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水滸傳' 言語藝術硏究

        김정옥 한서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水滸傳』是一部以人民群衆造反爲題材的長篇小說, 由於故事本身的豊富多彩和曲折動人, 再加上寫作技巧的出神入化和高度造詣, 便他成爲中國古典文學中稀有的珍寶, 十五世紀以來一直是廣大讀者所極熱愛的偉大著作. 本論文擬從修辭技學角度以'文事語言'爲主, 對『水滸傳』的語言風格, 個性化語言和修辭技巧進行硏究. 其硏究方法主要從中國傳統的審美批評和鑑賞的方法, 多借用『水滸傳』評論家李卓吾, 金聖嘆等人文學理論的成果, 尤其是從古傳下來的中國修辭學來分析語言藝術成就, 以期淸楚地擺出偉大的文學作品的語言藝術. 本論文共分爲五章, 第一章是諸論, 第五章是結論, 第二章, 第三章, 第四章是本論文的中心部分, 所深討的約容如下: 第二章深討的是『水滸傳』的語言風格, 本章從語言的正確性, 語言的精練性, 語言的形象性, 語言的幽默性來考察和分析了語言的藝術性和思想性. 第三章探討的是『水滸傳』人物的個性化語言. 一部『水滸傳』, 創造了幾十個個性鮮明的人物形象, 人人都有其獨特的個性化語言. 本章從『水滸傳』幾個主要人物和次要人物的個性化語言分析了他們的身分, 性格以及氣質, 持考察了作者塑造人物形象的藝術魅力. 第四章探討的是『水滸傳』語言的修辭技巧.『水滸傳』作者在『水滸傳』裡大量運用了各種修辭技巧, 這些修辭方式表現得千姿百態, 豊富多彩. 本章通過比喩, 誇張, 對照, 親托, 排比, 反復, 對偶, 雙關等修辭技巧的考察, 分析了這些修辭技巧對思想內容起的作用.

      •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김정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eong-oki Kim Counseling Psychology Sa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does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self-efficacy? Second,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flow? Third, do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and offline to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in Korea, and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mong the 410 survey data finally collected, 3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39 questionnaires with missing items.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to fi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simple correlation of collected data, and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with structural equ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bootstrap procedure.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WLEIS (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and adapted and validated by Tak Jin-guk (2007) was us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and self-efficacy was developed by Ayoung Kim and Jeongeun Cha (1996) and Ayoung Kim. (1997)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Lee Jeong-wook (2012) validated the scale was used. In addition, for learning engagement, a scale developed by He (2009) and adapted by Yoo Ji-won (2011) was used based on the Student Course Engagement Questionnaire (SCEQ) of Handelsman et al. (2005).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developed by Baker and Siryk (1984), adapted by Hyun Jin-won (1992), and modified by Oh Min-ah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self-efficacy and has a positive (+)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Third,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by mediat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sequentiall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when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help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difficulties in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other words,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college life, developi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rais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which is the belief that individuals can do it themselves, and persistence and enthusiasm for efforts to achieve in various tasks or activity situations to be performed by learners.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can be higher. This study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at can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Key words: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college life adaptation 국문초록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상지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김정옥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대학생들이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410명의 설문 자료 중에서 결측 문항이 있는 39부를 제외한 371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기술 통계치와 단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모형검증을 위해 AMOS 21.0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랩(bootstrap)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탁진국(2007)이 번안 및 타당화한 WLEIS(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보완하고 이정욱(2012)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몰입은 Handelsman 등(2005)의 학습자 코스 몰입 척도(Student Course Engagement Questionnaire: SCEQ)를 기초로 He(2009)가 개발하고 유지원(201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Baker와 Siryk(1984)가 개발하고 현진원(1992)이 번안하고 오민아(202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습몰입에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학업적․사회적․개인-정서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대학생의 정서지능을 개발하고, 개인 스스로 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인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고,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다양한 과제나 활동 상황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노력의 지속성과 열정 등을 측정하는 학습몰입 수준을 높인다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대학생,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학급응집력의 매개효과

        김정옥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급응집력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의 6개 초등학교 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학급응집력, 학교폭력태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공감능력 측정을 위해서 Davis(1980)의 대인관계반응지수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급응집력 측정을 위해 강순화(1994)가 개발한 집단응집력 척도를 강신석(2000)이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학급응집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초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청소년보호위원회(2003)에서 개발한 ‘폭력 없는 아름다운 학교 만들기’ 학생용을 참고하여 장금순(2005)이 수정, 보완한 학교폭력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학급응집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소벨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각 변인간의 관계는 첫째,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급응집력과 학교폭력태도 또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공감능력과 학급응집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학급응집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바람직한 학교폭력태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아동들의 공감능력을 높여줄 뿐 만 아니라 학급응집력을 향상시켜준다면 바람직한 학교폭력태도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if the class cohesiveness can be mediated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school violence of upp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370 upper grade students in 6 elementary schools in W-city, Gangwon-do. To measure empathic ability, we used Davis(1980)’ Interpersonal Relation Index and Bryant(1982)’s Emotional Awakening Test that was transla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 Seong-hee. To measure the class cohesiveness, we used Class Cohesiveness Scale that was reconstructed by Kang Sin-seok to match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measure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we used Jang Geum-sun’s School Violence Attitude Scale which was modified to elementary school level. The collected data were investigated on the correlation with each variable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of class cohesiveness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In the study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athic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Class cohesiveness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Third, Empathic ability and class cohesiv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class cohesiveness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These results show that enhancing empathic ability and class cohesiveness can help students establish good school violence attitude. This study i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unselors who want to reduce and prevent school violence.

      • 초등학교 고학년에서의 움직이는 조각 지도 방안 연구

        김정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물질문명의 발달은 사회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의 예술작품과 달리 과학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예술가들은 그들의 작품제작에 새로운 표현 방법을 시도하였고 그러한 가운데 움직임도 직접적인 표현매체가 되었다. 움직이는 조각은 바로 이 움직임을 중시하거나 그것을 주요소로 하는 예술 작품으로 키네틱 아트(Kinetic Art)나 시네티즘(Cinetisme)으로 일컬어져온 미술의 한 경향이다. 아동들은 생활 속에서 자연미와 조형미를 발견하고 보고 느낀 것을 만들거나 그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동들이 생활하는 자연이나 주위환경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데 비해 표현활동은 정적인 상태로 남아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적인 표현활동은 움직이는 자연과 생활 속에서 미적 체험을 보다 생생하게 나타내고자 하는 아동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현대미술이 더 많이 수록되어 있어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움직이는 조각에 대해 서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다. 지금까지 미술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교사들에게서도 움직이는 조각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지도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움직이는 조각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현대조각 작품을 생활 속에서 친근하게 느끼고 탐구적인 조형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움직이는 조각을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미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현대 조각 중 하나인 움직이는 조각을 학교현장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움직이는 조각의 이해를 위해 움직이는 조각의 역사와 특성을 알아보고 표현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움직이는 조각을 초등학교 고학년 미술 수업에 지도할 때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움직이는 조각의 지도유형을 표현방법, 재료, 그리고 다른 예술과 다른 교과와의 통합에 따라 나누어 보았고, 각각의 유형별로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움직이는 조각은 아동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둘째, 아동들은 움직이는 조각의 표현방법을 적극 받아들이고 새로운 표현방법을 탐색하였다. 셋째, 움직이는 조각과 다른 예술과 다른 교과와의 통합적 지도는 아동들에게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표현, 더 나아가 창의적인 표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현대조각 작품을 친근하게 대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움직이는 조각 지도에 따른 성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 속에 놓여 있는 아동들에게 움직이는 조각을 감상하고 지도하는 일은 충분히 의미 있고 흥미로운 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행 미술과 교과서에서는 저학년에서 모빌과 움직이는 장난감의 형태로 지극히 단순하게 움직이는 조각을 다룰 뿐이며 고학년에서는 소개조차 하지 않고 있으므로 학년별로 움직이는 조각 작품이 미술교과서에 소개되고 수준에 맞는 지도방안으로 움직이는 조각을 지도해야겠다. 그리고 앞으로 움직이는 조각 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동영상 발상 자료를 많이 개발할 수 있도록 좀 더 많은 교사들이 후속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until present has brought much change throughout general social economic culture. Unlike art works of the past, artists have attempted new expressive methods in the production of their works with the heightene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rough that, movement has become a direct expressive medium. Moving sculptures which are art works that emphasize movement or use it as a main element have been known as Kinetic Art or Cinetis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amiliariz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upper grade levels with pieces of modern sculpture in their every day lives and to search for a systematic method to give instruction on moving sculptures so that they may foster an investigative sculpting attitude. By doing so, teachers in charge of art education will give aid in more effective instruction in school of moving sculptures, a modern type of sculpture. To accomplish the study's objective, first,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moving sculptures were observed and expressive methods examined to bring understanding of moving sculptures. Second, the educational value of teaching moving sculptures in art classes of upper elementary school levels was observed. Third, the instructive forms of moving sculptures was divided according to expressive methods, material, and integration with other forms of art and courses of study, and by framing a draft of instructive plans on each form and applying this to class,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duced. First, moving sculptures give joy to children. Second, children actively accept expressive methods of moving sculptures, and investigate new expressive methods. Third, the integrative instruction of moving sculptures with other forms of art and other courses of study provided children with more flexible and versatile expression, furthermore, it allowed them creative expression. Fourth, it gave them familiarization with modern sculpture.

      • 국내 하우스콘서트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옥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의 대형화 현상은 공연장 역시 피해 갈 수 없는 현실이다. 대형화 현상에 맞춰 관객이 지불해야 할 티켓 가격은 올라가며, 공연장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청중과 무대와의 갭도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연장에서 예술가의 음악이나 작품을 관객은 감상만하는 일방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지니게 된다. 그에 대한 관객의 화답은 박수갈채만 허용된다. 좋은 자리라 할지라도 관객이 느끼는 공허함은 그만큼 커진다. 이런 문제점들을 제기해 보며 본 논문에서는 음악공연(음악회)이 시설이 잘 된 대형 음악전용공간을 벗어나 다른 공간 공연형식 즉, 자신의 집 및 특정 사적인 공간을 공개하여 음악회를 시행하는 하우스콘서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하우스콘서트라는 형식은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기획 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특색 및 영향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하우스콘서트가 우리나라 음악공연계의 발전에 기여함을 조명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방법을 언급하고, 우리나라의 공연장과 해외의 공연장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며 하우스콘서트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18세기 외국의 살롱콘서트를 모태로 국내의 하우스콘서트의 정의 및 배경을 파악하고, 국내를 중심으로 하우스콘서트 현황 및 특성을 연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들을 요약하며, 하우스콘서트의 가치와 의의를 조명한다. 이에 따른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도 언급한다. 하우스콘서트를 귀족들의 사치스러운 풍류정도로만 생각한다면 곤란하다. 물론 이것은 음악가를 자기 집으로 불러 연주를 청하고, 또 파티에 참석한 사람들끼리 독특한 유대관계를 형성하던 귀족들의 살롱문화에 그 맥락이 닿아 있는 것은 사실이다. 허나 오늘날의 하우스콘서트에는 단순한 살롱음악회 이상의 의미가 있다. 공연문화의 다양성 또는 문화적 후원이라는 전문적인 관점이 있기도 하고,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접해본다는 관점도 있다. 어떤 성격이든 간에 하우스콘서트란 문화를 가장 친근하고 밀접하게 체험할 수 있는 형태인 것만은 분명하다. 본 논문이 국내 하우스콘서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기를 기대해본다. Larger phenomenon is a reality in modern society. Theater is also. According to Larger phenomenon, the ticket price goes up. The larger size of Theater is the bigger gap between audience and stage. Typically, an audience has one-way communication system by Appreciating artists’s perfomance in Theater. Audience is allowed the applause only. Although audience has a good position, they`ll feel the emptiness. Having initiated this problem, the study look into house concert that personal house and the private space open to perform a concert to the audience. The study look into house concert`s purpose, program and influence. Through the study look into how house concer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untry music performances. In the introduction, this study refers to the necessity, purpose and the research. And the study look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house concerts through changing of performance space in South Korea and the foreign countries concert. Main subject look into house concert`s definition and background through salon concert of 18c. Focusing on South Korea, the study analyzes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ouse concert.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study, look into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house concerts and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house concert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mentioned also. House concerts are not the elegant luxury of the aristocracy. Of course, this is asking the musicians to play to call home. House concert is based on the salon culture formed friendly among Attended people at the party. But today's House concerts has more meaning than just a simple salon concert. There are a variety of cultural performances in house concert. And it has a professional perspective of cultural sponsorship. House concert has a perspective to encounter new forms of culture. In the conclusion, It is obvious that house concert is space to experience culture the most intimate and tightly. The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House Concert.

      • 장기위탁시설 거주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정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get full support from their parents. Students who are living in trust facilities, not general houses, however, are likely to face some embarrassing questions such as why they do live in such places and if they happen to stir up trouble, then their facilities including themselves are immediately recognized as a bad place. I have recently worked at 'hope high school' for 5 years and got there interested in 5 students who have been living in trust facilities because I thought that paying attention to them could help me to guide them towards more better directions in their school life. In this study, two research subjects and sub subjects of each of them are studied in terms of ethnography. Firstly,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y told me that they would change themselves and asked me to deliver such firm resolutions to their parents and they actually seemed to study hard in school but unfortunately those efforts would not be easily conveyed to their parents, which made them discouraged and they didn't show early enthusiasm or will. Secondly, I studied theirrelations with other friends and teachers. Generally they tend to make efforts to sincerely get along with new friends and think of new friends as their family. In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 contrary, they showed a kind of wariness, carefulness or awkwardness, that's because I think they have got little influences from their parents in daily life. In place of parents, however, teachers could play the role as a good mentor to them. Thirdly, living in facilities has continued to affect their school life and they felt unfairness of entering the facilities and thought graduation would be only a way to escape them and hoped they would go to colleges near their houses, which they thought made them comfortable and live with their family and this goal in fact drove them to staying in school. Fourthly, they felt they were being controlled because they were not in homes. That first got them to study hard to become good men who would be recognized by their mothers or fathers but parents were reluctant to believe their sincerity and the discouraged children complained that living in facilities had still restricted them or they were like prisons. It was believed that children could severely experience mental shock from the very fact that they were left to trust facilities. The longer they live in facilities, the more they suffer conflicts in and outside of them. There are many such facilities in C-myeon, H-gun and a large number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re living in those facilities. More research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understand right themselves.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은 집에서 부모의 전폭적이고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희망을 꿈꾸면서 산다. 그런데 연구자가 최근 5년간 근무한 ‘희망고등학교’에는 각자의 가정이 아닌 학원 시설에서 몇 년간 거주하면서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 5명이 있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의 가족은 대부분 서울이나 부산 등의 대도시에 있고, 각자 조금씩의 다른 이유로 시설에 보내어져 짧게는 2년, 길게는 5년 2개월(2010년 6월 현재) 가량을 머무르고 있다. 여느 학생들과 조금 다른 처지에 있는 그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어떤 다른 일상을 보내고 있는지, 학교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주 제보자들이 학교에서 어떤 일상을 보내고 있는가를 연구 과제 Ⅰ로 삼았다. 그리고 그 하위 과제로 첫째, 수업 활동과 수업외의 활동은 어떠한가? 는 아이들의 태도에 따라 1) ‘어쨌든 나는 열심히 해요.’ 2) ‘마지못해 할게요.’ 3) ‘뭐 하라고 하셨어요?’ 의 세 부류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둘째, 교우관계나 교사와의 상호 작용은 어떠한가? 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 친구끼리는 학교 안에서도 학교 밖에서도 잘 어울려야 하잖아요. 2) 선생님을 멘토로 하기에는 아직 조심스러워요. 3) 선생님도 친구도 부모도 먼 남남으로 느껴질 때가 있어요. 로 나타났다. 연구 과제 Ⅱ로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알기로 하위 과제로 첫째, 시설에 입소하게 되면서 갖게 된 생각이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둘째, 시설에서의 생활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부모는 아이의 교육을 위해 다른 장소로 보내어 특별한 이슈가 있는 방침에 따라 잘 가르치려고 했다고는 하지만 아이들은 부모와 떨어져 시설에서의 엄격한 규칙에 따라 공동생활을 하다보면 원래의 의도와는 다른 갈등을 많이 겪게 된다는 것을 알게 하는 연구이다. 물론 그 아이들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그런 갈등이나 해결에서 드는 시간이나 방법에서 그들 나름의 것들이 다른 아이들보다 더 많이 드는 것도 있었고, 아이가 부모에게 원하는 것과 방향에 대하여 상호간의 검토가 되어져야 하는 것도 틀림없이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