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 임용고사에서의 무용전공자 실태 분석

        이경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855

        무용교육 활성화에 올바른 무용교육 사명의 초점을 맞춰 창의적인 인간양성을 위한 무용교육의 가치를 실현 시키는 것이 중요한 때이다. 그러나 현재 체육교과 내의 무용교육과정은 내용이 부실하고 정형화 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며 학교 내의 전문적인 무용교사의 부족으로 인해 사실상 무용수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용교육의 가치를 재인식시킴과 동시에 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무용교사현황을 분석해 여기에서 오는 문제점을 체육교사 임용고사 제도 안에서 모색하였다. 현재 중?고등학교 무용교사 현황을 살펴 본 결과 전국 16개 시?도의 중?고등학교 5,136개에서 체육교사 수는 14,130명이었으며 그 중 무용전공자는 739명인 5.2%에 불과했다. 체육교사 내의 무용전공자 수는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무용의 이론과 실기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란 어려웠다. 체육교사 임용고사 제도를 2004학년도에서 2006학년도까지 분석한 결과는 이와 같았다. 첫째, 필기시험에서 무용부분이 2004학년도 18문항?(70점) 중 1문항?(3점)이 출제 된 것 외에는 2005학년도와 2006학년도는 전혀 출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기시험에서는 선택과목에서 무용을 포함한 지역은 서울, 인천, 부산,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전북, 경남이며 대구, 광주, 충남, 전남, 제주는 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경북지역은 선택과목에서 남자는 축구를 여자는 무용을 선택과목으로 지정하고 있었다. 셋째, 출제위원의 세부전공을 최근 3년간 분석한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필기부분은 무용전공자가 단 한명도 없었다. 그리고 16개 시?도 지역 중 무용을 전공한 출제위원이 있는 지역은 서울, 인천, 강원이었고 그 외, 나머지 지역은 단 한명도 없었다. 넷째, 무용전공의 합격자 수를 조사한 결과 합격자 713명중 무용전공자는 11명으로 1.5%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육계에서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무용의 교육적 가치를 실현시키지 않고 있으며, 체육교과에서의 무용교육이 얼마나 등한 시 되고 있음을 확실하게 증명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무용전공자로서 응시하는 체육교사 임용고사의 진입장벽을 없애고 부당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험 출제와 심사에 있어서 무용전공 위원이 선발되어야 하며 시험의 필기와 실기에 있어서 무용의 영역이 확대되어야 한다. 올바른 무용교육을 위하여 중?등 교육기관의 무용교육의 정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체육교사 임용고사에서 전문적 무용교사 채용을 위한 행정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무용교육에 임하는 교육자 스스로 자립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는 무용교육의 가치 창출과 더불어 학교현장에서 무용교육의 발전과 나아가 국가의 문화 예술적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 할 것이다.

      • 체육임용고사 시 무용전공자의 실태 분석 연구 : Dancing major person's actual conditions analysis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박지연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research recognizes weight of dancing education and For right dancing education and incentive of dancing art and development, wish to do to recognize that specialist upbringing need absolutely. For these thing, emphasize dancing education value in school and Analyze dancing teacher present condition, studied problems that follow necessarily within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Written examination with wave that analyze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is that from 2005 academic years to 2007 years, dancing part was set a problem less than 1 problem and Area that dancing item is included in practical examination is Seoul, Inchon, Pusan, DaeJon, kyonggi, Cholla-bukdo, Kyongsang-namdo, Kyongsang-bukdo but Taegu, Chungchong-namdo, Cholla-namdo, chief mourner area was not included. Also, in advantage systems of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Advantage from 0.5 points to best 8 points according to area is given to national convention and international contest prize winner with physical education. The other side, dancing major person from compute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0.5 points to highest point 3 points and when acquire life physical directo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advantage of 0.5 points give. And in 2005 years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s candidate and pass present condition, 219 people passes of 2,726 candidate, 300 people of 2,858 candidate pass in 2006 years, 179 people of 3,193 candidate passed in 2007 years. Dancing major person successful candidate number expressed 1.9% ratio to whole 9 people during the latest 2 years of 2006 years since 2005 years here. In addition to, school dancing teacher present condition of 2006 years was an ath-letics teacher 14,130 people in school 5,136 such as whole country 16 city-province and dancing major person of them was not more to 739 expert 5.2%. Such as these result is considered by rightful result that appear because take physical education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s within system that dancing major person is unreasonable. Ultimately, Though appointment examination selects special teacher who possess superior ability and quality, there is the purpose and Reasonable appointment positive refusal and appointment system are essential to select teacher who possess more superior ability and quality. Therefore, fit appointment examination pottery manufacturing may have to be constructed necessarily to dancing major person who is not appointment examination that all foci are set to physical education major person, Systematic, educational action may have to consist for ready an opportunity that can choose dancing to all students separating dancing educ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subject necessarily. In addition to, For individual area set up of dancing, must incline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 so that practical skill and theory class may can be educated there is balance continuous interest and spot about government policy is dancing. 현재의 공교육에서 교사정책의 최우선적 과제는 교사의 질 확보에 있다.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자질 있는 교원을 어떻게 선발하고 임용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국가교육의 장래는 교사교육과 선발에 대해 국가적인 관리와 점검이 필요함과 동시에 임용고사에서 두 가지의 목적을 띈다 첫째는 교육의 정상화 기여이고 둘째는 교사자격을 갖춘 적격자를 가려낸다는 선발의 목적이다 이처럼 성공적인 체육교사 선발의 핵심은 우수한 임용제도가 될 것이며, 체육중등교사 임용시험은 학교교육을 직접 담당하며 그 책임을 지게 될 교사를 최초로 선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위의 지침을 토대로 본 연구는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무용교육에 있어 전문 무용교사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재인식하여 현재 시행되는 체육임용고사에서 무용전공자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현재 체육임용고사는 체육전공자에게 모든 초점이 맞추어져 무용전공자에게는 불합리한 제도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체육임용고사의 무용전공자 응시 문제점과 그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 도의 체육임용고사 필기시험 내용을 분석하고 실기시험의 지역별 종목과 무용종목 포함여부를 알아보며 가산점현황을 통해 무용전공자가 취득할 수 있는 가산점 내용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 시 도별 학년도부터 학년도까지의 체육임용고사 응시 2005 2007 및 합격 현황과 2005 학년도부터 2006학년도까지의 무용전공자 합격자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2006 년도를 기준으로 각 시 도별 체육교사 내 무용전공자 교원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로써 체육전공자에게 모든 초점이 맞추어진 임용고사가 아닌 무용전공자에게 합당한 임용고사 제도가 반드시 구축되어져야 할 것이며 아울러 필연적으로 무용교육을 체육교과목으로부터 분리 시켜 모든 학생에게 무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기 위한 제도적 교육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제 무용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무용문화를 발전시키고 무용 그 자체를 모든 연령의 국민들에게 미적 교육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래서 현재의 우리 나라 무용교육도 하나의 학문으로서 연구 발전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교육제도와 임용제도 또한 변화해야만 할 것이다.

      • 무용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에 관한 인식도 연구

        박혜나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에 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 무용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를 활성화하고 문화예술교육사를 일반화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 및 졸업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구성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사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통계처리 방법은 첫째,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성별, 전공, 지역, 무용경력, 학력)과 문화예술교육사에 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도에 따른 취득동기 및 계기, 교육과정, 제도, 취업의 차이분석을 위해 검증(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인식 분석에서 성별, 무용경력에서는 전반적으로 알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에서 한국무용, 현대무용, 기타가 발레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에서는 서울보다 대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서 대학생보다 졸업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계기 분석에서 성별, 지역,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공에서 한국무용, 현대무용은 지인에 높게 나타났으며 발레는 기타에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무용에서는 대학교에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용경력에서 5년 미만은 대학교에서 5년 이상은 지인과 기타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 동기 분석에서 성별, 무용경력,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공에서는 한국무용, 현대무용, 기타무용은 전문성 향상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에서 대구가 전문성 향상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현장교육 분석에서 성별, 전공, 지역, 무용경력, 학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 보통이다 와 비교적 그렇다 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만족 분석에서 성별, 전공, 무용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에서 서울보다 대구가 더 높은 만족 결과가 나타났으며 학력에서 졸업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문제점 분석에서 성별, 전공, 지역, 무용경력, 학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 정보부족과 교육비용, 운영체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7.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의 자기만족감 분석에서 성별, 전공, 지역, 무용경력, 학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 보통이다 와 비교적 그렇다 의 순으로 나타났다.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취업 및 진로선택 분석에서 성별, 전공, 무용경력,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에서 서울보다 대구가 비교적 그렇다 에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9.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 후 미래소득 분석에서는 성별, 전공, 지역, 무용경력, 학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보통이다 와 비교적 그렇다 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시행시기를 고려했을 때 무용전공자들 대부분 어느 정도 인식 하고 있으나 문화예술교육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으로 무용전공자들에게 교육과정, 자기만족감, 취업 및 진로선택과 미래소득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인정받는 국가공인 자격증 취득으로 무용전공자들의 사회적 인식수준 제고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무용전공자들이 문화예술교육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취업을 위한 수단만이 아닌 무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identify the awareness level of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ACEI) among dance majored personnel and to vitalize ACEI system for the field of dance while universalizing ACEI as a whole.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00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majoring in dance from Seoul and Daegu.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with significant level of 0.5, was utilized in order to analyze the awareness of ACEI.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utiliz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derive generalized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data. Also, X2(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cross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ized characteristics(gender, major, region, dancing career and education level)’ and the awareness of ACEI from students majoring in dance as well as its effect on motive, reason, curriculum, system and job search thereafter.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analyzed data a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the gender and length of dance experience, respondents were generally aware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ACEI. However, in the field of dance, Korean, modern dance and other majored stu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of the system compared to those who majored in ballet dance. In case of the region, respondents from Seoul had higher level of awareness compared to those from Daegu, while graduated stu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currently enrolled). 2. For the motive of ACEI certification system,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region and the level of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respondents. However, Korean/modern dance majored respondents chose ‘from acquaintance’, while ballet majored students shifted toward ‘from others’ and other dance major students chose ‘from the university’. Moreover, survey showed that respondents with less than 5-year career leaned toward ‘from university’ while respondents with more than 5 years of career chose ’from acquaintance’ and ‘from others’. 3. For the reason of acquiring the ACEI certificate,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length of dance career and education level. However,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other dance majored respondents concentrated on ‘fo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selection. In fact, respondents from Daegu answered ‘fo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e most among other regional respondents. 4. For ACEI curriculum’s influence for on-site educ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field of study, region, length of dance career and level of education did not have much significance on responses. Most of the responses were concentrated either ‘normal’ or ‘fairy yes’. 5. On satisfaction level of ACEI certification system, characteristics like gender, field of study and the length of dance career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responses. However, respondents from Daegu and graduated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from Seoul and currently enrolled students respectively. 6. For the issues of ACEI certification system,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field of study, region, length of dance career and level of education did not have much significance for the results.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lack of information’, ‘cost of education’ and ‘operating system’ as the room for improvements. 7. On satisfaction level from acquiring the certificate for ACEI, responses showed minor distinction for characteristics like gender, field of study, region, length of dance career and level of education. Most of the responses gathered between ‘normal’ and ‘fairy satisfied’. 8. For ACEI certification system’s influence on job search and career choice, characteristics like gender, field of study, length of dance career and the level of education showed minor difference. However, participants from Daegu responded more ‘fairy helpful’ compared those from Seoul. 9. The effect of future-income after acquiring the ACEI certificate had little distinction among characteristics like gender, field of study, region, length of dance career and level of education. The two most popular responses were ‘normal’and ‘fairy positive’. Overall,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timing of ACEI program, dance majored students had fair amount of awareness but pointed out the lack of detail information on ACEI. However, implementation of ACEI certificate seemed to positively affect curriculum, self-satisfaction, job search, career choice and future income for dance majored stud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foundation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dance majors have been laid out as dance majored students can acquire nation-certified license from ACEI program for their professionalism. Thus, I hope dance majors will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on ACEI and seek its applicability, not limited to its capability for employment, to develop themselves as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ing professions that can lead to vitalization of dance education as a whole.

      • 무용교육 및 융합교육 참여 무용전공대학생의 전공인식과 진로결정의 차이분석

        홍정화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difference of Major recognition and Course decision between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 of dance education course and convergence education course. To analyse the differences, two universitys had been randomly selected among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country which currently operating the dance education course and the convergence education course. Self-administration method had been used to 194 students of dance education and 165 stud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to draw the outcomes of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sed through SPSS 18.0 program's descriptive sta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rossing analysis to conclude following outcomes. First, the dance education group showed a big difference on their opinion of their major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convergence education group didn't show much difference. In major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nce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because of overall major recognition.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 before starting university, overall major recognition is not significant different in dance education group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vergence education group. Although course decision with gender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 is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dance education group and convergence educati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in the course decision area and obstacles of two groups once they choose the dance education course as a maj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bstacles of two groups once they choose the dance education course as a major, course decision depending on the scholastic year and the convergence recognition before starting university, and the course decision area. In the course decision through the major experience and the course decision area, there were no difference in both groups while the dance education group as obstacles of group that choose the dance education course as a majo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vergence recognition before starting university depending on education group with personal characteristic. Secondly,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Major subject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Major study interest and satisfaction, following Major recognition between dance education group and convergence education group while there were no notable differences between major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recognition satisfaction.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nce education group and convergence education group in the course decision whether there are course decis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course decision area.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expected occupation deci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university edu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bstacles of two groups once they choose the dance education course as a major. People confirmed a major cognition for students, who choose the dance education course as a major,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existing da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Consequently, this study figure out the major cognition and course decision for students, who choose the dance education course as a major,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existing da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Based on it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suggestion of basic information about providing important roles as education for dance major students that promote to enter into various society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이 연구는 기존의 대학 무용교육과 융합교육 참여 무용전공대학생들의 전공인식 및 진로결정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4년제 대학 중 기존의 무용교육과 융합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곳을 임의로 각 2군데를 선정하고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통해 설문조사 및 회수하여 총 359명 중 무용교육 참여 학생 194명과 융합교육 참여 학생 165명의 자료로 연구를 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rossing analysis)의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전공인식에 대해서 무용교육 집단은 성별과 학년에 전체적인 전공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융합교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경력에서는 전체적인 전공인식이 무용교육과 융합교육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입학 전 융합교육 숙지에서 전체적인 전공인식은 무용교육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융합교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에 대해서 성별의 진로결정 유, 무는 무용교육 집단과 융합교육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진로선택 분야와 무용을 진로로서 장애요인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년과 입학 전 융합숙지에 따른 진로결정 유·무, 진로선택 분야, 무용을 진로로서 장애요인은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경력에 따른 진로결정 유·무와 진로선택 분야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무용을 진로로서 장애요인에서의 무용교육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융합교육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교육집단에 따른 개인적 특성의 입학 전 융합인식에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무용교육 집단과 융합교육 집단 간에 따른 전공인식에서 전공교과만족과 교수학생 관계만족, 전공학문관심과 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학과인식만족, 학교인식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무용교육 집단과 융합교육 집단 간에 따른 진로결정에 대해서 진로결정 유·무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선택 분야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희망직종 선택에 있어서는 대학교육 유형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었다. 무용을 진로로서 장애요인으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대학의 기존무용교육과 융합교육에 참여하는 무용전공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인식과 졸업 후 진로결정에 대해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무용교육 집단과 융합교육 집단에 참여하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전공인식과 진로결정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전공자들의 한정된 취업문제가 융합교육을 통해 다양한 사회활동 분야로의 진출을 도모하는 교육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대구․경북 무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 분석

        김은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과정, 지도자, 진로결정, 수업내용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경북 지역의 대학무용(학)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배포된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 시킨 후 통계프로그램 SPSS 18.0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문항내적합치도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학년, 경력, 전공)에 따른 무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Turkey 방법을 사용하였다. 학년과 경력, 전공과 학년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차이분석을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첫째, 학년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 교과과정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자와 진로결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내용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 지도자, 진로결정, 수업내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과과정에서는 발레와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 교과과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도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결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내용에서는 6년 미만이 6년 이상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과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전공에서는 발레와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주 효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전공과 학년에 따른 지도자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학년과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공과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학년과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전공과 학년에 따른 수업내용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학년과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년과 경력에 따른 교과과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주 효과 학년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과 경력에 따른 지도자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학년과 경력에 따른 진로결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학년과 경력에 따른 수업내용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현재 대구․경북 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을 잘 파악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수업 방법 및 수업 내용의 다양성과 이론 및 실기교육의 수업이 요구되어 진다. 그리고 고학년은 진로결정의 시기이기 때문에 진로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instructors, career decision, and course work, 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with the dance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department of dance in the Daegu Gyeongbuk region. As the data processing of this research,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fter excluding the ones inadequately prepared, were inputted into computer individually an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processing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verification of validit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verification of reliability of item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year, career, major),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for posteriori tests, the turkey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and major and school year, two-way ANOVA was conducte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being set as .05.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curriculum which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class satisfaction, those in lower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pper grades, and in the instructors and career deci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ass work, those in lower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pper grade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major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structors, career decision, and class work 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and in the curriculum, ballet and modern d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Korean dance.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which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class satisfaction, and also in the instru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In the class work, those who were less than 6 yea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over 6 years. Fourth,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major, ballet and modern d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Korean dance, and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structors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and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and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lass work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and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those in the lower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upper grad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structors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and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and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lass work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and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current curriculum of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 should be well comprehended, and the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nd class work to raise class satisfaction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skill education class are required. And researches on the ways to vitalize dance education,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career for the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who are in the period of career decision, should be made.

      • 무용교육이 여고생의 사회성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서훈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39

        청소년의 바람직한 사회성 및 정서함양을 위한 교육으로서 무용은 균형적인 신체발달과 더불어 창의력, 표현력, 즉흥력, 상상력, 협동심 등을 익히고 발휘하여 간접적으로 사회적, 정신적 성취의 욕구가 실현되고 해소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용교육을 통한 사회성 및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을 통한 교육이 여고생의 바람직한 사회성 및 정서지능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첫째, 무용경험 여부에 따른 사회성과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우선 사회성에 있어서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성취성의 경우에 무용전공자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무용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무용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로 나타났다. 반면에 책임성과 협동성의 경우에는 무용경험이 없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사회성은 무용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무용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무용전공자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차이의 경우를 살펴보면 무용전공자가 자기통제력, 자아의식, 민감성, 낙천성, 성취욕구, 독립성의 경우에 무용교육경험이 있는 경우와 무용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용교육경험자와 무용 경험이 없는 자를 살펴보면 자기통제, 자아의식, 감정이입, 민감성, 동정심, 낙천성, 성취 욕구에 있어서 무용교육경험자가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정서지능의 경우에도 무용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무용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무용전공자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여부에 따른 사회성․정서지능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용발표회에 참가한 적이 있는지 여부에 따른 사회성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성취성, 책임성의 경우에 모두 무용발표회 참가한 적이 있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무용전공에 따른 사회성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현대무용의 경우에 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발레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려성의 경우에는 발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대무용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교성의 경우에는 한국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책임성의 경우에는 한국무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협동성의 경우에는 한국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용교육 경험연수에 따른 사회성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경험이 3년 이상인 경우에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성취성의 경우에 모두 경력이 3년 이상인 집단이 1년 이상-3년 미만인 집단보다 높은 사회성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년에 따른 무용교육과 사회성,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무용교육 경험, 무용발표회 참여의 경우에는 고학년 보다는 저학년이 많았다. 무용경험 기간과 학년 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가족이 정서와 무용은 사회성 및 정서발달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다고 나타났다. Adolescence is the period when the mental development like sociality, morality, self-consciousness, creativity, etc. as well as physical development is active and it is also the period of cultivating the adaptability to social life. In adolescent period,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ect is very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o learn this matter effectively. Now,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improving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ect through dance education is de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education through dance influences on desirable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ect improvement of high school girls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sociality according to yes or no of majoring in dance is as follows. In case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sociality according to yes or no of majoring in dance, the group who majors in dance showed the highest in their activities, and in case of no dance education experience, they showed the lowest in their activities. In case of responsibility and cooperativeness, the group without any dance education experience showed higher and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gnificant level of p<.01.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difference analysis of sociality according to yes or no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ance performance the group who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ance performance showed all higher in their activity, considerateness, sociability, accomplishing ability, responsibility, and both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venes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nalysis of social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of dance education experience, it was able to understand that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of its experience showed higher in their activity, considerateness, sociability and accomplishing ability, and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showed higher sociality than the group with one year experience and less than 3 year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ociality difference according to yes or no of majoring in dance, the group who majors in dance showed the highest in their self-controlling power, self-consciousness, sensitivity, optimistic character, accomplishing desire, independent character and it also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nalysis of emotional intellect difference according to yes or no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ance performance, the group who experienced in participating in dance performance showed higher in their self-controlling power, self-consciousness, sensitivity, optimistic character, accomplishing desire, independent character and i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nalysis of emotional intellect difference according to yes or no of majoring in dance of the group who is getting dance education, the modern dance showed the highest in self-controlling power, self-consciousness and accomplishing desire, Korean dance showed the highest in sympathetic feeling, and ballet showed the highest in empathy, sensitiveness, sociality and independent character and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nalysis of social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of dance education experience,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showed higher in their self-consciousness, sensitiveness and independent character. The group with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showed higher in their self-confidence, expression power, empathy and sociality.

      •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분석 및 융복합 교육 방향성 연구

        강민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39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 대학 무용학과를 비롯한 타 학과들은 심각한 정원 미달 사태를 겪고 있으며 지방대를 중심으로 신입생 정원 축소, 학과 통폐합, 폐과 등 대학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기에 직면한 국내 대학들은 변화하는 시대를 인지하고 대학 교육혁신을 선언하며 앞으로의 교육환경에서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융복합 교육으로 학사제도를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21세기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의 사회 진출을 할 수 있도록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무용학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전국 31개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과과정 심층 분석을 위해 그 중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총 11개교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한의학 트랙, 전공트랙제도, 전공인정과목(연극뮤지컬전공), 진로개발로드맵 CDR, 자기설계융합전공, 기술-예술 융합예술학, 융합문화예술대학, 융·복합전문인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현재 국내 대학 무용학과는 기존의 교육방식과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융복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각 대학의 특성에 맞춰 무용과 타 분야를 융합한 여러 교과목들이 개설되어있지만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융복합 교과목 수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국내 대학 무용학과가 직면한 문제들을 융복합 교육을 통해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예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예술영역 자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첫째, 무용 전공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전공자들이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교과목을 세분화해야 한다. 이는 전공자들이 다양한 영역으로 개인 활동 창출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재구조화하여 무용의 특수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4차산업의 기술발전과 학제 간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무용학과와 과학기술 관련 학과와의 협동을 통해 전공 간의 학문 지식을 공유 및 연계하여 과학기술의 기초적 활용법과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무용은 내부감각 및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예술적 즉흥성, 창의적 표현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학문이다. 예술의 창의적 표현(무용)과 과학적 특성(과학), 심리적 접근(심리학)을 통합하여 정신건강과 치료를 돕는 학과 간, 학문 간의 융복합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예술이 치료의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는 교과과정 개발을 통해 무용이 의·과학적으로 시야를 확장해야 한다. 넷째, 현재의 문화예술영역은 순수 창작활동의 범주를 넘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문화산업의 콘텐츠이다. 예술적 교류 및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산업 영역, 문화예술경영으로서의 무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무용교육이 여고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부산·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윤지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는 무용교육이 여고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무용활동의 참여가 지니는 심리적 효과를 통해 여고생의 바람직한 정서 지능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울산지역의 일반고등학교 여학생 6명과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여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정서 지능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는 SPSS/PC win 10.0 Version을 이용하여 도구의 타당도분석을 위해서 Varimax방식의 인자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된 인자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위해서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문제를 위하여 t-test, F-test,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정서 지능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면 개인관계 측면의 표현력은 비전공자가 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대인관계 측면의 민감성과 성취성향관계 측면에서의 성취욕구에서는 무용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자기통제력, 자아의식, 자신감, 감정이입, 사려성, 사교성, 사회성, 동정심, 낙천성, 독립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별로 비교한 정서 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활동이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활동을 하는 것이 정서 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대답(81.88%)한 집단과 '그렇지 않다' 라고 대답(18.12%)한 두 집단간의 정서지능을 비교해 본 결과 긍정적인 대답을 한 집단이 자기통제력, 감정이입, 사려성, 사교성, 동정성, 낙천성, 성취욕구, 독립성에서 우위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무용과 스포츠활동에 대한 영향력 차이는 '무용을 하는 것이 정서 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라고 대답한 집단(73.82%)이 사려성, 사교성, 동정심, 성취욕구에서 '스포츠활동을 하는 것이 정서 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라고 대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족정서의 영향력과 학교이탈정도 그리고 정서적 안정이 여고생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자의 경우 가족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 지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전공자의 경우는 자아의식, 사교성, 성취욕구, 독립성에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이탈정도에 따라 무용전공자의 경우 감정이입과 독립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전공자의 경우는 성취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정서안정 정도에 따른 정서 지능과의 상관분석결과는 무용전공자의 경우 정서가 안정될수록 자신감은 높아지나 독립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공자의 경우는 정서안정 정도에 따라 표현력은 낮아지는 반면 사려성과 성취욕구는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교육은 여고생의 정서 지능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무용학습프로그램의 개발로 성장기 여고생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무용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ance education on high school girls and develope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attending dance activities. The subjects are 276 high school girls in Pusan and Ulsan and 171 art school girls who are majoring in dance. The questions are about emotional intelligence.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PC win 10.0 Version and Varimax Factor Analysis was done to analyze the validity. For the reliability of the sample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yielded. For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t-test and F-test were don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yield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also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emotional quotient compared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art school students those who don't major in dance show more expression in personal aspect. But those who major in dance are more sensitive in interpersonal aspect and have more desire to achieve.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self-control, self-consciousness, confidence, empathy, thoughtfulness, sociability, compassion, optimism, and self-reliance. Second, there are not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enre of dances. Third, to see the effects of dance activit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wh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is compared between those who answer in positive to the question that danc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81.88%) and those who answer in negative(18.12%), those who answer in positive show more self-control, empathy, thoughtfulness, sociability, compassion, optimism, desire to achieve and self-reliance. And as for the difference of effects between dance and sports, those who answer that dance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show more thoughtfulness, sociability, compassion, and desire to achieve than their counterpart. Fourth, those who major in dance show no correlation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family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but those who don't major in dance show positive correlation on self-consciousness, sociability, desire to achieve, and self-reliance. The dance students show high empathy and self-reliance according as how they are away from school and non-major students show higher desire to achieve. And dance majoring students have more confidence, but less self-reliance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stability. Non-major students show less expression, but they show positive correlation on thoughtfulness and desire to achiev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dance educ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high school girl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program and efficienty dance courses are necessary which can improve the emotional stability of high school girls.

      •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교수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지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823

        무용교육이 체육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 학교교육에서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무용교육의 발전적 미래를 위해서는 현재 학교현장에서 무용을 가르치는 소수의 교사들의 교수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무용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가 학교현장에서 당면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이 무엇인가 알아보기 위한 중등무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무용교육과정 운영의 실태와 무용교육을 위한 시설.환경 및 교과서 내용구성, 교사활동의 전문성 등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발전적인 학교무용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이며 대상자는 서울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 72명을 표본 추출하여 설문지를 우편 발송하였다. 그 후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응답한 자료를 회신 받아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전산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그 결과를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을 전공한 교사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르면 40대의 20년?3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가장 많으며, 설립유형에 따르면 공립학교에 비해 사립학교에 더 많이 근무한다. 가르치는 과목에 따라 분류하면 무용전담교사와 체육전담교사에 비해 무용과 체육을 겸하는 교사가 가장 많으며, 학교 급별에 따른 결론적 특징을 살펴보면 중학교의 경우 무용만 가르치거나 체육만 가르치는 교사가 고등학교에 비해 많았으나 이와 반대로 고등학교의 경우 무용과 체육을 겸하는 교사가 중학교에 비해 현저히 많았다. 이는 불평등한 임용제도와 학교교육에서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부족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기에 그에 따른 개선책이 필요하다. 둘째, 무용 교수-학습 실제 운영 면에서 보았을 때, 학교에서 무용교육의 목적은 표현적인 신체발달에 두고 있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무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다. 무용수업은 1학년을 중심으로 주당 1시간 수업으로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한국무용과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무용(스포츠댄스, 방송댄스)을 교사의 시범을 통한 실기위주의 수업방식으로 가르치고 있다. 그러므로, 실기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수방법을 연구하여야 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무용을 예술교육으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무용수업을 위한 시설과 환경 측면에서 시청각도구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으며 무용수업을 위한 시설(무용실) 역시 65.3%가 갖추고 있는 것에 비해 만족도는 낮은 편이다. 무용 수업환경의 개선을 위해 시설적인 투자와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교과서 내용 및 구성 면에서 주 교재는 검인정 체육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체육교과서의 무용단원 분량과 교육과정 구성시수가 적은 편이라고 응답하였다. 무용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영역으로는 창작무용과 댄스스포츠와 같은 학생들의 흥미에 맞춘 대중적인 무용이 더 필요한 영역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므로 창의력 증진을 위한 창작무용과 학교교육에서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학생의 흥미를 반영한 대중적인 무용(스포츠 댄스, 방송댄스, 요가 등)같은 새로운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들은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창작무용과 대중적인 무용에 관련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연수받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에 관련된 학회, 협회, 단체가 무용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수교육의 기회를 폭넓게 전개한다면 교사들의 지도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간의 교류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교류활동에 대한 참여 의향 역시 높았으나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무용교육 관련단체나 교사모임은 61.1%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도록 교사모임을 비롯한 여러 무용교육 단체의 활동이 필요하다.

      • 무용학과 한국무용 전공실기의 수업 실태에 관한 연구

        이미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대학 무용학과의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밝혀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국 14개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 856명중 설문지 조사에 응답한 66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론는 다음과 같다. 1. 한국무용 전공실기 수업내용 만족도에서 나타난 결과는 현재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공실기 수업 내용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보다 만족도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2. 전공실기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의 결과는 대부분의 응답자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3. 학생들은 입학후 자신의 전공실기 능력 평가에 대해서는 '향상되었다'가 19.46%, '그대로이다' 34.24%이며, '저하되었다' 46.30%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의 실기수준을 저하시킨 요인으로는 자신의 노력 부족이 81.43%, 비합리적인 교과과정이 13.36%, 비체계적인 교수법이 5.21%로 나타났다. 5. 실기능력이 향상된 요인으로는 자신의 노력이 70.99%, 합리적인 교과과정이 18.32%, 체계적인 교수법이 10.69%로 나타났다. 6. 전공실기 시간운영에 대해서는 '현재 시간으로 적당하다'가 55.35%, '부족하다'가 37.10%, '너무 많다'가 7.54%로 나타났다. 7. 학교별 전공시간에 배우는 춤의 유형별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학교마다 체계적인 일정한 틀이 아닌 제각기 다른 내용을 가지고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8. 한국무용의 유형별로 가장 선호하는 무용은 승무였다. 그 다음은 살풀이, 태평무, 북춤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외에도 장고춤, 산조, 무당춤,부채춤도 많은 학생들이 선호하고 있었다. 9.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에 관한 개선점으로는 26.77%가 체계적인 교수법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외에도 다양한 레퍼토리(14.65%), 무용시설 개선 및 확충(14.14%)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은 대체적으로 실기수업 내용과 교수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나, 전공실기수업은 각 대학마다 너무도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루 속히 체계화된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of the Korean dance in the Department of Dance of college or universities, to find out what the problems li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Therefore, qustionaires are distributed to 856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14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then 663 students respond to this questionaire. And so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of the Korean dance a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satisfaction with content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of the Korean dance, mos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its contents, and this shows that their satisfaction is getting higher. 2. As a result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ology of the practical talent, most students are generally positive. 3. About the self-evaluation of the practical tal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19.46 percent of the students answer that their abilities are improved, and 34.24 percent of them answer that they are the same, and 46.3 percent of them answer that they are deteriorated. 4. The factors of their deterioration are analyzed as follows: lack of their efforts(81.43%), unreasonable curriculum(13.36%), and not systematic teaching method(5.21%). 5. The factors of their improvement are analyzed as follows: by their own efforts(70.99%), reasonable curriculum(18.32%),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10.69%). 6. About the hour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they answer that their time is analyzed as follows: proper(55.35%), short(37.10%), and too long(7.54%). 7. The types of dance which the students learn are diverse and its kind is various according to university. But the contents of teaching dance and its syste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college or university. 8. Their most favorite dance is a Buddhist dance among the types of the Korean dance. And in order of the types of dance which the students prefer to other types, their names are listed as follows: Salpuri dance (dance for exorcising an evil spirit), Taepyoung-moo (dance of peace), Bukchoom (drum dance), Janggo-chum (dance with the Korean drum, Janggo), Sanjo, Moodang-chum, and Buchae-chum (dance with fans). 9. The students request that teaching the Korean dance be improved as follows: improving the systematic teaching method (26.77%), necessity of the diverse repertory (14.65%), and improving and complementing the facilities for dance (14.14%). In conclusion, most students show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and th types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are various according to college or university. Therefore, systematization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in the Korean dance must be carri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