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칼슈미트의 정치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국 기독교의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나완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ology is learning about god, that is man’s inquiry about god. Therefore theology is based on human life and cannot help being projected by human life and thaught. This is the same as other learnings, as well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other fields of human life. But it is it’s uniqueness that theology is imprinted with mysterious God’s vestige and hand at the same time with projection of human life and thaught. Even though, theology is obliged to be developed centering around human life and being based on human life that accepts God’s hand. Theology is anthropology. Today when meaning of god itself in human life is unconcerned or doubtful thing, instead of question of existence of God or involvement of God in human life, man or human life must be starting point and base of theology. According as it is not understood that the right understanding of human life is the crucial key to determine direction and substance of theology, it is realities of these days that a lot of strifes and misfortunes due to religion are made. In modern times defined by secularization and demythification, the frame that constitutes and determines humane life belongs to political domain. Politics or the political is fate and is necessity in humane life. The wording of Aristotle “man is political animal” demonstrates this truth articulately. Therefore as long as we look squarely at human life, theology has no choice but to be political theology. Especially these days when individual is represented as a sovereign in democracy system that is acknowledged and realized universally,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domain to human life enlarged and deepened more and more, theology disregarding the political unavoidably comes to be crippled theology missing context. In western history of theology and political ideas, as well as the old testament days along with new testament days, politics and theology or politics and religion is always insperable relationship, thus it is undeniable that setting and substance of relationship of both have been pivotal question explictly or implictly. Just about how to understand political theology and to theorize theologically, various theories and interpretations have existed. Because publicness is core element, likewise in theology publicness is intrinsic element. Hereupon this treatise has purport to inquire for right direction and orientation of Korean Church by making a diagnosis situations and phenomena, so by looking back on essential questions, shortly what is the meaning of publicness and responsibility, why publicness is important in religion and politics, what is true meaning of the rule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global times having been shaped by interrelated lives closely spatio-temporally. For the above-mentioned purpose, it will pay attention to Carl Schmitt, a jurist and political-theologist, and search for his arguments and demonstrations in political theology, so discuss thoroughly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chmitt’s theories and insights about many-sided problems that here and now church and theology display. This treatise will search for Schmitt’s main ideas that is, centering around state of exception, theory of sovereignty, conception of the political and legitimacy, main contents of the roman catholicism and political form which is theological background and base of the foresaid points, and examine modernity characterized by secularization and demythification, as well as Schmitt’s critic about de-politicizing and economism inherent in modernity system. 신학은 신에 대한 학문 곧 신에 대한 인간의 탐구이다. 따라서 신학은 인간의 삶에 기초하고, 인간의 삶과 생각이 투영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다. 이 점은 다른 학문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삶의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신학은 인간의 삶과 생각의 투영이기도 하면서 또한 신의 불가사의한 흔적과 손길이 불가분으로 새겨져 있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그 독특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학은 신의 손길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삶을 중심으로, 인간의 삶에 근거하여 전개될 수밖에 없다. 신학은 인간학이다. 특히 신의 존재 여부, 역사에 대한 신의 개입 여부가 아니라 인간의 삶에서 신의 의미 자체가 무관심사이거나 회의적인 현대는 인간 또는 인간의 삶이 신학의 출발이요 바탕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인간의 삶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결국 신학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짓는 관건임을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종교로 인한 수많은 갈등과 불행이 빚어지고 있음이 작금의 현실이다. 세속화와 탈신화화로 규정되는 근대에서 인간의 삶을 구성하고 결정짓는 틀은 정치적 영역이다. 정치 또는 정치적인 것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숙명이요, 필연이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이 진리를 명료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인간의 삶을 직시하는 한, 신학은 정치신학일 수밖에 없다. 특히 개인이 주권자로 표상되는 민주주의 정체가 보편적으로 승인·실현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정치적 영역이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확대·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것을 외면한 신학은 그 맥락을 놓쳐버린 불구의 신학이 될 수밖에 없다. 서구 역사에서 신학사적으로나 정치사상사적으로, 구약성서와 신약성서 시대를 아울러 정치와 신학 또는 정치와 종교는 항상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고, 그 관계 설정과 내용이 명시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핵심적 문제였음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정치신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신학적으로 이론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서 다양한 이론과 해석이 있어 왔을 뿐이다. 공공성은 정치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신학에서도 공공성이 본질적 요소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인간의 삶이 시·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얽힌채 형성되고 있는 세계화 시대에 한국 교회와 정치 현실이 처해 있는 상황과 현상을 진단해서 문제점의 핵심 곧 신학의 공공성과 책임성이 무슨 의미인지, 공공성이 신학과 정치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정·교분리의 원칙의 참된 의미를 짚어보고 올바른 방향과 진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은 20세기 초의 독일 법학자이자 정치신학자인 칼 슈미트에 주목하여, 정치신학에 대한 그의 주장과 논증을 살펴보고 오늘 여기의 교회와 신학이 노정하고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어떤 함의를 가지고 적용할 수 있는지 논구해 보기로 한다. 본 논문은 슈미트의 정치신학의 주요 개념 즉 예외 상태와 주권(sovereignty) 이론, 정치적인 것과 정당성 개념을 중심으로 하고, 위 논점들의 신학적 근거와 배경이 되는 카톨릭적 사상과 정치형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세속화와 탈신학화로 특징지어지는 근대성 및 근대 체제가 안고 있는 탈정치화와 경제주의에 대한 슈미트의 비판을 검토해 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