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적 지지기반이 약한 외상경험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구지영 차의과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conducted art therapy on a weak psychological supporting-based child who has had traumatic experience and has not been treated afterwards. this researcher used semi structured approach to minimize chaos in the process and induce an in-depth description of the trauma and as a purpose to observe how psychological supporting-based and internal resources influence and change the child. For this, this researcher have conducted a case analysis by session based on the recorded information, observed data and finished works after the treatment. After that this researcher recorded the changes of the child stage by stage. The art therapy program in this study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rom March 2017 to September 2017 and the total sessions were 25.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hild's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seemed to have gained confidence and reduced frustrated and lethargic behavior from art therapy. Second, the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seemed to have formed security and eased anxiety and fear from art therapy. Third, the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seemed to have experienced positive feelings and increased positive reactions from art therapy. Fourth, the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seemed to have decreased realized stress and enhanced psychological coping ability from art therapy. Fifth, the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seemed to have experienced positive relationships and formed internal supporting-based from art therapy. Through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has concluded that art therap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by providing them with internal resources to overcome trauma and form psychological supporting-based.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study of traumatic experience. However, factors which are inducing trauma and subjects in the study are limited.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observation not a specific variable but a multI-dimensional change in the symptoms expressed in trauma. And this researcher hope it can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art therapy study towards people with traumatic experience. Keywords : Psychological supporting-based, Child with traumatic experience, Art therapy, Case study 본 연구는 외상경험 이후에 적절한 사후조치 및 치료를 받지 못하고 심리적 지지기반이 약한 외상경험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반구조화 접근을 통해 작업 과정에서의 혼란을 감소하고 외상에 대한 심층적인 표현을 유도하였으며, 심리적 지지기반 및 내적 자원 형성을 통해 아동에게 미치는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치료 후에 녹취된 자료 및 관찰된 내용, 작업한 작품을 바탕으로 회기별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단계별로 아동의 변화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7년 3월 28일∼2017년 9월 29일까지 주 1회에서 2회로 실시하였으며, 총 25회기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이 보인 변화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고 위축되고 무기력한 표현 및 행동의 감소를 보였다. 둘째, 외상경험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안전감을 형성하고 불안 및 공포감을 완화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외상경험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긍정적인 표현이 증가하였다. 넷째, 외상경험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각된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심리적 대처능력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외상경험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긍정적 관계 형성을 경험하고 내적 지지기반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외상경험 아동에게 있어 외상을 극복할 수 있는 내적 자원을 마련하고 심리적 지지기반을 형성하는데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심리적 외상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심리적 외상을 유발하는 요인 및 대상의 범주가 한정적인 실정이다. 본 연구는 특정한 변인이 아닌 외상을 통해 발현된 증상의 다각적인 변화사항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가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들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의 다양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소그룹 활동 활용 및 분석 : 역할놀이, 노래, 게임 활동을 중심으로

        구지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영어교실에 역할놀이, 노래, 게임과 같은 소그룹 활동을 활용한 수업의 효용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제시된 소그룹 활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소그룹 활동을 활용하는 학생들의 학습 전략 유형을 알아보고, 수업 중 소그룹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그룹 활동을 활용한 새로운 수업 지도안을 만들고, 그 수업 지도안으로 수업을 실시한 후 소그룹 활동 활용의 효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교사가 소그룹 활동 활용에 대해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소그룹 활동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 전략들에 정통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둘째, 본 논문을 통해 소그룹 활동이 학습자의 네 가지 언어 능력(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동기부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많은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first-grade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 such as role-plays, songs and games. First of all, this thesis analyzes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first-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hen it investigates types of students's using the activities and examines the reac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towards using activities in class.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provides an ideal teaching plan by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And after teaching sessions according to the plan, the results are analyz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argues that teachers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and prepare themselves with effective strategies of using the activities. Second,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small group activities have great effects on improving learners' four skills, motivation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경쟁도 분석

        구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banking industry using the Panzar-Rosse H-statistic. The empirical analysis uses a panel data set of 25 banks for the period of 1992-2006. There is evidence that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in the Korean banking industry is changed throughout the bank consolidation since the Korean currency crisis in 1997. In order to estimate H-statistic as changing the market conditions, four subsamples are taken: the period 1992-1997, 1999-2006, 1999-2002 and 2003-2006.As a result, H-statistic for the period of 1999-2002 is bigger than for the period of 1992-1997. It implies that the Korean banking market has been more competitive after the restructuring in the banking industry done by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H-statistic for the period of 2003-2006 is smaller than for the period of 1999-2002. It implies that the market competition has weakened after the consolidation among large banks for the period of 2001-2004. Therefore it is needed to monit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banking industry in order to prevent the monopoly. 본 연구에서는 Panzar-Rosse의 H-통계량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경쟁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1992년부터 2006년까지의 개별은행의 자료를 수집하여 경쟁도를 나타내는 H-통계량을 추정하였다. 은행이 중개 업무만을 수행한다고 봤을 때 1999년 이후의 은행산업의 경쟁도는 그 이전 시기에 비해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의 기간을 2002년 이전과 이후의 기간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1999년부터 2002년까지는 경쟁도가 상당히 강화되었으나 2003년부터 최근까지의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한 결과 경쟁도는 약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즉, 1999년부터 2002년까지의 기간에는 정부의 금융구조조정으로 인해서 부실은행이 정리되고, 157조원이라는 공적자금이 투입되면서 은행의 경영성과가 좋아졌을 뿐 아니라 경쟁도 상당히 강화된 것이다. 한편, 2001년 금융지주회사가 처음으로 설립되고 은행이 점점 대형화되면서 H-통계량은 감소하여 경쟁도 약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전 시기와 H-통계량이 비슷한 수준이므로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앞으로 은행이 대형화됨에 따라 시장을 주도하는 은행들이 시장력을 행사하여 은행시장의 경쟁도가 약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우리나라 농촌의 인구유입과 지역변화에 관한 연구 : 전남 장흥군 귀촌을 사례로

        구지영 전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농촌은 1960년대 이후 공업화 등 성장위주 경제정책으로 인하여 이촌향도 현상을 경험하였고, 이에 따른 농촌의 인구감소는 고령화, 부녀화, 노동력의 감소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도시에서 농촌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귀촌’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다양한 사회적 경험과 배경을 가진 인구가 지리적 경계를 넘어서 유입되는 현상으로, 농촌 인구의 수적 증가 뿐 아니라 질적인 변화까지 수반하는 인구이동의 한 형태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농촌 인구유입의 한 형태인 ‘귀촌’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지역변화를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서남권에 위치하고 귀촌 양상이 활발한 전라남도 장흥군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장흥군으로 이주한 귀촌인을 귀촌 목적에 따라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귀촌 유형별 집단의 ‘일반적 특징’, ‘귀촌준비형태’, ‘귀촌지역선택’ ‘귀촌 후 경제적·사회적 활동’의 모습을 확인하고, 빈도·교차 분석 및 심층면접을 통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유형화에 따른 각 집단 간의 두드러진 차이는 주로 ‘귀촌 후 경제적 가치 추구 유무’에 따라 나타났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자발적 전업 귀촌형’과 ‘고식적 전업 귀촌형’은 귀촌 현상의 초기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난 유형으로, 귀촌 준비기간이 길고 귀촌 및 농업에 관련된 정보 수집에 적극적이었다. 귀촌을 위한 지역을 선택할 때 ‘농업활동을 위한 유휴지가 많은지’, ‘어떤 재배 작물을 선택할 것인지’를 고려하며, 주로 고향이나 지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귀촌 후의 경제적·사회적 활동은 ‘이윤창출’에 집중되며,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경제적으로 사고하며, 실험적인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들은 마을 원주민과의 공동체 활동에 적극적이고, 필요한 경우 스스로 조직을 꾸려나가는 적극성을 보였다. 반면, ‘농촌 삶 추구 귀촌형’과 ‘노후·휴양 귀촌형’의 비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유형의 경우 최근 들어 그 수가 비교적 증가하고 있는데, 귀촌 준비기간이 짧고, 귀촌 지역을 선정할 때 ‘훌륭한 자연환경’을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 후 경제적, 사회적 활동에 소극적이며, 특히 경제활동의 경우 ‘소량생산’, ‘자급자족’의 형태를 보였다. 이들은 마을 원주민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였는데, 이는 주로 농업방식이나 생활방식 등, 사고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유형의 귀촌인들은 이러한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원주민과 동화되기 보다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스스로의 가치 추구를 유지하며, 동일한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과의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들은 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서로의 가치를 공유하였으며, 귀촌인 뿐 아니라 예비 귀촌인과의 접촉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고, 현재의 농업방식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내용에 따라 ‘귀촌’으로 인한 농촌지역의 변화에 대해 몇 가지 예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농지 비율이 높고 지가가 낮아 유휴지를 획득하기 용이한 농촌 지역의 경우 지속적으로 경제적 목적을 추구하는 귀촌인을 유치하게 될 것이며, 이는 ‘농업활동’이라는 농촌의 기존 형태를 유지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그 생산방식과 생산 작물, 그리고 판매형태 등의 변화가 예상되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경제적 공동체가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우수한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농촌 지역의 경우 서로 다른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다양한 귀촌인이 유입되며, 이들은 ‘경제적 목적’을 추구하는 귀촌인보다 출신지역, 추구가치, 사회적 경험 등이 다양한 사람들로 농촌지역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활동에서도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기 보다는 다양한 농촌의 가치(소농, 친환경 먹거리, 땅의 가치 등)를 추구하는 형태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와 한국의 산업별 가치획득 분석 : 2005년~2015년

        구지영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제 및 산업활동이 국가적인 경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는 세계화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되었다. 경제적 세계화의 대표적인 현상인 글로벌 가치사슬은 전 세계 국가의 생산과 판매 활동이 하나의 사슬로 연결됨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선진국은 생산활동의 이익증대를 위하여 글로벌 가치사슬을 조직하였고, 개발도상국은 경제적 성장을 이룩하기 위하여 이에 참여함에 따라 글로벌 가치사슬이 전 세계적으로 형성되었다. 정보통신기술 및 교통의 발달에 힘입어 글로벌 가치사슬은 가파르게 성장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2008년 발발한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세계 경제체제는 커다란 변곡점을 마주하게 되는데, 본 연구는 이 지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이 시기를 지나며 글로벌 가치사슬의 규모와 형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가치분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산업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시기 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의 참여를 진단하고 변화하는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경쟁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OECD에서 제공하는 TiVA(Trade in Value Added) 2018년 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분석 대상 국가는 64개국, 분석 대상 기간은 2005년에서 2015년에 해당한다. 글로벌 가치사슬의 양상은 산업별 특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을 고려하여 ‘식료품·담배산업(D10T12: 식료품, 음료, 담배 제조업)’, ‘섬유·의류산업(D13T15: 섬유, 의복, 모피제품 제조업)’, ‘컴퓨터·전자산업(D26: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자동차산업(D2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을 연구 대상 산업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은 총수출 분해, 사회 연결망 분석, 패널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수출 및 글로벌 가치사슬 수출은 모두 2009년을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회복세를 찾은 듯하였으나 2011년 이후 본격적인 축소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글로벌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국가는 점점 더 증가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사례연구를 통해 주장했던 글로벌 가치사슬의 위계성 감소를 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발도상국 보다 선진국의 부가가치 획득이 유리한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적 특성과 달리 개발도상국의 가치획득이 증가하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가치획득의 불균형이 완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업별 특성에 따라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긴 했지만, 선진국-개발도상국 간 전통적인 글로벌 가치사슬의 수직분업 관계가 점차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글로벌 가치사슬의 후발주자인 개발도상국의 가치획득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 이를 기준으로 한국의 산업별 가치획득을 진단한 후 산업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산업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료품·담배산업은 원료가 중요하나 지리적인 특성에 의해 원료 생산을 늘리기 어려운 한국의 경우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생산 전략이 필요하다. 섬유·의류산업은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브랜딩과 같은 다운스트림으로의 이동이 부가가치 획득에 중요한데, 한국은 생산량의 증가보다는 다운스트림으로의 이동을 위한 산업 전략이 필요하다. 컴퓨터·전자산업은 전방참여도 증가 및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부가가치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데, 글로벌 가치사슬이 구조적으로 재편되어도 높은 부가가치 획득을 유지하는 선진국과 같이 한국도 핵심 기술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 자동차산업은 여전히 선진국에 의한 거버넌스가 유지되고 있어 개발도상국의 경우 글로벌 가치사슬의 참여가 가치획득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한국의 경우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의존보다는 국내 생산률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핵심부품은 수입에 의존하며, 국내 생산 부품의 수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핵심부품에 대한 개발·생산뿐 아니라 수직계열화된 산업구조에서 탈피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된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를 전 세계 대부분의 무역 관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증한 점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가치사슬의 규모 및 형태, 위계성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기존의 계량 연구에서 추구한 단일한 규칙성의 발견에서 나아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참여 목적이 상이 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로 인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한 점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도가 높아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 큰 국가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의 참여를 진단하고 변화하는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점이다.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economy and industry activities are connected across national boundaries and around the world. The global value chain is a concept that explains that the global production and sales activities are connected to chains, and it is a representative economic globalization phenomenon. In accordance with this, developed countries organized the global value chain to increase their profits of production activities and developing countries participated in it to achieve economic growth, the global value chain has settled in global. With an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ransportation, global value chain is rapidly developed and related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Starting wit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roke out in 2008, however, the global economic system faced a major change. This research aims to start from the point. Through this period, it would be analyzed the scale and form of the global value chain and how the value distribu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changing by industry.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 of the period and to find the ways to secure competitiveness within changing global value chain. The raw data in 2018 of Trade in Added (TiVA) provided by the OECD were utilized with 64 countries to analysis and the period to analysis from 2005 to 2015. Considering that the patterns of the global value chain differ depending on industry features, Food products and tobacco industries (D10T12: Food products, beverages and tobacco),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D13T15: Textiles, wearing apparel, leather and related products), Computer and electronics industries (D26: Computer, electronic and optical products), Automotive industry (D29: Motor vehicles, trailers and semi-trailers) were set and analyzed as research target industries. The main analysis methods used for the research are composition of cross export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pane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total exports and global value chain export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009. Since then, they seemed to have recovered for a while, but the full-fledged reduction began after 2011. However, the participated countries in global value chain increased, and the quantitative decrease in the hierarchies of the global value chain was confirmed, which was claimed through case studies in previous studies. Unlikely to the typical global value chain structural features,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acquiring added value from developed countries than develop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imbalance in value acquisi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s easing since value acqui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ncreases. Although the pattern of change differs depending on each industry features,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in the traditional global value chai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gradually changing. In addition, influencing factors that increase in value acqui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last-movers to the global value chain, were researched. Based on this, South Korea’s value acquisition by industries was diagnosed and industry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y industry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food and tobacco industry, a strategy for developing and producing high value-added products is needed in South Korea, whe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raw material production due to geographical matters. I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increasing production and moving down-stream such as branding are important for acquiring added value, and South Korea needs an industrial strategy for moving down-stream rather than increasing production. In the computer and electronics industry, where it has high influences by the forward participation ratio and the production of high vlaue-added products, South Korea ought to secure core technologies, like advanced countries that maintain high value-added acquisition even if the global value chain is structurally reorganized. The automobile industry is still maintained governance by developed countries, so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global value chain does not help acquire value. Howev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domestic production rate is higher than the dependence on the global value chain, but core technology parts still rely on imports. Also, exports of domestic production parts are not actively carried out. Therefore, a strategy is needed to break away from the vertical integrated industrial structure as well as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core parts.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the global value chain analyzed through existing case studies was demonstrated by the data including trade relations around the world. From this, it was possible to objectively analyze changes in the scale, form and hierarchy of the global value chain. Second, beyond the discovery of a single pattern pursued in existing quantitative studies,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ith different purposes of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confirming that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changing in different forms. In final, South Korea is a country that has a high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and has a huge impact from changes in the global value chain so it is necessar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cope with this matter, this study diagnosed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and sought ways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in the changing global value chain system.

      •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랜드마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구지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인류는 인위적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려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공공디자인으로 실천하는 녹색성장 도시재생, 인간중심의 도시환경 조성, 친환경을 통한 새로운 도시공간문화를 보여주는 공공디자인은 이시대의 화두이다. 21세기 사회에서의 도시의 모습은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 사회・문화의 맥락적 관계를 통해 도시공간과 인간의 사유적 소통공간이 되어야 한다. 도시환경디자인은 현대 도심사회에서 보여주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을 디자인 하는 분야이고, 도심의 질적인 가치형성 구축과 인간생활환경 전반에 걸쳐 미적가치를 추구하고 가장 양질의 삶을 살 수 있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생활공간 속에서 예술을 접목시키려 노력해 왔으며 생활공간으로서 기능과 함께 아름답게 치장해 주기를 요망하고 기대하게 되었고, 아름다운 도시와 쾌적한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환경도자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 온전한 공존관계를 유지하여 비자연성,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교감하며 풍요로워 질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환경은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도시환경과 자연환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환경에는 불특정한 사람들이 주체로 그 공간에는 공공성이 존재하고 있다. 현재 각 도시들은 후진도시의 틀을 벗어나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 공공영역에 창조적 발상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탈바꿈하고 있다. 환경도자는 기계로 제작되어 획일적 일 수밖에 없는 제한된 재료의 형태가 아닌, 흙의 특수성을 가지고 손으로 만들어진 예술작품으로서 공공디자인과 접목되어 그 도시의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도시에 나름대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는 나름대로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는 쉽게 변하지 않으며 좋은 이미지는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도시는 그렇기 때문에 좋은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 도시환경 속에서 환경도자의 자연 친화적인 표현은 한국적 조형의식과 가치관에 부합되는 좋은 도시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측면에서 도시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나아가 국가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랜드마크의 유형을 고찰하고 도시전략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환경도자의 자연 친화적인 표현은 인간과 주변 환경과의 유기적 연계를 도모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동시에 인간의 건강과 쾌적성을 증진시킨다. 좀 더 포괄적인 자연 친화의 개념으로 도시화, 기계화로 자연환경과의 관계가 단절된 인간의 삶의 방식과 사고체계를 자연에 깊은 애정과 익숙함을 가지고 있던 인간 본연의 심성을 되살리고, 또한 자연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서로 공생하는 관계로 회복시킨다. 따라서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은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관련 연구가 더욱더 활성화, 전문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도자에서의 자연적 요소와 디자인적 형태의 폭넓은 이해와 심도 있는 연구로 병행될 때 바람직한 환경도자의 친환경적인 표현이 21세기에 주목받을 수 있는 도시 브랜드의 형성과 역할을 할 수 있는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본다. 21세기 패러다임으로써 녹색정책의 그리노믹스가 전개되고 있다.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 특성은 랜드마크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첫째, 생태학적 관점에서 추구되는 환경 친화적인 자세와 한국의 친자연성과 닿아 있으며 둘째, 한국적 조형의식과 가치관에 부합된다. 국가경쟁력의 중심이 도시경쟁력이고, 도시의 상징은 국가상징과 공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스토리와 역사적 맥락이 존중되는 창의적이고 유한한'희소가치'로 존재하는 랜드마크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oday, human-beings are showing their intentions to return to the gree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at they are realistically adjusting to the artificial environment. They are the issues to recycle the green growth city practicing with the public designs, ,make the human-oriented urban environments and make the public designs showing the new culture of the urban space through the environment-friendly works. The image of the city in 21st century needs to be the private communicative space between human-beings and the urban spaces through the contextual relationships of the society and the culture in the middle of the passage of tim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designing of the urban environment is the field that designs all the visual elements which are shown in the center of the modern city and its goal is to build the qualitative value of the center of the city, pursue the aesthetic value throughout the life environment of human-being and make the pleasant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have the highest quality of living. People have tried to graft art in the living space. They came to expect them to be decorated gorgeously with the function as the living space and ask for the beautiful city and the pleasant spac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vital to make a space where human-beings and environment can commune with, be abundant and overcome the denaturalization and dehumanization by keeping the intact coexistence between human-beings and the nature.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 ceramics not only preserves the natural environment by promoting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human-being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also enhances the pleasantness and the heath of human-beings. To tell from mor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friendly notion, it can bring back the true nature of human-beings which used to have a deep affection and comfortableness about the nature from the way of lives and the process of thinking of human-lives which were broken off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the civilization and mechanization. In addition, it extend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and restores to go back to the coexistence relationships. Thus, the relevant study of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environmental ceramics needs to be invigorated and specialized more and more to promptly meet the needs of the times which are to build a pleasant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Furthermore, when it goes with an in-depth study and an ext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al elements and the designing form in the environmental ceramics,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desirable environmental ceramics can be a landmark that can play a role of building an urban brand which can be noticed in 21st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city strategic examples and considered the form of landmarks which can contribute to building the national brand, from a point of view of building a good urb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alues and the awareness of Korean modeling as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environmental ceramics. The environment means the surrounding situations, which consists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natural environment. Unspecified people in the urban environments are the main agents and there are the publicity in the space. Nowadays each city is trying to change the image of their cities with adapting the notion of the public designing in order to get out of the image of the underdeveloped city. The environmental ceramics is a work of art made by hands with soil possessing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with the same material which cannot help but limited as made by machines. Thus, it has enough elements that can express the image of the city creatively, crafted with the public designing.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tailed areas where the environmental ceramics are used in a variety of places currently in the urban spaces through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public design elements showing the publicity in the environments of modern cities. Furthermore, it intends to show the directions of the landmarks to create the urban image more effectively. People have their own images about the cities and the city has its own identity, as well. A good image forming in the mind of people doesn't change easily and it plays a positive role on many parts. That's why the cities are trying hard to build a good identity. Greenomic (Green + Economy) of green policy is being progressed as a paradigm of 21st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 ceramics is to build the landmarks. Thus, the first,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pursued from the biological point of view is very close to the environment-friendly nature of Koreans. The second, it corresponds to the values and the awareness of Korean modeling. The core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s the city competitiveness and the symbol of a city shares with that of a na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looking for the directions of the landmarks which exists as creative and limited 'scarcity value' which the story of the c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 are respected.

      • Pectinase 처리가 블루베리의 과즙 수율에 미치는 영향

        구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effects of blueberry cultivars and pectinase treatment on the extraction yiel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ueberry juice were investigated. Type and reaction conditions of pectinase were also investig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action yield of the juice. Among the cultivars of blueberry such as Nelson, Duke, Reka and Jersey used in this study, Reka showed the highest yield in the juice prepared without the enzyme treatment. Therefore cultivar Reka was used for further study with pectinase treatment. When Reka blueberry juice was prepared with treatment of two different commercial pectinase enzymes, Rapidase C80MAX showed a higher juice yield than Rapidase prees L.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Rapidase C80MAX enzyme treatment were 0.01% of concentration (w/w), and at 50℃ for 120 min . The enzyme treatment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juice from 70.46% to 87.55%. Soluble soild content also increased from 8.8 °Brix to 9.2 °Brix in the enzyme treated juice. Total acid content rather slightly decreased from 0.97% in the juice prepared without the enzyme treatment to 0.71% in the enzyme treated jui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Hue and intensity of the juices regardless of the pectinase treatment. However, the enzyme treatment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total phenol content (0.30% to 0.45%) and DPPH radical scavenging in the juice compared to the juice prepared without enzym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