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윤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ree main variables for 47 dyads of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fluence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ow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fluences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research about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used. Firs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by using ‘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 (198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Also,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coded and analyzed by using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et al. (199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Nex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was measured by using ‘Korean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K-BRIEF-P)’ translated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by Seo Jung Eun and Park Hye Won (2011), which was developed by Gioia et al. (2003) and validated for 2~6 ages of preschoolers by Isquith et al. (2004). Finally,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was measured by using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Jung Soo Kyung (2011) who referred to school life adjustment test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suited 1st grade children based on expert advice.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inhibition, emotional control and working memory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at school.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factors of the children’s inhibition, shifting, emotional control, working memory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learning and rules at school.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this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lso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Next,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Finall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Thi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As a resul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learning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lso,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friends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plan and organ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carries large significance in that it clearly revealed that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path from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o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key role more than any other factor in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ir school life, such as learning actively and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s at school, and tha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directly influences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only study to examine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s a factor which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ighly related to early school-ag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materials for constructing improving program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emotion coaching in prepar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future. Thir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results that can help improve school life problems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post-Corona era by examin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early school-age children most influenced by Corona 19. Finally, this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 to measure the higher cognitive concept of emotion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so that we could collect rich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mother's own and their child’s emotional experiences, especially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secured objectivity and validity of evaluation by analyzing them through a repeatedly verified coding system.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의 어머니 47쌍을 대상으로 주요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인터뷰(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인터뷰 내용은 Katz 외 연구진(1994)이 개발하고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코딩 및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은 Gioia 외 연구진(2003)이 개발한 실행기능 행동평정 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를 Isquith 외 연구진(2004)이 만 2~6세 유아용(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BRIEF-P)으로 타당화하고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국내 상황에 맞도록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정수경(2011)이 이전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학교생활적응 검사들을 참고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감정통제, 작업기억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계획조직화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전환, 감정통제, 작업기억, 계획조직화의 모든 하위요인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 학습에 대한 적응, 규칙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의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는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감정통제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녀의 정서코칭과 친구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계획조직화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친구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으로부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 의의가 크다. 이는 아동이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 학교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데 다른 어떤 요인보다 아동의 실행기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이 높은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살펴본 유일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아동의 실행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및 감정코칭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코로나 이후 시대의 아동의 학교생활 문제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라는 정서에 대한 상위인지적 개념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사용함으로써 어머니 자신과 자녀의 정서적인 경험, 특히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가치 및 신념과 관련된 풍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집된 인터뷰 내용을 반복적으로 검증된 코딩시스템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평정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최난이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children aged from 4 to 5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main research topics are the following- : 1. the tendencie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social demographic backgrounds; and, 2.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er competence; and, 3. the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er competence, and also the effect of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ir peer compet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4 children with the age range between 4 and 5 from 24 kindergarten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ere physically residing either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with, ‘Parental Meta-Emotion Interview(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1986) and ‘Parental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Mittman and Hooven(1994) and translated by Nahm(2006), preschooler'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measured with, ‘WALLY Soci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est’ invented by Webster-Strattron and Hammond(1990) and translated by Kwon and Park(2004),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with, ‘Teacher's Ratings of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and Lee(200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PASW Statistics program 18.0. Results suggested tha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exert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ir peer competence,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s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differed depending on the sex and age among demographical variations. Secon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atterns. First of all, maternal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maternal regulation of their own emo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ance, coaching and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Secondly, Mothers' awareness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thers' acceptance, coaching and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Futhermore, maternal awareness of their own emo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emotion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leadership in peer relations. Also mothers' acceptance, coaching of their children's emo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sociability and leadership in peer relations.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sub-scale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Lastly,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leadership in peer relations. Thir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m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not by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maternal awareness, coaching and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Forth,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Especially, with a higher level of mothers' acceptance and coaching, children showed a greater sociability. And also with more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were found to have greater prosocial behavior. With a higher level of mothers' awareness, acceptance and coaching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showed a greater ability of leadership in peer relations. Fift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ir peer competence, but not reveal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 of these factors. With the above results, several strengths of the study are also worth noting. First, the meta-emotion philosophy was an underlying basis to study the mechanism of tha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hich constrains and directs parenting behavior and leads to child outcomes(Gottman, Katz, & Hooven, 1996; Katz & Stettler, 2012). Second, unlike many other previous researches, various way of the procedures and methods were applied in the study so that each of the variables can be measured with well controlled standards. The mothers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n the children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the picture cards, and to measure their peer competence, preschooler's assessment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ir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m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hildren's outcomes. Lastly, findings from this study and future work in this area may also inform intervention programs focused o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ir emotion socialization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identifying the mechanisms leading to children's 본 연구는 학령전기 만 4, 5세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세 변인의 경향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또래 유능성의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며,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은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24개의 유아기관에 다니는 만 4, 5세 아동 54명과 그 어머니 및 아동의 유아기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상위정서인터뷰(Katz & Gottman, 1986)로 어머니들을 개별 인터뷰하여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였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Nahm(2006)이 번안한 상위정서코딩체계(Katz, Mittman, & Hooven, 1994)를 사용하였다. 둘째, Webster-Strattron과 Hammond(1990)가 학령 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제작하고 국내에서 권연희와 박경자(2004)가 번안한 대인간 문제해결능력검사(WALLY Soci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est)를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제작하여 타당화한 교사평정-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아동의 성차와 연령에 따른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아보다는 여아가, 4세보다는 5세가 높은 수준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어머니 본인의 정서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서를 인식하는 수준이 높았으며, 어머니 본인의 정서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서를 인식하며 수용하는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 자신의 정서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서에 대한 수용, 코칭 및 조절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보면, 어머니 본인이 경험하는 정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수준과 코칭수준 및 조절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본인의 정서인식 수준과 자녀에 대한 정서인식이 높을수록 아동의 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자녀에 대한 수용, 코칭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교성과 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조절이 높을수록 자녀의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과 아동의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에서는,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주도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자녀가 경험하는 정서에 대해 적절히 인식하며 코칭해주고 조절해줄수록 자녀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결과,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를 잘 수용하며 코칭해줄수록 아동의 사교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를 잘 조절해줄수록 아동의 친사회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를 잘 인식하며 수용해주고 코칭하여 조절해줄수록 아동의 주도성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대하여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또래관계에서 주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본인에 대한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결과가 드러난 이유에 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위의 결과를 근거하여 본 연구가 지닌 시사점과 의의는, 첫 번째로 아동의 심리사회적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정서사회화에 기저를 이루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다루어 인터뷰법을 통해 측정하였고,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와 아동간의 면접법을 통하여, 아동의 또래 유능성은 객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교사평정을 통해 결과를 얻어내었다. 두 번째로, 초기 아동의 사회인지능력 및 사회적 능력 발달에 미치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영향력을 밝힌 차원에서 주요한 함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령전기 자녀가 경험

      •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염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및 서울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초등학교 2, 3, 4,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Kahen(1994)이 개발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 KACS)을 남은영(2008)이 개정・번안한 도구를 통해, 과제 상황에서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방식을 평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강민아(201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79)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를 이하경(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의 어머니와 자녀 간 정서적 영향력을 비롯하여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연령이 비교적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적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일반가정에 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서 부정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 긍정 정서와 중립 정서는 일반가정 어머니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으며,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혹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거나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거나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았다. 끝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 정서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먼저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정적으로, 어머니의 긍정 정서와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부적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를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어머니의 중립 정서는 정적으로 자녀의 중립 정서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자녀의 부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어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중립 정서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게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자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탄력성 및 분노수준 간의 관계

        신진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resilience and severity of anger for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resilience and children's severity of anger.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what effects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has on children's resilience and severity of anger, and what effects children's resilience has on their severity of anger. It also studies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resilience and severity of anger made by demographical variations. To examine the hypothesis introduced in the main part, this study conducted, using PASW Statistics program 18.0,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about emotions. sixty-five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in South Korea. The measure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 to measur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Parental Meta-Emotion Interview(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1986) and ‘Parental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Mittman and Hooven(1994), to measure children's resilience, ‘ego-resilience test’ developed by Eun-Hee Park(1997), reconstitued by Son-Young Lee(2008), and modified by Young-Suk Oh(2010), and to measure children's severity of anger, ‘Children's Inventory of Anger(ChIA)’ developed by Finch, Saylor, Nelson(1983), adapted by Jung-Sook Lee, Hyun Lee, Yoon-Yong Ahn, Jung-Sun Yoo and Sun-Joo Kwon(2010).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ternal awareness and acceptance of a child's emotion differs depending only on, the child's sex among other variations. The mothers showed higher emotion awareness and accpetance for girls than boys. Secon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resilience and severity of anger show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First of all, the level of maternal awareness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cceptance and coaching of their children's emotion. Secondly, the level of maternal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emo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eir children's optimism. Also, Both maternal acceptance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demonstrate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Thir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does not show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children's severity of anger. Fourth,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and vitality show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severity of anger caused by frustration and peer relationships. children's emotion control and optimism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severity of anger caused by frustration, peer relationship and authoritarian relationships. Third, children’s resilience is influenced by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a child's emotions. The Higher the level of a child's emotion regulation is, the better the child is at making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Fourth, the influence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children's severity of anger does not have meaningful statistical results. Fifth,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hildren's resilience on children's severity of anger, children's emotion control influences children's severity of anger caused by frustration, physical aggression and authoritarian relationships. In conclusion, while children's resilienc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t has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severity of anger. Tho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emotion related programs and studies of preadolescent children and mothers. Furthermore, the result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in developing such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탄력성 및 분노수준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탄력성과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 및 아동의 탄력성이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탄력성 및 분노수준의 차이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5, 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65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인터뷰(PMEI: Parent Meta-Emotion Interview)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인터뷰하였으며, Katz, Mittman과 Hooven(1994)이 개발한 상위정서 코딩 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탄력성을 살펴보기 위해 박은희(1997)가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이선영(2008)이 재구성, 오영숙(2010)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분노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Finch, Saylor와 Nelson(1983)이 개발하고 이정숙, 이현, 안윤영, 유정선, 권선주(2010)가 번안한 아동 분노 척도(ChIA: Children's Inventory of anger)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탄력성 및 분노수준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인식과 정서수용이 아동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아보다 여아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인식과 정서수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탄력성 및 분노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 자신의 정서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 코칭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낙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수준과 자녀의 정서 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대인관계 수준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분노수준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탄력성과 분노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대인관계, 활력성 정도가 높을수록, 좌절, 또래관계로 인한 아동의 분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감정통제, 낙관성 정도가 높을수록 좌절, 신체공격, 또래관계, 권위관계로 인한 아동의 분노수준 또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하위변인 중 자녀의 정서조절이 아동의 대인관계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탄력성이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감정통제가 아동의 분노수준의 하위요인 중 좌절, 신체공격, 권위관계로 인한 분노를 부적으로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어머니와 자녀 간의 정서적 관계 및 그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어머니 자신의 정서 뿐만 아니라 자녀의 정서까지 포함시킨 상위정서철학을 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했으며, 그 관계를 밝혀냈다는 점에 있어서 의의가 있다. 두 번째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객관화된 측정을 위해 설문지법을 보완한 인터뷰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어머니 자신과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주관적인 경험을 연구자가 다시 한 번 양적으로 체계화시켜 평가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세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탄력성 일부분과 나타낸 유의미한 관련성 및 예측성을 확인하였으며, 아동의 탄력성이 분노수준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탄력성 및 분노수준에 관한 선행연구가 적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어머니와 자녀 간의 정서 관련 추후 연구 수행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 아동의 성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강현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만 10세 미만의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성행동, 가족의 섹슈얼리티(family sexuality), 부모의 대처 반응의 변인을 탐색하고 성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전국에 거주하는 성 학대 이력이 없는 만 3~5세 유아 281명, 초등학생 1~3학년 368명, 총 649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의 부모가 참여하여 아동성행동척도, 가족의 섹슈얼리티, 부모의 대처 반응 및 인구사회학적 질문에 보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 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행동 양상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성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만 4세에서 정점을 이르다가 만 9세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아동의 성별에 따라 성행동 평균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동성행동척도의 보고 빈도가 15% 이상의 높은 비율을 나타낸 문항은 ‘어머니나 다른 여자의 가슴을 만지거나 만지려고 시도한다’가 만 3~7세 아동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집에 있을 때 성적(은밀한)부위를 만진다’는 만 3~6세 아동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보고 빈도 10% 이상으로 나타난 문항의 특징은, 같은 유형일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만 4세와 만 5세의 여아의 경우 남아에 비해 성행동 유형이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행동과 관련하여 가족의 섹슈얼리티(family sexuality)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유아가 초등학생보다 가족의 섹슈얼리티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족의 섹슈얼리티 문항별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14개의 문항 중 70% 이상의 높은 보고 빈도를 보인 문항은, 자녀가 요청하면 함께 자거나(90.6%) 항상 함께 자는 것(82.3%), 동성 자녀와 함께 목욕하는 것(74.6%), 화장실을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73.7%), 개방된 공간에서 속옷을 갈아입는 것(71.8%)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녀와 관람 불가 영상을 함께 보는 것(7.2%), 자녀 앞에서 부부간 성적 농담을 하는 것(5.4%), 자녀가 부부관계를 목격한 것(0.9%)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자녀가 성적 호기심이나 성행동을 보였을 때 부모의 대처 반응의 문항별 양상을 살펴본 결과, 만 나이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취학 여부와는 ‘발달 수준에 맞게 솔직하게 대답’하는 것과 ‘꾸짖거나 벌을 주기도 함’의 문항에서 초등학생이 유아보다 상대적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보이는 성적 호기심이나 행동에 대해 대다수의 부모는 회피, 방임, 관심유도, 꾸짖음의 대처 반응보다는, 발달수준에 적합하게 솔직하게 설명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성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족의 섹슈얼리티는 아동의 성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연령과 부모의 대처 반응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가족 내 사적 경계가 낮고 성적 노출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아동의 성행동의 빈도가 높아지고, 자녀의 성적 호기심이나 성행동에 대한 부모의 대처 반응이 회피, 방임 또는 꾸짖는 등의 반응을 보일수록 아동의 성행동 빈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만 10세 미만의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아동성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성행동의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가족의 섹슈얼리티 문항을 구성하여 아동의 성행동과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만 10세 미만의 어린 아동의 일반적인 성행동의 양상을 탐색하고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반영하여 해석한 것은 궁극적으로 어린 아동의 건강한 성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이며 올바른 성교육 및 문제적 성행동 평가의 실증적 자료가 될 것이다.

      •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의 성평등 경향 분석

        류우람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 99개의 특성별 경향을 살펴보고, 각 채널의 아이콘 및 배너와 대표 콘텐츠 동영상의 성평등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outuberank.com의 키즈/어린이 탭을 기준으로 하여, 구독자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있는 채널을 정해진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성평등은 문화체육관광부(2013)가 사용한 유아·아동용 대중매체 양성평등 모니터링 지표를 기초로 유튜브 환경에 맞추어 적용한 분석도구를 사용,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의 아이콘과 배너의 외관, 대표 콘텐츠 동영상의 썸네일의 외관과 상황(행동)묘사, 동영상 내용의 외관, 언어, 상황(행동)묘사의 성평등 경향을 평가하였다.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은 채널의 등급, 대표 카테고리, 생산자의 성별구성으로 세분화하였다.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의 등급은 유튜브의 크리에이터 어워즈 시스템을 기초로 분류하였고, 채널의 대표 카테고리는 최미경(2020)의 연구에서 사용한 10가지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였다. 생산자의 성별구성은 모든 형태의 출연 방식이 배제되지 않도록, 콘텐츠를 주도하는 성별과 보조출연자의 성별에 따라 여성, 남성, 혼성(남성 주연), 혼성(여성 주연), 혼성(양성동등), 불명으로 나누었다.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의 기본정보와 특성은 정해진 날짜 하루에 모두 보존한 뒤, 추후 이틀에 걸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 subscription을 이용하였으며, 특성 별 교차분석, 채널의 각 요소 별 성평등 경향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의 생산자 성별은 혼성인 경우가 남성 혹은 여성만 등장하는 경우보다 많았다. 생산자의 성별을 특정할 수 있는 콘텐츠 채널을 기준으로 주 생산자의 성별을 비교해보면, 99개 채널 중 남성 생산자와 여성 생산자의 비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의 아이콘 및 배너의 성평등 경향은 중립적인 것이 가장 많기는 하였으나, 성평등 경향이 낮은 아이콘 및 배너가 성평등 경향이 높은 배너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대표 동영상들의 썸네일 및 내용에서도 '외관'측면은 성평등 경향이 낮은 것이 성평등경향이 높은 것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의 대표 동영상 썸네일과 내용의 상황(행동)묘사에서는 중립적인 것이 가장 많기는 하였으나, 성평등 경향이 높은 내용이 성평등 경향이 낮은 것보다 더 많게 나타났다.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 채널의 대표 동영상 내용 중 언어의 성평등 경향도 역시 중립적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성평등 경향이 높은 콘텐츠가 성평등 경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 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 어린이용 대중매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대중매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성평등 관점 연구를 유튜브 영역으로 확장한 점, 기존의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보다 많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전반적인 성평등 경향을 알아내고자 한 점, 아동용 유튜브 콘텐츠의 성평등 경향이 기존 대중매체와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 의의가 있다.

      •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 및 공감 간의 관계

        전연우 서울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5, 6학년 전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아동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의도적 및 아동의 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아동의 공감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더불어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에 따라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공감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적 역할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4명과 그들의 아버지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를 살펴보면 첫째,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하고 구조화한 부모 상위정서인터뷰(PMEI: Parent Meta-Emotion Interview)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인터뷰 하였고, 분석을 위해 Katz, Mittman 과 Hooven(1994)의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Capaldi와 Rothbart(1992)가 개발한 자기보고식 척도로, 청소년용 기질 척도(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EATQ)의 수정판인 청소년 기질 척도-개정판(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 Eillis & Rothbart, 2001)에서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는 3개의 하위 요인을 사용하였다. 이를 장희순, 이승연(2013)이 번안하고 요인분석 등의 수정을 거친 척도에, 박지민(2016)이 수정 및 보완한 문항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Auyeung 와 동료들(2009)이 개발한 아동용 공감지수 척도(EQ-R)를 차화정 외(2011)가 한국어로 수정 보완한‘자기 보고형 한국어판 아동용 공감지수(EQ-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 및 아동의 공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 자신의 정서인식이 높을 때 자녀의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정서인식과 정서코칭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 자신의 정서수용이 높을 때 자녀의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정서수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 자신의 정서조절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인식한 자녀의 정서조절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 자신의 정서수용에 관대하거나, 아버지가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 할수록 아동의 활성화 통제가 높았다. 세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가 자신의 정서수용에 관대 할수록, 자녀의 정서 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가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 할수록 자녀의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아동의 공감 간의 관계에서는, 억제적 통제와 활성화 통제가 높을수록 공감의 세 하위 요인인 정서 공감, 인지 공감,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아동의 활성화통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아동의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억제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인지 공감과 사회 기술 능력이 높았고, 아동의 활성화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아동이 필요한 상황에서 행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아동의 사회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이 나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위정서철학을 다룬 선행연구들을 확장하여 아버지 상위정서철학에 주목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아버지 자신의 정서뿐만 아니라 자녀의 정서에 대해 갖는 철학 및 가치관에 대한 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두 번째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및 개인 내적 요인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복합적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세 번째, 전청소년기 아동에게도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에 따라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정서에 대한 가치관 및 태도에 개입할 수 있는 아버지-자녀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for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to 6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fathers.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of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In addition, this study was aimed to inquire into what effect of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has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nd also what effect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s on their empathy.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empathy. Fifty-four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to 6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fathers were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 to measur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Parental Meta-Emotion Interview(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1986) and ‘Parental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Mittman and Hooven(1994), to measur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 developed by (Eillis & Rothbart, 2001), and to measure children’s empathy, ‘Children’s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developed by (Auyeung, Wheelwright, Allison, Atkinson, Samarawickrema, & Baron-Cohen, 2009). The specific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show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First of all, paternal awareness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wareness and coaching of their children’s emotion. Also paternal acception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ep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Secondly, paternal acception of their own emotion and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re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activation control. Thirdly, paternal acception of their own emotion is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empathy.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social skill. Lastly, children’s inhibitory control and activation control are positively related to all sub-scales of children’s empathy.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d each other. First of all,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as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p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not by p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activation control. Secondly, children’s empathy is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p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not by p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activation control. Lastly, children’s empathy is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ith a higher level of inhibitory control,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cognitive empathy, social skill. And also with a higher level of activation control,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social skill. Third, the mediated role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mpathy is partially examin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 skill through its effect on children’s activation control.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 First, this study extended the precedent studies dealing with the meta-emotion philosophy in Korea and paid attention to the father's meta-emotion philosophy.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at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internal factor affecting empathy ability were examined together. It can help to understand complex factors that affect empathy.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ather role to all adolescent children, it can contribute as a basis for the father-child intervention program that includ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father's emotions that affect the child's development.

      •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 간의 관계

        최빛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에 따라 상위정서철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아동의 정서조절의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기질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8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연령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62쌍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Gottman(1997)이 개발한 ERPSST(Emotion-Related Parenting Style Self-Test)를 남은영(200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4)의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최현진(200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정서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Shields & Cicchetti(1997)의 정서조절척도(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박서정(2004)이 번안하고 여은진(2009)이 아동의 연령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문항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에 따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감정코치형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아동의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아동의 성별에 따라서는 아동의 정서조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아동의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정서조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정서조절 중 불안정/부정성에서만 차이를 나타내 만 3세 집단이 만 5세 집단보다 불안정/부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의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어머니의 축소전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은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은 낮고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버지의 억압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이 높았고, 어머니의 억압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과 수줍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억압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은 낮았고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어머니의 방임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은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은 낮았고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아버지의 감정코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활동성이 높았고, 어머니의 감정코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감정코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기질 중 수줍음과 정서성이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이 낮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이 낮고 정서성이 높을수록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먼저 아버지의 감정코치형 수준이 높고 억압형 수준이 낮을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감정코치형 수준이 높고 억압형과 방임형 수준이 낮을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억압형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불안정/부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기질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아동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고 정서성이 낮을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줍음과 사회성이 낮고 활동성과 정서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불안정/부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의 관계를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기질은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