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대상자의 삶의 질과 영향 요인

        임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대상자들은 제세동기 삽입 후 삶의 여러 측면에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19년 4월 29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Y의료원에서 진행하였다.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하고 추후 진료를 받는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적으로 109명의 환자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일원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는 총 109명으로 남성이 96명(88.1%)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만 52.66±14.34세이었다.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 후 경과 기간은 평균 4.31±4.23년이었으며, 이들의 심박출량 계수(EF)는 평균 48.11±16.18%이었다. 50.5%의 대상자가 이차적 예방 목적으로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하였고, 전체 환자 중 26.2%가 전기충격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삽입형 제세동기 관련 걱정 수준은 중간 수준(Mean±SD 15.02±9.25)으로 전기 충격을 경험했던 대상자와(p=.026) 동반질환이 있는 대상자의(p=.006) 걱정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조절감은 중간값에서 약간 높은 정도로 측정되었다(Mean±SD 26.40±4.71점).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지 2년 미만인 대상자가 4년 이상 된 대상자에 비해(p=.004),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차적 예방 목적으로 삽입한 대상자가 일차적 예방 목적으로 삽입한 대상자에 비해(p=.022), 지각된 조절감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중간값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보고되었다(Mean±SD 3.54±0.68점). 여자 대상자에 비해 남자 대상자가(p=.043), 고등학교 졸업한 대상자에 비해 대학교 이상 졸업한 대상자가(p=.001), 대상자의 경제 수준이 월수입 200만 원 미만인 대상자에 비해 400만 원 이상인 대상자가(p=.004) 지각된 사회적지지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NYHA 분류 Ⅱ그룹의 대상자에 비해 Ⅰ그룹의 대상자가(p=.018), 삽입형 제세동기의 삽입 목적이 일차적 예방 목적인 대상자에 비해 이차적 예방 목적인 대상자가(p=.008), 전기 충격 혹은 항빈맥박동의 치료가 적절히 시행되지 않았던 대상자에 비해 적절히 시행됐던 대상자가(p=.017), 동반 기저질환이 없는 대상자가(p=.047) 사회적지지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수용도는 중간값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측정되었다(Mean±SD 67.66± 16.80점). 주 보호자와 같이 사는 대상자가 같이 살지 않는 대상자에 비해(p=.008), 항빈맥박동의 치료를 경험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경험한 대상자의(p=.045) 수용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중간정도보다 높은 정도로 측정되었다(Mean±SD 3.37±.48점). 대상자의 교육수준(p=.002)과 경제 수준(p=<.001)에 따라 삶의 질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호자와 같이 사는 대상자(p=.021), 직업이 있는 대상자의(p=.012) 삶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NYHA 분류 Ⅰ그룹의 대상자(p=.043), 동반 질환이 없는 대상자의(p=.010) 삶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삶의질은 조절감(r=.451, p=<.001), 사회적 지지(r=.465, p=<.001), 수용(r=.46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삽입형 제세동기 관련 걱정(r=-.199, p=.038)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절감, 수용도, 경제수준, 동반 질환의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즉, 조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모형은 43.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7.880, Adjusted R²=.433, p=<.001). 본 연구 결과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절감, 수용, 경제수준, 동반 질환 유무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조절감을 높여주며, 수용도를 높여줄 수 있는 심리적인 측면의 접근이 요구되며, 경제적 수준이 낮거나 동반 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취약한 대상자로 분류하여 이 대상자를 위한 구체적인 맞춤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Background: Whil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ICDs) has been increasing in South Korea, little is known about quality of life (QOL) or factors associated with QOL for ICD recipients in South Kore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xtent of ICD concerns, perceived control, social support,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ICD recipients and to determine predictors of QOL in this population.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applied with 109 ICD recipients who visited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For measurement, the Implanted Cardioverter Defibrillator Concerns Questionnaire (ICDC), Control Attitudes Scale—Revised (CAS-R),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Florida Patient Acceptance Survey (FPAS), and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ief (WHOQOL-BREF)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pplied to describe the levels of the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determine predictors of QOL and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factors. Resul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9, and the mean age was 52.66±14.34 years. The mean duration of ICD implant was 4.31±4.23 years, and the mean ejection fraction (EF) was 48.11%±16.18%. Additionally, 50.5% of the participants had their ICD inserted for secondary prevention, and 26.2% of them had experienced shock. Patients with ICD reported moderate level of ICD-related concerns (mean 15.02±9.25) and moderate to high levels of perceived control (mean 26.40±4.71), perceived social support (Mean 3.54±0.68), acceptance (mean 67.66±16.80), and QOL (mean 3.37±0.48). The recipients who had experienced shock (t=2.256, p=.026) or who had one or more comorbidities (t=2.798, p=.006) had higher ICD-related concerns. Compared to primary-prevention patients, secondary-prevention patients had more perceived control (t=−2.317, p=.022) and higher social support (t=−2.711, p=.008). Perceived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had an ICD for less than 2 years compared to those who had their ICD for more than 4 years (F=5.719, p=.004). The recipients who lived with their main caregiver had higher acceptance (t=2.713, p=.008) and QOL (t=2.351, p=.021) scores than those who lived alone. The NYHA class I patients had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t=2.405, p=.018) and QOL (t=2.049, p=.043) than NYHA class II patients did. In addition, Q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ho had low income (p≤.001), had low education levels (p=.002), were unemployed (p=.012), and had one or more comorbidities (p=.010). The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QOL were low perceived control, low acceptance of the device, low economic status, and one or more co-morbiditie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3.3% of the variance in QOL.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ppropriate screening is needed to detect vulnerable patients with ICD and that additional personalized interventions to improve QOL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these populations.

      • 상황적 요소에 따른 어포던스(affordance, 행위 유발성) 표현 연구

        임지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raws understanding of affordance expressions according to situational factors through each sectoral case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oves importance of affordance through my work. Firstly, after investigating effects of affordance on desig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situational factors and design representation, correlation of design and affordance are theorized. And then based on the theory of representative characters that the concept of affordance suggests, concept is established and characteristics through each analysis for each type of affordance are drawn. Also, a correlation between design and affordance with the established concept of affordance is constructed and importance of affordance design through harmony of affordance and design is suggested. With these theoretical contents, what effect that this affordance has on our acts and living environments by giving an example of each design cases for each type are suggested and by expanding understanding of cases for each type, how affordance is utilized in visual design will be proved through my work. As provision of a clear range of affordance is actually vague, theoretical study sha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it is expected to deliver expanded meaning through cause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remaining as a stagnant affordance which is just a simple act of induction. Also, when design meaning of affordance is completely established, affordance design will be complete as a true character and, endless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ffordance design and applicable area by suggesting visual affordance through my work.

      • 집단놀이치료가 불안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임지은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anxiet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14 cases of the children with anxiety who go to kindergarten of K and M elementary school, located group N, in Busan. Experimental design was conducted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and by 7 pers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persons of the control group. The group play therapy was conducted in total 14 sess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30 in 2010, and 2~3 times per week but there were no any actions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xiety,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e Wilcoxon verification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whether the average scores of the test on the group is different or not, and used SPSS.12.0 to test the average pre and post-test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m. It is analyzed qualitatively the behavior change of children as it is recorded 60 minutes of each sessions of the treatment cour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rough these procedures. First, the children with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have been more improved in social competence tha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the children with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in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tha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is helpful for the children with anxiety to improve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refore,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improves positively the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e children with anxiety and shows u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activities for them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We can expect that this program will help the children with anxiety to improve effectively their social competenc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o that they may have a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prevent them from being in social and emotional anxiety.

      • UI(University Identity)시스템을 반영한 모바일 앱(App)디자인 개발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모바일 앱(App)중심으로

        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스마트폰 시장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은 기존 미디어 이용 형태를 급속하게 변화시키며 우리들의 생활 속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확산되어 라이프스타일의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급증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열풍으로 보고 있다. 2007년 1월 아이폰 출시로 애플에서 운영하는 앱스토어(App store)의 수 많은 앱의 개수가 쏟아지면서 국내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의 이름으로 2008년 8월에 발표하여 10월부터 이용이 시작되어 앱의 수는 2012년 3월, 현재 45만개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 많은 앱으로 인해 앱의 종류와 디자인의 중요성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국내 각 대학들은 학생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학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앱을 개발하였고, 이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 앱은 주로 도서관 빈자리 현황과 도서 반납과 대출, 대학내 건물 위치, 학생식당 메뉴, 강의시간표, 사이버 캠퍼스 등 대학종합정보시스템 전반의 효율성 향상과 재학생의 행정 처리의 개선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만들어 졌다. 현재 많은 대학들은 수요에 발맞춰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능적 컨텐츠를 주로 갖춘 UI(University Identity)를 반영하여 개성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각 대학교 앱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인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두 방식으로 앱을 만들고 있으나 정보전달의 그래픽요소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서비스 앱 시장인 구글의 안드로이드에 등록되어있는 대학교 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앱 디자인 연구를 진행 하였다. As the smart phone market expanded rapidly, new media has changed the previous media usage massively and has become a era of our lifestyle that has rapidly came into our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ccordingly, the widespread increase of smart phone is taken as a boom in the application market that provides the mobile application. Ever since the i-phone was released in January, 2007 by Apple, numerous apps came out to the market from the App store and in Korea, as it was released in the name of Google’s ‘Android market’ in August, 2008, it started it use from October and as of March, 2012, the number of the app has reached 450 thousand. Due to such a huge number of app, the type of app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become a major topic. Leveraging such trend, local universities has developed apps for the student and user convenience and to transcend the school information and its usage has risen as well. School app was made mainl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university total information system that shows vacant seats and book renting in the library, university facility location, school cafeteria menu, class timetable, cyber campus etc and improve the administrative works for the students. Upon the demand of the app, numerous universities are developing creative design that reflects the UI which is equipped with functional contents that helps school life. Due to the usage of mobile device of the users, although the universities are making apps in types of Apple’s app store and Google’s Android, the graphic components to transcend the information are similar an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niversity app which is registered on Google’s Android and started the Ewha Womens University app design study based on such analysis.

      •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의 고려요소에 관한 연구 : 관리의 효율화 측면에서

        임지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구임대주택은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1989년 공급이 시작되어 총 19만여호로 공급이 종결되었다. 준공 후 20년이 경과하여야 가능하던 리모델링의 허용이 2007년 3월 개정됨에 따라 15년 경과로 완화됨에 따라 준공 후, 대부분 17년이 경과된 현 시점에서 노후화된 주거 시설의 개선 요구와 주거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리모델링 사업이 정책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노후화된 영구임대주택의 삶의 질적 문제와 관리의 비효율성 문제가 점차 대두되던 가운데 2009년 3월 정부의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지원사업 발표로 영구임대주택의 리모델링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과 방향들이 논의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한주택공사의 영구임대아파트로 범위를 한정하여 관리자의 관리 효율화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문헌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추출한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의 고려요소들을 AHP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도출된 평가인자별 종합가중치를 통하여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 사업결정 시, 고려해야할 요소들과 요소들 간의 중요도 순위를 살펴봄으로써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의 효율성 증대와 리모델링 사업 후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에 좋은 정보가 될 것이다.

      • 과학관에서 전시물 및 학생들의 관람 형태 분석 : 국립과천과학관 기초 과학관을 중심으로

        임지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exhibits and a large exhibition space in a science museum lead the viewers with various properties to view while choosing and moving freely. In this free-chosen learning setting, the viewing forms of viewers are bound to occur in many ways. As the opening hours are limited to the viewers and the number of visits is not large, however, more efficient viewing methods are required when visiting a science museum.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exhibits in the Basic Science Hall,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the viewing form of the students in the science museum using a traffic line for viewing the science museum and thereby draw an improvement plan for more efficient viewing of the science museum.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exhibits in the Basic Science Hall,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from the morphological and content aspect. Depending on the viewing activity method affecting the viewing form of exhibits, the morphological aspect of the exhibits was largely divided into a passive viewing activity method and an active viewing activity method and was analyzed by setting the exhibition type and the exhibition technique as subcategories. The content aspect of exhibits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provided content to a panel into basic concept, background, operating method, operating principle, searching problem, application area, and others. And for the viewing forms in the science museum we developed a map of the Basic Science Hall, then shot the free-viewing course of the students in the Basic Science Hall,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argeting 26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moving route and viewing form of the students and through thi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for the exhibits in the Basic Science Hall the exhibits consisting of two media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For the exhibits in the active viewing activity method the form of‘a panel + an operating device’was the most common; the form of‘a panel + an automatic video’ was so for the passive viewing activity method. The form of ‘a panel + an automatic video’ in the passive viewing activity method was in large part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cience museum other than near a guide traffic line and hence was out of the viewers’sight and thereby they tended to pass by without viewing it well. Second, while mov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e entrance, the students viewed the exhibits in the Basic Science Hall. This was a traffic line guided by the Basic Science Hall and the move was generally typical of the students visiting firstly the science museum. In addition, it was a common tendency for the students with a higher viewing ratio and a longer viewing time. Third, the student experienced with many visits showed a tendency of viewing around specific exhibits drawing their interest. In contrast, the students visiting the science museum at first tended to follow a guide traffic line of the science museum or be in a free view within the science museum with no consistent pattern but those who visited the science museum frequently tended to spend a long time concentrating on the exhibits in their interest areas among those that they viewed before. Fourth, a higher viewing ratio and a longer viewing time occurred in the exhibits on the wall than in them in the center of the science museum. Many exhibits were placed on the wall for efficient use of space, however, in most cases the students did not viewed the center exhibits placed in the back, experiencing and passing by these exhibits. A few implications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as above. First, depending on the students’ background, an individualized guide of the traffic line for the science museum is required. It is because the viewing pattern of stude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s, viewing time, and interest areas. In the science museum, the same traffic line is guided, connecting from the entrance and the exit but the differentiated guides for students are needed since such a moving route shows a different pattern based on the students’ respective characteristics. Second, to enhance the viewing ratio in relation to the center exhibits in the Basic Science Hall, the rearrangement of exhibits is necessary. It is because as a result of placing the composition of exhibits in the Basic Science Hall irrespective of a traffic line the students passed by without viewing them.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mpose the exhibits suitably to one scenario like the Natural History Museum in London, more researches are required for the space composition and traffic line’s arrangement so that people do not pass by without viewing specific exhibits, by composing them in compliance with an education course or learning development step. 과학관의 많은 전시물과 넓은 전시 공간은 다양한 성향을 가진 관람객들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이동하며 관람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자유 선택 학습 환경에서 관람객들의 관람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관람객들의 관람 시간은 한정적이고, 방문 횟수도 많지 않기 때문에 과학관 방문 시 보다 효율적인 관람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의 기초과학관 전시물과 과학관 관람 동선 지도를 이용한 과학관에서 학생들의 관람형태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과학관 관람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 기초과학관 전시물을 형태적・내용적 측면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전시물의 형태적 측면은 전시물 관람 형태에 영향을 주는 관람 활동 방식에 따라 크게 수동적 관람 활동 방식과 능동적 관람 활동 방식으로 구분하였고, 전시 유형과 전시 기법을 하위 범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시물의 내용적 측면은 패널에 제시된 내용을 기본 개념, 배경, 작동 방법, 작동 원리, 탐구 문제, 응용 분야, 기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관 관람 형태는 기초과학관 지도를 개발한 후 고등학교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국립과천과학관의 기초과학관에서 자유 관람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학생들의 이동 경로와 관람 형태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과학관 전시물은 2개 매체로 구성된 전시물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능동적 관람 활동 방식 전시물은 ‘패널 + 조작 장치’ 형태가 가장 많았고, 수동적 관람 활동 방식 전시물은 ‘패널 + 자동영상’형태가 가장 많았다. 수동적 관람 활동 방식의‘패널 + 자동영상’형태는 대부분 과학관의 안내 동선 부근이 아닌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 관람객들의 시야에서 벗어나 관람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입구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며 기초과학관 전시물을 관람하였다. 이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안내하고 있는 동선으로 대체로 과학관을 처음 방문한 학생들에 대해서 나타나는 경향이었고, 전시물 관람률이 높은 학생과 관람 시간이 긴 학생들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관 방문 경험이 많은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특정 전시물을 중심으로 관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에 과학관을 처음 방문한 학생들은 과학관 안내 동선을 따르거나 과학관 내에서 일정한 패턴 없이 자유롭게 관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과학관의 중앙 전시물보다 벽면 전시물에 더 높은 관람률과 관람 시간이 나타났다.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많은 전시물을 벽면에 배치하였는데, 학생들은 이 전시물들을 체험하고 지나가면서 뒤쪽에 있는 중앙 전시물을 관람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 배경에 따른 맞춤형 과학관 동선 안내가 필요하다. 과학관 방문 횟수, 관람 시간, 관심 분야에 따라 학생들이 관람하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과학관에서는 입구에서 출구로 이어지는 획일적인 동선 안내를 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각각 다른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차별화된 안내가 필요하다. 둘째, 기초 과학관의 중앙 전시물에 대한 관람률을 높이기 위해 전시물의 재배치가 필요하다. 기초과학관 전시물 구성을 동선에 관계없이 배치하여 학생들이 관람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런던 자연사박물관처럼 전시물들을 하나의 시나리오에 맞게 구성하기는 어렵겠지만 교육과정이나 학습발달 단계에 맞추어 구성하여 특정 전시물들을 관람하지 않고 지나가지 않도록 공간 구성과 동선 배치에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생의 말하기 불안에 관련된 요인

        임지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말하기를 통해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사회생활을 영위해 간다. 이러한 말하기는 그 특성상 개인이 상황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말하기 지도를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중의 하나인 말하기 불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실제로 어느 정도의 말하기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말하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말하기 불안이란 다른 사람과의 실제적인 또는 예상되는 말하기와 관련된 불안으로서, 개인의 욕구나 동기 등과 같은 화자 요인에서 오는 특성 불안과 말하기 상황의 특수성 때문에 오는 상황 불안으로 나눌 수 있다. 화자 요인에서 말하기 불안을 가진 사람은 거의 모든 말하기 상황에서 공통되게 불안을 느끼게 되고 말하기 상황을 피하려고 한다. 반면, 상황적 말하기 불안을 가진 사람은 어느 특정한 말하기 상황에서만 말하기 불안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은 정도의 문제로서 어느 정도의 말하기 불안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정상적인 것이지만 그것이 지나치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방해한다. 특히, 말하기 불안을 가진 학생들은 학교에서 교사나 또래들과의 말하기를 꺼리기 때문에 학업 성취 뿐 아니라 인간관계 면에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은 비교적 어렸을 때부터 형성되어서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말하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화자 요인과 상황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화자 요인은 개인의 욕구와 동기와 관련되는 것으로, 유전적 기질이나 가정 환경,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 및 말하기에 대한 태도등이다. 이러한 화자 요인 외에, ‘말하기’라는 상황이 주는 불안함 때문에 말하기 불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말하기 상황을 본 연구에서는 ‘말하는 대상’, ‘말하는 대상의 규모’, ‘말하는 목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론 연구를 통해 말하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화자 요인과 상황 요인을 밝힌 후에, 초등학교 학생들의 말하기 불안 실태와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진 요인들이 실제로 말하기 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전남지역의 초등학생 397명(3학년:188명, 6학년:18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하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요인 중, 말하는 대상과의 관계에 따른 말하기 불안을 조사한 결과 부모님에게 말하기 불안을 가장 적게 느끼고 있었으며, 교사에게는 높은 말하기 불안을 느끼고 있었다. 말하는 대상의 규모에 따른 말하기 불안을 조사한 결과 전체 학급 앞에서의 말하기 상황에서 가장 불안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듬끼리 보다는 짝끼리 대화 상황에서 불안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의 목적에 따른 말하기 불안을 조사한 결과, ‘설득하는 말하기’ 상황에서 가장 큰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하는 말하기’ ‘느낌이나 생각 말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People develop their relations with other people through speaking. This speaking is under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that an individual accepts and interprets a certain situation. In this sense, considerations over these factors are needed for teaching effective speaking skill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on communication anxiety that i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peech skill.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practically experiencing communication anxiety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communication anxiety. Communication anxiety is the fear or anxiety associated with either real or anticipated communication with another person or persons. It can be divided into ‘converse-anxiety’ that comes from specific factors like individual desire or motive and 'state-anxiety' due to unusual circumstances in speaking. one who has converse-anxiety tend to feel fear in almost speaking situation and avoid that. On the other hand, one who has state-anxiety feel fear only at specific speaking condition. In practical speaking situation, trait and state anxiety appear at the same time. This communication anxiety is matter of degree, normal and is common to everyone, however it disturbs effective communication when it is excessive. Specifically, student who have this problem could bring negative results not only in intellectual achievements but in human relations. This communication anxiety symptom has tendency that forms when they are young and lasts continually. Factors that influence to communication anxiety can be divided into trait factors and state factors. trait factors are deeply connected to influence out of circumstances, relating individual desire and motive. Including Hereditary characters, linguistic environment that of their home where learns 'language' for the first time, that of school where learns about social rules and roles of language, and also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at one belongs are all trait factors that influences to communication anxiety. In addition, attitudes to oneself, other people and speaking are also state factors that influence to communication anxiety. This study watched by speaking subject, scale, purpose. l handle these speaking dividing 'objectives of speaking', 'purposes of speaking' and 'content of speaking'. After finding trait and state factors that influencing to communication anxiety through theory research, we conducted survey to 3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nam in order to find out in what way informed factors influence to communication anxiety in practical and its facts. Respondents feel the lowest anxiety to their parents and the highest anxiety to their teacher researching by objectives they are facing. Examining anxiety by numbers they are facing, it is revealed that a speech in front of all classmates caused the highest anxiety, and also they feel less anxiety rather in person-to-person contact than in small group . Finding anxiety by purposes of speaking, it is revealed that 'persuasive speaking' caused the highest anxiety and or thoughts','explaining speaking' 'telling one's feeling followed that. There was strong opposit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xiety and knowledges on contents, ways and step of speaking.

      •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과 도움추구태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분석

        임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 자기은폐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연령이나 성별, 학교급별에 따라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 자기은폐 그리고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차이가 있는가?둘째,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 자기은폐 각각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셋째,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 자기은폐 그리고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넷째,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은 자기은폐를 매개로 하여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본 연구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초/중/고등학교 교사 357명을 표집하였으며,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귀인양식척도, 은폐성향척도,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변인들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령과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는 분산분석(ANOVA)으로, 성별은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내부/외적귀인집단, 변화가능성 지각 상하집단, 자기은폐 상하집단이 각각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들 간의 전반적인 관계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에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연령에 따라 자기은폐, 귀인소재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귀인소재, 원인의 변화가능성 지각, 도움추구태도에서, 학교급별로는 변화가능성 지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둘째, 귀인소재, 변화가능성 지각, 자기은폐가 각각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기은폐만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자기은폐경향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있어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자기은폐는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부적인 상관을 미쳤으며, 귀인소재와 자기은폐경향은 변화가능성지각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넷째, 귀인소재와 자기은폐 간에 변화가능성 지각이, 그리고 변화가능성 지각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간에 자기은폐 성향이 완전 매개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내부귀인하는 사람들은 변화가능성을 더 낮게 지각하고, 변화가능성을 낮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자기은폐성향을 더 높게 보임으로써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 내담자들이 전문적 상담에 대해 지니고 있는 부정적 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귀인소재, 변화가능성지각과 같은 인지적 특성과 더불어 자기은폐와 같은 심리적 특성이 함께 다루어주어야 할 중요한 개입 요소라는 사실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that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of causality, and self-concealment has on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tical help.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First, is there a difference of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of causality, self-concealment,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by age, sex, or school level(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econd, do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of causality, and self-concealment individuall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Third,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of causality, self-concealment, and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Forth, do locus of causality and stability of causality effect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through the medium of self-concealment?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obtained by 35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ASQ), Self Concealment Scale(SCL),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ASPPH) were used to assess each variable. In order to review the possible difference of the main variables by demography, the evaluation of age and school levels were done through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the evaluation of sex was done though t-test. Another t-test was done to evaluat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between the internal/external attribution group, stability of causality group, and self-concealment group.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were done to assess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The results are as below.First, age was a factor for difference in self-concealment and locus causality. Sex was a factor difference in locus of causality, source of stability of causality, and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hool lev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bility of causality.Second, among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of causality and self-concealment, only self-concealment effected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People who showed high levels of self-concealment were negative towards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than those with low levels of self-concealment.Third, self-concealment and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hile self-concealment and locus of causa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bility of causality.Forth, locus of causality and self-concealment formed the full mediation model though the medium of stability of causality. Also, stability of causality and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formed the full mediation model though the medium of self-concealment.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ternal attribution groups tend to perceive a low stability of causality and those who perceive a low stability of causality show a high level of self-concealment, leading to a negative view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s that in order to decrease the potential client's negative attitude toward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not only cognitional factors such as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of causality should be reviewed but also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concealment should be included as a major e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