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게임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효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모바일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등장은 중국 미디어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켰다. 특히 모바일과 인터넷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일상생활에서의 영향력이 증가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서비스는 지난 2013년부터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며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졌다. 모바일 게임 이용자들이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었으며 향후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모바일 게임 이용동기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어떠한 이용동기가 모바일 게임에 대한 이용 만족도 및 이용 의도와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326명의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게임의 이용 동기는 '휴식/오락성', '대인관계성', '현실도피성' 등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3가지 이용 동기가 모바일 게임 이용만족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3가지 이용 동기 모두 사회만족과 심리만족 및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모바일 게임에 대한 이용만족도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심리만족은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만족은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 모바일 게임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이해하고, 이러한 이용동기가 모바일 게임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임지은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 대인관계 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학생을 대상으 로 부모화 경험, 대인관계 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를 측정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대해 SPSS 23.0과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매개표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은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 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졌고 자기자비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가졌다. 자기 자비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는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고 내면화된 수치 심과 대인관계 문제는 정적상관을 가졌다. 둘째, PROCESS macro model 4, model 6를 활용하여 각 변인의 매개효과,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분석 결과, 95%의 신뢰 구간에서 부모화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에 도달하는 경로를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화경 험과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부모화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쳐 대 인관계 문제로 이어지는 순차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는 대학생의 부모화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형성시켜 부정적 자기상을 가지게 되면서 자기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 낮아져 대인관계 문제가 더 많아지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핵심되는 말 : 부모화 경험, 대인관계 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

      • 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배효정 차의과학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며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 5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셨고, 아동기 역경 경험, 양육태도, 정서조절곤란,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질문지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한 번이라도 아동기 역경을 경험한 부모는 전체의 83.0%로 나타났고, 전혀 없었던 비율은 17.0%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40.1%가 네 개 이상의 아동기 역경의 중복경험이 있었다. 아동기 역경 경험 중 아동기 가족구성원들의 폭력피해 목격 경험 비율이 63.3%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학대 경험(62.0%)과 신체적 학대 경험(49.8%)이 높은 편이었다. 둘째,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 양육태도, 정서조절곤란, 양육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권위·통제 - 민주·자율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기 역경을 많이 경험한 부모가 권위·통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 및 양육스트레스의 단독매개효과와 완전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거부·적대 - 애정·수용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단독매개효과는 확인하였으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정서조절곤란 및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의 아동기 역경경험이 그들의 권위·통제 양육태도와 거부·적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역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아동기 역경을 많이 경험한 부모가 권위·통제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은 아동기 역경 경험이 그들의 정서조절의 어렵게 하고 양육스트레스를 높임으로써 권위·통제 양육태도를 보이게 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아동기 역경을 많이 경험한 부모가 거부·적대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은 그 경로에서 그들의 정서조절에 어려움만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역경 경험이 있는 부모의 역기능적 양육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정서조절곤란이 우선 해결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이며,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에게 냉담하고 거부적인 양육태도 보다 자녀의 자율성을 통제하고 과잉보호하는 양육태도를 통해 양육의 세대간 전이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pathway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effect of their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on their child-rearing attitudes targeting parents raising infant childre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48 paren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re raising children aged 3 to 5 years.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and dual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program.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d by parents raising infant children was investigated, and as a result, 83.0% of parents experienced childhood adversity at least once, and the rate of none at all was 17.0%. In addition, 40.1% of the total had four or more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Among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childhood family members had the highest rate of witnessing violence at 63.3%, and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62.0%) and physical abuse (49.8%) were on the high sid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dversity, parenting attitude,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parenting stress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examined in the path in which parents' experiences of adversity in childhood affect authority/control-democratic/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ents who experienced a lot of adversity in childhood had a single mediating effect and a complet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path that influenced parenting attitudes of authority and control. Fourth,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examined in the path in which parents' experiences of adversity in childhood affect rejection/hostility-affection/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s a resul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was confirmed, but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not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experiences of adversity in childhood affect their authority/control parenting attitude and rejection/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the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path was confirmed.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parents who experienced a lot of childhood adversity show an authority/control parenting attitude suggests that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regulate their emotions and increase parenting stress, resulting in an authoritative/control parenting attitude. However, the reason why parents who experienced a lot of adversity in childhood show rejection and hostile parenting attitude is that only difficulties i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ffect the path. These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dysfunctional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adversity,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needs to be addressed first. It suggests that the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parenting.

      • 기업상담의 상담구조화 요소 목록 개발 : 상담초기를 중심으로

        이윤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기업상담은 직원과 조직 모두에게 도움을 주는 조력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기업, 상담자, 내담자 간에 상담 운영에 대한 협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담에서는 상담 구조화를 통해 문제, 과정, 목적에 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한다. 이는 명확한 방향 제시, 의사소통의 원활성, 내담자의 참여 유도, 효율적인 진행, 윤리적인 원칙 준수 등의 효과가 있다. 선행 연구에서 일반상담을 위한 상담 구조화 구성 요소를 개발한 연구가 몇 있지만, 기업상담을 위한 상담 구조화 구성 요소를 개발한 연구는 거의 없다. 기업상담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고 상담 성과에 대한 다수의 긍정적인 보고가 있지만 정보의 보안이 우선시되는 기업의 특성상 기업상담 운영에 대한 정보 접근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상담 실무자들이 사용하는 상담 구조화 요소와 표준 스크립트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절차로는 선행 연구 검토와 기업상담 실무자 10명의 인터뷰를 통해 초안을 작성하였고, 22명의 기업상담 실무자에게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요소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12개 영역 55개 요소가 확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기업상담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상담 구조화 요소 목록을 개발하였으며, 기업상담과 일반상담에서 공통된 요소와 구별된 요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상담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기업상담 운영의 특성을 확인하고 가이드라인 개발의 기초를 제시하였다. Workplace counseling requires the role of a facilitator who assists both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there needs to be prior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among the corporation, counselor, and client regarding counseling operations. In counseling, through structuring the process, an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the issues, procedures, and objectives are derived, resulting in effects such as clear direction, effective communication, client engagement, efficient progress, and adherence to ethical principles. Whil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developing structural components for general counseling, there is a scarcity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components for workplace counseling.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workplace counseling and numerous positive reports on its outcomes, 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about workplace counseling operations exists due to the priority of information security in corpor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unseling structural components and scripts used by workplace counseling practitioners and verify their validity. The research procedure involved reviewing prior studies, conducting interviews with ten workplace counseling practitioners, and performing a Delphi survey with twenty-two practitioners to derive the components. Ultimately, twelve domains and fifty-five elements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list of counseling structural componen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ing and identify shared and distinctive elements between workplace and general counseling. Additionally,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counseling operations were obtained, providing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that can be referenced by workplace counseling practitioners.

      • 국내 아동·청소년의 자기조절력 증진을 위한 개입의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김도현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만 3세 - 18세 이하의 전학령기 및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자기조절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개입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개입을 통한 자기조절력 증진의 효과를 알아보고, 자기조절력의 증진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입의 필수 요소(core components)를 도출하는 것이다.랜덤효과 모형을 이용한 효과크기 분석과 조절변인 분석, 메타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은 1) 신경발달장애 진단 또는 심리적 문제를 동반하는 의학적 상태가 보고되지 않은 만 3세-18세 국내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일반 집단, 심리적 또는 행동적 문제 보고 집단 모두 포함), 2)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출간된 심리사회적 개입 실험 연구 중, 3) 자기조절력의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포함하는, 4) 진실험설계 또는 준실험설계를 이용한, 5) 국내 박사학위 논문 및 학술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제외 기준에 따른 선별 후 최종 선별된 연구 총 35편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 및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개입을 통한 자기조절력의 증진 효과 크기와, 대상자 및 개입의 특성에 관한 변인들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개입의 구조적 특성과 개입 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비뚤림 효과의 출간 편향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의 질과 오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입을 통한 국내 아동·청소년의 자기조절력 증진의 효과 크기(g)는 유의미하며, 0.767의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보였으나 상당한 수준의 이질성이 나타났다. 조절 변인 분석 결과, 대상자 특성 중 연령, 심리적 문제 또는 문제 행동의 보고 여부로, 학령기 집단보다 전학령기 집단에서, 심리적 문제 또는 문제 행동을 보고한 집단보다 보고하지 않은 집단에서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개입의 특성 중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이 포함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 방식 간의 유의미한 효과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직접적 개입 내에서의 통합적 매체의 활용 여부가 유의미한 조절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구조적 특성에 따른 조절 변인 중 집단 크기가 개입의 효과 크기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전체 및 모든 하위 집단에서 확인되었으나, 그 외의 구조적 특성 변인들은 미미한 조절 효과가 나타냈다. 그러나 개입 방식에 따른 하위 집단 중 직접적 개입에서 총 회기 수가 개입의 효과 크기와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직접적 개입 방식에서 개입의 빈도가 자기조절력 증진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모든 개입의 환경 중, 정규 교육 기관에서의 개입이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를 통해, 심리사회적 개입을 통해 만 3세-18세 아동·청소년의 자기조절력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킬 수 있음이 검증되었으며, 효과에 영향을 주는 대상자의 특성 및 개입의 특성 변인들이 확인되었다. 향후, 다양한 특성의 대상자와 보다 많은 수의 실험 연구를 대상으로 이러한 변인들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검증하여, 자기조절력 증진을 위한 개입의 견고한 근거 기반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improving self-regulation of South Korean young youth aged from 3 to 18 years old including both universal population and those at risk. Further, this study focused on discovering the moderating factors of participants and intervention to suggest evidence bases for the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self-reg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 Based on concrete and well-founded study selection process, total 35 studies were included, on which a meta-analysis with random effect model was conducted. Subgroup analysis and meta-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iscover the moderato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interventions. The analysis of publication bias and risk of bias were implemented to verify the quality and existence of potential errors in the current analysis and the included studies. [Results] The total pooled effect size was medium(g=0.767) according to Cohen's interpretation criteria and significant level of heterogeneity was found as well.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ors included: participants' age(preschool-aged group showed higher effect than school-aged), existence of reporte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universal group showed higher effect than at-risk group), the focus of regulation(integrated-foci interventions showed higher effect than discrete-focus interventions), types of method and activities(those including diverse activities showed higher effect than traditional lectures with relatively low diversity in activities; those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showed higher effect than those not including them) and the structural features(the larger the group size, the higher the effect was and school-based intervention setting showed the highest effect). [Conclusions] The overall psycho-social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self-regulation and the efficacy depends on participants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echanisms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 especially the elements that promote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of each regulatory function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Further experiments well founded with theoretical rationales regarding the nature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 and high quality of study design and comprehensive analysi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core components leading better outcomes in improving young youth's self-regulation and build a robust evidence base in the field.

      •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이재승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전문대학교의 신입생 충원률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재적인원 대비 중도탈락인원이 늘어감에 따라 여러 어려움이 예상되는 실정이다. 학생의 입장에서는 전문대학교 입학 이후 사회적 인식, 진로의 불투명성 등 다양한 진로장벽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학교를 그만두고 다른 진로의 방향성을 찾게 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진학이라는 진로선택을 하고 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다시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하고 있으며, 중도탈락이라는 선택을 할 경우에는 시간적, 경제적인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으로 인해 중도탈락의도가 발생된다는 가정하에 중도탈락의도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일의 심리학(PWT) 모형을 기반으로 진로적응성과 사회적지지 변인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에게서 총 356부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49부를 제외한 307부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 3.3ver.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23.0의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초통계량을 사용하였으며, PROCESS macro에서 model 1을 이용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model 7을 이용한 진로적응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진로장벽은 중도탈락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 진로적응성에는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진로장벽이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없다. 이는 두 변인 외의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탐색했다는 것과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이 아닌 다른 변인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Junior colleges are expected to go through a difficult time due to the fact first, their recent admission rate is decreasing, second, simultaneously the dropout rate is increasing compared to total currently enrolled students. From a junior college student's perspective, he/she might face various career barriers such as negative image of social recognition about junior college and unclear career pathway which result in his/her dropout a junior college and finding another career pathway. Also, it could be a problematic situation in that he/she has to consider another career pathway from not very long ago that he/she just entered the junior college, furthermore, a junior college student needs to take all responsibility time-wise and money-wise, if he/she decides to dropout.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o reduce dropout level of junior college students, assuming that the dropout of junior college students is caused by career barriers they face, and I adopted a career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s as two factors based on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daptability adjusted by social supports in regards to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f a junior college student on his/her dropout intention.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356 answer sheets from currently enrolled students in junior colleges and used 307 answer sheets as data analysis for the study except 49 answer sheets which students' answer is not clea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urvey, I used SPSS 23.0, PROCESS macro 3.3 ver in analysis. Specifically, I used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basic statistics analysis by SPSS 23.0, model 1 to verify adjusting effect by social supports and model 7 to verify adjusted mediating effect by career adaptability by PROCESS macro.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career barriers significantly impact on dropout intention as positive correlation(+). Career barriers significantly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as negative correlation(-).Third, the adjusting effect by social supports was proved to impa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 career adaptability. Last, the mediating effect by a career adaptability adjusted by social supports is proved as meaningless since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dropout intention. Overall, this study means two factors, social supports and a career adaptability don't substantially influence on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dropout. and this study means two factors, career barriers and social support is influence on the career adaptability. so indicating from now on, follow-up study focusing on another factors needs to be performed later on.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way it explored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dropout intention, and it can provide an informative advice to follow-up study related to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dropout that another factors need to be focused on rather than social supports and a career adaptability.

      • 다문화동료상담사로 활동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지원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동료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다문화동료상담사로 활동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험은 어떠한가? 이며,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론인 현상학적 접근을 선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의도적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으며 국내 거주 10년 차~25년 차의 여성결혼이민자 12명이며 이들은 000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다문화관련 민간단체 ‘M’에서 다문화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을 최소 1년이상 수료하고 다문화 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다. 양성기간을 포함하여 다문화동료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는 기간은 최대 5년차~1년차로 구성된다. 연구대상은 면담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르기까지 면담을 진행하여 총 12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연구참여자들과 1~3회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녹음된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청취하면서 전사하였다. 전사본을 수 차례 반복적으로 줄 단위로 읽으면서 분석하였고 의미단위와 주제 및 범주화 작업을 반복하였다. 현상학적 접근을 위하여 주제와 관련된 기사, 단행본, 영상매체들을 참고하여 범주와 주제들의 의미를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분석은 Giorgi의 절차와 방법을 기초하여 실시하였으며 총 256개의 개념들 중 비슷하거나 중복되는 개념들을 삭제 혹은 통합하여 89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25개의 주제와 4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즉 다문화동료상담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동료상담사 경험은‘동기가 된 상처’,‘갈등과 한계’,‘변화와 노력’,‘치유와 성장’이라는 4가지 본질적 범주로 분류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 분류된 범주들의 공통된 요소들을 통합하여 도출된 다문화동료상담사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상처받은 대리인으로 시작하여 동료와 이주민 내담자들과 치유를 주고받으며 한국사회의 주인공으로 성장함’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4가지 범주에 따른 의미와 내용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천적, 정책적 제안과 구체적인 개선방안들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상담 연구에 있어서 다문화상담자의 영역을 여성결혼이민자를 활용한 다문화동료상담으로 확장하는 시도를 하였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외국인 노동자, 유학생, 난민과 같은 다양한 이주민들을 활용한 동료상담에 대한 연구, 다문화동료상담사 양성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s who are working as multicultural peer counselor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orking as multicultural peer counselors? For thi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sele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12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10 to 25 years of residency in Korea were trained at the 00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multicultural-related private organization 'M' for at least 1 year. After graduation, I am working as a multicultural counselor. The period of working as a multicultural peer counselor, including the training period, consists of a maximum of 5 to 1 year. A total of 12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y conducting interviews until the interview data was saturated. In order to collect data, 1-3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recorded data was transcribed while listening to the researcher himself. The transcription was analyzed by reading it line by line repeatedly several times, and the semantic unit, subject, and categorization work were repeated. For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 tried to compose the meaning of categories and themes by referring to articles, books, and video media related to the topic.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Giorgi's procedure and method, and 89 semantic units were derived by deleting or integrating similar or overlapping concepts out of a total of 256 concep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25 topics and 4 categories. In other words, multicultural peer counsel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essential categories: ‘motivated wounds’, ‘conflicts and limitations’, ‘changes and efforts’, and ‘healing and growth’.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a multicultural peer counselor derived by integrating the common elements of the classified categories through data analysis is ‘starting as a wounded agent, exchanging healing with colleagues and migrant clients, and growing into a hero in Korean socie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s and contents of each of the four categories were examined, an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and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were dealt with in the discu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expand the field of multicultural counselors to multicultural peer counseling us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domestic multicultural counseling research. In the future, research on peer counseling using various migrants such as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and research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peer counselor training course are proposed.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오경선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Unlike high school, when students depend on the guidance of teachers or parents in their academic settings, students at universities, which require autonomous performance,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A large number of college students reported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which is a serious problem, such as not only studying but also continuing in the professional scene after entering society and experiencing disadvantages in social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can alleviate academic procrastin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academic procrastination occurs due to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s a result,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lity were adop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parallell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0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and over nationwide, and 294 of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6 copi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or did not fit the age range. The study result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4.0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as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lity, and fear of failure.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no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s a factor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ity student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significantly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not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vility. Since most of th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ere cognitive control variables, it is meaningful that interventions from different directions are needed to control emotions in the academic process. 학업장면에서 선생님 또는 부모님의 지도에 의존하게 되는 고등학교 때까지와는 다르게, 자율적인 수행이 요구되는 대학교에서 학생들은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다수의 대학생이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학업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에 진출한 후 직업적 장면에서 여전히 이어지며 사회적 성취에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로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학업지연행동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학업지연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이 병렬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전국의 19세 이상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나이가 범위에 맞지 않는 6부를 제외한 294부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4.0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정서조절, 실패공포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실패공포는 매개하고, 학업적 정서조절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의 결과를 통해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드러났으며, 더 나아가 실패공포는 학업지연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적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대부분이 인지적 조절 변인이었다는 점에서, 학업 과정에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다른 방향의 개입의 필요하다는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정성호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양육태도가 이들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 사이에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대학생들의 자살사고를 완화하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한 검정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344명의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들 중 불성실한 12개와 가족유형 중 한부모 가정인 10개의 응답을 제외한 322명의 자료를 SPSS 26.0 통계프로그램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정서인식명확서, 자살사고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을 포함하는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명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β=.350, p< .001), 정서인식명확성은 자살사고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β=-.253, p<.001),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β=-.091, p>.05). 둘째, 과잉기대, 과잉간섭, 비일관성을 포함하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β=-.577, p<.001), 정서인식 명확성은 자살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β=-.230, p<.001).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도 유의하여(β=.156, p<.05), 정서인식명확성의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관찰되었고,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정서인식명확성은 이들 두 변인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 사이에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고, 특히 부정적 양육태도를 경험한 대학생들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이면, 이들의 자살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자살예방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2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students assessed the Parent Behavior Inventory(PBI),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and the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statistic program.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used. Furthermore,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an in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In contra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lar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emotional clar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emotional clari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nd suicidal ide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uicidal ideation. In sum,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rate of suicidal accidents in college students in late adolescence c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their parenting behavior by influencing emotional clar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clarity can help students from suicidal accidents, and thus,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re necessary.

      • 메이크업 블로그의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 구매의도 및 재이용의도에미치는 영향 : 중국 Sina 웨이보를 중심으로

        이 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의 Sina웨이보 메이크업 블로그의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 재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웨이보의 메이크업 블로그 팔로워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크업 블로그 팔로워는 주로 20대 여성이며 메이크업 블로그의 이용동기는 크게 기호성, 정보성, 휴식성 등 세 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기호성으로 인한 이용동기는 팔로워의 이용만족도, 구매의도, 재이용의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성 요인 역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블로그에 대한 이용만족도는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블로그 재이용의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로그에서 소개하는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을수록 블로그 재이용의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