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조아람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재 유·소아의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학습을 비판하고, 현재까지 연구된 영아․유아․아동 및 어린이의 학습법의 뇌과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어떠한 학습법이 연구․실행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연구방법: 국회 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연령별 뇌과학에 기반한 학습법과 관련하여 검색된,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학술지와 학위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1차로 ‘뇌’, 2차로 ‘학습’ ‘교육’, 3차로 ‘영아’ ‘유아’‘어린이’‘아동’으로 검색하였고 그 중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 및 학술지만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학위 논문 16편과 학술지 14편 총 30편의 논문이 분석 자료로 수집 되었다. 영아기에는 뇌의 뉴런의 발달과 수초화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가속화되는데, 사회․인지․정서 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유기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이나 정서활동을 통해 창의성 및 학습능력, 긍정적 자아감 등에 도움이 된다. 유아기에는 전두엽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전전두피질을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기의 뇌는 예체능활동으로 발달할 수 있으며 음악이나 신체활동, 뇌호흡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 다중지능 등에 도움이 된다. 아동 및 어린이는 두정엽과 측두엽의 발달 시기로, 각 뇌를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뇌호흡프로그램이 학습능력, 집중력 등에 도움이 된다. 결론: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별 뇌과학적 근거를 둔 더욱 다양한 학습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riticizes the prerequisite learning which do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of brain in ag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on the method of learning based on the brain-science and to know what studies were searched, conducted and what the effects were. Methods : First, the studies were found through Assembly library and RISS, with the search words 'learning' 'education', 'baby' 'infant' 'child', and were pick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in aging. Results : A total of 30 studies including 16 of dissertations and 14 of journals were collected. In baby, the development and myelination of brain neurons are accelerat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and influenced with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movement. Therefore, sensual experience and emotional activity are helpful to creativity, learning ability and positive ego. In infancy, frontal lobe develops actively, the education to develop prefrontal cortex is instructive. Also, the brain of infant can be developed by art and physical educations, music, body movement, brain respiration program will be helpful to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In child, parietal and temporal lobe develop actively, the programs to stimulate each brain including brain respiration are helpful to learning ability, concentration, etc. Conclusion : The studies on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brain-science have been conducting, and with it, more various studies on the base of brain science in aging will be developed. It would be effective to execute 'Korean Medicine Brain Science Education in aging', and it c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and circumstance of the institutions or students.

      •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현정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학생 중 연구 조건에 부합한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9년 5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주 1회, 회기당 90분씩 총 6회기에 걸쳐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매회기 집단미술치료 후 내면 탐색을 돕는 자기 반영적 글쓰기를 작성하였다. 통제집단은 별도의 미술치료 프로그램 없이 사전-사후 비교 목적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에 대한 양적 분석은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독립표본 t-검정, 사전-사후점수 평균분석 및 월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으로는 긍정심리학의 핵심 원리에 따른 회기별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 변화, 자기 반영적 글쓰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t=-4.45, p<.05). 둘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t=-2.80, p<.05). 셋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질적으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 활동으로 그들이 긍정적인 관점에서 자기를 이해하고 내면을 탐색하여 자신의 긍정 자원을 발견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활동에서의 경험과 감정을 집단원과 자연스럽게 나누며 나타난 상호긍정적인 지지 및 응원의 역동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경험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대학생들에게 행복한 삶을 제공하고, 전문인으로서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based group art therapy on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rt therapy major students at C University in Gyeonggi-do. Among the students who indicat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2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10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entailed on six weekly 90-minute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rom May 2 to May 30, 2019. During each session, as an essential part of this research, participants created art images as well as self written reflections to assist their internal search. The 10 control group was participants just involved in pre- and post-tests. The quantitative data of the study analyzed using R program for reliability, independent sample t-test, pre-post score point average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Qualitative results analyzed the variation of self-efficiency, subjective euphoria, and self reflective writing according to the core principles of positive psych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sychology based group art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iency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appeared(t=-4.45, p<.05). Second, positive psychology based group art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appeared (t=-2.80, p<.05). Third, after qualitativ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the self-effic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a positive change appeared. In conclusion, the positive psychology 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These results were positive psychology-based collective art therapy activities that found their positive resources by understanding themselves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nd exploring the inside. Also, the reciprocal support and support of the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which were naturally shared with the group members, seeme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According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field of art therapy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and basic data that positive psychology base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for art therapy major student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happy life to art therapy major students and contribute to their growth as professionals. Key words: art therapy major student, positive psychology, group art therapy, self-efficacy, subjective happiness

      •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이재승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전문대학교의 신입생 충원률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재적인원 대비 중도탈락인원이 늘어감에 따라 여러 어려움이 예상되는 실정이다. 학생의 입장에서는 전문대학교 입학 이후 사회적 인식, 진로의 불투명성 등 다양한 진로장벽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학교를 그만두고 다른 진로의 방향성을 찾게 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진학이라는 진로선택을 하고 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다시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하고 있으며, 중도탈락이라는 선택을 할 경우에는 시간적, 경제적인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으로 인해 중도탈락의도가 발생된다는 가정하에 중도탈락의도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일의 심리학(PWT) 모형을 기반으로 진로적응성과 사회적지지 변인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에게서 총 356부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49부를 제외한 307부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 3.3ver.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23.0의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초통계량을 사용하였으며, PROCESS macro에서 model 1을 이용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model 7을 이용한 진로적응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진로장벽은 중도탈락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 진로적응성에는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없다. 이는 두 변인 외의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탐색했다는 것과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이 아닌 다른 변인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Junior colleges are expected to go through a difficult time due to the fact first, their recent admission rate is decreasing, second, simultaneously the dropout rate is increasing compared to total currently enrolled students. From a junior college student's perspective, he/she might face various career barriers such as negative image of social recognition about junior college and unclear career pathway which result in his/her dropout a junior college and finding another career pathway. Also, it could be a problematic situation in that he/she has to consider another career pathway from not very long ago that he/she just entered the junior college, furthermore, a junior college student needs to take all responsibility time-wise and money-wise, if he/she decides to dropout.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o reduce dropout level of junior college students, assuming that the dropout of junior college students is caused by career barriers they face, and I adopted a career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s as two factors based on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daptability adjusted by social supports in regards to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f a junior college student on his/her dropout intention.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356 answer sheets from currently enrolled students in junior colleges and used 307 answer sheets as data analysis for the study except 49 answer sheets which students' answer is not clea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urvey, I used SPSS 23.0, PROCESS macro 3.3 ver in analysis. Specifically, I used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basic statistics analysis by SPSS 23.0, model 1 to verify adjusting effect by social supports and model 7 to verify adjusted mediating effect by career adaptability by PROCESS macro.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career barriers significantly impact on dropout intention as positive correlation(+). Career barriers significantly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as negative correlation(-).Third, the adjusting effect by social supports was proved to impa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 career adaptability. Last, the mediating effect by a career adaptability adjusted by social supports is proved as meaningless since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dropout intention. Overall, this study means two factors, social supports and a career adaptability don't substantially influence on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dropout. and this study means two factors, career barriers and social support is influence on the career adaptability. so indicating from now on, follow-up study focusing on another factors needs to be performed later on.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way it explored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dropout intention, and it can provide an informative advice to follow-up study related to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dropout that another factors need to be focused on rather than social supports and a career adaptability.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임상미술치료 작품의 특징 분석 : 내용적, 형식적, 색채 분석을 중심으로

        우소정 차의과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임상미술치료 작품 분석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치료 작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경기도 ‘나눔의 집’에서 차의과학대학교 김선현 교수가 실시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위안부’ 피해자의 작품 중에서 조형 작품을 제외한 58점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내용적 분석, 형식적 분석, 색채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적 분석은 주제별 작품 분류, 형식적 분석은 Grünwald의 공간 배치도에 따른 분석, 색채 분석은 한국표준색 색채 분석, 스에나가 타미오의 Heart & Color Method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위안부’ 피해자들의 작품 내용적 특징은 어린 시절, 위안부 시절, 광복 이후, 희망이나 바람의 주제로 나뉘어 각각의 주제마다 표현되는 소재들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품의 형식적 특징으로 Grünwald의 공간 배치도에 따른 형식적 분석은 각 주제별 보여지는 그림의 위치가 달랐으며, 내향적 심리와 수동적 상태를 나타내는 배치가 많았다. 그리고 한국표준색 색채 분석에 따른 명도-채도에 따른 분석에서는 각 주제별 명도-채도의 분포가 각기 보여주는 특징이 달랐으며, 색채를 통한 정서 표현의 객관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위안부’ 미술치료 작품에서 각 분석 기준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나 면접·면담에서 얻기 어려운 임상적 특징을 임상미술치료가 보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미술활동 과정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과거나 욕구, 관심분야, 해결하지 못한 갈등이나 부정적 감정이 표출되면서 자발적인 표현을 유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임상미술치료의 분석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ai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art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art therapy artworks of ‘comfort women’ victim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artwork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who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conducted by Professor Kim Seon-hyeon of CHA University from 2006 to 2012, the formative works were excluded and on the remaining 58 artworks as the research objects, the content analysis, the formal analysis, and the col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artworks by themes, the formal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pace arrangement of Grünwald, and the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Senaga Timor’s Heart &Col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artworks were that the themes were divided into the themes of childhood, of the days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and of hopes and wishes and the material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hemes. 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artwork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formal analysis according to Grundwald’s space arrangement, the positions of the pictures shown by each theme were different.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arrangements representing introvert mentality and passive state. And in the analysis of brightness-chroma according to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chroma in each theme were different and the objective aspect of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color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therapy artworks of the ‘comfort wome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nalysis criteria and this implies that the clinical art therapy can sho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hardly be obtained through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in the process of art activities, it is useful in that the collection of data from diverse aspects is possible by inducing voluntary expression as the past of ‘comfort women’ victims, desires, interesting fields, or negative emotions are expressed. Als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basic data for the analytic framework of the clinical art therapy tha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 COVID-19 이후 대학생의 집단상담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송윤재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ing after COVID-19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and tried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ace-to-face group counseling' affects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the COVID-19 period.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The step of revealing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COVID-19, the experience with member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and how the relationship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affected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COVID-19 was analyzed by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by 158 meaning units, distinguished 23 subcomponents connected to the upper concept subject, and investigated into 10 components that reveal the essence of experience at the final step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phase, which can abundantly look for and contain the subjective meaning of an individual's experience. The resulting 10 components are 'fewer relationships, lonely and easy to be tired', 'feeling a wall in a relationship in SNS (Social Network Service)', 'doubting themselves and having compulsive behavior', 'living adapted to the state of affairs', 'feeling intimate·warm stability', 'empathizing and expressing while modeling the leader', 'new interacting way is awkward but don't hate', 'focusing on the inner side and revealing honestly', 'finding vitality through trivial fun in relationships', and 'becoming more rigid and flexible'. Participants spent a period of physical isolation during the COVID-19 according to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Male students were serving in the military or waiting to return to school. They recalled some experiences of ‘discomfort, worry, embarrassment, and longing’ due to the physical disconnection during the period with the person that they interacted with daily. In addition, the eagerness for face-to-face exchanges had grown although maintaining minority relationships were available through SNS connection or relationship within quarantine guidelines. Female students chose to take a leave of absence because of consideration of departmental aptitude or maintain their studies, and with the decrease of opportunities to establish relationships, they doubted themselves and obsessively checked their relationships out of anxiety. Participants who started university life in which variation relations must be expended online recalled difficulties in departmental aptitude and relationship adaptation because of online university lif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experienced active empathy and accepted healing responses, and through free and honest patency, change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re facilitated by various experimenting. Through the feedback of the group members, they recognized themselves that they had not recognized before, and advanced to the process of inner healing through fun and reflection in deep and shallow relationships. The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has changed from 'withered, lonely, uncomfortable, and anxious' shown in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uring COVID-19 to growing into a 'flexible, hardened, honest, and fre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This study qualitatively confi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which changes from 'isolation, loneliness, uncomfortable, and reduced' relations hip characteristics caused by physic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to a 'flexible, hardened, honest, and free' relationship, and, significantly, it provided an empirical basis that 'expan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could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relational difficult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addition,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effective process research were proposed by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COVID-19, university students, group counseling, group counseling process research COVID-19 이후 대학생의 집단상담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보낸 대학생들의 관계 특성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대면으로 시행된 집단상담 참여 후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2학기 집단상담에 참여한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과 집단상담에 참여한 구성원과의 경험, 집단상담에서의 관계경험이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가 드러나는 과정을 현상학적인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인의 경험에 담긴 주관적 의미를 풍부하게 담아낼 수 있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단계에 따라 158개의 의미단위, 상위 개념의 주제로 연결되는 23개의 하위구성요소와 경험의 본질을 나타내는 10개의 구성요소가 규명되었다. 그 결과로 도출된 10개의 구성요소는 ‘관계맺음이 적어지며 외롭고 쉽게 지침’ ,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이어가는 관계에서 벽이 느껴짐’ , ‘나를 의심하며 강박행동이 생김’ , ‘상황에 순응하여 생활함’ , ‘친밀하고 푸근한 안정감을 느낌’ , ‘리더를 모델링하며 공감하고 표현함’ , ‘새로운 교류방식이 어색하지만 싫지 않음’ , ‘내면에 집중하여 솔직하게 드러냄’ , ‘관계 속 소소한 재미로 활기를 찾음’ , ‘내가 더 단단하고 유연해짐’ 이다. 참여자들은 코로나 19시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물리적으로 고립된 시기를 보냈다. 남학생들은 군대복무 중이거나 복학을 기다리던 시기로 일상적으로 교류하던 대상과의 물리적 단절로 인해 ‘불편감, 걱정, 당혹스러움, 그리움’ 등에 대한 경험을 회고하였다. 또한 SNS나 방역지침에 따라 소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대면 방식의 교류에 대한 간절함이 켜졌다. 여학생들은 학과적성에 대한 고려로 휴학을 선택하거나 학업을 유지하였고, 관계맺음의 기회가 축소됨에 따라 자신을 의심하고, 불안함 때문에 강박적으로 관계를 확인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다양한 관계 확장을 통해 대학 생활 적응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를 온라인으로 시작한 참여자는 학과적성 및 관계적응의 어려움을 회고하였다. 참여자들은 집단상담에 참여하며 집단 구성원과의 관계에서 적극적인 공감과 수용받는 치유적 반응(healing response)을 경험하였고, 자유롭고 솔직한 개방을 통해 다양한 실험(experimenting)을 거치며 ‘대인관계적 교류’에 변화가 촉진되었다. 집단원의 피드백을 통해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나를 인식하고, 깊고 얕은 관계에서의 재미와 반영을 통해 내면적 치유(inner healing)의 과정으로 나아간다. 이와 같은 집단상담에서의 경험은 코로나19 시기의 관계 특성에서 보인 ‘위축되고, 외로운, 불편한, 불안한’ 모습에서 ‘유연하고, 단단해진, 솔직한, 자유로운’ 모습의 상호주관적인 관계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서의 관계경험을 통해 코로나19 시기의 물리적 거리두기로 초래된 ‘고립감, 외로움, 불편한, 축소된’ 관계특성에서 ‘유연하고, 단단해진, 솔직한, 자유로운’ 관계로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질적으로 확인하였으고, 코로나19 시기의 관계적 어려움에 대한 치료적 개입으로서 ‘집단상담의 참여기회 확대’가 고려될 수 있음을 경험적 근거로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점을 통해 효과적인 과정연구에 대한 방법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핵심되는 말 : 코로나19, 대학생, 집단상담, 집단상담 과정연구

      • 의료 방사선 환경내의 기회 감염 정도와 관련요인

        박호성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의료 기술의 발달과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국민 대다수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그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많은 환자들이 영상의학과를 찾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영상의학과는 병원 감염의 위험성이 큰 부서가 될 수 있다. 병원은 다른 어떤 산업체 못지 않게 위험 요소가 높은 환경이 되어가고 있으나 작업 종사자의 병원 감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상의학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나 결국 환자와 직원의 2차 감염의 매개체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영상의학과를 대상으로 진단용 장비 테이블과 손잡이, 방사선사의 손을 대상으로 병원균 실태를 파악하였다 도구는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일반촬영 장치에서 검채 13개와 각 방사선사의 손에서 얻은 검채 44개를 멸균면봉으로 채취하여 증식시키는 방법으로 세균을 증식하여 그 수와 종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병원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 44명에게 검사장비의 위생과 관리에 대한 인식도 1문항, 세균감염에 대한 가능성 인지 1문항, 손 위생 실시여부 1문항, 병원의 손 위생 환경의 만족도 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square test의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병원감염관리에 환경의 조성과 인식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p<.001). 그리고 대학병원의 경우 올바른 손 위생이 이루어 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에도 개인병원 방사선사 보다 많은 수의 세균이 증식하였다(p<.05). 이는 대학병원이 개인병원에 비하여 더 기회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환자와 작업 종사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 병원균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상의학과를 만들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and the growth of household incomes, most of the people have become to be interested in health as it leads to significant early detection and cure of diseases. However the pattern of disease becomes diverse and it makes the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crowded with many patients. Therefore the opportunistic infection could be serious there. The hospital becomes the place which provides high risks of infection danger but it is true that the opportunistic infection of the hospital employees is not still recognized well. The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has developed a lot but it becomes the medium of secondary infection of patients and employees. So this study analyzesthe status of bacteria infection of the examination table, the handle of diagnostic equipment and the hands of radiation staffs in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of the general hospitals and individual ones. And the result shows that some bacteria were found even though it's little. We are trying to make the hospitals to be free of secondary infection securing safety measure to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from occurring to patients and hospital employees. Key Words : Infection, opportunistic infection, prevent

      • 대학생들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의식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진주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self-compassion. For this, a total of 390 university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region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showed that self-consciousness significantl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anxiety and that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depression/anxiety. La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Key words: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self-consciousness, self-compassi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의식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총 3개 대학으로부터 총 39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자의식은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자비는 자의식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양육부담감과의 관계

        정경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양육부담감의 정도와 양육부담감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8세 미만의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111명이었으며, 경기도 H시 장애인부모회, 복지관, 아동발달 센터와 O시 장애인 복지관, 경상남도 J시 정신의학과, S시 아동발달센터에서 2019년 9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6문항, 발달장애 자녀의 일반적 특성 8문항과 Mishel(1998)의 불확실성 도구, 송미순(1991)의 사회적 지지도구, 권중돈(1984)의 부양부담감 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 및 절차를 설명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실시하였다. 연구계획과 서면동의서, 설문지는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쳤다(IRB No. 1044308-201906-HR-034-01).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은 2.85±0.51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하위요인 중 불예측성이 가장 높았으며(3.3±0.69점), 복잡성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2.35±0.57점). 2.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1.99±0.39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가족에 의한 지지가 가장 높았고(2.70±0.63점), 공공기관의 지지가 가장 낮았다(1.43±0.46점). 3.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은 3.12±0.69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기관부담(4.17±0.94점)과 미래부담(3.87±1.00점)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4.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는 음의 상관관계(r=-.292, p<010), 사회적 지지와 양육부담감은 음의 상관관계(r=-.245, p<.010), 불확실성과 양육부담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576, p<.001). 5.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에 미치는 요인은 불확실성, 발달장애 자녀의 연령, 발달장애 자녀의 이상소견 의심시기, 바우처 대상 선정 및 금액에 대한 만족 여부였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0.8%였다.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는 공공기관에 의한 사회적 지지를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교육과 치료를 위한 기관 부족 및 미래에 대한 부담과 불예측성이 높았다. 또한 불확실성이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에 영향하고 있어, 발달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감소와 사회적 지원수준을 다양화하고 지속화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정책과 구체적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tal disabiliti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9 th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isted of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children’s characteristics,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Eligibility criteria were mothers with children who had autistic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ed disability. And childrens' age should be under 18 years old. The study was selected the 111 participants from a Paren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Child Development Center, Welfare Center, Psychiatric hospital in a Gyeong-gi do and Gyeong-sang nam do. Uncertainty tool is a translated version of Mishel scale by Oh(1999).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cale of social support by Song(1991) and care burden using the instrumnet modified by Gwon(2007).. The colled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in the study. Result: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summerized as below. 1. The score of uncertainty was 2.85 ± 0.51, Social support 1.99 ± 0.39, Burden of caring 3.12 ± 0.69 2. Uncertainty, Social Suppor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are Burden affected positively uncertainty(r=.576, p<.001), care burden affected negatively social support(r=-0.245, p=.010), uncertainty affected negatively social support(r=-.292, p=.002). 3.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Care Burden was childrens' age, the expense for caring, the period Suspected child abnormalities, uncertainty.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0.8% of Care Burden. (Adjusted R²= 0.408, P < .001) Conclusion: The relationship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identified. More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ongoing, specific programs that reduce parenting burden by providing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for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 word: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기반을 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긍정사고, 자아탄력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하나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기반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긍정사고, 자아탄력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18명(실험집단=7명, 대조집단=9명)으로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1회기씩 8회기, 총 8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생활 스트레스 척도, 긍정적 사고 척도(Positive Thinking Questionnaire: PTQ), 자아 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 ER), 삶의 만족도 척도(Sar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이며, 이에 대한 자료를 ANCOVA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심리학 기반의 미술치료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긍정적 사고와 삶의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주요어 : 긍정심리학, 긍정 심리치료, 멘탈 휘트니스,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미술치료, 미술치료,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긍정사고, 삶의 질

      • 미술치료 매체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국내 집단미술치료 연구를 중심으로

        조희정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매체가 갖는 치료효과에 대해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2020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집단미술치료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는 Study 1에서 이론중심 체계적 문헌고찰을, Study 2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한 결과를 종합 하는 통합 방법(Mixed-method)을 적용했다. 본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 절차는 Cochrane Handbook(2019)에 근거하였다. 연구 대상문헌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3종류의 서지정보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2020년 7월1일~7월14일, 10월1일~10월8일에 중복하여 검색했다. 본 연구에서 분류한 미술매체 주제어를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 PRISMA Flow Diagram을 따라 대상 문헌을 선정한 결과 국내에서는 종이매체, 수채화매체, 한국화매체, 사진, 콜라주, 점토 및 점성매체, 자연물매체, 섬유매체, 멀티미디어 9개의 매체를 중심으로 실험연구가 수행돼 왔음을 확인했다. Study 1의 이론중심 체계적 문헌고찰의 결과 9개의 매체를 중심으로 총 184개의 문헌에서 294개의 종속변인이 추출됐다. 매체의 종속변인 전체를 종합 고찰한 결과 도출된 18개의 주제 중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상위 5개 주제는 정서, 자아, 특성, 스트레스, 표현이었다. 또한 Study 1에서 연구자들이 제시한 이론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적 요인을 고찰한 결과 9개 매체에서 총 19개의 치료적 요인이 도출됐다. Study 2의 대상문헌은 총 64편으로 한국화매체, 콜라주, 점토 및 점성매체, 자연물매체 4가지 매체에서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사회성, 공격성, 스트레스, 표현 8가지의 종속변인이 추출됐다. 메타분석을 실시해 효과크기를 도출한 결과 한국화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크기에 있어, 우울은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자아효능감, 불안, 스트레스, 표현은 큰 효과크기가 도출됐다.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우울, 스트레스, 사회성에 대해 큰 효과크기가 확인됐다. 점토 및 점성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에서 공격성은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우울,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스트레스는 큰 효과크기가 도출됐다. 자연물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자아존중감에대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토 및 점성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한국화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보다 우울완화에 효과적이었다.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는 한국화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보다 우울완화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점토 및 점성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보다 스트레스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매체중심 집단미술치료연구 전체를 고찰해 매체, 종속변인, 치료적 요인의 상관성을 고찰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론중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병용하는 과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해 종합적 결과와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