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내 한국어학과 문학 교육과정의 설계와 재구성 연구 : 길림성 소재 대학의 고전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정반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855

        이 글은 중국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어학과 문학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이다. 1972년 연변대학이 처음 한국어과를 설립한 이래 길림성 소재 대학 중 2021년까지 16개 대학이 한국어학과를 개설했다. 길림성 한국어 교육과정 중 문학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 교과목 설정, 교재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길림성 한국어 현행 한국 고전문학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중국 교육부가 제시한 외국어 전문적 인재 양성목표를 보면 한국어학과 인재 양성은 다방면의 조건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지식기능 면에서는 튼튼한 한국어 언어능력과 함께 한국문학·문화 지식, 기타 관련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갖춰야 한다. 능력 면에서는 상상력, 사고력, 창의력, 응용력, 실제 문제해결력 등 종합적인 능력을 요구한다. 소양 함양 면에서는 올바른 세계관, 인생관과 가치관, 강한 사회 책임감 등을 갖춰야 한다. 현재 길림성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의 교육목표는 중국 교육부가 제시한 인재 양성목표와 일치한다. 다만, 교과과정의 설정을 보면, 여전히 학습자의 언어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 각 대학 개설한 한국문학 교육도 언어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경향을 볼 수 있다. 문학교육이 언어 습득의 활용 도구로서만 활용된다면 문학적 교육 가치는 상실될 수밖에 없다. 한국어 전공자로서 한국문학을 통한 언어와 문화를 배우는 것을 넘어 문학적 능력 향상과 문학적 소양 함양을 길러야 한다. 우수한 문학작품은 역사성, 심미성, 예술성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랜 시간 축적되어 온 한국 고전문학은 장르와 주제가 다양하고, 도덕 윤리, 종교신앙, 민족전통 등을 다룬 문학 내용이 많다. 학습자는 고전문학 내용을 통해 판단력, 사고력, 창의력 등 문학적 능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올바른 가치 취향, 강한 사회 책임감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중국 교육부가 요구하는 높은 소양, 종합적 능력이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국 문학교육의 문학적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행 한국문학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길림성 대학 한국어학과 2020∼2021학년도에 실시한 한국 문학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해 관련된 재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문학교육과정의 재구성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다. 우선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 문학교육목표를 개선해야 한다. 교육 방향을 정하고 교육목표를 세분화해야 한다. 명확한 교육목표는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전제이다. 세분화된 교육목표는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한국 고전문학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르치거나 배우는지를 알게 할 것이다. 그 다음 학습자가 한국문학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한국문학 과목 개설 수와 교육 시수 설정의 합리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 과목 개설 시기, 문학 과목 유형 설정의 타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문학 교재 구성의 적절성을 고려하고 교재 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 수록된 작품 제재와 교재 내부 구성내용이 학습자들의 문학적 능력을 높이고 문학적 소양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수업참여를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해야 한다. 학습자를 수업의 주도자로 만들어 한국 고전 문학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학습자가 한국 고전문학을 배울 수 있는 능동성을 확보함으로써 한국 고전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길림성 대학 현행된 한국문학 교육과정을 검토했고, 이를 토대로 재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학습자를 통해 교육현장을 파악한 후 구체적인 상황을 분석한 것은 어느 정도에 연구의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교육과정의 실제적 문제를 교수자의 입장에서 살펴볼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더욱 보완할 필요가 있다.

      •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9823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

        김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use of the actual problems experienced by humanities learners in the social field is the absence of legal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a method of spreading creations through various media. As a result, Schools that have incorporated practical studies into their major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ve increased. The humanities must combine protective measures for self-sustaining growth. In this study, to protect the humanities themselves and thereby be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field, we will speak with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legal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Chapter II reviewed law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is is to check whether certain laws and regulations can affect humanities learning and utilization. The Constitu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r law, reviewed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confirmed laws that stipulate them in detail. The scope of research was narrowed by defi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opyright law and presenting sub-laws and grounds. Subsequently, whether there are cases requiring legal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sted by case. By examining cases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unfair practices in society in general, and whether AI'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future problem, the problem wa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cial expression consciousness and new issu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inally, to confirm the case on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cases are ‘The Cloud Bread Case’ and ‘IMWONGYEONGJEJIl Judgment’, which is a case in which fairy tale writer Baek Hee-na was not recognized for secondary copyright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publishers. Not only the rights of creators but also the rights of publishers were treated as an issue, raising awareness for both sides. The ‘IMWONGYEONGJEJI Judgment’ did not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that was recently commissioned and marked IMWONGYEONGJEJI, which confirmed the court's awareness of the classical data. In addition, the evidence was reinforced through actual lecture case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unseling also continued to increase, emphasizing its necessity. Chapter III examined whether leg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At this time, each departm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produce creations using specific media'.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of each law subject was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and Literature at Columbia University abroad.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 of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 Korea is similar, it is expected that the scope of learning will b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literature and law in Korea.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Media at Kyung Hee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Arts Management at Hongik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Cont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e opening of law-related subjects. Along with the above curriculum, we reviewed how the law school teaches copyright law and how other humanities departments educate legal systems. Based on this, Chapter IV proposed legal education as a single subject and a convergence subject. The single subject allowed them to understand copyright law in depth and access various cases, and the convergence subject allowed them to be familiar with copyright laws that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rough actual copyright registration and mock trial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horizon of humanities, includ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humanities took the lead in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several problem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In order for authors to be more active than before, they judged that they needed a means to accurately identify their rights to work and protect their creation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intended to prevent unfair demands in advanc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criteria for rights. This study aims to take the first step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uch legal education is absent and insisting on the necessity.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는 인문학 학습자들이 사회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의 원인을 법제 교육의 부재로 보고 인문학 계열, 특히, 국어국문학에서의 법제 교육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거 국어국문학과에서 순수 문학과 어학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물을 확산시키는 방식도 함께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내에 실용 학문을 전공 선택 과목으로 편입시키는 학교가 늘었다. 문화콘텐츠학과 디지털 인문학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학은 자생을 위해 보호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문학 스스로를 보호하고, 그로써 산업 현장의 선두에까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첫걸음을 국어국문학의 범위에서 말하고자 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법령 지식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인문학과 관련된 법령을 검토했다. 특정 법령이 인문학 학습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상위법에 해당하는 헌법에서 학문의 자유 및 언론·출판의 자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하고 있는 법률을 확인했다. 법률 중에서 인문학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저작권법을 살핌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저작권법임을 상세하게 서술했다. 그리고 저작권법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지식재산권을 정의하고 하위 법률 및 근거 조항을 제시하여 연구 범위를 좁혔다. 이어서 해당 연구 범위 내 법령 지식 필요 사례가 있는지 사회적 분위기에 비추어 판례별로 열거했다. 크게 나누어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사례와 사회 일반의 불공정 관행, 미래 문제로 AI의 저작권 인정 여부를 살핌으로써 사회적인 표현 의식,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과 함께 개인의 저작권 의식의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를 인식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인 국어국문학에 한정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가장 핵심적인 케이스로 ‘구름빵 사건’과 ‘임원경제지 판결’이 있다, ‘구름빵 사건’은 동화 작가 백희나가 출판사와의 부당한 계약으로 2차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한 사건이다. 창작자의 권리뿐 아니라 출판사 쪽의 권리에 대해서도 쟁점으로 다루어져, 양쪽 모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원경제지 판결’은 최근 『임원경제지』를 교감·표점한 고전 번역본의 저작권을 인정해 주지 않은 것으로, 법원의 고전 자료에 대한 저작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실제 강의 사례와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근거를 보강했다. 저작권 관련 상담 현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국문학과를 비롯하여 인문·사회 계열에서 법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사례와 국외 사례를 나누어 검토했다. 이때 각 학과는 ‘특정 매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했다. 국내의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국외 컬럼비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각 법 과목 개설이 확인되어 유의미했다. 미국에서의 영어영문학과와 국내의 국어국문학과의 입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 또한 문학과 법을 활용하여 학문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에서도 법과 유관한 과목 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교육이 불필요한 것이 아님을 현장 사례와 국내외 대학의 과목 개설을 통해 확인하고, 인문학의 수요 증가로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증가하며 그 보호 수단으로 법제를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본고에서 보이고자 한다. 기계적으로 법제를 교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의 형태로 장기 프로젝트에 학생 및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저작물이나 연구 성과물을 본인이 스스로 창작하고, 그에 대해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장에 나아가서도 정당하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과 동시에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줄 것이다. 위의 교육 과정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떻게 저작권법을 교육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인문 계열 학부에서 어떻게 법제를 교육하고 있는지를 위와 같이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단독 교과로서의 법제 교육과 융합 교과로써의 법제 교육 방법을 나누어 제안했다. 단독 교과는 보다 깊이 있게 저작권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융합 교과는 실제 저작권 등록과 모의재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국어국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계열의 학문들이 그 학문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문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인문학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생산할 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았다. 이전보다 활발하게 저작자들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작물을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반대로는, 권리의 기준을 알지 못하여 부당한 요구를 하게 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법제 교육이 부재하는 현재 상황의 문제를 지적하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정독(精讀)』에 대한 연구 : 중국 하얼빈 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호금평 덕성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문요약 국어국문학과 호금평 이 논문은 중국 소재 대학교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인 『정독』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어학과 『정독』은 한글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자음과 모음의 정확한 글자 모양과 발음을 익힌 후 기초적인 문법과 실생활에 필요한 언어 표기, 말하기 등을 학습하는 것으로 구성된 수업이다. 제1장에서는 『정독』 과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선행연구 검토,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 하얼빈 지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학과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한국어학과가 개설된 하얼빈 지역의 대학교들의 한국어학과 개설년도, 졸업생 수, 학제, 교사의 수 비교 및 그 특징을 통하여 살펴 본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정독』이 어떤 과목인지 설명하고 현재 중국내 대학교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또한 하얼빈 지역 대학의 한국어학과 『정독』의 교재 현황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 대상은『표준한국어』, 『한국어교정』, 『기초한국어』 3가지 교재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전체적인 구성과 단원별 구성, 교재의 내용을 비교하면서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교재의 내용에 대한 분석은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발음 부분에 대한 분석, 본문 부분의 주제에 대한 분석, 제시한 문법에 대한 분석이다. 제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내 대학교에서의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인 『정독』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과 함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개선 방안 과 교재의 새로운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과 다양한 교육방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 수정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정독』 과목의 교재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재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 종합 과목인 『정독』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독』 과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정독』의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ABSTRACT A study about 『Jeongdok(精讀)』 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Based on universities in Harbin in China- Ho Geum-pyeong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This study is about 『Jeongdok (intensive Reading)』 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China. The course『Jeongdok』of Korean major is the class where exact shape of letter and pronunciation of vocal and consonant and the basic components of Hangeu, are learned and basic grammar, language writing, and speaking necessary in real life are learned. Chapter 1 describes the need and purpose of research on 『Jeongdok』,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research subject and method. Chapter 2 compares opening status f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Harbin, China,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Opening year, number of graduates, school system, and number of teacher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Harbin, China, are compar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Chapter 3 explains about what『Jeongdok』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s and deals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universities in China. Also, the teaching material status of 『Jeongdok』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Harbin. The subject of analysis was 『Standard Korean』, 『Korean Language Proofreading』, and 『Basic Korean』. Their overall format, composition by chapter, and content of textbook were compared and pros and cons of them were analyze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extbook was divided into analysis on pronunciation, theme of text, and presented grammar. And based on above contents, Chapter 4 suggests improvement plan for educational course,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ification plan for textbook of『Jeongdok』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China. In this study,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suggested based on experience of educational field in Korea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 addition, textbook modification plan was suggest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analysis of the『Jeongdok』 cours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china to look into 『Jeongdok』 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and improve overall education course of 『Jeongdok』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 중국 하북성 내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두쥐안 공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고는 중국내 하북성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현행 교육과정에 대해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내용이다. 하북성 한국어전공교육은 2004년 하북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설립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 2007년에 하북경무대학교에 한국어학과를 설립했다. 한국어교육과정에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나 합리적이지 않은 점에 대해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 시대 국가교육부에서 강조하는 외국어전공 인재유형은 언어능력도 우수하고, 목표어 국가의 문화, 문학, 인지지식도 파악하여 기초연구능력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공 관련 직업 지식도 배우고 취업, 창업능력도 갖춰야 하는 복합형 실용형인재이다. 이런 교육목표를 이루려면 언어지식과목을 확립한 후에 한국의 문화, 문학, 사회 등에 관련된 지식이 풍부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직업기능지식과 실천기회도 제공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북성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현행 교육과정을 보면 교육목표와 인재양성계획은 국가교육부에서 배부하는 교육목표와 일치하지만 개설된 교육내용이 언어능력을 양성하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개설되어 다양하지 않다. 특히 선택과목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단일하여 합리성과 타당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수업 교시 수를 적절하게 배치하는 문제도 있다. 국가교육부에서 배부하는 교육목표에 따른 복합형 실용형 인재를 양성하려면 우선 교육내용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설정해야 하고 특히 선택과목은 한국문화와 한국문학, 한국사회, 정치, 역사 풍속 등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하고 학생이 초급연구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리고 전공과 관련된 외교, 법률, 번역, 출판, 교육, 경제, 금융 등 다양한 직업기능지식을 학생 파악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또한 학생에게 직업 실천경험자로 양성하려면 학생에게 직업실천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줘야 한다.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하북성 중심으로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조사하고 북경지역에 있는 대학교의 한국어교육과정, 영어교육과정, 일본어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하북성 대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에게 현행 교육과정내용의 만족도와 교과목의 설정의 합리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목표, 전공내용, 과목설정, 교시 수 배치, 개인발전 등 요구를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북경지역 유명한 대학교의 타 언어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문제점과 학생에게 설문조사하여 나온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하북성 한국어교육과정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연구를 하였다. ※주제어: 한국어교육과정, 교육목표, 교육내용, 개선방안 The paper discusses the reform programm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in Hebei prov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ebei started when Hebei University set up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2004, with Hebei University of Economy and Trade setting up the department in 2007. The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such as unreasonable subject assignment. Based on the mentioned problems, the paper will conduct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in Hebei province. The educational goal that Ministry of Education sets for language talents is multi-skilled and practical, which require them to not only master proficient language capability, but also understand culture, literature and cognition of target language countries, as well as own the ability to do primary research. Besides, they need to master professional knowledge related to their major, and the ability of entrepreneurship. To achieve the goal, it’s not enough to only ensure students’ solid language ability. Universities also need to establish wide and rich cognition subjects related to culture, literature, and society of target language countries like South Korea. Releva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cultivation of students’ practical ability need more attention as well. Although current educational goal of Korean language in Hebei province conforms with that of Ministry of Education of South Korea, the actual educational curriculum mainly focuseson the cultivation of students’ language ability, thus lacking diversification, especially the single major elective courses. Ingener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lacks reasonability and appropriateness. The assignment of class hour also needs to be improv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 of Ministry of Education, the first step is to enrich educational content and diversify Korean language subjects, especially elective courses. Thus students are able to acquire systematic education including South Korean culture, literature, politics, history and custom, and master primary research ability on these aspects. Besides,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professional-skill education for students, such as diplomatic, law, translation, publication, economics, education and finance, as well as ensure students obtain adequate career opportunities. On this basis, this paper conducted a research on the status quo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in Hebei province, and made comparison analyze between that and Korean, English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in famous universities in Beijing, drawing a conclusion about deficiencies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 Hebei province. Furthermore, the paper carried out a questionnaire on students’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courses content and the reasonabilit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object is students majored in Korean language in Hebei province. The author believe that the research result can, to some extent, reflect students’ study intent and purpose. Finally, combining with the analysis of comparison result and questionnaire result, the paper puts forward curriculum reform programm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in Hebei province. Key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content, reform programme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국어국문학 전공 기초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임형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7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paration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often have difficulties when they take core subjects, mainly due to lack of essential knowledge in their major or incompetent task performance. If it is the case,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y reduce such obstacles and help the students feel confident in their major subjects. In fact,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eeds far higher command of Korean than others, which impli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quire a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ir major. All these preconditions impose a heavy burden on the students, naturally supporting the need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takes various step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analysi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text analysi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shows features and content of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The curriculum is likely to be close to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nd sinc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re defined based on the major content knowledge, the curriculum design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adopts the backward design method and procedure. Such a feature of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is linked to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Thus, the curriculum design also considers CBI models, especially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which sets both content knowledge and language goals. At the end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 prepar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the essenti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ereinafter,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asks that foster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 major (hereinafter, ‘the competence tasks). Next, to see how well the needs and content of the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tch with the needs in the teaching field,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eeds analysis with the lecturers and the international students. Th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ary in different universities. Among them, universities that have distinctiv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or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Also, both of the lecturers and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replied that lack of the essential knowledge and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competence tasks are the barriers agains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hich shows the literature review corresponds to the needs in the field. With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the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he competence tasks, using Korean textbooks in college introductory subjects and high schools. The text analysis shows that the essential knowledge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cludes theories of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iterature, chronological feature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representative Korean authors and their works. Then, tasks described in university course handbooks are analyzed for the competence tasks. The task typ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divided largely in two: presentation and essay writing, and the ratio of the two task types is different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major courses. Considering the ration and awareness burden, or awareness complexity,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may have when they perform the tasks, this paper suggests the sequence of the competence task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and SIOP, this research also sets goals for the preparation curriculum that can integrate the content and the language, and suggests th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needed for achieving the goals. Moreover, it suggests a practical methodology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ere the knowledge and the tasks are systematically dealt in the curriculum. The outcome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improving curricula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nd it also presents language-considered education for content knowledge experts and content knowledge-considered education for language experts. However, the suggestions and presentations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may still have room for improvement after being adopted and practiced in the field. I would like to leave this as a future research topic.

      •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학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소자흔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며, 이를 통해 중국 대학교의 효과적인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은 중‧한 수교를 기점으로 한국어 교육이 급속도로 확산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K-pop 등으로 인한 한류 열풍도 계속되면서 한국어 교육의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었다.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는 1940년 대에 몇 개 대학에만 개설되었던 것과 달리 현재 10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고 있다. 이는 문화적 요소는 물론, 한국어가 능숙한 인재의 사회적 수요도 한국어학과 개설 급증에 하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대학에 급속도로 증가하였기 때문에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전문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즉, 한국어학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속도로 생겨난 한국어학과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재검토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중국 대학교에 한국어 인재를 양성하려면 여러 방면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중국국가교육부가 요구한 인재 양성 목표, 학습자의 원활한 진학이나 취업의 요인 등 종합적인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인 목표는 교육부의 목표와 일치해야 하지만 세분화된 부분은 학교마다 늘 일률적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아니라 학교별 지리적인 우세, 지역별 경제수준, 학습자 요구를 고려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향후 중국 4개 지역의 4년재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분석하며 더욱 적절한 교육과정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목적을 둔다. 학생의 요구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학과를 지원하는 이유는 한국어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 취업 목적, 유학 목적, 한국어를 더 깊게 연구하고 진학하는 목적 등 다양한 목적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학습자가 가진 학습동기 및 지원목적을 파악해야 학습자가 요구하는 바와 사회가 필요로 하는 한국어 인재의 조건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하여 미래 한국어 교육이 중국에서 할 역할에 대하여 모색할 수 있다고 보았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riendly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recent years, Korean language majors have been set up in many universities in China. Being founded by faculty within mainland China, than in South Korea, Korean education, Chinese universities Korean department has its own teaching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China's Ministry of Education issued by the common language talent cultivation plan "the birth of the system, and combined with its own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lleges and universities, modified and inno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teaching objectives set by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in China have set up Korean departments, compared with other disciplines, the Korean department has been established for a shorter time and can be said to be a very young discipline. Therefore, there will be some deficiencies in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Korean Department that need to be impro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objectives and curriculum setting in the school, the main content of this paper is to propose problems and try to find solutions. The next part is the discussion of the preliminary research, mainly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e Korean education courses in universities in China. Then the general theory of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nten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re discussed.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alyzes the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s well as KSL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fter the description and introduction of th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required in this paper are listed, including the analysis results of teaching objectives and teaching contents in the education courses of the Korean Department of 9 universities,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learner requirements of the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Korean Department. From the analysis of learners' requirements, we can know what learners need more than the current teaching plan, so that we can better modify the existing teaching curriculum. Finally, after summarizing all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s solutions to the shortcomings of Korean education course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 중국 쓰촨성(四川省) 한국어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강이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한·중 수교 후 양국 간의 정치, 경제, 문화 등 분야의 교류가 확대됨과 더불어 한류의 영향으로 중국 내의 한국어교육은 활발하게 발전해 왔다. 중국 쓰촨성은 중경 직할시, 운남성, 귀주성, 티베트자치구를 비롯한 중국 서남지역의 한 부분이다. 서남지역은 지리적으로 유리한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한류’의 영향이 적고 경제력도 부족하여 한국어교육 발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편이다. 쓰촨성에는 국립대학, 독립대학, 사립대학을 포함한 51개의 4년제 대학들이 있으며, 그 중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4년제 대학은 서남민족대학(西南民族大學)과 사천외국어대학 성도학원(四川外國語大學成都學院) 2개뿐이다. 또한 쓰촨성에 응용한국어학과를 개설한 3년제 전문대학은 사천도시직업학원(四川城市職業學院)뿐이다. 중국 내의 한국어교육은 한·중 수교 후 활발하게 발전해 왔지만, 짧은 기간 동안 성과를 취득하였지만 이와 동시에 수많은 문제들도 노출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쓰촨성에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인 서남민족대학, 사천외국어대학 성도학원, 사천도시직업학원을 중심으로 교수진 구성, 교재 사용, 학생 모집, 학생 취업 등 네 가지 방면으로 현재 쓰촨성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①쓰촨성 한국어 교사의 구성이 불균형하다. ②쓰촨성의 한국어교육은 아직까지 언어 습득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오래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③한국어학과 학생모집이 점점 어려워지는 추세라고 하지만, 쓰촨성 한국어학과 학생 모집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④쓰촨성 한국어학과 졸업생의 취업은 비교적으로 양호상태이다. 향후 쓰촨성의 한국어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나타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다. ① 교사 인원수를 확보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자질을 향상하기 위해 국내외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② 목표나 교과목 등 면에서 언어의 기본 기능이나 지식을 넘어 사회에 필요한 실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③ 교재 사용 범위를 넓히고 효과적인 교수법이 가능한 교재를 사용한다. ④ 학생인원수를 확보하기 위해 학습에 필요한 완전한 시스템과 좋은 학습 환경을 보장해 준다. 현재 쓰촨성 소재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고 학습자 요구, 사회 복합형 인재 요구를 만족 시키지 못하여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하여 쓰촨성 한국어 인재 요구분석을 하기 위해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쓰촨성 한국어학과 졸업생들은 한국어 말하기 능력 부족, 전문지식 부족, 컴퓨터 작업 능력 부족, 사회 경험 부족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전문지식과 컴퓨터 작업 지식, 실습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어 학습자의 직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쓰촨성의 직업 목표 한국어교육 방향은 교과목과 교재, 교수진 구성, 실습교육으로 제시하였다. 쓰촨성에 자동차 관련 한국 기업이 많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자동차 한국어’를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하고, 또한 무역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재무관리’, ‘인터넷 마케팅’, ‘국제 무역 상법’, ‘국제 금융’ 등의 교과목을 개설한다. 현재 쓰촨성 한국어 교사들에게 제조업에 연관되는 지식이 부족한 상황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 교사가 직접 회사를 방문하여 관련된 지식을 배운 후 학교에 돌아가 학습자들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다. 둘째,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여 강의를 하는 것이다. 실습교육의 경우 ‘포괄적 실용형’과 ‘지역적 실용형’을 잘 활용하여 학교와 기업에서 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계약을 만들 수 있다. 혹은 필요한 실습 과목을 개설하여 실습교육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발음을 강화시켜 주는 발음 훈련 연습 수업 등이 있을 것이다. 촨성의 한국어학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고, 자료 찾기도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도 많은 부족한 부분이 존재할 것이다. 본 논문은 쓰촨성의 한국어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쓰촨성의 한국어교육의 교수진, 교재 사용, 학생 모집, 학생 취업 등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쓰촨성 한국어학과 학습자의 취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쓰촨성 소재 한국기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교과목과 교재, 교수진 구성, 실습교육 등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향후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쓰촨성의 한국어학과 발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라며, 한국어교육이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더 훌륭한 한국어 인재를 양성하길 바란다. 中·韩建交后,两国间的政治、经济、文化交流得到不断的发展,特别是受“韩流”的影响,中国国内的韩国语教育得到了快速发展。在中·韩建交前,中国国内开设韩国语专业的大学不到6所,但是在中·韩建交后短短不到30年的时间里,开设韩国语专业的大学扩大到了200多所。尽管中国国内的韩国语教育得到了飞速的发展,但各地区的发展分布不平衡,同时在教员组建、教材使用、学校招生、学生就业等方面也暴露出了诸多问题。 相对于韩国语教育发展较好的东北地区和沿海地区,位于中国西南地区的四川省由于经济发展相对落后,且不具备优越的地理环境优势,韩国语教育起步晚,发展速度缓慢。2007年西南民族大学开设了韩国语专业,成为四川省第一个开设韩国语专业的本科大学。2009四川外国语大学成都学院开设了韩国语专业及应用韩国语专业,2012年四川城市职业学院开设了应用韩国语专业,四川省韩国语教育开始呈现加速发展趋势。随着中国政府“西部大开发”政策的实施,大批的韩国企业开始涌入四川省。据2015年“中韩人力网-韩企资讯”的报道,四川省已成为韩国的第5大合作伙伴。截止到2015年8月,在四川省投资的韩国企业已超过240多个。韩国企业的大量投资产生了对韩国语人才的大量需求,这必将促进四川省韩国语教育的进一步发展。四川省的韩国语教育具有较大的发展潜力。 本论文旨在挖掘四川省省内各大学韩国语教育中出现的问题并提出解决方案。通过问卷调查等形式,了解四川省韩国语人才市场的需求,提高韩国语专业学生的就业能力,向社会提供综合性韩国语人才,促进四川省韩国语教育的发展。 论文第二章在总体观察中国国内韩国语教育的现状后,具体的从教员组建、教材使用现状、学校招生、学生就业等方面发现四川省韩国语教育出现的问题并提出解决方案。第三章着手于四川省韩国语教育的人才需求分析,主要通过问卷调查和采访的方式进行。以第三章分析出来的信息数据为基础的第四章,着重研究四川省韩国语教育的发展方向,以促进韩国专业学生的就业为目的,从教学科目、教员组建、实习教育等方面为提出应对方案。 距今为止,对四川省甚至整个西南地区的韩国教育研究都很少。本论文也存在很多不足之处,存在很多需要改善的地方,但希望能对今后四川省和整个西南地区的韩国语教的发展有所帮助。

      • 중국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위한 듣기·말하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TV뉴스를 활용한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유시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75

        外語學習者的目標是使用該語言,實現流暢的溝通 在溝通方面 聽 說、 能力是必不可少的。中國中級學習者應該具備一定的聽力口語能力 爲此 作爲有效的聽力口語教育方法之一, 利用影像媒體的聽力口語教育備受關注。TV新聞是可以提供實際溝通情況的資料, 因此可以誘發學習動機 學習者們可以主動地聽課 自然而然地學習語言和文化。因此, 本研究爲提高中國大學韓國語系的中級學習者的韓國語聽力口語能力,提出了利用實際資料, TV新聞進行聽力口語綜合教育的方案。 首先,在理論背景下, 分析了在中國韓國語聽力, 口語教育的現狀和特點, 並提出了問題。爲了解決這些問題, 提議利用電視新聞進行聽力, 口語整合。對此, 從理論上研究了韓語聽力, 口語綜合和TV新聞的特徵, 制定了以中國中級學習者爲對象的聽力, 口語綜合的模型, 還,提出了TV新聞的選定標準和利用TV新聞的聽力口語綜合的意義。第三章以中國韓國語專業的52名中級學習者爲對象進行了問卷調查和分析。問卷由三個部分18個問題組成, 其中有"李克特量表 (Likert scale)五級評分"和" 自由書寫"等形式。調查結果顯示,大部分學習者對利用電視新聞的聽力口語綜合教育給予了肯定評價。另外, 還選定了中國現在使用的三種聽力, 口語教材,並進行了教材分析。以該分析結果爲基礎, 整理了課程設計中需要考慮的內容。 第四章反映了討論的理論背景和要求調查和教材分析結果, 以中國中級韓國語學習者爲對象, 具體提出了利用 TV新聞的聽力口語授課指導案。首先, 提出了課程設計原理。第一, 需要以學習者爲中心設計聽力口語課程。第二, 需要設計利用聽力口語綜合模型的聽力口語綜合課程。第三, 應利用電視新聞設計聽力口語綜合課程。第四, 必須符合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實際教育課程。其次, 授課模型分爲"收看新聞前聽力口語階段-收看新聞時聽力口語階段-收看新聞後聽力口語階段"三個部分。以提出的設計原理和模型爲基礎, 根據新聞主題, 提出了第15周的教學要點。另外, 本研究爲提高中國中級學習者的聽力口語能力, 利用TV新聞進行聽力口語綜合模型授課,因此授課過程中聽力口語綜合活動非常重要。因此, 本研究提出了授課所需的授課資料等,並同時提出了活用效果。另外, 本研究爲了驗證利用TV新聞的聽力口語綜合課程的效果,對中國大學韓國語系的教授進行了採訪。從採訪的結果來看, 整體上利用電視新聞的聽力口語綜合授課方案對中國韓國語系中級學習者爲中心的聽力口語教育具有重要意義。 本研究主要針對中國中級學習者的聽力口語能力的目標和與之相適應的TV新聞,有關中國初級、高級學習者的聽力口語能力的研究還不夠充分。另外,本研究雖然提出了授課模型和指導方案,但存在無法對中國中級學習者進行實際授課驗證其效果的侷限性。希望本研究能對中國韓語聽力口語教育有所幫助, 期待今後在實際聽力口語授課現場可以利用電視新聞進行聽力口語活動, 期待中國大學提高韓國語聽力口語教育的實效性。 외국어 학습자들은 그 언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듣기·말하기 능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말하기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 TV뉴스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교육에 주목하였다. TV뉴스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이므로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고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수업 참여하여 자연스럽게 목표 언어와 문화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한국어학과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TV뉴스를 활용하여 듣기·말하기 통합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은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듣기·말하기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국 한국어학과 듣기, 말하기 현황 분석뿐만 아니라 듣기·말하기 통합의 특징과 TV뉴스의 특징을 검토하며, 중국 한국어학과 학생들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제성이 높은 교육 자료인 TV뉴스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교육 방안을 설계하도록 한다. 이는 중국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듣기·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外語學習者的目標是使用該語言,實現流暢的溝通。在溝通方面,聽、說能力是必不可少的。中國中級學習者應該具備一定的聽力口語能力,爲此,作爲有效的聽力口語教育方法之一,利用影像媒體的聽力口語教育備受關注。TV新聞是可以提供實際溝通情況的資料,因此可以誘發學習動機, 學習者們可以主動地聽課,自然而然地學習語言和文化。 本研究的目的是以中國韓語系中級學習者爲對象,研究利用電視新聞的聽力、口語綜合教育方案。 據調查,目前中國韓語系的學習者與其他語言功能相比,聽力、口語能力不足。 對此,不僅要分析中國韓語系的聽力、口語現狀,還要研究聽力、口語綜合的特點和電視新聞的特點,並實施中國韓語系學生的要求分析。 通過這些,我們研究出了利用實際性高的教育資料--電視新聞的聽力、口語教育方案。 這將有助於中國韓語專業學習者在實際生活中提高聽力、口語能力。

      • 國語, 國文 관련 용어의 사용 및 의미에 관한 통시적 연구

        런멍지에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에서는 조선 왕조 약 500년(1392년~1910년) 동안 ‘국어(國語)’, ‘국문(國文)’을 의미하는 용어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미적 측면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고 사용되어 왔는지를 살펴서 종합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용어들은 조선 왕조에서 간행되었던 문헌들을 중심으로 수집하여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조선왕조실록>(1413~1865)과 <훈민정음해례>(1446)을 바탕으로 ‘국어(國語)’, ‘언어(諺語)’, ‘방언(方言)’, ‘언문(諺文)’ 등의 용어들이 15세기~16세기에 어떠한 용법으로 사용되었는지를 검토․분석하였다. 이들 용어가 어떠한 역사적 배경에서 사용되었으며 당시 문헌에서 지시한 대상과 나타냈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위의 용어들이 가졌던 성격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중 17세기~19세기에 작성된 실록들과 조선학자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시 중국과 접촉이 잦았기 때문인지 조선의 학자들이 한문에 대해 가졌던 인식이 다소 달라져 있었다. 조선의 관료들은 중국인들이 한문으로 자신의 생각을 써내려가는 것을 보면서 말과 글자의 괴리가 주는 어려움을 느꼈다. 이 시기까지도 일부 학자들은 중국어를 세계의 근본으로 여겼다. 그런데 대다수의 조선인 학자들은 한글을 보편적인 음운체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강조하였다. 표음 문자로서 한글의 우수성을 이야기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으로 바탕으로 3장에서는 두 가지 측면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이 시기에 빈번하게 쓰인 ‘동음(東音)’, ‘동언(東諺)’이 가지는 함의적인 의미와 ‘국어’, ‘언어’, ‘언문’, ‘방언’의 변화의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조선인 학자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어떻게 인식했고 탈(脫)중화의 싹을 어떤 식으로 표현했는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19세기 말~20세기 초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가장 변화의 폭이 큰 용어는 ‘국어’와 ‘국문’이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갑오경장의 역사적 사건과 함께 국가 의식과 민족의식이 분출되어 국어·국문에 대한 인식이 크게 전환되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대한제국 시대에 국어·국문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전 시기와의 비교를 통해서 국어․국문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근대화 과정에서 ‘방언(方言)’이 어떠한 개념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어떤 변화를 겪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ape, meaning, and usage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concepts, which meant 'Korean Language' and 'the national language' for about 500 years, and how it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ourse of history. For that, Chapter 2 analyzes the usage of 'gug-eo', 'eon-eo', 'bang-eon', and 'eon-mun' found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exts, and also determines what characteristics they had in the literature of the time combining historical background. In chapter 3, 17-19th century, a survey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ound that each term did not change much. However, due to frequent contacts with China, Joseon scholars' perception of Chinese characters has somewhat changed. Chosun scholars realized the difficulty of the gap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etters as they watched the Chinese write their thoughts without hesitation using the technique used by Chinese characters. Of course, even at this time, many scholars still regarded Chinese as the world's basis, but many emphasized that Hangul was close to a universal phonological system or as the best way to express it, and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Hangul through phonetic characters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This chapter will focus on two questions. First, to see what implications do use of "Dong-eum" and "Dong-eon" had, which were frequently used during this period, and also confirm about the changes occurred in 'gug-eo', 'eon-eo', 'bang-eon', and 'eon-mun' concepts. Second, to discuss how the scholars of Chosun tried to express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excellence of Hangul and the sprout of the concept of post-Chinese. In the last chapter,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most changing terms were "Korean Language" and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erupted during this period along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Gabo reform, which greatly changed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language.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this and clarify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Gug-eo) and the national language(Guk-mun) during this period,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nd those prior to that perio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larify wha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dialec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y analyzing these words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it most intuitively reflects the notion of the National language(Gug-eo) of each era. Through the diss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hall by period, we can see the change of the ideological and the hierarchy of these words in the synchronic analysis.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se terms by period and to explain and analyze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Gug-eo)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