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말소리장애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 = Visual,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23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된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주의집중과 관련된 연구를 볼 수 있다. 그것은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에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 언어발달장애와 읽기...

      최근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된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주의집중과 관련된 연구를 볼 수 있다. 그것은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에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 언어발달장애와 읽기장애는 주의집중력에 결핍을 보인다고 선행연구로 증명되어 있고, 현재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 관련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 외국논문은 있지만, 우리나라 논문에서는 말소리장애의 주의집중에 관련된 논문은 아직 나오지 않은 실정이다.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하여 음운인식과 작업기억력에 어려움을 보인다. 작업기억력에서 기억력과 주의집중력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작업기억력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주의집중력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주의집중은 학습의 기본임으로 주의집중능력은 중요하다. 주의집중에는 말소지자극에 의한 청각적 주의집중과 글자자극에 의한 시각적 주의집중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청각적 주의집중능력이 떨어진다고 선행연구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 과제의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의 분석을 통해 주의집중능력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언어문제가 없이 순수하게 말소리문제를 가지고 있는 순수 말소리장애아동과 언어문제를 동반하면서 말소리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으로 나누어 집단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두 과제 간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말소리장애아동의 시각, 청각 주의집중능력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6세에 해당하며, 말소리장애아동 10명과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10명과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과 청각 주의력 과제에서 순수 말소리장애아동과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주의력을 나타냈으며,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정반응 점수에 대한 시각, 청각과제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각, 청각 주의력 과제에 따른 평균점수를 살펴보았을 때, 일반아동, 순수 말소리장애아동,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과 청각 주의력 과제에서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일반아동, 순수 말소리장애아동,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모든 집단에서 청각과제의 반응시간이 시각과제의 반응시간보다 더 느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집단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이 일반 아동집단에 비해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더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말소리장애아동의 지속적 주의집중력 결함의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말소리장애아동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researches related to attentions are found in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his is because attentions are drawn into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Previous studies demonstrate that ...

      Recently, researches related to attentions are found in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his is because attentions are drawn into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Previous studies demonstrate that simple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reading disorders accompany deficiencies of attention powers. While some studies in overseas present relevances between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no study in Korea on attentions of speech sound disorders is found ye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how difficulti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king memories. In working memories, memory powers and attention powers are related. Therefore, the fact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have difficulties for working memories enables a prediction that such children have difficulties for attention concentrations as well. Also, the attention is a basic of learning so that the attention ability is critical. attentions can be classified for consideration into the visual attention by character stimulations and the auditory attention by speech stimulations. the fact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in lacked of attention abilities is demonstra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pproaches to attention abilities through analyses on positive response scores and responsive tim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normal children on tasks of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e is composed of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having only speech issues without language issues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including speech language and speech issues. Also, by analyzing differences in positive response scores and response times between two tasks, an indirect analogy is attempted for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For this study,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and 20 normal children residing in Busan area.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both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lower concentration abilities than that of the normal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se 3 groups are significant. However, in case of positive response scores on the visual and the auditory task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among these 3 groups.
      Average score of each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is higher in the order of the normal children,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econd,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slower response times against the normal childre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both groups of the normal children,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that response times on the auditory task is slower thant that on the visual task.
      Such results show that the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of the group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weaker than that of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deficits of sustained attention power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s well as helpful information for treatment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지속적 주의집중 6
      • 2. 말소리장애아동의 지속적 주의집중력 6
      • 3. 단순 언어장애의 주의집중력 7
      • 4. 언어학습에서 주의집중력의 중요성 11
      • Ⅲ. 연구 방법 13
      • 1. 연구 대상 13
      • 2. 연구 도구 17
      • 3. 연구 절차 20
      • 4. 자료 분석 22
      • 5. 자료 처리 22
      • 6. 신뢰도 23
      • Ⅳ. 결 과 24
      • 1. 세 집단 간 자극제시(시각, 청각) 유형에 따른 정반응 점수 24
      • 2. 세 집단 간 자극제시(시각, 청각) 유형에 따른 반응시간 28
      • Ⅴ. 논의 및 결론 32
      • 참고문헌 34
      • 영문초록 41
      • 부록 Ⅰ. 말소리장애 진단 기준(DSM-V)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