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제 드론의 선호도 분석 및 효과

        박진욱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방제 드론의 선호도 분석 및 효과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 진 욱 지도교수 강 신 수 본 연구는 농민들이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제 드론 CERES 10S, DJI MG1-S, 순돌이에 대해 선호도 조사를 한 후 다른 농민들이 방제 드론 구매할 때 하나의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강릉시와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농민을 대상 으로 정했고, 농민들이 제일 중요시 생각하는 경제성, 고객 관리, 제품 품질, 편리성에 대해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방제 드론별 경제성, 고객 관리, 제품 품질, 편리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의 사후분석을 통해 방제 드 론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제성, 고객관리, 제품품질, 편리성 모두에서 순 돌이와 다른 방제 드론에서 방제 드론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방제 드 론 선택 속성에 있어 순돌이가 다른 방제 드론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응답자가 사용중인 3개의 방재 드론에 대해 지속적 사용의향에 있어 서 순돌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 추천의향에 있어서 순돌이로 가장 높게 나타나 지속적 사용의향 및 타인 추천의향에서도 순돌이가 가장 높은 선택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3종류의 방제 드론을 다 사용해본 농민들이 CERES 10S와 DJI MG1-S 방제 드론 보다는 순돌이 방제 드론을 전체적으 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

        손현정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성을 알아보며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강원도 G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성격유형 척도로 Myers와 Briggs(1980)가 제작한 성격유형 검사를 심혜숙과 김정택(1990)이 번역하여 표준화시킨 MBTI GS형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측정은 Folkman &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 of Stress Coping Checklist)를 김정희와 이장호(1985)가 요인분석을 통해 선택 개발한 62문항 중에서 박주영(1995)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업탄력성의 측정은 김누리(2008)가 개발한 학업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사후 검정을 위한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MBTI 선호지표 중 외향형(E)이 117명(62.2%)으로 내향형(I) 71명(37.8%)보다 많았고, 감각형(S)이 146명(77.7%)으로 직관형(N) 42명(22.3%)보다 많았고, 사고형(T)이 110명(58.5%)으로 감정형(F) 78명(41.5%)보다 많았고, 인식형(P)이 106명(56.4%)으로 판단형(J) 82명(43.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MBTI 16개 성격유형 중 분포가 많은 순서는 ESTP 유형 32명(17.0%), ESTJ 30명(16.0%), ISTJ 20명(10.6%)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대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4점 만점에 2.51±.44점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망적 사고’로 2.80±.52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적지지 추구 2.53±.62, 문제중심적 대처 2.46±.60, 정서적 대처 2.26±.55 순이었다. 3. 연구대상자들의 학업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66±.56점이었고 자기통제가 3.89±.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친구지지가 3.84±.75점, 긍정적 태도(3.66±.78)와 부모지지(3.66±.81), 과제책임감(3.62±.74), 학습조절(3.50±.8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년(F=3.888, p=.010), 성적(F=4.091, p=.003), 이성 친구 교제경험(t=2.554, p=.011), 간호학과 입학동기(F=2.559, p=.02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적(F=4.007, p=.004), 간호학과 입학동기(F=2.761, p=.020), 간호학 전공만족도(F=10.279,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7. 대상자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t=-3.516, p=.001)과 사회적지지 추구(t=-3.595, p<.001), 소망적사고(t=-2.223, p=.027), 정서적 대처(t=-2.984, p=.003)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대상자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학업탄력성의 차이에서는 에너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E-I 지표와 삶의 방식을 의미하는 J-P형 선호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t=-2.902, p=.004),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t=-3.113, p=.002) 학업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9. 연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과는 유의한 순상관관계(r=.377, p<.001)를 나타내었다. 10.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의 설명요인으로는 간호학과 전공만족도와 성적, MBTI 선호지표 중 판단형 선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있었으며 45.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자신의 감정과 보완점을 이해하고,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대학생활에 높은 동기와 흥미를 줄 수 있는 학업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간호대학생의 대처방식 선택 시 성격이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 성격유형을 고려한 적절한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학업탄력성을 고양시키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경영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 및 교육기관 학과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 관련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어떻게 운영하여야 대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가 조리외식경영학과의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리외식 경영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4년제 대학에서는 보다 우수한 수업 경영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알아보고 양질의 조리교육과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을 도입하였다. 학과의 지속적 발전을 지향하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수업 전략을 논리적 근거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에서 수강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5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프로그램 . 교수전문성 · 교육시설· 행정서비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영향관계에서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이 학과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등을 다중회귀 분석을 통하여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첫째,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둘째, 대학생들과의 원활한 조리교육의 소통에 관한 자료를 제시한다. 셋째, 조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학습만족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한 후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활용한다면 본 연구가 추후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교육프로그램과 교육시설에 대한 영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교육프로그램을 좀 더 신중하게 구성하고 교육시설을 개선할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정서비스와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과 행정서비스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만족의 요인은 모두 중요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시에 대학생이 느끼는 학습만족이 중요하다는 것이 다시 한 번 검증되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2년제 대학과 조리 관련 학원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할 수 있는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주식 시장의 예외적 거래 탐지를 위한 이미지 처리 기반의 딥러닝 예측 모델 연구

        김기현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주식 시장의 예외적 거래 탐지를 위한 이미지 처리 기반의 딥러닝 예측 모델 연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김기현 지도교수 전진호 COVID-19 팬데믹(pandemic)으로 대면 서비스에 대한 불안감이 증대되면 서 교육, 의료,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비대면 기술(untact technology)이 빠 른 속도로 발전해 나갔다. 이에 따라 핀테크(비대면 금융 기술) 산업도 가속 화 되었지만 양면적으로 원격 거래의 취약성과 보안의 허점을 악용한 사기 (Fraud) 범죄가 급증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금융 환경과 주식 시장의 다양한 거래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예외적 거래 탐지 모 델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과정을 강화하여 금융 시 장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예외적인 거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비정상 금융 거래 탐지 시스템(FDS)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주로 숫자 속성, 시간적 패턴, 블랙 리스트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일부 특정한 상황에서는 유 용할 수 있지만, 복잡하고 다양한 금융 시장의 동향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계열 데이터를 이미지 시퀀스로 변환하여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금융 시장의 복잡한 패턴 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외적인 거래를 더욱 정확하게 탐지하는 모델 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금융 시장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더욱 강력하고 유연한 거래 탐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표이 다. 이러한 연구는 금융 기관들은 더욱 효과적으로 위험을 관리하고, 투자자 들은 더욱 안전하게 투자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실제 금융 시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평 가하기 위해 과거 10년치의 KOSPI 주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실증하고 모델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미지 클러스터링 기반 기계 학습 예외 적 거래 탐지 모델과 이미지 하이브리드 기반 예외적 거래 탐지 모델은 기 존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기계 학습 예외적 거래 탐지 모델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더욱 정확하 게 예외적인 거래를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안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 검증하기 위해 앞서 실험한 데이터와 동일한 길이의 실제 A 기업 주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한 결과, 과거 주 가 데이터의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해 일반적인 패턴과 다른 예외적인 급락 및 급등 지점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능력을 보였다. 이는 새로운 데이 터에 대해서도 일반화가 가능하고 중요한 이벤트를 감지하는데 가치가 있음 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주식 시장의 예외적 거래를 탐지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기반의 딥러닝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주식 시장 데이터에 적용하여 유효 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시계열 데이터를 이미지 시퀀스로 변환하여 딥러닝을 활용해 예외 적 거래를 탐지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기계 학습 방법론에 비해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을 실제 주식 시장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높은 성능을 보여 딥러닝 기반의 예 외적 거래 탐지 모델은 금융 시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딥러닝과 금융 기술의 융합이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인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금융거래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본 연구는 주식 시장의 예외적 거래 탐지를 위해 이미지 처리 기반 의 딥러닝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지만, 아래와 같은 한계 점이 존재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주식 거래 패턴을 자동으로 학습하고 예외적인 거래를 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모델이 학습한 패턴 내에서의 예외적인 거래만을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모델 이 학습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예외적인 거래를 감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 다. 둘째,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모델의 내부 동작을 해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델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과 도구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결과 를 초래할 수 있어 딥러닝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향 후 과제로는 저차원 및 단기 데이터에 대한 딥러닝 예측 모델의 성능을 향 상시키고 실시간 탐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이 학습(transfer learning) 기법이나 고도화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딥러닝 예측 모델의 복잡한 내부 동작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해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패키지 형태의 솔루션을 제 공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제안한 모델을 금융 분야 외에도 의료, 제조, 신체 활동 모니터링 등 여러 데이터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모델의 안정성과 탐지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여 실제 산업 및 개인 에게 신뢰성 있는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본 연구를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 주제어: 주식 시장, 예외적 거래, 시계열, 기계 학습, 딥러닝, 이미지 처리

      • 신체적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의 구조분석 : : -장애특성을 고려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김태임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신체적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의 구조분석: -장애특성을 고려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 태 임 지도교수 이 동 영 아동의 성장과 발달은 단순한 생물학적 진화가 아닌 사회적 권리이자 의무 이다. 이는 아동의 올곧은 발달이 아동기뿐 아니라 이후 생애주기 전반에 지 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한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고 따라서 하 나의 기본권으로서 발달권(right to development)에 해당함에 부양책임자는 이를 지원할 의무를 갖는 것이다. 아동의 고르고 순조롭게 진행된 발달에 가 장 밀접하고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가족환경으로 이중 부모는 아동 발달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내밀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체계이자 변수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화이념에 기초하여 장애아동의 발달권을 실 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중요이슈의 고찰과 이를 통한 실효적 전략 마련의 함의를 도출한다는 대전제 하에,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 의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러한 영향 가운데 장애아 동의 심리내적 메커니즘은 어떻게 작동하며, 장애인 가족으로서 상황적 자 기 이해에 해당하는 가족변수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등을 실증 분석하고 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 발달의 저해 요인인 문제행동을 올바른 인식 하에 최소화하고 부모를 포함한 가족체계를 중심으로 긍정적 발달지원의 다 양한 전략들에 대해 확장된 논의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이의 관계 요소에 대해 외재적 측면 (부모환경)뿐 아니라 내재적 측면(비의도적 통제), 일상적 메커니즘(심리사 회적 메커니즘)뿐 아니라 상황적 역동성(가족 건강성의 조절 효과) 등을 다 차원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 충청지역 소 재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장애관련 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인가족을 대상으 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앞서 설정한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그리고 이러한 인 과모형에서 장애 수용성이 포함된 조절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 (multiple group analysis)을 각각 시행하였다. 분석프로그램은 기술통계 등 기초분석을 위해 SPSS 20.0을, 구조방정식과 다집단분석을 위해 AMOS 20.0을 각각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대한 부모변수의 영향은 유의 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은 독립 적이고 단절적으로 발현하는 기질적 문제라기보다는 보다 관계적이고 상황 적 맥락에서 발현하거나 변화된다는 사실을 대전제로 인지할 필요성을 제시 한다고 하겠다. 둘째, 아동의 비의도적 통제가 갖는 유의미성이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동의 심 리내적 특성이자 문제행동의 선행요인인 비의도적 통제에도 영향을 미침으 로써 문제행동의 증가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아동의 비의 도적 통제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설명하는 설명변수로서도 의미가 있고, 동 시에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을 중개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부모 양육태도의 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 상황적 변수 로서의 인지된 가족 건강성이 그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기능(의사소통이나 문제에 대한 대처 등)이라는 상황적 맥락이 구조 관 계상 영향의 여부와 정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 는 것이다. 넷째, 부모 양육태도의 아동 상황 결정 및 행동 특성에 대한 영향 중 거 부적 태도의 중요성이 통제적 태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즉 아동의 주도 성과 자율성이 지나치게 억제된 통제된 태도도 아동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무관심과 무애정의 방관자적 태도 역시 아동 행동에 부정적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이다. 다섯째, 아동의 문제행동 유형인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 발현이 선행요인 들과의 인과 구조 속에서 상이한 관계성과 결정성을 보이기보다 유사한 메 커니즘으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의하여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의 양육 태도가 미치는 영향의 구조분석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위한 제언 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지원을 위한 다양한 과정 중 기존의 어머니에 한정한 접 근보다는 아버지까지 포함된 ‘부모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아 버지는 가족 체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아버지의 장애 자녀를 수용하는 정도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태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active parenting training: APT)의 내용을 반영하여 부모-자녀관계속에서의 양육체계에 대한 상호적 역할논의와 실천 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둘째, 양육태도의 직접 효과보다 비의도적 통제를 통한 간접효과의 비중 이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된 만큼 아동 주도적 상호작용에서 다양한 놀이 경험 과정 중 주의집중과 억제통제, 주의 전환 및 직면의 기술을 접목하여 진행하면 의도적 통제 성향을 보다 긍정적으로 높이는데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양육태도의 비의도적 통제를 통한 부정적 효과의 일 정한 감소 효과도 기대할 수 있지만, 양육태도 외 다양한 심리 자극에 따른 의도적 통제에 의한 행동 영향도 일정 수준 감소시킬 수 있어 결과적 문제 행동 감소에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가족 건강성이 낮은 집단에 대한 실천적 노력의 필요성과 부모 대 상의 직접적 양육 및 교육 등에 비협조적인 부모들이 상당수 있어 현실적 실무한계에 가족 건강성이 차선적 해결전략으로 가족 건강성이 낮은 장애 자녀를 둔 가족에 대해 장애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긍정심리기반 가족기능강 화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가족 내 연대 의식과 목표 의식의 공유 증대, 의사소통의 체계화와 문제해결 능력의 강화를 도모하며, 현실적 한계로 부 모 대상의 직접적 프로그램 적용이 어려울 경우(가령, 부모의 확고한 양육 방식에 대한 신념과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비협조 등) 이의 대체적 적용으 로 앞서 제시한 긍정심리기반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되 부모가 아 닌 가족에 초점을 맞춰 접목·적용하는 것이 효과적 접근이 될 수 있다. 넷째,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PCIT)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상황별 양육환경과 개별적 장애 특성 및 문제 특성에 맞는 적용이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판단한다. 부모-아동 상호 작용치료(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PCIT)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여 상황별 양육환경과 개별적 장애 특성 및 문제 특성에 맞는 적용이 상 당한 효과를 거둘 것이다. 다섯째, 부모 역할훈련 등을 통한 긍정적 양육태도의 정립, 아동의 의도 적 통제 향상을 위한 심상기반프로그램, 가족 건강성 증대를 위한 긍정심리 기반 가족기능향상 프로그램 등의 적용 시 내외 특성 구분 없는 Tompson & Rudolph(1992)의 통합적 모델의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적절할 수 있다 하겠다. 아동 행동의 다양한 측면을 다양한 이론으로 통합하여 이해하고 다 양한 방법으로 통합적 실천하는 것으로 심리내적 인지치료나 심리외적 행동 치료(행동주의 모델 기반), 체계 내적 개인치료나 체계 외적 관계 치료 등을 구분 적용하기보다 문제행동의 통합적 이해 가운데 실천모델을 통합하여 적 용하는 것이 행동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장애아동이 속한 가족의 가족응집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고, 가족 내 역할의 안정성과 융통성을 위하여 가족구성원안 에서 부모로서의 역할 재조직과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구체적이고 세부적 인 지도 방법을 전달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장애아동, 양육태도,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 가족건강성

      • 만성 구속스트레스에 의한 마우스 행동장애에 대한 복령 추출물의 항우울 및 항불안 효능

        박인준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만성 구속 스트레스에 의한 마우스의 행동장애에 대한 복령 추출물의 항우울 및 항불안 효능 박 인 준 의학과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 박 병 곤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자라는 공막 균류로, 이뇨 및 진정 효능을 갖고 있기 때문 에 동북아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한약재의 일종이다. 복령은 부종, 객담, 두근거 림, 불면증 등에도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만성 구속 스트레스로 유발된 우울 및 불안장애를 동반한 행동 장애에서 복령 추출물 (PCET)이 항우울 또는 항불안 효능을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음성 대 조군과 구속 스트레스를 부여한 스트레스 부여군, 스트레스 부여에 더해 imipramine 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100 mg/kg 체중), 스트레스 부여에 더해 복령 추출물을 투여 한 군(3, 10, 30, 100, 300 mg/kg 체중)으로 총 8개 군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음 성 대조군은 물, 양성 대조군은 imipramine, PCET 투여군은 추출물 현탁액을 14일간 매일 오전 10시에 투여한 후 11시부터 2시간 동안 구속 스트레스를 부여하였다. 스 트레스 부여 15일 후 행동검사를 시행하여 우울 행동 변화를 측정하고, 혈청 코르 티솔과 IL-6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강제 수영시험, 꼬리 매달기 시험, 미로 탈출시 험, 자당 선호도시험 결과 PCET 투여(30 mg/kg 체중 이상)로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 행동 양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혈청 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6(IL-6)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 인된 만성 구속 스트레스가 HPA 축을 활성화하여 부신 피질로부터 코르티솔의 분 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IL-6의 생성 증가에 기인하여 우울 및 불안장애가 동반 되었다는 결과를 입증하기 위해 만성 구속 스트레스를 부여하는 대신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을 15일간 매일 피하 주사(400 ug/kg 체중)하여 부신 피질에 대한 지 속적인 자극을 유도하였다. ACTH 주사 모델에서도 우울 행동장애가 확인되었고, 꼬리 매달기 시험 및 강제 수영시험을 통해 PCET의 투여가 우울 행동장애로 인한 부동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PCET의 투여로 인해 혈중 코르티솔과 IL-6의 수치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PCET는 생활습관 및 환경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에 동반되는 우울 행동 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우울증, 스트레스, 행동장애,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코르티솔, 인터루킨 6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이정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및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은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신뢰감이 각 변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이 진로적응력의 모든 하위요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높은 수준으로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 수행태도, 운명신념이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만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 관계에 성장마인드셋은 부분적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수행태도, 운명신념이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와 교육자를 포함한 기성세대는 자녀세대의 성장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아야 하며, 타고난 지능이나 재능을 우선시하기보다는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는 방향으로의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진로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성장마인드셋 및 유능성 함양 프로그램과 부모수용 프로그램을 접목시킨 교육·상담·코칭프로그램의 연구개발 및 보급 활용을 위한 보다 활발한 논의와 실천적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함수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by appl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hemodialys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9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at five hemodialysis hospitals located in two cities in Gangwon-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1 to January 15, 2022.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indows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by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the study participants averaged 6.26±1.02 out of 7; subjective norms averaged 5.41±1.28 out of 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veraged 5.57±1.34 out of 7;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4.18±0.57 out of 5; knowledge averaged 11.99±2.46 out of 15; self-efficacy averaged 5.15±2.08 out of 7; and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veraged 5.96±1.42 out of 7. 2. The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042), occupational status(p=.045), and hemodialysis period(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p<.001), family monthly income(p=.043), and religion(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ome in the home(p=.013);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 education(p=.005), and monthly income at home(p=.031). 3.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r=.172, p=.013), subjective norms(r=.709,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r=.617, 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r=.224, p=.001), Knowledge(r=.301, p<.001), self-efficacy(r=.295,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I were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β=.202, p=.002), knowledge(β=.286,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13.1% (F=15.55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Ⅱ were subjective norms(β=.513,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9,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2% (F=50.20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Ⅲ were subjective norms(β=.489,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4,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8% (F=43.017, p<.001). This study has in an implication, in that it first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is known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may anticipat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by preventing and managing COVID-19 infe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in advance.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modialysis patients in some areas of Gangwon-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refore we expand the target cities and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are suggested with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예방할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G시, S시에 소재한 혈액투석 병원 5곳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 209명이며 2021년 12월 28일부터 2022년 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 정도를 반영하는 생리적 지표로서 혈중 인(P) 농도, 포타슘(K) 농도, 투석 간 체중증가량(Choi & Choe, 2007; Kara et al., 2007; Kim et al., 2017; Min & Lee, 2006; Saran et al., 2003, Yeun, 2012)을 척도화 시켜서 문항을 만들었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Taghrir et al.(2020)이 개발한 도구를 이수진 외(2021)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자기효능감은 Gerend & Shepherd(2012)가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강은희(2019)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했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2.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 환자의 연령 평균은 59.97±12.83세이었고, 123명(58.9%)이 남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은 128명(61.2%)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74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 내 월수입은 100만 원 이하가 78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없는 사람이 144명(68.9%)이었으며, 종교는 종교가 없음이 107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 형태는 가족과 사는 사람이 133명(63.6%)으로 가장 많았고, 혈액 투석 기간은 평균이 72.36±70.84개월이었고, 본인의 건강 상태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10명(52.6%)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26±1.0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5.41±1.2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평균 5.57±1.34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8±0.5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1.99±2.46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자기효능감은 7점 만점에 평균 5.15±2.0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으며,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96±1.4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3.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성별(t=-2.05, p=.042), 직업 유, 무(t=-2.04, p=.045), 혈액투석기간(F=6.9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학력(F=7.68, p<.001), 가정 내 월수입(F=3.19, p=.043), 종교(F=.6.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가정 내 월수입(F=4.47,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식은 연령(F=6.75, p<.001), 학력(F=3.79, p=.005), 가정 내 월수입(F=3.54,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태도(r=.172, p=.013), 주관적 규범(r=.70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617, p<.001), 제한식이 이행 정도(r=.224, p=.001), 지식(r=.301, p<.001), 자기효능감(r=.29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Ⅰ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제한식이 이행 정도, 지식을 변수로 넣은 결과, 제한식이 이행 정도(β=.202, p=.002), 지식(β=.286, p<.001)으로 나타났으며, 13.1%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15.557, p<.001). Model Ⅱ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513,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9, p<.001)로 나타났으며 54.2%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50.207, p<.001). Model Ⅲ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489,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4, p<.001)로 나타났으며 54.8%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43.017, p<.001). 본 연구는 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 영향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 행위를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미리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 안전관리 측면에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G시, S시에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하고, 향후 복막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여성의 테니스동호회 참가와 스포츠몰입, 운동재미, 활동지속의 관계

        도무환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15

        ABSTRACT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in Tennis Club, Sports Flow, Exercise Fun, and Exercise Adherence among Adult Women Do, Mu-Hwa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ung, Young-L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among sports flow, exercise fun, and exercise adherence, focusing on activities within a adult women tennis club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following steps will be taken; first,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nnis club activities and their level of sports flow, seco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nnis club activities and exercise fun, thir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nnis club activities and exercise adherence, and lastly, the relationship among the women’s motivation for joining the tennis club and the other three factors. The paren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372 randomly sampled female tennis club members residing within 18 cities and towns of Gangwon-do. 22 of the sampled population provided insufficient data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therefore reducing the analyzed population to 350. From the resultant data,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e model analysis using statistic techniques such as SPSS 18.0 and AMOS 16.0 were employed to arrive at the below conclusions. First, from participation frequency analysis there was a variation in sports flow. Motivation affects sports flow positively. Also,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degree of flow is dependent on the participants level. Second, differences exist betwee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degree of sports flow.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fun. exercise fun ranked high and in particular with high level participants. Third, participation frequency is proportional to exercise adherence. The motivation influences participants' exercise adherence as well. The level of participants has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 In conclusion, motivation affects sports flow and exercise fun, however on it's own it does not affect exercise adherence. Furthermore, exercise fun has a direct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but not sports flow. Motivation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exercise adherence but the exercise fun meaningfully is. Therefore motivation and participants' exercise fun together are essential factors for participants' exercise adherence within these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