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이 상추의 생육, 수량, 비타민 C 및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

        성재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실험은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이 상추의 생육, 수량, 비타민 C 및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1년 봄에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홍원리에 소재하는 유기농 인증농가의 포장에서 상추를 대상으로 노지재배 시험으로 실시되었다. 처리구는 무처리구, 지렁이 분변토 추출원액 0.2ml/㎡ 처리구, 0.4ml/㎡ 처리구, 0.8ml/㎡ 처리구를 두어 5반복으로 수행되었다. 공시품종은 청치마상추를 공시하였으며, 수확 후 엽수, 엽장, 엽폭 및 생체중을 조사하고 질산염(NO3-N) 함량과 비타민 C 함량 등을 분석하였는데,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정식기의 상추 생체중은 무처리 4.04g에 비해 파종 전에 종자를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에 침지하여 파종한 상추 유묘의 생체중은 4.21g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4.2%의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2. 수확기 상추의 엽수, 엽장, 엽폭이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처리량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수확기 상추의 엽장은 최대 21.9%, 엽폭은 최대 39.0%까지 각각 증가하였다. 3. 수확기 상추의 생체중, 즉 수량은 무처리 111.2g에 비해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2ml 처리구는 117.7g, 0.4ml 처리구는 152.5g, 0.8ml 처리구는 163.g으로 나타나, 무처리에 비해 분변토 추출액 0.2ml 처리구, 0.4ml 처리구, 0.8ml 처리구는 각각 5.8%, 37.1%, 47.1%로 많아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4. 상추의 질산염 함량은 무처리 5,833ppm에 비해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2ml 처리구 3,900ppm,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4ml 처리구 2,273ppm,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8ml 처리구 1,791ppm으로 나타나, 무처리구와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처리구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처리구간에도 큰 차이가 나타나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추의 질산염 함량이 크게 저감되어 0.8ml 처리구에서는 최대 31.8%까지 낮아졌다. 5. 상추의 비타민 C 함량은 무처리 1,102에 비해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2ml 처리구 1,223㎎/ℓ,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4ml 처리구 1,272㎎/ℓ,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0.8ml 처리구 1,279㎎/ℓ으로 나타나, 무처리구와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을 처리한 상추의 전질소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철분은 크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7. 본 실험에서 지렁이 분변토 추출액 시용이 작물 생육과 토양에 미치는 비해(肥害)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 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성재준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원예학(유기농업)전공 성 재 준 지도교수: 손 상 목 유기농업은 1997년 환경농업육성법 제정에 따라 제도권으로 진입하였으며, 환경보전과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유기농업 실천 농가와 유기농업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정부의 친환경농업육성5개년계획이 2001년부터 매5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며, 정부 농업정책과 지자체 농정의 주요 목표로 유기농업을 채택되어 왔으나, 한국유기농업은 아직도 세계 제5위군 그룹에 속해 있는 현실에 놓여 있다. 유럽 유기농업 선도국가의 유기농업의 발전사를 보면, 유기농업의 보급과 발전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과 더불어 대학에서의 유기농 교육이 유기농업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50개 농과계대학에 어느 곳에서도 유기농학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유럽대학들이 유기농학과 또는 유기농대학을 설립하고 유기농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유기농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는 현실과는 크게 상이한 현실이다. 한국의 유기농업이 세계적인 변화의 추세에 발맞추고 미래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세계적 유기농업기술을 교육 보급할 수 있는 유기농대학의 설립과 유기농업 선도국가의 유기농업 교육체계를 연구하여 한국적인 교육시스템의 기반을 조성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기농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은 대학에서의 유기농학 교육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기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기농업 전문인력 양성은 그 특성상 단기간의 교육으로는 확보하기가 어렵고, 유기농업에 대한 기본적 이론교육은 실제 유기농 현장에서 요구되는 응용 기술분야까지 아우르는 깊이 있는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유기농업의 도약․발전을 위해 유기농대학교의 설립․운영을 제안함과 동시에 유기농 산업의 변화에 따른 유기농업 교육과 교과과정 모델을 제시하고 유기농 선진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유기농 교육의 발전적 방안의 근거와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유기농대학교는 유기농생명대학, 유기농 식품․건축․에너지대학, 유기농 서비스산업대학 등 3개 대학 편제로 하며, 유기농생명대학에는 7개 학과(유기농 작물생산학과, 유기농 원예학과, 유기농 과수학과, 유기농 임업학과, 유기농 허브학과, 유기농 수산학과, 유기농 한방약재학과)를 설치하고, 유기농 식품․건축․에너지대학에는 5개 학과(유기식품가공학과, 유기발효식품학과, 유기축산물가공학과, 유기농 대체에너지학과, 유기농 생태건축학과)를 설치하며, 유기농서비스산업대학에는 6개 학과(유기농 골프장학과, 유기농 향장학과, 유기농 호텔경영학과, 유기농 유치원학과, 유기농 식음료매장학과, 유기농 실버산업학과)를 설치한다. 대학원 석박사과정과 유기농 마이스터대학, 유기농 귀농학교 등을 운영한다. 둘째, 유기농대학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해외의 저명한 학자들로 세계최고 교수진을 확보한다.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는 한국인 교수가 강의를 담당하고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는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 기 강의한 교과목을 외국인 교수가 영어로 재 강의토록 함으로서 학생들이 영어능력 향상은 물론 수준 높은 강의를 통해 세계수준의 유기농 기술과 원리를 터득하도록 한다. 셋째, 우수학생 유치를 위해 약 380만원 수준의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기 위해 재단 전입금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유기농대학교는 유기농 분야의 각 산업체와 기술협약을 통해 전문교수진을 통해 기술자문을 적극 지원함으로서 유기농 제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출시하도록 유기농 산학협력을 최우선 도모해 나간다. 또한 유기농 유통을 대학기업으로 육성하여 OEM 산업체의 유기농 전 제품의 유통을 유기농대학의 이름으로 유통 판매함으로서 비롯되는 이윤을 대학운영과 반값 등록금에 투입한다. 또한 학생들이 학업기간 중에 유기농 산업체에서의 아르바이트를 통한 생활비 일부 조달을 적극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넷째, 산업현장에 요구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유기농대학교는 재학기간 중에 전공 관련 산업체에서의 인턴사원 등의 경험과 현장실습을 통해 별도의 재교육 없이 곧바로 산업현장에 투입 가능한 인재가 배출되도록 노력한다. 유기농대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유기농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아시아 유일의 유기농 연구/교육의 중심지가 되고, 한국의 유기농업이 신선농산물 생산 단계, 가공식품 생산 단계, 비식용 제품 생산 단계를 넘어 유기농 서비스산업으로까지 발전해 나가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세계 제5위군 그룹에 머물러 있는 한국 유기농업이 세계 제1위군 그룹 국가로 도약․발전하는 데에 주춧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직무스트레스 환경에 세로토닌 호르몬 활성화 요소를 적용한 오피스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성재준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업들의 오피스 환경 디자인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업의 오피스 환경은 그 기업의 경제력뿐만 아니라, 지적 생산 활동의 장소이다. 또한 기업조직을 위한 장소이기도 하지만, 휴식의 장소, 생활의 활동하는 장소, 직장인의 삶의 질 결정의 중요한 공간의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 한국인은 직장인 10명중 8명이 회사우울증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 내의 직장인들은 직무스트레스를 해소시킬만한 공간요소가 갖춰져 있지 않는 게 현실이다. 최근 들어 국내·외 IT기업들로부터 오피스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사무환경에 투자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오피스 환경이 단순한 환경에서 벗어나 신체적, 정신적 리듬을 회복할 수 있는 지능적 오피스 공간으로 제공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세로토닌 호르몬의 활성 요소들을 오피스 환경에 적용하여 직장인들의 심리적, 신체적 효과를 증대시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 시키고, 디자인 요소를 담고 있는 쾌적한 사무환경을 창출하여 기업의 체계적인 경쟁력 우위확보를 위한 오피스 공간을 조성하여 그에 따른 실질적인 세로토닌 오피스 공간 계획안을 통해 앞으로의 세로토닌 오피스 공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로토닌 활성화 요소를 기본으로 한 근무자들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고려한 이상적인 사무공간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에 전반적인 내용을 언급한다. 제 2장에서는 급속한 경제 발전에 의한 오피스 환경 변화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분석하고, 제 3장에서는 세로토닌의 개념 및 형성 요소를 고찰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기존 연구 문헌들을 통해 운동프로그램이 세로토닌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 4장에서는 세로토닌 활성화 요소 분석표를 중심으로 기존의 잘되어 있는 국내·외 오피스 공간들을 분석해 각 사례에 적용된 디자인 전략 요소들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 5장에서는 세로토닌 개념을 적용하여 설계한 새로운 오피스 공간을 계획한다. 이와 같은 설계 계획안으로 스트레스를 받던 업무공간에서 벗어나 자연과 가깝고 직원들의 활기찬 업무환경을 만들어 주며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업무를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보다 건강한 업무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고 보여 진다. 더 나아가서는 기업측면에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향후 지어질 오피스 공간이 근무자들의 건강을 위한 업무 공간으로 발전하고 더 나아가 기업의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fice environment design of companies is experiencing considerable changes. Office environment of a company is not only a symbol of the economic strength of the company, but a place for intellectual production activities as well. It is also a place for corporate organization, as well as break and routine activities, and an important space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office workers. Currently in Korea, 8 out of 10 office workers are experiencing company depression. Nevertheless, reality is that spatial factors that are helpful for relieving the job stress of office workers are not available within the company. In recent years, IT companies at home and abroad star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ffice environment and recognized that investment in work environment could lead to increased productivity. This indicates that office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as an intelligent office space that can allow the recovery of physical and mental rhythm, not just as a simpl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future serotonin office space through an actual serotonin office space plan by creating an office space to gain systematic competitive advantages of companies by generating pleasant work environment containing design factors, which can help relieve job stress with the improv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effect of office workers by applying the activation factors of serotonin hormone to office environment.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ideal office space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office workers based on the serotonin activation factor,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analyzes job stress caused by the changes in office environment due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Chapter 3 conducts a study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erotonin and its production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serotonin hormone from previous literature, Chapter 4 identifies the design strategy factors applied to each case by analyzing the well-established office spaces at home and abroad, focusing on the analysis table of serotonin activation factors. Chapter 5 then plans a new office space by applying the serotonin concept. Such design plan can create a vitalized and naturalized work environment for office workers who have been stressed out, and help them work in a more mentally stable condition. Moreover, it can generate the effect of increased productivity for the company.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esents an opportunity such that the office space to be built in the future would be developed as a work space for the health of office workers, and lead further to increased productivity of companies.

      • (The) promotion of the agriculture sector and the role of government in least developed countries : empirical analysis and policy recommendations

        성재준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Agricul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in many Least Developed Countries. Although many of them have recently shown an incredible growth, it is still and has been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s to overcome in fighting against the poverty. LDCs are trying to enhance the agriculture sector that will provide sustainability. Besides, agriculture sector has always been a sensitive issue between countries. In this paper, its purpose is to find out how various factors and policies can be effective to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outcome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r the linkage of the endogenous factors weather it can contribute to productivity in enhancing the agriculture sector in some LDCs. This paper is targeting about one hundred LDCs around the world. There will be a brief descrip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economic growth related to agriculture along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ed literatures about agriculture sector in LDCs. Then, the paper will be dealing with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SPSS tool set and its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