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지역 대학생의 식품위생 · 안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주미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Rapid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in the national income have changed social structures, such as the expansion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have led to an increase in eating out, processed foods, imported foods and institutional food service. However,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social change and many kinds of food additives have become a threat to food hygiene and safety, so people’s anxiety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urchasing and selecting foods based on knowledge of and information on proper food hygiene a nd safety has emerged. College age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period when the eating habits of adulthood are formed and settled. The establishment of an awareness level for proper food hygiene and safety can be linked to safe and healthy food selection in adulthood. In the previous study, food hygiene a nd safety perceptions were surveyed at various age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aged students, and housewive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awareness, knowledge, behavior and educational need of college students in Jeju toward food hygiene and saf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of food hygiene and safety of college students in Jeju, analyze the status of college students’ food hygiene and safety habit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Jeju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efficiently their awareness of food hygiene and safety. We conducted a survey on college students in Jeju from April 2, 2018 to April 28, 2018 and used 400 questionnaires among the retrieved samples as the investigating materia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ANOVA (Duncan),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were 58.8% female and 41.2% male and 8 3.3% were 20 to 24 years old. In the category of type of residence, “home” was the highest at 64.8%. Respondents from the departments of food science and non -food science 50% respectively. 50.8% of the respondents had no experience in food-related educat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experience of food-rel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food-related part-time work or their majors (p<0.10). 69.0% of students had experience in food-related part-time work, and 33.0% of students had experience for ‘more than one year’ in food-related part-time work, which was the highest rate in the category of work period. 50.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f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at work. Second, the degree of concer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from the respon dents was 3.30 out of 5 o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hygiene and safety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majorand part - time experience in food-related fields (p<0.01, p<0.05). Third, the awareness level of food hygiene and safety was 2.74 out of 5 on a verage. The main reason why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feel unsafe with food was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food is not reliable, which was how 33. 5% of respondents answer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food hygiene and saf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hygiene and safety and the respondents’ major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food-related part-time work. Fourth, the ease of obtaining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among t he subjects was 2.99 out of 5 o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hygiene and safety and respondents’ major(p<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measur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food-related part-time work. Respon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through media,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Fif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of the respondents, the rate of correct answers given during a test o f their knowledge was 80.7%, and the average score given based on their food safety habits was 3.54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by respondents' major and food-rela ted part - time job experience (p<0.05, p<0.01). Sixth, 86.3% of respondent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educatio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In addition, 39.7%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option to receive training once every six months, 34.8% of whom wanted overall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kinds of food poisoning. In the category of education method, crash courses through professional lecturers was highest at 29.9%. ‘Because of low interest’ was the highest reason given at 58.2% among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did not need educatio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 Jeju had mo re experience in food hygiene and safety if they were in food-related department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knowledge, behavior, and educational need based on a students’ major. Thus, it sh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curriculum on food hygiene and safe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media, and to provide information in an efficient manner so that all college students can obtain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of non-food related departments preferred crash courses with professional lecturers in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so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not only in major courses but also in liberal arts classesor crash courses.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degree of obtaining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by the information media for college students in Jeju, many people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broadcasting media, internet, and smart phone while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print media and food related organizations was significantly less. It seems to be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college students' use of smartphones, internet, and SNS. Therefore, food-related organizations will need to improve information systems for food hygiene and safety such as smartphone apps and active publicity so that students can get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by using smartphon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t any time. Also,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through print media,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n food hygiene and safety will to devise ways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급속한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향상은 여성 경제활동 확대, 1인 가구의 증가 등의 사회구조를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외식, 가공식품, 수입식품 그리고 단체급식의 이용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따른 환경오염과 많은 종류의 식품첨가물 등은 식품의 위생 및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고, 이로 인한 국민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올바른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식품의 구매 및 선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성인기의 식습관이 형성·정착되는 시기로, 이들의 올바른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의식 수준의 확립은 성인기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 대학생, 주부 등 지역별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행동 그리고 교육 필요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위생 및 안전에 관한 인식과 지식, 행동을 조사하여 현재 대학생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관련 실태를 비교·분석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을 파악하여 제주지역 대학생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2일부터 2018년 4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40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 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χ2 검정), t-te st, ANOVA (Duncan)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여자가 58.8%, 남자는 41.2%로, 연령대는 20∼ 24세가 83.3%로, 거주형태는 자택이 64.8%로 가장 높았다. 전공 학과는 식품관련학과와 비식품관련학과가 각각 50%였으며, 식품관련 교육 수강 경험 여부는 ‘없다’가 50.8%로 나타났고, 식품관련 교육 수강 경험은 전공학과와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1).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있다’가 69.0%로 나타났고,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근무 기간은 1년 이상이 33.0%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지에서의 교육 수강 경험 여부는 ‘없다’의 응답률이 50.7%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를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3.30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는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p<0.05). 셋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2.74점으로 나타났고, 불안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식품의 생산과정을 신뢰할 수 없기때문이 33.5%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는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p<0.01),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 획득 용이성을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2.99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p<0.01),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 매체별 정보 획득은 방송 매체, 인터넷, 스마트폰을 통해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지식과 행동을 분석한 결과 지식 정답률은 80.7%로 나타났고, 행동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54점으로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지식과 행동은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p<0.01).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 대한 결과는 ‘필요하다’가 86.3%로 나타났다. 또한 선호하는 교육실시 횟수는 6개월에 1회가 39.7%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은 식중독 예방, 종류 등에 관련한 전반적인 내용이 34.8%로, 교육 방법은 전문 강사를 통한 특강이 29.9%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흥미도가 낮기 때문이 5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대학생은 식품관련학과일수록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학과에 따른 인식, 지식, 행동, 교육 필요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대학생이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경험과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과정을 증가시키고 정보 매체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비식품관련학과가 선호하는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방법이 전문 강사를 통한 특강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전공 강의뿐만 아니라 교양수업 또는 특강을 통한 맞춤형 교육이 늘어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주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 매체에 따른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의 획득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방송 매체, 인터넷,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 획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에 비교하여 인쇄 매체, 식품관련 기관을 통한 정보 획득은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송 시청, 인터넷, SNS 사용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식품관련 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언제든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스마트폰 앱 등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쇄 매체를 통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해 대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다양한 교육 자료의 제작이 필요할 것이다.

      • 한나 아렌트의 정치적 행위 개념과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연구

        주미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ver over ‘the political’. Today we feel too much political careless of people and we say our time is faced by political crisis also. Hannah Arendt already had studied over ‘the political’ and its importance through her political severe experience as Jew during World War Ⅱ. Arendt’s concept of the political is comprehensive and at the same time unique. It is comprehensive because she claims that we can find the political wherever speech is employed in people’s interrelations, and her idea is quite unique because she doesn’t want to explain the political in terms of principles, power relationships, or rationality as other political theorists do.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her concept of politics is the claim that politics is where human plurality should be preserved and encouraged. Her theory of judgment suggests a way to judge a given political situation or issue in terms of its particular aspects, not by subsuming it under some preestablished universal principles. I believe her unique political theory could help to recover the political and overcome political cisi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에 널리 퍼져있는 정치에 대한 회의와 불신을 극복하고 새로운 정치에 대해 희망할 수 있는지를 아렌트의 연구와 참여민주주의를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아렌트는 고대 희랍 세계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통해 정치적 행위 개념(praxis, action)을 재발굴 시켰다. 아렌트는 주저『인간의 조건』에서 활동적 삶을 분석하였는데 활동적 삶에는 노동(labour), 작업(work), 행위(action)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의 본연됨을 드러내는 것은 행위라고 한다. 행위는 정치적인 것으로 공적 영역에서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함- 인간의 복수성(plurality)-을 말과 행위로 드러내는 것이며, 이것을 통해 인간은 공적 정체성과 공적인 행복을 획득하게 되며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아렌트는 생애 말기에 가서는 정치적 행위자가 행위를 할 수 있는 정신적 기능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하였고, 이것을 정치판단이론으로 전개시켰다. 판단은 상상력과 반성이라는 두 가지 정신작용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사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갖게 되면 객관성을 갖게 된다. 또한 행위자는 판단을 통해서 소통가능성을 갖게 되며 이것의 근거는 대해 우리가 공통 감각(sensus communis)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이 공통 감각은 공동체 감각이라고 하며 인간적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행위자는 공적 영역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관점, 즉, 불편부당성(impartiality)을 얻게 된다. 행위자는 의견 교환을 통해 사적 이해관계(personal interest)를 넘어서고,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운 것, 무사심성(disinterestedness)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정신 능력을 통해 시민은 정치에 대한 참여가 가능하며 또한 필요하다. 직업 정치인은 당리 당략 또는 인기에 연연해서 공정한 결정을 내리기가 힘든 반면, 시민은 어느 이해 관계로부터도 비판적 거리를 두고 있어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결정을 내리도록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렌트의 이러한 정치 이론들은 현대의 정치의 위기가 대의민주주의의 태생적 한계 때문이며 대의민주주의는 심지어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비판과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 참여민주주의와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참여민주주의는 60년대 학생운동과 더불어 생겨난 것으로 본래적 가치, 자아실현 가치, 도구적 가치를 갖고 있는데 아렌트의 이론은 인간의 본래적 가치에 많은 해석과 적용의 여지를 갖는다. 정치에 참여하는 주체인 나의 존재감에 대한 이러한 아렌트적 가치 부여는 참여민주주의가 아직은 체계화되고 단단한 이론적 입지를 굳히지 못한 상태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원천적으로 시민의 정치참여를 제한하고 정치 전문가라고 하는 정치가들의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는 대의민주주의의 문제점은 시민의 정치 참여를 통해서만 극복할 수 있으나 노동이 삶의 필수로 깊숙히 내재화된 현대에 시민의 정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작업이며 이에 강력한 의미부여가 필요하다. 이런 점에 아렌트의 정치적 행위 개념은 정치에 참여하는 시민으로 하여금 단순한 개인 이익의 조화(harmony of private interests)가 아니라 다양한 인간 존재의 조화(harmony of plural human beings)를 맛봄으로써 무세계적 실존을 극복하고 자아의 발견을 경험할 수 있다는 매력적인 의의를 제공함으로 투표와 같은 일회성, 소극적 참여가 아니라 일상적이고 적극적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아직은 갈 길이 험난해보이는 한국의 정치 현실이지만, 지난 대선에서 폭발적이고 생동감 있는 시민들의 참여와 달라진 정치문화는 아렌트의 적실성 있고 탁월한 이론을 이정표 삼아 한국의 정치가 새로운 길을 갈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말소리장애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

        주미진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된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주의집중과 관련된 연구를 볼 수 있다. 그것은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에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 언어발달장애와 읽기장애는 주의집중력에 결핍을 보인다고 선행연구로 증명되어 있고, 현재 말소리장애와 주의집중능력 관련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 외국논문은 있지만, 우리나라 논문에서는 말소리장애의 주의집중에 관련된 논문은 아직 나오지 않은 실정이다. 말소리장애아동과 관련하여 음운인식과 작업기억력에 어려움을 보인다. 작업기억력에서 기억력과 주의집중력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작업기억력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주의집중력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주의집중은 학습의 기본임으로 주의집중능력은 중요하다. 주의집중에는 말소지자극에 의한 청각적 주의집중과 글자자극에 의한 시각적 주의집중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청각적 주의집중능력이 떨어진다고 선행연구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 과제의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의 분석을 통해 주의집중능력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언어문제가 없이 순수하게 말소리문제를 가지고 있는 순수 말소리장애아동과 언어문제를 동반하면서 말소리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으로 나누어 집단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두 과제 간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말소리장애아동의 시각, 청각 주의집중능력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6세에 해당하며, 말소리장애아동 10명과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10명과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과 청각 주의력 과제에서 순수 말소리장애아동과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주의력을 나타냈으며,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정반응 점수에 대한 시각, 청각과제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각, 청각 주의력 과제에 따른 평균점수를 살펴보았을 때, 일반아동, 순수 말소리장애아동,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과 청각 주의력 과제에서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일반아동, 순수 말소리장애아동,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 모든 집단에서 청각과제의 반응시간이 시각과제의 반응시간보다 더 느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집단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능력이 일반 아동집단에 비해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더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말소리장애아동의 지속적 주의집중력 결함의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말소리장애아동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Recently, researches related to attentions are found in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his is because attentions are drawn into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Previous studies demonstrate that simple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reading disorders accompany deficiencies of attention powers. While some studies in overseas present relevances between speech sound disorders and attention abilities, no study in Korea on attentions of speech sound disorders is found ye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how difficulti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king memories. In working memories, memory powers and attention powers are related. Therefore, the fact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have difficulties for working memories enables a prediction that such children have difficulties for attention concentrations as well. Also, the attention is a basic of learning so that the attention ability is critical. attentions can be classified for consideration into the visual attention by character stimulations and the auditory attention by speech stimulations. the fact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in lacked of attention abilities is demonstra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pproaches to attention abilities through analyses on positive response scores and responsive tim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normal children on tasks of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e is composed of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having only speech issues without language issues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including speech language and speech issues. Also, by analyzing differences in positive response scores and response times between two tasks, an indirect analogy is attempted for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For this study,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and 20 normal children residing in Busan area.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both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lower concentration abilities than that of the normal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se 3 groups are significant. However, in case of positive response scores on the visual and the auditory task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among these 3 groups. Average score of each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is higher in the order of the normal children,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econd, on the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tasks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slower response times against the normal childre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both groups of the normal children, the children with simple speech sound disorders and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ying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s show that response times on the auditory task is slower thant that on the visual task. Such results show that the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bilities of the group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re weaker than that of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deficits of sustained attention power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s well as helpful information for treatment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세계 여러 나라 문화예술정책에 관한 연구

        주미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cultural art policy around the world community. Furthermore making an investigation into Korea's own cultural art policy. First, it seems that cultural art policy in all countries is politically, culturally and socially one of the main points in every country. Second, in France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t policy supports artists. As a result France is a prominently advanced country in this field. Third, America has systems which encourage cultural art on the basis of NEA(National Endowment for Arts). The NEA promotes a number of cultural artists. Fourth, Germany seems to be interested in cultural and art industry progress by implementing numerous policies. In addition to gender equality cultural policy and art education policy. Fifth, Japan tries to promote cultural art by digging out talented artists by way of its Culture & Arts Foundation. As stated above, I tried to examine cultural art policy of several other countries. In case of Korea, cultural art policy has been gradually progressing through its civil government, though it is a little late. In the case of Korea's cultural art education policies the major problem is "Original Ideas of Korea". In order to promote art subjects disappearing gradually in Korea's curriculum, the system of cultural art education instruction should be activated. This involves a cultural art teacher being sent to every school. Through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art in Korea would develop significantly with the inception of this system. (초록) 본 연구는 세계 여러 나라 문화예술정책의 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는 어떠한 방식으로 문화예술정책을 시행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첫째, 문화예술정책은 모든 나라에서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으로 아주 중요한 사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랑스의 경우에는 예술인을 지원하는 문화예술정책의 발달이 프랑스를 선진국으로 우뚝 솟게 만든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국은 NEA(국립 예술기금)를 토대로 문화예술을 장려하고 많은 문화예술인을 키우는 시스템들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독일에서는 젠더 평등 문화정책, 예술교육정책 외에 많은 문화예술정책의 시행으로 인하여 문화에 대한 관심과 예술 산업 발전에 관심이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섯째, 일본은 문화예술진흥원을 통하여 문화예술을 장려하고 문화예술 인력을 발굴하는데 힘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예술정책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뒤 늦게 시작한 점은 있지만 문민정부를 기준으로 하여 문화예술정책이 날로 발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눈여겨 볼만한 것은 문화예술정책 ‘창의한국’ 에서 주요 과제 중 문화예술교육정책이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날로 사라져 가는 예술과목들을 장려하기 위해, 각 학교에 파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강사제도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제도를 통하여 우리나라도 문화예술이 한층 더 발전되어 가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벽지 디자인 연구

        주미진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는 전통에 대한 무관심과 경시풍조가 만연하는 혼돈의 시대에서 과연 우리 것에 대한 우수성을 잃어버리는 것이 세계화를 향한 우리의 자세인가를 되돌아보며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우리전통에 대한 우수성을 알고 계승,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우리의 전통문화 중 한민족의 의식이 반영된 창조적 정신활동의 소산인 전통문양은 각 시대별 조상들의 생활 풍속이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 이다. 한국 전통문양은 한국인의 생활 정서와 의식의 표현이다. 문양은 언어나 문자와 마찬가지로 그 민족의 살아온 환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를 지니며 나름대로의 독특한 성격과 개성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조상들의 사유는 현대인들의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이상향을 무늬로 나타내고 있다. 아름다운 삶과 내세를 추구한 심성이 아니고서는 이러한 오묘한 미술을 창조할 수 없다. 이러한 전통 문양의 상업 이미지의 적용은 우리 민족의 전통을 계승하고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전통을 보존하고 지켜내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현대에 이르러 여러 세계의 문화 사업화적인 측면에서 고수하는 것만이 최선의 방법이 되지는 않고 있다. 현대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변화가 시도되어 패션, 출판, 인테리어, 등 현대 상업 물 곳곳에 배어들어 시대흐름에 동떨어지지 않고 시간이 지나 변화에 맞추어 보다 앞서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전통문양은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방면으로 적용, 시도되어 오고 있는데 벽지는 주거 공간에 밀접한 연계를 가지는 제품으로서, 주거 공간의 심미적 완성도에 결정적인 요소라 할 만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문양을 벽지디자인에 접목시켜 벽지를 한국적 특징을 가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문양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무늬 패턴들을 분류하고 전통문양 중에 식물문양을 중심으로 벽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벽지의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의 색체인 오방색을 응용하여 한국적 특성을 가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한국벽지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In current chaotic era where indifference and negligence to our tradition are prevalent, we need to think back if losing our traditional excellence is our attitude toward globalization and we need to know the excellence of our tradition in more positive way to succeed and develop it. Traditional pattern among our traditional culture is the result of creative spiritual activity that reflects the sense of the Korean race and it symbolically expresses living custom and sentiment of our ancestors in each period. Korean traditional pattern is the expression of Korean people’s living sentiment and sense. Pattern, like language and letter, has unique shape following the nation’s living environment and also expresses uniqu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of its own. This way, ancestor’s thinking expresses the utopia that modern people cannot even think of in the pattern. Without the heart that pursued beautiful life and afterlife, this profound art cannot be created. The application of this traditional pattern on the commercial image succeeds our national tradition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in understanding and guiding our traditional culture.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 tradition is important but in modern times, sticking only to the tradition is not the best way in cultural business aspect of various worlds. Along with the contemporary movement, various changes have been tried in the fields of fashion, publishing, interior and other modern products, and so it doesn’t lag behind the flow of time but steps ahead of time following the change. In this aspect, traditional pattern has been applied and attempted in various ways, and wallpaper can be said to be a decisive factor of completing residence space as it is closely connected to residence spa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ppl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wallpaper design so as to develop the wallpaper into modern design with Korean tradition. From this study, I’d like to conside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attern and to categorize patterns and to analyze visual characteristics of wallpaper by studying the traditional patterns focused on botanic pattern and to develop Korean wallpaper design with the most contemporary design with Korean features by applying the five colors of Korea.

      • 어메니티와 인적 자본의 이동과의 관계

        주미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왜 지역이 발전하는가 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사회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어 왔다. 특히 최근 내생적 성장이론(Endogenous Growth Theory)은 인적 자본 (Human capital)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인적 자본의 경제성장과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과 달리 인적 자본이 어디로 이동하는가 하는 문제는 거의 간과되거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어메니티와 인적 자본의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봄으로써 인적 자본과 어메니티 연구에 대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인 범위는 2005년부터2008년까지 3년까지 이며 공간적 범위는 미국의 MSA(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를 대상으로 한다. 자료는 고학력자의 이주와 관련해서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의 IPUMS (Integrated Public Use Microdata Series) 데이터가 주로 사용되었다. 통제변수는 경제변수, 사회 변수와 자연환경변수가 사용되었는데, 경제변수는 US 인구센서스(US Bureau of Census) 자료가 사용되었다. 사회변수는 FBI, 교육통계 American Community Survey 자료가 사용되었다. 시설물 변수는 Metropolitan Business Patterns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는 노동자들에게 어메니티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일반 노동자들에게는 식료품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학력 노동자들에게는 스포츠 시설과 식료품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나이와 상관없이 고학력노동자들에게는 식료품점이 영향을 미칠 뿐 다른 요인들은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메니티가 노동자의 유입을 살펴보면 일반 노동자들에게는 어메니티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학력 노동자들에게는 오락시설과 서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있는 사실은 오락시설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서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젊은 고학력 노동자들의 경우에는 오락시설, 스포츠시설, 서점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으나 오락시설은 여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의 노동자들에게는 어메니티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노령의 고학력 노동자들에게는 문화, 스포츠, 레스토랑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으로 큰 스포츠 시설 등은 사람들이 유입되는데 중요했다. 따라서 사람들이 머무는 데는 기초적 삶의 질을 위해서 필요한 식료품점 등이 중요하며 사람들을 유입 하는 데는 좀 더 도시를 활력 있고 즐겁게 만드는 큰 규모의 시설물들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자체나 학계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어메니티의 효과는 아직까지는 확실히 증명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어메니티 시설물 중 일부 시설물은 사람들은 머무르게 하고 유입하는데 효과가 있었지만 상당수의 시설물들은 큰 영향이 없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도 노동자의 학력이나 나이 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자체에서는 어메니티를 건설함에 있어서 좀 더 주의 깊은 전략과 마스터 플랜이 요구된다. Across the past two decades, public officials have debated and social scientists have studied the importance of tourist amenities in attracting and retaining human capital. Few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amenities and the migration of educated workers. Information of this nature is needed by public officials considering the best use of tax dollars to attract human capital and advance local economies. This dissertation addresses this nee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t amenities and the migration of educated workers. This study’s focus was on the importance of built amenities such as sports facilities, museums, and restaurants. Public investments can change the distribution of these amenities; in contrast, the advantages provided by natural amenities (e.g., weather, coastlines, and mountains) are less susceptible to public interventions. For that reason, areas lacking in those assets have focused on sports, the arts, and culture to attract human capital. Knowing if any of those investments have an effect on migration patterns is essential for cities across the North American Midwest and in many other parts of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both migration (attraction) and non-movement (retention) of different types (age, education) of workers. Empirical tests using IPUMS (Integrated Public Use Micro-data Series) data between 2005 and 2008 show that small tourist amenities help retain workers while some big amenities do have an impact on the immigration of some groups of educated workers. These findings can help cities create the desired environments to foster attraction and retention of educated workers for economic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