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상압 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어휘인출과제 수행력 비교

        김소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Our brain is a complex and vast collection of neurons closely interconnected in networks, and even minor damage to this neuronal network can be linked to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Successful lexical retrieval requires the activation of both semantic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for meaningful retrieval.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where neurons are damaged, exhibit inefficient lexical retrieval patterns due to cognitive impairment and impair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Ha, 2011). Naming latency refers to the entire process of retrieving a target word from the lexical dictionary and pronouncing it quickly. This process involves attention, perception, memory, vocabulary knowledge, phonological and semantic processes, and speech motor systems. Naming latency is crucial and fundamental in communication, making it essential in language use skills. As cognitive decline progresses, not only does the severity of naming latency disorders increase, but semantic degradation is also evident in errors. Since naming latency defects are a common symptom in all cognitive and language disorder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language abilities of two different disorders, Parkinson's Disease(PD) and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NPH), which show similar clinical manifestations. This study targeted three groups: NPH, PD and normal adults aged 61-79 years. A vocabulary retrieval task, which involves quickly naming pictures, was conducted based on the word list from Cho's "Modern Korean Frequency Survey (2002). The word list considered low-frequency and high-frequency words, and words that frequently showed semantic or phonological errors in language an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were selected. The total scores, reaction times, and error types of the vocabulary retrieval task were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s of the vocabulary retrieval task among the three groups(F=5.66, p<.0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times for the vocabulary retrieval task among the three groups (F=5.22, 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rror types in the vocabulary retrieval task among the three groups (F=198.91, p<.001). In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e vocabulary retrieval task revealed that NPH showed the most overreaction in total scores, slow reaction times in vocabulary output, and various error types. Next, PD without dementia also showed many overreactions in the total scores of the vocabulary retrieval task, similar to NPH. However, the reaction times for vocabulary output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ormal adult group, and the normal adult group showed the fewest over reactions and error types, as well as the fastest reaction times for vocabulary out-put. Error types that distinguish the three groups were semantic errors and non-word errors. NPH and PD showed more semantic errors than the normal group,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NPH, not only semantic errors but also non-word errors were more frequent than in the normal group.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provide more specif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lexical retrieval defects in central nervous system patient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aling with pre-dementia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and language impairment, unlike other existing studies that compare the severity of cognitive and languag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phasia. 우리의 뇌는 복잡하고 거대한 뉴런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간 네트워크가 긴밀히 이루어져야 하고 뉴런 네트워크의 조그만 손상만으로도 중추신경계 질환으로 연결된다. 성공적인 어휘인출을 하기 위해서는 의미적 정보와 음운적 정보의 활성화가 이루어져 의미적인 인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뉴런이 손상된 중추신경계 질환의 환자들은 인지능력과 손상된 정보처리체계로 인해 비효율적인 어휘인출의 양상을 보인다(하지완, 2011). 이름대기는 하나의 목표단어를 어휘사전에서 찾아내어 발음하기까지의 전체과정을 말하며, 의사소통에서 매우 기초적인 언어사용 기술이다. 그 과정에는 주의집중, 지각, 기억, 어휘지식, 음운론적 의미론적 과정, 말 운동체계 등이 모두 결합되어 있다. 말하는 매 순간이 이름대기의 연속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인지저하의 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이름대기 장애의 정도가 심해질 뿐만 아니라, 오류에 있어서도 의미적 퇴행이 보인다. 모든 인지 및 언어장애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이름대기 결함인 만큼,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이지만 다른 두 질환인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과 수두증(Normal Pressure Hydrocephalus)의 언어능력을 본 연구에서 비교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만 61-79세의 정상압 수두증(NPH), 파킨슨병(PD), 정상 성인들 세 집단을 대상으로 그림을 보고 빠르게 이름을 대는 방식인 어휘인출과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단어 목록은 조남호(2002)의 「현대 한국어 사용빈도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저빈도와 고빈도의 단어를 고려하고, 음절수, 친숙성 등을 참고하여 언어 및 인지장애 환자들에서 의미적 또는 음운적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나는 단어들로 제작·실시하였다. 또한 세 집단 간의 어휘인출과제 총 점수, 반응시간, 오류유형에 대해 분석 및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인출 과제 총 점수에 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F= 5.66, p<.05). 둘째, 어휘인출과제 반응시간에서 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F= 5.22, p<.05). 셋째, 어휘인출과제 오류유형 빈도에서도 세 집단 간 유의하다고 나타났다(F= 198.91, p <.001).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논의로, 어휘인출과제를 통해서 NPH가 총 점수에서 가장 오반응을 많이 보였으며, 어휘 산출의 반응시간도 느리고 다양한 오류유형도 많았다. 다음으로 치매를 동반하지 않은 PD 또한 총 점수에서 어휘인출과제에서 오반응을 많이 보이고, NPH처럼 다양한 오류유형도 보이는 모습이었지만, 어휘 산출의 반응시간은 정상성인 집단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정상성인 집단군이 어휘인출과제의 오반응과 오류유형도 제일 적었으며 어휘 산출의 반응시간도 제일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단을 감별해주는 오류유형은 의미오류와 비단어 오류였다. NPH와 PD는 정상군보다 의미오류를 많이 나타내었으며, 특히 NPH의 경우 의미오류뿐 아니라 비단어 오류 또한 정상군보다 많이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중추신경계 환자의 어휘인출 결함에 대한 근거를 파악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알츠하이머와 경도인지장애, 실어증 등을 대상으로 인지 및 언어장애의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비교한 기존 다른 연구들과는 다르게 경미한 인지 및 언어장애를 가진 예비 치매 환자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조음·음운 장애 아동의 조음복잡성 수준에 따른 비유창성 및 조음오류 특성

        신가은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조음·음운 장애를 초래하는 여러 가지 원인은 연령에 따라 습득되어지는 적합한 음운지식 또는 음운체계의 발달 문제를 포함한다. 현재 말더듬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음운적 결함과 비유창성의 관련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 연구들은 많지만, 조음·음운 장애에게서 음운적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비유창성의 특징을 알아보는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만약 음운과 비유창성의 맞바꿈 관계(TRADE-OFF)가 성립된다면, 발화시 음운부호화의 어려움을 증가시키는 독립변수인 조음복잡성을 고려할 때, 조음·음운 장애 아동이 나타내는 비유창성 및 조음오류는 일반 아동이 나타내는 비유창성과는 또 다른 질적인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음·음운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조음복잡성 수준에 따른 비유창성 및 조음오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조음·음운 장애 아동 17명과 일반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조음복잡성 수준에 따른 비유창성 유형별 출현율을 비교하였다. 이후 조음·음운 장애 아동 집단에서 조음복잡성 수준에 따른 비유창성 동반 조음오류와 비동반 조음오류 간 출현율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음복잡성 수준에 따른 조음오류 유형별 발생비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음·음운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비유창성 출현율에는 차이가 없었고 집단과 조음복잡성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조음복잡성 ‘저’보다 조음복잡성 ‘고’에서 유의하게 높은 비유창성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조음 또는 음운적으로 길거나 복잡할수록 말 산출 능력의 어려움은 증가되고 그로 인해 비유창성이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조음·음운 장애 아동 집단에서 조음복잡성 ‘저’보다 조음복잡성 ‘고’에서 조음오류 출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조음복잡성 ‘저’와 ‘고’ 모두에서 조음오류 발생 시 비유창성을 동반한 경우보다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다시 말해 조음·음운 장애 아동이 조음오류를 보일 경우 비유창성을 동반하지 않으면 바로 오조음을 보일 가능성이 커지는 반면, 비유창성이 동반하면 그 후에는 정조음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셋째, 조음복잡성 수준과 조음오류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조음복잡성 ‘저’와 ‘고’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의 발생비율 양상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정상적인 비유창성에서 ‘비유창성’ 증상이 의미하는 것 가운데 아동이 음운처리 결함에 대한 모니터링 능력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부정적인 징표만은 아닐 것이다. 아동이 말하기 쉬운 단어나 단어 친숙도 및 고빈도에 따라 수집되는 등 기존에 실시된 과제의 한계를 인지하고 조음복잡성이라는 요인에 따라 비유창성과 조음오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음운적 처리의 결함과 비유창성의 관련성에 대해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everal reasons causing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include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appropriate phonological knowledge being acquired according to each age stage or to the phonological system’s development. Currently, there are many researches suggest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phonological defect and the disfluency being observed in stammering children, but there lack the researche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which is appeared due to phonological factors in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If the trade-off between phoneme and disfluency is existed, there can raise a question whether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s disfluency and articulation errors have any qualitative differences from normal children’s disfluenc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and articulation errors targeting som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ir appearance ratios of disfluency type depending on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high or low) targeting 17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 and 17 normal children. Then in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 group, the articulation errors being accompanied with the disfluency depending on the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s were compared with the articulation errors not being accompanied with the disfluency. Finally, the appearance ratios of articulation error types depending on the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ir interpret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of disfluency appearance ratios between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 group and the normal group,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depending on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s between the both groups. However, the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sfluency appearance ratios in ‘high’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 than in ‘low’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as an articulation or phoneme of word is longer or more complex, the children’s difficulties articulating the word is increased, so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 disfluency to be appeared. Second, in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 group, the articulation error appearance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 than ‘low’level. However in the sam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cases not accompanying the disfluency with articulation errors than those accompanying the disfluency in the both levels of articulation complexity. In other words, in case that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children show an articulation error, there increases the possibility for wrong articulated word to be appeared if the articulation error accompanies with the disfluency, but if the articulation error accompanies with the disfluency, there increase the possibility for correct articulation word to be appeared. Third, a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rticulation complexity levels and the articulation error types, so it could know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rticulation error types’ appearance ratios between both levels (high and low) of articulation complexit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normal disfluency means the ‘disfluency’ symptom and may include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monitoring ability against their defects in phonological process, so the disfluency is not a necessary negative sign. It is expected that recognizing the limits of existing tasks having conducted like collecting data depending on easy word for children to articulate, word’s familiarity or word’s high frequency a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and articulation errors will provide som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ce of defections in phonological process with disfluency.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말소리 변별 수행력에 하향적 언어처리가 미치는 영향

        이유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말지각이란 듣는 사람에 의해 주어진 어떠한 언어에서 다른 소리와 소리의 조합을 감지하고,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지각 능력은 특정 언어에서 말소리를 듣고 구분하여 올바른 산출과 잘못된 산출 차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말지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은 이러한 능력이 비교적 낮다. 이는 청각적 입력에서부터 말산출까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말산출 오류가 말지각 오류를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20명, 일반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말지각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인 말소리 변별 과제를 고안해내어 수행력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과제는 총 3가지로 말소리 변별 과제로 소리자극과 함께 그림자극을 제시하는 어휘표상을 참조한 단어 변별 과제, 그림자극 없이 소리자극만 제시하는 어휘표상을 참조하지 않은 단어 변별 과제, 마지막으로 비단어 변별 과제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제 특성에 따라 상향식 처리와 하향식 처리의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과제유형에서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나, 과제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두 집단 모두 자음정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비단어 변별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여준 것은 지각과 산출이 항상 같이 발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두 집단 간 과제유형 및 반응유형에 따른 정반응 점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제유형과 반응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과제유형, 반응유형과 집단 간 삼요인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하향식 처리가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일반 아동 구분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말지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두 집단 간 자음정확도,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과 말소리 변별 과제 수행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단어 변별 과제는 자음 정확도와 표현어휘력에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용어휘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어휘표상을 참조한 단어 변별 과제는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다. 모든 과제의 상관관계가 동일하게 높지 않은 것은 상향식 처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청지각 능력 내에서도 강점과 약점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말소리 변별 과제는 정상적인 말소리와 철자 지식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는 원인이 되는 말지각에 대하여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Speech perception is the listener's ability to sense,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sounds in a given language. Perceptive abilities help to sense differences between correct and incorrect productions in a certain language after listening to and discriminating speech sound. The level of such abilities is relatively low in children with difficulties in speech perception, which suggests that speech production efforts can reflect speech perception efforts through interactions from auditory inputs to speech production. Thus, this study set out to devise speech sound discrimination tasks, which are based on a method to check speech perception abilities, and compare 20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 and 21 common children in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A total of three speech sound discrimination tasks were devised, including the task of discriminating words based on lexical representations to provide sound and picture stimuli, another task of discriminating words based on no lexical representations to provide only sound stimuli without picture stimuli, and the final task of discriminating non-words. The degree of being influenced by bottom-up and top-down processing would vary according to these task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had a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tasks than the common children with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task types and groups. Both groups had low performance in non-word discrimination despite high consonant accuracy, which implies that perception and production do not always develop toge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rward reaction scor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and reaction types with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task and reaction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three factors of task types, reaction types, and groups, either. These findings imply that top-down processing has impacts on speech perception in the same way between children with the pure speech sound disorder and common children; and finally,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consonant accuracy,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performance in the speech sound discrimination tasks and found that the non-word discrimination task had no correlations with consonant accuracy and expressive vocabulary, bu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ceptive vocabulary. The task of discriminating words based on lexical representation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onsonant accuracy, but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not high.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not uniformly high among all the tasks, which implies that there can b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auditory perception abilities depending on bottom-up processing. In the future, speech sound discrimination task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perception that can cause difficulties with normal speech sound and orthographic knowledge.

      • 노화와 경도인지장애가 사람이름 인출 시 설단현상에 미치는 영향

        오상아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람이름대기는 정상 노인뿐아니라 MCI(Mild Cognitive Impairment;MCI, 이하 MCI) 집단과 AD(Alzheimer's Disease;AD, 이하 AD) 집단 모두가 능력에 손상을 보이며 초기 AD를 판별하는데 중요하다. 사람이름대기 시 나타나는 설단현상(tip-of-the-tongue phenomenon;TOT phenomenon)은 의미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만 음운 형태를 검색할 수 없는 상태로, 본 연구는 음운산출체계의 손상을 초점으로 하였다. 이 과제를 통하여 실험실 상황에서 설단현상을 유도하여 연령 집단에 따른 비교분석을 하였고, 병리적 노화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후, 음절단서를 제공하여 단서 유형에 따른 설단해결률에서 정상적 노화와 병리적 노화 간 차이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청년층 10명, 장년층 10명, 중년층 10명, 노년층 10명의 연령 집단과 MCI 집단 10명으로 모두 50명이 참여하였다. ‘설단률, 설단반응의 비율, 자발적 설단해결률, 단서제시 후 설단해결률’을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은 자체적으로 제작한 사람이름대기 과제를 통해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정상 노화과정에 따른 연령 집단 비교’ 및 ‘둘째, 정상 노인과 MCI 집단 비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정상적 노화에 따른 분석에서는 청년층, 장년층, 중년층, 노년층의 연령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하였고, 두 번째 병리적 노화에 따른 분석에서는 노년층과 MCI 집단을 대상으로 자료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단률은 정상적 노화에서 노화가 진행 될수록 발생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병리적 노화와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설단반응의 비율은 정상적 노화 및 병리적 노화에 관계없이 질적으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셋째, 설단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자발적으로 해결할 확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설단해결률은 정상 노화과정에 따라 감소하였고, 병리적 노화에서 MCI 집단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단서 유형에 따른 설단해결률은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적 노화 및 병리적 노화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으며 설단해결률에서 병리적 노화의 변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람이름대기 시 발생하는 설단현상에 대한 정상적 노화와 병리적 노화간의 차이를 알고, 본 연구의 결과가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변별 요소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l groups such as not only normal old men but also a group of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group of AD(Alzheimer’s Disease) suffer damage of an ability to tell names of persons, and this ability is important to discern initial AD. Tip-of-the-tongue Phenomenon(TOT Phenomenon) on telling names of persons holds meaning information but cannot search phoneme. This study focused on damage of phoneme production system. The study induced Tip-of-the-tongue Phenomenon in laboratory through this task, so compared and analyzed by age, and examined difference with pathological aging. Afterward, this study offers syllabic evidence, so desires to examine aspect of difference between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in solution rate of Tip-of-the-tongue Phenomenon according to evidence types. The study targets were total 50 people such as age groups of 10 young men, 10 middle-aged individuals, and 10 old men, and 10 people of MCI Group. To examine tip-of-the-tongue rate, rate of tip-of-the-tongue response, voluntary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and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after presenting evidence,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rough a task of telling names of persons that was made autonomously. For this, this study divided into first, comparison by age groups according to normal aging, and second, comparison between normal old men and MCI Group, and analyzed. First, in an analysis according to normal aging, this study compared targeting age groups of young people, the elderly, middle-aged individuals, and old people, and second, in an analysis according to pathological aging, the study compared data targeting old people and MCI Group.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ging progressed in normal aging, tip-of-the-tongue rate increased, and relation with pathological aging was not meaningful. Second, rate of tip-of-the-tongue response was very similar qualitatively without reference to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Third, voluntary solution rate on occurrence of tip-of-the-tongue phenomenon was very low. Fourth,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decreased according to normal aging, and in pathological aging, MCI Group was meaningfully lower than normal old people. Lastly,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according to evidence types. Such results are meaningful, because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normal aging and other group of pathological aging can be compared, and variables of pathological aging in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can be confirmed. The researcher hopes to know difference between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about tip-of-the-tongue phenomenon occurred on telling names of persons, and to use the results of the study helpfully as a discriminative element used economically through this study.

      •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의미범주유형에 따른 단기기억 수행력 차이

        이애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8세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범주유형에 따른 의미적 단기기억능력과 각 범주유형 간의 연관성을 분석, 반응위치에 따른 의미단기기억 능력과 의미단기기억 시 오류형태를 살펴보고자 하며 추후 의미단기기억과 어휘학습과 관련된 중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8세이면서 표현언어연령이 4~6세에 해당하는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하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과 언어연령 일치 집단(이하 일반 아동) 15명으로 총 30명이었다.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정과 1피험자 간-1피험자 내 혼합설계에 따른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두 집단 간 의미단기기억 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의미단기기억 점수를 보였으나 범주유형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 내 범주유형별 의미단기기억 점수를 살펴보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슬롯필러 범주를 가장 잘 기억하였고, 다음으로 스크립트 범주, 분류적 범주, 무의미 범주 순으로 기억하였다. 둘째, 두 집단 간 반응위치에 따른 의미단기기억 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반응위치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내 반응위치에 따른 의미단기기억 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최신위치에서 더 잘 회상하였다. 셋째, 두 집단 간 의미단기기억 과제 시 오류유형에 따른 오류점수를 살펴본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오류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오류유형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 내 오류유형별 오류점수를 살펴보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생략오류에서 가장 높은 오류점수를 보였고, 비단어오류-중복오류를 제외한 모든 오류유형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은 범주유형에 따른 의미적 단기기억능력에 차이가 있으나 두 집단은 단기기억 시 동일한 범주지식을 활용하였다. 또한 반응위치나 오류유형 점수에서도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이나 두 집단 간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단순언어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의미단기기억 능력과 위치효과, 단기기억 시 오류유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토대로 범주학습을 통한 어휘확장 및 언어적 중재 수립이나 의미단기기억 관련 연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powers according to category types and each category type of preschool (4 to 5 years)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examine types of errors in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powers according to serial positions and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ies, an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mediation relevant to the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and lexicon learning. [Method] A total of 30 children as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ho were 4 to 8 year olds and were with expressive language skills in children from 4 to 6 years of age and 15 children with identical language skills. The research conducted repeated measures ANOVA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the mixed within-and between-subjects design to process data. [Results] First, when the research compared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ies between two groups, the memory scor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eneral children. However,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category types and groups weren’t significan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ies by category type of two groups. Two groups remembered a slot filler category very well. They remembered a script category, classification category, and non-semantic category in consecutive order.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research compared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powers according to serial positions between two groups. Also,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serial positions and groups weren’t significant. However, when the research compared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powers according to serial positions of two groups, they recalled more at the latest position. Third, when the research examined the error scores according to types of errors in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ies of two groups, the error scor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children. However,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types of errors and groups weren’t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rror scores by type of errors of two groups. The scores of omission errors were the high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ypes of errors except for a non-word error and an overlapping error.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powers according to category typ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and general children, but two groups utilized the identical category knowledge when they remembered for a short time. Also, the scores of serial positions or error types were significantly low. However, the scores of two groups assumed similarity. Thu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research examined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powers, position effects, and the error types of short-term memori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Further,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a research on lexicon expansion through category learning, linguistic mediation, and lexico-semantic short term memory.

      •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의 서비스 개입강도에 따른 조음치료효과 비교

        설종훈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의 서비스 개입강도에 따라 미치는 치료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만 4~6세에 해당하는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평균 연령 만 5세로 보호자의 보고를 통해 정신적, 신경학적, 청력, 인지, 정서 및 병력에 문제가 없는 아동들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두 대상자들 씩 그룹을 나누어, 서비스의 개입강도를 다르게 하여 치료를 제공하였다. 높은 개입강도의 그룹과 낮은 개입강도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한 후 비교하여 개입강도가 치료 효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개입강도만 다를 뿐, 동일한 중재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그룹에 주 4회,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B그룹에 주 2회, 총 12회기를 진행하여 두 그룹 간의 서비스 개입강도에 따라 중재 말소리(ㅈ,ㅉ,ㅊ)의 치료 효과와 유지 효과를 알아보고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비중재 말소리(ㅅ,ㅆ)에서도 일반화 효과가 나타나는지, 그룹간의 차이가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입강도에 따라서 두 그룹의 전체적인 자음정확도를 검사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서비스 개입 강도에 따른 중재 말소리(ㅈ,ㅉ,C) PCC결과 높은 개입강도의 그룹에서 5.88% 이상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유지 효과에서는 1.41%로 비교적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두 번째, 서비스 개입 강도에 따라 비중재 말소리(ㅅ,ㅆ) PCC결과 두 그룹모두 일반화 효과를 보였으나, 높은 개입강도의 그룹이 13.5%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세 번째, 서비스 개입 강도에 따라 중재를 끝낸 후, 두 그룹간의 전체적인 자음정확도 결과 모두 향상되었으며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위 결과들은, 서비스 개입강도에 따라 치료 효과에 차이가 있으며,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들에게 높은 강도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을 때 유의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treatment effect of children with pure speech impairment according to the service intervention intensity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4 children with pure speech impairment, aged 4 to 6,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children with an average age of 5 years old and without any problems in mental, neurological, hearing, cognitive, emotional and medical history through a parent's report. I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two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treatment was provided by varying the intervention intensity of the service.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intervention program, only with different intervention intensity, to determine how much the intervention intensity affects the treatment effect by dividing the group into a high intervention intensity group and a low intervention intensity group, providing the same service, and comparing them. In this study, group A was conducted 4 times a week, a total of 12 sessions, and in group B, 2 times a week,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service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maintenance effect with non-interventional speech sounds (s) as well a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generalization effect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tensity, the overall consonant accuracy of the two groups was tested to compar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Nex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intervention in the service, the PCC result of the intervention speech (tɕ, tɕ*, tɕh) showed a higher result by more than 5.88% in the high intervention intensity group. However, the maintenance effect showed a relatively similar result at 1.41%. Secon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servic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a generalization effect of non-intervention speech (s) PCC results, but the group with high intervention intensity showed 13.5% higher results. Third,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service intervention, the overall consonant accuracy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mproved and similar result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reatment effec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service inter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a significant effect can be expected when the service is provided at high intensity to children with pure speech impairment.

      •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표상의 질과 음운표상 부호화 능력 비교

        김나연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조음음운장애는 조음기관의 구조적인 결함과 신경학적 손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상 기준에 어긋나는 형태를 보인다. 이는 원인을 찾지 못했을 뿐 없는 것은 아니므로,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몇 연구에서는 조음음운장애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음운표상을 제시하였다. 음운표상은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낱말의 음운정보이다. 이는 구어입력과 구어출력 모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상적인 말소리 산출은 음운표상 자체에도 문제가 없어야 하지만, 음운표상과 관련된 처리과정에도 결함이 없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운표상의 질과 음운표상 부호화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4, 5, 6세 조음음운장애아동 20명,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운표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음운표상 판단과제와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운표상 판단과제에서 점수와 반응시간을 비교한 결과, 점수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반응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음소배열빈도에 따른 정확도 결과, 집단 간 주 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집단에 상관없이 음소배열빈도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음소배열빈도와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집단에 따라 음소배열빈도의 수행은 차이가 없었다. 오류유형에서는 집단에 상관없이 오류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집단에 따른 오류유형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집단 별 음운표상 판단과제 점수와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의 정확도 간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운표상 결함이 조음음운 결함뿐 아니라, 어휘 습득 및 인출결함, 읽기장애와 같은 여러 말-언어장애를 초래하는 요인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병리학 및 언어치료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연구주제이다. 그러나 음운표상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고, 국외에서도 최근에서야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말-언어장애 분야의 음운표상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show errors with production of speech that are against normal standards, even if they have no structural defects in their articulators and no neurological damages. A few studies especially mentione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s a factor causing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phonological representation means phonological information of words that are being stored in long-term memory. This study was conducted about 20 children with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and another 20 normal children. These children were aged from four to six. The group of children with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the articulation accuracy of -2SD or lower and the other group of children showed normality. To know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bility, assignments about phonological representation judgment and non-word repetition were executed.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mparison was made about scores and reaction time in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judgment assign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ction time. Second, in the non-word repetition assignmen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looking into accuracy according to the phoneme arrangement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oneme arrangement frequency. As there was no significant phoneme arrangement frequency and group interaction effe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wo groups in terms of execution of the phoneme arrangement frequency. In error patter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rror patterns regardless of group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error patterns according to groups. Third, an analysis of an interrelation in scores of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judgment assignment and accuracy of the non-word repetition assignment,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terrelation. the above-mentioned outcome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studies on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various speech-language disorders.

      • 음절이웃크기와 음소배열확률이 만 5, 6세 아동의 어휘인출에 미치는 영향

        이선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During the preschool period, children’s vocabulary expands rapidly while acquiring a variety of words. At this time, the ability to retrieve the words is an important variable when predicting language processing and learning ability in the following school age. Thus, it is important to explore elements that affect vocabulary retrieval for these groups.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otactic probability' were proposed as the factors. ‘Neighborhood density’ means the number of words sharing a same phonological element. In Korea, it is mainly measured by the number of words with the same first syllable. The term 'phonotactic probability' refers to the probability that a sequence of sounds will occur in a lexical item. In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it can affect the lexical stage that deals with the entire lexical representation, and in phonotactic probability, it can affect the sublexical stage that deals with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Domestic studies on these two elements are very rare, and even those studies are dominated by studies on adults.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children is further emphasiz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yllable neighborhood size and phonotactic probability considering the word retrieval for children aged 5 and 6. 15 5-year-olds and 17 6-year-olds participated, and they were instructed to name a picture. The naming questions were produced based on the vocabulary list of the first level of vocabulary for Korean education by grade and the study of basic vocabulary selec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two data as samples, a total of 1,747 vocabulary were calculated for each value of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otactic probability. Next, based on the median value, total of 4 conditions consist of pairs of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high/low×phonotactic probability high/low conditions. The number of total items were 56, and 14 items for each condition. The task was conducted by looking at the pictures and quickly naming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in the reaction time. However, the high phonotactic probability, in other words, the common phonotactic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ly faster response than the rare phonotactic condition. In the positive response score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of individual elemen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and the phonotactic probability. Thi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esponse score when interacting with fewer neighbors×common phonotactic probability and many neighbors×rare phonotactic probability, respectively. Lastly,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each of the 4 condition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3 conditions and expressive vocabulary. Individu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with the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condition of many neighbors and common phonotactic condition. As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e advantages of common phonotactic in reaction time can be confirmed. Moreo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for children who do not yet possess sufficient number of lexical representations compared to adults. Furtherm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otactic probability, and the possibility that abundant vocabulary can act as promotion, especially in the condition of many neighbors and common phonotactic. Therefore, by utilizing these results, it can contribute to a more systematic composition of difficulty when making questionaries for the picture naming tests and selecting treatment vocabulary. 학령전기는 다양한 어휘를 습득하면서 어휘집이 급격하게 확장되는 시기이다. 이때, 습득한 어휘를 인출하는 능력은 언어처리와 인지 능력 발달 및 이후 학령기 시기의 학습능력을 예측하는 중요 변수이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어휘인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탐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 요소로 ‘음절 이웃 크기’ 및 ‘음소배열확률’이 제안되었다. ‘이웃 크기’란 공통적인 음운 요소를 공유하는 어휘의 수를 말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첫음절이 같은 단어들의 수로 측정된다. ‘음소배열확률’이란, 그 언어에서 단어 내 특정 위치의 소리 연쇄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음절 이웃 크기의 경우 전체 어휘 표상을 다루는 어휘 단계, 음소배열확률의 경우 음운 표상 및 음운부호화 과정을 다루는 어휘후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두 요소의 국내 연구는 매우 희박하며, 그마저도 성인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룬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아동 대상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5, 6세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어휘인출 시 음절 이웃 크기 및 음소배열확률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만 5세 15명, 만 6세 17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그림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름대기 문항은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의 1등급에 해당하는 기초어휘 및 영유아의 기초어휘 선정 연구의 어휘목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두 자료를 표본으로 총 1,747개 어휘의 음절 이웃 크기 및 음소배열확률 값을 계산하였다. 그 후, 중앙값을 기준으로 음절 이웃 크기 고/저×음소배열확률 고/저 조건으로 짝지어 총 4가지 조건의 목록을 구성하였다. 문항의 수는 각 조건별 14문항씩으로 총 56문항이었다. 과제는 그림을 보고 빠르게 이름을 대는 방식으로 실시되었으며, 실시 후 각 문항의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응시간 분석에서 음절 이웃 크기의 유의한 효과는 없었으나, 음소배열확률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고음소배열확률 즉, 흔한 음소배열 조건이 희귀한 음소배열 조건보다 유의하게 빠른 응답을 보였다. 정반응률 분석에서는 개별 요인의 유의한 효과는 없었으나, 음절 이웃 크기와 음소배열확률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이웃이 적은 조건과 흔한 음소배열 조건인 경우 및 이웃이 많은 조건과 희귀한 음소배열 조건인 경우가 각각 상호작용할 때 가장 높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어휘력과 4개 과제 조건 간 상관관계 분석 시, 표현어휘력과 3개 조건과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개별적으로는 대부분 이웃이 많은 조건 및 흔한 음소배열 조건에서 표현어휘력과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논의로, 반응시간 측면에서 흔한 음소배열의 이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직 성인에 비해 어휘표상의 수가 충분하지 않은 아동에게는 음절 이웃 크기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추론할 수 있다. 더불어 음절 이웃 크기와 음소배열확률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과 어휘력 측면에서 특히 많은 이웃 및 흔한 음소배열 조건일 때 어휘의 풍부함이 촉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이름대기 검사의 문항 제작 및 치료 어휘 선정 시 더욱 체계적인 난이도 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 말소리장애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

        주미진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된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주의집중과 관련된 연구를 볼 수 있다. 그것은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에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 언어발달장애와 읽기장애는 주의집중력에 결핍을 보인다고 선행연구로 증명되어 있고, 현재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 관련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 외국논문은 있지만, 우리나라 논문에서는 말소리장애의 주의집중에 관련된 논문은 아직 나오지 않은 실정이다.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하여 음운인식과 작업기억력에 어려움을 보인다. 작업기억력에서 기억력과 주의집중력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작업기억력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주의집중력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주의집중은 학습의 기본임으로 주의집중능력은 중요하다. 주의집중에는 말소지자극에 의한 청각적 주의집중과 글자자극에 의한 시각적 주의집중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청각적 주의집중능력이 떨어진다고 선행연구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 과제의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의 분석을 통해 주의집중능력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언어문제가 없이 순수하게 말소리문제를 가지고 있는 순수 말소리장애아동과 언어문제를 동반하면서 말소리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으로 나누어 집단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두 과제 간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말소리장애아동의 시각, 청각 주의집중능력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6세에 해당하며, 말소리장애아동 10명과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10명과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과 청각 주의력 과제에서 순수 말소리장애아동과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주의력을 나타냈으며,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정반응 점수에 대한 시각, 청각과제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각, 청각 주의력 과제에 따른 평균점수를 살펴보았을 때, 일반아동, 순수 말소리장애아동,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과 청각 주의력 과제에서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일반아동, 순수 말소리장애아동,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모든 집단에서 청각과제의 반응시간이 시각과제의 반응시간보다 더 느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집단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이 일반 아동집단에 비해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더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말소리장애아동의 지속적 주의집중력 결함의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말소리장애아동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Recently, researches related to attentions are found in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his is because attentions are drawn into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Previous studies demonstrate that simple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reading disorders accompany deficiencies of attention powers. While some studies in overseas present relevances between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no study in Korea on attentions of speech sound disorders is found ye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how difficulti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king memories. In working memories, memory powers and attention powers are related. Therefore, the fact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have difficulties for working memories enables a prediction that such children have difficulties for attention concentrations as well. Also, the attention is a basic of learning so that the attention ability is critical. attentions can be classified for consideration into the visual attention by character stimulations and the auditory attention by speech stimulations. the fact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in lacked of attention abilities is demonstra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pproaches to attention abilities through analyses on positive response scores and responsive tim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normal children on tasks of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e is composed of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having only speech issues without language issues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including speech language and speech issues. Also, by analyzing differences in positive response scores and response times between two tasks, an indirect analogy is attempted for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For this study,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and 20 normal children residing in Busan area.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both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lower concentration abilities than that of the normal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se 3 groups are significant. However, in case of positive response scores on the visual and the auditory task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among these 3 groups. Average score of each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is higher in the order of the normal children,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econd,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slower response times against the normal childre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both groups of the normal children,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that response times on the auditory task is slower thant that on the visual task. Such results show that the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of the group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weaker than that of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deficits of sustained attention power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s well as helpful information for treatment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정상 성인의 연령에 따른 즉각 음운 단기기억과 지연 음운 단기기억 수행력

        이대훈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Memory among human cognitive abilities means an ability to save and take out information, and goes through various stages such as registration, consolidation, and retrieval.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study mapping memory on language with a subject of such memory ability is nowadays proceeded actively. As a result,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s realized as a system working in more actively, and is explained beyond holding phonological information passively.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s temporary, and if this memory is not conducted by articulator, this memory disappears in seconds. Demonstration is “repeating information to remember at heart or saying information to remember through speech production program”. The one is called covert demonstration, the other is called overt demonstration. As aging is proceeded, people experience failure of their memory, and this is associated with such active activity, demon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desires to evaluat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ssociated with aging by using un-word shadowing task, one of evaluation systems for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n speech pathology, and to examine this experimental task and performance capability by conducting a memorizing task to follow number straightly, an official examination to measure short-term memory. Targets of this study were 17 normal young men, 15 normal middle-aged individuals, and 15 normal old men. To evaluat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they were evaluated by immediat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program and delay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program, and an official short-term memory was evaluated through a memorizing examination to follow number straightly, so this was compared to immediate and delaye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education year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 comparison of performance capability between groups, and interaction effect was not meaningful. Second, main effect was meaningful in a comparison according to task types(immediate, delayed), bu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task types was not meaningful. Third, main effect of syllable number was meaningful, and a result of contrast examinati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immediate and delayed shadowing tasks to a memorizing task to follow number straightly, both immediate and delayed shadowing tasks showed static interaction. As a whol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can be maintained in all groups, but immediat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s more outstanding than delaye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n addition, syllable number has a large impact on such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this memory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memorizing task to follow number straightly. Study measuring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s rare to find in speech pathology, so such results can be used as an evidentiary material about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ccording to aging. 인간의 인지능력 중 기억이란 정보를 저장하고 인출하는 능력을 말하며 등록, 응고화, 인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기억능력을 주제로 한 기억과 언어를 연관시킨 음운 단기기억 연구가 최근에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음운 단기기억은 훨씬 능동적 활동을 하는 체계로 인식하고 있고, 음운정보를 수동적으로 보유하는 것 이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음운 단기기억 장치는 일시적이고 조음장치에 의해서 시연되지 않으면 수초안에 사라지게 된다. 시연은 “기억해야할 정보를 속으로 되뇌이는 것 또는 말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기억해야 할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전자를 내현적 후자를 외현적 시연이라 말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억력 감퇴를 겪게 되며 이러한 능동적 활동인 시연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음운단기기억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인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노화와 관련된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평가하고 단기기억을 측정할 수 있는 공식 검사인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과제를 실시하여 본 실험과제와 수행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정상성인 청년층 17명, 중년층 15명, 노년층 15명 대상으로 하였다. 음운 단기기억을 평가하기 위해 즉각 음운 단기기억과 지연 음운 단기기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검사를 통해 공식적 단기기억 능력을 평가하여 즉각, 지연 음운 단기기억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년수를 통제한 후 집단 간 총 점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둘쩨, 집단 간 과제유형(즉각, 지연)에 따른 비교에서는 주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집단과 과제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집단 간 음절 수에 따른 비교에서는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넷째, 즉각 및 지연 따라말하기와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를 비교한 결과 즉각, 지연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모든 집단에서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나, 즉각 음운 단기기억보다 지연 음운 단기기억 능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음절수에 영향을 많이 받고,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는 음운 단기기억을 측정한 연구는 찾아보기 드물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화에 따른 음운 단기기억 저하에 대한 근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