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박복순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고,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개인특성으로서의 성 역할 정체성이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표집은 강릉지역의 일 간호대학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2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진경(1990)의 한국형 성 역할 검사지(KSRI)를 사용하였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측정은 황성자(2002)가 개발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의 측정은 강현숙과 조결자(1984)가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도구와 이성은(2002)이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도구를 이순희(2004)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version 1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 역할 정체성 유형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은 남성성 지수 4.90±.64점, 여성성 지수 4.42±.73점으로 측정되었다. 이 점수를 기준으로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은 양성성 유형 80명(34.0%), 미분화 유형 77명(32.8%) 남성성 유형 42명(17.9%), 여성성 유형 36명(15.6%)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점수가 3.43±.5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상황특성 3.45±.51점, 개인특성 3.23±.64점, 외부 조정요인 3.62±.67점으로 나타났다. 3)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점수가 2.96±.43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임상실습 만족도는 실습교과 만족 3.46±.87점, 실습시간 만족 3.13±.85점, 실습내용 만족 3.10±.52점, 실습평가 만족 2.87±.83점, 실습지도 만족 2.58±.56점, 실습환경 만족 2.58±.66점으로 나타났다. 4)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양성성 유형 3.43±.58점, 남성성 유형 3.38±.42점, 여성성 유형 3.43±.44점 및 미분화형 3.41±.4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한 차이는 없었다.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양성성 유형 3.01±.47점, 남성성 유형 2.96±.40점, 여성성 유형 2.93±.38점 및 미분화 유형 2.89±.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하위 영역 중 실습교과와 실습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습교과에서 양성성 유형 3.65±.64점과 미분화 유형 3.47±.88점에서 차이를 보이고(p=.048), 실습내용에서는 양성성 유형 3.22±.60점과 여성성 유형 2.88±.48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6). 5) 남성성 지수, 여성성 지수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간 상관성 남성성 지수는 여성성 지수(r=.409, p=.000)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남성성 지수, 여성성 지수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r=-.437, p=.000)에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은 양성성 유형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서는 다른 유형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성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부분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은 간호학생의 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고,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여 임상실습 현장교육에 적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much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may depend upon their sex role identity, and is also to examine potential associations of sex role identity - as one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 with their stres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clinical practices. Total 235 students attending at a nursing college in Gangneung city, were recruited sample and were asked to join a questionnaire survey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rom October 20 to 22, 2008. For research tools, this study adopted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to measure different types of sex role identity, and also used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nventory (Hwang, 2002) to measure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in order to measur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s, this study adopted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ventory (Kang & Cho, 1984) as well as a modified version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ventory (Lee, 2004; originally developed by Lee, 2001).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SPSS(ver. 12.0), a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rform t-test and ANOVA, Scheffe'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Types of sex role identity In regard to types of sex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our nursing students scored 4.90±.64 points in masculinity index on the average, and scored 4.42±.73 points in femininity index on the average. Based on the above scor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major types of sex role identity our nursing students had, such as androgyny, undifferentiated, masculinity and femininity type. Here, most of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androgyny type 80 students(34.0%), and other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undifferentiated type 77 students(32.8%), masculinity type 42 students(17.9%) and femininity type 36 students(15.6%) respectively. 2)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our nursing students scored 3.43±.52 points out of full 5 on average in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upon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45±.51 points in contextual stress, 3.23±.64 points in personal stress and 3.62±.67 points in a stress from external coordination on the average respectively. 3)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scored 2.96±.43 points out of full 5 points on average in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measurement of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46±.87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3.13±.85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duration, 3.10±.52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ontent, 2.87±.83 points in practice evaluation, 2.58±.56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instructions, and 2.58±.66 points in satisfaction at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average respectively. 4)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sex 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types of sex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masculinity type group, femininity type group aundifferentiated type group scored 3.43±.58, 3.38±.42, 3.43±.44 and 3.41±.44 points in their stress on the average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ose four type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In terms of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masculinity type group, femininity type group and undifferentiated type group scored 3.01±.47, 2.96±.40, 2.93±.38 and 2.89±.42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on the averag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atisfaction among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and content, which are part of subcategories of clinical practices, among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ere were certain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between Androgyny type group 3.65±.64 points and undifferentiated group 3.47±.88 points (p<.05), and there were also certain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ontent between androgyny type group 3.22±.60 point and femininity group 2.88 ±.48 points (p<.01). 5) Potential correlations among masculinity index, femininity index,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masculinity index was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emininity index (r=.409, p=.000), whereas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of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with masculinity index, femininity index and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However, it was found that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was i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r=-.437, p=.000). With regard to nursing students' sex role ident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drogyny type group reacted more sensitively to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than other type groups. Moreover,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felt more satisfied partially at clinical practices than other type groups. Thus, it is concluded that as a strategic means to relieve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the ver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sex role identity will possibly open up a good opportunity to get a further profile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also explains the reason why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sex role identity and to reflect those characteristics on educations at clinical practice sites.

      •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

        손현정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성을 알아보며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강원도 G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성격유형 척도로 Myers와 Briggs(1980)가 제작한 성격유형 검사를 심혜숙과 김정택(1990)이 번역하여 표준화시킨 MBTI GS형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측정은 Folkman &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 of Stress Coping Checklist)를 김정희와 이장호(1985)가 요인분석을 통해 선택 개발한 62문항 중에서 박주영(1995)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업탄력성의 측정은 김누리(2008)가 개발한 학업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사후 검정을 위한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MBTI 선호지표 중 외향형(E)이 117명(62.2%)으로 내향형(I) 71명(37.8%)보다 많았고, 감각형(S)이 146명(77.7%)으로 직관형(N) 42명(22.3%)보다 많았고, 사고형(T)이 110명(58.5%)으로 감정형(F) 78명(41.5%)보다 많았고, 인식형(P)이 106명(56.4%)으로 판단형(J) 82명(43.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MBTI 16개 성격유형 중 분포가 많은 순서는 ESTP 유형 32명(17.0%), ESTJ 30명(16.0%), ISTJ 20명(10.6%)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대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4점 만점에 2.51±.44점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망적 사고’로 2.80±.52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적지지 추구 2.53±.62, 문제중심적 대처 2.46±.60, 정서적 대처 2.26±.55 순이었다. 3. 연구대상자들의 학업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66±.56점이었고 자기통제가 3.89±.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친구지지가 3.84±.75점, 긍정적 태도(3.66±.78)와 부모지지(3.66±.81), 과제책임감(3.62±.74), 학습조절(3.50±.8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년(F=3.888, p=.010), 성적(F=4.091, p=.003), 이성 친구 교제경험(t=2.554, p=.011), 간호학과 입학동기(F=2.559, p=.02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적(F=4.007, p=.004), 간호학과 입학동기(F=2.761, p=.020), 간호학 전공만족도(F=10.279,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7. 대상자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t=-3.516, p=.001)과 사회적지지 추구(t=-3.595, p<.001), 소망적사고(t=-2.223, p=.027), 정서적 대처(t=-2.984, p=.003)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대상자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학업탄력성의 차이에서는 에너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E-I 지표와 삶의 방식을 의미하는 J-P형 선호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t=-2.902, p=.004),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t=-3.113, p=.002) 학업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9. 연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과는 유의한 순상관관계(r=.377, p<.001)를 나타내었다. 10.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의 설명요인으로는 간호학과 전공만족도와 성적, MBTI 선호지표 중 판단형 선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있었으며 45.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자신의 감정과 보완점을 이해하고,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대학생활에 높은 동기와 흥미를 줄 수 있는 학업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간호대학생의 대처방식 선택 시 성격이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 성격유형을 고려한 적절한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학업탄력성을 고양시키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함수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by appl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hemodialys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9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at five hemodialysis hospitals located in two cities in Gangwon-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1 to January 15, 2022.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indows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by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the study participants averaged 6.26±1.02 out of 7; subjective norms averaged 5.41±1.28 out of 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veraged 5.57±1.34 out of 7;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4.18±0.57 out of 5; knowledge averaged 11.99±2.46 out of 15; self-efficacy averaged 5.15±2.08 out of 7; and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veraged 5.96±1.42 out of 7. 2. The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042), occupational status(p=.045), and hemodialysis period(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p<.001), family monthly income(p=.043), and religion(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ome in the home(p=.013);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 education(p=.005), and monthly income at home(p=.031). 3.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r=.172, p=.013), subjective norms(r=.709,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r=.617, 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r=.224, p=.001), Knowledge(r=.301, p<.001), self-efficacy(r=.295,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I were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β=.202, p=.002), knowledge(β=.286,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13.1% (F=15.55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Ⅱ were subjective norms(β=.513,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9,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2% (F=50.20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Ⅲ were subjective norms(β=.489,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4,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8% (F=43.017, p<.001). This study has in an implication, in that it first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is known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may anticipat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by preventing and managing COVID-19 infe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in advance.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modialysis patients in some areas of Gangwon-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refore we expand the target cities and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are suggested with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예방할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G시, S시에 소재한 혈액투석 병원 5곳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 209명이며 2021년 12월 28일부터 2022년 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 정도를 반영하는 생리적 지표로서 혈중 인(P) 농도, 포타슘(K) 농도, 투석 간 체중증가량(Choi & Choe, 2007; Kara et al., 2007; Kim et al., 2017; Min & Lee, 2006; Saran et al., 2003, Yeun, 2012)을 척도화 시켜서 문항을 만들었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Taghrir et al.(2020)이 개발한 도구를 이수진 외(2021)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자기효능감은 Gerend & Shepherd(2012)가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강은희(2019)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했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2.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 환자의 연령 평균은 59.97±12.83세이었고, 123명(58.9%)이 남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은 128명(61.2%)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74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 내 월수입은 100만 원 이하가 78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없는 사람이 144명(68.9%)이었으며, 종교는 종교가 없음이 107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 형태는 가족과 사는 사람이 133명(63.6%)으로 가장 많았고, 혈액 투석 기간은 평균이 72.36±70.84개월이었고, 본인의 건강 상태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10명(52.6%)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26±1.0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5.41±1.2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평균 5.57±1.34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8±0.5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1.99±2.46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자기효능감은 7점 만점에 평균 5.15±2.0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으며,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96±1.4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3.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성별(t=-2.05, p=.042), 직업 유, 무(t=-2.04, p=.045), 혈액투석기간(F=6.9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학력(F=7.68, p<.001), 가정 내 월수입(F=3.19, p=.043), 종교(F=.6.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가정 내 월수입(F=4.47,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식은 연령(F=6.75, p<.001), 학력(F=3.79, p=.005), 가정 내 월수입(F=3.54,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태도(r=.172, p=.013), 주관적 규범(r=.70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617, p<.001), 제한식이 이행 정도(r=.224, p=.001), 지식(r=.301, p<.001), 자기효능감(r=.29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Ⅰ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제한식이 이행 정도, 지식을 변수로 넣은 결과, 제한식이 이행 정도(β=.202, p=.002), 지식(β=.286, p<.001)으로 나타났으며, 13.1%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15.557, p<.001). Model Ⅱ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513,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9, p<.001)로 나타났으며 54.2%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50.207, p<.001). Model Ⅲ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489,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4, p<.001)로 나타났으며 54.8%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43.017, p<.001). 본 연구는 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 영향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 행위를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미리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 안전관리 측면에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G시, S시에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하고, 향후 복막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련성

        정승혜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Korea coast guard, an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ve symptom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the analysis research of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a research project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R1G1A1100800, Hye-jin Kim, Senior - 58 - researcher). In terms of the research tool for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used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ve Scale-Revised, K-CESD-R, which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CESD-R tool developed by Eation et.al (2004)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Lee et al. (2016). As for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ymptom survey table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investigation guidelines on harmful factors for burdening tasks on musculoskeletal (KOSHA GUIDE H-9-2012) develop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In addition, this study used the tool of Choo and Kang (2015),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Ⅱ originally developed by Walker and Hill-Polerecky (1996)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26.0 program. Those were analyzed the based on the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cheffé’s test for post-hoc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pending on research purpose. 1.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 coast guard was 6.38±8.12 points in average, the number of persons with depressive symptoms (≥13 points) accounted for 17.3% and the number of person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ccounted for 43.5%. The level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showed 2.37±0.44 points out of 4. In terms of sub-domains, the highest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2.56±0.48 points, followed by spiritual growth in 2.55±0.54, stress management in 2.44±0.53, nutrition in 2.32±0.48, physical activity in 2.29±0.68, and health responsibility in 2.06±0.5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 coast guard among current smoking (t=2.41, p=.017), proper physical activity (t=-4.48, p<.001), and daily sleep time (t=-2.68, p=.008).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 coast guard was shown among shift work (t=-2.70, p=.007), work pattern (t=-2.05, p=.041), and years of work (t=3.13, p=.045). 3. In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Korea coast guard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whole (r=-.24, p<.001), spiritual growth (r=-.27,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r=-.24, p<.001), physical activity (r=-.15, p=.015), health responsibility (r=-.16, p=.010), and stress management (r=-.19, p=.002)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Moreo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shown in the whole (ρ=-.18, p=.003), spiritual growth (ρ=-.13, p=.040), interpersonal relationship (ρ=-.15, p=.016), physical activity (ρ=-.18, p=.003), health responsibility (ρ =-.16, p=.009), and stress management (ρ=-.19, p=.002)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4. In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Korea coast guard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whole (β=-0.20, p=.001), as for sub-domains, spiritual growth (β=-0.24,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0.20, p=.001), physical activity (β=-0.14, p=.008), health responsibility (β=-0.11, p=.064), and stress - 60 - management (β=-0.24, p<.001)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other words, in the adjusted analysis, higher depressive symptom level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terms of the whole (β=-0.15, p=.009), as well as sub-domains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0.12, p=.046), physical activity (β=-0.13, p=.012), health responsibility (β =-0.12, p=.039), and stress management (β=-0.14, p=.015). In other words, in the adjusted analysi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findings identified thus far reveal that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depressive symptom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Korea coast gua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Korea coast guard will be improved by preparing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Korea coast guard.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Ÿ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Korea coast guards as subjects. Therefore, it is suggested a follow-up study that expands thenumber of subjects who are working at other local coast guard stations to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by region. Ÿ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health-promoting program of a multi-level strategy that improves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of Korea coast guard through the follow-up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multi-level (intra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level). 본 연구는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2019R1G1A1100800, 연구책임자 김혜진)지원 연구사업에서 산출된 자료의 이차자료분석 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우울증상은 Eation 등(2004)이 개발한 CESD-R 도구를 이산 등(2016)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K-CESD-R) 도구를 사용하였고,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개발한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지침(KOSHA GUIDE H-9-2012) 중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Walker와 Hill-Polerecky (1996)가 개발한 건강증진생활양식척도Ⅱ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Ⅱ)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한 Choo와 Kang(201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와 ANOVA, 사후검정을 위한 Scheffé’s test, Pearson’s과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그리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수준은 평균 6.38±8.12점으로 우울증으로 선별된 대상자(≥13점)는 17.3%이었고,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이 있는 대상자는 43.5%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4점 만점에 2.37±0.44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은 대인관계 2.56±0.48점, 영적성장 2.55±0.54점, 스트레스관리 2.44±0.53점, 영양 2.32±0.48점, 신체활동 2.29±0.68점, 건강책임 2.06±0.55점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경찰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현재흡연(t=2.41, p=.017), 적정신체활동(t=-4.48, p<.001), 일일수면시간(t=-2.68, p=.008)과 작업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교대근무(t=-2.70, p=.007), 근무형태(t=-2.05, p=.041), 근무년수(t=3.13, p=.045)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상관관계에서 우울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서는 전체(r=-.24, p<.001), 영적성장(r=-.27, p<.001), 대인관계(r=-.24, p<.001), 신체활동(r=-.15, p=.015), 건강책임(r=-.16, p=.010), 스트레스관리(r=-.28,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서는 전체(ρ=-.18, p=.003), 영적성장(ρ=-.13, p=.040), 대인관계(ρ=-.15, p=.016), 신체활동(ρ=-.18, p=.003), 건강책임(ρ=-.16, p=.009), 스트레스관리(ρ=-.19, p=.002)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4.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련성에서 우울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는 전체(β=-0.20, p=.001), 하위영역의 영적성장(β=-0.24, p<.001), 대인관계(β=-0.20, p=.001), 신체활동(β=-0.14, p=.008), 건강책임(β=-0.11, p=.064), 스트레스관리(β=-0.24, 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는 전체(β=-0.15, p=.009), 하위영역의 대인관계(β=-0.12, p=.046), 신체활동(β=-0.13, p=.012), 건강책임(β=-0.12, p=.039), 스트레스관리(β=-0.14, p=.015)와 관련성이 있었고,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이 있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규명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해양경찰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를 마련시 해양경찰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이 증진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일부 해양경찰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로 일반화하기엔 제한이 있으므로 다른 지방해양경찰서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해양경찰까지 확대하여 지역별로 비교분석하는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 건강증진행위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다수준(개인수준, 개인간수준, 조직 및 지역사회수준)으로 파악하는 추후연구를 통해 해양경찰의 정신적·신체적 건강문제를 향상시키는 다수준 전략의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 고위험 산모의 산후 우울과 모성정체성

        김순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ing to identify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identity of high risk postpartum women who gave birth to their child even from high risk pregnancy, and determine potential associations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identity in those women.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form to survey total 59 postpartum women for data analysis. They were hospitalized on the 1st day to 7th day after giving birth to their child even from high risk pregnancy at G General Hospital and other neighboring local 2 maternity clinics from Oct. 13 to Nov. 21, 2008. For survey tools, this study adopted an adapted version of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by Lee & Song, 1991) that was originally designed by Beck (1967) to measure postpartum depression. In order to measure maternal identity, this study adopted total 17 question items to measure general meanings of role identity used by Kim(1996).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DOWS 12.0, a statistic program, and were also analyzed using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of variance(ANOVA), t-test, post-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According to diagnosis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igh risk pregnancy of our high risk postpartum women, 21 women(35.6%) were 35 years old or older, and our high risk postpartum women showed a variety of clinical cases such as gestational hypertension 8 women(13.6%), abnormal ultrasonography findings and critical diseases affecting pregnancy(e.g. diabetes, hypertension, thyroid disease, cardiopathy, renal disease, autoimmune disease, etc) 5 women(8.5%), preterm labor 4 women(6.8%), premature membrane rupture 3 women(5.1%), gestational diabetes and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IIOC) 1 women(1.7%), two findings 14 women(23.7%), three findings 6 women(10.1%) respectively. 2. According to measurement using BDI, high risk postpartum women scored 9.27(±5.65) points on the average in their postpartum depressison. In view of the distribution of moderate postpartum depressison,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34 women (57.6%) had normal mental conditions(0∼9 points), which was followed by light depression group(10∼15 points; 17 women, 28.8%), moderate depression group(requiring psychologic therapy)(16∼23 points; 7 women, 11.9%), and severe depression group(24 or higher points, 1 women, 1.7%) respectively. 3. According to measurement of the maternal identity of high risk postpartum women on the basis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ll women respondents scored 69.1(±11.09) points on the average in maternal identity and their itemized scores averaged 4.06(±0.65) points out of full 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 risk postpartum women have relatively high maternal identity. 4. There were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good function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partum depression of our respondents, such as emotional conditions during pregnancy(F=7.68, p=.001), husband's assistance in housework and his emotional supports (F=7.02, p=.001) and marital satisfaction(F=6.91, p=.001). It was found that marital satisfaction(F=7.37, p=.001) was a critical determinant of maternal identity. 5. There were some obstetr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partum depression, such as the number of delivery by Caesarean section(F=5.69, p=.01) and experiences in hearing of information on prenatal high risks concerning high risk pregnancy(t=2.29, p=.05). The number of delivery by Caesarean section(F=7.29, p=.01) was a critical determinant of maternal identity. 6. Postpartum depression was in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maternal identity(r=-.595, p=.001). Conclusively, it is found that high risk postpartum women tend to show relatively serious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higher postpartum depression they feel is associated directly with the lower maternal identity they hav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early detection of signs on postpartum depression of high risk postpartum women and positive preventive care of their depressive tendencie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maternal identity. 본 연구는 고위험 임신으로 분만한 고위험 산모의 산후 우울과 모성정체성을 파악하고 산후 우울과 모성정체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10월 13일부터 11월 21일까지 강원도 G시에 소재한 G종합병원과 지역의 2개 산부인과 의원에서 고위험 임신으로 분만한 산후 1일에서 7일 사이의 산모 5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산후 우울을 측정하는 도구로 Beck(1967)에 의해서 개발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모성정체성 측정 도구는 김혜원(1996)이 연구에서 사용한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총 17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t-test, 사후검정(Scheffe'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위험 산모의 고위험 임신의 분류는 35세 이상의 산모 21명(35.6%), 임신성 고혈압 8명(13.6%), 초음파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와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산모(당뇨, 고혈압, 갑상선질환, 심장병, 신장병, 자가면역질환 등)가 각각 5명(8.5%), 조기진통 4명(6.8%), 조기양막파수 3명(5.1%), 임신성 당뇨병과 자궁경관무력증 산모가 각각 1명(1.7%), 2가지 진단을 가진 경우 14명(23.7%), 3가지 진단을 가진 경우 6명(10.1%) 이었다. 2. 고위험 산모의 산후 우울 평균점수는 9.27(±5.65)점으로 산후 우울의 중등도 분포를 보면 정상범주인 0 ∼ 9점이 34명(57.6%), 경한 우울 정도를 나타내는 10 ∼ 15점이 17명(28.8%), 치료가 필요한 중등도 우울을 나타내는 16 ∼ 23점이 7명(11.9%)이었으며, 심한 우울을 나타내는 24점 이상이 1명(1.7%) 이었다. 3. 고위험 산모의 모성정체성 평균점수는 69.1(±11.09)점, 문항 평균평점이 5점 만점에 4.06(±0.65)점으로 모성정체성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산후 우울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으로는 임신 중 정서상태(F=7.68, p=.001), 남편의 가사보조와 정서적 지지(F=7.02, p=.001), 결혼만족(F=6.91, p=.001)으로 나타났고, 모성정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결혼만족(F=7.37, p=.001)으로 나타났다. 5. 산후우울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산과적 특성으로는 제왕절개분만횟수(F=5.69, p=.01), 고위험 임신에 대한 산전 고위험 관련 정보를 들은 경험(t=2.29, p=.05)으로 나타났고, 모성정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산과적 특성은 제왕절개분만횟수(F=7.29, p=.01)로 나타났다. 6. 산후 우울과 모성정체성 간(r=-.595, p=.001)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 대상자수는 적었지만 고위험 산모의 산후 우울은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고위험 산모의 산후 우울이 높을수록 모성정체성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고위험 산모의 산후 우울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고위험 산모의 모성정체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성기능 장애와 관련요인

        김정옥 관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들의 성기능 장애와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투석환자들의 성기능 장애를 개선시키고 성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 설계는 투석환자의 성기능 장애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강원도 G시에 소재하는 2개의 종합병원과 1개의 개인병원에서 2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고 있는 174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2009년 3월 20일 부터 2009년 6월 19일까지 89일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총 67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8문항, 질병관련 특성 5문항, 성기능 특성 15문항, 배우자 지지 13문항, 삶의 질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 t-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사후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기능 장애는 혈액투석 환자는 25.3±18.58점, 복막투석 환자는 18.32±13.44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t=4.11, p=.009)를 보였다. 한편 성기능 장애의 각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발기능력은 혈액투석 환자는 8.00±7.43점, 복막투석 환자는 6.11±5.43점으로 나타나 두 군간 유의한 차이(t=.368, p=.009)를 보였다. 성교만족도도 혈액투석 환자는 3.54±3.32점, 복막투석 환자는 3.83±2.96점으로 나타나 두 군간 유의한 차이(t=4.37, p=0.05)를 보였다. 절정감은 혈액투석 환자는 3.21±3.13점, 복막투석 환자는 1.78±1.93점으로 나타나 두군간 유의한 차이(t=4.44, p=.005)가 있었다. 성욕은 혈액투석 환자는 4.00±1.55점, 복막투석 환자는 3.32±1.27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t=3.60, p=.015)를 나타냈다. 전반적 만족도는 혈액투석 환자는 6.59±3.15점, 복막투석 환자는 3.28±1.85점으로 혈액투석 환자가 복막투석 환자보다 전반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t=4.48, p=.004). 2. 혈액투석 환자의 배우자 지지는 평균 49.74±8.14점으로 나타났고, 복막투석 환자는 52.35±6.86점 이었으나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삶의 질은 혈액투석 환자인 경우 삶의 질은 70.02±14.27점, 복막투석 환자인 경우 65.90±14.41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삶의 질 하위영역 중 신체적 영역에서 혈액투석 환자 17.92±4.87점, 복막투석 환자 16.88±3.74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t=4.891, p=.028)가 있었다. 4.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기능 장애는 혈액투석환자에서는 월 수입정도에서 유의한 차이(t=7.011, p<.001)가 있었고, 복막투석에서는 연령(t=4.175, p=.008), 학력(t=6.586, p<.001), 직업 유ㆍ무(t=5.820, p=.008), 월 수입정도(t=10.50, p<.001), 월평균 치료비(t=6.015, p<.000), 치료비 부담(t=6.30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성기능 장애는 혈액투석 환자에서는 당뇨 유ㆍ무에서 유의한 차이(t=-1.135, p=.039)를 보였다. 복막투석 환자에서는 투석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t=1.033, p=.040)가 있었고 기타 투석 받은 기간, 당뇨 유무, 혈압약 복용 유무, 헤모글로빈 수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성기능 장애와 배우자 지지 및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는 혈액투석 환자군에서 삶의 질과 성기능 장애(r=.574, p<.001)간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복막투석 환자군에서는 삶의 질과 성기능 장애(r=.486, p<.001)간, 배우자 지지와 성기능 장애(r=.308, p=.004)간 그리고 삶의 질과 배우자 지지(r=.325, p=.003)간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투석환자들의 성기능 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환자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성상담과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성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자녀를 둔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심혜영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자녀를 둔 기혼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기혼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으로 간호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G시 일 지역에 소재하는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2곳에서 근무하는 178명의 기혼간호사로 2020년 9월 7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양육스트레스는 Abidin (1995)이 개발한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축약형(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을 이경숙 등(2008)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한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를 사용하였고, 배우자의 양육참여도는 Lamb (1975), Bigner (1977), Brauch와 Barnett (1981)의 아버지 참여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유 기술형 질문형태로 개발한 최경순(1994)의 아버지 양육참여도 도구를 어머니가 인지한 배우자의 양육참여도 도구로 사용하였다. 일-가정 갈등은 Netemeyer & Boles (1996)가 개발한 일-가정 갈등을 번역 및 역번역을 거쳐 수정 보완한 최현정(2009)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계획된 행위이론의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통제는 이정기 외(2013)의 연구에 근거하여 구성한 손영섭(2019)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는 Lawler (1983)이 개발한 이직의도 도구를 간호사의 이직의도로 수정·보완한 박현숙(2002)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분석 프로그램 Win SPSS 2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혼간호사의 평균연령은 38.9±5.9세이었으며, 연령은 30대가 84명(47.2%)으로 가장 많았다. 자녀 수는 2명이 97명(54.5%)으로 가장 많았고, 자녀의 평균연령은 8.0±5.5세이었으며, 자녀 연령은 미취학 아동(0세∼7세)이 96명(54.0%)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수입은 710.4±735.1만원이었으며, 수입은 500∼1000만원 미만이 132명(74.2%)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 장소는 외래가 72명(40.4%)으로 가장 많았고, 근무경력 평균은 15.8±6.1년이었으며, 근무경력은 20년 이상이 54명(30.3%) 가장 많았다. 근무형태는 주간 근무 94명(52.8%)이 가장 많았으며, 직장생활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가 131명(73.6%)으로 가장 많았다. 이직생각 이유로는 자녀양육이 71명(53.8%)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친화제도 사용 수월함은 ‘아님’이 80명(45.0%)으로 가장 많았고, 양육지지도는 ‘보통’이 109명(61.2%)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12±0.48점으로 중간보다 낮은 정도이며, 배우자의 양육참여도는 5점 만점에 3.59±0.6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일-가정 갈등은 5점 만점에 3.25±0.78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며, 태도는 5점 만점에 2.93±0.92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낮은 정도이다. 주관적 규범은 5점 만점에 2.25±0.92점으로 중간보다 낮은 정도이며, 인지된 행위통제는 5점 만점에 3.53±0.9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3.18±0.94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나타났다. 3. 본 연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근무경력(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배우자의 양육참여도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일-가정 갈등은 근무장소(p=.038), 가족친화제도 사용 수월함(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태도는 연령(p=.003), 근무경력(p=.004), 근무형태(p=.037), 직장생활하는 이유(p=.029), 가족친화제도 사용 수월함(p=.03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은 연령(p<.001), 자녀 연령(p=.046), 근무경력(p=.001), 가족친화제도 사용 수월함(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행위통제는 직장생활하는 이유(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직의도는 연령(p=.034), 직장생활하는 이유(p=.002), 가족친화제도 사용 수월함(p=.005), 양육지지도(p=.00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이직의도는 양육스트레스(r=.272, p<.001), 일-가정 갈등(r=.417, p<.001), 태도(r=.664, p<.001), 주관적 규범(r=.451, p<.001)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인지된 행위통제(r=-.151, p=.044)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배우자의 양육참여도(r=.029, p=.703)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5.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Ⅰ에서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넣은 결과, 연령(β=-.198, p=.005)과 직장생활하는 이유 중 경제적 이유(β=.327, p=.001)와 양육지지도(β=-.220, p=.004)로 나타났으며, 21.0%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7.559, p<.001). Model Ⅱ에서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양육스트레스, 배우자 양육참여도, 일-가정 갈등 변수를 추가로 투입한 결과, 연령(β=-.174, p=.009)과 직장생활하는 이유 중 경제적 이유(β=.308, p<.001), 양육지지도(β=-.188, p=.009), 일-가정 갈등(β=.317, p<.001)으로 나타났으며, 29.6%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9.264, p<.001). Model Ⅲ에서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한 결과, 직장생활하는 이유 중 경제적 이유(β=.179, p=.013), 양육지지도(β=-.150, p=.010), 일-가정 갈등(β=.200, p=.001), 태도(β=.552, p<.001)로 나타났으며, 54.2%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18.460, p<.001). 본 연구는 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기혼간호사의 이직행동을 예측 및 이직을 예방하여 병원의 간호인력관리에 기여하고,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뒷받침할 반복연구를 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대상은 강원도 G시 일 지역에 근무하는 기혼간호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상지역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실시하고, 향후 기혼남성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기혼간호사의 비중, 기혼간호사의 이직률, 이직이유 등을 포함한 기혼간호사의 현황실태조사가 필요하며,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Nurses With Children :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him. Hye Young General Graduate School of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Supervised by professor Lee. Kyu Eun)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married nurses with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8 married nurses employed in two general hospitals, each of which houses over 500 beds and is located in G city, Gangwon-do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7th to 30th, September in 2020.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indows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by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test post-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research subjects' parenting stress was 2.12±0.48 out of 5; spouse’s participation in parenting was 3.59±0.67; work-family conflicts was 3.25±0.78; attitudes was 2.93±0.92; subjective norm was 2.25±0.92; perceived behavior control was 3.53±0.97; and turnover intentions was 3.18±0.94 out of 5. 2. Parenting stres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 experience (p=.005); Work-family confli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ce of work (p=.038) and easiness to utilize the family-friendly policies (p<.001); Attitud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3), work experience (p=.004), shift pattern (p=.037), reason for working (p=.029) and easiness in utilizing the family-friendly policies (p=.036); Subjective nor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1), age of children (p=.046), work experience (p=.001) and easiness in utilizing the family-friendly policies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son for working (p=.022); and turnover inten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34), reason for working (p=.002), easiness in utilizing the family-friendly policies (p=.005) and parenting support (p=.005). 3. Turnove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r=.272, p<.001), work-family conflict (r=.417, p<.001), attitude(r=.664, p<.001) and subjective norm (r=.451, p<.001) b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behavior control (r=-.151, p=.044). 4.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of married n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of subjects in Model I were age (β=-.198, p=.005), economic reasons among the reasons for working (β=.327, p=.001), parenting support (β=-.220, p=.004),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21.0% (F=7.559, p<.001).; those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of subjects in Model Ⅱ were age (β=-.174, p=.009), economic reasons among the reasons for working (β=.308, p<.001), parenting support (β=-.188, p=.009), work-family conflict (β=.317,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29.6% (F=9.264, p<.001).; those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of subjects in Model Ⅲ were economic reasons among the reasons for working (β=.179, p=.013), parenting support (β=-.150, p=.010), work-family conflict (β=.200, p=.001), attitudes (β=.552,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2% (F=18.460, p<.001). This study has in an implication, in that it first identifies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of married nurse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is known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may anticipate the turnover of married nurses and prevent the turnover, and therefore,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nursing personnel in hospitals, and it also has another implication, in that it repeated research to provide evidence of the turnover intentions of married nurses, because there are fewer latest studies on turnover intentions of married nurse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on those of nurses and new nurses.

      • 임상간호사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홍지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의 간호 창업 활성화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나아가 기업가적 행동을 촉진하며, 창업역량을 갖출 수 있는 창업 지원을 위한 간호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G시 일 지역의 상급종합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173명의 간호사로 2022년 5월 18일부터 6월 3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창업에 대한 태도는 종합적인 태도측정법을 사용한 김지혜(2018)의 태도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Linan과 Chen (2009)의 창업 의도 도구를 수정 및 번안한 김지혜(2018)의 주관적 규범 도구를 사용하였다.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와 창업 의도는 Linan과 Chen (2009)의 창업 의도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한 김지혜(2018)의 지각된 행위통제 및 창업 의도 도구를 이용하였다.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기홍석(2020)이 개발한 기업가정신 도구를 사용하였고, 창업자기효능감은 기홍석(2020)이 개발한 창업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은 Win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와 독립 t-test,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7점 만점에 2.88점이었고,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성별, 근무 형태, 창업 성공인 유무, 창업 저해요인, 이직 의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창업에 대한 태도,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및 창업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창업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창업에 대한 태도, 진취성, 성별, 이직 의도로 나타났으며, 70.5%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부심, 직업존중감, 조직몰입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두리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부심, 직업존중감, 조직몰입, 간호업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G시 소재 종합병원 두 곳의 임상간호사 총 1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2020년 10월 19일부터 10월 28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2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총 177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문직 자부심은 5점 만점에 평균 3.56점, 직업존중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78점,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평균 2.99점,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9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부심은 학력(F=3.728, p=.026), 근무형태(F=-2.159, p=.032), 직책(F=9.06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업존중감은 학력(F=6.011, p=.003), 근무형태(F=-2.366, p=.019), 직책(F=8.4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4.314, p=.015), 직책(F=4.683, p=.010), 부서(F=4.253,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간호업무성과는 전문직 자부심(r=.412, p<.001), 직업존중감(r=.474, p<.001), 조직몰입(r=.219, p=.00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요인은 연령(β=.195, p=.005), 내과계 병동 부서(β=.159, p=.018), 집중치료실 부서(β=-.162, p=.017), 직업존중감(β=.364, p=.001)으로 설명력은 29.4%였다.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병원 조직은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부심, 직업존중감, 조직몰입을 종합적으로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임상간호사들이 조직에 남아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프로토콜 마련, 임금과 공평한 승진 기회 제공, 간호사들의 의사를 반영한 정규적인 부서 이동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의 중요도와 필요성에 대해 인식시키고 도모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병동 간호사와 응급실 간호사의 극복력과 간호근무환경,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지연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병동 및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극복력, 간호근무환경,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자료는 G 도에 소재하는 4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6월 15일부터 2020년 4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고, 수집된 자료 중 총 237부의 자료가 SPSS 26.0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극복력은 5점 만점에서 병동 간호사는 총점 평균 3.60±0.46점, 응급실 간호사는 총점 평균 3.62±0.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31, p=.761). 극복력의 패턴별 점수에서 병동 간호사는 전문가적 패턴이 3.82±0.51점으로 가장 높았고 철학적 패턴이 3.45±0.55점으로 가장 낮았고, 응급실 간호사는 전문가적 패턴이 3.83±0.44점으로 가장 높았고, 철학적 패턴이 3.36±0.57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연구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서 병동 간호사는 총점 평균 2.54±0.39점, 응급실 간호사 2.48±0.45점으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99, p=.325). 병동 간호사와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하위영역별 정도 비교에서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가 병동 간호사 2.54±0.59점, 응급실 간호사 2.77±0.4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3.17, p=.002),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에서 병동 간호사 2.72±0.41점, 응급실 간호사 2.59±0.48점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6 p=.025).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별 점수에서 병동 간호사는 간호 관리자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가 2.84±0.46점으로 가장 높았고,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이 1.96±0.53점으로 가장 낮았다.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별 점수에서 응급실 간호사는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가 2.77±0.48점으로 가장 높았고,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이 2.00±0.59점으로 가장 낮았다. 3. 연구 대상자의 소진은 5점 만점에서 병동 간호사는 2.87±0.44점, 응급실 간호사 2.89±0.49점으로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29, p=.776). 4. 연구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서 병동 간호사는 3.11±0.77점, 응급실 간호사 3.45±0.98점으로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00, p=.003).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에서 병동 간호사는 연령(F=6.02, p=.003) 연봉(F=4.34, p=.006), 연장근무시간(F=4.70, p=.011)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는 연령(F=3.98, p=.022), 경력(F=3.10, p=.019)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병동 간호사의 극복력, 간호근무환경 및 소진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는 이직의도와 소진(r=.52, p<.001)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 간호근무환경(r=-.44, p<.001), 극복력(r=-.21, p=.012)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의 극복력, 간호근무환경 및 소진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는 이직의도와 소진(r=.57, p<.001)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 간호근무환경(r=-.39,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극복력(r=-.14, p<.17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7. 병동 간호사와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시행한 결과 병동 간호사의 영향요인은 소진(β=.39, p<.001), 간호근무환경(β=-.29, p<.001)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7.5%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영향요인은 소진(β=.45, p<.001), 현 부서 경력 7년이상(β=.36, p=.006), 3년이상∼5년미만(β=.34, p=.006), 1년이상∼3년미만(β=.31, p=.016), 5년이상∼7년미만(β=.30, p=.010), 연령 40세이상(β=-.24, p=.010)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40.3%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병동 간호사는 소진, 간호근무환경이었고, 응급실 간호사는 소진, 현 부서 경력, 연령이었다. 이로 볼 때, 병동 간호사와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진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 충원과 물질적 지원을 통하여 간호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응급실 간호사는 1년이상의 경력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도록 하며, 조직 내에서 업무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Abstract Effect of Resilienc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between Ward Nurses and Emergency Room Nurses General Graduate School of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Kim Ji-yeon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Supervised by professor Ji Eun Jo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ilienc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ward nurses and emergency room nurs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strategy to manage nursing personnel in the future. For the research dat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nurses working in 4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June 15, 2019 and April 15,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237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resil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mean score of ward nurses was 3.60±0.46 out of 5.0 while that of emergency room nurses was 3.62±0.42,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0.31, p=.761). In the scores for each pattern of resilience, ward nurses showed 3.82±0.51 for the specialist pattern as the highest score and 3.45±0.55 for the philosophical pattern as the lowest while emergency room nurses showed 3.83±0.44 for the specialist pattern as the highest score and 3.36±0.57 for the philosophical pattern as the lowest. 2. As for the mean score for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rd nurses showed 2.54±0.39 out of 4, and emergency room nurses did 2.48±0.45,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0.99, p=.325). In the comparison of sub-domains of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between ward nurses and emergency room nurses, the score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was 2.54±0.59 with ward nurses and 2.77±0.48 with emergency room nurse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3.17, p=.002), and the ground for good quality nursing was 2.72±0.41 with ward nurses and 2.59±0.48 with emergency room nurses, which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26 p=.025). In the scores for the sub-domains of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ward nurses showed 2.84±0.46 for nursing manager's competence, leadership and support for nurses as the highest score, and 1.96±0.53 for sufficient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 as the lowest. In addition, emergency room nurses showed 2.77±0.48 for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as the highest score and 2.00±0.59 for sufficient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 as the lowest. 3. The scores for burnou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2.87±0.44 out of 5 with ward nurses and 2.89±0.49 with emergency room nurses,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0.29, p=.776). 4. The score for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3.11±0.77 out of 5 with ward nurses and 3.45±0.98 with emergency room nurse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3.00, p=.003). 5. In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rd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6.02, p=.003), salary (F=4.34, p=.006) and overtime working hours (F=4.70, p=.011). In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emergency room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3.98, p=.022) and service time (F=3.10, p=.019). 6.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resilienc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burnou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ward nurses, turnover inten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52, p<.001) while having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r=-.44, p<.001), and resilience (r=-.21, p=.012).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resilienc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burnou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emergency room nurses, turnover inten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57,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r=-.39, p<.001) while showing no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14, p<.172). 7.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ward nurse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burnout (β=.39, p<.001) and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β=-.29, p<.001), and their explanatory power for turnover intention was 37.5%.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burnout (β=.45, p<.001), service time at the current department of over 7 years (β=.36, p=.006), that of 3 - 5 years (β=.34, p=.006), that of 1 - 3 years (β=.31, p=.016), that of 5 - 7 years (β=.30, p=.010), and age over 40s (β=-.24, p=.010), and their explanatory power for turnover intention was 40.3%.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tervention programs that manage burnout continuously and even prevent it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ward nurses and emergency room nurses. Furthermore, to lower turnover intention of ward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through reinforcement with sufficient personnel and material support. In case of emergency room nurses, actual causes should be identified and improved, and appropriate rewards for the work within the organization need to be offer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the experienced nurses with more than 1 year of servic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