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조아람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재 유·소아의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학습을 비판하고, 현재까지 연구된 영아․유아․아동 및 어린이의 학습법의 뇌과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어떠한 학습법이 연구․실행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연구방법: 국회 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연령별 뇌과학에 기반한 학습법과 관련하여 검색된,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학술지와 학위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1차로 ‘뇌’, 2차로 ‘학습’ ‘교육’, 3차로 ‘영아’ ‘유아’‘어린이’‘아동’으로 검색하였고 그 중 연령별 뇌발달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 및 학술지만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학위 논문 16편과 학술지 14편 총 30편의 논문이 분석 자료로 수집 되었다. 영아기에는 뇌의 뉴런의 발달과 수초화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가속화되는데, 사회․인지․정서 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유기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이나 정서활동을 통해 창의성 및 학습능력, 긍정적 자아감 등에 도움이 된다. 유아기에는 전두엽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전전두피질을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기의 뇌는 예체능활동으로 발달할 수 있으며 음악이나 신체활동, 뇌호흡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 다중지능 등에 도움이 된다. 아동 및 어린이는 두정엽과 측두엽의 발달 시기로, 각 뇌를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뇌호흡프로그램이 학습능력, 집중력 등에 도움이 된다. 결론: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별 뇌과학적 근거를 둔 더욱 다양한 학습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riticizes the prerequisite learning which do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of brain in ag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on the method of learning based on the brain-science and to know what studies were searched, conducted and what the effects were. Methods : First, the studies were found through Assembly library and RISS, with the search words 'learning' 'education', 'baby' 'infant' 'child', and were pick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in aging. Results : A total of 30 studies including 16 of dissertations and 14 of journals were collected. In baby, the development and myelination of brain neurons are accelerat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and influenced with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movement. Therefore, sensual experience and emotional activity are helpful to creativity, learning ability and positive ego. In infancy, frontal lobe develops actively, the education to develop prefrontal cortex is instructive. Also, the brain of infant can be developed by art and physical educations, music, body movement, brain respiration program will be helpful to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In child, parietal and temporal lobe develop actively, the programs to stimulate each brain including brain respiration are helpful to learning ability, concentration, etc. Conclusion : The studies on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brain-science have been conducting, and with it, more various studies on the base of brain science in aging will be developed. It would be effective to execute 'Korean Medicine Brain Science Education in aging', and it c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and circumstance of the institutions or students.

      • 대학생의 당뇨병 가계력과 비만도에 따른 식생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당뇨병 발병 위험 지수

        정진희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의 건강한 직계자녀와 당뇨병의 가족력이 없는 건강한 대학생의 식생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당뇨병 발병 위험 지수를 비교하고 당뇨병 가계력과 비만도에 따라 당뇨병 발병 위험 지수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을 위한 당뇨병과 비만 예방 보건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대학생의 당뇨병 가계력과 비만도에 따른 식생활과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당뇨병위험지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C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을 편의 표집하였고 본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제 2형 당뇨병 부모를 가진 건강한 대학생(당뇨병 자녀군) 107명과 당뇨병 자녀군과 성별, 연령, 신체비만지수를 짝짓기한 당뇨병의 가계력이 없는 건강한 대학생(비교군) 107명이었다. 자가보고형 식생활과 건강관련 생활 습관 및 당뇨병 발병 위험 지수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χ² test, t test, ANOVA와 Duncan 다중비교 및 이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1) 당뇨병 자녀군과 비교군 간의 성인병 가계력을 비교한 결과 고혈압 가계력과 심혈관계 질환 가계력은 비교군보다 당뇨병 자녀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가계력 3개를 동반한 빈도가 비교군보다 당뇨병 자녀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2)식생활습관 (1) 당뇨병 자녀군은 비교군보다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빈도는 높았으나 아침을 거르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당뇨병 자녀군은 ‘주 3회 이상’ 과식하는 빈도가 비교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채소와 해조류를 거의 먹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정상체중군보다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 유제품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3) 당뇨병 자녀군과 비교군 간의 건강관련 생활습관인 건강 관심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군 모두에서 건강관심도는 보통이하로 낮았다. 비만도에 따라 체중조절 경험과 식사조절은 과체중군에 가장 높았고 비만에 대한 우려는 비만군에서 가장 높고 다음 과체중군과 정상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4) 당뇨병 가계력에 따른 당뇨병 발병 위험지수와 위험률은 당뇨병 자녀군이 비교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비만한 대학생은 당뇨병 발병 위험지수와 위험률이 높았다. 당뇨병 가계력이 있는 비만한 대학생에서 당뇨병 발병 위험률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당뇨병의 가계력이 있는 건강한 자녀에게 식생활 습관과 건강관련 생활 습관에 대한 인지를 높이고 비만을 조절하는 식생활 습관과 건강관련 생활 습관 실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당뇨병의 가계력이 있는 비만한 대학생은 당뇨병 발병 위험지수가 높으므로 당뇨병 예방을 위한 학교 보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y diabetic offsprings and healthy college students without diabetic family history on eating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habits, and Diabetes Risk Score for Korean Adults according to diabetic family history and obesity level, and to utilize the findings in developing a public health nursing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diabetes and obesity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College student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C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or a convenience sample of 107 diabetic offsprings and 107 healthy students (comparison group) without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Comparison group matched with the diabetic offsprings with gender, age and body mass index.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of a self-reported eating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and Diabetes Risk Score for Korean Adul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χ² test, t-test, ANOVA and two-way ANOVA with Duncan multiple comparis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diabetic offspring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comparison to the comparison group. Also, the offspring group had more frequencies of the family history of diabetes in combination with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in comparison to the comparison group 2) Eating habits (1) The frequency of regular meals was higher in the diabetic offspring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diabetic offspring group more frequently skipped breakfast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frequency of "overeating 3 times or more a week" was also higher in the diabetic offspring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2) A higher proportion of “rarely consumed vegetables and seafoods”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e reponding proportion of “rarely consumed dairy products” was higher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an in the normal weight group. 3) The diabetic offspring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concern regarding as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diet control were the highest in the overweight group, and concern over obesity was the highest in the obese group followed by the overweight group and then the normal weight group. 4) Diabetes risk index and risk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abetic offspring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obese diabetic offspring showed a high diabetes risk rate Finally, diabetes risk index and risk rate were high in obese stud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The findings suggest a need to raise the awareness of eating and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among healthy diabetic offsprings and also a need for practical strategies to establish the eating and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to control obesity. As obese stud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had a high risk index for diabetes, a school health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diabetes.

      • A study on methodology for trend analysis and technology forecasting using unstructured patent data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focused on case of biopharmaceutical field

        김시우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기술예측은 과학과 경제발전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다양한 미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객관적인 데이터의 평가를 통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기술 개발 전략 및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과학 산업분야에서 주요 이슈가 되어 왔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특허 제도가 확립되어 있다. 과학 산업분야의 연구자들은 본 출원공개 제도를 통해 연구와 투자의 중복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특허 데이터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3백만 건이 출원되고 있으며 이는 빅 데이터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허 데이터의 종류는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가 있다. 특허 데이터는 공백 또는 유망기술을 도출하는 등 기술예측을 위한 데이터 소스로 사용될 수 있다. 기술예측을 위한 다양한 특허분석 방법론이 연구되어 왔다. 출원일, 출원인, 국가 코드, IPC code, CPC code 등의 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특허분석 방법론들은 과학 산업의 첨단 기술을 분석하고 의미 있는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특허 분석 결과는 산업 분야의 실질적인 니즈와 간극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목, 초록, 청구항 등 비정형 특허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그러나 비정형 특허 데이터는 거대한 텍스트 코퍼스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 비정형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자연어 처리 기법을 이용한 특허 분석 방법론이 제안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법은 기계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훈련 데이터 세트를 준비하는 것은 어렵고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세트도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분야의 실질적인 니즈와의 간극을 최소화하고 비정형 특허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두 가지 특허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론들을 검증하기 위해,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적용하였다.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신물질 발굴부터 신약개발까지 높은 투자가치와 고액의 자금과 장기투자가 가능한 지식기반 산업이다. 방법론 적용 결과,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향 분석이 가능하였고, 공백 및 유망기술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orecasting can effectively link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prepare for various future situations. Establishing directions for R&D management and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rough the evaluation of objective data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scientific industry. Patent systems are now established in most countries. Researchers in the scientific industry can prevent overlapping R&D research and investment and set effective R&D directions through this application disclosure system. Patent data are filed about 3 million annually worldwide,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ig data. There are two types of patent data: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Patent data can be used as a data source for technology forecasting such as deducing vacant or promising technologies. Various patent analysis methodologies have been studied for technology forecasting. Patent analysis methodology using structured data such as application date, applicant, country code, IPC code and CPC code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analyze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scientific industry and suggest a meaningful R&D direction. Also, results of patent analysis have gaps with the practical needs of the industry. To overcome this, methodoloeis that can actively utilize unstructured patent data such as title, abstract, and claims is required. However, it is not easy to utilize unstructured patent data due to exist in the form of a big text corpus. Patent analysis methodologie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analyze unstructured patent dat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deep learning requires a training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pare this training data set and the provided data set is also limited. In this study, we proposed two patent analysis methodologies to minimize the gap with practical needs in the industrial field and systematically analyze unstructured patent data.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ologies, we applied them to the field of biopharmaceuticals. The biopharmaceutical field is a knowledge-based industry with high investment value and a large amount of money and long-term investment from the discovery of new substances to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s a result of applying methodologies, based on patent data in the field of biopharmaceuticals, trends analysis was possible and vacant and promising technologies could be deduced.

      •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미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ADDIE 모형에 따라 다문화 아동에 대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화간호역량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설계 및 개발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ASKED 문화간호역량 모형을 적용한 총 5회의 이론 강의와 2종류의 시뮬레이션 실습으로 짜여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단계에서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 조사는 2학년 이상 재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실행 및 평가단계의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3학년 재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0월 3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육의 적용 가능성 및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편의표집한 3학년 38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를 적용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교육 전 일반적 정보,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 문화적 역량을 조사하였으며, 교육의 효과성은 교육 종료 후 문화간호역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 문화간호역량 조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로 분석한다.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의 사전, 사후 다문화 아동 간호역량 비교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개발과 평가단계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 요구도 조사 결과 대상자의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는 최대 10점에서 평균 7.70점(±1.27)으로 나타났다.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문화적 의사소통 교육요구가 가장 높았고, 태도 및 기술,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 기본 지식, 이론과 연구에 대한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 후 프로그램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 결과, 교육 전 문화간호역량 평균 3.27(±0.56)보다 교육 후 문화간호역량 평균은 4.44점(±0.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12.31, p<.001). 또한, 문화적 인식(t=-3.73 р=.001), 문화적 지식(t=-10.59, р<.001), 문화적 민감성(t=-4.12, р<.001), 문화적 기술(t=-9.49, р<.001), 문화적 만남(t=-7.18, р<.001)의 5개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우리나라 노인의 의약품 제형 관련 선호도 조사

        이은주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건강과 복지, 안전과 삶의 질은 매우 중요한 사회 문제가 되었다. 복합적 만성질환으로 다제약제를 장기간 복용하는 노인들 중 특히 퇴행성질환이나 소화기질환 등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겪는 경우 복약 불순응으로 이어져 치료목표 도달에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형 경구약의 제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는 노인들의 약물사용 실태와 복약 순응도에 대한 인식, 고형 경구제 복용 경험과 문제점, 경구약의 제형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추가비용 지불의향, 그리고 응답자의 특성을 조사하도록 설계되었고 모두 폐쇄형 질문 방식을 적용하였다.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심의면제 확인을 받고 2021년 10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대상자를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모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응답정보는 Microsoft Excel 2019를 이용하여 입력, 코딩되었다. 설문 문항별 응답 분포는 기술통계분석방법으로 응답자수(n)와 빈도(%)로 제시하였고 응답자 특성에 따라 약의 사용 실태, 알약 복용경험 및 노인 친화형 약제 제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를 적용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2.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총 421명의 노인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292명(69.4%)이 여성이었고, 연령은 65-70세가 214명(50.8%)으로 절반을 차지하였다. 만성질환 유병자는 311명(73.9%)이었고 구강건조나 위식도역류 같은 소화기질환이 117명(27.8%), 뇌졸중, 다발성경화증, 치매, 알츠하이머,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 유병자는 55명(13.2%)이었다. 처방약 복용자는 345명(81.9%)이었으며 1일 복용 알약 수가 5개를 초과하는 경우는 99명(23.6%), 산제를 복용하는 노인은 29명(6.9%)이었다. 질병치료를 위하여 처방약을 잘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동의한 노인은 360명(85.5%)이었다. 알약을 삼키기 어렵다는 노인은 147명(34.9%)이었고 알약 삼킴이 어려워 복약을 하지 않은 경험을 갖고 있는 노인은 113명(26.8%)이었다. 알약 삼킴의 어려움이나 그로 인한 미복용 경험은 나이가 많을수록, 복용 알약 수가 많을수록, 소화기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이 있을 때 유의하게 높았다. 270명(64.1%)은 알약 제형을 개선할 필요성에 동의하였고, 이는 남성보다 여성이, 자택거주자보다는 요양원 등 시설거주자가, 독거노인이, 그리고 알약 삼킴에 어려움이 있거나 그로 인한 미복용 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선호하는 제형으로는 산제가 83명(19.7%), 액제가 243명(57.7%)으로, 액제 선호도가 더 높았다. 한편 제형 개선에 대한 추가 비용 지불 의향이 있는 비율은 218명(51.8%)으로 절반을 넘었고, 40-60%의 추가 비용을 수용하겠다는 응답자가 84명(20.0%)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10-30%가 81명(19.2%)이었다. 본 조사에서는 노인들이 복약순응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고 알약 삼킴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제형 개선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고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향 또한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특화제형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여 처방된 고형경구약을 약국에서 산제화하여 조제하는 임시방편적 대처는 약물의 안정성이나 불순물 혼입, 궁극적으로는 약물효과나 안전성 측면에서 적절한 방안이 될 수는 없다. 노인 인구의 지속적 증가를 고려할 때 연하곤란 문제가 수반될 수밖에 없는 노인에게 약물복용의 편의성을 통한 복약순응도 증가와 안전한 약물사용 측면에서 노인친화형 제형에 대한 관심과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가기 위한 논의의 시작점이 되었으면 한다.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the health, welfare, safe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ecome very important social issues. Among the elderly who take multiple medicines for a long time due to various chronic diseases, especially those who suffer from swallowing disorders due to degenerative diseases or digestive diseases, this cause medication non-compliance, which limits the achievement of treatment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oral solid drugs in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and to investigate preferences for the elderly-friendly formul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7 questions, and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lderly's drug us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cation compliance, experience and difficulty of taking oral solid drugs, and the need to improve oral formulations, and their socio-demographics. All of them was closed-ended questions. This study was exempted from deliberation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CHA University,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nline and offlin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1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input and coded using Microsoft Excel 2019. Responses for each question were presented as the number of respondents (n) and frequency (%) a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drug use, experience of taking solid oral drug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elderly-friendly drug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an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2.1 program. A total of 421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292 (69.4%) respondents were women, and 214 (50.8%) respondents were aged 65-70 years old. There were 311 (73.9%) respondents with chronic diseases, 117 (27.8%) respondents with digestive diseases such as dry mouth and gastroesophageal reflux, and 55 (13.2%) respondent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stroke, multiple sclerosis, dementia,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There were 345 (81.9%) respondents who took prescription drugs, 99 (23.6%) respondents who took more than 5 pills per day, and 29 (6.9%) respondents who took power drugs. 360 (85.5%) respondents agreed that it is important to take prescription drugs well for disease treatment. 147 (34.9%) respondents had difficulty swallowing pills, and 113 (26.8%) respondents had the experience of not taking pills due to difficulty swallowing them. Difficulties in swallowing pills or the experience of not taking pi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older, the higher the number of pills taken, and when they had digestive or neurodegenerative disease. 270 (64.1%) respondents agreed on the need to improve the pill formul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than men, for facility residents such as nursing home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for those who had difficulty swallowing pills or had the experience of not taking pills due to the difficulty swallowing them. As for the formulation of the drug, 83 (19.7%) respondents preferred powder formulation, 243 (57.7%) respondents preferred liquid formulation, and the preference for liquid formulation was relatively higher. Meanwhile, 218 (51.8%) respondents had a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for improved formulation. 84 (20.0%) respondents accepted 40-60% of additional costs, followed by 81 (19.2%) respondents accepted 10-30% of additional costs. Through this study, it were examined that a lot of the elderly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medication compliance, recognized the need to improve formula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pill swallowing, and also they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costs for improved formulations. Although the elderly-friendly formulations are not properly provided, an alternative to powdering prescribed pills at pharmacies can not be an appropriate solution due to drug stability, impurity inflow, and ultimately drug effects and safety issues. Considering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t is hoped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and interest in elderly-friendly formulations to improve drug compliance and safe drug use.

      • 로스팅 인삼 분말을 이용한 커피 및 차류 제품 개발 연구

        김선유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인삼은 대부분 홍삼으로 1차 가공되며 농축액, 캡슐, 분말 등의 2차 가공품으로 소비된다. 수삼은 홍삼 대비 다양하지 못한 제품 형태와 쓴맛으로 인해 소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삼의 활용도 증진을 위해 맞춤형 가공기술 및 이를 활용한 일반 식품을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삼의 건조, 로스팅, 분말화, 그리고 제품개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삼을 열풍과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건조를 하여 이의 특성을 평가, 건삼을 유동층 impingement 열풍 로스팅하여 물리화학적,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산업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건삼과 로스팅 처리된 인삼은 조분쇄와 저온초미쇄분쇄를 통해 분말화되었으며 이의 물리화학적, 흐름성, 인스턴트 특성, 그리고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인삼 농축액을 활용한 인삼 콜드브루 커피와 최종 로스팅 처리된 인삼 분말들을 활용한 인삼 캡슐커피와 차를 개발하여 이의 이화학적, 관능특성, 그리고 소비자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과열수증기의 열전달 속도가 열풍보다 빠르기에 과열수증기를 처리한 인삼의 건조 속도가 더 빠를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건조 장비에서 두 가지 열 매개체가 동등한 유량과 속도 조건 설정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열증기를 처리한 인삼의 표면 구조가 더 매끈하였으며 더 노르스름한 색을 띤 것을 확인하였다. 로스팅 처리된 인삼은 건삼보다 부피가 팽창하였으며 기공 구조의 형성으로 인한 추출 수율과 산성다당체 함량, terpene류 향기 성분 증가, 그리고 구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pyrazine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초미쇄분말은 조분쇄분말과 비교한 결과, 열변성 없이 10 ㎛의 입자크기와 구형의 입자 형태를 가지며 벌크밀도, 탭밀도 그리고 흐름성이 감소하였으며 습윤성, 용해성, 분산성, 입안에서의 느낌이 증가 되었다. 로스팅 처리된 분말은 건삼 분말보다 인삼 향미와 전반적인 기호도가 증가 되었으며 이를 제품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인삼 농축액을 활용한 콜드 브루 커피와 로스팅 인삼 분말을 활용한 인삼 캡슐커피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각각 5점 척도 중 4.0 (약간좋다), 7점 척도 중 5.0 (약간좋다) 이었다. 4가지 인삼 분말을 활용한 인삼 캡슐차의 관능평가 결과, 로스팅 분말을 활용한 차의 모든 관능특성이 건삼보다 우수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동층 impingement 로스팅은 추출 수율과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이며 분말화를 통해 분말 원료를 확보하여 일반 식품으로서 기호성과 음용하기 간편한 커피와 차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ingement drying characteristics of fresh ginseng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powder treated with roasting, and to develop ginseng product for convenient coffee and tea with roasted ginseng powder. Chapter Ⅲ was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profile, moisture contents, color and microstructure of ginseng dried by hot air (HA) and superheated steam (SHS). Impingement dry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raw ginseng cubes, using HA and SHS at 140, 160 and 180℃. Drying rates of ginseng dried by SHS were lower than those dried by HA and the higher temperature, the shorter the drying time. Ginseng dried by SHS was more glossy and dense, because no granule remain on the surface, and more redness. The objective of Chapter Ⅳ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asting and superfine grinding technolog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seng. The bulk density, expansion volume, SEM image, extraction yield, flavor compounds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dried and roasted ginseng were investigated.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EM image, color, ginsenoside, flowability, instant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powder were investigated. Roasted ginseng increased extraction yield and acidic polysaccharide, and detected pyrazine compound. Volume of roasted ginseng was expanded about 1.23 times. Compared with coarse particles, the superfine particles of ginseng powder were decreased bulk density, tapped density and flowability, whereas wettability, dispersibility, solubility and mouthfeel were increased. Roasted ginseng powder received the higher preference scores in ginseng aroma,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Chapter Ⅴ was investigated to develop ginseng coffee and tea for convenient ginseng product with roasted ginse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coffee and tea were evaluated. Roasted ginseng coffee and tea received the higher preference scores in all sensory properties. Through this study, roasted ginseng powder will be applied to food materials such as food flavoring,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usage of ginseng.

      •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이예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성숙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Super(1955)의 진로발달 이론과 Crites(1969)의 진로성숙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집단 미술치료 기법을 도입하여 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P시 C대학교에 진학하고 있는 대학생 총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7명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10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주1회, 매 90분에 걸쳐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가 개발한 한국형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했다. 이 검사는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으로 9문항씩 나누어져 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에 사용한 검사도구는 이기학, 이명주(2000)가 개발한 단축형 진로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를 수정, 보완한 이유민(2014)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5가지 요인인, 자기평가요인, 직업 정보요인, 목표선택요인, 미래계획요인, 문제해결요인 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 Crites(1969)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이기학(1997)이 재개발한 한국형 진로 태도 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총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단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점수가 동일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탄력성 전체 점수가 매우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실험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함으로 미술치료가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보지 못하였지만,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점수의 차이가 크게 올라간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매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 미술치료가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와 이들의 정서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진로에 대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도움을 가져다주길 기대한다. 핵심 되는 말: 미술치료, 대학생,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 소아 아토피피부염에서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의 이용

        김세희 차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소아 아토피피부염에서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의 이용을 알아보고자 2006년 4월부터 2006년 9월까지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피부과를 내원한 중등도 이상의 중증도를 가진 소아(15세 이하) 아토피피부염 환자 10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등도 이상의 소아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부모는 다양한 형태의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 요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치료효과는 확실하지 않지만 서양 의학에 비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부모의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40대 이하로 낮은 경우 40대 이상에 비해 적은 수의 치료법을 사용하고 특히 식이 요법을 선호하며, TV보다는 주로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었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대학교 졸업 이상으로 높은 경우 대학교 졸업 미만인 경우에 비해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고, TV보다는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었으며,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 이용에 많은 비용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소득에 따라서는 월평균소득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에 비해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여러 가지의 치료법을 사용하며,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 이용에 많은 비용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를 통해서 아토피피부염을 가진 환아 부모의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과 이용형태에 차이점이 발견되었고, 의료진은 이를 토대로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The use of oriental medicine(OM) and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CAM) continues to rise in patients with chronic skin disease, especially in those with atopic dermatitis(AD). Objectives : To qualify and quantify the usage of OM and CAM in children with AD Methods : A face-to-face structured questionnaire study of 100 consecutive children with AD and their parent respectively. Results : While 52(52%) out of all patients felt that OM or CAM was safer than conventional medicine, only 9 out of 100 felt it was more effective. Fifty-three out of 100 were happy to combine both types of treatments. Responders of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group tend to think OM or CAM was not safer and less effective than conventional medicine. Eighty-five out of 100 patients(85%) had used, or were currently using OM or CAM. The most commonly used OM or CAM modality was diet treatment(25.9%), followed by bath or hot-spring therapy(23.9%), chineses medicine(chinese herbal medicine, acupucture). Especially the younger parents prefered diet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herapies. About half of the patients(49.4%) who had used OM or CAM had used them on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or friends, 38.1% from media or internet. Responders of younger age or higher education group get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Twenty-three of 85(27.7%) spent between 300,000 Korean Won and 400,000 Korean Won on OM or CAM every month. A large income earner spent more money on OM or CAM than parents in the lower brakets of income. Conclusions :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differ widely from one another with respect to their attitudes to and use of OM or CAM. Key Words : Atopic dermatitis,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Use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오경선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Unlike high school, when students depend on the guidance of teachers or parents in their academic settings, students at universities, which require autonomous performance,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A large number of college students reported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which is a serious problem, such as not only studying but also continuing in the professional scene after entering society and experiencing disadvantages in social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can alleviate academic procrastin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academic procrastination occurs due to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s a result,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lity were adop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parallell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0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and over nationwide, and 294 of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6 copi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or did not fit the age range. The study result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4.0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as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lity, and fear of failure.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no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s a factor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ity student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significantly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not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vility. Since most of th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ere cognitive control variables, it is meaningful that interventions from different directions are needed to control emotions in the academic process. 학업장면에서 선생님 또는 부모님의 지도에 의존하게 되는 고등학교 때까지와는 다르게, 자율적인 수행이 요구되는 대학교에서 학생들은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다수의 대학생이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학업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에 진출한 후 직업적 장면에서 여전히 이어지며 사회적 성취에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로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학업지연행동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학업지연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이 병렬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전국의 19세 이상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나이가 범위에 맞지 않는 6부를 제외한 294부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4.0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정서조절, 실패공포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실패공포는 매개하고, 학업적 정서조절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의 결과를 통해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드러났으며, 더 나아가 실패공포는 학업지연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적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대부분이 인지적 조절 변인이었다는 점에서, 학업 과정에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다른 방향의 개입의 필요하다는 의의가 있다.

      • 대학생들의 개별성-관계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의식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승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개별성-관계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의식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총 5개 대학으로부터 총 4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에서 420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자의식과 자기자비는 개별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