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산서성 지역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설계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염정걸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7455

        본 논문은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가 활발하게 발전하는 가운데 산서성 지역의 정규 4년제 한국학과가 없다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4년제 한국학과의 개설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이 많이 진출했고, 무엇보다 한국어에 대한 높은 교육적 요구를 갖춘 산서성을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중국의 특정 지역의 지역성 등을 중심으로 한국학과 개설을 논의한 연구는 없었다.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이론이나 교육 이론 등을 중심으로 해결책을 제안한 연구는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산서성’이라는 지역, 산서성의 ‘지역적 특성’, ‘학습장 중심 이론’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2장에서는 현재 산서성 지역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학 현황을 분석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먼저 산서성 지역에 한국어 교육 전체 현황을 살펴보고 산서성 지역 대학의 한국학 특징을 분석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교육과정 이론을 검토하고, 산서성 지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기 위해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관련 이론을 검토한다. 그 다음에 교육과정 모형을 분석하고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과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모형을 토대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정리한다. 3장에서는 현재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학과 3개를 선택해서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산서성의 한국어학과를 만들 때 기준이 될 수 있는 중국 내 대표적인 대학교를 3개 선택해서 분석한다. 선정한 대학교는 북경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산동대학교의 한국어 학과,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이 발달한 연변 지역의 연변대학교이다. 이 3개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며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기능, 교육과정의 원리,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과정의 체계 그리고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를 분석·도출하도록 하겠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적용한 산서성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모형과 특징을 제시하고 실제 예시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 한국학과 교육과정의 모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산서성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의의를 제시한다. 随着中韩交流的增加中国学习韩国语的学生越来越多,学习韩国语的需求逐步增大。据统计国内有124所大学开设了4年制韩国语专业,但是中国山西地区目前还未有一所高校开设四年制韩国语专业,随着山西经济的转型和目前的趋势,山西开设韩国语专业的可能性也在逐步上升。本文针对于以学生为中心教育过程为中心研究山西省的高校韩国语教育过程模型。 绪论主要介绍了研究的目的和必要性。分别对中国内的韩国语整体教育相关研究,中国内韩国语专业相关的先行研究等进行了整理。第二章因为目前还没有山西省的正规四年制韩国语专业相关的研究和记载,因此本章通过山西省的三年制韩国语专业及其他其他韩国语机构的现状来分析山西目前韩国语教育的现状和特征。通过以学生为中心教育模式的理论寻找以学生为中心教育模式的特征、原理、必要因素。以学生为中心的教育模型注重于学生、社会、教科三者之间的潜在的联系和一般目标。又分别可以分解通过教育哲学,教育心理学设立明确的教育目标,通过学生学习过程当中的经历、经验、学生经验指导,学生经验评价等模式来最终达到教育目标。即,教育过程当中最重要的要素有教育目的,教育组织,教育内容和教育评价。学生为中心的教育模式不是被动式的注入式学习,而是以学生学习的目的和要求为基础,因此需要完全挖掘学生的要求和需求,设立教育目标、选择教科书、课程、教育方式、授课方式、评价方法等。文章以学生为中心教育过程分析北京大学韩国语系,延边大学韩国语系,山东大学韩国语系的教育过程以此来借鉴,用于山西内韩国语教育模式。山西省以学生为中心教育需要在充分考虑山西当地韩国语人才需求量,山西经济文化等方面后先从韩国语学科的建立,设立教育专业目标,根据韩国语的技能和语法,主题等设计课程,选编教材等。在交流式教学法,讨论教学法等以学生为中心的教学法后进行相对评价。 最后,在结论部分简单的整理了本文的研究结论,因为目前山西省的韩国语教育相关的研究有限,并且只进行了抽象的研究,没有深度的、具体的数据分析,希望后续的研究中能够进行更为全面的分析。

      • 빌리빌리(bilibili)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마오루핑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7439

        This study aims to help people develop better and more divers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s on bilibili targeting Chinese learners. The bilibili app has educational videos in various foreign languages, including English, Japanese, and Korean. Now again, many Chinese are learning Korean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nnel on bilibili, so this study selected 9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videos on bilibili and analyzed them in detail. In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the method and subject of the study. An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 the contents taught in Korean in bilibili. In Chapter 2, we can find out which videos people are interested in by analyzing the external composition of videos. Among the n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s analyzed, only one video is teaching without using textbooks. Looking at the number of views, since the number of views without using the textbook is the lowest, it can be seen that learning using the textbook is an important factor in learners' video selection. According to duration, videos between 25 and 35 minutes were the most popular. In order to identify which parts should be given more emphasis and which parts need to be supplemented when producing Korean education videos in the future, the external composition of Korean education videos is analy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presence of teachers, textbooks, subtitles, playback time, colors, illustrations, and movements. In Chapter 3,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video can be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composition. Although the composition method is different for each video, the approximate content composition direction was composed in the order of ‘introduction-development-finish’. By presenting grammar and vocabulary, and whether or not they are explained, it is possible to know how grammar and vocabulary are explained in different content configurations of each video. Except for No. 8 <Korean Course 5>, all other videos expressed the meaning of grammar in Chine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effective Chinese language assistance is need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bilibili videos and on-site training can be seen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ime for practice and copying. Because it is an online class,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practice and follow through in two parts, but it is relatively simple to proceed with these two parts in an actual cl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composition, the accuracy and systematicity of educational contents can be improved when produc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s in the future. In Chapter 4, based on the survey results, you can find out the format and type of video that users want. According to the survey, as for the ty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s currently preferred, 19.69%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videos learning Korean culture, followed by TOPIK 18.57%, textbooks 17.45%, listening practice 16.78%, and travel videos 16.11%. However, 19.91%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s of hop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travel-related videos, followed by Korean culture 17.45%, listening practice 17.23%, TOPIK 17%, and textbooks 15.44%. In addition, by referring to the survey, higher quality educational videos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rest and learning purpose. Videos on apps like bilibili are constantly being updated. As various contents are currently being updated, the study of this thesis has limitations. However, I think tha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re are almost no studies analyzing the contents of bilibili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esis, it is hoped that more suitable and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 contents can be produced for Chinese learners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빌리빌리(bilibili)에서의 한국어교육 동영상의 콘텐츠 특징, 장단점 등을 분석하여, 사람들이 앞으로 더 좋고 다양한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빌리빌리(bilibili) 앱에는 영어, 일본어, 한국어 등 다양한 외국어 교육 동영상이 있다. 지금 또 많은 중국인이 빌리빌리(bilibili)에서 한국어교육 채널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어서 이 연구는 빌리빌리(bilibili)에 있는 9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동영상을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필요성, 연구의 방법과 대상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빌리빌리(bilibili)에서 한국어로 가르치는 내용을 분석한다. 제2장에서는 동영상의 외적 구성의 분석을 통해 사람들이 어떤 동영상에 관심을 가지는지 알 수 있다. 분석한 9개의 한국어교육 동영상 중에서 단 하나의 동영상만이 교재를 사용하지 않고 수업을 하고 있다. 조회수를 보면 교재를 사용하지 않은 조회수가 가장 낮으니까 교재를 사용하여 학습했는지가 학습자들의 동영상 선택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재생 시간에 따르면 25분에서 35분 사이의 동영상이 가장 인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한국어교육 동영상을 제작할 때 어느 부분에 더 중점을 둬야 하는지,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도 파악하기 위해 각 동영상의 교사 등장, 교재, 자막 유무와 재생 시간, 색채, 삽화 및 움직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어교육 동영상의 외적 구성을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내적 구성의 분석에서 각 동영상의 콘텐츠 특징 및 장단점을 알 수 있다. 동영상마다 구성 방식은 다르지만 대략적인 내용 구성 방향은 ‘도입-전개-마무리’ 순서로 구성되었다. 문법, 어휘 제시 및 설명 유무를 제시함으로써 각 동영상의 각기 다른 내용 구성에서 어떻게 문법, 어휘를 설명하는지 알 수 있다. 8번 <한국어과정5>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동영상은 중국어로 문법의 의미를 표현했다.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중국어 보조가 필요하다. 또한 연습과 따라하기 시간 유무를 통해 빌리빌리(bilibili) 동영상과 현장 교육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인터넷 수업이기 때문에 연습과 따라하기 시간 이 두 부분을 진행할 때 비교적 어렵지만 실제 수업에서 이 두 부분을 진행하면 비교적 간단하다. 내적 구성의 분석에 따라서 향후 한국어교육 동영상을 제작할 때 교육 콘텐츠의 정확성과 체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4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의 형식과 종류를 알 수 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좋아하는 한국어교육 영상 유형은 비율이 가장 높은 19.69% 한국 문화를 학습하는 영상을 나타냈으며 TOPIK 18.57%, 교재 17.45%, 듣기 연습 16.78%, 여행 16.11% 영상 순으로 그 뒤를 나타냈다. 하지만 앞으로 희망의 한국어교육 영상은 비율이 가장 높은 19.91%의 여행 관련 영상을 나타냈으며 한국어문화 17.45%, 듣기 연습 17.23%, TOPIK 17%, 교재 15.44% 영상 순으로 그 뒤를 나타냈다. 또한 설문조사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학습 목적에 따라서 더욱 양질의 교육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빌리빌리(bilibili) 같은 앱의 동영상은 지속해 업데이트하고 있다. 현재도 다양한 내용을 업데이트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의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 빌리빌리(bilibili)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기 다는 것에 연구는 의의가 있고 생각한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앞으로 중국 학습자에게 더 적합하고 전문적인 한국어교육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존명사 구문표현 단계화 연구

        위안샤오쉐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7439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의존명사 구문표현을 연구 대상으로 이들을 교육 단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문(構文)’의 ‘구(構)’는 ‘짜여지다’, ‘문(文)’은 ‘문장’을 의미하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문(構文)’을 ‘글의 짜임새’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에서의 ‘구문표현(Structural Expression)’은 흔히 말하는 ‘덩어리 형태’의 하위 범주에 속하며, 둘 이상의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결합되어 새로운 문법 기능을 생산하는 문법 범주를 가리킨다. 한국어 문법 교육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특히 언어 환경이 제한되어 있는 학습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14:586)에 따르면 한국어 문법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규칙과 질서를 가지고 한국어를 이해하고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하며, 2000년대 중반부터 형태 중심에서 벗어나 의사소통 기능을 중시하여 기능 중심 문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한국어교육 학자들은 전통적인 국어 문법 범주를 벗어나 교육적인 효과를 고려하는 새로운 문법 범주를 마련하기 시작하였는데, 그중 하나로 ‘구문표현’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의존명사 구문표현’은 구성요소 중에 의존명사를 포함한 구문표현을 말한다. 효율적 의사소통 능력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는 화자의 의도를 표현하고 특정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하는 구 단위의 문법 항목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강현화, 2007:63). 의존명사는 중국어에 없는 문법 범주로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구문표현은 한국어에 대한 언어적 직관이 없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학습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문법 항목이다. 또한 의존명사 구문표현을 통해서 제한적인 공기 관계를 학습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쓰기, 읽기, 듣기, 말하기 능력을 모두 배양할 수 있다. 구문표현은 한국인의 언어적 직관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어 화자들의 보편적인 언어 사용 방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선행 연구에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구문표현 등급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의존명사 구문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등급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의존명사 구문표현 목록을 선정하기 위해 한국어 교재,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및 한국어능력시험에 출제된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제시된 구문표현의 분포 및 중복도를 분석하겠다. 다음으로 의존명사 구문표현 목록을 구축하고, 사용 빈도, 문법 난이도, 학습자 인지도 및 한국어 교사 평정 결과를 토대로 합리적인 단계화 방안을 제시하겠다.

      • 확장형 읽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 설계 연구 : 신문 기사문을 통한 문화 지식의 확장을 중심으로

        조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7439

        본 연구는 중국 내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확장형 읽기를 통해 문화 지식의 확장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 3학년 학습자들은 한국 읽기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 및 읽기 교재의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현재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신문 기사문을 통한 문화 지식을 확장시키는 확장형 읽기 교육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확장형 읽기와 문화 지식의 확장에 조금이라도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라고 향후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확장형 읽기를 활용하는 읽기 수업이나 읽기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本研究是以中國國內4年制大學韓國語專業3年級的學習者爲對象,通過擴張型閱讀來擴大文化知識的研究。 中國國內大學韓國語系3年級學習者們以對韓國閱讀課的要求調查及閱讀教材的分析結果爲基礎,設計了目前中國國內大學韓國語系學習者們通過新聞稿擴張文化知識的擴張型閱讀教育模式。希望本研究能成爲對擴張型閱讀和文化知識的擴張有用的基礎資料,期待今後在中國國內大學韓國語系利用擴張型閱讀的閱讀課程或閱讀短期項目開發方面有所幫助。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전문 용어 표준화 방안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영역을 중심으로

        이수빈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74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rminology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propose a standardization method, based on the first to eighth Test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TKFL). As the purpose of TKFL test is foster professional teachers of Korean language, validity must be secured in test items, assignment of scores in different areas, terminology, and consistency in evaluation criteria, as well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However, as of 2014 until which the test has been conducted total nine times, there are a few issues to point out. Especially, many problems were found in relation to terminology, and, when the terms used in a test are not consistent, it decreases the validity of questions and increases burden on the examinee. Also it can lead to questioning compete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were certified by this test. Therefore, critical review and study on improvement of TKFL test can improve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provide bette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illustrate and improve issues related to TKFL test, first of all, this study proposed consistent writing system of terminology. To do so, terminology was entered manually, and total 1,435 terms were collected from the primary data of 3,767 words. And then, distribution of terminology by session, subject, and type; frequency of the same terms; and appearance of punctu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blems of terminolo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ive: writing of the same concept, writing of the same level, writing of the original language information, writing of the punctuation marks, and word spacing. However, the study was inadequate in terms of collective expertise because it was conducted by an individual, and there was a large error range because extraction, entry, and analysis of terminology was performed manually.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one to deal with terminology in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relevant considering the current trend of active research on terminolog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 research on the relevant field, based on the issues and direction raised by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reduce burden of examinees and stud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mprove proficiency and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연구

        이진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37439

        This study purpos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rough providing substantial re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current reeducation was reviewed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reeducation programs for th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raining for the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required qualiti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and suggested tha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education ne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Chapter III analyzed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provided currently by seven relevant governmental institutions. From the analysis was found the problem that most of the programs were theoretical or too easy to play the function and role of reeducation. For more specific results, this study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re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ntents of reeducation wanted by in‐service teachers were case presentation applicable in actual classes, contents related to the learners, effective teaching methods apt for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rom each country, and discussion on teaching methods and inform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or specialists in the field. Chapter IV proposed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t colleges and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in Chapter II and III. Details of knowledge necessary for re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n highly needed items were chosen among them through a Delphi survey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ddition, subjects were chosen using the items as keyword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were extracted through having Korean language teachers choose contents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al stage. Furthermore, education methods fit for the contents were suggested together. In this way, this study proposed programs suitable for the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of teachers’ development. This study confirmed each institution’s effort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enthusiasm for teacher reeducation. Based on this finding, moreover, substantial re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that reflected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s. These program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consequently, to upgrad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posed reeducation programs were not tested in the fiel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ntroduce coaching programs using 1st‐class Korean language teachers, to promote integrated and linked operation with other language teaching areas, and to establish support systems for autonomous reeducation programs. 이 연구는 한국어교원에게 실질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질적인 성장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원 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현재의 재교육을 점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 교육 방법과 운영 방안에 대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교원의 발달 단계에 따른 특징과 갖추어야 할 자질들에 살피고 이에 따라 재교육의 내용과 방식이 달라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7개 정부 유관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교원의 재교육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이론 중심이거나 평이하여 재교육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결과를 얻기 위해 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교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현직 교원들이 원하는 재교육 내용은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발표, 학습자 관련 교육 내용, 국가별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법, 동료 교원이나 현직 교원들의 교육 방법 및 정보, 현직 전문가와의 토의’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4장에서는 2장의 이론과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및 한국어교육기관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재교육에 필요한 세부 지식들을 선정하고 현직 한국어교원들에게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해서 필요도가 높은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그 항목들을 중심어로 세부 교과목을 선정하고 한국어교원들에게 교사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선택하게 하여 각 교사의 단계에 필요한 교육 내용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교육 내용에 적합한 교육 방법 또한 함께 제시하여 교사 초기, 중기, 후기 단계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해 각 기관들의 노력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재교육의 의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직 한국어교원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교원의 질을 향상시켜 한국어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이바지 할 것이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제시한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해 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해 한국어교원 승급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1급 한국어교원을 활용한 코칭 프로그램 도입, 타 외국어 교육 분야와의 통합 및 연계 운영 방법 모색하고, 자율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지원 제도와 같은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변인에 따른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서유람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7423

        Abstract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eme according to variable Yooram Seo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Korean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Graduate School, Daej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eme according to variable. Learner variables intended to be examined in this paper include learner for academic purpose, foreign worker and migrant woman. Focusing on these learner variables, curriculum and classroom setting according to learner and textbook used according to learner is analyzed. An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eme is suggested. In chapter 1, the purpose of study, the method and substance of study and precedent studies were reviewed. When precedent studies were examined, most of them focused on only one learner variable, not considering many learner variables. In this paper, it was decided that participants wer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foreign workers and migrant women in order to suggest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er variable and a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em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In chapter 2, the present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xamined after being divided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depending on curriculum and classroom setting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foreign workers and migrant women were surveyed in order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total of 10 items. And the questionnaire is about age, nationality, level of Korean, level of education in their native country, length of stay in Korea, period of learning Korean language, hours of Korean language study per week, purpose of learning Korean, whether to tak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Korean language skills that they want to learn. In order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depending on curriculum and classroom setting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 this study made a survey of curriculum and classroom setting of organization for migrant women, foreign workers and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With regard to curriculum, this study made a survey of the structure of 1 school year, the number of classes per week, class duration, the structure of levels according to class and textbook used. And with regard to classroom setting, this study made a survey of the level, number, nationality and age of students in classroom. In chapter 3, a textbook used by organization for migrant women, foreign workers and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was analyzed after being divided into the structure of units, situation in text according to unit and vocabulary. It was decided that a textbook to be analyzed was intermediate-level one. The reason is that a beginner-level textbook doesn't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er variable in comparison with intermediate-level textbook because the beginner-level textbook is composed, centering on basic things necessary in everyday life. Chapter 4 suggest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eme for migrant women, foreign workers and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nd on the basis of this, a lesson plan for 1 class was presented. This study presented one lesson plan on the units of the same textbook and the other lesson plan on the units of different textbooks. <Sogang Korean> was used with regard to common textbook. And this study used <Hanyang Korean> in case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EPS-TOPIK Standard Textbook> in case of foreign workers and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case of immigrant women with regard to different textbooks. In the lesson plan based on the same textbook, it was possible to examine how to differentiate and teach the unit of the same textbook to each learner. In the lesson plan based on different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were distinct according to learner. This paper is different from pervious ones in that it examin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 in consideration of many learner variables. Besides,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n education scheme suitable for each learner and in that it presents a specific lesson plan. It is to be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helpful as baseline data for people who make a study on education scheme according to variable in the future. 변인에 따른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서 유 람 국어국문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대진대학교 대학원 이 논문의 목적은 변인에 따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학습자 변인은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이주여성이다. 이러한 학습자 변인에 중점을 두어, 학습자별 교육 과정 및 교실 환경, 학습자별 사용 교재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별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내용,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여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학습자 변인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각 학습자 변인의 특성과 그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학습자 변인별 교육현황과 학습자 변인별 교육과정 및 교실 환경에 따른 교육현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 변인에 따른 교육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10개 항목이며, 설문 내용은 나이, 국적, 한국어 수준, 본국에서의 교육 수준, 한국 체류 기간, 한국어 학습 기간, 주당 한국어 공부 시간, 한국어 학습 목적, 한국어 능력시험 응시 여부, 배우고 싶은 언어활동 영역에 관한 것이다. 학습자 변인별 교육과정 및 교실 환경에 따른 교육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이주여성 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실 환경을 조사하였다. 교육과정은 1년 학기 구성, 주당 수업 횟수, 수업 시간, 반별 급수 구성, 사용 교재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교실 환경은 교실 학생들의 급수, 인원, 국적, 나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3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이주여성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단원의 구성과 단원별 본문 상황, 어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교재는 중급 교재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초급 교재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급 교재에 비해 각 학습자 변인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회차 수업계획서를 제시하였다. 수업계획서는 동일한 교재의 단원을 내용으로 한 수업계획서와 서로 다른 교재의 단원을 내용으로 한 수업계획서를 제시하였다. 공통 교재는 <서강한국어>를 사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교재는 학문 목적 학습자의 경우 <한양한국어>, 외국인 근로자는 <한국어 표준교재>, 이주여성은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재를 바탕으로 한 수업계획서는 각각의 학습자에게 같은 교재의 단원을 어떻게 차별화하여 가르칠 것인지 살펴볼 수 있었다. 한편 서로 다른 교재를 바탕으로 한 수업계획서는 학습자별 교육 내용과 방법의 특성이 돋보였다. 이 논문은 여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해 학습자 변인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논문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각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방안을 제언하고 구체적인 수업계획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 논문이 향후 변인에 따른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길 바란다.

      • 결혼이주여성 대상 한국어 방문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윤영숙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7423

        In the early 2000's, A booming of the rural man's inter-marriage is caused a sudden rising of immigrant inter-racial marriage woman incoming but the ratio of increasing in these days has been released. However, the entry of that inter-married woman into korea is still maintains. The communication is a basic factor on the aspect of social, communication inner family as well as education for the children. So a communication problem of inter-married woman who should be lived in Korea for a long time can be caused the cultural, social conflicts. and in a view of mine, the fluent communication is the best solution for that.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communication for this inter-married woman has risen. The 1st step of main study conducted between March and July, 2009 for the visiting education is extremely emphasized. Analyzing the problem and researching for the resolutions are based on the 3-different aspects - Needs of learners, needs of tutors, Needs of textbooks and so on. In accordance with this analysis, To understand and studying on each subjects in details and present numerous proposals to recover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mmon recognition of problems and proposals for the 3-aspects are based on the study of method which based on real practice and experience as a korean language tutor for about 4 years. So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or the inter-married woma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first place as live action korean study for society and family they involved instead of purposes for study or recruitment. However, there are lots of restrictions becaus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house. This research presents couple of formations for tuitions, real task-basis to conduct that tasks within a specified duration via visiting educations for the inter-married woman. And I forecasts it can be a basis to gain a confidence helping inter-married woman to decrease the conflict of communication and increase the children's education quality. In accordance with prerequisite, I'm make a choice the method of study to get alternative solutions of a efficiency of visiting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as below, 1) Understanding errors and environment for tuitions. 2) Researching the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imit of textbooks and needs of tasks. 3) Showing analysis needs of learner and tutor, formation of tuitions based on tasks trough investigation of textbooks. There is a goal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get self-attainment with stabilized korean living for the intermarried woman as research a wa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Ⅰ, I presents dealing with a goal and pre-determined study, in chapter Ⅱ, I present research a specific environment of theory, in chapter Ⅲ, I present analysis needs of learner and tutor and textbooks. in chapter Ⅳ, I presents formation of tuitions which based on real-task basis. Key words : immigrant interracial marriage woman, visiting education, formation of study task based 2000년대 초에 일기 시작한 농촌 총각의 국제결혼 열풍은 결혼이주여성의 급증으로 이어졌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증가 추세가 완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결혼이주여성의 입국은 지속되고 있다. 의사소통은 가정 내의 대화 및 자녀 교육은 물론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필수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문제점은 장기간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야 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사회적 갈등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최소한의 해결책은 원활한 언어적 의사소통 이라고 본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7월까지 시행된 1단계 방문교육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문제점 분석과 대책 마련은 학습자 요구분석, 교사의 요구분석, 교재 분석 등의 세 가지 측면을 토대로 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실체를 파악하고 면밀히 검토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의 세 가지 변인에 대한 공통적 문제 인식과 그 해결 대안 제시는 학습 현장에서의 실제 연습을 전제한 방법론으로, 본 연구자의 4년여에 걸친 결혼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사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 결혼이주여성에게 필요한 한국어교육은 학문 목적, 취업 목적 등의 한국어 교육보다는 일상생활, 즉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생활 한국어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이 주로 가정에서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나 기관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현장(통합교육)에서의 학습은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주어진 학습 기간 내에 방문교육을 통해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하고자, 실제적 과제 중심의 한국어 수업 구성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어 의사소통의 문제로 발생되는 갈등을 감소시키고 자녀 교육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러한 전제로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한국어 방문교육의 효율성대안 마련을 위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1) 결혼이주여성의 학습 환경 및 실태를 알아보고 2) 한국어교육의 이론, 교재의 한계, 과제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3)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 분석, 교재의 분석을 통한 과제 중심 수업 구성안을 제시하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교육 방향을 탐색해 봄으로써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여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성취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전개는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선행연구 검토를 다루었으며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 분석, 교재 및 교육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4장에서는 실제적 과제 중심 수업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 프라트 분석을 통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 오류 연구 : 일부 동형동의 한자어 발음을 대상으로

        김윤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7423

        It can be said that the starting point of all languages is pronunciation. So, cultivating the habit of accurate pronunciation is a prerequisite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 habit is important in learning languages. In acquiring the native language, one follows the process of hearing the sound and then speaking soon after one was born. The question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whether one can accurately recognize and pronounce the foreign language sound whose phoneme is different from, or similar to, the native language.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dult learners, cannot be denied in learning the pronunciation which is the first step in learning a language. The negative transition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is expected and just a little attention is paid to the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tage but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stages, language education focuses mainly on fluency rather than pronunciation. When we observe the training of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we find that, if students pronounce approximately by the method of imitation, then teachers roughly pass through for about a few weeks at most and enter the stage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texts. 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phoneme is reduced and at the stage of learning words and sentences, the pronunciation becomes a mess. So, it is an important matter that we cannot afford to neglect to pronounce accurately through sufficient training of pronunciation. For the learners tak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 in which more and more Chinese characters are involved, it is difficult to emphasize all phonemes similar to many Chinese characters.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language belong to different systems but are included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s cultural area, so the two languages have the common points in that both languages partly or entirely use Chinese characters in composing their respective words. In the case of pronunciation, there is the possibility of negative transition and pronunciation errors being fossilized and there is no guarantee of the pronunciation getting better during the learning period, so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languages cannot be too emphasized. It is true that foreign language education nowadays emphasizes fluency rather than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But, for the learners who regard accurate pronunciation as their goal of pronunciation learning, the program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are urgently needed. Also, when accurate pronunciation has been taught to the learners who study foreign languages for the first time, it will have lots of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who will learn foreign languages afterwards. If erroneous articulation point is used first and this misuse is thought permissible and fossilized, then the learners will miss the opportunity to learn correct pronunciation. Fluency in pronunciation is important but after the opportunity to learn accurate pronunciation is provided, it is desirable that the learners should decide which should be more emphasized, fluency or accuracy, according to the learners’ preference.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most of the methods of teaching pronunciation are to have the learners repeat after the teacher’s mouth shape. But it is not easy to find accurate articulation points and pronounce correctly by just imitating the mouth shape. It is also not easy to correct the learner’s inaccurate but similar pronunciation since the learner’s position of the tongue in the mouth is not visible.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ypes of erroneous pronunciations of the Chinese learners by using the same shape synonym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textbooks. Also it attempts to enable the Chinese learners in pronunciation education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through using some of the same shape synonyms. This study examined the negative influence of vowels brought about by some of the same shape synonyms of the same quality of sound when the Chinese learners lear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listed practical examples of some of the same shape synonyms related to language transition among the matters about which the Chinese learners should be careful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examined the errors that most of the Chinese learners are apt to make by clarifying the interfering phenomenon of the vowels of the native language through using the sound analysis program Praat.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I introduction examined major researches on pronunciation education to find out how the pronunciation errors made by the Chinese learners were dealt with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lso how those errors have been corrected was examined and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is study are presented. Chapter II examines the language transition and the phonological system and researches on experimental phonetics of vowel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which the experiments are based, and thus secured the basis of the methods of experiment. Chapter III examines the consonants phonemic system of both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language was basically examined in order to extract Chinese characters on which this study has made experiments, and the textbooks to extract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same sound quality and what words analyze were chosen are presented. In Chapter Ⅳ, analyzes the results of phonetic experiments and presents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phonetic experiments. Also,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errors made by the learners in the sa 모든 언어의 시발점은 발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발음 교육은 외국어 학습의 선결과제라고 할 수 있다. 언어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모국어의 습득을 보면 출생 후 소리를 듣고 말하게 되는데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문제는 모국어와 음운이 다른 혹은 비슷한 외국어 소리를 정확히 인지하고 발음할 수 있느냐하는 것이다. 언어를 배움에 있어서 첫걸음인 발음의 학습에 있어서 특히 성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모국어의 간섭이 크다. 특히 한자 문화권에 있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은 발음에 부정적 전이가 예상되지만 발음 교육은 초급에서 다소 이루어지다가 중급과 고급이 되어서는 발음의 정확성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유창성을 위주로 교육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은 모방의 방법으로 모국어 화자와 비슷하게 발음하면 대충 넘어가거나 한두 주일 후 급히 글로 들어가기 때문에 음운부터 정확도가 낮아 단어, 구, 문장에 들어가면 갈수록 발음의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발음 교육을 충분히 하여 발음을 정확히 하는 것은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특히 한자어가 많아지는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의 학습 상황에 있어서는 많은 한자어와 비슷한 음운을 모두 강조해주기는 어렵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계열의 언어이지만 동일한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기에 어휘의 구성에 있어 각기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한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다. 발음의 경우에 부정적 전이와 잘못된 발음의 오류들은 화석화될 가능성이 있고 학습기간에 비례하여 발음이 좋아진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초기 언어 학습에서의 발음 교육의 중요성은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요즘의 외국어 교육은 발음의 정확성 보다는 유창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정확한 발음을 자신의 발음 학습의 목표로 삼고 있는 학습자라면 그 학습자들을 위해서 발음의 정확성을 위한 프로그램도 꼭 필요하다. 또한 처음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발음을 교육해 놓으면 이후의 학습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작용할 것 이다. 하지만 처음에 잘못된 조음점을 사용하게 되고 그것이 크게 상관없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화석화된다면 학습자가 올바른 발음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발음의 유창성도 중요하지만 정확한 발음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은 한국어 학습의 탄탄한 초석을 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대부분의 발음 교육 방법은 교사의 입모양을 보고 따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입모양만 보고 정확한 조음점을 찾아내고 발음하기는 여간 쉽지가 않다. 또한 모국어 화자의 발음과 정확히 같지 않아도 유사하게 발음하는 학습자의 경우에는 입 안의 혀의 위치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교정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초급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일부 동형동의어를 이용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일부 동형동의어를 이용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발음교육에 있어서 중국어와 한국어의 발음의 차이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소리 자질이 같은 일부 동형동의어가 초래하는 모음의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에 있어 주의할 사항 중, 언어 전이에 관련된 일부 동형동의어들의 구체적 예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목록화하였고 음성 분석 프로그램 Praat를 사용하여 다수의 중국인 학습자가 범하기 쉬운 오류들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 서론에서는 발음 교육에 대한 주요 연구들을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이 앞선 연구들에서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폈다. 또한 그 오류들에 대한 수정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II장에서는 언어 전이와 음운체, 그리고 모음의 실험 음성학 연구를 살펴 실험에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실험 방법의 토대를 확보하였다. III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실험 대상이 되는 한자어를 추출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 음소체계를 살펴보고 양언어의 소리 자질이 같은 한자어를 추출해 내기 위한 교재와 선택된 분석 대상 어휘, 그리고 실험 환경에 대해 제시하였다. Ⅳ장, 음성실험 결과 분석에서는 본고에서 이루어진 실험내용과 음성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그 분석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일부 동형동의 한자어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를 살펴보았다. V장에서는 Ⅳ장의 제시한 그 오류 양상에 따라 실제 발음 교육을 할 때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모음을 발음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는 교정 방안을 모색하였다. Ⅵ장에서는 결론으로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하고 요약하였다. 실험 분석된 그 근거에 따라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발음 교육 시에 오류가

      •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 분석 :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문법 영역의 어휘를 중심으로

        성보금 대진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7423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level published in this country contain sufficient contents to pass the beginning levels(1st & 2nd levels) of TOPIK. After conducting the survey, we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learners, and based on this, investigated the vocabulari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level and TOPIK. As a result of the survey, 33.8% of the learners responded 'relatively yes' to the question about whether or not it was necessary to learn vocabularies for TOPIK, and 75% of them answered that they were learning vocabularies separately.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learn vocabularies in that they are studying them more than 1 hour and less than 2 hours a day and though they say that they are understanding most of the vocabularies presented in textbooks, there are many respondents who say that it is necessary to learn vocabularies, so it has been conceivable that the unity between TOPIK and textbooks was not considered. In chapter Ⅱ we examined the number of the vocabularies and the evaluation standards of TOPIK as analyses of TOPIK questions and vocabularies and classified them into 7 types. In addition, the vocabularies in the examination were total 78 in N type, verbs are total 88 out of V type, adjectives were 35, Adv type-43, and postpositional particles were total 21. Vocabularies of the antonym relation and vocabularies of the synonym relation are total 18 questions by 3 questions respectively and 2 vocabularies by one questions are taken in the examination so total 72 vocabularies were taken in the exam. These vocabularies became those to be compared in chapter Ⅲ. In chapter Ⅲ we examined the vocabulari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level and analyzed the vocabularies of them through comparison with TOPIK. Examining N type, the textbooks that vocabularies of the 1st & 2nd levels of TOPIK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level corresponded to each other most were 64 out of 78 as <Ewha>, <Konkuk>, and <Kyunghee> textbooks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41 as <Yonsei> textbook. In the case of the verb out of V type, the textbook that corresponded most was 76 out of 88 as <Konkook> textbook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26 as <Kukrip> textbook. In the case of adjectives, the textbook that corresponded most was 34 out of 35 as <Konkook> textbook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10 as <Yonsei> textbook. In the case of Adv type, the textbook that corresponded most was 34 out of 43 as <Kyunghee> textbook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6 as <Kukrip> textbook. In the case of postpositional particle, the textbook that corresponded most was 19 out of 20 as <Hanyang> textbook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10 as <Kukrip> textbook. In the case of vocabularies of the antonym relation, they were 15 pairs of total 16 pairs and <Hanyang> and <Kyunghee> corresponded most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4 pairs as <Yonsei> textbook. In the case of the vocabularies of the synonym relation, they were 11 pairs out of total 17 pairs and <Kyunghee> corresponded most and the textbook that lest corresponded was 1 pair as <Kukrip> textbook. Until now, the vocabulari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elementary level and vocabulary & grammar areas of TOPIK 1․2 levels were analyzed classifying into parts of speech and relation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vocabulary analysis by parts of speech, there were words that do not appear even in one textbook out of 10 sorts, and there are many vocabularies presented less than 5 kinds as well. In the vocabulary analysis by relations, it was found that in the textbooks the words were not presented being related with each other although there were many vocabularies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antonym relation or the synonym relation. It is conceivable that it can be thought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unity between textbooks and the evaluation exam was not made and in studying vocabularies learners might feel burdened. Actually, as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ey feel that it is necessary to learn vocabularies, it is conceivable that diversity and rel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standards of selecting vocabularies and their quantity so that more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can b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출간된 초급 한국어 교재가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급(1,2급)을 통과하는 데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표준교육과정이 정해져 있지 않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이 교육의 방향이나 교재 편찬에 기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한국어능력시험 초급에서 제시되는 어휘와 초급 한국어교재의 어휘를 비교하여 교재들의 어휘 학습이 한국어능력시험이 제시하는 초급 수준에 적정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휘의 비교 분석 전에 설문조사를 실시 후 학습자의 실태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능력시험과 초급 한국어 교재의 어휘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의 33.8%가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어휘 학습이 필요한가에 대해서 ‘비교적 그렇다’가로 응답하였고, 75%가 어휘 학습을 따로 하고 있다고 하였다. 하루에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으로 어휘 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어휘 학습의 필요성을 알 수 있으며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대부분 이해하고 있다고 하나 어휘 학습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많아는 것을 보아 한국어능력시험과 교재와의 합일이 고려되지 않았음을 생각할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분석 및 어휘 분석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기준 및 어휘수를 살펴보고 어떠한 유형의 문항이 출제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1․2급의 문제 유형을 기본 어휘 파악하기, 반의어/반의 관계 파악하기, 유의어/유의 관계파악하기, 의문사 파악하기, 연결어미 파악하기, 어미활용 파악하기, 주요 문법 표현 파악하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출제된 어휘는 N류 총 78개, V류 중 동사 총 88개, 형용사 35개, Adv류 43개, 조사 총 21개이다. 이 어휘는 Ⅲ장에서 비교 대상의 어휘가 되었다. 반의 관계 어휘와 유의 관계 어휘는 각각 3문제씩 총 18문제이고 한 문제당 어휘가 2개씩 제시되므로 총 72개의 어휘가 출제되었다. Ⅲ장에서는 초급 한국어 교재의 어휘를 살펴보고 한국어능력시험과의 비교를 통해서 초급 한국어 교재의 어휘를 분석해 보았다. N류를 살펴보면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가 가장 많이 일치하는 교재는 78개 중 64개로 <이화>, <건국>, <경희> 교재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41개로 <연세> 교재였다. V류 중 동사의 경우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가 가장 많이 일치하는 교재는 88개 중 76개로 <건국> 교재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26개로 <국립> 교재였다. 형용사의 경우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가 가장 많이 일치하는 교재는 35개 중 34개로 <건국> 교재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10개로 <연세> 교재였다. Adv류의 경우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가 가장 많이 일치하는 교재는 43개 중 34개로 <경희> 교재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6개로 <국립> 교재였다. 조사의 경우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가 가장 많이 일치하는 교재는 20개 중 19개로 <한양> 교재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10개로 <국립> 교재였다. 반의 관계 어휘의 경우 총 16쌍 중에서 15쌍으로 <한양>, <경희>가 가장 많이 일치하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4쌍으로 <연세> 교재였다. 유의 관계 어휘의 경우 총 17쌍 중에서 11쌍으로 <경희>가 가장 많이 일치하였고 가장 적게 일치하는 교재는 1쌍으로 <국립> 교재였다. 지금까지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1․2급 어휘․문법 영역의 어휘를 품사별, 관계별로 나누어 어휘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품사별 어휘 분석에서는 10종중에 한 가지 교재에서도 나타나지 않은 어휘가 있었고, 5종 이하에 제시된 어휘도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계별 어휘 분석에서는 반의 관계나 유의 관계로 관련지어 질 수 있는 어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교재에서는 관련지어 제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재와 평가 시험간의 합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점과 어휘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부담감을 줄 수 있는 부분으로 생각된다. 실제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어휘 학습이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만큼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어휘의 양이나 어휘 선정 기준에 있어서 다양성과 관계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