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제도의 비교분석

        김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업의 분권화를 위한 수단으로 물적분할과 현물출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2009년 법인세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현물출자보다는 물적분할이 조세측면에서 보다 유리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다양한 구조조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2009년에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가 개정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제적 효과가 유사한 물적분할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와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의 조세효과도 거의 동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업구조조정관련 과세제도는 처음 도입할 당시 급박한 국가경제위기를 타개하려는 정책적 목적이 우선시된 결과, 근본적인 과세이론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입법화되었다. 따라서 물적분할제도와 현물출자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던 과세상 문제점이 많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더라도 아직까지 일부 문제점이 발견되는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의 과세특례요건 중 사업기간 5년은 사업성장을 위한 기간이다. 그러나 이는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적응하기에는 너무 길어서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할회사 및 출자법인에 대해서만 사업영위기간을 규제하고 이전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 기업 간의 형평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계속사업기간에 대한 요건은 합병의 규정과 같이 1년 이상으로 하고 이전되는 사업을 1년 이상 계속 영위한 내국법인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법의 규정으로 인하여 물적분할의 경우에는 분할시 분할신설법인 주식 100%를 보유하도록 하고 있어 분할 후 유상증자를 통해서 해외자본 등의 제3자의 투자유치를 하고 있어 절차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자본 등의 투자유치를 지원할 필요가 있으므로 경영 지배력 확보차원에서 현물출자의 규정처럼 분할신설법인 주식의 80%만 보유하도록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발생한 자산양도차익은 분할법인 및 출자법인뿐만 아니라 분할신설법인 및 피출자법인단계에서도 과세되는 이중과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적분할의 경우와 같이 과세특례요건이 충족하는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인하여 받는 양도가액은 분할등기일과 현물출자일 현재의 분할법인과 출자법인의 순자산 장부가액으로 보아 양도차익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인세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제적 실체의 변동여부가 아닌 분할법인의 존속여부에 따라 이월결손금의 승계가능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분할법인이 존속하더라도 이월결손금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 이월결손금 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의 승계가능여부로 인하여 물적분할이 현물출자보다 조세부담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물적분할과 달리 현물출자의 경우에는 100% 자회사를 설립하는 경우에는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완전자회사를 설립하더라도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세법상 연대납세의무가 상법상 연대책임의 범위보다 넓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대납세의무의 범위를 상법의 규정과 일치시켜서 연대책임의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부가가치세 비과세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행 부가가치세법에서는 국제적 기준에 맞추어 사업자의 부담완화 및 납세편의를 제고하기 위해서 사업자단위과세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물적분할과 같이 사업부문별로 사업양도를 하더라도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양도로 볼 수 있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농어촌특별세부과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방식의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물출자로 이전된 자산의 취득세와 등록세감면분에 대한 농어촌특별세도 물적분할과 같이 비과세할 필요가 있다. As a way of Corporate Division,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has been frequently used. Prior to 2009, when the corporate tax regulations were amended, spin-off offered more tax benefits than investments in-kind did. However, Korean government made it possible for corporations to have more option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by releasing amended tax regula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investments in-kind.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investments in-kind can achieve the same tax effects as spin-off.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Korean tax regulations on corporate restructuring were legislated with a strong focus on ways to cope with economic turmoil Korea was facing, without much discussion on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legislation. Thu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tax issues, there are still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regulations. First,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is that a divided company and a investing company should be in that business for a minimum of 5 years. However, the 5-year requirement seems to be too long in thi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5-year requirement does not apply to a transferred business, resulting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taxation equity. It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o reduce the requirement for the minimum period of transferred business operation from 5 years to 1 year. It would help ensure taxation equity as corporate planning a merger would be qualified for the special tax treatment if it has been in the business for one year. Second, in case of spin-off, Commercial Code mandates corporate to maintain 100% of the newly established enterprise founded as a result of the spin-off. In order to acquire 100% of share, corporate has to promote investment from 3rd parties involving in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paid-in capital increase from overseas. Considering the fac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80% of share, not 100%, the requirement for spin-off should be lessened to 80% as well. It would help attract investment from overseas and enhance control. Third, there is a double-taxation issue. Transfer gains from both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are taxed not only at the divided company and investing company level, but also at the newly established company and the newly invested company. If the regulations changes in a way that no transfer gain is deemed to arise as a result of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providing that the transaction meets the requirement for special tax treatments. It can be done if the selling price collected from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is net book value of the surviving company (or investing company) as of date of division registration (or at the date of investment). Fourth, there is an issue involving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s allowed only if a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without considering changes in economic substance. It seems logical to allow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f there is no change in economic substance whether the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or not. The same can be said in case of investment in-kind. Fifth, as tax consequences can vary depending upon whether it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it required changes to the regulations so that corporate adopting investment in-kind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for tax purposes. Sixth, unlike spin-off, investment in-kind is not subject to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in case corporate sets up a 100% subsidiary. As a preventive measure,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should be applied even if a 100% subsidiary is set up. Seventh, the scope of joint and several obligations for tax liability under tax regulations is broader than that of under Commercial Code. It is more rational to match the extent the scope of the liabilities under tax regulations and Commercial Code. Eighth, qualifications for VAT exemption on investment in-kind should be reviewed. Under the current VAT regulations, a company or other corporate body with business units or divisions may be able to register each of them separately for VAT. It is recommended that VAT regulations be amended in a way that divisional business transfer using investment in-kind should be deem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the way business transfer through spin-off is treat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Ninth, it is not appropriate tha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In order to encourage various corporate restructuring methods, asset transfers through investment in-kind should be eligible for non-taxable treatment relating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on the exempted portion for acquisition & registration tax, as asset transfers through spin-off is exempted for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기술-사회(STS)관련 내용 분석

        김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textbooks for the education of the science and curriculum relating STS in chemistry chapters of Middle School first-year on the 7th curriculum. For this study, essential 8 elements in STS course suggested by Yager and type of study activity suggested by SATIA was b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STS education in chemistry chapter of 8 kinds of Middle School first-year science textbooks was showed from 16.3% to 28.4%, average 21.4%. When the STS contents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number of page related to STS was 82.9. Among them, 47.7 page were, as a major part, dealt with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science. STS contents were included only in a few texbooks, impling that the elements related to STS were biased to the certain subjects. Among the subjects about STS in the eight different kinds of science textbooks, 58.9% was for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by SATIS activity area, as a major part, a model experiment and experiment. The 7th curriculum appears to include somewhat large contents about STS compared with the 6th curriculum'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cience textbooks are well prepared for the good educational purpose on the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diversified subjects related to STS are not still given enough and many parts of the contents. therfore the careful comparative studies and the great efforts should given to develop the outstanding science textbooks which deal the subjects of STS in many possible respects.

      • 중년기 초등여교사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윤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ata from 285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tress test tool by Lee Hyang Ran(1992), revised by Han Jeong Min(2006), Self-encouragement inventory,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were used for measurements.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ts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ron and Kenny(1986) model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rela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were social life and family life orde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vealed that self-encourage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it discussed ab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study.

      • H. Berlioz 의 연가곡「Les Nuits d'été op.7」에 관한 연구

        김윤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bout a study on Hector Berlioz's song cycle "Les Nuits d'été - a summer night". Berlioz is a precursor of 19th century French romantic music and is also the most well-known composer who originated and used new motif called "Idée fixe" in his music, and with this created new dramatic orchestra music style. He broke the traditional forms and frames and thoroughly expressed the connection between poem and music by combining mid-19th century form with French songs, which were then called simple and declining romance in emotional aspect, and created a new song style named Mélodie. His achievement left a great effect in French art song. Meanwhile, Mélodie, which started from Berlioz, continuously went on developing owing to the improved express ability formed by many composers like Gounod, Fauré, Duparc, Poulenc etc, who used free forms from Renaissance and a lot more lyrical "vocal-reciting method" Berlioz's "Les Nuits d'été - a summer night", the main topic of this thesis, was a Mélodie mainly made of program music and it selected 6 pieces of poems from anthology named "La Comédie de la mort - a death comedy", which was published by Berlioz's friend, a poet and critic, Théophile Gautier(1811-1872) in 1838. Especially "Les Nuits d'été - a summer night" is composed of each different lyric poem with all different characteristics. Except it's first pastoral poem "Villanelle", other five poems all have summer night as their background. "Les Nuits d'été - a summer night" well reflects the meaning of this poem in its melody and in its accompaniment by evenly expressing the meaning of the poem in each prelude, bridge passage, and epilogue with its delicate touch. Out of 6 songs, song No.1 has modified-strophic form, song No.4 has Rondo form, and rest songs all have three-parted form. Its harmony is formed of chromatic scale harmony and other various harmonies which inspire colorful sense to the music. Also frequent modulation well reflects its focus on contents rather than form itself strongly representing its romanticism characteristic. Thus, it can be said that Berlioz's "Les Nuits d'été - a summer night" is more sophisticated and elegant than any other comtemporary lied, bringing up French Mélodie into a higher level. Berlioz's work became a milestone of French art lied which led late 19th century Europe vocal music and also became a good comparison to German Lied. 본 논문은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의 연가 곡 <여름밤(Les Nuits d'été)>(1841)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베를리오즈는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 음악의 선구자이자 고정악 상(Idée fixe)이라는 새로운 것을 창안하여 사용함으로서 표제음악이 라는 극적인 관현악곡 스타일을 창시한 대표적 작곡가이다. 또한 그 는 이전의 전통적인 형식이나 틀을 깨뜨리고 시와 음악의 연관된 뉘앙스를 충분히 표현함으로서 19세기 중엽 형식과 감정면에서 단 순하고 쇠퇴하던 로망스라 불리우던 프랑스 가곡에서 멜로디 (Mélodie)라는 새로운 가곡양식을 탄생시켰는데 이것은 베를리오즈 가 프랑스 예술가곡에 남긴 커다란 업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베를리오즈로부터 시작된 멜로디는 구노, 포레, 뒤파르크, 뿔 랑 등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낭만주의 시대동안 자유로운 형식들과 서정적인 성악 낭창법의 사용, 반주부의 증가된 표현력들로 계속해 서 발전되어 갔다. 본 논문의 제재인 베를리오즈의 <여름밤>은 표제음악의 특성이 주가 된 멜로디로서 베를리오즈의 친구이며 시인이자 비평가인 데 오필 고티에(Théophile Gautier 1811-1872)의 1838년에 출판한 <죽 음의 희극(La Comédie de la mort)>이라는 시집에서 6편의 시를 선 정해 작곡한 것이다. 특히 <여름밤>은 하나하나가 다른 성격을 가 진 6곡의 서정시로 제 1곡 목가(Villanelle)를 제외한 5편이 모두 여 름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여름밤>은 곡 전체가 시에 대한 의미를 선율에서 잘 나타내고 있으며 반주에서도 전주, 간주, 후주에 걸쳐 시의 의미를 표현하는 세심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형식은 6곡 중 제 1곡은 변형유절 형 식, 제 4곡은 론도(Rondo)형식이며 나머지 4곡은 3부분형식으로 동 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화성은 반음계적 화성과 다양한 화성으로 음 악에 색채감을 불어넣고 있으며 잦은 조바꿈은 형식보다 내용을 중 시하는 낭만적 성격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름밤>은 베를리오즈의 가곡작품에서 같은 시기의 다른 작품보다 더욱 세련되고 우아함으로 프랑스 멜로디를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으로 올려놓았으며 독일 리트(Lied)에 대비되는 프랑스 예술가곡으로서 19세기 후반 유럽의 성악음악을 주도하게 되는 프 랑스 예술가곡의 이정표가 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조선총독부 중추원 연구

        김윤정 숙명여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Jungchuwon (the Governor-General's Secretariat) of Joseon Chongdokbu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was an organ intended for embracing those who had helped Japan with its invasion into Joseon (Korea) of the Daehan Empire period but yet had not gotten any official post in Chongdokbu, and for them to provide advice and suggestion to the governor-general. The organ, however, might have been weakened because its general meetings were held through decision of the governor-general and resolutions from those meetings could come into effect only when the governor decided to select them. The purpose of the installation of Jungchuwon was not only to give an impression that national system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Daehan Empire would be maintained as they had been, but also to invent an image of the organ as an agent to speak for Korean people, while comforting pro-Japanese collaborators. Comforting or superficial displaying was, however, not the only thing the organ purposed. The officials of Jungchuwon had taken part in a lot of events even in the early 1910s when there had been no regular meetings of Jungchuwon. That is, they were absorbed into politics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rained and armed with loyalty and spirit as officials of the colonial government. Since its installation in 1910, the Jungchuwon organization had gone through seven reforms according to what Chongdokbu needed for ruling. Of them, the reforms in 1915 and 1921 are worthy of attention. In 1915, Jungchuwon was allowed to conduct customs and systems research, which was the first substantial duty of the then-titular organ Jungchuwon, and the work was assigned to Chamuis (councilors). The 1921 reform was to change the name and the number of the officials to five advisers and sixty five Chamuis, to raise their allowances, to grant the right to examine resolutions from the legislative body to Chamuis as well as advisers, and to receive recommendations from provincial governors in selecting Chamuis among locally influential civilians. In other words, Chongdokbu reformed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new the nominal Jungchuwon to a realistically useful organ. But, those reformations were just for Chongdokbu to utilize efficiently the organ, not to listen with care to more fundamental or radical opinions of Jungchuwon, like 'parliamentarism of Joseon'. The general public were also sceptical about the reforma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organ as a kind of "an asylum for the aged" was seldom changed. In the 1930s, Chongdokbu intended another reformation of Jungchuwon, including increase in the numbers of Chamuis and influential civilians, positioning of Japanese, and granting the right of recommendation, which however failed to have effect, meeting with the oppositions of 'too early to carry out it' and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It was not until the last phase of the war in 1944 that the Home Ministry of Japan renamed Jungchuwon to Sijeong Simuihoe (a committee of inquiry into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planned to apply the said reformation, but since Japan lost the war, it became nothing. Jungchuwon consisted of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general and administrative affairs including a chairperson, a head of securities, securities, secretary interpreters and part-time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of consultation including a chairperson, a vice-chairperson, advisers and Chamuis. In the 1910s, Jungchuwon did not play much of its role as an advisory organ: the working staff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such as the head of securities, were just sending official documents, like meeting or event notices and relief fund payment notices, to Chanuis (councilors) and vice-Chanuis. The organ was in low repute as a 'consultative body never running' or an 'asylum for the aged' gathering annual allowances only. It had little relation with advisory service in the initial period, but Chongdokbu continued to call them to a lot of official events so that it could be settled as a loyal organ to help a soft landing of colonial policies and its staff could be in a stable position as colonial officials. Jungchuwon held a consultation meeting per year and regular meetings every week and several meetings by the committee of research into municipal administration or other committees organized according to needs of that time. The most important one was the consultation meeting opened for a couple of days, which was called by the governor-general once or twice per year. During the consultation, Chamuis provided advice and suggestion verbally or in writing as requested by the governor-general. That is, it had a top-to-bottom structure where only matters ordered from the top are discussed, not where agendas or important matters are decided through resolution of Jungchuwon itself. Even though Jungchuwon meetings of the 1910s did not play much of its consultation role, they were held every year after the 3.1 Movement in 1919. The issues raised in the meetings from 1921 to 1924 were mainly about social customs. Also, Chongdokbu presented bills to Jungchuwon meetings as a means to read Korean people's thinking over the matter of legalization of Japanese civil laws to Korean ones, to prevent any disputes arising from the legalization. In the end of the 1920s to the 1930s when Chongdokbu had planned and implemented agrarian improvement projects, industrial development and people's enlightenment were the major issues of the meetings. The issues raised by Chamuis were about necessities of local people and discrimination proble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officials, but specifically, they focused on measures Chongdokbu had to take to control the 'seditious' current of that time. Chongdokbu wanted to gather information through reports of Jungchuwon officials on results of agrarian improvement projects, the popular will over those projects, trend of thought, and situations of the 'peace and reconciliation of Japan and Korea' policy. The issues consulted to Jungchuwon under wartime conditions included how to concentrate Korean people's resources and how to strengthen such ideas as 'Nae Seon Il Che' (Japan and Korea are one entity) and 'Hwang Min Yeon Seong' (Improve to be a Japanese citizen). Chamuis reported conditions of the national spirit mobilization project of the local districts where they were appointed and provided suggestions on improvement in resource mobilization for war, spiritual education related with Nae Seon Il Che, educational policies to equip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proper facilities, reinforcement of various control instruments and the like. The vice-chairpersons and advisers of Jungchuwon were all noblemen of Joseon and mostly, had been in Japan, which means they were likely to be the pro-Japanese group in politics. Most of the Chanuis of the 1910s were those who had entered into office at the time of Tonggambu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Korea) and been very active to be pro-Japanese collaborator, so many of them had been judges, directors of bureaus in Chongdokbu or provincial governors before getting the position of Chanui. The number of Chanuis of noble birth was relatively fewer than that of the advisers. And, the vice-Chanuis were generally lower in age and official position of the Daehan Empire period than the advisers and Chanuis, and many of them had been principals or teachers of modern schools or been in Japan for study or career before getting the position. Many Chamuis had the work experience of government officials despite organization reform since 1921 that influential civilians could enter into office as a Chamui. That means the key requirement to be a Jungchuwon Chamui was one's ability to provide advice and suggestion for policies of Joseon Chongdokbu. Some of Chamuis had special careers like an officer of the Japanese army or judge, and local Chamuis were mostly members of provincial assemblies or local pro-Japanese groups. A lot of Jungchuwon Chamuis had received a traditional education like Chinese classics, but those who had received a university education were also not a few. Many of them were wealthy people or great landowners and so, after the Daehan Empire period, became principal members in the Chamber of Commerce or other financial associations. Chongdokbu according to the so-called "Cultural Politics" after the 3.1 Movement selected fifty two local influentials (four people from each of the thirteen regions cross the country), and opened meetings from September twentieth, 1919, for the purpose of propagating meanings of the political reformation. That was a preparatory process before selecting local Chamuis, and so after the meetings, the governor-general appointed them to the position in charge of local propagation of Chongdokbu policies and 'preventive' steps against the 3.1 Movement, and assessed their activities to check if they were capable enough to be a local Chamui of Jungchuwon. The term of office for local Chamuis was generally three years, but some having been in office for a longer period might be those who were acting loyally in concert with Chongdokbu policies or were competent for making political measures with the career of administrative officials. Many of them had been in 'local assemblies' and so while holding power in local areas, could get a good reputation by using Jungchuwon as a vehicle to go to the central power. They ran a variety of businesses in local areas, held important positions in provincial financial institutes and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the middle classes like small or middle merchants and with local officials such as provincial governors, county headmen and heads of township, and could finally grow into a local power. Local Chamuis were active in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work by for example donating money or land to help establish private schools or foundations. The educational work they supported was, however, for middle class people such as establishing private schools and converting those schools to public ones, not for the masses, like installing evening classes, village schools and private ones of the young men's associations. That is, the local Chamuis provided support and money to the extent that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recognized. They finally came to be a man of power in local areas by getting both reputations that they invest surplus fund to educational work and that their work is for the general public. And, they made a generous donation in the business through which they can prove their loyalty to Chongdokbu such as social service or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ork or in the business showing their power or capital strength, but donated a petty sum of money to charitable work like flood relief fund or fund for the poor. The press regarded those local Chamuis as rich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were greedy for social position and fame on their economic background, not as local powers of broad view and high moral repute. It can be said that while they were admired by local small or middle merchants or administrative officials, the public thought of them as 'major pro-Japanese people'. In the mean time, there were two types of movement to secure legitimate political space in Joseon after the 1920s: one is to petition for the right to vote by effectuating the law for selecting assembly members in Joseon and then by dispatching them to the Japanese Diet; the other is the self-government movement b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legislative body in Joseon. Jungchuwon Chamuis preferred petition of the political right to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of Joseon and continued to present the bill to gain the right to vote through its meetings. It was found that the list of the petitioners submitted to the Japanese Diet included a number of Jungchuwon officials and that the leading people of Gapjagurakbu and the national association, which were the organs to petition the right, also included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officials. Those who argued for the self-governing assembly of Joseon were thinking that there should be reformation in the existing Jungchuwon. Also, Chongdokbu was considering reformation to expand the scope of Jungchuwon consultation, to nominate Japanese Chamui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officials, and the claim that Jungchuwon be changed to a voting organ from an advisory one was put forward in meetings. But, there was, from the start, little chance of Jungchuwon to be a voting organ as a 'national assembly' because that change was so dangerous to the Japanese government as to deny fundamentally the politics of the government-general. Another work Jungchuwon Chamuis had done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was giving lectures across the country on social situations and people's enlightenment. Especially, the major subjects of the lecturing tours after 1940 were about change of one's full name to a Japanese style, acceptance of the conscription system and appreciation of the national sprit mobilization project. The people gathered for such lectures were mostly local influentials, leaders, heads of township and public officials, and the audience were sometimes previously decided before a lecture and were forced to listen to it. Some of the masses visited the lectures just to see Jungchuwon Chamuis speak. And, even local officials seemed to have been uncertain of the war provoked by Japan, and policies of Chongdokbu did not get much support from the public, as based on the fact that local officials and intellectuals were careful about the government scheme to identify the form of the state because of the public's attitude over the matter. Some Chamuis were dispatched to Manchuria and the north of China to comfort the colonial army and to inspect living conditions of Korean people there. Those dispatched were experienced officials with the career of longer than 10 years or holding the position even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or until their death. In other words, of the Chamuis, they were straightest-out officials, armed with the ideology of Chongdokbu policies and the aggressive war. From 1931 to the national liberation in August 1945, Chamuis had taken an active part in a variety of pro-Japanese groups and done their best to cooperate for the war in every possible ways like money, resources and labor and to propagate the justice of the war to the public. Putting it together, Jungchuwon Chamuis were rather voluntary in such cooperation for the war by for example contriving their own ways to collaborate, than passively mobilized for the war. Even though some made an excuse that they had been forced to participate in compulsory policies of Chongdokbu, their cooperative activities for the war show well that they collaborated from their voluntariness. Consequently, Jungchuwon was not a simple advisory organ of Chongdokbu nor a mere organ in favor of the pro-Japanese people. Chongdokbu utilized Jungchuwon in effective and multi-directional ways when formulating, establishing and executing colonial policies, and the members of Jungchuwon were also active in responding to the utilization. That is, Jungchuwon, when viewed as a subsidiary organ from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was playing such an important role that it should be the last to be overlooked. 조선총독부 중추원은 대한제국 시기에 일본의 조선 진출에 협력하였던 사람들 중 총독부 관직을 맡지 못한 사람들을 중추원이라는 조직으로 아울러서 총독의 자문에 응하게 한다는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총독이 소집할 의사가 없으면 회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의의 효력도 오로지 총독의 취사선택에 달렸기 때문에 중추원은 언제든지 그 기능이 약화될 수 있는 기구였다. 이러한 중추원의 설치는 대한제국의 국제나 행정기구를 그대로 지속 유지시킨다는 인상을 줌과 동시에 ‘조선민중의 의사를 표출하는 기관’인 것처럼 조작하고, 친일협력자에 대한 예우의 성격도 가졌다. 그러나 단순히 예우 차원이나 보이기 위한 측면만은 아니었다. 중추원 회의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전인 1910년대 초반에도 중추원 의관들은 수많은 총독부 행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추원 의관들은 총독 정치의 일부분에 흡수되고 식민지 관료로서의 충성심과 정신을 체화하고 교육받았다. 조선총독부 중추원 관제는 1910년 설치 이후 총독부 통치의 필요에 따라 일곱 번의 개정을 거쳤다. 그중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1915년과 1921년의 개정이다. 1915년에는 중추원의 기능에 구관 및 제도조사를 추가시켰다. 이 사업은 유명무실했던 중추원이 주도적으로 맡은 첫 사업이었고 참의들이 사무를 분장하여 참여하였다. 1921년의 개정은 의관의 명칭과 수를 고문 5명, 참의 65인으로 바꾸고 수당을 늘렸으며 원의를 심정하는 권한을 고문 뿐 아니라 참의에게도 확장하였고 이 시기부터 지역의 민간유력자들 중 참의를 도지사로부터 추천받는 방식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즉 총독부는 중추원을 실질적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기구로 변화시키고자 관제를 개정한 것이었다. 중추원 관제 개정의 과정은 총독부가 통치의 효율성 차원에서 중추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바꾼 것이었고, 중추원의 ‘조선의회화’ 주장이나 근본적이고 철저한 개혁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귀기울인 것은 아니었다. 일반의 시각도 중추원 관제 개정에 대해 냉소적이었고 일종의 ‘양로원’으로 생각하는 경향은 그다지 바뀌지 않았다. 1930년대에 총독부는 중추원 참의 정원과 지방유력자의 수를 늘리고 일본인을 임명하며 건의권 등을 부여하는 중추원 개혁안을 갖고 있었으나, 시기상조론 내지는 자중론과의 의견 조율에 실패하여 이루어지지 않았다. 1944년 전쟁 말기에 가서야 일본 내무성은 중추원을 시정심의회로 개칭하고 앞서의 개혁안 내용을 반영시킨 관제개정안을 기획하지만 곧 일제가 패망했기 때문에 시행되지는 않았다. 중추원의 조직은 기본적으로 의장-서기관장-서기관-통역관-속&#8228;촉탁으로 내려오는 중추원의 전체 사무를 총괄하며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구조와, 의장-부의장-고문-참의로 내려오는 의사 논의 구조로 나뉘어 있었다. 1910년대 중추원의 조직 운영은 자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서기관장을 비롯한 실무진들이 찬의&#8228;부찬의들에게 회의 등에 관련한 공문서를 발송하고 각종 행사 참여 공지라든가 의연금 납부 공지 등 행정업무를 하는 것에 조직 운영이 치중되었다. 따라서 1910년대 중추원은 ‘운영되지 않는 자문기관’으로서 연수당이나 받아가는 ‘경로당’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초기의 중추원은 자문 기능과는 거리가 멀었으나, 총독부는 중추원 의관들을 다양한 행사에 끊임없이 소집함으로써, 식민정책을 연착륙시키기 위한 충실한 기구로 중추원이 자리잡고 식민지 관료로서 이들이 정립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중추원의 회의는 1년에 한번 열리는 자문회의와, 1주에 한번씩 소집된 例會, 그리고 시기에 따라 조직된 시정연구회나 여러 위원회 등의 회의가 있었다. 가장 중요한 회의는 1년에 1번 혹은 2번 총독이 소집한 자문회의로, 2~3일간의 기간 동안 총독이 제시한 자문사항에 대해 참의들이 답신을 하거나 서면답신을 내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즉 중추원 자체에서 의제나 안건 사항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위에서부터 내려오는 사항만이 토의되는 구조였다. 1910년대 중추원회의는 자문의 역할은 거의 수행하지 못하였으나 3.1운동이 일어난 후로 매년 회의가 개최되기 시작하였다. 1921년에서 1924년까지의 중추원회의는 주로 사회관습과 관련된 사항이 안건으로 제기되었다. 총독부는 일본 민법 제도를 조선의 성문법으로 도입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충돌 등에 대해 중추원에 미리 의안을 던져 조선인들의 의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총독부가 농촌진흥운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1920년대 말부터 1930년대는 주로 산업 진흥과 사회 교화에 대해서 자문사항이 올라왔다. 참의들은 지방 민중의 입장에서 필요한 사항과 조선인 관리와 일본인 관리 평등 문제 등을 거론하기도 하였으나 조선의 ‘불온’한 사상적 흐름을 다잡기 위해 총독부가 실행해야 하는 방책 등에 대해서 많은 의견을 개진하였다. 총독부는 중추원 의관들의 답신을 통해 농촌진흥운동의 진척 상황과 이에 따른 민의의 동향, 사상의 동향, ‘내선융화와 화목’의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시체제기에 들어서면서 전쟁을 위해 국민의 총력을 결집시킬 수 있는 방책과 ‘내선일체’, ‘황민연성’ 의 강화를 위한 방안을 묻는 자문사항이 토의되었다. 참의들은 자신이 속한 지방에서의 국민정신총동원운동 상황을 보고하고, 전쟁동원과 관련한 물자동원 개선, 내선일체와 관련된 정신교육 강화, 교육기관 설비 및 확충을 위한 교육정책, 각종 통제기구 강화 등의 정책을 총독부에 제시하고 있었다. 중추원 부의장과 고문들은 모두 조선귀족의 신분이었고 대부분 일본 외유 경험 등을 통해 정치적으로 친일세력화할 수 있는 배경을 지니고 있었다. 1910년대 찬의들을 보면, 통감부 시대에 들어와 적극적으로 친일관리로의 변신을 추구한 인물들로, 그 결과 많은 인물들이 판사 혹은 총독부 국장, 관찰사 등을 거쳐 찬의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고문에 임명된 자들에 비해 찬의들은 세습적인 문벌 집안 출신들이 적은 편이다. 부찬의의 경우 대한제국 시기의 관직이 고문, 찬의보다 대체적으로 낮고 연령도 낮았다. 그리고 근대식 학교에서 교사와 교장을 역임하거나 일본 유학, 일본 시찰의 경력이 있는 인물들이 많았다. 1921년 관제 개정 이후 민간유력자들을 참의의 일부에 임명하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행정관료 경력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이는 중추원 참의 요건에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대해 발전방안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참의 중에는 일본군 장교와 판사 등 다양한 경력자들도 포함되었으며, 지방참의들의 경우 대부분 도의원과 지방 친일단체의 간부들로 채워졌다. 중추원 참의들은 한문 수학을 한 사람들이 제일 많았으며 대학 졸업자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참의들 중에는 자산가나 대지주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한말 이후 상공회의소나 금융조합에서 중요 간부로 활동하였다. 3.1운동 이후 소위 ‘문화정치’가 시행됨에 따라 총독부는 ‘개혁의 취지를 보급하기 위하여’ 1919년 9월 20일부터 전국 13도에서 4명씩 지역유력자 52명을 선정하여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는 지방참의를 발탁하기 전 단계의 과정이었고 회의 직후 총독은 이들에게 총독부 정책과 3.1운동 이후 ‘예방책’을 지방에 선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중추원 지방참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평가 근거로 활용했다. 지방참의들은 대체로 임기 3년만 채우는 경우가 많았으며 재임기간 3년 이상인 자들은 총독부의 정책에 충실히 호응하거나 정책생산 능력, 행정관료 경력 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은 대부분이 ‘지방의회’ 경력을 가졌으며, 이들은 지방에서 기존 권력을 유지하면서 중앙과의 매개체로 중추원을 이용하여 명망성을 얻어갔다. 이들은 지역에서 각종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지역경제단체 간부직을 맡으면서, 지방의 중소상인 등 중간계급과, 도지사, 군수 면장 등 지방행정관료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명망가로 성장하였다. 지방참의는 지역에서 사립학교, 재단 등을 설립하여 현금이나 토지를 기부하는 육영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이들은 다수의 민중이 교육받을 수 있는 서당이나 야학, 청년회의 사립학원 등에 지원하지 않고, 중산계급이나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층을 위한 사립학교를 설립하여 공립학교로 변경하는 형태로 육영사업을 펼쳤다. 즉 지방참의들은 제도권 내의 교육에서 지원과 투자를 했던 것이다. 이들은 잉여자본을 육영사업에 투자한다는 명분과 지방의 민중들을 위한다는 명분을 함께 얻으면서 지방의 권력자로 군림하게 되었다. 또 지방참의들은 사회사업이나 생활개선사업과 같이 총독부에 대한 충성도와 직결되는 사업과 자본력과 권력 등을 실질적으로 드러내는 展示的 사업에는 거금을 기부하나, 민중의 생명과 직결되는 수해기금, 빈민구제금 등 자선사업에는 소액을 기금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지방참의에 대한 언론의 인식은 식견과 덕망이 있는 지역인사라는 이미지보다는 일제에 협력하고 경제적 부를 배경으로 지위와 영예를 탐하는 부호나 친일인사들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지방참의들은 지역의 중소상인이나 지방행정관료들에게는 칭송받았으나 민중들에게는 ‘거물 친일파’로 인식되는 존재에 불과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920년대 이후 조선에서 합법적인 정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두 가지 경로의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하나는 중의원 의원선거법을 조선에 시행하여 조선에서도 제국의회에 의원을 파견하자는 참정권청원운동이었고, 다른 하나는 조선에 독자적인 특별입법기관을 설치하자는 자치운동 흐름이었다. 중추원 참의들의 대부분의 생각은 ‘조선의회’ 성립보다는 참정권 부여 쪽에 기울어져 있었고 중추원 회의에서도 참정권 부여 요구를 끈질기게 제출하였다. 일본의회에 제출된 참정권 청원 명단 중 중추원 의관이 상당수 추출되었고, 참정권 청원단체인 국민협회와 갑자구락부의 중심인물과 중추원 의관이 상당수 겹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의 자치의회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미 실존하고 있던 중추원을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추원의 자문사항의 범위를 늘리고 일본인 참의를 임명하고 의관 숫자를 늘리는 등의 개혁은 총독부에서도 검토하고 있었던 사항이었다. 중추원 회의에서도 현준호는 자문기관이 아닌 결의기관으로서 ‘조선의회’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추원을 ‘조선의회’로 바꾸어 결의기관으로 하는 것은 총독 정치를 근본적으로 개혁하는 것이므로 일본 정부로서는 매우 위험요소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 가능성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1931년 만주사변 이래 중추원 참의들은 사회교화 강연과 시국 강연을 전국적으로 다니기 시작했다. 특히 1940년 이후에는 창씨제도와 징병제를 환영하고 국민정신총동원을 강조하는 순회강연을 다녔다. 이러한 강연에 모인 사람들은 지방 유력자, 지도자, 면장, 관공서원들이 주축이 되었으며 미리 각 면에서 참가 인물들을 지정해서 참가시키기도 하였다. 일반 민중들 중에는 중추원 참의가 강연한다니 한번 구경하러 가자는 경향도 있었다. 또한 지방 관공서 사람들과 지식인들이 “국체명징” 문제 등을 민중에게 말하는 것을 민중의 태도를 생각하여 삼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통해, 지방 공직자들조차도 일제가 일으킨 전쟁에 대해 조선인으로서 확실한 태도를 갖고 있지 않았고 총독부의 시정 방침이 일반 민중들에게는 별로 동의를 얻고 있지 못하는 상태였다는 점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참의들은 만주와 북중국 지역에 파견되어 ‘황군’을 위문하고 재만 조선인의 생활 상황을 시찰하였다. 파견된 참의들 대부분은 10년 이상 참의를 하였고 해방 후나 사망시까지 참의를 한 사람들이었다. 즉 참의들 중에서도 총독부 정책과 침략전쟁의 의의를 가장 잘 체화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또 참의들은 1931년 이후 1945년 8월 해방까지 다양한 친일단체에서 중요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물자, 헌금, 노무 등 전 방면을 통해 전쟁에 협력하고 민중들에게 그 정당성을 홍보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다. 중추원 참의들은 이러한 전쟁협력활동에 피동적으로 동원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 협력의 방법을 고안해내어 자발적으로 나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독부의 강요 혹은 강제적인 정책에 ‘억지로 동원’되었다는 일부 참의들의 변명이 있으나 이러한 전쟁협력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참의들의 자발성에 기초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추원은 단순히 총독의 자문기관으로서만 활동했던 것도 아니고, 친일파를 우대하기 위한 기관만도 아니었다. 총독부는 각 시기별로 식민지 지배정책을 구상하고 결정하고 집행하는 데 중추원을 다각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였고 중추원 구성원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부응하였다. 중추원은 통치의 보조기관으로서 일제의 지배정책사 흐름에서 보았을 때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윤정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Post-traumatic Stress in Fire Fighters Yoonjung Kim (Adviser : Prof. Jeongyee Bae, Ph.D)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 Recently, risky accidents and disasters are occurred more frequently.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destruction of buildings, explosion, conflagration etc. and disaster of storm, earthquake which is caused by global warming. Also the increasing number of conflagration and rescue-activity have made fire fighters who should fulfill their mission to save citizen's lives and assets in spite of dangerous environment. Many fire fighters have a lot of job stress and?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lack of the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and institutional approach is serious probl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management of post-traumatic stress in fire fighters. Method This study surveyed 2,181 fire fighter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7, 2009 to September 29, 2009 using an organiz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traumatic events,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and IES-R-K(Impact of Event Scale Revision Korean). SPSS 17.0 was us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Generally,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men(97.8%), 30 years of age(42.6%), married(79.0%), above university education(74.4%), and have not religion(52.5%). In addition, their period of working experience were below 10 years(47.4%) and their work experience as fire extinguisher(53.4%) ranged between below 10 years(70.6%). Majority of them working 3 shifts(46.6%) and below 20 frequency in mobilization(67.3%). Also, cause of stress was emergency medical services(32.5%), resolution to stress or psychological suffering was immersed in a hobby(33.5%), no experiences of treatment(80.7%), want to treat(29.4%), and 4.1% have experienced treatment. 2. The score of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ranged from 0 to 16, with a mean score of 4.62(3.52), post-traumatic stress ranged from 0 to 88, with a mean score of 12.44(15.31). Also, score of depression ranged from 0 to 48, with a mean score of 6.92(7.86). The score of anxiety ranged from 0 to 58, with a mean score of 4.96(6.31) and somatization ranged from 0 to 58, with a mean score of 8.32(8.22). 3. The difference of post-traumatic stres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10.19, p<.001), marital status(F=10.76, p<.001), education(F=7.17, p=.007), period of working experience(F=11.99, p<.001), work function(F=21.39, p<.001), period of current work experience(F=11.15, p=.001), work shift(F=20.81, p<.001), mobilization frequency(F=14.45, p<.001), cause of stress(F=14.67, p<.001), resolution to stress or psychological suffering(F=3.03, p=.002), experiences of treatment(F=38.15, p<.001), needs of counseling or treatment(F=342.69, p<.001), and experinces of counseling or therapy(F=55.02, p<.001). 4. The differ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9.93, p<.001), marital status(F=4.58, p=.010), education(F=4.46, p=.035), religion(F=6.34, p=.012), period of experience(F=11.05, p<.001), work function(F=7.34, p<.001), period of current work experience(F=6.90, p=.001), and work shift(F=9.71, p<.001). 5. The difference of anxie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10.11, p<.001), marital status(F=9.13, p<.001), religion(F=7.20, p=.007), period of working experience(F=11.66, p<.001), work function(F=8.72, p<.001), period of current work experience(F=11.23, p<.001), and work shift(F=12.54, p<.001). 6. The difference of somatiz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somatiz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10.13, p<.001), marital status(F=7.22, p=.001), period of working experience(F=10.34, p<.001), work function(F=6.76, p<.001), period of current experience(F=6.43, p=.002), work shift(F=8.82, p<.001), and mobilization frequency(F=4.15, p=.016). 7. The positive correlation among post-traumatic stress, traumatic events(r=.44, p<.001), depression(r=.64, p<.001), anxiety(r=.67, p<.001) and somatization(r=.60, p<.001). Conclusion This study was identified to be proper in explaining of post-traumatic stress of fire fighters. Screening for traumatic events,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of fire fighters will enable the detection of post-traumatic stres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problems will also be eased. Management of post-traumatic stress should involve the development and use of a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CISD) program. Key Words :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 윤 정 (지도교수 : 배 정 이) 인제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목적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2009년 9월 7일부터 25일까지 부산시 소방공무원 2,181명을 전수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외상성 사건의 경험, 외상후 스트레스 및 우울, 불안, 신체화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및 신체화 정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 검정을 이용하였고,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 외상성 사건의 경험, 우울, 불안 및 신체화 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97.8%로 거의 대부분이었고, 연령은 30대(42.6%), 결혼 상태는 기혼(79.0%), 교육정도는 대졸 이상(74.4%)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52.5%는 종교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의 47.4%가 10년 이하의 근무기간을 가지고 있었고, 현재 화재진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대상자가 53.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현재업무의 수행기간은 10년 이하가 70.6%로 가장 많았고, 근무형태에서는 3교대가 46.6%, 출동빈도에서는 주 20회 이하가 67.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소방공무원들이 가장 스트레스로 느끼는 업무로는 구급이 32.5%로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나 심리적인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취미생활에 몰두하는 경우가 33.5%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스트레스나 심리적인 고통으로 대상자의 대부분인 80.7%에서는 치료 경험이 없다고 하였지만, 소방공무원의 29.4%는 상담이나 심리적인 치료를 받고 싶다고 하였고, 4.1%는 실제로 정신과 치료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3. 대상자의 외상성 사건의 경험 정도는 16점 만점에 평균 0.29점으로 ?처참한 시신을 목격하거나 수습?한 경험이 64.1%였다. 대상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는 88점 만점에 평균 0.57점, 우울은 48점 만점에 평균 0.53점, 불안은 58점 만점에 0.50점, 신체화는 58점 만점에 평균 0.69점이었으며, 대상자의 17.6%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F=10.19, p<.001), 결혼 상태(F=10.76, p<.001), 교육 정도(F=7.17, p=.007), 근무기간(F=11.99, p<.001), 현재 수행중인 업무(F=21.39, p<.001), 현재업무의 수행기간(F=11.15, p=.001), 근무형태(F=20.81, p<.001), 출동빈도(F=14.45, p<.001), 스트레스 유발업무(F=14.67, p<.001), 스트레스 및 심리적 고통 해소법(F=3.03, p=.002), 스트레스 및 심리적고통의 치료경험 유형(F=38.15, p<.001), 상담 및 심리 치료의 필요성 유무(F=342.69, p<.001), 정신과 치료경험 유무(F=55.0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성별과 종교에 따라서는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F=9.93, p<.001), 결혼 상태(F=4.58, p=.010), 학력(F=4.46, p=.035), 종교(F=6.34, p=.012), 근무기간(F=11.05, p<.001), 현재 수행중인 업무(F=7.34, p<.001), 현재업무의 수행기간(F=6.90, p=.001) 및 근무형태(F=9.71,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대상자의 우울 은 성별과 출동빈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 정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F=10.11, p<.001), 결혼 상태(F=9.13, p<.001), 종교(F=7.20, p=.007), 근무기간(F=11.66, p<.001), 현재 수행중인 업무(F=8.72, p<.001), 현재업무의 수행기간(F=11.23, p<.001) 및 근무형태(F=12.54,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대상자의 불안은 성별, 교육 정도 및 출동빈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화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10.13, p<.001), 결혼 상태(F=7.22, p=.001), 근무기간(F=10.34, p<.001), 현재 수행중인 업무(F=6.76, p<.001), 현재업무의 수행기간(F=6.43, p=.002), 근무형태(F=8.82, p<.001) 및 출동빈도(F=4.15, p=.016)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대상자의 성별, 교육 정도 및 종교에 따라서는 신체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 대상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정해 본 결과, 외상후 스트레스는 외상성 사건의 경험(r=.44, p<.001), 우울(r=.64, p<.001), 불안(r=.67, p<.001) 및 신체화(r=.60,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을 전수 조사하여 그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 및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의 예방 및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직무 특성, 외상성 사건의 경험, 우울, 불안 및 신체화는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성이 매우 높은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의 외상성 사건의 경험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조기에 파악하고, 우울, 불안, 신체화 등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중재하여 그들의 정신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