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주총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IT를 중심으로-

        이태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주주총회는 법률 및 정관에서 정한 주식회사의 기본조직과 경영을 위한 중요 사항을 결의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관이다. 주주는 주주총회를 통하여 주식회사의 경영에 관한 중요한 의안에 대하여 총회에 참석하는 등으로 정당한 의결권행사의 주체이다. 또 주주의 의결권은 주주가 갖는 고유권한이며 회사의 운영·관리에 참가할 수 있는 공익권이며, 법률로써 특별한 정함이 없으면 정관이나 주주총회의 결의로 해당된 권리가 박탈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식은 주주총회에 직접 출석하여 표결을 행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며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주식회사는 점점 거대화 되어 가고, 주식은 광범위하게 분산되는데 현실적으로 주주는 시간과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주주총회에의 직접적인 참석이 더욱 어려워지고, 주주의 불참과 무관심으로 인한 주주총회는 정족수 미달로 불성립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어 그 활성화는 요원한 상황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한 이유들로 주주총회에 주주가 직접 참석을 못하더라도 의결권행사를 할 수 있게 하는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는바, 그 1차적인 방안으로 주주가 민법상의 대리인을 선임하고, 그 제도가 바로 대리인으로 하여금 주주총회의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는 의결권 대리행사이다. 또 주주가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리인제도를 이용하지 않고 의사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가 서면투표제이다. 주주총회에서 주주 및 관계자의 참석 하에 제안의 설명, 질의응답, 동의의 제출 등이 이루어지면서 결의를 통해 기관으로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주주의 숫자가 많은 회사는 주주총회의 활성화와 주주의 총회 참가의 촉진과의 사이에는 딜레마가 존재한다. 수많은 주주가 총회에 참석하면 할수록 참가자 사이의 실질적 논의는 곤란해지며, 주주총회의 형식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은 이러한 딜레마를 해소하는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의결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직접 오프라인 현장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상정된 의안에 대해 논의의 배경을 설명 듣고 참석자 본인이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한데, 여러 회사에 실제 투자를 하는 주주들의 경우, 주주총회 집중화 현상으로 인해 의안분석은 물론 직접 주주총회 참석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KOSPI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2017년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명 ‘슈퍼주총데이’로 알려진 3월 셋째주와 넷째주 금요일 양일에 전체 주주총회의 절반 이상이 집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개최시간도 오전9시에서 10시 사이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서 주주가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직접 의결권행사를 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 정보통신과 관련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업운영에 관한 회사법제도에서도 변화가 있다. 전자문서에 의한 주주총회 소집통지(상법 제363조 제1항), 전자투표제(상법 제368조의4), 전자주주명부(상법 제352조의2) 및 주식의 전자등록(상법 제356조의2) 도입 등이 그 예가 된다. 특히 2016년에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일명 전자증권법)이 제정됨에 따라 전자증권제도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는 등 회사법제도에서 IT화는 더 가속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성재준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47

        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원예학(유기농업)전공 성 재 준 지도교수: 손 상 목 유기농업은 1997년 환경농업육성법 제정에 따라 제도권으로 진입하였으며, 환경보전과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유기농업 실천 농가와 유기농업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정부의 친환경농업육성5개년계획이 2001년부터 매5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며, 정부 농업정책과 지자체 농정의 주요 목표로 유기농업을 채택되어 왔으나, 한국유기농업은 아직도 세계 제5위군 그룹에 속해 있는 현실에 놓여 있다. 유럽 유기농업 선도국가의 유기농업의 발전사를 보면, 유기농업의 보급과 발전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과 더불어 대학에서의 유기농 교육이 유기농업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50개 농과계대학에 어느 곳에서도 유기농학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유럽대학들이 유기농학과 또는 유기농대학을 설립하고 유기농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유기농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는 현실과는 크게 상이한 현실이다. 한국의 유기농업이 세계적인 변화의 추세에 발맞추고 미래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세계적 유기농업기술을 교육 보급할 수 있는 유기농대학의 설립과 유기농업 선도국가의 유기농업 교육체계를 연구하여 한국적인 교육시스템의 기반을 조성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기농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은 대학에서의 유기농학 교육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기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기농업 전문인력 양성은 그 특성상 단기간의 교육으로는 확보하기가 어렵고, 유기농업에 대한 기본적 이론교육은 실제 유기농 현장에서 요구되는 응용 기술분야까지 아우르는 깊이 있는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유기농업의 도약․발전을 위해 유기농대학교의 설립․운영을 제안함과 동시에 유기농 산업의 변화에 따른 유기농업 교육과 교과과정 모델을 제시하고 유기농 선진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유기농 교육의 발전적 방안의 근거와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유기농대학교는 유기농생명대학, 유기농 식품․건축․에너지대학, 유기농 서비스산업대학 등 3개 대학 편제로 하며, 유기농생명대학에는 7개 학과(유기농 작물생산학과, 유기농 원예학과, 유기농 과수학과, 유기농 임업학과, 유기농 허브학과, 유기농 수산학과, 유기농 한방약재학과)를 설치하고, 유기농 식품․건축․에너지대학에는 5개 학과(유기식품가공학과, 유기발효식품학과, 유기축산물가공학과, 유기농 대체에너지학과, 유기농 생태건축학과)를 설치하며, 유기농서비스산업대학에는 6개 학과(유기농 골프장학과, 유기농 향장학과, 유기농 호텔경영학과, 유기농 유치원학과, 유기농 식음료매장학과, 유기농 실버산업학과)를 설치한다. 대학원 석박사과정과 유기농 마이스터대학, 유기농 귀농학교 등을 운영한다. 둘째, 유기농대학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해외의 저명한 학자들로 세계최고 교수진을 확보한다.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는 한국인 교수가 강의를 담당하고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는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 기 강의한 교과목을 외국인 교수가 영어로 재 강의토록 함으로서 학생들이 영어능력 향상은 물론 수준 높은 강의를 통해 세계수준의 유기농 기술과 원리를 터득하도록 한다. 셋째, 우수학생 유치를 위해 약 380만원 수준의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기 위해 재단 전입금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유기농대학교는 유기농 분야의 각 산업체와 기술협약을 통해 전문교수진을 통해 기술자문을 적극 지원함으로서 유기농 제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출시하도록 유기농 산학협력을 최우선 도모해 나간다. 또한 유기농 유통을 대학기업으로 육성하여 OEM 산업체의 유기농 전 제품의 유통을 유기농대학의 이름으로 유통 판매함으로서 비롯되는 이윤을 대학운영과 반값 등록금에 투입한다. 또한 학생들이 학업기간 중에 유기농 산업체에서의 아르바이트를 통한 생활비 일부 조달을 적극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넷째, 산업현장에 요구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유기농대학교는 재학기간 중에 전공 관련 산업체에서의 인턴사원 등의 경험과 현장실습을 통해 별도의 재교육 없이 곧바로 산업현장에 투입 가능한 인재가 배출되도록 노력한다. 유기농대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유기농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아시아 유일의 유기농 연구/교육의 중심지가 되고, 한국의 유기농업이 신선농산물 생산 단계, 가공식품 생산 단계, 비식용 제품 생산 단계를 넘어 유기농 서비스산업으로까지 발전해 나가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세계 제5위군 그룹에 머물러 있는 한국 유기농업이 세계 제1위군 그룹 국가로 도약․발전하는 데에 주춧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수출용 채소종자검사를 위한 탄저병균 특이검출 PCR 마커 개발

        장시운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의 연간 종자수출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수출국들은 재식 시 발병 및 전파의 가능성이 높은 탄저병균을 규제하고 있다.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의 탄저병은 Colletotricum spp.에 의해 발생한다. 이 병원균은 넒은 기주범위를 갖으며 기주식물의 잎, 줄기, 과실 등 작물지상부의 거의 모든 부위에서 궤양과 부패 등을 일으킨다. 우리나라의 수출종자에서 검역대상이 되는 탄저병균은 C. orbiculare, C. coccodes 그리고 C. circinans이다. 현재 수출종자의 검역은 배양검사로 이루어 지지만, 배양기간이 길며, 형태학적 동정 또한 대조 표본 및 도감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검사자간에 차이가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 방법을 개발하고자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술을 이용한 검사법으로서 탄저병균인 C. orbiculare, C. coccodes 그리고 C. circinan에 대한 특이검출 마커를 제작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C. orbiculare, C. coccodes 그리고 C. circinans를 비롯하여 다른 Colletotrichum균 16종을 사용하였다. 특이검출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서 종 간 서열차이가 많아서 진균의 동정에 널리 사용되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유전자 (tef1-α)와 β-tubulin 유전자를 목표 유전자로 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해당 3종의 탄저병균에 대한 이들 유전자는 PCR을 이용하여 증폭하였고 그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정한 염기서열은 다중염기서열 정렬을 통해 비교하여 C. orbiculare에서는 β-tubulin 유전자에서 orbiTu-F/orbiTu-R1, orbiTu-F/orbiTu-R2, orbiTu-F/orbiTu-R3 프라이머를, C. coccodes에서는 tef1-α 유전자에서 coccoTef-F/coccoTef-R, 그리고 C. circinans는 tef1-α 와 β-tubulin 유전자에서 cirTef-F/cirTef-R과 cirTu-F/cirTu-R 등 각각의 탄저병균 종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다. 프라이머의 특이성 검정을 통해 모든 프라이머 세트는 해당 탄저병균에 특이적인 검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검출 감도 테스트 결과 C. orbiculare는 orbiTu-F/orbiTu-R3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일반 PCR 방법으로는 1 pg 수준에서, real-time PCR 방법으로는 1 pg 수준에서 검출이 가능하였다. C. coccodes는 coccoTef-F/coccoTef-R 프라이머세트를 이용하여 일반 PCR 방법으로는 10 ng 수준에서 real-time PCR 방법으로는 10 pg 수준에서 검출이 가능하였다. C. circinans 경우는 cirTef-F/cirTef-R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일반 PCR 방법으로는 100 pg 수준에서, real-time PCR 방법으로는 10 pg 수준에서 각각 높은 감도로 검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인공접종을 통해 해당 탄저병균을 감염시킨 종자에서 이들 진균의 검출을 시도한 결과 일반 PCR 방법과 real-time PCR 방법 모두 검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라이머 세트들은 PCR 기술을 활용한 수출 종자 검역에 있어서 빠르고 정확하게 탄저병균 특이검출 마커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the scale of exportable seeds is growing rapidly in Korea. Each exporting country imposes restraints on the import of anthracnose fungus infected seeds. Anthracnose diseases on plants are caused by fungi belonging to the genus Colletotrichum, which has broad host ranges. Symptoms of the fungal disease involve causes canker and rotting on leaves, stems, flowers, and fruits. C. orbiculare, C. coccodes and C. circinans are anthracnose fungal species regulated by plant quarantine in seed exportation. Currently, quarantine of exportable seed is based on the detection of fungal propagules or cultures. But this traditional method is not efficient and timely limited because the culturing period is long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could be different between the examiners.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better detection method for Colletotrichum spp.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o develop anthracnose fungi-specific PCR primers, nucleotide sequence information on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gene (tef1-α) and β-tubulin gene of the three fungal species were obtained through PCR and DNA sequencing. Primers were designed by the alignment of the obtained sequences and reference sequences from GenBank database. C. orbiculare specific PCR primers were designed as orbiTu-F/orbiTu-R1, orbiTu-F/orbiTu-R2, and orbiTu-F/orbiTu-R3, respectively, which target the β-tubulin gene sequence. C. coccodes specific PCR primers were designed as coccoTef-F/coccoTef-R which targets the tef1-α gene sequence. C. circinans specific PCR primers were designed as cirTef-F/cirTef-R and cirTu-F/cirTu-R which target the tef1-α and the β-tubulin gene sequences, respectively. Through PCR test of specificity, all the primer sets was confirmed to be capable of specific detection of each anthracnose fungal species. Regarding sensitivity of detection, C. orbiculare can be detected with the primer set orbiTu-F/orbiTu-R3 using a conventional PCR at the level of 1 pg and real-time PCR at 1 pg. C. coccodes can be detected with the primer set coccoTef-F/coccoTef-R using a conventional PCR at the level of 10 ng and real-time PCR at 10 pg. C. circinans can be detected with the primer set cirTef-F/cirTef-R using a conventional PCR at the level of 1 pg and real-time PCR at 10 pg. These primers also effectively detected the three anthracnose fungal species in the artificially inoculated vegetable s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PCR primers could be applied for the inspection of anthracnose fungi in vegetable seeds for exports.

      • 일반 아동과 읽기이해 부진 아동의속담의 친숙도와 문맥 유무에 따른속담 이해 비교

        김윤정 단국대학교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학령기 아동의 용이한 학습과 다양한 정보 수집 및 정보 활용을 위해서는 읽기능력이 필수적이다. 그만큼 읽기능력은 학령기 아동이 학습하고, 사회생활을 해나가며 인격을 형성해가는 데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이러한 읽기학습을 큰 어려움 없이 점차 배워나가지만, ‘단어 재인’은 가능하나 내용 파악이 어려운 읽기이해 부진 아동은 지시적 의미는 물론 속담과 같은 비유 언어 이해와 같은 추론과정에 결함을 보인다(Bowyer-Crane & Snowling, 2005; Cain & Oakhill, 1999; Cain et al., 2001; Oakhill, 1982). 속담은 학교와 집에서는 물론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되는 비유 언어이다. 그런데, 이러한 속담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게 되면 그 속에 담긴 비유적 의미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속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위언어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주 어린 아동이나 읽기 이해가 어려운 읽기이해 부진 아동에게 속담은 어려운 언어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속담 이해 과제를 사용한 속담의 친숙도와 문맥의 유무에 따른 읽기이해 부진 아동의 속담 이해 능력과 함께 오답의 오류 유형을 분석하여 읽기이해 부진 아동의 속담 이해 능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와 아동센터에 있는 초등학교 3,4,5학년 읽기이해 부진 아동 12명과 학년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속담 이해 능력을 평가하였다. 친숙도 평가를 통해 친숙한 속담 10개와 친숙하지 않은 속담 10개, 총 20개의 속담을 선정한 후 이를 속담의 뜻을 유추할 수 있는 문맥 속에 속담을 삽입한 문항과 문맥 없이 속담만을 제시한 문항으로 나누었다. 즉, 친숙하면서 문맥이 제시된 5문항, 친숙하면서 문맥이 제시되지 않은 5문항, 친숙하지 않으면서 문맥이 제시된 5문항, 친숙하지 않으면서 문맥이 제시되지 않은 5문항, 총 20개의 문항을 제작한 후 4개의 보기 중 선택하도록 하였다. 4개의 보기는 각각 정답, 속담을 문자적으로 해석한 오답, 속담 속 어휘가 포함된 오답, 속담과 관련 없는 오답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속담의 친숙도 및 문맥의 유무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반복측정 3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이해 부진 아동은 속담의 친숙도 및 문맥 유무에 따른 속담 이해 과제 점수가 일반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집단 내에서는 속담의 친숙도와 문맥에 따라 속담의 이해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속담의 친숙도와 문맥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 유형을 비교한 결과, 읽기이해 부진 아동은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오류 빈도가 가장 높아서 속담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일반 아동은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오류 빈도가 가장 낮았다. 연구 결과, 읽기이해 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속담을 이해하는 능력이 낮았으며, 읽기이해 부진 아동이나 일반 아동 모두 속담을 이해할 때 속담의 친숙도와 문맥의 유무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읽기이해 부진 아동은 속담을 이해할 때 글자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 아동은 속담을 이해할 때 글자 그대로의 의미 이상의 비유적 의미가 있음을 짐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대학 태권도 선수의 시합 전·후의 정서 및 행동적 특성 분석

        문현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 전·후 정서 및 행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실체와 이론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적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은 제36회 전국대학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선수들로 시합전과 시합후의 기분상태, 경쟁 상태불안, 그리고 상태스포츠 자신감의 정서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했으며, 최종분석에는 시합 전 자료 299부와 시합 후 자료 215부가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은 동일 시합에서 입상한 선수 3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 및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질적 연구를 위해 개발된 전문 소프트웨어인 Nvivo7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양적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기분상태는 활력과 혼란을 제외한 불안, 우울, 분노, 그리고 피로가 시합 후에 증가되었다. 둘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상태 자신감으로 구성된 경쟁 상태불안은 시합 후에 변화가 없었다. 셋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상태스포츠 자신감은 시합 후에 변화가 없었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 대학 태권도선수의 시합 전 특성은 예상 상대선수분석, 징크스 수행, 개인 훈련량 조절의 행동적 준비와 인지적 준비, 각성조절의 정신적 및 신체적 준비의 범주로 개념화 되었다. 둘째, 우수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 중 특성은 각성유지, 자기조절, 그리고 지도자 지시준수의 대처행동과 지시에 의한 압박, 판정에 대한 분노의 장애요소인 맥락간섭의 범주로 개념화 되었다. 셋째, 우수 대학 태권도 선수의 시합 후 특성은 결과에 대한 내적귀인과 자신감 증가의 평가요소인 결과해석의 범주로 개념화 되었다. 넷째, 우수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행동적 준비와 정신 및 신체적 준비는 상호 보완적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시합 중의 대처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시합의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우수 대학 태권도 선수들은 시합 중에 각성유지와 자기조절, 그리고 지도자 지시이행의 대처행동은 시합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시합이 끝난 후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판정에 대한 분노와 지시에 대한 압박의 장애요소는 대처행동과 경기결과에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결과에 대한 해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우수 대학 태권도 선수들은 시합이 종료된 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나 시합내용에 대한 결과에 대한 해석을 내적인 문제로 돌리는 내적귀인을 하고 있었으며, 자신감이 충만 되었다. 또한 결과에 대한 해석은 다음경기에 반영하기 위한 경험적 특성으로 평가되어 시합 전 준비과정에서 수행하는데 이용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수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과정에 대한 정서 및 행동적 특성이 유기적이고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밝혀졌고, 이와 같은 정서 및 행동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시합과정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pre and post competition of the college Taekwondo athletes, and based on them, to develop a substantive and theoretical model.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for quantitative study were Taekwondo athletes participated in the 36th National University Taekwondo Individual Championship, and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mood,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tate sport confidence on pre and post competition were examin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a total of 299 and 215 sheets on pre and post competition, respectively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12.0. The subjects for qualitative study were selected among the competitors who won prizes at the competition, and in-depth and focus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collect data, and those underwent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or ground theory method, and were analyzed using Nvivo7, a qualitative study specific software. The results from quantitati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ood stat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shoed that the anxiety, depression, anger, and fatigue, except for energy and confusion, increased after competition. Second, there was no change in competitive state anxiety which is comprised of cognitive state anxiety, physical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between pre and post competition Third, there was no change in state sport confidence between pre and post competition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on pre competition were conceptualized into behavioral preparation such as analysis of competitor, performance of jinx, and controlling amounts of own exercises, and physical preparation such as cognitive preparation and arousal prepar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during competition were conceptualized into dealing behavior such as maintenance of arouse, self control, and following the instruction of coach, and contextual interference such as pressure from direction, anger for judgement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post competition were conceptualized into internal attribution for outcome and interpretation of outcome which is a factor of reinforcement in confidence. Fourth, there were complementarity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ehavioral preparation and mental and physical preparation, and they had positive effects on dealing behavior and outcome of competition. Fifth, the dealing behavior such as maintenance of arousal, self control, and following the instruction of coach during competi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outcome of competi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outcome on pre competition. The contextual interference such as pressure from direction, anger for judgemen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outcome of competition but not on the interpretation of outcome on pre competition. Sixth, the excellent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were showed to have tendency of attributing internally the unsatisfied outcome and content or interpretation of outcome on pre competition, and high in confidence. The interpretation of outcome was evaluated as experiential characteristic to be used in the phase of preparation before next competition. Tho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excellent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are systematic and cyclic feature and a paradigm model for the process of competition, which is able to explain those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의 발표 교육 방안

        이선영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재 한국에서 학문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면서 학문목적 학습자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방법에 대해 개선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수준 높은 한국어 실력이 요구 되는 대학에 Topik(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의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게 되면서 대학수업을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어로 대학수업을 받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도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런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육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이 모두 필요한 말하기 발표 교육에 대해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발표를 하기 위해서는 자료를 이해할 수 있는 이해 능력과 이해한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 능력 모두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고는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이 모두 요구되는 말하기 발표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그동안 말하기 발표 교육에 대한 연구사를 살펴보고 인문학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능별 교재 중에서 말하기 교재를 분석을 하고 발표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발표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말하기 발표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말하기 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재 교육 방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말하기 발표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발표 교육에 대한 교육 방안을 토대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 학문목적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발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교육 방안을 토대로 지도안을 설계하여 수업에서 교수자가 유의해야할 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첫째. 현재 많이 논의 도지 않았던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의 발표 과제에 대해 새롭게 제안했다는 점이 있다. 둘째, 말하기 발표 교육 방안으로 팀을 선정하고 팀원의 역할을 나누어 발표 교육을 진행했다는 점에 있다. 셋째, 본고사 제시한 교육 방안은 말하기 수업뿐만 아니라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과정을 모두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교사의 수업준비가 많고 실제로 현장에서 교육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근거로 교수자가 수업 준비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부탁을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목적 학습자에게 실질적으로 대학에서 요구되는 교육을 반영한 것에 의미가 있는 작업이 될 것이고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될 것이다.

      •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 관계에 대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이재용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during the childhood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The researcher analyzs data that were collected form 523 students studying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do Province, Daegu City and Busan City.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s conducted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 to check whether the normality assumption of each variables is met or not, and a correlation analysis is mad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researcher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by utiliz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conduct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shows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of the childhood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s found, as the statistically reliabl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emotional abuse during the childhood and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it finds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ly, it appears that the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ate the link between the emotional abus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ly, it also shows that the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hood emotional neglec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above-stated research results mean that as the adults who experienced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in the childhood tend to be high i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jection sensitivity significantly affects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as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can be reduced by appeasing the rejection sensitity, the intervention to reduce the rejection sensitity is important in the reduction of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Key words: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during the childhood, social interaction anxiety, rejection sensitity.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과 성인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에서 각 변인간의 상호관계를 살피고, 전체 흐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도, 대구 및 부산 소재 대학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한 523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거부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대해 기술 통계분석을 하고 각 변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Baron & Kenny가 제시한 3단계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 검증을 이용하여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은 거부민감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거부민감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정서적 학대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방임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한 성인이 거부민감성이 높으며, 이는 결국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거부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낮출 수 있으므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낮추기 위하여 거부민감성을 낮추는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토마토, 수박 및 그 가공품으로부터 한국인의 일일 라이코펜, 항산화 물질, 항산화 능력 섭취량 추정

        박현정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Lycopene은 자연에서 발견된 600개 이상의 carotenoids계열 중 하나로서, 인간의 건강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phytochemical로 각광받고 있다. 토마토 외에도 수박, 적포도, 살구, 구아바를 포함한 붉은 색의 과일과 채소류에 lycopene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지금까지 토마토, 수박 및 그 가공품들에 대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토마토, 수박 및 그 가공품들의 섭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lycopene, 항산화 물질 및 능력에 대한 한국인의 일인당 하루 섭취량 추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토마토, 수박 및 그 가공품들의 lycopene,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능력을 분석하고,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된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량 자료를 기반으로 각 식품의 일인당 하루 소모량을 산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토마토, 수박 및 그 가공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lycopene, 항산화 물질 및 능력에 대한 한국인의 일인당 하루 섭취량을 추정하고자 진행하였다. 토마토, 수박 및 가공품의 total flavonoids 함량을 분석한 결과, 토마토 가공품(케찹, 주스)의 경우 토마토 원과에 비해 약 2-16배 정도 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phenolics의 경우 토마토 주스는 토마토 원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lycopene 함량을 분석한 결과, 토마토 가공품은 제조사 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각 제품의 토마토 페이스트 함량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산화 능력 함량(DPPH, ABTS)의 경우 각 제품의 품종, 성숙도, 재배조건, 가공방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마토, 수박, 토마토 케찹, 토마토 주스의 섭취로부터 얻어진 한국인의 일인당 하루 total flavonoids 섭취량은 각각 4.88, 1.65, 3.17, 1.44 mg RE/person/day이며, 일인당 하루 lycopene 섭취량은 각각 1.07, 0.54, 0.26, 0.08 mg/person/day로 나타났다. 또한 일인당 하루 total phenolics, 항산화 능력(DPPH, ABTS) 섭취량은 토마토 원과> 수박> 토마토 케찹> 토마토 주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다양한 가공과정으로 인하여 토마토 케찹의 항산화 물질(total flavonoids, total phenolics, lycopene) 함량 및 항산화 능력(DPPH, ABTS)는 토마토 원과에 비하여 높았지만, 토마토 원과의 일인당 하루 섭취량이 토마토 케찹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기 때문에 토마토 케찹의 일인당 하루 항산화 물질 및 능력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물질 및 능력의 일인당 하루 섭취량은 각 제품의 생리활성 성분 함량뿐만 아니라 각 제품의 일인당 하루 섭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영양조사의 식이 섭취량 자료가 24시간 회상법을 바탕으로 작성한 1일의 식이 섭취량이기 때문에 일상 섭취량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토, 수박 및 가공품의 정량 분석 결과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각 제품의 섭취량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인의 일인당 하루 lycopene, 항산화 물질 및 능력 섭취량을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Lycopene is one of over 600 carotenoids found in nature, and has been known as phytochemical promoting human health. Besides tomatoes, red-colored fruits and vegetables including watermelons, red grapes, apricots and guava are rich in lycopen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bioactive compounds in tomatoes, watermelon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However, none of the study on the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lycopene, antioxidant compounds and capacities from foods in Korea. In this study, antioxidant compounds including lycopene, and capacities of tomatoes, watermelon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were measured. Then, estimation of Korean daily intake from tomatoes, watermelon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was calculated from on the existing datase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7. The flavonoids contents of tomatoes, watermelon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were 2-16 times higher than those of raw tomatoes. However, the phenolic contents of raw tomato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omato jui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ycopene contents of tomato ketchup and juice according to the brands. Different companies could impact the amount of lycopene in the product since each brand showed different tomato paste content in the products.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were also affected by fruit cultivars, maturity stage at harvest, cultivation condition, and their processing method of each product. Based on the results, the daily per person intake of total flavonoids from raw tomatoes, watermelons, tomato ketchup and tomato juice was found to be 4.88, 1.65, 3.17, and 1.44 mg RE/person/day respectively. The daily per person intake of lycopene from raw tomatoes, watermelons, tomato ketchup, and tomato juice was measured at 1.07, 0.54, 0.26, and 0.08 mg/person/day, respectively. The daily per person intakes of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ies were highest in raw tomatoes, followed by watermelons, tomato ketchup, and tomato juice. Even though the antioxidant compounds (flavonoids, phenolics, and lycopene)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tomato ketchup were higher than those of raw tomato, the daily per person intake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capacities from tomato ketchup were relatively low. Since the daily intake of raw tomato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omato ketchup.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daily per person intake of antioxidant contents and capacities was affected by both the daily per person intake of each product and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capacities in each product. It is limitation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daily intake and consumption since the dietary intak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s one-day dietary intake based on the 24-hour recall method.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hat the Koreans daily lycopene, antioxidant contents, and capacities intake were estimated based on the daily consumption of each product derived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omatoes, watermelons and processed products with the set of the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data.

      •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지영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1명의 ADHD 아동을 선정하였고,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대상 아동에 대한 정확한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및 배경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후속결과 중재, 체제변화 교수 등 효과적인 중재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실에서 효과적이고 복합적인 다양한 중재를 실시하였다. 측정은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수업 시간의 교육활동을 매 회기 마다 15분 동안 관찰하였다. 중재 종료 2주 후에 유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기초선과 똑같은 환경에서 측정하였다. 일반화는 기초선 기간 1회기, 중재 기간 2회기, 유지 기간 동안 1회기를 측정하였으며, 중재 중이거나 중재가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상황에서도 일반화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중재는 모든 활동상황에서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공격행동을 토큰이라는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중재는 모든 활동상황에서 ADHD 아동의 공격행동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아동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재 종결 이후에도 모든 활동상황에서 목표행동이 유지되었고, 중재 중이거나 중재 이후의 일반화 상황에서도 수업참여행동은 증가하고 공격행동은 감소하여 일반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수업참여행동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통합 교육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on a child's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the child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e instruction. For the study, a child with ADHD was selected and effective multiple intervention were implemented in an inclusive classroom during instruction time of the elementary school by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such as intervention of antecedents and setting events, alternative behavior instruction, consequences and system change based on the functional assessment with accuracy toward a target child a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ettings. Evaluation was made for 15-minute observation session of education activities using a partial-interval recording system per session. After a 2-week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The generalization was conducted by evaluating 3 sessions, such as one baseline session, two intervention sessions, one maintenance session and it was also tested in order to whether the generalization could be made in the middle of intervention or in the new situations without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was effective in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in increased all activity situation. In particular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the aggressive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were identified as being effectively controlled by using the simple token tool. Second, the intervention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aggressive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in all activity sit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arget behaviors were still maintained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for a child with ADHD in all activity situ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ization was identified by observing the increase of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the decrease of the aggressive behaviors in the middle of intervention and in the generalized situation after intervention. Second, it is meaningful to give support to a child for adapting themselves to on integrated educational situation through observing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s opposed to focusing on the decrease in the aggressive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