16) = 9.58, p< .01], especially in symptom[F(1,16) = 8.00, p< .05] and emotion [F(1,16) = 14.39, p< .01] variabl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depression, anxiety, and function in skindex-29 scor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 한국 성인 여자 vitamin B_(6)의 영양상태와 영양권장량 평가

        김영남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31

        한국 성인 여자의 vitamin B_6 섭취실태 및 영양상태를 측정한 후, vitamin B_6 한국 영양권장량을 평가하고 혈장 pyridoxal 5'-phosphate(PLP)의 농도와 혈중 생화학 지표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1. 건강한 20-26세 한국인 성언 여자 218명을 대상으로 vitamin B_6 섭취량 측정과 주요 급원식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일 평균 vitamin B_6 섭취량은 0.987±0.390mg/일이었으며,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약 70%에 해당하였다. 섭취단백질에 따른 vitamin B_6 섭취량의 평균비율은 0.014±0.004mg/g 단백질이었으며, 0.02mg/g 단백질 이하 섭취한 대상자는 전체의 약 91%였다. Vitamin B_6 섭취량은 다른 모든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p<.01-p<.00l), 동물성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보다 vitamin B_6 섭취와 더 상관관계가 높았다. 전체 vitamin B_6의 32%를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68%를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섭취하였다. Vitamin B_6 주요 급원식품은 돼지고기, 쌀, 마늘, 양파, 감자, 바나나 등이였고, 조사된 주요 급원식품 중 상위 1O개 식품으로부터 vitamin B_6 총 섭취량의 64%를 섭취하였다. 2. Vitamin B_6 한국인 영양권장량을 평가하고 vitamin B_6 영양상태와 혈중 생화학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20-26세 한국인 성인 여자 49명을 대상으로 vitamin B_6 영양상태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일일 vitamin B_6 섭취량은 0.86±0.289mg/일 였으며,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61.43%였다. 섭취한 단백질에 따른 vitamin B_6 섭취의 평균 비율은 0.014±0.003mg/g 단백질이었다. 전체 섭취한 vitamin B_6 중 동물성 식품에서 34%, 식물성 식품에서는 66%를 섭취하였다. Vitamin B_6 섭취는 vitamin C를 제외하고 다른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l-p<.00l), 혈장 PLP 농도와 영양소 섭취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Vitamin B_6 섭취량과 혈장 PLP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양의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 혈장 PLP 농도는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5), 총 단백질, 혈당 및 중성지방, 알부민 농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vitamin B_6의 권장량보다 더 적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섭취 단백질에 따른 vitamin B_6 섭취량의 평균 비율은 0.014±0.003mg/g 단백질이었다. 한국 성인여자의 경우 vitamin B_6 섭취를 주로 식물성 식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책정되어 있는 한국 성인 여자의 vitamin B_6 권장량 0.02mg/g 단백질, 1.4mg/일이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dietary vitamin B6 intake and its food sources and to assess the vitamin B6 status of Korean young women and then to evaluate the present Korean RDA for vitamin B6 and observe any interrelation between plasma PLP concentration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1. The dietary vitamin B6 intake of 218 Korean young women (aged 20-26y), who had no health problems, and their sources were estimated using a modified Korean vitamin B_6 database. The average daily vitamin B_6 intake was 0.987mg for the subjects. About 87% of the subjects consumed less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of vitamin B_6. The average ratio of vitamin B_6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as 0.014mg/g protein, and approximately 91% of subjects consumed <0.02mg/g protein. Vitamin B_6 intake was significantly (p<.0l-p<.001)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Between animal and vegetable protein, animal protein had a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min B_6 intake. Foods from animal and plant sources provided 32% and 68%, respectively, of the total vitamin B_6.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_6 in Korean young women were pork, rice, garlic, onion, potatoes, and banana. As for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_6, the top 10 foods provided nearly 64% of total vitamin B_6. 2. The vitamin B_6 status of 49 healthy young women (aged 20-26y) was estimated for evaluation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for vitamin B_6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vitamin B_6 status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The average daily vitamin B_6 intake of the subjects was 0.86mg/d and 61.43% of Korean RDA. The average ratio of vitamin B_6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as 0.014±0.003mg/g protein. Foods from animal and plant sources provided about 34% and 66%, respectively, of total vitamin B_6. Vitamin B_6 intake was significantly (P<.01-P<.001) positively correlated to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except vitamin C.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lasma pyridoxal 5'-phosphate (PLP) and nutrient intake. Vitamin B_6 intake only tend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sma PLP concentration. Total cholesterol was correlated to plasma PLP concentration(P<.05). Plasma PLP had no correlation with levels of total protein glucose, triglyceride, and albumin. Vitamin B_6 intake of the subjects in these studies was lower than Korean RDA for vitamin B_6 and the average ratio of vitamin B_6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as 0.014±0.003mg/g protein. The young women in these studies obtained more than 65% from plant sourc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present Korean RDA for vitamin B_6 of 1.4mg/d based on 0.02mg/g protein is adequate.

      • 자기 노출 및 신체 불만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에 대한 자아정체감 불일치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연주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20대에서 40대에 이르는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인터넷을 매일 사용하고 있으며 해마다 인터넷 중독은 늘고 있다. 인터넷 중독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결혼 생활이나 대인 관계 문제를 일으키고 학업과 직장 생활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으며 자기노출 및 신체불만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에 대한 자아정체감 불일치가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남자대학생 174명과 여자대학생 228명에게 자기노출척도, 외모평가척도, 신체부분 만족도척도, 성인 인터넷 중독 자기보고용척도, 한국형 현실 공간 자아정체감척도, 한국형 가상 공간 자아정체감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두 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는 가상 공간에서 현실 공간 자아정체감을 뺀 값으로 구했으며, 자료는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자기노출과 인터넷 중독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둘 사이의 관계를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의 자아정체감 차이가 부분 매개 한다는 것이 새로이 밝혀졌다. 이는 자기노출이 어려운 사람들이 인터넷 중독에 취약할 수는 있으며 이는 두 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신체 불만족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와는 달리 둘 사이의 상관이 없어서 매개 모형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 불만족이 있는 사람이 현실과 가상 공간 자아정체감 차이가 클 수 있으며 이것은 인터넷 중독에 빠지게 할 수 있다는 경로모형이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연구가 현실 공간 자아정체감에만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가상 공간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을 일깨워줬으며 앞으로의 인터넷 중독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body dissatisfaction on internet addic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the discrepancy between real ego-identity and cyber ego-identity to find out the cause of internet addition. This study utilized Jourard Self-Disclosure Questionnaire(JSDQ), Multidimensional Body Self-Relations Questionnaire - Appearance Evaluation(MBSRQ-AE), Multidimensional Body Self-Relations Questionnaire - Body Area Satisfaction Scale(MBSRQ-BASS),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A-scale), Korean Real World Ego-Identity Scale and Korean Cyber-Space Ego-Identity Scale from 174 male and 228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cyber world ego-identity is to subtract the real world ego-identity from cyber-space one and the result i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Like prior studies, self-disclosure brings inverse correlation on internet addiction and the discrepancy between real ego-identity and cyber ego-identity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elf-disclosure and internet addiction. The more body dissatisfaction happens the more problematic internet use in the prior study,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this study. We could not apply mediating effect model of the identity discrepancy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net abuse. Though we found that the more body dissatisfaction brings about the more identity discrepancy and it causes the more problematic internet use.

      • 남자 유아교육전공자의 삶

        안우철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살아온 생애, 살아가는 삶을 심층적이고도 다양하게 조명해보고, 탐색함으로써 그 안에서 드러나는 이야기, 변화와 발달을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어떠한 삶을 형성해 가는가? 2.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연령별, 학력별, 경력별 분포를 고려하여 남자 유아교육전공자 8명을 선정 하였으며 본 연구는 2012년 7월 19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16주에 걸쳐 사전면담 1회와 심층면담 4회, 연구 참여자별로 심층면담, 전화면담, 인터넷면담(E-mail, Messenger)등을 수시로 병행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을 혼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어떠한 삶을 형성해 가는가?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교사가 되기 위해 대학입학이전과 교사양성기관인 대학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대학입학이전 유아교육에 관련된 경험은 자신들이 살아온 환경에서 영향을 받기도 하고,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살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관련 경험은 교사 역할에 대해 매력과 소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유아교육과 지원 동기는 모두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성이나 유아에 대한 관심, 적성 등 공통적으로 자의로 유아교육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경우가 있는 반면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셋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이 학부시절을 회상하였을 때,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였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부담스러운 시선, 인간관계 형성의 어려움, 학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나면서 학과에 적응이 되고 성장의 발판으로 삼은 경우도 있었다. 교육실습을 통하여 교사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교사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교사직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조금씩 확고히 하기 시작하였다.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초임교사시절 개인적인 삶, 동료교사와의 관계, 기관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자신의 초임교사시절 개인적인 삶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고 나타났다. 일정하지 않은 출퇴근 시간, 과도한 업무, 잔업 등 스트레스를 받았다.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교사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며 성실히 근무하는 자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초임교사시절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 반면,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해 본인이 노력한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도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어려움은 자신을 보는 시선의 의식, 무시, 편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한 경험은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는 시선, 배려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장과의 관계는 배려와 관심을 받으며 순탄한 교사 생활을 시작하였으나 남자교사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으로 불화가 생긴 사례도 있었다. 기관장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후원자로 교사를 지지해주었으며 교사는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학부모와의 관계는 초임교사시절, 의구심, 낯섦, 어색함, 불편함으로 시작하여 오해를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흐른 뒤, 교사로서 인정을 받게 되고 학부모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남자라서 힘든 점, 여자 유아교육전공자와의 차이점, 역할과 업무, 교육철학과 신념, 남자 유아교육전공자의 필요성, 비전,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를 위한 지원방안, 특별한 이야기의 요소들을 찾아내었다. 첫째, 남자라서 힘든 시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성추행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가 나타났을 때의 걱정스런 시선을 느꼈다. 신체적 접촉은 외부의 시선으로 인해 나름의 기준과 원칙을 정하고 있었다. 기관 시설 환경의 불편함을 느낀 경우도 있었다. 또 여자교사와의 갈등 상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유아교육전공자와의 차이는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정서, 성향, 관심의 차이로 보는 관점과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차이점을 인지하고 있거나 수용, 거부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현재 교사, 원장, 강사의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역할에서 오는 책임감, 보람, 가치관 등을 이야기하며 자신의 일에 만족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교육전공자로서 본인만의 교육철학을 이야기 하였다. 교육의 기준점에 대한 고민, 철학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견해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로서 남성 역할 부재,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을 제기하며 This study examined various aspects of life of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to learn their in-depth life story as well as changes and developments they have experienced during that life from student life to teaching career lif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kind of life do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m? 2. How do male students shap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r the research, eight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selected after considering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that they have had.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a period of sixteen weeks (July 19 to November 30, 2012). The subjects had a preliminary interview as well as four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o that, each subject was interviewed through phone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internet interviews (via e-mail and/or messenger) on occas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both domain and classification analysis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life do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various experience before and afte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som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 in choosing the major while some were not. Those who were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displayed greater interest and desire in becoming a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although all students said that it was their own decision, they had different reasons as to why they have decided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Some said they considered future prospect of the major, while others reflected their talent and their interest in children. Also, some families supported student’s decision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me were opposed to it. Third, when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undergraduate memories, students gave more negative recollections than positive. These negative remembrance includ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students’ major, difficulties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s. However, some turned those difficulties into a stepping-stone for future growth. Many students took their field training experience seriously in considering their career as a teacher. During the field training, many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first hand the work and made up their minds about whether to pursue a teaching career. Throughout the study, the students illustrated a variety of experiences they had at their first teaching post ranging from personal life to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high officers, and parents. First, most of the students said they did not have much time for personal life which caused a great deal of struggle. Many of them complained about stress from unstable working hours, excessive tasks, and extra working hours. However, even with the anxiety, most of them enjoyed and respected their profession. Second, while most of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 case where a student tried to improve the situation by himself. The difficulties that the students had encountered usually associated with people’s biased perception and disrespect for the profession. For those who were able to at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ey were able to do so by overcoming those challenges.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s with high officials such as a director or staff teachers there was a case where he received firm support in the beginning of his career but it got complicated over time due to exceeding expectation. Teachers with high status usually supported male teachers without revealing themselves while the teachers strived to meet the expectancy. Fourth, the study showed indicated that many male teachers were often misunderstood by parents during their first year as a teacher, because many parents found male teachers to be strange, discomforting, and doubtful. Therefore, male teachers had to put extra addi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which they were able to achieve over time.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difficulties that male students had to confront due to their gender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addition to that,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ings like student’s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s on the need for male students, support measures, and any other special insight they have learned from being a male stud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irst, the study showed the male students had to undergo extra hardship due to their gender. For example, when sexual molestation was a hot social issue, male students felt extra pressure. The students said that there were certain principles they were to set and follow in order to avoid problems like sexual molestation. There were other complaints regarding working environment. Also, some male teachers complained about conflicts with female colleagues. Related to the second issue of whether they were being treated differently due to their gender, some responded that they were treated differently as to how parents or other colleagues perceived them while ot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treated any differently from their female colleagues. Some recognized these differences while others either accepted or denied such disparities. Third, the study discovered that male students were now involved in different professions such as teachers, principals, and instructors. Many of them showed great satisfaction and pride about what they were doing. Fourth, in their interviews, many of them discussed about their educational philosophies although it varied widely. Fifth, all students pointed out lack of mal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urged for more male involvement.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 unique advantage of male tea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