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 칼뱅의 공공신학과 한국적 칼뱅주의의 공공성 약화 원인 연구 : 초기 한국 교회의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김명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현재의 주류 한국교회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 인식의 원인으로 신학의 공공성 부족을 지적한다. 신학의 공공성을 잃어버린 교회가 중요한 참조 집단인 대중을 무시한 채 신자의 사적 인 영역에 대해서만 논한다면 신학자는 “게으른 다원주의자”나 “열정적인 신학적 예언가” 밖에 될 수 없다. 공공신학은 이러한 종교의 사사화에 저항하여 다시 한 번 교회의 공적인 목소리를 회복하려 하는 신학이다. 공공신학은 연구 방법에 있어서 성서 및 전통 그리고 이전의 신학자들 의 자원을 가지고 공적 영역의 담론에 참여하는 것을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인식한다. 이 논문 은 한국 주류 교단의 뿌리가 되는 칼뱅신학이 자신의 시대와 이후 서구 사회에 많은 공적인 영 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선교사들을 통해 한국교회에 전해진 칼뱅신학은 왜 공공성이 약화되 었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칼뱅은 “하나님의 적응” 사상을 통해 모든 세계와 역사를 도 구로 자녀인 인간을 가르치고 인도하는 하나님을 말하였다. 국가, 즉 공적 영역과 교회는 인간 을 자유롭게 질서 가운데로 이끄시는 하나님의 두 팔이다. 칼뱅의 이러한 사상을 통해 아우구스 티누스의 천상과 지상의 도시 사이에서 순례자로서 방황하던 신자는 자신의 삶에서 모든 세계 의 질서의 회복을 위해 달리는 경주자로서 자신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칼뱅신학이 19세기 말 한국교회에 도래하였을 때 선교사들은 칼뱅주의뿐 아니라 부흥주의,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 라는 당시 영국과 미국에서 유행하던 신학을 함께 지닌 채 선교를 시작하였다. 특히 부흥회를 통해 널리 전해진 길선주의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 신학과 1930년대 한국 보수적 근본주의 신 학의 토대가 된 박형룡의 교회의 사회 참여에 대한 매우 비판적 인식은 내면적, 내세적 신앙이 한국 주류 교단의 신학으로 나타나게 된다. 물론 초기 한국교회의 일제 탄압이라는 특수한 상황 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그들의 신학이 박탈당한 자로서의 신자들의 위로와 소망이 되었고 포교 를 통해 교세의 확장이라는 순기능이 있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오늘날 교회의 공적 목소리 회복을 위해 한국 주류 교단의 토대가 된 칼뱅의 공적 신학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기대한다. The author suggests that current negative public perception of the Korean church is primarily due to the lack of public theology. If the church without its public voice only discusses the private sphere of faith while ignoring the public as an important reference group, the theologian can only be either a "lazy pluralist" or a "passionate theological prophet". Public theology is a theology that resists this privatization of religion and seeks to recover the public voice of the church once again. Public theology recognizes the process of engagement in public discourse with the resources of the Bible, tradition, and previous theologians as its primary method of research. This dissertation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y Calvin's theology, which is the foundation of one of the largest denomination in South Korea, has become less public, despite the fact that Calvin himself had strong public influences in his own time and later in Western society. His theology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church through western missionaries. Through the idea of "God's Accommodation," Calvin spoke of God using the world and history as an instrument to teach and guide his children, human beings. The state or public sphere and the church are considered to be the two arms of God that lead human beings freely into order. With these ideas, the believer who wandered as a pilgrim between Augustine's heavenly and earthly cities came to recognize himself as a racer in his own life, running for the restoration of order in the world. However, when Calvinism was recieved in the Korean church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issionaries brought with them not only Calvinism but also the theologies popular in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at the time, such as revivalism and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n particular, Gil Sun-joo's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which was popularized through the revival meetings, and Park Hyung-ryong's highly critical perception of the church's public involvement in society,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conservative fundamentalist theology in Korea in the 1930s, would come to characterize the theology of the mainstream Korean church as an inwardly and, afterlife-oriented faith. Of course, give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oppression, there is no denying that their theology provided comfort and hope to believers as deprived people and had the net function of expanding the church through proselytizing. However I look forward to more research on Calvin's public theology,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mainstream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order to restore the church's genuinely public voice today.

      • 裵敏洙의 民族意識 形成과 民族運動 變化 硏究

        주명식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고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관한 것이다. 그의 民族運動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세계 열강의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국제질서 속에서 소용돌이 치던 조선왕조는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당하게 되었다. 조선왕조 말 壬午軍亂(1882)과 乙巳條約(1905)에 이어 丁未七條約(1907)으로 마침내 舊式軍隊가 해산되면서 전국적이고 전계층적인 의병봉기가 있었다. 裵敏洙는 구식군대의 하사관이었던 아버지 裵昌根이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기 전 남긴 유언과 같은 말에 크게 자극받았다. 반드시 나라를 되찾아야 한다는 抗日意識과 구국에 대한 독립의지가 싹트게 된 것이다. 이것이 裵敏洙의 民族運動의 시발점이라 하겠다. 義兵運動은 훗날 독립군의 獨立戰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구한말에 裵敏洙는 基督敎를 접하게 되었고 기독교 학교를 통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보다 분명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기독교 宣敎師들과 民族意識이 투철한 민족청년들에 의해 설립된 淸州淸南學校에서 裵敏洙는 세계적인 인물들과 영웅들을 알게 되었다. 특히 미국의 아브라함 링컨을 존경하게 되어 그와 같이 민족의 英雄이 되고 싶은 야망을 품게 되었다. 淸南學校에서 基督敎的 價値觀과 世界觀을 통해 民族意識이 더욱 투철해진 裵敏洙는 친구들과 함께 숲속에서 몸에 문신을 새기는 秘密儀式을 치르기도 했다. 이 시기의 裵敏洙의 민족에 대한 의식은 아직은 운동의 차원이 아닌 하나의 야망과 꿈으로 형성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裵敏洙는 普通學校를 마치고 역시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中等敎育 기관인 平壤崇實學校에 입학하였다. 裵敏洙는 숭실학교에서 그의 생애 가장 획기적인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朝鮮國民會라는 地下秘密組織을 결성하게 된 것이다. 國民會는 다분히 義兵運動과 같은 연장선에서 그 성격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그 행동양식에 있어서 게릴라(guerrilla)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國民會는 絶對的인 武裝獨立鬪爭路線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시기에 우리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대한 특징이 暴力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훗날 그의 暴力的 運動이 변화되긴 했지만 당시의 裵敏洙는 非暴力 無抵抗을 강조했던 톨스토이나 인도의 간디,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와는 달리 독일의 나치정권에 대항했던 본회퍼의 神學思想과 유사한 行動樣式을 취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하지만 裵敏洙가 조직한 투쟁적이던 國民會는 거사를 치르기도 전에 정체가 발각되면서 일제에 의해 국민회 회원들은 체포되어 징역살이를 하게 되었다. 이 시기 裵敏洙는 독립운동단체들간의 의견불일치를 인식하게 되었고 아울러 民族運動에 대한 行動樣式의 문제점을 제기한 曺晩植을 만나게 되면서 그의 민족운동은 보다 온건하면서도 持續可能한 實力養成論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裵敏洙는 특히 咸鏡北道 城津에서 三一獨立運動을 주도하게 되었다. 성진에서의 독립운동의 특징은 독립선언문에 기록되어 있는대로 그 행동양식이 非暴力的이었다는 점이다. 아버지의 의병활동과 국민회의 독립운동을 위한 행동양식에 비교하면 대단한 변화와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국민회 사건과 성진에서의 삼일독립운동으로 裵敏洙는 옥고를 치르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투쟁이나 무력을 통한 방식으로는 민족운동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한 裵敏洙는 그가 일평생 심혈을 기울였던 농촌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당시 韓國의 80%가 農村이었다. 농촌을 살리는 일이 곧 獨立運動이요 民族運動이란 점을 깨달은 배민수는 農村運動에 전념하게 되었다. 하지만 義兵運動에 대해서도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선교사들처럼 韓國敎會의 농촌운동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日帝가 농촌운동을 독립운동으로 파악하게 되면서 배민수의 농촌운동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이 문제를 神學的으로 해결하고자 平壤神學校에 입학하게 되었다. 하지만 保守的 根本主義 神學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평양신학교에서도 裵敏洙는 농촌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지 못하게 되자 미국의 맥코믹 신학교로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평양신학교와 같은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을 표방하고 있던 맥코믹 신학은 한국에 있는 평양신학교와는 달리 自由主義도 根本主義도 아닌 온건한 중도적 입장에 서 있다는 것을 裵敏洙는 알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많은 다양한 신학 교수들을 만나게 되었다. 특히 라우센부쉬의 社會福音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裵敏洙는 美國留學을 통해서 民族主義的 民族運動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세계를 아우르는 세계관을 갖게 되었고 이것은 이 지상에 하나님 나라 건설이라는 보다 靈的인 운동으로 한 차원 격상하게 되었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長老會 總會 農漁村部 初代 總務를 맡으면서 농촌순회 강연과 농촌지도자 양성에 열심했지만 미국경제의 불황과 후원금 감소로 인한 재정난 또는 농촌경제와 복지보다는 救靈이 우선이라고 하는 총회의 保守性에 밀려 마침내 농촌부는 폐쇄되고 말았다. 사실 裵敏洙는 귀국하여 曺晩植 등과 함께 農村硏究所를 설립하고 理想的인 예수촌 건설을 꿈꾸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야망들이 쉽게 이루질 수 없었다. 해방과 더불어 피폐해진 한국농촌을 구원할 방도에 고심하던 裵敏洙는 大田基督敎聯合奉事會와 함께 基督敎農民學院을 설립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평생의 숙원이었던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농촌운동이 가장 절박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농민학원을 운영하게 되었다. 농민학원을 통하여 裵敏洙는 하나님 나라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삼애정신을 특히 강조하였다. 애신(愛神 ; Love God), 애농(愛農 ; Love Land), 애로(愛勞 ; Love Work)가 바로 그것이다. 삼애정신은 利他的인 것이 특징이다. "남 살려야 내가 산다"는 배민수의 座右銘이 그것을 잘 말해준다. 당시 19世紀末 基督敎會가 말씀 선포(kerygma)만 강조하거나, 친교(koinonia) 혹은 봉사(diakonia)만 강조하던 교회의 삼중구조에 대한 일편적인 불균형을 裵敏洙는 三愛精神을 통하여 통전적으로 접근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아직 그때까지 신학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았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떤 점에서 裵敏洙의 하나님 나라 건설 운동의 요체인 삼애정신에서 우리는 그가 敎會至上主義를 극복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宣敎神學的으로 달리 말하자면 '하나님 - 교회 - 세상'의 구조가 아닌, '하나님 - 세상 - 교회'의 구조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裵敏洙의 농촌운동은 단순하게 농업개량이나, 福祉次元을 뛰어넘는 四海同胞적인 신학과 理念을 표방하고 있는데 그의 농촌운동으로서의 이 땅 위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려는 운동은 그의 저서 "그 나라와 한국 농촌"에 잘 드러나 있다. 요컨대 裵敏洙의 民族運動이란 舊韓末 義兵運動에서 시작하여 極端的인 抗日武裝獨立運動으로 발전하였고 이어 지속가능한 농촌운동으로 변화하게 되었지만 마침내 민족주의적 한계를 극복하고 일생의 사명이었던 전세계 인류를 위한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 성숙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하여 배민수는 한국농촌을 선택하였던 것이고 삼애정신으로 그것을 꽃피우고자 했던 것이다. 義兵運動 - 獨立運動 - 農村運動- 하나님 나라 운동(삼애정신)이 그것이다. 이것은 다시 暴力的 運動 - 啓蒙的 運動 - 神國的 運動(三愛精神)으로 정리할 수도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take Bae Min Su' national movement, the process of hi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and its development. In the vortex of imperialistic and capitalistic world system ruled by western powers, the Chosun Emperor was disseized of its sovereign rights by Japan.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gone through the Im-O Army Rebellion(1882), Eul-Sa Treaty(1905) and Jung-Mi 7 Treaties(1907), Chosun was in a state of anarchy. At last Korean army was disarmed by Japan and there rose a nationwide revolt of patriotic soldiers(guerilla) in every classes. Bae Chang Kun, Bae Min Su's father, who was a sergeant of Korean army was one of the patriotic soldiers. On the last day of his death in prison, his last words meant to Bae Min Su as an enlightenment of his consciousness, resisting to Japan and of the strong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This was the start of Bae Min Su'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Bae Min Su came to know the Christianity and he could recognize his national identity more clearly through his life at mission school. At Chungnam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foreign missionaries and patriotic youths, where Bae came to know the stories of world popular heros, such as Abraham Lincoln, he dreamed of being a national hero. With Bae's worldview and life perspective based on Christianity, his patriotic consciousness was strengthened and he had a secret ceremony with his friends tattooing on his body as a strong pledge for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could be called as a vision rather than a movement. After graduating a primary school, Bae entered Pyong Yang Soong Sil School which was one of the secondary grade schools, founded by foreign missionaries. At Soong Sil he had a most epochal experiences in his whole life, at which he organized a secret group for underground movement for Korean independence, named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ad a similar character with the patriotic soldiers' revolt, especially its guerrilla features in its behavior.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dhered to an absolute armed-equipped resistance of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national movement was highly violent. Though Bae's violent activity was turned to the non-violent afterwards, his national movement at this time was similar to Dietrich Bonhoeffer who was against the Nazi government of Germany rather than following the non-violent resistance of Tolstoi and Ghandi. However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Branch" was detected by Japanese police before it started its first action and all its members were arrested and imprisoned. Witnessing the divisions of organizations of independence movement, Bae's recognition on national movement became to be inclined toward moderate and sustainable movement, strengthening national power when he met Cho Man Sik who raised questions on the way of national movement at that time. Bae Min Su led the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the northern province of Ham Kyung, which was, of course, non-violent movement following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Statement. Compared to his father's patriotic soldiers' revolt and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showed much changes and difference. Serving of his two terms of imprisonment as a result of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realized that the violent national movement was practically impossible and he started to engage himself in the movement to uplift the rural societies. At that time the 80% of Korea was agricultural communities. Bae became to understand that enlightening the agrarians was namely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lso the national movement. However his rural movement became to face a deadlock when Japanese government regarded his rural activities as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Korean churches also understood his rural movement in a negative way. With this experience as a momentum Bae Min Su entered Pyong Yang Theological Seminary,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ological seminaries but he couldn't get an answer for his questions on rural movement even at the seminary. At last he decided to study at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in U.S.A. Different with Pyung Yang Theological Seminary claiming to stand for the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eology, the McCormick was taking a moderate middle-of-the-road theological standpoint and Bae could study with many good professors in a diverse and various theological fields. Especially, he seemed to be influenced much by Rauschenbusch's social gospel movement. An Academic experience at McCormick gave Bae Min Su a broadened worldview to overcome the limit of his national movement which could upgrade his movement to spiritual movement building God's Kingdom on earth. Upon his return to Korea, he took his office as a first executive secretary of rural mission department in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and he worked eagerly to empower the rural leaders and opened a lot of lecturing tours in rural areas. however with the decrease of supporting fund from U.S.A. due to its financial depression and the PCK's evangelical policy stressing the saving of souls, the office of rural mission department was closed. Bae Min Su had a vision to found a rural research institute with Cho Man Sik and build a Jesus Village but it was not easy for him. After Korea's Independence Bae Min Su found the Daejeon Christian Service Association and opened an agrarian school as a way to save impoverished rural communities. As means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sincerely felt that the rural movement is the only way to it and he opened an agrarian school where he emphasized three-love-spirit, "Love God", "Love Land", and "Love Work". These three-love-spirit themes showed his altruism very well and we can also find his altruistic ideas in his motto, " I can only be alive when I save others."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e churches were imbalanced in its mission of three principles,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being impartial to one of them but Bae Min Su realized its three missions holistically through his three-love-spirit theme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Missio Dei". In some way, we could find he had already overcome the church-for-church principle with his three-love-spirit themes as a main energy for the God's Kingdom movement. Speaking in missiological view, his theological themes could be defined as "God-World-Church" rather than "God-Church-World". Bae's rural movement was beyond the simple uplift of rural society and its welfare, aiming at the altruistic ideology and theology, which is well expressed in his writings, titled " The Kingdom and Korean Rural Society. Bae Min Su's national movement has its origin in the patriotic soldiers'(guerilla or fighteous soldier) revolt in the end of Chosun Empire, developed to the armed resistance to Japan's colonialism and turned to the sustainable rural movement. Finally his national movement was matured as God's Kingdom movement which could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a limit of national movement.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found his mission field in Korean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his three-love-spirit themes. Bae's main themes which influenced his whole life could be defined as the patriotic(fighteous) soldiers' movement - the independence movement - the rural movement(three - love - spirit). In other way, it could be also summarized as violent movement - enlightenment movement - new national movement (God's Kingdom = three-love-spirit).

      • 존 모트(John R. Mott)의 생애와 선교 신학 연구

        정용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한국 교회는 기독교 복음이 전해진 지 약 120년 만에 선교활동에 있어서 놀라운 발전과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선교 과정과 그 결과에 있어서 많은 신학적인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크게 4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경쟁적으로 지속되는 개인주의, 교파주의에 의한 무분별한 선교강행 및 선교 자원의 지나친 중복, 둘째, 양적 선교와 한국 문화 일방주의적 선교 강행, 셋째, 선교지에 대한 관리 부족 및 비토착화 행태, 넷째, 평신도 선교사 조직의 부재가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 선교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존 모트’라는 역사적 인물을 바람직한 선교사의 역할 모델로 삼아 다가가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에 아직 정식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모트의 생애를 면밀히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그의 선교 업적 및 의의를 정립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분석해 볼 것이다. 그리하여 앞서 언급한 한국 교회의 선교 문제점들을 되새기며, 한국 교회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선교 방향을 모색해 봄으로써, 이 모든 과정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첫 번째로, 모트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 감리교 가정에서 태어난 모트는 그의 어머니로부터 폭넓은 이해와 외국에 대한 관심, 뛰어난 지도자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을 품게 되었다. 그것은 후에 그가 학창 시절에 이르러 어퍼 아이오와 대학교를 거쳐 코넬 대학교에 편입한 후, 기독학생회 등 다양한 활동들의 회장직을 역임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한편 어린 시절부터 유난히 여행을 좋아했던 모트는 대학교를 졸업한 후, 청년 시절 동안 수많은 곳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자신의 영향력을 과시할 수 있었다. 그는 1894년부터 1896년 사이에 했던 1차 세계여행을 시작으로, 1901년부터 1902년 사이 2차 세계여행, 그 후 1902년 덴마크 소로와 시드니에서 있었던 또 한 번의 선교활동, 그리고 1905년부터 1909년 사이에 했던 3차 세계여행까지 수많은 여행들을 떠났다. 그 후 모트는 유럽에서 에든버러 선교대회를 하고 콘스탄티노플과 네덜란드 등지를 돌아, 1912년부터 1914년 사이 일본, 중국, 한국을 또 한 번 방문하게 되었다.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에 모트는 세계 선교 활동에 어려움을 겪지만 유럽을 중심으로, 러시아로 파견을 가며 지속적인 선교 활동을 펼쳐나갔다. 뿐만 아니라 전쟁이 끝난 후에도 역시 유럽을 계속적으로 방문하고, 유럽과 북미의 해외선교단체의 재결합을 추구하며 끊임없는 선교활동을 추구해 나갔다. 지금으로서 상상하기 어려운 모트의 세계 선교에는 그의 천부적인 재능, 노력과 더불어 모트 주변 인물들의 헌신적인 지지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이다.두 번째로, 위와 같은 모트의 생애는 오늘날 우리에게 몇 가지 위대한 선교 신학적 유산을 남겨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그의 선교 업적은 크게 5개로 분류된다. YMCA, WSCF, SVM, IMC, WCC가 바로 그것이다. 또한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로서 에든버러 세계선교대회가 있다. 모트는 10일간 이 회의를 제창하고 주도하며, 교회연합운동, 즉 에큐메니즘이라는 용어를 전 세계에 노출시키고, 모든 기독교인들이 하나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요 업적들을 통해 도출된 모트의 선교 신학적 의의는 3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복음적 보수주의 및 복음적 사회참여, 에큐메니컬 정신, 확장 모델이 바로 그것이다. 이로써 모트의 신학사상은 오늘날 우리로 하여금 3가지 용어로서 그를 평가하게 해주었다. 바로 평신도 복음전도자 모트, 선교행정가 모트, 노벨평화 수상자 모트로서 말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알아본 모트의 생애 및 선교 신학적 분석은 한국 교희가 선교를 함에 있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는 동시에, 선교의 새로운 이론적 틀과 실천방향을 설정될 수 있는 변혁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서론에 제시한 4가지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바로 연합체 형성을 통한 선교의 개인주의, 선교자원의 문제점 극복이다. 두 번째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선교 전략을 통한 한국문화 중심주의 극복이다. 세 번째는 꾸준한 관리와 지속적인 관심으로 인한 선교지에 대한 차후 배려 극복 및 토착화의 수용이다. 마지막은 교육을 통한 평신도 선교사 조직의 부재 극복이다. 모트는 세계 선교가 가장 왕성했던 19세기를 지나, 교회가 협력과 연합의 새로운 지평에 이르렀던 20세기에 이르러, 선교 역사상 중요한 업적과 신학사상을 남기며, 그 동안의 선교를 정리, 통합하는 데 있어서 큰 영향력을 끼친 세계적인 인물이다. 때문에 그의 개인적인 삶 속에 고스란히 간직된 신학 사상을 한국 교회의 선교에 적용시키려고 하는 의도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획득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제는 한국 선교의 일환으로서 모트를 통해 접할 수 그의 선교신학들을 오늘날 세계 현실에 맞도록 보다 더 구체화하여 세계 선교의 부흥으로 전이시킬 때이다. 기존에 한국 교회가 가지고 있던 오늘날 선교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이를 모트의 선교신학을 중심으로 새로운 대안점을 모색해 봄으로써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은 그 동안 우리 교회사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소중한 신학적 가치를 발굴해 내어, 도약의 원동력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Korean churches have made amazing progress and sustained growth in mission works after about 120 years since the Christian Gospel was introduced. But lots of theological problems are beginning to surface as well. They can be condensed into the following four things: § First, the practice of reckless mission and the excessive duplication of missionary resources by individualism and denominationalism, which has sustained competition. § Second, the practice of quantitative mission and Korean culture-centric mission. § Third, the lack of management for missionary areas and non-indigenized behaviors. § Fourth, the absence of lay missionary systems. As one method to resolve issues of Korean mission like these, I will introduce John R. Mott as a role model, and his practices as a desirable missionary paradigm. In particular, through a close investigation of Mott's life and his achievements, which have not been formally introduced to Korea yet, this paper will seek to address the missionary issues of Korean churches that were mentioned above, and seek a direction and blueprint for a more desirable practice of Korean missions. A survey of Mott's life form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Mott was born in a Methodist family and came to have a deep interest and yearning for the under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from his mother who had desires to mold her son into an excellent leader. As a result, from his youth Mott served in many leadership capacities as the president of various groups such as the Christian Students' Association. Mott who liked traveling from childhood was able to demonstrate his influence as he met various peoples in numerous places after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He began his first journey around the world from 1894 to 1896, during which he tried to build relations with people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Christian students' association and practiced evangelism by doing appropriate works after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nditions of the places he visited. Also, during his second journey around the world from 1901 to 1902, he performed the task of observing carefully the transition of Christian development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Northern American YMCA overseas missions by revisiting several of the countries he had visited during his first journey. He started on his second journey around the world from 1901 to 1902 and his third journey around the world from 1905 to 1909. In particular, in this period he tried to unify Christianity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by holding The Tokyo WSCF for the first time in Asia. After that, Mott visited Japan, China, Manchuria, Korea from 1912 to 1914, via Constantinople and the Netherlands after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in Europe. After World War I broke out, Mott continued his missionary activities primarily in Europe. During that time, he developed a volunteer work program by dispatching himself to Russia and devoted his time to raising funds and constructing buildings for YMCA activities all over the world. He enabled them to build relationships and share the Christian message to give hope and vitality. Visiting Europe continually after the war, he continued his missionary activities by pursuing the reunion of Europe and North America. Mott's world mission, difficult to duplicate today, was supported by his natural talent and efforts. His ability to move people, excellent leadership, the ability to collect and evaluate information, the readiness to carry on the mission, the ability to judge the importance of the missions and a spirit of initiative and the power of concentration helped Mott plant his own theological influence all over the world. During his life, Mott's was able to establish several great missionary theological bases. First of all, his missionary accomplishment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ive areas: YMCA, WSCF, SVM, IMC, and the WCC. Also, there is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at Edinburgh, one of his greatest accomplishments. Mott proposed and led this conference for ten days, exposed the term of 'Ecumenism' to the whole world, and enabled all Christians to have the experience of uniting into one. Mott's missionary theological bases drawn through these important accomplishments can be condensed into three categories: Evangelical Conservatism and the Social Gospel, Ecumenical Movement, Expansive Model. Mott's theological thought enables us to evaluate him in the following three ways: as a lay evangelist, as an administrator of mission, and as a Nobel Prize winner. Mott's life and missionary paradigm that we have examined so far gives Korean churches a guideline to construct a new theoretical frame for missions. This will be mentioned on the basis of the four problems proposed in the introduction. The first is to overcome individualism and the issue of using missionary resources through the formation of alliances. The second is to overcome a Korean culture-centric principle through strategies suitable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each district. The third is to overcome the further consideration for the missionary district and to accept indigenization resulting from the steady management and continual interest. The last is to overcome the absence of a lay missionary system through education. Mott is a global person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arranging and unifying modern missions after the vigorous 19th century through his important accomplishments of leading churches to reach a new horizon of cooperation and combination, and development of a paradigm in missionary history.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Mott’s missionary history is something to be considered and adopted in the missions of Korean churches. Now is the time to adopt the reconstruction of world missions by understanding and incorporating Mott’s paradigm into the life of Korean world mission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an aid to the research on Mott in Korea

      • 한국 교회를 위한 신학적 성찰 : 성장에서 성숙으로의 전환을 위한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의 재구성을 통하여

        윤충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가 번영신학에 의해 왜곡되고 있음을 밝히고 성찰신학의 필요함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으로 번영신학을 비판하고 한국기독교에 실천적으로 적용하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논리적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번영신학이 한국기독교에 쉽게 뿌리내리게 된 그 근원적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번영신학의 근원적 뿌리가 신화론적 세계관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논증하고, 그 본격적인 성장은 20세기 미국의 실용주의의 영향하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로 퍼졌음을 비판했다. 또한, 번영신학이 한국기독교의 역사적 배경과 맞물려 더욱 쉽게 수용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은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이 루터의 ‘오직 믿음,’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비평학,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철학의 사상적 구성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이 세 가지 사상적 특징들이 탈신화화론을 구성하기 위해 서로 역설적으로 그러나 상호 구성적으로 조화를 이루었음을 논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탈신화화론의 사상적 배경을 통해 실존론적 신학의 목적과 의도를 더욱 명확히 전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존론적 신학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동시에 한국기독교에 만연된 번영신학의 특징들을 비판하면서 실존론적 신학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적용을 위해 실존론적 신학의 변증법적 주제인 시간성, 존재론, 자유를 재구성하여 번영신학을 비평하고, 성찰신학의 정의와 필요성을 주장하며 실존론적 신학을 성찰신학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 문제의 현안이 번영신학에 있음을 밝히고, 그 문제점을 비평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을 성찰신학으로서 적용하였다. 이는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이 현대 신학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한국기독교를 위해 성찰신학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존론적 신학이 빠른 현대적 시대의 흐름 속에서 성장주의를 외치는 한국기독교에 더욱 날카로운 신학적 반성과 깊은 성찰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실존론적 신학이 한국기독교에 신앙하는 실존적 인간의 본질성을 제시하고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회복시키는 신학적 대안임을 제시하였다.

      • 칼슈미트의 정치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국 기독교의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나완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ology is learning about god, that is man’s inquiry about god. Therefore theology is based on human life and cannot help being projected by human life and thaught. This is the same as other learnings, as well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other fields of human life. But it is it’s uniqueness that theology is imprinted with mysterious God’s vestige and hand at the same time with projection of human life and thaught. Even though, theology is obliged to be developed centering around human life and being based on human life that accepts God’s hand. Theology is anthropology. Today when meaning of god itself in human life is unconcerned or doubtful thing, instead of question of existence of God or involvement of God in human life, man or human life must be starting point and base of theology. According as it is not understood that the right understanding of human life is the crucial key to determine direction and substance of theology, it is realities of these days that a lot of strifes and misfortunes due to religion are made. In modern times defined by secularization and demythification, the frame that constitutes and determines humane life belongs to political domain. Politics or the political is fate and is necessity in humane life. The wording of Aristotle “man is political animal” demonstrates this truth articulately. Therefore as long as we look squarely at human life, theology has no choice but to be political theology. Especially these days when individual is represented as a sovereign in democracy system that is acknowledged and realized universally,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domain to human life enlarged and deepened more and more, theology disregarding the political unavoidably comes to be crippled theology missing context. In western history of theology and political ideas, as well as the old testament days along with new testament days, politics and theology or politics and religion is always insperable relationship, thus it is undeniable that setting and substance of relationship of both have been pivotal question explictly or implictly. Just about how to understand political theology and to theorize theologically, various theories and interpretations have existed. Because publicness is core element, likewise in theology publicness is intrinsic element. Hereupon this treatise has purport to inquire for right direction and orientation of Korean Church by making a diagnosis situations and phenomena, so by looking back on essential questions, shortly what is the meaning of publicness and responsibility, why publicness is important in religion and politics, what is true meaning of the rule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global times having been shaped by interrelated lives closely spatio-temporally. For the above-mentioned purpose, it will pay attention to Carl Schmitt, a jurist and political-theologist, and search for his arguments and demonstrations in political theology, so discuss thoroughly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chmitt’s theories and insights about many-sided problems that here and now church and theology display. This treatise will search for Schmitt’s main ideas that is, centering around state of exception, theory of sovereignty, conception of the political and legitimacy, main contents of the roman catholicism and political form which is theological background and base of the foresaid points, and examine modernity characterized by secularization and demythification, as well as Schmitt’s critic about de-politicizing and economism inherent in modernity system. 신학은 신에 대한 학문 곧 신에 대한 인간의 탐구이다. 따라서 신학은 인간의 삶에 기초하고, 인간의 삶과 생각이 투영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다. 이 점은 다른 학문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삶의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신학은 인간의 삶과 생각의 투영이기도 하면서 또한 신의 불가사의한 흔적과 손길이 불가분으로 새겨져 있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그 독특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학은 신의 손길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삶을 중심으로, 인간의 삶에 근거하여 전개될 수밖에 없다. 신학은 인간학이다. 특히 신의 존재 여부, 역사에 대한 신의 개입 여부가 아니라 인간의 삶에서 신의 의미 자체가 무관심사이거나 회의적인 현대는 인간 또는 인간의 삶이 신학의 출발이요 바탕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인간의 삶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결국 신학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짓는 관건임을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종교로 인한 수많은 갈등과 불행이 빚어지고 있음이 작금의 현실이다. 세속화와 탈신화화로 규정되는 근대에서 인간의 삶을 구성하고 결정짓는 틀은 정치적 영역이다. 정치 또는 정치적인 것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숙명이요, 필연이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이 진리를 명료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인간의 삶을 직시하는 한, 신학은 정치신학일 수밖에 없다. 특히 개인이 주권자로 표상되는 민주주의 정체가 보편적으로 승인·실현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정치적 영역이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확대·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것을 외면한 신학은 그 맥락을 놓쳐버린 불구의 신학이 될 수밖에 없다. 서구 역사에서 신학사적으로나 정치사상사적으로, 구약성서와 신약성서 시대를 아울러 정치와 신학 또는 정치와 종교는 항상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고, 그 관계 설정과 내용이 명시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핵심적 문제였음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정치신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신학적으로 이론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서 다양한 이론과 해석이 있어 왔을 뿐이다. 공공성은 정치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신학에서도 공공성이 본질적 요소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인간의 삶이 시·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얽힌채 형성되고 있는 세계화 시대에 한국 교회와 정치 현실이 처해 있는 상황과 현상을 진단해서 문제점의 핵심 곧 신학의 공공성과 책임성이 무슨 의미인지, 공공성이 신학과 정치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정·교분리의 원칙의 참된 의미를 짚어보고 올바른 방향과 진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은 20세기 초의 독일 법학자이자 정치신학자인 칼 슈미트에 주목하여, 정치신학에 대한 그의 주장과 논증을 살펴보고 오늘 여기의 교회와 신학이 노정하고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어떤 함의를 가지고 적용할 수 있는지 논구해 보기로 한다. 본 논문은 슈미트의 정치신학의 주요 개념 즉 예외 상태와 주권(sovereignty) 이론, 정치적인 것과 정당성 개념을 중심으로 하고, 위 논점들의 신학적 근거와 배경이 되는 카톨릭적 사상과 정치형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세속화와 탈신학화로 특징지어지는 근대성 및 근대 체제가 안고 있는 탈정치화와 경제주의에 대한 슈미트의 비판을 검토해 볼 것이다.

      • 장애인에 대한 신학생의 윤리의식 조사연구 :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통해 본 장애인의 의미와 Y, C학교 신학생을 중심으로 한 조사연구

        이천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그리스도 교회의 원초적 임무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까지 전파하는 것으로 이것은 교회에 명하신 주님의 명령에서 비롯되어진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장애인들은 복음으로부터 소외된 채 사회적이고 교육적인 불평등을 강요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장애인 문제는 부차적이고 이차적인 것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적인 과제가 되어야 하며, 선택적이 아니라 필수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장애인을 향한 사랑과 섬김의 복음전도 사역은 교회의 가장 핵심적인 사역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 예수의 삶이 그러하셨듯이 말이다.$$a$$a예수는 세상에 계실 때 장애인들과 많이 접촉하셨고 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셨다. 또 한국교회의 시작과 함께 장애인 선교는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00여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성장과 부흥이라는 교회의 가치 아래 서서히 장애인의 문제는 복음의 본질의 영역에서 벗어나 단순한 구제의 사건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장애인이라는 타자를 수혜의 대상자로 제한하여 버렸다. 이제 다시 장애인들은 예수 곁에서 언제나 환영받고 예수의 사역에 동참했던 복음의 핵심으로서의 주체임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장애인이야 말로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는(요 9:1-4) 귀한 도구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a$$a장애인에 대한 교회의 큰 문제 가운데 하나는 목회자 스스로가 장애인에 대해 마음을 잘 열지 않는 다는 것이다. 또한 목회자들과 기독교인들이 장애인에 대해 바른 신학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탓에 장애인의 복음화율은 일반인에 비해 한참 밑도는 수준이다. 필자는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고민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이러한 현상을 야기한 주요한 이유 중 하나가 장애인이라는 타자에 대한 개념화의 오류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즉 장애인에 대한 우리의 태도가 예수와 다른 까닭은 예수가 장애인을 바라보셨던 그것과 다르기 때문인 것이다. 그래서 교회로부터 장애인들은 점점 소외되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교회 내에서도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과 장애인이라는 차별의식과 분리현상을 낳고 말았다. 이러한 모습은 예수의 곁에 늘 장애인들과 소외된 이들이 함께 했던 초대의 예수공동체와는 대조되는 현상인 것이다. 장애인은 결코 동정의 대상이나 열등한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를 드러내는 소중한 우리의 한 몸인 것이다. 즉, 내가 온전히 이해할 수도 없고 이해해야 하는 대상에 국한되지 않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내가 줌으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그 무엇이다.$$a$$a필자는 장애인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타자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자세와 책임적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가 바로 임마누엘 레비나스이다(Emmanuel Levinas).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통해 본 장애인의 의미는 내가 나의 인식체계 안으로 소급하여 판단할 수 없는 존재이며 그 존재에 대해 동일자인 나에게로 소급하여 판단하고 인식할 수 없다는 것이다. 타자에 대한 나의 인식행위 그 자체가 허구적 개념에 불과하기에 존재론적 오류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복음의 본질로서의 장애인의 선교문제가 한국교회 내에서 약화되어진 까닭이 장애인이라는 타자에 대한 부정적 개념화의 오류로부터 기인됨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a$$a이제 우리는 장애인이라는 타자에 대해 자신의 부당한 향유에 대해 반성하면서 고통 받는 얼굴에 대해 책임의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위임에 선행하는 그런 근원적인 책임을 말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레비나스적인 앎이 삶의 영역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타행(利他行)은 이성의 힘만으로는 불완전하며, 하나님께서 주시는 능력에 힘입을 때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a$$a이 논문은 이러한 장애인에 대한 교회지도자의 입장을 살펴보기 위해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차 멀지 않은 미래에 교회의 지도자가 될 신학생들이 장애인에 대해 어떤 의식의 태도를 취하는지를 조사 연구하기 위하여 Y 신학생들과 C 신학생들을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담임목회자에게서는, 장애인에 대한 무관심 및 편견 등 장애인에 대한 의식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신학생의 경우, 5점 척도로 분석된 결과의 평균 수치상에서 드러나듯이 새로운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신학생들이 기존의 목회자들에 비해 더욱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선교의 마인드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큐메니칼적인 장애인 협력사업에 대해서도 96%의 응답자가 협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Y와 C의 두 학교 간 의 비교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사실처럼 장애인에 대한 의식에 큰 견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또한 신학생들의 의식이 대체적으로 현재의 담임 목회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장애인선교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아 장애인 선교 사업은 분열된 한국교회에 에큐메니칼적인 사업의 한 모델이 될 수 있으리라 가늠해 보며 미래의 장애인 목회의 모습이 지금보다는 더욱 나아 질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케 했다.$$a$$a한국교회는 예수의 모범을 따라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비성서적인 생각을 버리고 장애인에 대한 바른 앎과 함께 책임지는 삶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복음의 본질로서의 장애인 선교가 확립되어져야 할 것이다.$$a$$a The primitive duty of Christian Church is to spread the gospel over the world, and it is derived from an order that is given to a church by God.$$a$$aHowever, unfortunately,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in Korea have lived being isolated from the gospel and have suffered from social and educational discrimination. The issue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n additional and secondary subject, that is, it must be a church''s a material question and be regarded as a matter which is essential. Hence, it is no wonder that evangelical work with love and service toward the handicapped is the most essential duty of Church since life of Christ was likewise.$$a$$aChrist used to contact with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nd show much interest about the people who were enabled throughout his life time.$$a$$aAlso, missionary work for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occupied a critical position with the beginning of Korean Church. However, as about one hundred years have passed by under Church''s values that are development and revival, a subject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has been pushed out of church''s essence and degenerated into just one of programs as salvation. Furthermore, it limit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to objects who are recipients. Hence, I insist that this time is to embrace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gain as the evangelical essential subjects who joined in service of Jesus Christ stress. We have to be realized that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re truly an instrument that indicate message of God (John. 9:1-4)$$a$$aOne of big problems in Church is that a pastor oneself is not willing to open the mind toward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In addition, right theology that is about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by pastors and Christians has not prepared yet. Evangelization rates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is much lower compared to normal people''s due to problems above. The writer become in anguish over this part. as a result, I perceived a significant reason that cause this a phenomenon. that is a conceptional error about objects that are the handicapped.$$a$$aThat is, our attitudes toward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re different from Jesus Christ''s. Therefore,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have become shunned from churches, and, even in a church, discrimination and a separatory phenomenon between the handicapped and normal people are happening even though all Christians are in the body of Christ. This aspect is opposed to the community of Jesus Christ which was always with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nd isolated people. The handicapped are not an object of sympathy and a inferior being, they are in the body with us to express justice of Jesus Christ. In short,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m perfectly, and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have a meaning that is above limitation we think that is an object to be understood. in other words, they are something we can find by giving from ourselves.$$a$$aThe write tried to find a proper attitude and a responsible alternative plan for overcoming the current problem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The result is Emmanuel Levinas. The meaning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perceived through Levinas'' morals toward others is that they are beings who can not be understood in oneself''s recognition system and can not be recognized and judged by oneself who is an identical one. Because recognition activity itself trying to understand others is only false conception, it just fall into an ontological error. There are no way not to admit that a reason making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problem which is the essence of evangelization worse is derived from a negative conception error toward others. It is time to reflect on our wrongful possession about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nd to have responsibilities for suffering faces. that is fundamental responsibilities which are be ahead of a mandat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knowing about this Levinas'' principle must be connected into our lives. Such altruism is not perfect only with rationality, it just can be possible with power given by God. The thesis carried out the research on theological students for inquire into a n attitude of church leaders toward the Differently Abled Person.$$a$$aTo know about consciousness of theological students who are becoming leaders in churches sometime soon, so a survey was taken among Y and C theological students. From this, I found there are limitation which are indifference, a prejudice, etc. to the handicapped from pastors in charge.$$a$$aHowever, relatively in case of theological students, new probability has been found by expressed average values out of 5 scales. From this result, I perceived that theological students have more positive and constructive missionary mind than present pastors. They, 96% out of answers, also have an idea ecumenical cooperation project about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is needed. Furthermo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t about views toward consciousness to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like a fact which have been become known through a result from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Y and C theological schools. Lastly, theological students are generally more positive about missionary work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compared to current pastors in charge.$$a$$aKorean churches should begin responsible life with righteous knowledge about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nd without prejudices and non-Holy Bible thinking toward the Differently Abled Person along the model of Jesus Christ.$$a$$aMissionary work as the evangelical essence should be established.$$a$$a

      •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론 연구 : 그리스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임왕성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objective of the thesis is to study what significance Jesus Christ has for us when we are faced with new circumstances of today, based on the analysis over Bonhoeffer‘s understandings on Jesus Christ laying stress on 'present meaning of Christ', which stems from the question: 'Who is Jesus Christ to us today?'Bonhoeffer's life can not be separated from his theological studies. He agonized over the identities of Jesus Christ and Church in the merciless realities under Hitler, and all the aspects of his theology wholly reflect such agonies including Christology. Upon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theology centered on Reuter's theology in one hand, Bonhoeffer accumulated fresh theological significance that could meet the request of that era through active conversations with liberal theology and newly-appearing dialectical theology. Such methodology which attempted to explain the changed world in a novel way, based on the existing tradition, led to the non-religious interpretation on Christianity. While traditional discussions on Christianity were usually to answer epistemological 'How' questions, Bonhoeffer points out that most of the matters raised by these 'How' questions are the result of efforts to insert a subject into existing diagrams and systems. Therefore, he contends that questions on Christ should be shifted from 'How' to 'Who'. Also he discusses the limitations at that time when liberal theologists tried to define Jesus Christ based on His 'doings', and argues that understanding Jesus Christ should begin with understanding His 'personality' because God is an intrinsically relational being from Bonhoeffer's knowledge. On these grounds, he disapproves of the pre-existing 'analogia entis', but suggests the new 'analogia relationis'.Using such methodology, Bonhoeffer affirms the historical Jesus in terms of 'religious significance'. However, he keeps a negative voice about historical studies on Jesus led by 'Jesus Seminary' which tried to prove Jesus with rather factual and scientific tools. At this point, by the means of critical Christology, he examines different forms of heresies which had appeared throughout the history of traditional Christianity. The heresies were common in a sense that they raised 'How' questions in trying to describe the nature of Christ objectively and logically. Therefore the only allowed question concerning Christ is 'Who', through which Bonhoeffer understands the appearance of Jesus Christ in history as incarnation and disgrace.Most basically, Bonhoeffer understands Jesus Christ as 'personal presence', meaning Jesus Christ is present not as the personality of power or force, but as the consummate person. Also this presence has the structure of 'Pro-me'. Christ who is present personally exists in the Church in the form of His words, sacraments and communities. Jesus Christ reveals Himself in Church through His words, and exists through the sacramental symbol and as communities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yself and God who is 'Pro-me'. On the other hand, Christ is not confined only to Church, but is also in human existence, history and nature. In the centre of human existence, Christ does works impossible for human; in history, Christ is presnet as the judge and mediator; and Christ exists in nature through its salvation.Bonhoeffer‘s Christology was work of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to discover new meanings of Jesus in the new circumstances of the time.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of Bonhoeffer's, the thesis tries to answer: Who is Jesus in today's new context? The pivotal issues we face today is 'the crisis of the creation',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nd 'the crisis of globalization'. More specifically on the meltdown of globalization, two subjects are 'the crisis of economic polarization' and 'the crisis of war(terrorism)'. Bonhoeffer understands nature as the place where Jesus Christ is present. Therefore destroying nature and disturbing the order of the ecosystem means destroying and disturbing Jesus Christ. Globalization causes economic polarization and war(terrorism). Above all, economic polarization is a new issue relating to poverty in our generation. Bonhoeffer sees Jesus Christ as 'the being for others' and the concrete presence of others is the realities of impoverishment and affliction. This is why uniting with our neighbours in the scene of poverty and suffering is a sure way to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Christ. Also the problem of war(terrorism) is our reality which was shared with the existent situations in Bonhoeffer's time. He argues that peace which subdues the threat of war(terrorism) is feasible because Christ is present, and he considers this peace as 'part of God's World built on land'.On the other hand, Jesus Christ is also in the centre of healing the creation in the form of the ministry which puts God's creatures under suppression on the centre of 'eco-economic healing' as Sallie McFague promotes, and in the form of universal Christ working for the salvation of every creature. Jesus Christ who was incarnated exists in the field of real 'life evangelism' which recovers interrelations in the society of every creature that have been destroyed due to oppressive relations.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제기하면서 시작된 본회퍼의 그리스도 이해를 그리스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하여 오늘 우리가 맞고 있는 새로운 상황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본회퍼의 생애는 그의 신학과 분리될 수 없다. 그는 히틀러 치하의 냉혹한 현실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의 의미에 대해 고민했고, 그 고민들은 그리스도론을 비롯한 그의 신학 전반에 스며들어 있다. 한편 본회퍼는 루터신학을 중심으로 한 전통 신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유주의 신학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변증법적 신학과의 활발한 대화를 통하여 당시의 시대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의미들을 찾아내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전통을 근거로 하여 변화된 시대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방법론이 그리스도교의 비종교적 해석으로 나타난다.그리스도론과 관련하여 기존에 논의되었던 내용들은 주로 ‘어떻게’라는 질문으로 제기되는 인식론적 물음에 대한 대답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하지만 본회퍼는 ‘어떻게’라는 질문으로 제기되는 거의 모든 내용들이 대상을 기존에 존재하는 도식과 체계에 편입시키려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므로 본회퍼는 그리스도에 대한 질문 자체가 기존 ‘어떻게’의 인식론적 질문에서 ‘누구’의 존재론적 질문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당시의 자유주의신학의 영향으로 예수그리스도를 ‘행위’를 근거로 하여 이해하려 했을 때의 한계를 지적하고, ‘인격’에서부터 시작하는 그리스도이해를 주장한다. 본회퍼에게 있어서 하나님은 철저히 관계적 존재이다. 이를 근거로 하여 본회퍼는 기존의 존재유비 신학을 거부하고 새로운 관계유비신학을 제시했다.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하여 본회퍼는 역사적 예수를 ‘신앙적 의미’에서 긍정한다. 하지만 예수를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하려 한 예수 세미나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예수 연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여기에서 본회퍼는 비판적 그리스도론이라는 이름으로 기독교 전통에서 나타났던 다양한 이단들의 형태를 살핀다. 이러한 이단들의 공통된 특징은 ‘어떻게’라는 질문을 통해 그리스도의 속성을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나타내려 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유일한 질문은 ‘누구냐’이다. 이 질문을 통해 본회퍼는 역사 속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형태를 성육신과 수욕으로 이해한다.본회퍼는 기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 현존’으로 이해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힘이나 동력의 인격성이 아닌 분명한 인격자로 현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존은 ‘나를 위한’이라고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인격적으로 현존하는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서 말씀과 성례전과 공동체로서 현존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서 말씀을 통하여 스스로를 계시하고, 성례전적 상징을 통하여 현존한다. 그리고 나를 위한 존재로서 나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한 공동체로서 현존한다. 한편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 갇히지 않고 인간 실존과 역사 그리고 자연 안에 현존한다. 그는 인간실존의 중심에서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성취하신다. 역사 안에서 그리스도는 심판자와 중보자로 현존한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자연의 구속으로 그 안에 현존한다.본회퍼의 그리스도론은 신학적 재해석 작업이다. 당시의 새로운 정황 속에서 새로운 예수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본회퍼의 그리스도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오늘 우리가 맞고 있는 새로운 정황 속에서 예수는 누구인가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았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중심적인 문제는 ‘창조세계의 위기’이다. 이러한 ‘창조세계의 위기’는 ‘생태계의 위기’와 ‘세계화의 위기’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세계화의 위기’는 구체적으로 ‘경제양극화의 위기’와 ‘전쟁(테러)의 위기’이다.본회퍼는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의 장소로서 자연을 이해했다. 따라서 자연을 파괴하고 생태계의 질서를 훼손시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파괴하고 훼손하는 것이다. 세계화는 경제양극화와 전쟁을 야기한다. 먼저 경제양극화는 우리 시대가 안고 있는 새로운 빈곤의 문제이다. 본회퍼는 예수 그리스도를 ‘타자를 위한 존재’로 이해했으며, 타자의 구체적인 실존은 가난과 고난이라는 현실이다. 따라서 가난과 고난의 현장에 있는 이웃들과 연대하는 것을 통해 그리스도의 현존에 참여할 수 있다. 전쟁(테러)의 문제는 본회퍼가 처해있던 실존적 상황을 공유하는 우리의 현실이다. 본회퍼는 전쟁(테러)을 뛰어넘는 평화는 그리스도의 현존 때문에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화를 본회퍼는 ‘지상에 건설된 하나님 나라의 일부’로 보았다.한편 예수 그리스도는 창조세계 치유 가운데도 현존한다. 샐리 맥페이그가 주장하는 생태경제적 치유의 중심에 예수 그리스도는 억압받는 하나님의 피조물에 관심을 두는 사역으로, 그리고 모든 창조물의 구원을 위한 우주적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현존한다. 그리고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지배억압 관계로 인해 파괴된 모든 피조세계의 상호관계를 회복하는 생명선교의 현장에 현존한다.

      • 자연과학적 주제들을 중심으로 한 Pannenberg의 창조론

        김창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신학의 본분이 교회의 교리해설과 그에 관한 일방적 변호에 있지 않고, 「궁극적 진리」를 찾는 것이라면, 신학은 다른 학문들과의 변증적 대화를 피할 수 없다. 바르트와 불트만의 막강했던 영향력이 잦아들기 시작한 20세기 후반 들어 활발해지기 시작한 자연을 공통 대상으로 하는 신학과 자연과학간의 대화는 창조론과 종말론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Pannenberg는 신학의 편에서 이 같은 통합적 대화를 주도하고 있는 대표적 신학자 중 한 사람이다. 본 논문은 서론(제1장)에서 철학을 매개로 하는 신학과 과학간 대화와 통합의 역사를 살펴본 데 이어, Pannenberg 신학일반(제2장)을 개괄적으로 기술하고, 그의 창조론중 삼위일체론에 근거하는 전통적인 교의학적 진술내용(2.3)을 여기에 포함한다. 본론의 첫째 부분(제3장)에서는 자연과학과의 공통주제를 중심으로 한 Pannenberg의 창조론적 진술을 집약하여 기술한 후, 현대과학에 대하여 그의 창조론이 제시하는 그 대답들에 대한 필자의 몇 가지 주제별 평가를 둘째 부분(제4장)에서 논술하고, 과학자적 신학자의 입장에서 과학을 통하여 새로운 신학을 전개하는 Polkinghorne의 비판 내용을 별도의 절(4.6)로 하여 여기에서 같이 검토한다. 결론(제5장)은 Pannenberg의 통합적 시도는 신학과 과학사이의 상호이해 및 자기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데 다양하게 기여하지만, 엄밀하고도 구체적인 발전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이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부 항목들의 논술과정에서 가급적 해당 주제들의 역사적 논의 전개과정을 기술함으로써 당대의 시대적 전망을 놓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Since the second half of 20^(th) century when the powerful influence of Barth and Bultmann during its first half lessened,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resumed with the main subject of the doctrine of creation and eschatology. Pannenberg is one of the pioneering theologian who has courageously led the dialogue without leaving theological traditions. After briefing the history of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Ch.1) and Pannenberg's theology in general (Ch.2), the author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his doctrine of creation(Ch.3). Then follows the author's critical review(Ch.4) of Pannenberg's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creation pertaining to the several issues in which natural science shares common interest, including trinitarian origin of the world, contingent law of nature, anthropic principle, field, pneumatology and Polkinghorne's criticism. Conclusion(Ch.5) is reached that the dialogue and integration tried by Pannenberg's own aspect of wholeness and future will definitely enhance the depth of mutual and self understanding of the two disciplines, but that there are still long way to go ahead in order to proclaim its material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