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무 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자아표현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윤희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도시의 가로수나 목재로 가공된 나무와 같이 인공환경 속에서 마주하는 나무의 모습을 연구자 고유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시각화 시키는 과정을 정리하여 객관화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도시에서 흔히 마주하는 나무의 모습은 가로수라는 형태로 필요에 의해 가지치기 되고 뽑혀나가기도 한다. 이처럼 나무라는 생명체가 마치 도시의 부품과 같이 다루어지는 모습은 본인에게 자연의 대표적 상징물 중 하나로서 나무가 주던 것과는 상반된 감성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이러한 나무의 모습은 외부환경 속에서 획일화되어가는 본인을 비롯한 현대인들의 모습과 무척 닮아있었다. 연구자는 나무에 대한 이러한 시선을 기반으로 흔히 우리가 당연하며 자연스럽다고 느끼는 것들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이는 연구자 본인을 비롯한 현대인들이 현대사회라는 거대한 틀 속에서 무기력하게 선택하는 삶, 그리고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의 사소한 일들에 대해 가졌던 의문이기도 하다. 나무를 대상으로 한 작품 초기에 나무의 형상 자체를 다루던 것부터 시작하여 나뭇결이라는 대상에 집중한 작업에 이르기까지 연구자는 입체, 설치분야에서의 다각적인 시도를 통해 적합한 표현방식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개인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작품 형성 배경과 나무이미지의 재해석, 작업의 진행과정을 맥락적으로 정리하는 동시에 연관 작가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and objectify the process of visualizing and analyzing the appearance of the trees facing in the artificial environment such as the street trees or wood-processed trees in the city by the as researcher's unique point of view. The shape of trees that are often encountered in the city is truncated and drawn out by necessity in the form of street trees. Like this, the organism, tree is treated as part of a city, which aroused a sensation in the researcher, contrary to that given by the tre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ymbols of nature. The shape of this tree was very similar to that of modern people, including myself, becoming uniform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researcher sought to cast doubt on the things we feel reasonable and natural,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trees. This was the life chosen by modern people, including the researcher helplessly in the huge framework of modern society and the question on small things in daily life which they passed unconsciously. Starting with the shape of the tree itself at the beginning of working with trees through to the period of concentrating on the grain of wood, the researcher would look for suitable methods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attempts in the fields of solid and instal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extually arrang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works, centered around the researcher’s background of personal histor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ree images and the progress of the works and at the same time, investigated the cases of the related artists.

      • 구전이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윤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그 동안 대부분의 기업들은 제품판매 증대니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소비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주로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에 의존하여 왔다. 그리나 대량정보의 홍수 속에서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에 있어서 한계를 갖게 된 것이 사실이다. 이어 소비자들 간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은 마케팅 전략상 매우 중요한 판매촉진 요소임이 분명하며 소비자들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행태를 파악하는 것은 마케팅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은 본질적으로 마케터의 직접적인 지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촉진활동을 통하여 또는 목표고객과 목표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을 통하여 구전 영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염두해 두고 본 논문에서는 구전의 특성 및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실제로 구전이 구매행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휴대폰 서비스회사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모형은 사전연구 모형에서 구전의 방향에 의한 수용성을 추가한 후 간명화를 위해 인적원천은 구전경로 모형에서 제외시켰다. 마지막으로는 구전을 마케팅전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마케팅 활동에 조그마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대폰 서비스회사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최초 정보원천은 TV였지만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구전이라고 나타났으며 사전 연구와는 다르게 대부분 긍정 구전의 경우가 부정적인 경우보다는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정보의 흐름이 개인 대 개인으로 이루어지는데 정보의 원천이 경험에 근거한 것이 아닌 상품과 서비스의 새로운 화제 거리로서 조언이나 개인의 경험과 불만족한 전달자의 불평으로 인해 정보전달차원에서의 많은 구전활동 때문일 것 고려된다. 그리고 구매행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회사의 이미지 관련쪽으로 많은 응답을 하였지만 구매의사와 구입정도를 합하면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구전활동의 정도에 있어서는 들은 이야기에 내 생각을 보태서 말해주었다라는 항목이 31,9%나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그 만큼 구전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민 구전의 경로를 본다면 구전의 방향성에 의해 긍정적 수용을 한 사람은 부정적인 수용을 한 사람보다 더욱 더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구매활동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전달에 있어서는 크게 차이점을 나타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전의 영향력이 소비자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서로 동질적일수록 구전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는 사전연구를 의식하고 목표고객 또는 목표시장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한 후에 그와 비슷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촉진 프로그램을 전개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촉진활동의 수단으로 구전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ever-present firm depend on using mass communication to raise it's corporate image and increase the sales of products. But the promotional strategy through word-of-mouth, more face-to-face and persuasi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as come to needed to achieve the corporate objective due to several limitations hold by communication through mass media. Existing studies on word-of-mouth have focused on it's strong influence on product purchase decision and attitude change, the flow of word-of-mouth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opinion leader, and they have tended to treat the receiver listening to word-of-mouth information separatel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applications of the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by inquiring in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in mutual linkage with the people among when word-of-mouth comication activities actively take pl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to inquire into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xtent to which word-of-mouth communication activ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homogeneity between consumers, and how word-of-mouth information item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homogeneity of consumers by investing the cellular phone firm to prove it. It is excepted from word-of-mouth path that human resource for the simplicity and ato the preview study model that receptiuity by word-of-mouth's trends. finally, it means that this study helps marketing activities by presenting method that is using word-of-mouth to marketing strategy. The result is like that this in the choice of the cellular phone firm and positive word-of-mouth is more than negative one. this is different the ever-present study. information stream flow personal-to-personal and resource of information word-of-mouth activities that is advice and dissatisfaction of person. not experience. And response for firm's image is more than diretive influence for purchase, but if sum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degree then the rate is similar. Next, in degree of word-of-mouth one's thought add to heard take occupy 31.9%, It appears that word-of-mouth's effect is matter. Seeing word-of-mouth's path, positive reception person is more satisfaction than negative person, and re-purchase activities also higher than negative one, but there is not a wide difference in re-transmission it is no doubt that influence of purchase is matter to consumers. We must know that they are getting homogeneity each other, the rate of occurrencing of word-of-mouth is increasing, and after analysis targeted clients and characteristics of targeted market we do promotion activities, and so maximalize influence of word-of-mouth as more effective promotion activities.

      • 한국의 피아노연주 비평에 관한 연구 : 1906년~2008년의 저널평문을 중심으로

        이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ractice of Western music in Korea began in 1885 when Henry G. Appenzeller (1858-1902), the first Methodist missionary to Korea, started distributing hymns as a means of his missionary endeavor. The introduction of many Western instruments to Korea preceded that of the piano, which in turn delayed the start of the performances of piano music compared to other instrumental music. Despite its lagged beginning, however, piano quickly became one of the most wide-spread and popular instruments in Korea, and the performances of piano music now dominate both the professional and amateur stages. Music criticism, which stemmed from the criticism start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art, attempts to critically evaluate musical phenomena as creative artistic acts. The contemporary music criticism follows the root of the professional music criticism which appeared circa the establishment of civil society in the 19th century. Music criticism in Korea started as performance reviews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usic and closely mimicked the structures of the Western music criticism. Not only do performance reviews bear a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in revealing the flow of the contemporary musical culture, the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the musical culture of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reviews written from 1906 to 2008 on the piano performances held in Korea are analyzed for several different time periods divided based o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 time.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the piano performance criticism in Korea are studied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reviews, such as the trend in the number of reviews and changes in their trait and form. First of all, the trend in the number of the piano performance reviews is examined. From the 1920s to the 1970s, conditions of the publication industry in Korea were rather poor, and the nation was experiencing an unstable state of affairs due to the Japanese Ruling, 8.15 Liberation, Korean War, 4.19 Revolution, and 5.16 Military coup. As such, the number of reviews and the activities of critics stayed minimal. In the 1970s and 1980s, not only did the number of journals publishing performance reviews increase, but a growing number of Korean pianists were also returning to Korea after studying abroad and giving concerts. These factors in turn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written reviews. In the 1990s and 2000s, the number of the reviews on piano performances increased rather quickly as the political and cultural advances and the fast globalization in Korea accelerat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iano-playing population, piano concerts, critics, and journals. Performance reviews are also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erformers; the number of the reviews on the performances by Korean pianists in Korea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all reviews, and those by the home-returning pianists and foreign pianists followed in number. In terms of the contents, the piano performance reviews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were short and simple and took the form of a basic report written based on the critics' intuition and impression of the performance. In the 1940s, critics started including more detailed elements such as the performance date, a brief biography of the performer, description of the repertoire, as well as critics' opinions on the performance. The changes appeared in this period alerted a meaningful progress toward modern criticism, and while the basic form of a reviews established during this time was maintained until the 2000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were added each year. After 1953, the reviews appeared mostly on the newspaper, and critics' opinions on performers' techniques and music were included. Successively added were content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 and the general ambience of the performances in the 1960s, artistry of the performance and the performer's psychological state and musical ability in the 1970s, and in the 1980s, more detailed critical comments, the use of the word 'aesthetics' and diversified vocabulary, critic's own definition of performance, and opinions on the musical society. In the 1990s up until 2008, the number of piano performances increased remarkably, which catalyzed a stronger and more active work by the critics of piano music. In this period, contents on issue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itself were also included in reviews; for example, critic's thoughts and view point on music, the knowledge of music theory and history, the condition of the instruments, the attitude of the audience, and the role of production agencies. In some cases, the use of an excessive amount of adjectives, requests for favorable reviews between teachers and their pupils, reviews by advertisers, subjective standards for journals' musical preferences led to lack of objectivity and credibility in both criticism and critics. Also increased in this period was the participation of diverse musicians, such as composers, pianists, singers, instrumentalists, and musicologists, as critics. The point of emphasis has also changed over time. In the 1920s and 1930s, most reviews on the piano performances held in Korea were focused on the general ambience of the performance. Critics then emphasized, in their wri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erformed works as well as the actual form of the reviews in the 1940s, performers' techniques and musicality in the 1950s,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 in the 1960s, performers' artistry and psychological state in addi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music in the 1970s, aesthetics in general in the 1980s, and the theory based on music history and musical environment of the performance in the 2000s. From the 1920s to the 2000s, reviews on the piano performances in Korea bear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ic criticism as well as impressionistic and emotional criticism. Some of the reviews from the 1920s and 1930s also feature objective promotional aspects, and those from the 2000s often show characteristics of an academic report. Most of the reviews surveyed in this study share the similar structure of the journalistic criticism and follow the general form found in the post-19th century Western music criticism. However, some of the Korean critics also show interesting and distinctive stylistic traits. Hyong-Joo Kim's reviews are written from the educational and enlightening point of view; Won-Koo Kim incorporates quotes by various artists and philosophers; Sang-Woo Ha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audience-oriented performances; Kang-Sook Lee uses musicological theory and metaphors in his writing; Yun-Hee Lee often evaluates performances by analyzing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performers; and Kyung-Woo Park writes in the form of a lesson. Together with the changes in the nation's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e piano performance criticism in Korea has progressed and demonstrated much development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reviews, their trends, traits, forms, and view points. The history of the piano performance criticism in Korea has been examined in this study via a thorough historical survey of the reviews written from 1906 to 2008 on the piano performances held in Korea. This study in itself represents a valuable part of the history of the piano music in Korea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timulating the progress toward a stronger future in Korea for the field of piano music and piano performance criticism. 한국의 서양음악은 1885년 선교사 아펜젤러(H. G Appenzeller, 1858-1902)의 입국과 함께 이루어진 선교의 수단이었던 찬송가의 보급에서 시작되었다. 피아노가 한국에 도입된 시기는 타(他) 악기에 비해 늦었으며, 피아노 연주회 또한 다른 악기의 연주회보다 늦게 시작되었다. 그러나 늦은 출발에 비해 피아노는 모든 악기 중에서 가장 빠르게 대중화되었고, 피아노 음악 또한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오늘날 음악회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음악비평은 여러 예술, 특히 문학과 미술에서 시작되었던 비평이 음악분야에 적용된 것으로 창조적 예술행위라는 음악현상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려는 행위이다. 근래에 행해지고 있는 음악비평은 19세기 시민사회의 성립 이후에 나타났던 전문음악비평의 맥을 잇고 있다. 한국의 음악비평은 서양음악의 도입시기보다 늦은 출발을 보였고 그 형태는 서양 음악비평을 모방한 것이었다. 비평은 그 비평이 행해졌던 시대의 음악문화 흐름을 증거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미래의 음악문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중요한 역할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늦게 출발하였으나 가장 빠른 대중화와 성장을 이룩한 한국의 피아노연주에 대한 비평문을 자료로 하여 정치적ㆍ사회적ㆍ문화적 변화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비평문의 양적 증ㆍ감 현황, 그리고 비평의 성격과 경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피아노연주 비평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비평문 편수를 시대에 따라 살펴보면, 1920년대에서 1970년 이전까지는 일제강점기, 8ㆍ15 해방, 한국전쟁, 4ㆍ19 혁명, 5ㆍ16 군사정변 등 불안정한 시대적 상황과 순조롭지 못한 출판 등으로 비평활동이 저조하였다. 1970ㆍ80년대에는 비평을 위한 지면이 허용된 잡지의 수적 증가와 귀국연주의 증가로 평문수가 증가하였으며,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정치적ㆍ문화적 급변화와 세계화의 열풍으로 피아노 인구, 연주회, 비평가들, 저널들의 증가로 평문수도 크게 증가하였다. 유형별 평문수는 귀국 연주회와 외국인 연주회를 제외한 일반 연주회에 관한 평문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귀국 연주회, 외국인 연주회 순으로 분포되었다. 비평문의 경향과 형태를 살펴보면, 비평활동의 초기단계인 1920년ㆍ30년대의 비평문은 평자의 직감과 인상에 기초한 짧고 간단한 감상문의 형태를 보인다. 그리고 1940년대에는 연주일자와 연주자 약력, 곡에 대한 설명, 연주에 대한 견해 등이 포함된 근대 비평문의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 형태는 2000년대까지 유지되면서 해마다 특징적인 내용이 조금씩 덧붙여졌음을 볼 수 있다. 1953년 이후에는 신문을 통한 평이 대부분으로 연주자의 기교와 음악에 대한 견해와 조언이 덧붙여졌고, 1960년대에는 레퍼토리의 구성과 전개, 연주회 분위기에 대한 총괄적인 평의 형태를 보였다. 1970년대에는 예술성, 연주자의 심리상태, 연주력 등이 덧붙여졌으며, 1980년대에는 좀 더 상세한 지적이 보태어졌고, ‘미학’이란 단어의 사용과 ‘연주’에 대한 평자들의 정의, 다양한 어휘 사용, 음악계에 대한 견해들이 덧붙여졌다. 1990년대에서 2008년에 이르는 시기에는 연주회의 팽창과 왕성한 비평활동이 전개되었으며 비평인들의 생각과 음악에 대한 관점, 음악이론과 음악사적 지식, 연주회장의 악기상태, 청중의 태도, 기획사의 행위 등 연주 외적인 견해들이 포함되었다. 또한 형용사의 과다한 사용과 동료, 사제간의 청탁 비평, 잡지광고 의뢰인의 평, 그리고 잡지사의 취향 등으로 비롯된 평의 객관성 결여로 비평인의 신뢰 감소와 비평부재 현상이 나타났다. 비평인으로 작곡가ㆍ피아니스트ㆍ성악ㆍ기타 악기의 연주인ㆍ음악학자 등의 참여도 증가하였다. 비평의 관점은 1920년ㆍ30년대에는 전체적인 연주 분위기에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1940년대에는 곡의 해석에, 1950년대에는 연주자의 기교와 음악에, 1960년대는 레퍼토리 구성과 전개에, 1970년대에는 예술성과 연주자의 심리상태, 악보해석 등에, 1980년대에는 미학에, 2000년대에는 음악사적 이론과 연주회의 음악환경 등 시대에 따라 계속해서 조금씩 변천되었다. 비평문의 성격은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대부분 객관적 비평에 속하는 저널적 비평과 주관적 비평에 속하는 인상비평과 감상비평의 경향을 띠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1920년ㆍ30년대에는 주관적 비평에 속하는 홍보성 비평의 경향도 띠었고, 2000년대에는 객관적 비평에 속하는 학문적 보고문 비평의 경향도 나타났다. 비평인들의 평문의 구조는 19세기 이후의 서양 음악비평의 구조를 따랐으며 대부분 동일한 구조의 저널적 비평 유형을 보였다. 개성이 두드러진 비평인으로 김형주는 계몽적이며 교육적 관점에서, 김원구는 예술인과 철학가들의 말을 인용함으로써 자신들의 개성을 드러냈고, 한상우는 청중에게 다가가는 음악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이강숙은 음악학적 이론과 비유법으로, 이윤희는 연주자들의 신체적 구조에 대한 관점으로, 그리고 박경우는 레슨 형태로 비평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타 음악 연주분야에 비해 늦은 출발을 보였던 한국의 피아노연주 비평은 비평문의 편수, 경향, 형태, 성격, 구조 그리고 비평의 관점 등에서 한국의 역사적 상황의 변화와 함께 변천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이루어진 연주비평의 역사적 고찰은 피아노 음악의 역사이며 동시에 미래의 한국 피아노 음악과 비평계의 바람직한 변화에 자극이 될 것이다.

      •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반응 연구

        이윤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Wordless Picture Books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장애인평생교육전공 이윤희 지도교수 : 김원호 이 연구의 목적은 글 없는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성인 발달장애인이 어떤 반응 을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시 D주간보호센터 이용인 4명 을 대상으로 2023년 2월 1일부터 2023년 2월 16일까지 3주간 글 없는 그림책을 활 용한 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자가 주 진행자로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진 행하였으며, 동일한 도서로 2회기씩 진행하여 총 6회기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프로그램 진행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찰일지를 작성하였 으며, 보조 진행자, 관찰기록자, 사회복지사와의 면담 내용을 녹음, 전사하여 작성한 관찰일지와 대조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화 확인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반응으로 4개의 상위 범주, 15개의 하 위 범주, 3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중 상위 범주는 ‘이해하기 어려운 그림책 세계’, ‘그림이 이끄는 이야기 세계’, ‘그림책 세계로 끌어 들이기’, ‘마음껏 즐기는 그림책 세계’이다. 내용 분석을 통해 범주화한 반응 유형은 성인 발달장애인 독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독서 프로그램 운영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 다. 이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이 그림 텍스트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해석하 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그동안 소홀하게 다루어진 성인 발달장애인의 ‘주관적 인 식’을 살펴볼 수 있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글 없는 그림책, 독자 반응, 인문교양, 장애인평생교육

      • 李敭河 隋筆 硏究

        이윤희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Lee Yang Ha is one of the modern representative essay writers in Korea who leveled the position of essay up as a type of prose literature through writing essays about his life. He introduced foreign literature into Korea by translating writings from foreign countries as a scholar of English literature and writing critics and reviews. Contents and formats of Lee Yang Ha's essay world we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features of his works in general are synthesized as follows: Firstly, the feature of his writing format is that he used simile more than metaphor because he intended to make a sentence live with sense. Since he was a kind of esthetical writer, he tried to write a fine sentence and to use a beautiful expression. His writings were sophisticated and elegant in one hand, but balanced and restrained on the other. All those factors made him an excellent one among contemporary literature writers. Secondly, the feature of his writing format is that his essay is more subjective. His essay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light essay which is more personal life oriented, heavy essay which is more society oriented and miscellaneous essay which is hard to classify as a literal work. He wrote light essays before the August 15th of 1945 but wrote heavy and miscellaneous essays after that time. We can identify a sincere touch of humanity from his light essay. He could not sublime social issues into literal work but his affection to nationalism is seen from his essays. Thirdly, the features of his writing contents are as follows: ① He discovered himself from the dialogue and meetings with the nature and he took use of nature as a way of healing his loneliness. ② His solitude stemmed from his personal experience and time he lived. He superficially searched for friends and nature to escape from loneliness but he sublimes his lonely life into a literal work and make his life one step higher through enjoying loneliness. ③ He thanked and felt gratitude to small and common things and we could find his naive and pure soul from his essays. ④ He was more interested in loving the nation as he goes abroad often and having experience in living in foreign countries. He wanted to share his belongings with others and wanted to live a restrained life. Fourth, the contribution of Lee Yang Ha's essay from literal point of view is that he translated and introduced such western essays as Montaigne, Bacon, Charles Ram, Peter to Korea. He enhanced the position of modern Korean essays from a miscellaneous writing into a firm position of real essay. As many people say, essay is written as pen goes and described as it is and essay should be easily written. However this kind of freedom in writing makes essay more hard to write. Natural observation and maturity is a key factor in essay. However maturity is not gained by intellectual training or polishing but gained from generosity and harmony of sense in human being and personality. Lee Yang Ha yearned to write an outstanding essay as Charles Ram did even when he was lying down on the bed because of sickness. We could find a stable and matured ideal of life from his essay.

      • HL7의 MDF를 이용한 임상병리 정보시스템 설계

        이윤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share the medical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hospital system, Health Level Seven(HL7) has been implementing and publishing HL7 2.x. since 1987. HL7 2.x is a message toolkit for transferring medical records between different hospital database system. The V2.x series of messages were widely implemented and very successful. It contains many optional data elements and data segments, making it adaptable to almost any site. While providing great flexibility, its optionality also makes it impossible to have reliable conformance tests of any vendor's implementation and also forces implementers to spend more time analyzing and planning their interfaces to ensure that both parties are using the same optional features.(www.hl7.org)/Compared with Version 2.x series, Version 3 addresses these and other issues by using a well-defined methodology based on a reference information (i.e., data) model. It will be the most definitive standard to date. Using rigorous analytic and message building techniques and incorporating more trigger events and message formats with very little optionality, HL7's primary goal for Version 3 is to offer a standard that is definite and testable, and provide the ability to certify vendors' conformance. Version 3 uses an object-oriented development methodology and a Reference Information Model (RIM) to create messages. The RIM is an essential part of the HL7 Version 3 development methodology, as it provides an explicit representation of the semantic and lexical 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the information carried in the fields of HL7 messages. /This study is designing the part of 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using HL7 3.0 MDF and RIM by Rose Tool to realize the building medical standard data model for sharing medical record between heterogeneous hospital system./ 병원에서의 정보시스템은 병원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비롯하여 환자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와 질 높은 정보 제공 등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병원 정보시스템은 1990년대로 접어들어 우리나라 각 의료 기관들에 의해 도입과 개발이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병원 정보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병원 업무나 각 의료 기관에 따라 시스템 개발 과정과 방법이 상이하여 진료 정보의 공동 활용에 있어 많은 제약을 가져오고 있다./현 병원 정보시스템의 제약에 대하여 보건 의료 정보의 표준화 추진 기구인 HL7 위원회에서는 HL7 2.x의 데이터 전송 표준 프로토콜과 HL7 3.0의 보건 의료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방법론인 MDF(Message Development Framework)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HL7 위원회가 HL7 3.0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인 HL7 MDF 3.3을 임상병리 정보시스템의 임상화학 검사 부분에 적용하여 방법론에 따른 병원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계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시스템 분석, 설계 및 구현 도구인 Rose Tool을 사용하여 HL7에서 표준화된 메시지로 규명된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을 시스템 설계 과정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메시지와 데이터 표준화를 통한 진료 정보 공동 활용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Big5 성격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윤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Big5 성격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리더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리더의 진성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Big5 성격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이윤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전화가 초등학생에게도 급속히 확산되면서 과다사용으로 인해 학업과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유의한 변인 중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휴대전화 과다사용, 우울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의 대상자들은 경기도 부천 지역 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9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어은주와 유영주(1995)가 개발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CDI를 조수철과 이영식(1990)이 번역하고 유선진(2011)이 사용한 우울척도, 고성자(2012)가 개발한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이다. 대상자들의 가족건강성, 우울, 휴대전화 과다사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족건강성, 우울, 휴대전화 과다사용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족건강성, 우울, 휴대전화 과다사용을 변인으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인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우울,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상관분석 결과, 가족건강성 과 우울(r=-.39, p〈.01),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r=-.15, p〈.01)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과 휴대전화 과다사용(r= .36, p〈.01)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실시한 결과, 우울은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우울의 관계를 검증하고 가족건강성과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여부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가족건강성과 우울을 개선하기 위한 다방면의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휴대전화 과다사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근대시기 서울 ‘북부-서부 경계선’ 연접 기초행정구역과 도시구조의 변천

        이윤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시대 한성부는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 5부(五部)로 구성되어 있었다. 북부(北部)와 서부(西部)의 경계는 경복궁 서십자각(西十字閣)의 조금 북쪽으로 올라간 지점에서 서쪽으로 뻗어 나가는 길을 따라 간다. 백운동천(白雲洞川)이 흐르는 금청교(禁淸橋)를 건너 옛 분선공감(分繕工監) 부근에 이르러 북쪽으로 올라가 다시 서쪽으로 향하여 필운대에 이른다. 그 경계선에는 북부의 의통방 연추문계, 순화방 사재감하패계, 준수방 구사포서계, 서부 적선방 십자각계, 월궁동계, 인달방의 분선공내계, 수성궁내계 일대가 연접하였다. 갑오개혁기에 경무청(警務廳)이 생기면서 그 하위에 다섯 개의 경무오서(警務五署)가 북부와 서부 구역을 관할하게 된다. 이 때 시행된 토지와 호적 조사로 대한제국 시기 자연촌 동(洞·谷)의 경계와 범위를 좀 더 자세히 파악하는 데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일제시기 만들어진『경성부사』가 부(서)-방-계와 동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로 인용되어 왔으나, 자연촌인 동과 행정구역 지명인 ‘동’을 혼동되게 기재하여 이후 연구들이 이를 오인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1914년 정·동 개편이 실시되면서 자연촌이었던 동은 분할되어 서로 다른 행정구역 동으로 편제(編制)되거나 해체(解體)되었다. 이때 형성된 여섯 개의 동인 통의동·체부동·누하동과 적선동·내자동·필운동은 오늘날 행정구역의 기본틀이 되었다. 이후 1936년 ‘대경성구역확장안’에 따라 186개의 정·동은 일괄적으로 ‘정(町)’으로 통일되어 259개로 개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행정 구역의 명칭과 범위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식민 통치에 유리하도록 도시 전체를 개조하려는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1912년 경성시구개수(京城市區改修)를 통해 도로, 교량, 하천 등을 대대적으로 정비할 계획을 세우면서 도시 전체를 일본식으로 바꾸려 시도하였다. 창의궁에는 동양척식주식회사 사택이 설치되었고, 내자시는 경무국 피복창고로 바뀌었다. 1915년 경복궁에서 개최한 ‘시정5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조선총독부 신청사가 건립되고 식민통치 기관과 관사, 삼국(三國, 미꾸니)아파트 등이 세워지며 일본인 거류지가 북부로 확장되었다. 일본인 거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백운동천은 암거(暗渠)가 되어 사라지고 도로가 신설되었다. 반면에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매동보통학교,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와 같은 교육기관과 체부동 교회 등 종교시설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원래 그 곳에 살던 조선인들은 성외로 밀려나가고, 근대 문물에 편승한 외지의 조선인들이 유입되었다. ‘북부-서부 경계선’ 연접지 행정구역의 변화에 주목하는 것은 단순한 행정체계의 흐름을 확인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행정구역의 변화라는 바탕 위에 진행되었던 도시구조와 거주민의 변동, 곧 그 지역 정체성의 변질과 지역 문화의 변천을 이해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작업이다. Hanseongbu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consisted of five administrative districts―Dongbu(東部), Seobu(西部), Nambu(南部), Bukbu(北部), and Jungbu(中部). The borderline between Bukbu and Seobu passes along the street extending westward from the point slightly north of Seosipjagak(西十字閣). It crosses Geumcheonggyo Bridge(禁淸橋), where Baekundongcheon Stream(白雲洞川) flows, reaches the vicinity of Bunseongonggam(分繕工監), goes up north, and heads west to Pilundae. At the borderline, Yeonchumun-gye of Uitong-bang, Sajaegamhapae-gye of Sunhwa-bang, Gusaposeo-gye of Junsugye in Bukbu, and Sipjagak-gye and Walgundong-gye of Jeokseon-bang, and Bunseongongnae-gye and Suseonggungnae-gye of Indal-bang in Seobu were adjacent. As Kyeongmucheong(警務廳) was established during the Gabo Reform, Kyeongmuohseo(警務五署) of this organization took charge of Bukbu and Seobu. Land and family-register investigations conducted then had an effect on figuring out the boundary and scope of natural villages and dongs(洞) in more detail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Gyeongseongbusa』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cited to help understanding the relations of bu(seo)-bang-gye and dong but confused the dong of natural village and the ‘dong.’ which is a name of administrative area, resulting in later studies’ misunderstanding thi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Jeong·Dong Reform in 1914, the dongs in the natural villages were divided, being part of other administratively-created dongs respectively or dismantled. The six dongs formed during this period―Tongui-dong, Chebu-dong, Nuha-dong, Jeokseong-dong, Naeja-dong, Pirun-dong―became a basic framework of administrative sections of the present time. After then, “Great Expansion of Administrative Areas in Kyongseong” in 1939 was implemented, and 186 jeongs and dongs were unified and reorganized as 259 ‘jeongs.’ This was not just to change th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but to renovate the entire city in favor of Japan’s colonial rule. Through the Kyo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in 1912, Japan intended to convert Kyongseong into a Japanese-style city with a plan to overhaul all the streets, bridges, and rivers. The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house was established in Changuigung Palace, and Naejasi(內資寺) turned into a clothing warehouse of the police bureau. With‘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Local Products for the 5th Anniversary of New Politics’ held in Gyeongbokgung Palace in 1915, a new offic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ganizations for colonization and Mikuni apartment, which was an official residence, were built to expand Japanese people’s settlement to the north. For the convenience of Japanese residents, Baekundongcheon Stream was underdrained for construction of new roads. Meanwhil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Maedong General School and Paiwha Girls’ General High School and religious facilities like Chebu-dong Church were created. With these changes, Koreans who had originally lived there were pushed out of the city, and those from other regions who had taken advantage of modern civilization flew into it.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s in adjacent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borderline between Bukbu and Seobu’ is not simply to identify the flow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The changes in urban structures and residents in the name of transform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the tasks that lead to understanding of transmutation of the local identity and transition of loc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