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물적 방제균 Pseudomonas chlororaphis O6 에서 sigma factor RpoS의 역할과 RpoS에 의해 조절되는 단백질 동정

        오상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71

        Pseudomonas chlororaphis O6 produces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phenazines, pyrrolnitrin, siderophore, protease, and hydrogen cyanide (HCN) that involve in suppression of the growth of plant pathogens and induces systemic resistance against various plant diseases, and resistance of oxidative stress. We previously described a sensor kinase GacS which regulated expression of rpoS gene encoding a stationary-phase sigma factor. In P. chlororaphis O6, a mutation in the gacS gene, encoding a sensor kinase, eliminated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synthesis of 2R, 3R-butanediol, and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in plants against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To understand more fully the interwoven regulatory roles between RpoS and GacS, the rpoS mutant was constructed. The mutation in the rpoS gene did not affect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However, specific bands of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absent in stationary-phase cells of the P. chlororaphis O6 rpoS mutant, and a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isozyme was expressed earlier and to a greater extent than in the wild-type. In further, we performed proteomic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RpoS-regulated proteins to elucidate RpoS-mediated signal pathway. Compared with the proteome of the P. chlororaphis 06 wild-type, 13 protein spots were severely diminished in the rpoS mutant cells. Furthermore, Rpo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gulation of some P. chlororaphis O6, as the intensities of three polypeptid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tant cells relative to the wild type. The protein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 wild-type strain versus the rpoS mutant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tryptic peptide masses. Most of RpoS-down regulated proteins are related to oxidative stresses, such amine oxidase, ATP-binding component of ABC transporter, marR-like transcriptional regulator, and glutathione peroxidase family protein. This study indicated that an alternative RpoS might be important mainly in expression of genes which are involved mainly in oxidative stresses.

      • 문장원류 춤의 실체분석을 통한 동래한량춤 원류 연구

        오상아 成均館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1855

        ABSTRACT A Study of the Origin of Dongrae Hanryang Dance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Moon Jangwon's Types of Dance Oh, Sang-A Dep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Performing Arts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thesis studies about Dongrae Hanryang Danc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y # 14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December 27, 2005. The Dongrae Hanryang Dance is based on Deutbaegy Dance popular in Youngnam area, which is famous for its improvisation without formally arranged schedules. The "improvisation" in the latter dance represents energetic and free lifestyles of ordinary men, and it has been the fundamental ba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lack of formality in those dances naturally leads to unintended ignorance to most Koreans. I have found, however, the forgotten Dongrae Dance is worthwhile to recover its values and gradually to succeed to next generation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ale dances. The dance has been preserved by Mr. Moon Jangwon, a native of Busan, so that I' like to designate the dance as Moon Jangwon's Dongrae Hanryang Dance. Together with Dongrae Hanryang Dance, I also intend to investigate about Wonyangban Dance and Dongrae Hak Dance, another origin of Dongrae Hanryang Dance. After the search of the dances,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lthough Moon Jangwon's Dongrae Hanryang Dance was born and popular in a limited area of Youngnam, it needs to be preserved as an important traditional dance and to spread over other provinces. 2. I decided not to include the study area of "improvisation" in this research because it is out of my ability. I rather more focus on the values of Moon Jangwon's Dances based on the remained records of interview and materials. I realized the necessity of preserving the dance in more formal ways to hand over to next generations. Besides, I found Dongrae Hanryang Dance aims at freer artistic world by making a dancer forget about himself rather than uniting the dancer and the saver. 3. Dances in Dongrae areas, an origin of Moon Jangwon's Dances, put importance on the dancer's improvised free styles, and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1) Wonyangban Dance in Dongraeyarue is composed of five masked dancers, and it is hard to find any separate and united messages because they dance together at the same time. It only show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Dongrae Hanryang Dance, that is, the mixture of Goodgeory rhythm and Deutbaegy Dance. 2) Although Dongrae Hak Dance tries to imitate the movement of a crane, it transcends the animal's imagery, and thus showing Deutbaegy Dance's aesthetics more powerfully than traditional Dongrae shoulder dances. One example of the dance's aesthetics is that it expresses more masculine movements like a high jump and a radically folded leg performance. 3) Dongrae Hanryang Dance expresses one of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silence without movement and movement without silence, in order to keep the dancer in detachment through controling the dancer's emotions. We can find a potential of the Dance because it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Deutbaegy Dance's improvisation and informality, thus it can be used as a practical dance to teach the dancers of traditional Korean male dances. 4. We have to focus more on finding the real values of Dongrae Hanryang Dance by repeated practice and training rather than on its mere imitation and copy. We can attain this purpose by teaching the dancers how to control their movements and emotions, which will definitely contribute to expressing the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ing arts. In conclus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nd protect the inner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arts as well as to develop Dongrae Hanryang Dan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I'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1. We need to make a new approach to Dongrae Hanryang Dance. It is not simply an artistic form of improvised dance or another version of Deutbaegy Dance. It has a strong potential to help practice traditional Korean male dances. 2. We need to transform the old terms and words of Dongrae Hanryang Dance into contemporary ones. 3. We need to change most dancers's viewpoint of Dongrae Hanryang Dance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nlightening ordinary people about the dance. 4. We need to make Dongrae Hanryang Dance popular to most people by making continuous efforts. More interest and support about the dance is strongly recommended. 5. Two separate approaches are required to develop Dongrae Hanryang Dance. On the one hand, we have to try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of the dance.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change the old formats of Dongrae Hanryang Dance into modern art forms. In other words, we have to be permissible to the flexibility of each different dancer in his performance. 6. We need to extend the capacity of Dongrae Hanryang Dance through diverse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 7. We need to make continuous contact with art critics and reviewers in order to reflect their comments on Dongrae Hanryang Dance in real performance, and further to develop and make popular the priceless dance.

      • Effects of Pueraria lobata/Rehamannia glutinosa supplement and exercise on metabolic dysfunctions in ovariectomized rats

        오상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적출 모델이 인슐린 저항성과 지질대사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갱년기 동물 모델 유도 후 갈근/지황 복합 추출물과 운동이 이상지질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Sprague-Dawley (SD)계 암컷 흰 쥐 (180-200g)에 난소적출 수술을 시행하여 갱년기 모델을 만들고 8주 동안 물질과 운동을 시행하였고 난괴법으로 10마리씩 7군으로 분류하였다. 흰 쥐에서 난소적출에 대한 확인으로 실험대조군 (SHAM/n=10)을 포함, 운동과 시험물질 2요인 디자인으로 물질투여군 3그룹 (0, 200, 400mg/kg B.W) X 운동군 2그룹(aerobic exercise/non-exercise), 총 6그룹이 난소적출을 한 실험군에 포함되었다. 식이는 8주간의 실험결과에서 체중 및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지방조직의 무게가 SHAM군에 비하여 PR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 갱년기 모델 유도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물질과 운동의 중재로 인해 PR0 군에서 증가한 체중, 식이섭취량 및 지방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혈장 지질수준은 LDL-C이SHAM군에 비하여 PR0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으로 보아 난소적출로 인한 이상지질혈증을 확인하였다. 물질투여군 에서는 증가된 지질수준을 감소시켜줌을 확인하였다. 혈장 지질수준 이외에 지방에서 분비되는 leptin과 adiponectin의 발현정도를 보았는데 Leptin의 발현은 SHAM군에 비하여 PR0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PR0 군에서 증가된 leptin의 발현을 물질투여와 물질을 투여한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Adiponectin 의 발현은 SHAM과 PR0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PR0 군에서 감소된 adiponcetin의 발현을 물질투여와 함께 운동을 병행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즉, Adiponectin은 운동을 병행한 군에서 발현정도를 증가시켰다. 혈중 지질에서는 운동의 개선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지방에서 분비되는 관련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보았을 때 물질과 더불어 운동이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켜 줌을 확인하였다.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이상지질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데, 본 실험 에서도 난소적출 쥐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해 혈중에서 fasting blood glucose (FBG), insulin과 C-peptide의 분비량을 보았고, 각 조직에서 insulin receptor의 영향이 있는지 유전자 발현정도를 보았다. 혈중 FBG는 SHAM군에 비하여 PR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증가된 물질투여군과 물질투여와 함께 운동을 병행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러나 혈중 inlulin 과C-peptede의 분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조직에서의 insulin receptor를 확인한 결과 지방에서 SHAM 과 PR0 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는 없었지만, PR0 군에 비하여 운동을 한 군에서 insulin receptor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는 물질에 비하여 운동이 insulin receptor의 발현정도를 증가시켰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물질투여로 인한 개선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물질투여를 병행하지 않은 운동 단일의 효과는 크지 않았다. 이는 운동이 갱년기 모델에서 너무 과도하게 작용하여 갱년기 대사에 대한 개선효과가 미비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근육에서의 FOXO 단백질은 갈근/지황 복합추출물과 운동의 병행이 FOXO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OVX 에서 유도되는 인슐린 저항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고, GLUT4 또한 물질과 운동군에서 세포막에 GLUT4가 강하게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갈근/지황물질에 대한 안전성 지표로 자궁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자궁의 istology와 함께 자궁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자궁무게와 두께는 PR0군에서 감소하였으나 추출물의 섭취로 인해 자궁의 무게와 두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운동과 병행시 보다 추출물 단독의 효과가 더 컸으며 물질 고용량군에서 증가가 가장 높았다. 이로써 본 연구결과는 갈근/ 지황 복합 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으로 오는 이상지질 현상과 고혈당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줬다. 하지만 인슐린의 분비능과 sulin receptor의 발현 및 이에 대한 개선을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난소 적출 모델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유도되었으나 인슐린 분비능까지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추 후 연구에서는 동물 유도 모델에 대한 보완과 현상 확인 과 더불어 그에 대한 기전연구, 또한 갈근/지황 복합추출물이 에스트로겐 가능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is a fair amount of evidence showing that increased risks of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are associated with postmenopausal state, but can be modulated by diet and exercise. In this study, we explored whether supplementation of Pueraria lobata/ Rehmannia glutinosa combination (PR) and/or aerobic treadmill exercise can modify the metabolic changes associated with estrogen deficiency. Sevent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treatment groups for 8 weeks: sham-operated (SHAM), ovariectomized (OVX) control, OVX + PR (200 or 400 mg/kg/day), OVX + exercise (EX), and OVX + EX + PR (200 or 400 mg/kg/day). The PR was fed by gavage and aerobic treadmill was used for loading exercise. OVX induced significant increases in body weight, food intake, fat mass, LDL-cholesterol, and fasting blood glucose, confirming induction of menopausal symptoms. PR supplement and/or exercis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above changes through different regulatory elements in adipose tissue: PR supplements down-regulated gene expression of leptin, whereas exercise up-regulated gene expression of adiponectin and insulin receptor. Furthermore, FOXO and GLUT4 translocation were improved by PR supplement and/or exercise. OVX-induced atrophy of uterine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PR supplementation. Furthermore,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PR supplements has a potential to provide health benefits in menopausal women through leptin and adiponectin secretion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 Furthermore, the data suggest that combination of exercise and PR would have additive effects on metabolic dysfunction associated with estrogen deficiency.

      • Pseudomonas chlororaphis O6의 식물 근권 정착 능력과 관련된 유전자의 기작 규명

        오상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Pseudomonas chlororaphis O6는 식물병원균의 생장 억제와 관련된 다양한 이차 대사산물을 생성하고, 식물 뿌리에 정착하여 다양한 식물 병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해서 저항성을 유도한다. 이미 연구된 바에 의하면 P. chlororaphis O6에서 sensor kinase GacS와 sigma factor RpoS는 superoxide dismutase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P. chlororaphis O6의 sensor kinase GacS 돌연변이주는 병 저항성을 유도 능력이 감소하였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생존 능력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조절 인자 GacS와 RpoS 돌연변이주 및 iron superoxide dismutase (FeSOD) 돌연변이주와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돌연변이주를 제작하여 식물병에 대한 유도 전신 저항성과 근권 정착 능력과 관련된 기작을 규명하였다. RpoS와 GacS 돌연변이주 및 MnSOD과 FeSOD 돌연변이주들은 토마토에서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otrytis cinerea 와 잎곰팡이병을 일으키는 Fulvia fulva에 대한 유도 전신 저항성 (ISR) 능력이 상실되었다. RpoS 돌연변이주 및 MnSOD과 FeSOD 돌연변이주들은 근권 정착 능력 또한 야생형과 비교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근권 정착 능력의 차이가 생물막 형성과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한 결과, RpoS 돌연변이주는 casamino acid를 함유한 AB minimal 배지와 영양분이 제한된 최소배지인 pseudomonad minimal 배지에서 생물막 형성이 감소하였으나, GacS 돌연변이주에서는 casamino acid를 함유한 AB minimal 배지에서는 감소한 반면에 pseudomonad minimal 배지에서에서는 증가하였다. 생물막 형성 차이의 원인이 운동성 때문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편모의 수를 확인한 결과, GacS 돌연변이주만 증가하였고, RpoS 돌연변이주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lagella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fliQ와 flhF 발현 양상을 quantitative RT-PCR을 이용하여 야생형과 비교한 결과, GacS 돌연변이주에서 증가하였다. RpoS와 GacS 돌연변이주 및 MnSOD과 FeSOD 돌연변이주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UV irradiation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야생형에 비해 저항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Complemented GacS 돌연변이주와 complemented RpoS 돌연변이주는 야생형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GacS 돌연변이주와 MnSOD 돌연변이주에서는 장기간의 생존에 있어서 야생형에 비해 생존율이 저하되었으며, complemented GacS 돌연변이주는 야생형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리고 RpoS 돌연변이주의 표현형 알아보기 위해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Phenotype MicroarrayTM (PM)를 수행하였다. P. chlororaphis O6 야생형과 RpoS 돌연변이주의 PM을 비교한 결과, RpoS 돌연변이주에 의해 α-keto glutaric acid, Met-Asp, Ala-Met, cytidine 3`-Monophosphate, butane sulfonic acid와 같은 C-source, N-source, P-source, S-source로 37개의 경우만 이용성이 증가하였고, 대부분 감소한 화합물들이었는데 그 중에서 potassium chloride, sodium lactate 같은 osmotic sensitivity와 diamide, D,L-thioctic acid, iodoacetate 같은 산화 물질 및 sodium selenite, potassium tellurite, sodium dichromate, potassium chromate 같은 독성과 관련된 물질이 포함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sensor kinase GacS와 sigma factor RpoS 및 superoxide dismutase (특히 MnSOD)가 P. chlororaphis O6의 식물병에 대한 유도 전신 저항성과 식물 뿌리 정착 능력 및 이때 발생하는 다양한 스트레스하의 생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seudomoans chlororaphis O6 produces secondary metabolites including phenazines, pyrrolnitrin, and hydrogen cyanide, which are involved in inhibition of plant pathogenic fungal growth. In addition, root colonization by P. chlororaphis O6 induces systemic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and fungal plant diseases and resistance of environmental stresses. We previously described a sensor kinase GacS and sigma factor RpoS which regulated 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SOD). To identification of mechanism involved in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gainst Botrytis cinerea and Fulvia fulva, the iron superoxide dismutase (FeSOD) mutant, and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mutant were constructed. GacS mutant, RpoS mutant, MnSOD mutant, and FeSOD mutant lost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ctivity. RpoS mutant, MnSOD mutant, and FeSOD mutant severely reduced root colonization activity compared with P. chlororaphis O6 wild type. RpoS mutant diminished biofilm formation in AB minimal medium containing casamino acid and pseudomonad minimal mudium, but GacS mutant declined biofilm formation in AB minimal medium containing casamino acid, whereas increased in pseudomonad minimal medium. To assay expression of flhF and fliQ genes involved in flagella biosynthesis using the quantitative RT-PCR, these gene increased in GacS mutant compare with P. chlororaphis O6 wild type. GacS mutant, RpoS mutant, MnSOD mutant, and FeSOD mutant impaired in oxidative stress by hydrogen peroxide and UV irradiation stess. Also, resistance of its stresses regained in complemented GacS mutant and complemented RpoS mutant. In addition, GacS mutant, and MnSOD mutant showed defectiveness in long-term survival. In further, we performed analysis of Phenotype MicroarrayTM (PM) for idenfitication of RpoS mutant phenotypes. Compared with the PM of the P. chlororaphis wild type, the RpoS mutant was able to utilize C-source, N-source, P-source, S-source such α-keto glutaric acid, Met-Asp, Ala-Met, cytidine 3`-Monophosphate, and butane sulfonic acid. Most of RpoS mutant was notably sensitive to osmotic sensitivity, oxidization, and toxic chemical such potassium chloride, sodium lactate, diamide, D,L-thioctic acid, iodoacetate, sodium selenite, potassium tellurite, sodium dichromate, potassium chromate.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the sensor kinase GacS, sigma factor RpoS, and superoxide dismutase (especially MnSOD) might be important mainly in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and survival activity in various stresses that occur during root colonization.

      • 차세대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고-곡률 패턴을 지닌 투명 유연 필름 제조 공정 개발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응용

        오상아 한국공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마이크로/나노 스케일의 균일한 고-곡률 구조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패턴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디스플레이, 센서, 태양 전지 등의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연구진들은 고-곡률 구조 패턴을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공정들을 보고하였다. 대표적인 공정으로는 Colloidal lithography, Isotropic wet ethcing, Thermal reflow, Inkjet droplet printing, Replica molding process 등이 있으며 각 공정들은 산업에 적용되기에 어려운 한계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 공정들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고-곡률 패턴 제조 공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i 홀 패턴과 PDMS Polydimethylsiloxane 층 사이에 갇힌 기체의 팽창을 이용하여 고-곡률 구조 패턴을 제조하는 IAL(Isolated Air-pocket Lithography) 공정을 발전시켜 고-곡률 구조의 직경 및 형태 제어가 가능한 패터닝 공정을 개발하였다. 또한 공정 변수인 공정 온도, PDMS의 점도 및 PDMS 내부에 포함된 기포의 양이 각각 기체 팽창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더불어 고-곡률 오목 구조의 PDMS 패턴으로부터 molding 과정을 통해 PUA에 역상의 패턴을 전사하였으며 이를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응용할 수 있는지 시험하였다. 먼저, 45, 13.5, 4.0 ㎛ 직경의 Si 홀 패턴을 이용하여 공정 온도에 대한 고립된 기체의 팽창 거동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정 온도가 높아질수록 기체가 수직 위주로 팽창하여 위아래로 긴 타원형의 오목 구조가 형성되었다. 적정 온도에서 홀 속 기체가 사방으로 충분히 팽창한 뒤 PDMS가 경화되어 구형의 오목 구조가 제조되었다. 낮은 공정 온도에서 기체가 계속해서 팽창하여 옆 홀의 기체들과 응집할 때까지 PDMS는 경화되지 않아 규칙적인 곡률 구조 패턴을 제조할 수 없었다. 또한 Si 홀의 직경이 감소할수록 기체는 빠르게 거동하여 쉽게 옆 기체들과 합쳐지므로, 높은 공정 온도에서 PDMS의 경화를 촉진함으로써 규칙적인 고-곡률 구조 패턴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어서 PDMS의 점도에 대한 홀 속 기체의 팽창 거동을 조사하였다. 높은 점도의 PDMS 내의 엉큰 고분자 사슬은 저항을 형성하여 갇힌 기체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여 반구, low sag height 형태의 오목 구조 형성을 야기하였다. 낮은 점도의 PDMS를 사용했을 때, 기체는 사슬의 저항을 받지 않고 쉽게 팽창하여 옆 기체들과의 병합이 나타났다. 적정 점도의 PDMS가 공정에 사용되었을 때, 구 형태의 오목 구조가 제조되었다. 다음으로 PDMS 내에 포함된 기포의 양에 대한 기체의 팽창 거동을 관찰하였다. PDMS 내의 기포는 홀 속 기체와 결합하여 기체의 부피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오목 구조의 부피 및 형태가 변화한다. 탈포 공정을 생략하여 기포가 많이 포함된 PDMS는 타원형 오목 구조의 형성을 야기했으며, 기포의 양이 줄어들수록 점차 구, 반구, low sag height 구조가 제조되었다. 공정 변수를 조정함으로써 얻은 45 ㎛와 1 ㎛ 직경의 타원, 구, 반구, low sag height 형태의 PDMS 패턴들을 몰드로 사용하여 역상의 패턴을 PUA에 전사함으로써 모든 직경, 모양의 고-곡률 볼록 구조 패턴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A 패턴은 투명하고 유연한 필름 형태이며, 대면적으로 제조되었다. OM을 통해 PUA 패턴의 각 고-곡률 구조들에 빛이 모여 초점이 맺혔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제조한 PUA 패턴 필름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로 응용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결론적으로 IAL 공정에서 공정 온도, PDMS의 점도 및 PDMS 내부에 존재하는 기포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고-곡률 오목 구조의 직경을 약 45 ㎛에서 1 ㎛까지 제어하였고, 고-곡률 오목 구조의 모양 또한 타원, 구, 반구, low sag height 형태로 제어하였다. 제조한 PDMS film을 몰드로 활용하여 역상의 고-곡률 볼록 구조 패턴을 PUA에 전사하였으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마이크로 고-곡률 구조 패턴 제조 공정을 개발하였다.

      • 고객불량행동과 항공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오상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고객의 불량행동으로 인한 기업의 피해사례가 늘어나면서 일련의 사건들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면서 감정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고객불량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고객불량행동의 유형과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변수에만 초점이 되어있고, 고객이 직원의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고객위주의 연구가 아닌 고객의 불량행동이 종사원의 감정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불량행동과 항공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의 영향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은 국내항공사 K사, A사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비조사는 2013년 7월 1일부터 7월 14일까지 이루어졌고 본 조사기간은 2013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260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의 표본 9부를 제외하고 25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된 설문지 자료에 관한 분석방법은 표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들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SPSS 18.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불량행동에 대한 2개의 하위요인 중에서 무시하는 태도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인 심리적 스트레스와 생리적 스트레스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례한 행동은 심리적 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나 생리적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인 심리적 스트레스와 생리적 스트레스에 모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심리적 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리적 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고객의 불량행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원들의 정신적인 피로나 스트레스, 감정노동은 조직의 업무성과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원들이 감정노동을 덜 느끼도록 관리체계 시스템을 개선 및 보완에 신경 써야 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나의 무용경험의 생애사적 의의

        오상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purport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dance experiences based on collective experiences of involving in dance worlds during 15 years in South Korea as a dance major person, researcher myself. This study also has a purpose to reflect and reconstruct of my life through phenomenology, life-history, and narrative inquiry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moreov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structural unique-ness of dance major.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upports from family wer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to begin a life as a dance major in South Korean society. Especially, through my father and sister among the family members, I became to have such a desire for my own education and its achievement. This influence functioned a fertilizer for my attitude of considering schoolworks during school years as a dance specialist. Second, I achieved a successful meet between desire to learn mysterious ballet I had heard first time and support from my family. It becomes walking on the road for dance major person in South Korea as well as falling down to a means for entering a college. Third, after entering a college, the curriculum for dance major was just a extension of prior school processes that researcher, myself was given a worry for further job positions. Especially, I had a feeling to take a symbolic and cultural burden for accepting the hiarchical structure existing among dance major student as an unique culture. Fourth, I also experienced another small society within a structure of dance major persons' society after occupying in professional ballet group, the C ballet company to take an advantage for my job career. Those experiences were the followings: school and territorial ties for the cast selections, dancers' physical body demanding from the others, discriminations between female and male dancers because of existing extremely unbalanced female and male ratio, and so on. These results through my experiences derive five implications as the followings. First, to lead a life as a dance major and formalize values of schoolworks myself, I understood importance of family background, which is the first one human beings meet when they are born, and which is called cultural capital. It isn't common in my literature reviews. Therefore, it implies that in micro perspective, recognizing relations between cultural capital from family and dance major persons is academically valuable. Second, this study implies that representing experiences of dance education before and in college years is very important meanings for especially college entering system for specialists of art and physical ability, paradox of curriculum for dance major in college, and educational essence. Also, it provides certain initiation of dance education as a major theme. Third, this study provides awareness of a lack of dance major subject matter processes and furthermore a help for resolving the lack through reflecting experiences of subject matter processes in the current college dance department. It ultimately provides an implication to have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find and search possibly various career directions. Fourth,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unique cultures such as hiarchical order, certain rules, obeydience ideology and so on, probably will give certain discussion opportunities to think of solutions for authentic educational order. This attempt should be considered in improving process mechanism of dance education and in dimension of constructing new dance culture in the social perspective. This study finally will give small meaning for a starting point to rise certain issues in dance areas on the surface and improve for better dire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15년 동안 한국사회 내 무용전공자로서 무용세계에서 체험하고 구축되어온 무용에 대한 총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무용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질적 연구방법 즉, 현상학과 생애사 이야기,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무용전공자만의 독특한 문화와 구조를 알아보고 나의 삶을 성찰, 재구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15년에 걸쳐 경험된 ‘무용경험’의 생애사 이야기를 바탕으로 크게 4단계인 가족, 대학 입학 전, 대학생활, 사회생활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생애사에 나타난 주요 사건들을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 그 연구 결과 첫 번째, 본 연구자가 한국사회에서 무용전공자로서의 삶을 시작하는데에는 가족의 지원과 지지가 큰 몫을 차지하였는데, 가족 구성원 중에서도 특히 아버지의 가족배경과 사회경제적 배경, 그리고 나로 하여금 ‘제 2의 부모님’이라는 지향성을 갖게 만든 언니를 통해 본 연구자는 자신만의 특별한 교육성취와 교육에 대한 열망을 가지게 되었다. 두 번째, 생전 처음 들어보는 신비로운 발레라는 무용에 매료되어 배우고 싶다는 욕구와 가족의 지원으로 성사된 발레와의 조우는 연구자가 한국사회에서 본격적인 무용전공자로서의 길을 걸어감과 동시에, 대학입시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버렸다. 인문계 중, 고등학교를 다닌 연구자는 공립학교 무용교육의 부재로 인해 발레를 배우기 위해 늘 사설학원을 전전해야했는데, 사설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발레교육은 대회나 대학입시를 위해 특정작품만을 기계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숙달되게 하는 교육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연구자는 누구를 위한 발레인지, 무엇을 성취하기 위한 발레인지,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끊임없이 남에게 보여지는 결과물에 의해 나의 잠재력과 능력을 모두 평가받아야만 한다는 생각에 깊은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 세 번째, 수단으로 전락해버린 발레배우기의 최고 목표인 대학에 입학했지만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은 고등학교의 연장선상에 불과해 연구자로 하여금 진로에 대한 고민을 안겨주었다. 더불어 무용학과 내에 존재하는 위계질서라는 무용전공자들만의 독특한 문화는 연구자로 하여금 짊어지고 나아가야 할 ‘문화적 또는 상징적 짐’처럼 느끼도록 부추겼다. 네 번째, 연구자는 대학 졸업 후 개인의 능력과 잠재력, 가능성의 모든 것을 보여지는 프로필로 판단해 버리는 한국사회에서 더 나은 프로필을 쌓기 위해 입단한 직업발레단인 ‘겨울 발레단’에서 무용전공자들이 사회라는 구조 속에서 만들어내는 또 다른 작은 사회를 경험하였다. 캐스팅의 선발기준으로 작용되는 학연과 지연, 타인에게 끊임없이 요구받는 무용수의 신체, 남녀비율의 심한 불균형으로 인해 존재하는 남자무용수와 여자무용수간의 차별 등이 바로 그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나의 가족으로부터 형성된 독특한 문화적 자본은 무용입시생으로 보낸 학창시절동안 학업을 소홀히 하지 않는 밑거름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발레와의 조우를 성공으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에 대한 의미의 표출은 다른 무용 전공자들 뿐 아니라 특기생들의 진로 선택과 전공이외의 다른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로서 논의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내가 경험한 입시를 위한 무용 경험은 한국 사회의 교육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용뿐 아니라 예체능 분야 특기생들의 입시제도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셋째, 나의 경험을 통한 무용전공 대학교육과정과 문화는 현재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적 쟁점들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넷째, 전문무용수로서 나의 사회 경험은 무용 공동체 내의 다양한 구조적 특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무용 공동체 내 쟁점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많이 진행되어 오지 않은바, 나의 사회 경험에 대한 표출은 이러한 쟁점들을 표면화하고 그에 대한 개선을 위한 한 걸음에 작은 의미를 부여하게 될 것이다.

      • 노화와 경도인지장애가 사람이름 인출 시 설단현상에 미치는 영향

        오상아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사람이름대기는 정상 노인뿐아니라 MCI(Mild Cognitive Impairment;MCI, 이하 MCI) 집단과 AD(Alzheimer's Disease;AD, 이하 AD) 집단 모두가 능력에 손상을 보이며 초기 AD를 판별하는데 중요하다. 사람이름대기 시 나타나는 설단현상(tip-of-the-tongue phenomenon;TOT phenomenon)은 의미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만 음운 형태를 검색할 수 없는 상태로, 본 연구는 음운산출체계의 손상을 초점으로 하였다. 이 과제를 통하여 실험실 상황에서 설단현상을 유도하여 연령 집단에 따른 비교분석을 하였고, 병리적 노화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후, 음절단서를 제공하여 단서 유형에 따른 설단해결률에서 정상적 노화와 병리적 노화 간 차이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청년층 10명, 장년층 10명, 중년층 10명, 노년층 10명의 연령 집단과 MCI 집단 10명으로 모두 50명이 참여하였다. ‘설단률, 설단반응의 비율, 자발적 설단해결률, 단서제시 후 설단해결률’을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은 자체적으로 제작한 사람이름대기 과제를 통해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정상 노화과정에 따른 연령 집단 비교’ 및 ‘둘째, 정상 노인과 MCI 집단 비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정상적 노화에 따른 분석에서는 청년층, 장년층, 중년층, 노년층의 연령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하였고, 두 번째 병리적 노화에 따른 분석에서는 노년층과 MCI 집단을 대상으로 자료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단률은 정상적 노화에서 노화가 진행 될수록 발생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병리적 노화와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설단반응의 비율은 정상적 노화 및 병리적 노화에 관계없이 질적으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셋째, 설단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자발적으로 해결할 확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설단해결률은 정상 노화과정에 따라 감소하였고, 병리적 노화에서 MCI 집단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단서 유형에 따른 설단해결률은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적 노화 및 병리적 노화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으며 설단해결률에서 병리적 노화의 변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람이름대기 시 발생하는 설단현상에 대한 정상적 노화와 병리적 노화간의 차이를 알고, 본 연구의 결과가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변별 요소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l groups such as not only normal old men but also a group of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group of AD(Alzheimer’s Disease) suffer damage of an ability to tell names of persons, and this ability is important to discern initial AD. Tip-of-the-tongue Phenomenon(TOT Phenomenon) on telling names of persons holds meaning information but cannot search phoneme. This study focused on damage of phoneme production system. The study induced Tip-of-the-tongue Phenomenon in laboratory through this task, so compared and analyzed by age, and examined difference with pathological aging. Afterward, this study offers syllabic evidence, so desires to examine aspect of difference between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in solution rate of Tip-of-the-tongue Phenomenon according to evidence types. The study targets were total 50 people such as age groups of 10 young men, 10 middle-aged individuals, and 10 old men, and 10 people of MCI Group. To examine tip-of-the-tongue rate, rate of tip-of-the-tongue response, voluntary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and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after presenting evidence,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rough a task of telling names of persons that was made autonomously. For this, this study divided into first, comparison by age groups according to normal aging, and second, comparison between normal old men and MCI Group, and analyzed. First, in an analysis according to normal aging, this study compared targeting age groups of young people, the elderly, middle-aged individuals, and old people, and second, in an analysis according to pathological aging, the study compared data targeting old people and MCI Group.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ging progressed in normal aging, tip-of-the-tongue rate increased, and relation with pathological aging was not meaningful. Second, rate of tip-of-the-tongue response was very similar qualitatively without reference to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Third, voluntary solution rate on occurrence of tip-of-the-tongue phenomenon was very low. Fourth,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decreased according to normal aging, and in pathological aging, MCI Group was meaningfully lower than normal old people. Lastly,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according to evidence types. Such results are meaningful, because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normal aging and other group of pathological aging can be compared, and variables of pathological aging in tip-of-the-tongue solution rate can be confirmed. The researcher hopes to know difference between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about tip-of-the-tongue phenomenon occurred on telling names of persons, and to use the results of the study helpfully as a discriminative element used economically through this study.

      • IPA 분석에 따른 인터넷 면세점의 선택속성과 만족도, 브랜드 이미지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오상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내국인 고객이 인터넷 면세점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실제 이용 후에 대한 성취도를 측정하여 중요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중요도와 성취도 간 IPA 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면세점 선택속성들이 IPA 매트릭스 상에 어떤 영역에 속하게 되는지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인터넷 면세점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각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최근 1년 이내에 인터넷 면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진행되었으며 300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PSS V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대응표본 T-Test, IPA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면세점의 선택속성이 각 요인별로 중요도-성취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선택속성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정보질, 이용편리성, 주문편리성, 결제편리성, 구매편리성, 반품용이성, 결제보안성, 상품의 다양성, 상품의 품질, 명품 다양성, 할인 다양성, 이벤트 다양성, 저렴한 가격, 회원 혜택이 중요도 대비 성취도가 높은 속성들로서 고객이 만족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러 실증 분석을 바탕으로 인터넷 면세점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충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인터넷 면세점의 어떠한 선택속성이 우선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 제시와 인터넷 면세점 경영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jor selection attributes of domestic customers on the choice of online duty free shop and the actual performance was measured to comprehend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s. IPA analysi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s were accompanied to categorize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online duty free shop on IPA matrix. The elucidation on the effect on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and their effect on customer loyalty was also aimed.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on a group of domestic customer over 20 years old who has used the online duty free shop in the past year. 300 surveys, performed both online and offline, was collected as valid samples. SPSS V20 software was exploi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ired T-test, IPA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leads following results: Firstly, considerable differences in statistics were found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s in the factor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Secondly,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nveniences in the usage, payment, purchase and return, the security of payment, the diversity and quality of goods, the diversity in brand-name product, discount and events, reasonable price, and membership benefits were determine to be higher importance/performance and of greater customer satisfaction. Thirdly, a positive relationship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the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was found. Also, a meaningful effect of the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on customer loyalty was observed.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a priority in selection attributes and management strategy on online duty free shop have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