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염효진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수업 계획 및 실행 양상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영어 쓰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교사의 수업 계획 및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자료의 수집은 기초 조사 설문지,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 사전․사후 쓰기에 대한 태도 검사, 사후 설문지 및 소감문, 학생 쓰기 결과물, 교사 일지,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쓰기 능력 및 쓰기에 대한 태도 분석은 t-검증으로, 학생 쓰기 결과물, 교사 일지, 사후 설문지 및 소감문, 개별 면담 등은 그 내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연구를 통해 글 없는 그림책을 영어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쓰기 단계에 따라 집단 유형을 달리하고, 다양한 방법의 쓰기 활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단계적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그림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글쓰기 정확성과 유창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과서의 주요 표현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쓰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교과서 표현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였으며, 여러 권의 글 없는 그림책 활동을 하면서 이야기 쓰기 능력 또한 향상되었다. 셋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나만의 이야기를 완성해 나가고 그 이야기를 친구들과 공유하는 과정에서 영어로 글 쓰는 것에 흥미를 느꼈으며, 5권의 나만의 글 없는 그림책 이야기를 완성하면서 점차 영어 쓰기에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글 없는 그림책 활용 초등영어 수업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의 단계에 따라 집단 유형을 다양하게 적용해야 한다. 개별·모둠·전체 활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여 수업의 흐름에 맞게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쓰기 전·후 단계에서는 모둠 또는 전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게 하되, 쓰기 중 단계에서는 개별 활동으로 진행한다면 친구들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방지하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풀어나갈 수 있다.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영어 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때에는 다양한 쓰기 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스토리보드(storyboard)와 같이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거나 말풍선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완성하는 활동은 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면서 글쓰기의 재미를 느끼게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그림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적절한 발문이 중요하다. 글 없는 그림책은 그림만으로 이야기의 내용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그림 안에 많은 내용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전 글 없는 그림책을 자세히 살펴보고 질문을 미리 생각해야 한다. 넷째, 글 없는 그림책을 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경우 학생들의 글쓰기 정확성 및 유창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글이 있는 그림책과 다르게 글 없는 그림책은 학생들이 글을 쓸 때 활용할 수 있는 어휘나 표현이 전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교사가 이를 적절히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글 없는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및 쓰기에 대한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이 계속해서 모색된다면 글 없는 그림책이 영어 수업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염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및 서울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초등학교 2, 3, 4,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Kahen(1994)이 개발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 KACS)을 남은영(2008)이 개정・번안한 도구를 통해, 과제 상황에서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방식을 평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강민아(201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79)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를 이하경(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의 어머니와 자녀 간 정서적 영향력을 비롯하여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연령이 비교적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적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일반가정에 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서 부정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 긍정 정서와 중립 정서는 일반가정 어머니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으며,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혹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거나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거나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았다. 끝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 정서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먼저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정적으로, 어머니의 긍정 정서와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부적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를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어머니의 중립 정서는 정적으로 자녀의 중립 정서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자녀의 부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어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중립 정서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게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자

      • 집합적 결정감과 효능감이 조직혁신수행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염효진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Today, the need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s are increasing as strategies respond effectively to rapid changes of external environments. This study focuses on positive emotions as well as cognitive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author proposed and tested a mediation model which posits that collective positive emotions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ctive determination(and efficacy)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Using web-bas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756 government employees in 47 government agencies that were implementing a process innovation. Employees’responses were aggregated and analyzed at the agency-level. Results revealed that collective posi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result suggests the need for greater attention to the emotional dimension in implement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으로써 조직에서 혁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과정 중 조직 내부에서 일어나는 인지적 현상과 더불어 그동안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주의를 덜 기울여온 긍정정서에 초점을 기울이고 있다. 자기 결정감 이론에 근거하여 혁신에 대한 내적 동기 유발을 위해 필요한 조직 구성원들의 집합적 결정감과 효능감을 예측요인으로 선정하였고, 집합적 긍정정서가 이를 조직혁신수행으로 매개할 것이라는 매개모형을 제안했다. 정부혁신이 시행됐던 참여정부 당시 47개 정부부처를 대상으로 웹 기반 조사를 시행하였고, 모든 요인들은 조직수준에서 분석 되었다. 그 결과 긍정정서가 집합적 효능감을 조직혁신수행으로 부분매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조직혁신을 위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인지적 차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차원, 특히 긍정정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