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박대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It is impossible to argue about youth culture in 1960s~1970s without premising the April Revolution. Because the minor generation experiencing the April Revolution is the subject of ‘youth culture’ formed at the end of the 1960s. The political consciousness inculcated after the April Revolution begins to decay rapidly after 5·16 military coup. As the subject of Revolution returned to their everyday lives in the repression of military regime, there is a serious crack between consciousness and behavior. The Self-governing subjects in the April Revolution returned to the helpless subject again. College Students’ voluntary ‘new life movement’ got to lose even the subjective will because of being absorbed into the military regime’s policies, and the new phenomenon called ‘youth culture’ became to occur in the late 1960s. ‘Youth culture’ seemed to take passive or unconscious resistance against system, but this was basically no more than a form of culture as indirect or suppressed politics. In this regard, it is supposed that ‘youth culture’ in the military regime occured in the process that political youth get down to de-political one. It is enough to say that the April Revolution symbolized by Kim, Ju-Youl dominated the time as a form of repetition compulsion, which shows exactly what ‘youth culture’was short of. And Lim Joong-Bin is likely to say what is the nature of ‘youth culture’, claiming that one shift ‘youth culture’ into student movement by inscribing the student movement to youth culture for the cultural revolution preceding a political revolution. The nature of ‘youth culture’ is just crack itself forming a boundary line of ‘Politics’ and ‘culture’. The very boundary line and crack are depth of ‘youth culture’, and give us a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source of youth culture. 1960~70년대의 청년문화는 4월혁명을 전제하지 않고는 논의가 불가능하다. 4월혁명을 체험한 미성년의 세대가 60년대 말에 형성된 청년문화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4월혁명 직후의 비등했던 정치의식은 5·16 군사쿠데타 이후 급격히 소멸되기 시작한다. 군사정권의 억압 속에서 혁명 주체들이 일상으로 돌아감으로써 의식과 행동 사이에 심각한 균열을 안게 되었다. 4월혁명 때 체험했던 자기통치적 주체들이 다시 무기력한 주체로 되돌아간 것이다.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신 생활운동’마저 군사정권의 정책에 흡수됨으로써 그 주체적 의지가 상실되고 마는데, 1960년대 말에 이르면 ‘청년문화’라는 새로운 현상이 발생한다. ‘청년문화’는 소극적이거나 무의식적인 체제저항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정치를 문화의 형태로 간접화하거나 억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군사정권 아래에서의 청년문화는 정치성에서 탈정치성으로 전락(顚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청년문화 현상이 지배적일지라도 김주열로 상징되는 4월혁명은 반복강박의 형태로 당대를 지배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청년문화가 무엇을 결여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정치혁명에 선행하는 문화혁명을 위해 학생운동을 청년문화에 기입함으로써 청년문화를 문화운동으로 전환시키자는 임중빈의 주장은 청년문화의 본질이 정확히 무엇인가를 말해준다. 청년문화의 본질은 바로 ‘정치’와 ‘문화’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균열 그 자체이다. 이 경계와 균열이야말로 청년문화의 심층을 이루고 있으며, 청년문화를 이해하는 근원적인 시각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주창윤(Chang-Yun Jo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6 언론과 사회 Vol.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와 관련해서 다양한 집단들이 어떻케 청년문화를 규정했으며, 어떤 방식으로 담론의 장이 전개되었는지 밝히는 데 있다. 청년 문화 세대담론은 1974년 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언론집단(청년문화 생산자), 지식인 집단, 대학언론, 정치권력은 청년문화를 각각 반문화, 부분문화, 도깨비 문화, 퇴폐문화로 규정했다. 청년문화 생산자들은 세대표현과 기성을 거부하는 것으로 청년문화를 정의했다. 지식인들은 일부 젊은이의 모방적 생활양식으로 부분문화의 성격을 지닌다고 했으며, 대학언론들은 무분별한 외래문화로 규정했다. 또한 정권은 청년문화를 향락적이고 사회윤리를 문란케 하는 타락문화로 바라봤다. 청년문화 세대담론은 왜곡된 담론지형 속에 놓여 있었다. 청년문화 담론은 세대의식이 아니라 소비행태에 국한되었고, 세대간 논놈쟁이 아니라 언론사간 논쟁이 되었다. 더욱이 지식 인들은 기성세대의 엘리트주의 입장에서 청년문화를 재단했다. 정치권력은 통제와 억압으로 청년문화 담론을 종결시켰다. 청년문화를 거부했던 대학언론들은 저항문화와 민족문화의 재발견을 강조했고, 이것은 1970년대 반체제적 문화운동으로 이어지는 전환점을 제공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seventies' youth culture is defined and constituted in discourse formation in Korea. After Dong-A Ilbo dealt with six idols of youth generation in March, 1974, discourses of youth culture emerged and were heated for three months. Mentors of youth culture regarded their culture as counterculture, whereas intellectuals defined it as consumer-oriented subculture. Also, university presses viewed youth culture as brainless and imported culture, and political authorities deplored it as deteriorated culture. The discursive landscape of seventies' youth culture is divided into supporting groups and critical groups. Critical groups including university presses, intellectuals and political authorities dominated discourses about youth culture. Though supporting groups argued that seventies' youth culture is counter-culture, anti-commercialism, and self-expression of the youth generation, their discourse was strongly rejected by the others. The discourses about the youth culture generation were positioned in a distorted discursive landscape, in that critical groups defined it as 'guitar-live beer-blue jean', focusing on consumer culture and imported life styles.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of the seventies' youth culture were not included in this discourse spectrum. Nevertheless, seventies' youth culture as an emergent culture brings about two significant cultural changes. One is that youth culture developed popular culture, expanding its market and consumers. The other change is that the youth culture provided with a critical moment to constitute counter culture to resist political power and reinvent new cultural modes of folk culture, class-based culture, and new university culture.

      • KCI등재

        ‘청소년 문화’ 읽기의 윤리와 그 딜레마-1990년대 『또 하나의 문화』에 나타난 ‘청소년의 자유’ 담론과 청소년의 글쓰기-

        김정은 ( Jeongeun Ki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71

        This study focuses on the Alternative Culture’s magazine project that attempted to enlighten Korean society in the reverse direction by capturing the voices of youth in the 1990s when they emerged as consumers and producers of culture. Alternative Culture still adhered to the concept of culture as a practical ground for forming alternative subjects in the 1990s, and employed a strategy to urgently raise youth issues amid rhetoric of crisis that the cultural logic of post-industrial society was being brought to the fore. Issue 13, New Youth Stories 1(May 1997) and Issue 14, New Youth Stories 2(December 1997), were attempts to read youth culture stemming from such awareness of the crisis. In Chapter 2,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Alternative Culture did not use the existing method of enlightening youth, but constituted a reverse enlightenment that enlightened adults through reading ‘youth culture’. In the writing that attempted to speak to the youth as an adult who was not a party, the attitude was to listen to the youth’s voice as the voice of a subordinate subject, an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youth’s voice and subculture for the decolonization of Korean society. It can be seen that the eyes looking at the required text appear simultaneously. In Chapter 3,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voices of those who were considered ‘bad’ youth in the 1990s appeared in the pages of Another Culture’s magazine. Called out-of-school teenagers, cyberkids, and Oppa’s unit, they breathed the “cyberspace” that emerged in the 1990s and the “hybridity” of pop culture, dismantling hierarchical differentials such as adults/children, real world/virtual world, high culture/low culture, and underground/popularity. The youth’s claim for freedom and liberation did not stop at just asserting their ‘freedom’ and ‘liberation’, as they were approaching cultural democracy by dismantling various hierarchical dichotomies. It is clear that the magazine project of Alternative Culture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youth voices with a new ‘status’. However, its limitations can also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enlightened desires and voices of adults who demanded another sound ‘citizenship’ partially existed.

      • KCI등재

        두 개의 “별들의 고향”과 “청년문화”의 의도적 접속

        송아름 ( A Rum S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우리나라에서의 청년문화에 대한 논의는 1970년대 초 소설과 영화의 영역에서 발표돼 유례없는 흥행기록을 세운 ‘별들의 고향’을 기점으로 폭발한다. 이에 ‘별들의 고향’은 마치 청년문화의 집약체인 것처럼 간주되지만 아직 청년문화의 정체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들은 두 개의 ‘별들의 고향’이 발표된 이후라는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별들의 고향’을 통해 청년문화를 확인하는 것이 아닌, 과연 무엇이 두 개의 ‘별들의 고향’과 ‘청년문화’의 접속이 가능하게 했는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두개의 ‘별들의 고향’은 독자와 관객들의 감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1970년대의 대중들을 끌기에 매우 적절한 작품이었다. 이 감각적이라는 특징은 한편으로 아주 대중적이면서도 이 작품을 새롭다고 평가하게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새롭게 유입된 젊은 수용자들과의 접속을 자연스럽게 했다. ‘별들의 고향’에 반응한 젊은이들은 1960년대부터 꾸준히 서구 청년문화를 소개해오던 언론을 통해 돌출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고, 이후 한국의 청년문화에 관한 논의로 번져간다. 서구의 청년문화를 기준으로 후진국의 청년문화라는 콤플렉스를 드러내면서도 교묘하게 선진문화와 우리나라의 청년문화를 동등하게 비교하고자 하는 양가성은 청년문화 논쟁에 불을 지피게 된다. 논쟁이 시작되면서 대학생들은 ‘별들의 고향’이라는 대중성 강한작품에서 ‘청년’이라는 명칭이 호명되는 것에 반발, 젊은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되찾고자 청년문화를 다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때의 청년문화는 청년문화 논쟁의 그것과 다른 의미로 전환되고, 더 이상의 논쟁은 일어나지 않는다. 즉, 1970년대 청년문화는 단일한 하나의 개념으로 볼 수 없으며, 청년문화의 시작 혹은 초기의 청년문화는 두 개의 ‘별들의 고향’의 새로움에 대한 청년들의 반응에 당대의 욕망이 결합된 것으로 뚜렷한 실체가 있다기보다 그것이 놓인 상황이나 호명의 주체에 따라 유동하는 개념이었다고 볼 수 있다. Discussions on youth culture in South Korea exploded starting from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hich set an unprecedented box-office record in the areas of novel and film in the early 1970s. Thus, Heavenly Homecoming to Star is considered as if it is an integration of youth culture, but the identity of the youth culture has not been clearly proven, and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active discussions could be achieved after the publication and release of the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Therefore, instead of confirming youth culture through Heavenly Homecoming to Star, a discussion on what really made it possible to connect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and ‘youth culture.’ The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ere the works very appropriate for attracting the public in the 1970s in that they were expressed in a way that they stimulate the readers and audiences’ sensibility. This characteristic of sensibility can be considered a cause that made people evaluate them novel on one hand and very popular on the other hand, which made natural its connection to young consumers newly flowed in. Young people who responded to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ere considered abrupt through the media that had continued introducing Western youth culture since the 1960s, and then, discussions on the youth culture of South Korea spread. The ambivalence to reveal the Korea’s complex about its youth culture as that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as compared to those of the West and at the same time, cleverly compare advanced cultures with Korean youth culture equally made a fire in a controversy of youth culture. As the controversy began, college students would redefine youth culture to regain their identity as young intellectuals, opposing to the interpellation of the name of ‘youth’ in the work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Youth culture, at this time, is converted to a meaning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ntroversy of youth culture, and no controversy occurs anymore. In other words, youth culture in the 1970s cannot be viewed by a single concept, and the beginning of youth culture or early youth culture is a combination of young people’s response to the novelty of the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ith the desire of the times, and it is a concept that is float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placed or the subject of interpellation, there is a clear substance.

      • KCI등재

        유스컬처 영향에 의한 현대패션의 뉴노멀 경향

        김유진,이세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3

        유스컬처는 오늘날 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더불어 어느덧 주류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힘으로 부상하였다. 패션산업의 현장 역시 유스컬처가 주도하는 변화를 인식해야 할 때이다. 본 연구는 특히 기존 사회문화의 기준을 거스르는 유스컬처의 대항적 입장을 뉴노멀의 개념과 연결하여 분석의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질서와 반대 양상을 보이는 뉴노멀의 주요 개념과 특성을 통해 유스컬처 대두와의 연결점을 찾고, 최근 유스컬처에 의한 현대패션의 뉴노멀 경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뉴노멀의 개념과 관점들을 파악하였고 연구의 중심 주제어로서 유스컬처의 개념과 스타일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유스컬처의 영향 사례들을 수집하고 관찰하였으며 유스컬처에 의한 현대패션의 뉴노멀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대 중반부터 유스컬처 정신으로 이슈가 된 브랜드들에 해당한다. 특히 유스컬처 감성 기반의 글로벌 매거진을 선정하고 이에 기사화된 주요 브랜드들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노멀은 기존의 질서와 대항적 관계에 있을 때에 주로 인식되므로 밀레니얼 세대라고 하는 새로운 세대의 대두는 현재의 뉴노멀 현상과 관계가 깊다. 둘째, 유스컬처는 스타일을 구축하는 특성을 가지며, 이에 최근의 힙합, 보드룩, 고프닉 스타일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스컬처의 영향으로 볼 때, 오늘날 유스컬처 관련의 패션브랜드는 유스컬처 정신을 기반으로 탄생한 브랜드와 유스컬처 정신을 도입하려는 하이엔드 브랜드 등 두 가지로 선별되었다. 넷째, 유스컬처에 의한 현대패션의 뉴노멀 경향은 디자인, 쇼케이스, 협업 등의 측면에서 고르게 보인다. 이 모든 측면에서 대항적 가치와 방법들이 새롭게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패션계가 지향하는 변화와 혁신, 다양성 등의 차원에서 그 의의를 인정받을 만하다. Nowadays, youth culture is becoming a strong force affecting mainstream culture with the advent of the new generation. The field of fashion industry also should recognize the change led by youth culture. This study has purposes as follows. First is a search for a connection between concept of new normal against the established order and the advent of youth culture. Second is an investigation into the trend of modern fashion by youth culture.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studied the concept and perspectives of new normal and reviewed the idea of youth culture as a keyword of this paper. In addition, there were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cases of youth culture by those of fashion brand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various brands coming into the spotlights because of youth culture spirit since the mid-2010s. Especially, this paper selected global magazines based on youth culture emotion and collected cases of some brands introduced by these magazine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adven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phenomenon of modern new normal. Second, youth culture has a characteristic feature to create styles: noticeable hip-hop, board look, gopnik and so on. Third, there are two cases of fashion brands related to youth culture: new brands starting from youth culture spirit and traditional high-end brands accepting it. Fourth, the new normal trend of contemporary fashion appears in many points: designs, showcases, collaborations, etc. In terms of all aspects, directly-opposed values and methods are newly exposed and these phenomena deserve serious attention in respect of change, innovation and variety.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자원 개발 모형에 기초한 청소년문화 Zone 운영모형 개발-제주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호,최창욱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2

        Using the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model at the regional level, this paper explored a youth cultural zone model in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The concepts of specialized cultural content for youth program, specialized 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youth, youth cultural zone, cluster-type youth cultural program were devised based on the concepts of cultural contents, cultural delivery platform, cultural terminal, cultural complex which were developed in the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model.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was done by discovering specialized cultural contents for youth program in Jeju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The results proved that Jeju had abundant cultural resources which were able to use for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youth. The second stage was to develop specialize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for youth.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delivery platform, 39 types of specialize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for youth were developed. The third stage was to develop Jeju youth cultural zone. In this study, Jeju youth cultural zone which were consisted of 6 sub-cultural zone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terminal. The fourth stage was to develop cluster- type youth cultural program. Cluster-type youth cultural program make full use of cultural contents dispersed in Jeju through connecting and networking these resources. In this study, 5 cluster-type youth cultural program were developed. Finally, Challenges for activating Jeju youth cultural zon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역문화자원개발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청소년문화존 운영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지역 문화자원개발 모형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문화컨텐츠, 문화전달플랫폼, 문화터미널, 문화클러스터의 개념은 청소년문화특화컨텐츠, 단위형 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 청소년문화존, 클러스터형 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의 개념으로 응용하여 활용하였다. 문헌 및 자료연구, 현장조사를 통해 제주지역 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원을 조사한 결과 제주도는 도서성으로 인해 특이한 자연환경과 독특한 섬문화를 유지 · 발전시켜 왔으며, 육지에서 체험할 수 없는 희소성이 높은 체험활동 소재들이 무수히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제주국제자유도시, 국제평화의 섬 지정등과 연계되어 추진되고 있는 지역개발 자원들은 국제교류 중심의 테마형 청소년체험활동의 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원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자문회의 및 워크숍을 통해 제주 청소년문화특화컨텐츠를 발굴하고, 이에 기초하여 총 39개의 단위형 제주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의 지역발전축과 연계하여 복합문화Zone(제주시권역), 국제교류/영상Zone(서귀포시권역), 생태/환경Zone(구좌권역), 향토민속문화/레포츠Zone(성산권역), 역사/안보/문화예술Zone(대정권역), 호국/생태Zone(한림권역) 등 6개의 청소년문화존을 개발하였다. 또한 제주도 전역에 퍼져있는 동질의 문화컨텐츠들은 클러스터형 문화특화프로그램의 개념을 활용하여 문화체험코스나 벨트의 형태로 제주생태․환경탐사BELT, 제주역사․유적체험BELT, 레포츠 체험BELT, 제주문화 체험BELT, 제주산업 체험BELT 등 5종의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설계된 제주청소년문화존 운영모형이 갖는 기대효과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과제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1970년대 청년문화/문학의 스타일과 소비풍속

        송은영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5 No.-

        This article aims at searching for common people’s mentality and their way of self-expression which were not revealed in 1970’s public discourse by looking at Youth Culture and Youth Literature. It is also intended to suggest that a positive study with actual proofs on popular literary texts should be achieved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or cultural sociology and show a sample study based on this methodology. Youth Culture in 1970’s Korea has been devaluated as a blind imitation of Western Youth Culture and the demoralized manners and customs of young people. The unique styles and manne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were severely criticized by other students and intellectuals on Youth Culture Debate in 1974. But their styles, manners and customs cannot be underestimated because they actively expressed their feeling to be free from social controlling ideology. Their feelings and emotions are fully shown in the novels of Choi Inho who was called a popular icon of 1970s’ youth culture. His young characters in The March of Fools show various actions of their own, like wearing unisex mode style for disturbing the strict gender system, consumption of cultural goods for showing off their knowledge and modern sensibility, and shocking happening like streaking for breaking the stern environment. They represented not only longing for a free and open society like Western Youth Culture but also the unconscious disapproval of the national ideology for a rapid industrialization, the standardized nationalism and populism of dogmatic progressivism. Such an unconsciousness was the sources for which young people could take the leadership in culture and consumption including publication, cinema, literature and so on. The 1970’s Youth Culture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layed a mediative role to disclose many desires and a sense of alienation of the lower class beyond youth’s self- expression. 이 글은 1970년대를 청년문화와 청년문학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공적 담론장에서 미처 표현되지 못했던 평범한 사람들의 내면화된 계급의식과 자기표현방식을 탐구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이 글은 1970년대 대중적 문학 텍스트들을 문화사적 혹은 문학사회학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러한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의 예를 제시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한국의 1970년대 청년문화는 서양 청년문화의 맹목적인 모방이거나 일부 철없는 청년들의 퇴폐적인 풍속으로 간주되었다. 1974년 대학생들과 지식인들 사이에 일어난 청년문화 논쟁에서도 대학생들의 과감한 행동양식들은 비난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당시 청년들은 보여준 스타일과 풍속들은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정서를 적극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과소평가될 수 없다. 이러한 청년문화의 정서와 가치지향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것은 당시 청년문화의 아이콘으로 불렸던 최인호의 소설이다. 그의 소설 바보들의 행진은 자신들의 지식, 교양, 취향, 감수성 등을 의도적으로 과시할 수 있는 행동과 상품 소비 등을 감행하는 청년들의 풍속과 스타일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청년들은 성적 분할 체제를 교란시키는 유니섹스 모드의 의상을 착용하거나, 서구적 감수성과 지적 교양을 드러내는 문화상품을 과시적으로 소비하는 행태를 보였으며, 스트리킹과 같은 파격적인 해프닝 등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서구 청년문화가 보여주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을 표시했을 뿐 아니라, 근대화를 위해 근검절약을 외치는 관제 이데올로기와 외래 퇴폐문화 추방을 외치는 민족적 민중주의의 엄숙주의에 대해서도 반발을 표시했다. 청년들의 이러한 정서와 무의식은 1970년대 내내 청년들이 전사회적으로 출판, 영화, 문학을 넘나들며 문화와 소비의 주도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원천이기도 했다. 또한 1970년대 청년문화는 대학생들의 자기표현의 장이라는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천시되던 계층의 계급적 소외감과 욕망들까지도 외화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 KCI등재

        청소년 문화 활동: 그 실태와 대안 모색

        이경한(Yi Kyeong Han) 교육종합연구원 2007 교육종합연구 Vol.5 No.1

        본고에서는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문화 활동 실태와 그 대책을 살펴보았다. 청소년들의 문화 활동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시설이나 지원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의 문화 활동 욕구를 아직도 지역사회의 각종 문화시설이 담기에는 부족함이 많이 있다. 이런상황 속에서도 청소년이 우리 시대의 문화주체로서 당당히 서기 위해서는 입시교육, 경제문제, 시설문제 등 다양한 문화장애물을 보다 적극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 문화 활동에 전반적인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 문화체계를 중심으로 문화 활동 공간 및 시설 지원, 교육 지원, 경제 자원, 지역사회 지원 그리고 청소년 문화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이 요구된다. 이 지원을 통하여 지역 청소년들은 보다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문화 활동을 펼쳐서 자신들의 끼를 발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는 우리사회의 문화적 자산 축적을 가져와서 우리들이 문화적 풍요를 누리는데 기여할 것이다. I studied the situation and those alternatives of youth s culture activities in Jeonbuk Province. In Jeonbuk Province youth s culture activities are increasing year by year, and facilities and supports for their activities are improved continuously. But there is insufficiency of culture facilities and supports to satisfy youth s culture desires still. In this situation, culture barriers,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economic problem, and facilities problem etc. must be decreased actively so that youths live as culture subjects. For satisfaction of youth s culture activities, it is necessary for us to settle system of culture. And then in this system it demands space and facility support, education support, economic support, culture network support for youths. I think the youths can radiate actively their cultural instincts through theses supports. And supports for youth culture can contribute accumulation of cultural property and cultural welfare.

      • KCI등재

        유럽 청소년·청년 대항문화와 대안문화의 기원과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이영란,김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8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3

        This following paper focuses on the problematic of interfacing the youth counter-culture with the alternative culture which had been individually exploring in the youth culture studies so far. The main topics covers the genesis and streams, characteristics which are based on the inter-generational and the conflict of classes in the stratified post-war European society. This paper shows how European youth counter- and alternative culture had been a leading process which put new thoughts, attempts and actions against main cultural values and norm. Hippies and Punk(1970-1980), Skinhead and Hooligan(1980-1990), social engagement in the civic society(2000-present) have been periodically hot topics in case of Great Britain, Germany and France.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at European youth counter and alternative cultures have been playing essential roles in cultural and social changes in the European society. Besides Korean youth counter and alternative culture's authenticities and assignments are discussed in the Korean youth culture studies. 본 연구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탐색되어진 청소년·청년 대항문화 및 대안문화가 서로 연계되거나 접점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청소년·청년 대항문화 및 대안문화의 기원과 특징, 전개방향과 양상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서구 유럽 청소년·청년 대항문화와 대안문화의 출발점에는 세대 간 갈등 및 계층·계급갈등이 놓여 있으며, 이는 지배문화의 가치와 지배계층이 주도하는 문화적 흐름에 의문을 제기한 일련의 과정이자 동시에 새로운 시대정신의 문화적 실천임을 밝혔다. 시대별로는 히피와 펑크(1970-1980년대), 스킨헤드와 훌리건(1980-1990년대), 그리고 시민사회와 사회참여(2000년-현재)를 영국과 독일,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구 청소년·청년세대의 대항문화와 대안문화의 사례들은 문화적 에너지의 주체이자 문화적 실천의 표상임을 밝히고, 이와는 다른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배경에서 형성·전개된 한국의 청소년·청년세대 대항문화와 대안문화가 갖는 독특성을 밝히고 그 의의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엽기문화 연구

        정철상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sheds light on youth's fondness for the bizarre which became a cultural practice in the society, gaining exponential response and attention of youth. A taste for the bizarre grew so prevalent among youth that it is no longer appropriate to regard it as a passing fad. Today, the internet usage rate for Korean youth is rising drastically to a degree that it is not likely to estimate accurate statistics. The trend is not only related to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affects qualitative aspect of the internet usage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type of information and contents. Youth' taste for the bizarre is expression of their individuality and cultural uniquenes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fondness to youth. By doing so, we will be able to find out several solutions to negative effects of the cyberspace which are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propositions were made. First, it is required to reinforce values education for youth. As the cyberspace is represented by anonymity, it is all the more important to teach them to be polite and disciplined in expressing the thoughts, to establish a sound and healthy youth culture. Second, critical thinking and the analytic capability of youth should be enhanced to inculcate sound self-consciousness on them, to prevent the conflict of values or confusion related to exposure to a taste for the bizarre. Third, it is important to create and provide the cultural contents and programs which will induce youth to unleash the fullest potential comprised ofenthusiasm and surplus energy, so as to ensure youth is not indulging in the taste. Fourth, it is required for teachers, parents and the youth instructors to accept diversified aspects of the youth culture and come up with varied monitoring systems, to give youth the opportunity to create a sound culture of their own. Last, a variety of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launched to help youth create their own lively and fresh culture based on the fondness for the bizarre,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reverse function of the tren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폭발적인 반응과 관심을 받으며 당당하게 자리매김을 한 엽기문화에 대한 연구로 이러한 엽기의 유행은 이미 유행이라는 말 자체가 무색 할 정도로 일상생활 용어로 인식이 되어있다. 이러한 큰 목적을 정점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세부 목적을 갖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률은 정확한 통계를 산출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용하는 정보나 내용의 종류 등 질적인 면에서도 급변하는 추세이다. 그중에서 청소년들에게 인기 있는 엽기는 청소년들의 독특한 문화와 개성을 엿볼 수 있는 그들만의 표현수단이다.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엽기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점차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사이버 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들을 생각해 보려고 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가치관의 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 익명성을 바탕으로 하는 On-line상에서도 올바른 예절과 절제가 있는 표현을 통한 청소년만의 밝고 건전한 문화가 필요하다. 둘째, 엽기문화 노출에 따른 가치관의 갈등이나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청소년들의 다양한 비판적 사고와 분석 능력의 향상을 통한 건전한 자아의식의 함양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들이 엽기문화에 탐닉하지 않도록 청소년들의 열정과 잉여에너지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되어져야 하겠다. 넷째, 다양한 그들만의 문화를 인정하고 다양한 방법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건전한 그들만의 문화가 형성되도록 교사나 학부모, 청소년지도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엽기문화의 역기능적인 면만 보지 말고 엽기문화를 통하여 발랄하고 참신한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