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폭력의 유형별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박초이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학교폭력의 양상도 학생들이라고는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폭력의 행태로서 죄의식도 없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집단화, 흉포화, 저연령화, 여성범죄의 증가 등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폭력의 다양한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폭력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고, 사례를 조사하여 사례별 학교폭력의 발생동기와 그에 대한 상담기법을 연구하고, 가정·학교·지역사회·정부의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연구·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폭력에서 자주 발생하는 구조적인 폭력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폭력의 가장 중요한 발생동기는 무엇인가? 셋째,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폭력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상담기법은 무엇인가? 학교폭력의 발생은 개인의 인성문제, 가정의 부모의 훈육태도, 학교의 인성교육부재와 상담소홀, 불량교우와의 교류, 사회의 유해환경과 대중매체의 폭력성, 법과 제도의 미비 등의 요인으로 유발되는 경우가 매우 높다. 따라서 그 어느 때 보다도 청소년들의 인성교육과 상담교육이 매우 중요시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논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첫째, 가정의 학부모는 학생 개개인에 대한 인성을 파악하고 사전에 잦은 대화와 관심을 통해 원만한 인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교육과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현장에서 교사는 문제 상황을 사전에 파악하고 문제학생들은 상담과 생활지도를 통해 문제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학생들 가운데 기성세대에게 말하기 어려운 문제들은 또래상담이나 사이버 상담 등을 활용해서 학교생활의 갈등해결과 적응력 향상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충동성과 공격성향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분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자기조절(통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건전한 교우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불량서클의 가입여부, 불량교우와의 교제, 불건전한 이성교제 등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대중매체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줄여서, 청소년들이 모방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중매체의 교육적 기능의 회복이 요청된다. 일곱째, 학교주변의 유해환경 단속과 지역사회 폭력유발 개연성이 높은 환경을 줄일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여덟째, 학교현장에 전문적으로 상담교육을 받은 전문상담교사를 증원·배치해서 학교폭력의 유형별 문제에 대한 사전 상담교육을 실시해서 폭력유발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홉째, 학교현장에서 교육지도가 어려운 심각한 학생의 경우 정부차원의 별도의 대안학교를 통해 교정과 교육이 병행될 수 있도록 대책이 필요하다. 열째, 학교폭력의 발생시에는 미온적 대처보다는 신속하게 대처해야하며, 신속한 신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신고정신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열한번째, 학교폭력의 발생시 해결방법은 청소년들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처벌보다는 선도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은 어느 한 쪽의 노력만으로는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고 또한 불가능하다. 따라서 학교폭력은 자라나는 세대에게 정신적·신체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폐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교폭력의 해결은 가정의 학부모, 학교의 교사, 지역사회의 청소년지도자, 종교단체, 시민단체, 경찰, 지방자치 단체 등이 함께 노력할 때만이 학교폭력은 줄어들 수 있고 실효성이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ounseling methods of school viol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counseling of the type of school violation. Recently, the problems of the school violation in Korea have social problems seriously. The type of school violation is very diverse over student's statutes without guilty conscious and it is very terrible. This research suggests the methods of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violations in school. Especially, I think; what happens the type of school violation? What is the cause of school violation? Also what is the effective counseling methods of the school violation? In the problems of the school violation, there are personal character, attitude of discipline by parents, lack of human education and counseling in school, relationship of juvenile delinquent, lasciviousness of mass media and social environment all over the world, and unsatisfied law and rules, and so on. It is true that the counseling of students in school has so far been no more than a limited and temporary action. In this context, the result of the thesis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need to be educated,character counseling, control of anger in school and at home. Second, the teachers need the counsel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roblems. Third, the solution of school violation needs cyber counseling, counseling of peer group etc. Fourth, the students with impulse and offense need to be educated control of anger, character education, and counseling in school and at home. Five, students always should be counseling, their friends,peer groups, and friends of the other sex. Six, Students do not imitate bad life style of adult, and mass media should reduce sex scenes and crimes as well. Seven, it is necessary that the systems of law and rules prepare to deter student's violation with regulation of slums area. Eight, the government of education should arrange counseling teachers who educated the counseling education to solve student's violation. Nine, the students with serious problems need to be educated them in the alternative school by government for their correction and education. Ten, the problems of the violations in school should solve it as soon as possible. Eleven, the students involving school violation do not the penalty but guidance and education. Finally, the methods to solve school violation important prevention, student's counseling, help of parents and teachers, and not by the one side, all level of society

      •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나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application of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affects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goal, it has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1.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2.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The study subjects selected to solve the above study questions are 56 fourth graders (28 boys, 28 girls) residing in Daejeon-si. Among them, 28 students (15 boys, 13 girls) in the researcher’s class are chosen to be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28 students (13 boys, 15 girls) in an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allot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used in this article referred to the job search-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Jo Bung-hwan (2006). It also referred to and applied the program developed in a paper titled a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ading Therapy Program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mprovement’ by Lee Sang-hae (2006). In this article, the execution of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ly. In order to check i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identical,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on the pre-test scores of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results gained through the process stated above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t is proved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of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group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areas of career development such as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achievement motivation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except for the independence spirit: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Therefore,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ly,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sub-areas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Moreover, it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but an independence spirit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본 연구는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4학년 학생 56명(남: 28명, 여:28명) 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 학생 28명(남: 15명, 여: 1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28명(남: 13명, 여: 1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주간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조붕환(2006)이 개발한 ‘초등학생을 위한 직업탐색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참고하였으며 이상해(2006)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투입하였으며 여기서 독립변인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투입이며, 그에 따른 종속변인은 진로발달과 성취동기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발달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의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한 결과 진로발달 하위영역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 · 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 영역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집단 프로그램은 진로발달은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성취동기의 사전·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분석결과 독립심을 제외한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미래지향성, 과업지향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성취동기 중 자신감,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직업탐색중심 초등학교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취동기 중 독립심을 제외한 자심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 개발

        원강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논 문 요 약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 개발 원 강 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지도교수 : 임 진 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을 적절히 구안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과 행복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안할 수 있는가?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과 행복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박성희(2016)‘원효의 한마음과 무애상담’을 참고하여 김창대(2002) 개발 모형의 절차를 토대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정하고, 도입 1회기, 진행 8회기, 종결 1회기 세 단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시간은 1회기 당 40분으로 설정하고, 1주일에 2회씩 5주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충청북도 S학교 6학년 학급을 동질성 검사를 하여 동질성이 확보된 두 학급을 선정,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검사도구로 자기조절력 검사를 위해 최단비(2015)가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영미(2010)의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애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자기조절력과 행복감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용 프로그램으로 구안되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프로그램을 집단 또는 모둠활동으로 구성하여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무애상담프로그램은 자기조절력 향상을 통해 아이들의 교우관계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무애상담프로그램은 행복감 향상을 통해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볼 수 있다. 다섯쨰, 무애상담의 목적은 모든 것을 포용하는 일심(一心) 즉 하나 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화쟁사상이 일심사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보았을 때, 무애상담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인성 및 생활교육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10회기 분량의 내용으로 무애상담의 핵심내용을 온전히 전달하기에는 부족하다. 좀 더 개별화된 내용과 추가적인 학습자료와 함께 충분한 학습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교사의 개인 특성, 학급의 환경적 특성, 프로그램 운영 교사와 학생들 간의 관계적 특성에 대한 통제에 한계가 있다. 셋째, 무애상담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히지 못했다. 프로그램 적용 직후 검증된 효과가 지속되기 위해서 어떠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넷째, 이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라는 제한된 지역과 1개 학교의 6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추후 다양한 지역, 학교, 학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무애상담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있어서 양적 연구뿐만 아니라 질적연구에 대한 노력도 필요하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소집단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경험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를 본질적으로 탐구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본 논문은 2019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상담자의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른 역전이 행동, 공감 및 작업동맹의 차이

        김소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counselors results in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of counselors, and empathy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set: first, doe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lead to a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of the counselor? Second, doe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perceived by the counselor and client? Third, doe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make a difference i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client?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the following procedure was carried out: as research subjects, counselors who are working in different regions of South Korea including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their clients who were of high school age and older were select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fter three sessions of counseling, and, as a measuring instrument,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empathy, working alliance questionnaires were used. A total of 130 pairs (2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counselors and clients were distributed. Among the 89 collected copies, 7 copies with inadequate response were excluded and 82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SPSS 23.0 was used to conduct one-way M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cco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the counselor(𝐹=12.00, p<.001).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perceived by the counselor acco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𝐹=1.12, p>.05).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mpathy perceived by the client(𝐹=4.39, 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client acco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the counselor(𝐹=18.97, p<.001).  In this study, career of the counselors, which can have an exogenous effect on the variables, was controlled when investigating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empathy, and working alliance accor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and suggested specific relevant results. Also, the study proposed meaningfu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that can help counselors and clients in counseling environment, and looked into variables that pretict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and counseling results, empirically demonstrating that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can lead to positive counseling resul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lead to meaningful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과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 및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가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셋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를 포함한 전국 지역에서 현재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자와 그들이 상담하는 고등학생 이상인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3회기 이후 상담이 끝난 직후에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로는 역전이 행동, 공감, 작업동맹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상담자와 내담자 각 쌍으로 130부(총 260부)였으며, 수거된 89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무응답 문항을 포함하고 있는 7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82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3.0을 사용하여 일원다변량공분산분석(One-way M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𝐹=12.00, p<.001). 둘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가 지각한 공감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으나(𝐹=1.12, p>.05),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𝐹=4.39, p<.05). 셋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𝐹=18.97, p<.001).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변인들에 외생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의 경력을 통제한 후에,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역전이 행동, 공감 및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담 현장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교육분석 경험의 필요성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분석 경험과 상담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교육분석 경험이 상담에서 긍정적인 상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교육분석 경험에 따른 풍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 高校生이 期待하는 相談者로서 學級 擔任 敎師의 役割에 대한 調査 硏究 : 안양시와 군포시 소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민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교육은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과의 인간적·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서 학생이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다. 학교 교육에 있어서 학급은 교사가 교육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단위이며, 교육 활동을 통하여 인간 행동을 변화시켜 훌륭한 인간을 기르기 위한 형식적 교육의 최소 단위이다. 학급에서는 학습 지도뿐만이 아니라 생활 지도, 인성 지도 등 교육 활동의 대부분이 교사와 학생간의 긴밀한 상호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 입시라는 현실적 문제에 급급한 나머지 청소년기의 인성 교육의 중요성이 교육적 측면에서 외면을 당하고 있다. 학생들은 사춘기의 심성적 변화와 더불어 입시라는 현실적 난제를 어깨에 짊어지고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으로는 18학급 이상의 중·고등학교마다 생활 지도의 목적 하에 학교 상담실을 설치,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형식적인 운영에 치우치고 있다. 대부분의 학교 상담실은 학생들의 기피로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학교 상담교사가 전문성을 결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논문은 학생들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고, 학생들이 고민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 학급담임교사의 상담 역할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설문조사방법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 지역을 안양시의 평촌지역과 군포시에 위치한 인문계고교와 실업계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컴퓨터를 활용한 SPSS/PC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table analysis), 교차상관분석(cross-tab)을 주기법으로 사용하여 의도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이 기대하는 상담교사로서의 학급담임교사의 역할과 관련한 다양한 의식들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담임교사가 주 상담자로서 학생들에 인식되고 있는가의 측면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고등학교에서 학급담임교사는 학생들의 고민거리에 대해 상담해 주고 향후의 진로에 대해 조언을 해주는 주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성별이나 계열별, 학년별로도 별다른 유의적 차이가 없이 나타남으로써 근본적으로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급담임교사에 학생들이 얼마나 자율적으로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대화를 하는가와 관련해서도 거의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고민거리에 대해 학급담임교사에게 스스로 찾아와 상담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상담이 대학선택이나 성적하락 등을 이유로 학급담임교사의 입장에서 호출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담의 내용 또한 딱딱하고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셋째, 현재 수행되고 있는 상담 방법은 조사결과 면담방식에 의한 획일적인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학생들 사이에 널리 보급된 PC통신(E-mail)을 이용한다든지, 편지 등을 이용하여 상담을 한다든지의 방법상의 다양성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는 주로 인문계 학생들의 경우 대학진학에 보다 중점이 두어지고 이를 위한 담임교사에 의한 면담이 주로 이루어지는 데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 내용면에서 학습문제와 진로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의 상담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진솔한 상담보다는 학교 성적의 하락, 대학의 선택시 조언 등에 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감과 관련해서는 학생들은 상담했던 내용들이 대부분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립적인 입장을 제외하면 만족한다는 학생보다 불만족스럽다는 학생이 많았으며, 이는 향후 상담의 질적인 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남녀 학생간에도 기대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이 만족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았고, 학년별로도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이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라는 부정적인 응답 비율이 높았던데 비해 3학년 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 부분의 비율이 낮음으로써 1학년과 2학년 학생들과 차이를 보였다. 이는 3학년 학생들의 경우 대학 진학과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 내신 성적 등과 관련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학급담임교사와 상의할 필요성이 강함으로써 이러한 면에서 원했던 응답을 어느 정도 얻음으로써 만족이 높았던데 비해, 현실적으로 이러한 상담 내용이 적을 수밖에 없는 저학년의 경우 주로 학과 성적의 저하 등에 따른 꾸지람 형식의 상담이 많음으로써 보다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여섯째, 상담 태도면에서 학급담임교사와 상담에 임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매우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대부분 학생들은 상담시 마음의 면을 모두 활짝 열고 상담에 임하기보다는 필요한 사항을 제한적으로 묻고 답하는 식의 소극적인 상담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현재 학생들이 가지는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인가는 학급담임교사의 상담내용이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의 주 고민거리는 역시 성적의 하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민하는 내용면에서는 남녀 학생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계열별, 학년별로도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과는 달리 성에 대한 충동, 교우관계, 건강문제, 술·담배에 대한 충동 등 보다 다양한 문제에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학생의 경우 성적하락에 대한 고민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에 성에 대한 충동, 교우관계, 건강문제 등이 인문계 학생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보여 대조를 보였다. 학년간에도 성에 대한 충동, 원만한 교우관계 면에서 3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비율을 보이고 있고, 건강문제도 낮아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여덟째, 상담시 학생이 학급담임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일반적으로 볼 때, 성별로는 '전문성이 뛰어나 객관적·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담전문가의 역할'이 많은 비율을 보였지만 계열별, 학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상담자로서의 학급담임교사에 대한 성별 기대 차이에 있어 인문계 학생의 경우 '전문성이 뛰어나 객관적·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담전문가의 역할'을 학급담임교사로부터 기대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실업계 학생의 경우 '친구처럼 따뜻하고 공감적인 위안을 줄 수 있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 있어서도 1학년 학생의 경우 '친구처럼 따뜻하고 공감적인 위안을 줄 수 있는 역할'에 가장 큰 기대를 한 반면,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의 경우 '전문성이 뛰어나 객관적·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담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된 내용들을 분석하여 나타난 여러 가지 유의미한 결과들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현재 고등학교의 교육 현실이 대학 진학을 위해 존재하는 교육기계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교육 현실에서 실증된 다양한 사실들을 눈여겨보고 이를 제도화 내지는 정책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으로 몇 가지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여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보다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거시적으로 학교 교육의 기본적인 틀이 전환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Education is the desirable, humane and growing process by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schooling class teacher role of education achieve that it minimum unit of formal education to be the basicest and central unit, and foster good human because changes human action through education activity. Attain in class through inseverable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al guidance, mostly instigation of education activity such as human nature guidance as well as studying guidance and a student. Because high school students of present our country are urgent in realistic problem that i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mportance of human nature education of juvenescence is encountering outward appearance in educational side. Students shoulder realistic difficult problem that are audience along with adolescent mentalistic change in shoulder and spend a juvenescence. There is establishing school counseling office under purpose of educational guidance in middle·high school more than 18 classes systematically to solve these problem and operate, but most are leaning in formal operation. Most counseling teacher is operated as formal by evasion of students, and there are a lot of occasions that also is lacking professionalism. A treatise that see in these real condition is spending most times with students, and wish to deduce plan that is more effective about consultation role of class classroom teacher who students are receiving agony in householder approximation but allows purpose and expands discussion. Unfolded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basis of various literatures in theoretical composition side because runs parallel literalistic access method and positive enumeration method to methodology of a treatise for this, and investigate and analyzed realization of students of spot to prove present real condition. Applying question enumeration method to specific methodology investigation target area draw talent and learning principal cause students as sample in the academic world high school and business world high school which is situated in review inch of land station and military beacon of Anyang city and executed attitude survey. Question data deduced result that use SPSS/PC analysis technique that utilize computer and intends using frequency analysis (frequency table analysis), cros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 by rhythm method. There is as following if probe various ceremonies regarding role of that is class wall as counseling teacher that students expect and summarize and presents analyzing result. First, I can know that result appeared very contradictorily in side of that it is realized to students as main consultant that is a class wall. That is, not achieving role as main consultant that consult about trouble of students and advises about course after direction of class, classroom teacher is actuality on present high school. These phenomenon can know that role as teacher in charge's consultant hardly attains fundamentally by appearing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alternative by class by sex or order. Second, I can know that is rare in case almost all students consult calling on to home room teacher about own trouble even if refer if talk because students approach how autonomously naturally to class. Consultation request experience that do homeroom teacher in charge. Because occasion that attain because most consultation calls in homeroom teacher standpoint because of college selection or results fall etc. is most, consultation contents were hard and is limitative. Third, consultation method that is achieved present can know that undifferentiated consultation by the findings interview room is attaining. Recently, using PC communication (E-mail) that is prevailed between students, or letter back consultation or variety of method expect hard. It was exposed that cause is though this emphasis is put more in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in occasion of academic world students mainly and interview by teacher in charge for this attains mainly. Fourth, I can know that studying problem and course problem occupy most in consultation contents side. That is, current consultation could know thing which is limited extremely to counsel etc., at fall of school record, selection of college than sincere consultation about private problem of students. Fifth, I can know that contents that students consulted in connection with expectation of students about consultation are thought how aid mostly. But, there are many students that is unsatisfactory than a student who is satisfied if except limusless situation, and is thought if this is not point to be considered in qualitative cotton of consultation hereafter. Also, I can know that difference exists in expectation level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Upon investigation, first-year student and second-year students and difference were seen by ratio of this part is low relatively in occasion of third-year student while ratio that girl students are not satisfied than boy student was high, and first-year student and second-year students particularly help become may response ratio that is contradictory were high by class. It is thought that by there are many learning and consultation of reprimand form by decline etc.. of results mainly in lower classes' occasion that this can not but be less this consultation contents actually while satisfaction was high by getting response that wanted in this side by necessity to consult connection such realistic problem with class classroom teacher with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and college matriculation scholastic aptitude test, confidential report results etc. in occasion of third-year students is strong in some degree could not but be more contradictory. Sixth, Consultation attitude inclination homeroom teacher and most students who face on consultation can say that very negative and limited attitude is seen in consultation attitude side. That is, in most case, students can know that negative consultation of way that ask necessary item circumscriptively and answers rather than is all wide-open and faces on consultation page of mind when consult is gone. Seven ranks, Now the greatest agony, present students that is what is important in terms of can exert big influence on class teacher's consultation contents or method, but main trouble of present students appeared by fall of results too. But, some difference was seen and displayed some difference by class by order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in agonizing substance. It was exposed that worry in more various problem such as instigation about sex, ones company, health problem, instigation for wine·tobacco unlike girl student in the case of boy student. In the case of a business world student, while agony about results fall is low relatively, but contrast was seen because instigation about sex, ones company, health problem etc. see ratio that is high excellently than an academic world student. Ratio that become low as rise by third-year student in instigation about sex during class, smooth ones company page is seen, and is shown characteristic that health problem becomes low. Eight ranks, role that a student expects to teacher when consult role of general of, which help by sex specially objectively and substantially consultation specialist a lot of ratioes see, but appeared as is different by order, by class. While ratio that expect role of consultation specialist who give help in occasion of an academic world student in sex expectation difference about teacher in charge as consultant specially objectively and substantially from teacher in charge is high, but Korea expectation was the highest gouging role that can give warm and sympathetic consolation in the case of a business world student like friend, and while do the biggest expectation gouging role that can give warm and sympathetic consolation in occasion of first-year student like friend even if is during class, but Korea expectation is most high gouging role of consultation specialist who give help in second-year student and occasion of third-year students specially objectively and substantially Various meaning results that appear analyzing examined contents are throwing us a lot of suggestion points. Observe carefully various truths that is proved in single and mechanical education actuality enough to hear word of teaching machine that education actuality of present high school exists for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and this institutionalization or politicization do known work need. Presented some connected offers by singularity. But, these things are ideas that it is necessary that basic capacity of schooling is converted as macroscopic to actualize more.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정유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정 유 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해결중심 단기상담 을 적용한 개인 상담 사례연구이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 방법으로 내담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해결중심 개인 상담을 실시하고, 자기 자신, 학교, 가정, 대인관계 등 4가지 하위 영역에서 자존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담자의 자아존중 감의 4가지 하위 영역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는가?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 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 교 1학년 아동 3명이다. 이들은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로 학교에서 불안하 거나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상대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상태였으며 자아존중 감을 높이고자 희망하여 동의서를 받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해 결중심 단기상담의 진행은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회기별 30∼40분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수집한 자 료들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참여자의 답변의 의미를 파악하고 구조화하여 자아존중 감의 하위영역별로 구분하였다. 상담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은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에서 어려 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을 위해 효과적인 상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결 중심 단기상담의 기본 원리와 주요 기법을 바탕으로 상담을 구성하였고, 내담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긍정적 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의 해결과 척도 질문을 통해 자아존 중감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학교, 가정, 대인관계와 같이 넓은 영역에서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 상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초등학생, 1학년, 자아존중감,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 문임.

      • 自己成長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敎育福祉對象 兒童들의 自己效能感 向上과 社會性에 미치는 效果

        안성숙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自己成長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敎育福祉對象 兒童들의 自己效能感 向上과 社會性에 미치는 效果 안 성 숙 지도교수 조 경 덕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자기 효능감 향상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이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을 찾아보고 분석해보며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복지대상 자기성장프로그램은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대전소재 교육복지대상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매주 1회씩 40분간 10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척도(김아영, 1977)와 사회성 검사척도(정범모, 197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프로그램실시 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해서 회기별 소감문 분석을 통해서 내용을 더 요약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연구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으로 교육복지대상아동들에게 변화를 불러왔음을 알 수 있다. 대전은 동서부의 지역적인 격차가 어느 정도 내재되어 있는 곳이다. 프로그램을 운용하면서 교육복지대상으로 선정된 아동들의 현실적인 상황 속에서 오는 열등감이 존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 부분에 대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이 마무리되면서 자기효능감부분과 학교생활 부분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와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점은 교육복지대상자라는 선정이 아동들의 교육복지프로그램 참여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로인해 아동들이 학교생활적응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효과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두며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 Efficacy Improvement and Sociality Sung-Sook An Department of Consulting and Psych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duk 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 efficacy improvement and socia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e hypothesis as follows. Firs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influence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efficacy improvement. Second,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influence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previous researching studies are explored and analyzed then the program is performed by reconstructing and integrating with previous and new studies.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s performed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3 in this study. Daejeon of the target school children, education and welfare of children in the target area of the Children's Center 40 minutes once a week program is divided into 10 sessions were conducted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n schools and loc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Daejeon are set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program is conducted once a week as a format of 10 sessions with 40 minutes. The examination papers for this study use ‘the generally measure self efficacy examination measurement’ (Kimahyoung, 1977) and ‘the sociality check measurement’ (Jeongbeommo, 1971). The data analysis is divided with before performing the program and after performing the program then arrang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analyzing and summarizing of the researcher’s impression essays in every term are perform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to the self efficacy improvement, the verification of pre-post 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t the significance level, P<.01. Second, the effect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to the sociality of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s reveal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brings a positive change to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The East-West Daejeon is the region where has some local differential to some extent. As operating the program with three groups, the senses of inferiority of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are detected occurred from their realistic situa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positively not only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adaptation of their school life but also their self-efficacy improvement. As proved by previous research and this study, the selec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 could be the obstacle to children’s educational welfare program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electing process may bring some negative impacts to targeted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service give them a help rather than negative impacts, therefore the accessing to the target selection needs more cautious in the process.

      •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初等學生의 自我槪念과 行動에 미치는 效果

        김기수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硏究는 初等學校 學生들을 對象으로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實施하면 自我槪念과 行動에 어떠한 效果를 나타내는지를 探索하는데 目的이 있으며, 이를 爲해 다음과 같은 假說을 세우고 그 結果를 分析하였다. 假說1.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經驗한 初等學生들은 自我槪念 수준이 經驗 前에 比하여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假說2.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經驗한 初等學生들은 經驗 前에 比하여 行動樣相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이상의 假說을 檢證하기 위해 硏究者가 재직하고 있는 울산광역시중구에 위치한 Y初等學校 6학년 學生 중에서 本人의 希望과 擔任의 推薦에 의해 注意가 지나치게 散漫하여 特別히 相談의 必要性이 있다고 여겨지는 10명(남:8, 여:2)을 硏究의 對象으로 삼았다. 檢査道具는 정원식(1965)이 標準化한 中學生用 自我槪念 檢査를 專門家의 指導를 받아 김동한,최인수(1999)가 初等學校 水準에 맞게 補完한 '自我槪念 檢査'와 울산광역시교육청(1999)이 각 學校에 배부한 初等學校 學級經營錄의 行動觀察 尺度를 參考한 '行動觀察'을 使用하였으며, 實驗道具로는 慶尙南道敎育廳(1996)이 發刊한 '初等學生用 人性敎育을 위한 集團相談 프로그램'에서 15개의 內容을 발췌한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使用하였다. 硏究의 過程은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實施하기 前에 먼저 自我槪念檢査와 行動觀察을 하였고, 集團相談은 回期當 40分, 한 달간 15回를 實施하였으며 實驗을 마친 後 自我槪念 檢査와 行動觀察을 하였다. 結果處理는 自我槪念 檢査와 行動觀察을 프로그램 實施 前과 實施 後에 각각 實施하여 .05 水準에서 事前-事後 差異檢證(Paired t-test)을 하였다.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經驗한 初等學生들은 經驗 前에 比하여 自我槪念 水準이 向上되었다. 둘째,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을 經驗한 初等學生들은 經驗 前에 比하여 行動樣相이 肯定的으로 變化되었다. 본 硏究를 綜合해 볼 때 人性敎育 集團相談 프로그램은 初等學校 學生들에게 自我槪念을 向上시킬 뿐만 아니라 行動에서도 肯定的인 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tried to explore any effect of group counseling centered on personality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concept and behavior. The hypothese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self-concept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ing would be positively changed. 2. The style of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also positively changed. The subjects were t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ight male- and two female-students. They were selected from the six grade students who wanted and were advised to join the group counseling. Their teachers thought that the group counseling might help those students who were too inattentive to their classroom activities. The self-concept test originally develop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Wonsik Jungn was revised for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Dong hwan Kim and Insoo Choi. The check-list of behavior observation distributed by Counsil of Ulsan Education was used to select those student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pre-test of self-concept and behavior observation, fifteen times of group counseling(forty minutes for each session), and post-test of self-concept and behavior observa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paired t-test at the .05 ofα-level. The analys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self-concept and style of behavior.

      •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호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 호 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 를 파악하고 상담학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탐구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1)『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 리 단서를 추출할 수 있는가? 2)『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 단서로 상담학 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고안할 수 있는가? 3)『손자병 법』을 통해 정리한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 이며 박성희(2008)의 ‘고전에서 상담 지식을 추출하기’ 방법을 활용하였다. 『손자병법』에서 나타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를 추출하였다. 『손자병법』에서 손자가 추구한 궁극적 목표는 ‘전승(全勝)’이다. 전승이란 온전 하게 승리한다는 뜻으로 손자는 아군과 적군이 모두 온전한 상태에서 아군이 승리 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보았다. 손자는 전승을 위해서 최소 비 용으로 최대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율성 추구’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고, 효율성 을 추구하기 위한 아군의 ‘주도권 장악’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손자는 전쟁에 서 효율성을 추구하며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사전점검표의 역할인 오사칠계(五 事七計)를 활용하였다. ‘지피지기(知彼知己)’의 개념은 적군을 아는 지피와 아군을 아는 지기를 합한 것으로, 적군과 아군을 알고 준비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적이변(因敵而變)’의 개념은 적군의 상황에 따라서 아군이 적절하게 변화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의 목표와 원리를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여 구조 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는 ‘지피지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 상담자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상담자는 ‘인적이변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의 변화에 집중하며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 해 노력해야 한다. ‘지피지기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불태’, ‘지피’, ‘지기’로 구조화하였다. 연 구자가 지피지기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교 교사가 위태롭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가짐(불태)을 시작으로 학생을 학생 의 시선에서 바라보며(지피) 교사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 등을 파악하며 객관적으로 바라보는(지기) 모습을 도출하였다. ‘인적이변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속전속결’, ‘임기응변’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자가 인적이변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 모두 지치지 않게 신속하게 처리하되 학생의 변화에 맞춰 적절하 게 끝내는 ‘속전속결’ 모습과 교사가 학생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임기응변’ 모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와 장소,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갈등관리’라는 시각에 근거 하여 『손자병법』을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손자병법』 으로 추출한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 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손자병법, 갈등관리,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 교사-학생 갈등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황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N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1주일에 2회기씩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윤희(1994)가 수정․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분석결과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 변화는 통제집단의 학교적응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영역별 분석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집단상담이 갖는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해 학부모의 관심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초등학교 고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프로그램으로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래스팅’ 외의 다양한 교육용 SNS 활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다 많은 연구대상을 상대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사후 지속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가 아닌 다른 프로그램 실행자에 의한 효과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학부모의 사전․사후 인식 변화의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